KR100220254B1 -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254B1
KR100220254B1 KR1019960012290A KR19960012290A KR100220254B1 KR 100220254 B1 KR100220254 B1 KR 100220254B1 KR 1019960012290 A KR1019960012290 A KR 1019960012290A KR 19960012290 A KR19960012290 A KR 19960012290A KR 100220254 B1 KR100220254 B1 KR 100220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er
foil
foils
sheet element
accumulation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22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7265A (ko
Inventor
끌로드 르보 쟝
Original Assignee
뷜렘 쟝-끌로드
봅스트 소시에떼 아노님
꼴렘 끌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뷜렘 쟝-끌로드, 봅스트 소시에떼 아노님, 꼴렘 끌로드 filed Critical 뷜렘 쟝-끌로드
Publication of KR9600372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72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9/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19/00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 B41F19/02Apparatus or machines for carrying out printing operations combined with other operations with embossing
    • B41F19/06Printing and embossing between a negative and a positive forme after inking and wiping the negative forme; Printing from an ink band treated with colour or "gold"
    • B41F19/064Presses of the reciprocating type
    • B41F19/068Presses of the reciprocating type motor-driv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AND TO STAMPS
    • B41P2219/00Printing presses using a heated printing foil
    • B41P2219/2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the printing f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Fixed Capacitors And Capacitor Manufacturing Machines (AREA)
  • Advancing Web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Physical Vapour Deposition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Printing Plates And Materials Therefor (AREA)
  • Paper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 Press Drives And Press Lin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시트 요소를 프린트하는 기계에서 소모된 웨브를 처리하는 장치가 그 상부에 공급 수단(26, 62, 40)에 의하여 전달되는 소모된 웨브(3, 5)를 수신하고 그 하부에 분쇄기(50)에 제공되는 축적 저장탱크(30)를 포함한다. 이 분쇄기(50)는 자동적으로 조정 장치(60)의 조정 하에서 단속적으로 작업한다. 분쇄기(50)의 출력부(38)는 전달 저장고(90)에서 폐기물(9)을 제거하기 위한 배기 파이프(39)가 열려 있다.

Description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개략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 5, 7 : 사용된 포일 9 : 폐기물
30 : 축적 탱크 32 : 축적 탱크의 하부
34 : 전향 기구 38 : 출력관
39 : 공기관 50 : 분쇄기
54 : 삽입 램 90 : 수송 용기
100 : 블로워
본 발명은 마분지, 종이, 플라스틱 재료 등의 시트(sheet) 요소상에 금속화(metallized) 이미지를 전사하는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하나의 고정 상부 지지빔과 하나의 이동가능한 하부 지지빔을 포함하며, 이들 빔들 사이로 마분지 시트가 유도되어 이들 시트와 플래튼 중의 하나 사이에서 수행된 포일로부터의 금속화 필름이 소정의 패턴에 따라 시트상에 인쇄될 수 있는 플래튼(platen) 프레스에 사용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프레스는 통상적으로 첫째, 안에 시트의 적층체를 포함하며 각 시트를 연속적으로 적층의 상부에서부터 제거하여 배치보드(layout board)로 보낼 수 있는 입력부를 포함한다. 이 보드상에서, 가로장(transverse bar)을 따라 배치된 일련의 집게(clamp)들에 의하여 그 전면 단부가 파지되기 전에 각 시트는 전면과 측면 정지부에 마주 대하도록 배치되며, 가로장의 각 단부는 봉을 유도하는 측면 체인열(chain train)에 부착되어서 시트는 후속 처리부로 들어간다. 처리부(들)이란 포일을 이송하기 위한 부(station)를 말하는 바, 이 포일 이송부는 절단수단과 결합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는 이어서 폐기물 방출부가 있다. 최종적으로 이러한 처리부 다음에는 수납부가 뒤따르며, 이 수납부에서는 집게에서 풀린 각 시트가 출력 팰릿(pallet)상의 적층체 상부로 곧장 떨어진다.
