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8641B1 - 용지고정기구 - Google Patents

용지고정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8641B1
KR100218641B1 KR1019970038256A KR19970038256A KR100218641B1 KR 100218641 B1 KR100218641 B1 KR 100218641B1 KR 1019970038256 A KR1019970038256 A KR 1019970038256A KR 19970038256 A KR19970038256 A KR 19970038256A KR 100218641 B1 KR100218641 B1 KR 100218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per
substrate
buckling plate
plate piece
holding mech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8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8583A (ko
Inventor
도시키 아카하네
부헤이 아카하네
Original Assignee
도시키 아카하네
부헤이 아카하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시키 아카하네, 부헤이 아카하네 filed Critical 도시키 아카하네
Publication of KR19980018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5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8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8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2BOOKBINDING; ALBUMS; FILES; SPECIAL PRINTED MATTER
    • B42F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FILING APPLIANCES; FILE CARDS; INDEXING
    • B42F1/00Sheets temporarily attached together without perfora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LARTICLES FOR WRITING OR DRAWING UPON; WRITING OR DRAWING AIDS; ACCESSORIES FOR WRITING OR DRAWING
    • B43L5/00Drawing boards
    • B43L5/02Drawing boards having means for clamping sheets of paper thereto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2Resiliently bias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4/00Buckles, buttons, clasps, etc.
    • Y10T24/20Paper fastener
    • Y10T24/208Corner fastened

Landscapes

  • Connection Of Plates (AREA)
  • Handling Of Cut Paper (AREA)
  • Drawing Aids And Blackboard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용지(P)를 놓는 기판(2)의 귀둥이부 또는 변부에, 기판(2)에 놓여진 용지(P)의 귀퉁이부 또는 변부를 고정하는 고정위치(Xc)와 용지(P)로부터 이간하는 해방위치(Xr)로 선택적으로 좌굴(座屈)변위하는 좌굴판 편부(3a,3b,3c,3d,3e)을 설치한다. 이로서 부품점수의 삭감 및 구성의 단순화에 의하여 코스트 다운을 도모함과 동시에 조작의 용이화를 도모하고, 또 용지를 안정동시에 평탄하게 고정할 수 있다.

Description

용지고정기구
본 발명은 화판상에 그림용지를 고정할 때 등에 사용하는 화판등에 있어서 용지고정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화판상에 그림용지를 고정할 때에 사용하는 용지고정기구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공개공보 No. 55(1980)-25976로 알려져 있다.
동 공보에 개시되는 용지고정기구는 베이스부와, 이 베이스부에 일측을 회동 자유로이 부착한 로드를 절곡한 누름부와, 이 누름부를 용지누름방향으로 가압하는 스프링에 의하여 구성함과 동시에 이 용지고정기구를 화판을 구성하는 기판상의 한 군데에 부착하고, 그림용지를 고정할때에는 용지고정기구의 베이스부와 누름부 사이에 그림용지를 끼우고 고정한다.
그러나, 종래의 용지고정기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제1로, 용지고정기구를 구성하는 부품점수가 많아지고, 게다가 구성이 복잡하기 때문에 코스트업를 초래함으로써 염가로 제공할 수 없다.
제2로, 그림용지를 고정할 때에 누름부를 스프링이 탄력에 맞서서 들어올릴 필요가 있는 등, 특히 아동에게는 조작이 번잡하고 귀찮다.
제3으로, 용기고정기구는 한군데 뿐이기 때문에, 그림용지를 안정하게 고정할 수 없음과 동시에 베이스부 상에 그림용지가 놓여지기 때문에, 그림용지를 평탄하게 고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점수의 삭감 및 구성의 단순화에 의하여 코스트 다운을 실현한 염가인 용지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터치로 조작할 수 있는 등, 아동등에게 용이한 조작을 실현할 수 있는 용지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더욱,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평판한 기판면상에 용지의 네귀퉁이를 안정동시에 평판한 상태로 고정할 수 있는 용지고정기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화판등에 있어서 용지고정기구는 용지를 놓는 기판의 귀퉁이부 또는 변부에 기판에 놓여진 용지의 귀퉁이부 또는 변부를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용지로부터 이간하는 해방위치로 선택적으로 좌굴변위하는 좌굴판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로서 좌굴판편부를 해방위치로 좌굴변위시키면, 좌굴편판부는 기판(용지)로부터 이간하기 때문에, 각 좌굴판편부 와기판잔에 삽입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상태에서 각 좌굴판편부를 누름으로서 고정위치로 좌굴변위시키면, 용지는 각 좌굴판편부와 기판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용지고정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도 2중 A-A선 단면도.