평행한 포일으로 만들어진 독립적인 이송 장치는 뒤이어 포일 공급 보빈(bobbin)들의 지지부, 포일의 전진과 간헐적인 정지를 위한 수단, 이 포일을 플래튼 사이에서 시트가 움직이는 방향으로 평행하게 유도한 뒤에 프레스의 플래튼 중의 하나에 풀린 상태로 유도하는 유도 수단, 상기 포일을 최소한 플래튼 사이의 궤도를 따라 인장하는 인장 기구, 통상 닳아진 포일을 측면 창을 통해서 기계로부터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한다.
간헐적 풀림(unwinding)에서 동일한 속도를 가지는 포일은 동일한 전진 및 정지 수단을 통과하고, 다른 속도를 가지는 포일은 제2 또는 제3의 별도의 정지 및 전진 수단을 통과하며, 이 경우 인장 기구는 더 높은 속도의 함수로서 제어된다.
인장 기구는, 포일의 전진 속도보다 상당히 높은 속도로 연속적으로 구동되는 인장 롤러나 포일의 전진 속도보다 상당히 높은 속도로 순차적으로 구동되는 인장롤러로 통상 구성된다. 두 경우에 있어서, 포일은 압력제어가 가능한 하나 이상의 압력 롤러에 의해 상기와 같은 롤러에 대해 파지된다. 이 롤러를 떠난 후 포일은 직각으로 기계 프래임의 측면 창의 방향으로 반송봉(return bar)을 돌며, 여기서 2개의 회전 브러시(brush)에 의하여 용기나 가방안으로 낙하된다. 바람직하게는, 인장 롤러에 가깝게 위치한 절단기가 포일을 여러조각이 되도록 세로로 자른다.
그러나, 세로방향으로만 잘려지는 이들 폐기물들은 실제로는 용기나 가방을 너무 빨리 채워버리기 때문에, 작업자에게는 이를 수시로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긴다. 또한, 이들 가방은 부피가 큰 번들을 형성하므로, 이송이 불편하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세로로 잘려지고 다른 속도로 도달할 수도 있는 사용된 포일으로 이루어진 폐기물을 처리하는 장치로서, 이들 폐기물의 부피를 최대한으로 줄임으로써, 폐기물을 더 작은 가방에 채워넣거나 또는 파이프에 이해 제거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 장치의 설계는 여전히 간단하며, 장기간의 작동 신뢰성이 있고, 설치비도 합리적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급 수단에 의하여 전달되는 사용된 포일들을 그 상부에서 수납하는 축적 탱크를 포함하며, 제어 장치의 제어하에서 단속적으로 자동동작하는 분쇄기가 하부에 설치되고, 그 분쇄기의 출력관이 폐기물용의 수송 용기를 향해 개방되어 있는 처리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쇄기는, 서로 대면하여 배치되어 있으며 가로 방향가 세로 방향으로 폐기물을 자르기 위해 상호 침투하는 절단기를 가지는 2개의 평행한 실린더로 구성된다.
그러므로, 사용된 포일들은 작은 색종이 조각과 같은 작은 치수의 폐기물로 잘려져서 용기를 더욱 밀도있게 채운다. 따라서, 용기를 바꾸는 간격이 길어지게 되어 작업자가 편리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적 탱크는 하부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전향 기구를 그 상부에 포함하며, 이 전향 기구는 사용된 포일들의 초기 낙하를 상기 축적 탱크의 중간쪽으로 향하게 한다. 원하는 경우, 이러한 전향기구상에 공기의 층을 형성하는 블로워를 설치하여 마찰을 줄이고, 이에 의하여 그 지점에서 포일이 쌓이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축적 탱크내에서 상기 사용된 포일이 축적되는 것이 대단히 균일하게 이루어져, 너무 이른 유동에 따른 정지의 위험이 방지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축적탱크의 상부에서 상기 사용된 포일을 공급하는 상기 공급수단, 즉 서로 대면하는 평행한 브러시들이나 전향기구의 하단부에는, 각기 기포 고무 등의 가요성 재료(flexible material)로 이루어진 블록내에 배치된 복수의 절단기가 설치된다.
그러므로, 분쇄기에 의해 당겨진 포일이 조여지는 경우, 보통 최저의 속도를 갖는 그 포일은 상기 블록을 압축시키고 절단기중의 하나에 찔려져 순간적으로 잘려진다. 따라서 플래튼하의 포일의 맞춰 찍기를 방해하는 과도한 인장이 공급 보빈까지의 포일의 상류 궤적에서 나타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축적 탱크의 하부는 분쇄기의 입력부쪽으로 향한 하향의 원뿔형이며, 그 결과 분쇄기는 실질적으로 항상 사용된 포일과 접촉한다. 원하는 경우, 축적탱크의 원뿔부의 상부에는, 하나의 구동기, 즉 전기나 공기압 또는 유압 잭 등에 의하여 구동되고 분쇄기로의 입력 방향으로 설치되어 작동중이지 않는 때에는 다시 초기화되는 삽입램(ram)을 설치할 수 있다.
유용하게는, 상기 축적 탱크의 상부내의 포일 공급 수단에 속하는 집계 롤러(counting roller)에 의한 감지를 통해, 상기 사용된 포일이 미리 정해진 만큼 축적된 이후에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분쇄기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분쇄기는 상기 축적 탱크의 대부분을 비우는 것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시간의 주기동안 작동된다. 이러한 방법은 특히 간단하고 유효하다.
또다르게는, 상기 제어 장치는, 축적탱크가 미리 정해진 최대 레벨까지 채워지는 것을 감지하고 그 신호에 의해 분쇄기를 구동하는 센서와, 축적탱크가 미리 정해진 최소 레벨까지 비워지는 것을 감지하고 그 신호에 의해 분쇄기를 멈추게 하는 센서를 포함한다. 이러한 종류의 센서는 예를 들면 복수의 광전 셀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는 신호의 방출을 위해서는 광선 빔의 판독이 대부분의 셀들에 대해 최소의 시간 주기동안 방해되어야 한다.
유용하게는, 분쇄기는, 포일의 지나친 축적이나 단단한 물체의 존재에 따른 과부하시에 과도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분쇄기를 일시적으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장치가 제공된 전기 모터에 의해 구동된다.
분쇄기는, 유용하게는, 상기 수송 용기에 공기관에 의해서 연결된다. 폐기물은 작은 색종이 조각 정도의 크기로 그 크기가 감소되므로, 송풍기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의 단순한 유동에 의해 수송 용기가 쉽게 접근되고 제거될 수 있는 작업장의 다른 곳으로 전달될 수 있다.
용기가 충만되었다는 것을 알리기 위하여, 지시기의 불이나 소리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더 구체적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의 개략 측면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는 바, 이는 어떠한 면으로도 제한적이지 않다. 도면의 오른쪽에는 관련 프린트 기계의 플래튼 프레스의 정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스는, 기계의 프래임에 고정된 상부 수평 플래튼(10)과, 수직으로 움직일 수 있는 평행한 하위의 플래튼(12)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에서, 이 하부의 플래튼(12)은 서로 대면하는 한쌍의 평행한 관절 조인트로 구성된 장치(14)에 의하여 지지되고 있으며, 이들의 중간 축들은, 상기 관절 조인트들 사이에 설치된 회전 크랭크축에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수평 연결봉에 의하여 연결된다.
그러므로, 하부의 플래튼(12)은, 집게(clamps : 도시하지 않음)가 있는 하나의 봉에 의하여 수평 방향 모션으로 순차적으로 움직이는 각각의 시트(1)상에서, 상부 고정 플래튼(10)의 하부면에 고정부착된 보드상에 고정된 블록에 대해 위쪽으로 압력을 가한다.