제2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의 구비하는 화판의 평면도.
제4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에 있어서 좌굴판편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제5도는 화판의 기판에 설치한 고정부의 평면도.
제6도는 동 고정부의 도 5중 B-B선 단면도.
제7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의 변경실시예에 관한 용지 고정유니트의 평면도.
제8도는 동 용지고정유니트에 있어서 도 7중 C-C선 단면도.
제9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의 다른 변경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평면도.
제10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에 있어서 좌굴판 편부를 포함하는 종단면도.
제11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의 다른 변경 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평면도.
제12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에 있어서 도11중 D-D선 단면도.
제13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의 다른 변경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평면도.
제14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에 있어서 도13중 E-E선 단면도.
제15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의 다른 변경실시예에 관한 주요부의 평면도.
제16도는 동 용지고정기구에 있어서 도15중 F-F선 단면도.
다음에, 본 발명에 관한 알맞는 실시예를 들어,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더욱 첨부도면은 본 발명을 특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 주지부분에 관하여는 발명의 불명료화를 피하기 위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우선, 이 실시예에 관한 용지고정기구(1)의 구성에 대하여 도1~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3은 화판(10)의 전체평면을 도시하고 있다. 화판(10)은 기판(2)을 갖고 있으며, 이 기판(2)은 일정한 두께에 의하여 직4각형으로 형성한 기판본체(2a)와, 이 기판본체(2a)의 외연부에 상방으로 두껍게 형성한 일정한 폭을 갖는 제연부(提緣部)(11)을 갖는다. 또한, 제연부(11)의 네귀퉁이의 상면에는 원형의 위치결정 오목부(12…)를 형성함과 동시에, 각 위치결정 오목부(12…)의 하방에 위치하는 제연부(11)의 이면에는 각 위치 결정오목부(12…)에 끼워맞춤하는 원형의 위치결정볼록부(13…)를 형성한다. 이로서 위치결정하면서 복수의 화판(10…)을 겹쳐 쌓을 수 있다. 더욱 14…은 끈등을 통과시킬 수 있는 삽입구멍이다.
또, 제연부(11)의 귀퉁이부로부터 일정거리이간한 내측면부(11s)에는 대향하는 한쌍의 지지오목부(15, 16)을 형성한다. 한편 4개의 좌굴판편부(3a,3b,3c,3d)를 준비한다. 하나의 좌굴판편부(3a)는 유연성 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정의 두께를 갖는 길고 가느다란 단 책상으로 형성하고, 중앙에는 돌기상의 손잡이부(1)을 일체로 설치한다. 그리고 좌굴판편부(3a)의 양단을 지지오목부(15, 16)에 각각 삽입한다. 이 경우, 지지오목부(15)와(16)사이의 거리보다도 좌굴판편부(3a)의 길이가 길어지도록 하고, 좌굴판편부(3a)를 지지오목부(15,16)에 삽입하였을때에 좌굴판편부(3a)가 휘도록 한다. 이로서 좌굴판편부(3a)는 도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판(2)의 면수직 방향(Hv)으로 변위, 즉 상방의 해방위치(Xr)와 하방의 고정위치(Xc)로 선택적으로 좌굴변위하고, 하방으로 변위하였을 경우는 좌굴판편부(3a)의 중앙이 기판(2)의 상면을 누름한다. 또, 다른 3개의 좌굴판편부(3b,3c,3d)도 다른 지지오목부(15…,16…)에 꼭같이 삽입하여 구성한다.
더욱 각 좌굴판편부(3a…)는 기판 2(제연부 11)에 일체형성하여도 좋고, 혹은 금속재료로 형성하여도 좋다. 또 도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좌굴판편부(3a…)의 하면에 돌길부(4)를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돌기부(4)는 선단을 둥글게 형성하고, 용지(P)를 고정할 때에 누름힘을 스폿적으로 집중시켜도 좋고, 선단천형으로 형성하여 용지(P)에 폭찔러도 좋다. 더욱, 돌기부(4)는 복수설치하여도 좋다. 더욱 돌기부(4)대신에 좌굴판편부(3a…)의 하면에 용지(P)에 대하여 접착 박리자유로운 접착성재료를 도표 또는 첩착하여도 좋고, 혹은 각 좌굴판편부(3a…)의 전체를 접착성 소재에 의하여 일체형성하여도 좋다.