특히,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는, 시트(1)상에 도료로 가시적인 이미지, 특히 금속적 반사를 하는 이미지를 내기 위해, 잉크 포일(3) 또는 포일을 상기 시트(1)와 상기 상부 플래튼(10)의 프린팅 블록 사이에 삽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단속적인 정지와 전진을 위한 수단(도시되지 않음)은 플래튼하의 이 포일(3)을 순차적으로 유도하며, 이 포일은 통상 프레스 위의 기계의 상부에 위치한 즉, 예를 들면 그 앞 단부 근처에 있는 인장 롤러(20)의 방향으로 그를 상방으로 유도하는 안내 롤러들에 의하여 다른 쪽으로 유도된다. 이 포일(3)은 후부의 압력 롤러(22)에 의하여 인장 롤러(20)에 대하여 눌려진다. 포일을 프레스에 평행한 평면에 올바르게 보유하기 위한 필요 충분한 인장을 유도하기 위해, 이 인장 롤러(20)의 회전 속도는 단속적인 정지 수단에 의해 주어지는 포일(3)의 풀림 속도보다 빠르다.
인장 롤러(20)의 출력부에서, 포일은 반송 아이들러(26)에 의하여 기계 프레임내의 측면 출구창 쪽으로 직각으로 향하며, 여기서 이들은 한 쌍의 구동 브러시(40)에 의하여 방출로 들어가기 전에 롤러(62)에 의하여 아래쪽으로 안내된다. 인장 롤러(20) 또는 반송 아이들러(26)에 설치된 절단기(24)는, 한번 또는 여러번의 세로 절단을 행하여, 사용된 포일(3)을 스트립으로 변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사용된 포일(7)의 스트립은 수송 용기(90)에 직접 유도되지 않고, 먼저 축적 탱크(30)로 낙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브러시(40)는 스트립(7)을 아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향한 전향 기구(34)쪽으로 사출하며, 이 전향기구는 이들 스트립을 초기에 축적탱크(30)의 수직 중간 평면으로 향하게 한다.
축적탱크(30)의 입구쪽에서 스트립(7)이 부적절하게 축적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전향기구(34)의 비스듬한 상부 표면에 공기의 흐름을 형성하는 블로워(100)를 설치한다. 비교적 가벼운 스트립(7)은 전향기구(34)와 거의 접촉하지 않으므로 이를 잡거나 보유시킬 마찰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시된 바와 같이, 그 뒤 스트립(7)은 축적탱크의 두께보다 크거나 작은 폭으로 접어지고 중첩되어 축적된다.
특히, 횡단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축적 탱크(30)의 하부(32)는 아랫방향으로 비스듬하게 향해 있다. 이러한 원뿔부의 하단부는 분쇄기(50)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대략 사각형인 출구부를 구성하는데, 이 경우 분쇄기는, 서로 대면하고 또한 상호 침투하는 일련의 절단기를 주변에 갖는 두 개의 평행한 실린더로 형성되는 쵸퍼(chopper)이다. 이들 절단기의 결합구조는, 분쇄기가 스트립(7)을 세로와 가로로 칼질하여 상기 스트립을 몇 평방 센티미터의 작은 치수를 갖는 폐기물(9)로 만들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목적에서 이들 롤러들은 전기 모터(52)에 의하여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즉, 왼쪽 롤러는 시계 방향으로, 오른쪽 롤러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폐기물(9)을 출력관(38)내로 하향 사출한다.
폐기물(9)은 축적탱크(30)의 바로 밑에 위치한 수송 용기 안으로 바로 낙하된다. 또다르게는, 이들 폐기물(9)은 송풍기에 의하여 형성된 공기층이 흐르는 공기관(39) 안으로 흡입되며, 이 공기관은 폐기물을 수송 용기(90)의 설치나 취급에 적당한 다른 장소로 유도한다.
유효하기 위해, 분쇄기(50)의 절단기 실린더는, 스트립(7)이 축적탱크(30)에 축적되는 것보다 훨씬 빠른 속도로 스트립을 자르기에 충분한 최저속도로 회전되어야 한다. 이점에서, 분쇄기(50)는 단지 필요할 때에만 제어수단(60)에 의하여 단속적으로 동작한다. 이 제어수단은 전산화되고, 전자적 수단은 메모리에 미리 저장된 프로그램이나 스크린에 나타나는 순간적인 결과에 대응해 키보드 수단에 의하여 추가적인 데이터를 입력시켜 수정한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첫 번째 방법에 따르면, 제어 수단은 집계 롤러(62)의 회전중에 방출된 카운팅 펄스를 수신하는데, 이 집계 롤러는 구동 브러시(40)에 선행하는 안내 롤러들중의 하나 일수 있다. 그러므로, 축적탱크(30)의 대부분을 충분히 채울 수 있는 양의 포일량의 통과가 집계되면, 제어수단(60)은 분쇄기에 필요한 이미 정해진 해당 시간의 주기동안 분쇄기(50)의 전기 모터(52)를 작동시켜, 축적탱크(30)내에 있는 스트립(7)의 대부분을 파괴한다. 이러한 시간 주기는 작업자가 키보드로 새로운 값을 입력하여 조절할 수 있다.
또 다르게는, 2 레벨의 감지기가 축적탱크(30)에 설치될 수 있다.
최대 레벨 감지기(64)와 최소 레벨 감지기(64')가 바로 그것인데, 이들은 제어수단(60)의 입력 카드에 각각 연결된다. 이들 감지기는 예를 들면 대면하는 측면벽에 위치한 광원으로부터의 빛을 수신하는 복수 개의 광전 셀들일 수 있다. 최대 레벨에 유효하게 도달하면, 미리 정해진 기간동안 셀들의 대부분은 더 이상 최소한 초의 단위로 광 빔을 받지 못한다. 그 뒤, 제어 수단(60)은 분쇄기(50)를 작동시키고 하부 감지기(64')가 차례로 트립되는 순간 이를 정지시킨다.
축적탱크(30)의 하부(32)가 원뿔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분쇄기(50)는 통상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스트립(7)과 항상 접촉되며 다음의 스트립이 국수처럼 따라오게 된다. 원하는 경우, 축적탱크의 원뿔형 하부(32)에는 전기, 공기압 또는 유압 잭과 같은 헝태의 램(54)이 설치될 수 있고, 그 램의 봉은 아래쪽으로 분쇄기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 봉의 단부에는 구형이나 사각형의 판과 같은 미는 기구가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분쇄기(50)가 부적절하게 공전(idiling)하는 경우에, 램(54)이 스트립(7)을 분쇄기안으로 누르고 다시 초기화시킬 수 있다.
플래튼내의 포일(3)이 풀림 속도는 순차적으로 프린트되는 패턴의 크기에 직접적으로 의존한다. 다른 말로, 포일은 패턴의 길이에 걸치기에 충분한 양만큼 진행되며, 따라서 포일의 소비가 최적화된다.
이 길이가 모자라면 풀림 속도가 모자라고, 따라서 축적탱크내에서의 대응 포일의 축적 속도도 또한 모자라다. 분쇄기(50)의 작업중, 스트립(7')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들중의 하나가 매우 빨리 그리고 완전히 칼질되어 급격히 팽팽해질 수 있다.
이것을 극복하기 위해, 전향기구(34)에 이해 가해지는 변경 궤적의 시작부나 말단부에 숨겨질 날을 가지는 장치가 제공된다. 이 장치는, 대들보(crossbeam)에 규칙적인 간격으로 분포된 복수의 절단기(42, 42')를 포함한다. 이 절단기의 날들은 정지시에 절단점들 너머로 연장되는 탄성있는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블록(40, 44')내에 배치된다.
이 재료는 기포 고무 또는 탄성 플라스틱 재료일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장없이 구동 브러시(40)에 의하여 유도되는 스트립은 가요성 재료의 블록들(40, 44')에 대해 자유로이 미끄러진다. 반면에, 스트립(7')이 팽팽해지는 경우, 이는 상부 블록(44) 또는 하부 블록(44')을 누르고 이에 의하여 수축에 의하여 절달기들(42, 42')중의 하나의 점에 노출시켜 스트립을 순간적으로 찢고 자른다. 그러므로, 과도한 인장은 상류에, 특히 인장 롤러(20)에 나타날 수 없다.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에 대한 여러 가지 변형예가 있을 수 있다.