한편, 기판(2)의 4군데에는 비교적 작은 용지(Ps)를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5a,5b,5c,5d)를 설치한다. 하나의 고정부(5a)는 도5 및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구성한다. 우선 탄성합성수지에 의하여 일체형성한 설편부재(21)를 준비한다. 설편부재(21)는 기판(2)에 부착하는 고정기부(22)와 선단이 자유단으로 되는 가동설부(23)에 이루어지고, 고정기부(22)와 가동설부(23)사이에는 얇은 형성부(24)를 설치한다. 이로서, 가동설부(23)는 고정기부(22)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굴곡할 수 있다. 다른 한편, 기판(2)에는 가동설부(23)를 수용하는 개구부(25)를 형성하고, 이 개구부(25)에 가동설부(23)을 수용함과 동시에, 고정기부(22)를 접착제 등에 의하여 기판(2)에 고정한다. 이 경우, 기판(2)의 상면과 설편부재(21)의 상면은 동일면상에 위치시킨다. 또 도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가동설부(23)의 선단과 기판(2)은 오버랩한다. 다른 고정부(5b,5c,5d)도 고정부(5a)와 꼭같이 구성한다.
다음에, 이 실시예에 관한 용지고정기구(1)의 기능에 대하여 도1~도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사용에 있어서는 손잡이부(17…)를 손으로 들어올리면, 좌굴판편부(3a…)는 도1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해방위치(Xr)로 좌굴변위한다. 이로서, 기판본체(2a)위에 놓여진 용지(그림용지)(P)의 네귀퉁이를 좌굴판편부(3a…)와 기판(2)사이에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이상태에서 각 좌굴 판편부(3a…)를 눌러 밑으로 내리면, 좌굴판편부(3a…)는 도1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고정위치(Xc)에 좌굴변위하고, 용지(P)의 네귀퉁이는 좌굴판편부(3a…)와 기판(2)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더욱 용지(P)를 빼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7…)를 들어올리면 되고, 이로서, 좌굴판편부(3a…)는 용지(P)로부터 이간하는 해방위치(Xr)에 좌굴변위한다. 이와같이 화판(10)에 대한 용지(P)의 부착, 빼기를 원터치로 용이하게 행할 수가 있다.
한편, 화판(10)에 작은용지(Ps)를 부착하는 경우에는 가동설부(23)를 도6에 가상선으로 도시하는 상방위치에 탄성변위시킴과 동시에 가동설부(23)의 선단과 기판(2)사이에 용지(Ps)의 귀퉁이부를 삽입하고, 그후 가동설부(23)를 원래위치로 복귀시면, 용지(Ps)의 귀퉁이부는 가동설부(23)의 선단과 기판(2)사이에 끼워져서 고정된다.
다음에 용지고정기구(1)의 변경실시예에 대하여 도7~도1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7 및 도8은 기판(2)에 대하여 별체로 형성한 4개의 용지고정 유니트(31…)는 사용한 경우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따라서, 기판(2)은 상기 제연부(11)를 갖지 않는다. 용지고정유니트(31…)는 L형으로 형성한 유니트 본체(32…)를 갖는다. 유니트 본체(32…)의 하부에는 오목상의 감착부(33…)를 설치하고, 감착부(33…)에 기판(2)의 귀퉁이부를 삽입하여 접착제 혹은 나사등에 의하여 고정한다. 또, 유니트 본체(32…)의 상부에는 도1 및 도2에 도시한 구성과 꼭같은 좌굴판편부(3a…)를 설치한다.
한편, 도9 및 도10은 좌굴판편부(3a…)를 기판(1)(제연부11)에 대하여 회동자유로이 부착한 경우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는 좌굴판편부(3a…)의 양단에 원주형의 롤러부(35…)를 회동자유로이 지지하는 로럴받이부(36…)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더욱, 이 변경 실시예에서는 좌굴판편부(3a…)의 형상을 원호형으로 형성함과 동시에 손잡이부(17)의 형상을 변경하였다.
다른 한편, 도11 및 도12는 좌굴판편부(3a…)를 기판(2)의 명방향(Hh)에 좌굴변위시키는 경우의 변경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기본적인 구성은 도1 및 도2에 도시한 실시예와 같지만, 좌굴판편부(3a…)의 변위방향을 90°다르게 한점, 및 좌굴판편부(3a…)의 중앙하부에 탄성의 누름링(41)을, 설치한 점이 다르다. 더욱, 도13 및 도14는 기판(2)에 대하여 별체로 형성한 용지 고정유니트(51)를 기판(2)의 변부에 부착하는 경우의 변경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용지고정유니트(51)는 ㄷ자형을 형성한 유니트 본채(52)를 갖는다. 유니트 본체(52)의 하부에는 오목상의 감착부(53)를 설치하고 이 감착부(53)에 기판(2)의 변부를 삽입하여 접착제에 의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 나사등에 의하여 착탈가능하게 부착하여도 좋다.
또, 유니트본체(52)의 상부에는 기판(2)의 상면에서 이간한 좌우한쌍의 아암부(54,55)를 설치하고, 이 아암부(54)와 (55)사이에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은 구성에 의한 좌굴판편부(3e)를 설치한다. 이와 같은 용지고정유니트(51)는 리포트용지나 서도반지(용지P)를 놓는 깔개, 파일, 편지지 끼우기 등(기판2)의 각종 문방구에 부착할 수가 있고, 단독으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한편, 도15 및 도16은 실제로 제작하는 경우에 사용하여 알맞는 구조의 일예를 도시하다.
2a는 기판본체이고, 두께3mm 정도의 목판 또는 두꺼운 종이판등을 이용할 수있다. 이 기판본체(2a)에 있어서 가장자리부의 대략 전주에는 도16에 도시하는 단면 U상으로 형상한 플라스틱제의 에지커버(60)를 장착한다. 또 기판본체(2a)의 네귀퉁이부에는 각각 용지고정유니트(61…)를 장착한다. 하나의 용지고정유니트(61)는 도1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평면에서 보았을 때 L상으로 일체성형한 플라스틱제의 유니트기부(65)와, 이 유니트기부(65)에 장착한 좌굴판편부(3a)로 이루어진다. 이 유니트기부(65)는 내부에 중공부(65s)을 가짐과 동시에 하부에는 기판본체(2a)의 귀퉁이부를 삽입하는 개구부(66), 더욱, 이 개구부(66)의 위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노치함으로써 좌굴판편부(3a)의 양단을 부착하는 한쌍의 피 장착부(67x,67y)는 선단에서 폭방향양측에 돌출한 빠짐방지용의 돌기부(69…)를 가짐과 동시에, 좌굴판편부(3a)의 본체에 대하여 얇은 부를 통하여 직각방향으로 절곡가능한 지지부(70x,70y)를 갖는다.
따라서, 조립할때에는 유니트기부(65)의 피장착부(67x,67y)에 좌굴판편부(3a)의 장착부(68x,68y)을 각각 수용하고 도1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각 지지부(70x,70y)를 직각으로 절곡하여 유니트기부(65)의 내벽측면에 당접시킴과 동시에, 좌굴판편부(3a)의 본체를 유니트기부(65)의 내벽상면에 당접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개구부(65)의 중간부에 설치한 부착부(71)와 기판본체(2a)를 쇠고리 또는 리벳등의 고정구(72)에 의하여 양자를 결합한다. 이로서 좌굴판편부(3a)의 본체는 기판본체(2a)로부터 일정한 높이로 위치하고, 각지지부(70x,70y)의 하단은 도16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기판본체(2a)(에지커버60)에 의하여 고정(규제)된다. 더욱 73은 위치결정 볼록부이고, 상기 위치결정 블록부(13…)와 꼭같은 기능을 갖는다. 또, 74는 좌굴판편부(3a)의 중간부 일부를 상방으로 팽출형성한 손가락 걸기용의 손잡이부이고, 상기 손잡이부(17)와 꼭같은 기능을 갖는다.
이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같은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세부의 구성, 형상, 소재등에 있어서 본 발명의 정신을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임의로 변경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필요에 따라 생략 및 추가할 수가 있다.