Claims (9)

  1.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에 있어서, 공급 수단(26, 62, 40)에 의하여 전달되는 사용된 포일들(3, 5)을 그 상부에서 수납하는 축적 탱크(30)를 포함하며, 제어 장치(60)의 제어하에서 단속적으로 자동동작하는 분쇄기(50)가 하부에 설치되고, 그 분쇄기(50)의 출력관(38)이 폐기물(9)용의 수송 용기(90)를 향해 개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탱크(30)는 하부로 비스듬하게 기울어진 전향 기구(34)를 그상부에 포함하며, 이 전향 기구는 사용된 포일들(5, 7)의 초기 낙하를 상기 축적 탱크(30)의 중간쪽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향기구(34)상에는, 공기의 층을 형성하는 블로워(1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탱크(30)의 상부에서 상기 사용된 포일(5)을 공급하는 상기 공급 수단(40)이나 상기 전향 기구(34)의 하단부에는, 각기 가요성 재료로 이루어진 블록(44)내에 배치된 복수의 절단기(42)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탱크(30)의 하부(32)는 분쇄기(50)의 입력부쪽으로 향한 하향의 원뿔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축적 탱크(30)의 상기 원뿔부(32)의 상부에는, 하나의 구동기로 구동되며 상기 분쇄기(50)의 입력부 방향으로 향하는 삽입 램(54)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60)는, 상기 축적 탱크(30)의 상부내의 포일 공급 수단(26, 62, 40)에 속하는 집계 롤러(62)에 의한 감지를 통해, 상기 사용된 포일(7)이 미리 정해진 만큼 축적된 이후에 상기 분쇄기(50)를 작동시키고, 이 경우 상기 분쇄기(50)는 상기 축적 탱크(30)의 대부분을 비우는 것에 대응하는 미리 정해진 시간의 주기동안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50)는, 과부하시 과도 정도를 측정하고 상기 분쇄기를 순간적으로 역방향으로 구동하는 장치가 제공된 전기모터(52)에 의하여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쇄기(50)는 폐기물(9)용의 상기 수송 용기(90)에 공기관(39)에 의해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KR1019960012290A 1995-04-28 1996-04-22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KR100220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01225/95-5 1995-04-28
CH01225/95A CH690424A5 (fr) 1995-04-28 1995-04-28 Dispositif de traitement de bandes métallisées usagées dans une machine de transfert d'images métallisées sur des éléments en plaqu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65A KR960037265A (ko) 1996-11-19
KR100220254B1 true KR100220254B1 (ko) 1999-09-15

Family

ID=4205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2290A KR100220254B1 (ko) 1995-04-28 1996-04-22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5791567A (ko)
EP (1) EP0739721B1 (ko)
JP (1) JP2749555B2 (ko)
KR (1) KR100220254B1 (ko)
CN (1) CN1102457C (ko)
AT (1) ATE169559T1 (ko)
AU (1) AU711607B2 (ko)
BR (1) BR9602095A (ko)
CA (1) CA2174823C (ko)
CH (1) CH690424A5 (ko)
DE (1) DE69600508T2 (ko)
DK (1) DK0739721T3 (ko)
ES (1) ES2120262T3 (ko)
TW (1) TW32602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7719D0 (en) * 2001-11-19 2002-01-09 Chapman Pauline L Waste glass storage
TWI283651B (en) 2004-04-23 2007-07-11 Bobst Sa Device for transferring a foil matter from outside to inside of a machine
CN100391801C (zh) * 2004-12-06 2008-06-04 云南昆船设计研究院 带脱箱卡具的烟包纸箱自动开箱设备
DE102005003787A1 (de) * 2005-01-19 2006-07-27 Steuer Gmbh Printing Technology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sorgen von flexiblem Material
US20130037639A1 (en) * 2011-08-08 2013-02-14 Aurora Office Equipment Co., Ltd. Shanghai Waste bin leveling system for a paper shredder
CN108501516B (zh) * 2018-03-30 2019-07-30 重庆华康印务有限公司 发票印刷机