예를들면 주로 문방구를 에시하였지만, 포스터, 사진 등을 넣는 액자나 게시판등의 문방구 이외의 용도에도 꼭같이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용지를 놓는 기판의 귀퉁이부 또는 변부에 상기 기판에 놓여진 용지의 귀퉁이부 또는 변부를 고정하는 고정위치와 용지로부터 이간하는 해방위치로 선택적으로 좌굴변위하는 좌굴판편부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판편부는 상기 기판에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판편부는 상기 기판에 대하여 별체로 형성하고, 상기 기판에 뒤쪽에 붙여서 고정 또는 착탈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판편부는 상기 기판에 대하여 회동자유로이 부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판편부는 상기 기판에 대하여 면수직 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판편부는 상기 기판의 면방향으로 변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판편부의 하면에는 1또는 2이상의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선단천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판편부의 하면에는 용지에 대하여 접착ㆍ박리자유로운 점착성 재료를 도표 또는 첩착하여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굴판편부는 용지에 대하여 접착ㆍ박리자유의 점착성소재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는 작은용지의 네귀퉁이를 고정하는 고정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지고정기구.
KR1019970038256A 1996-08-12 1997-08-12 용지고정기구 KR1002186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12397 1996-08-12
JP8212397A JPH1052993A (ja) 1996-08-12 1996-08-12 画板等における用紙固定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583A KR19980018583A (ko) 1998-06-05
KR100218641B1 true KR100218641B1 (ko) 1999-09-01

Family

ID=166219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8256A KR100218641B1 (ko) 1996-08-12 1997-08-12 용지고정기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70584A (ko)
JP (1) JPH1052993A (ko)
KR (1) KR100218641B1 (ko)
GB (1) GB2316041B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4991A (en) * 1903-02-12 1903-07-28 Victor Sterki Reminder.
US2460650A (en) * 1946-06-22 1949-02-01 Joseph J Nemeth Clip for paper
US2493276A (en) * 1948-01-12 1950-01-03 Eureka Specialty Printing Co Mounting corner
US2843901A (en) * 1955-09-09 1958-07-22 Edward Z Bukowski Corner paper clip
US3524225A (en) * 1968-08-14 1970-08-18 Emmanuel M Trikilis Locking assembly
CH543400A (de) * 1972-10-10 1973-10-31 Peyer Siegfried Klemmvorrichtung für Büropapiere
CA1001037A (en) * 1973-03-15 1976-12-07 John A. Grant Device for holding a book open
US4268000A (en) * 1977-01-24 1981-05-19 Ulm Heinz J Apparatus for fixing sheets on a base
JPS5525976A (en) * 1978-08-15 1980-02-25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Device for lighting discharge lamp
NL9200023A (nl) * 1992-01-08 1993-08-02 Remigius Vincent Hendrikx Kl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583A (ko) 1998-06-05
GB2316041B (en) 1998-09-23
GB9716999D0 (en) 1997-10-15
US5970584A (en) 1999-10-26
GB2316041A (en) 1998-02-18
JPH1052993A (ja) 1998-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168779B2 (en) Magnetically supported clipboard having dry-erasable writing surface
JPH0832495B2 (ja) ペ−パ−ホルダ−
KR100218641B1 (ko) 용지고정기구
JP2002091355A (ja) 吸着体及び被吸着体一体型マグネット掲示具
JPH08256887A (ja) 展示具
JPH0610580Y2 (ja) スイッチ釦バイアス用弾性体構造
JPS6134535Y2 (ko)
JPS62189492A (ja) 表示板固定装置
JPS6138229Y2 (ko)
JPH0410629Y2 (ko)
JPH081536Y2 (ja) スライドノブ取付機構
JPH043336Y2 (ko)
JPH0216484Y2 (ko)
JP3115676U (ja) 書籍保持具
KR940006024Y1 (ko) 메모 꽂이
JPH0346525Y2 (ko)
KR200243208Y1 (ko) 메모지 꽂이
JPS643234Y2 (ko)
KR200189299Y1 (ko) 카피홀더
KR200301858Y1 (ko) 사인부재용 프레임
KR960001169Y1 (ko) 필기구 꽂이
JP3271625B2 (ja) モニタの表示装置
JP2607648Y2 (ja) スイッチ用防塵カバー
JPH0295133U (ko)
JPH0726655Y2 (ja) 測定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