CN112549762B (zh) * 2020-12-23 2022-05-17 陕西金叶印务有限公司 一种自动调距烫金走箔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341867A1 (de) * 1973-08-18 1975-04-17 Kloeckner Humboldt Deutz Ag Verfahren zur feinzerkleinerung von festen stoffen mit einer walzenmuehle und zerkleinerungseinrichtung zur durchfuehrung des verfahrens
US4172515A (en) * 1976-01-30 1979-10-30 Hauni-Werke Korber & Co. K.G.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lying tobacco to tobacco cutting machines
US4200239A (en) * 1978-07-14 1980-04-29 Wright Line Inc. Machine that quadrates documents
DE3112667A1 (de) * 1981-03-31 1982-10-14 Feinwerktechnik Schleicher & Co, 7778 Markdorf Mikrofilm-vernichter
US4678126A (en) * 1985-11-04 1987-07-07 Prentice Charles E Shredder
SE455768B (sv) * 1986-12-16 1988-08-08 Sandarne Ind Ab Sonderdelningsaggregat
US5114490A (en) * 1991-01-04 1992-05-19 Tilby Sydney E Apparatus for control of sugarcane half-billets
DE4103950C1 (ko) * 1991-02-09 1992-04-23 Geha-Werke Gmbh, 3000 Hannover, De
DE4107837C2 (de) * 1991-03-12 1997-03-13 Schleicher & Co Int Dokumentenvernichter
GB2254586B (en) * 1991-04-11 1994-09-21 Profoil Systems Limited Foil blocking apparatus
DE4408470C2 (de) * 1993-03-22 1995-07-20 Hermann Schwelling Aktenvernichter mit schrankartigem Unterbau und haubenartigem Aufsatz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7265A (ko) 1996-11-19
CN1137421A (zh) 1996-12-11
ES2120262T3 (es) 1998-10-16
EP0739721A1 (fr) 1996-10-30
BR9602095A (pt) 1998-10-06
JPH08300617A (ja) 1996-11-19
JP2749555B2 (ja) 1998-05-13
CA2174823A1 (en) 1996-10-29
AU711607B2 (en) 1999-10-14
US5791567A (en) 1998-08-11
CN1102457C (zh) 2003-03-05
CA2174823C (en) 1999-02-23
DE69600508D1 (de) 1998-09-17
DK0739721T3 (da) 1999-05-17
ATE169559T1 (de) 1998-08-15
DE69600508T2 (de) 1999-01-28
EP0739721B1 (fr) 1998-08-12
CH690424A5 (fr) 2000-09-15
AU5190796A (en) 1996-11-07
TW326025B (en) 1998-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447816B (sv) Anordning vid cylinderrullstol for kapning av pappersbana
US7032774B2 (en) Web burster/inserter
KR100220254B1 (ko) 시트 요소 프린트 기계에서 사용된 포일을 처리하는 장치
RU2429998C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печатания на полотне и дозирования полотна
US3948402A (en) Bag opening and emptying
JP4953592B2 (ja) 包装装置
JPH0725526A (ja) 製造機械におけるストリップ材料の交換方法
EP0771623B1 (en) Cutting device for cutting continuous webs
JP3115325B2 (ja) シートをうろこ状に重ねてパイルに積み上げる装置
US6237870B1 (en) Device for removing packaging material from a web roll
EP0256823A1 (en) Feeding apparatus
US3436996A (en) Web cutting machine
US4211397A (en) Unit document feeding mechanism
US607038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rapping articles
US3991952A (en) Shim strip inserter for slitting and re-rolling machine
EP0429135A1 (en) Device for cutting pieces of sheet material continuously from a material web and feeding said pieces to a processing machine
US3053128A (en) Sheet cutting and delivery units
EP0445333A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heet feeding apparatus
US3254886A (en) Automatic wrapper feeder
CN220840396U (zh) 一种连续裁切单张机设备
CN219882599U (zh) 一种纸边废料的切段装置
JP3805542B2 (ja) カードの繰出し装置及び繰出し方法
JPH0448704B2 (ko)
CN110014732B (zh) 纸带运输装置及印刷系统
JPH0355959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