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515B1 - 적층형 열교환기의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적층형 열교환기의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515B1
KR100217515B1 KR1019950032046A KR19950032046A KR100217515B1 KR 100217515 B1 KR100217515 B1 KR 100217515B1 KR 1019950032046 A KR1019950032046 A KR 1019950032046A KR 19950032046 A KR19950032046 A KR 19950032046A KR 100217515 B1 KR100217515 B1 KR 100217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onduit
soldering
heat exchanger
protrus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2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1376A (ko
Inventor
소이치 가토
Original Assignee
오타 유다카
가부시키가이샤 젝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824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27631A/ja
Application filed by 오타 유다카, 가부시키가이샤 젝셀 filed Critical 오타 유다카
Publication of KR960011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1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5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0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 F28F3/04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 F28F3/042Elements or assemblies thereof with means for increasing heat-transfer area, e.g. with fins, with recesses, with corrugations the means being integral with the element in the form of local deformations of the el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DHEAT-EXCHANGE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NOTHER SUBCLASS, IN WHICH THE HEAT-EXCHANGE MEDIA DO NOT COME INTO DIRECT CONTACT
    • F28D1/00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 F28D1/02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 F28D1/03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 F28D1/0308Heat-exchange apparatus having stationary conduit assemblies for one heat-exchange medium only, the media being in contact with different sides of the conduit wall, in which the other heat-exchange medium is a large body of fluid, e.g. domestic or motor car radiators with heat-exchange conduits immersed in the body of fluid with plate-like or laminated conduits the conduits being formed by paired plates touching each other
    • F28D1/0316Assemblies of conduits in parall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1/00Tubular elements; Assemblies of tubular elements
    • F28F1/02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 F28F2001/027Tubular elements of cross-section which is non-circular with dimp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35Heat exchanger or boiler making
    • Y10T29/49391Tube making or reform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REA)

Abstract

열교환용 도관의 납땜을 확실히 행하여 충분한 내압성을 확보케하는 편평튜우브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합금을 포함한 알미재로 부터 형성된 것으로서, 1장의 플레이트를 곡절시키거나 또는 같은 2장의 플레이트를 납땜재 피복을 함과 동시에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를 접합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에 있어서 상기한 플레이트는 맞보는 면의 한쪽 또는 쌍방의 플레이트면에, 그 플레이트면에서 다른쪽의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되는 돌부를 형성시키고, 상기한 돌부를 상기한 다른쪽의 플레이트의 편평면 또는 상기한 다른쪽의 가장자리끼리를 접합시킴에 있어서 상기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의 개소의 높이 치수를 상기한 돌부의 개소의 높이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시킨 것이다.

Description

적층형 열교환기의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적층형 열교환기의 정면도.
제2도는 편평튜우브의 사시도.
제3도는 편평튜우브의 횡단면을 표시하고 제2도중의 A-A 화살표 단면도.
제4도는 삽입공에 삽입된 편평튜우브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제5도는 납땜후의 편평튜우브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제6도는 편평튜우브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제7도는 편평튜우브의 그외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제8도는 편평튜우브의 그외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9도는 편평튜우브의 그외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0도는 편평튜우브의 그외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편평튜우브의 그외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2도는 편평튜우브의 그외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3도는 편평튜우브의 그외의 실시예를 표시하는 사시도.
제14도는 열교환기의 납땜장치의 개략을 표시하는 사시도.
제15도는 반송되는 열교환기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16도는 종래예에 의한 굽힘형의 편평튜우브를 표시하는 횡단면도.
제17도는 종래예에 의한 중합시킨 형의 편평튜우브를 표시한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적층형 열교환기 2 : 편평튜우브
3 : 헤더탱크 7 : 삽입공
14 : 플레이트 15 : 플레이트
10 : 접합부 17 : 돌부
18 : 인너핀 40 : 적층형 열교환기
41 : 편평관 42 : 플레이트
46 : 칸막이돌조 47 : 비이드
48 : 가장자리접합부 a : 높이치수
b : 높이치수 c : 높이치수
d : 치수 x : 높이치수
y : 높이치수 z : 높이치수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편평튜우브나 편평관 등의 열교환용 도관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당해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에 있어서는 열교환용 도관인 편평튜우브가 적층하여 헤더탱크(Header Tank) 등의 분배집합부재에 접속되어 헤더탱크에 만들어진 출입구 조인트간에 열교환매체가 복수회 지그자그하여 유통되는 적층형 열교환기가 알려져 있다.
이 종류의 적층형 열교환기의 편평튜우브로서는 예컨대, 1) 일본국 특개평 3-155422호 공보나, 2) 일본국 실개소 59-59688호 공보에 게재되어 있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상기 1)에 기재된 것은 제16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소정의 크기의 한 장의 플레이트(26)에 다수의 돌부(Bead)(27)를 형성하고, 중앙의 굽힘부(28)에서 구부려서 양쪽의 접합부(29), (29)가 납땜에 의하여 접합되는 편평튜우브(25)의 구조이다.
상기 2)에 기재된 것은 제1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상호 선단이 당접하는 돌부 (이하, 비이드로 함) (27) 다수 만들어진 2장의 플레이트(31), (32)를 중합하여 형성하고, 쌍방의 플레이트(31), (32)의 양쪽의 접합부(33), (33)가 납땜에 의하여 접합된 편평튜우브(30)의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1) 및 2)의 편평튜우브(25), (30)에 있어서는 다수 설치된 비이드(27)에 의하여 튜우브내부에 유통되는 열교환매체에 난류를 일으켜서 열교환 능력을 높이고, 튜우브편평면의 강도를 높이며,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 상술한 양편평튜우브(25), (30)에 있어서 쌍방의 편평면에서 각 접합부(29), (33)까지의 높이치수 c가 편평튜우브의 폭방향에서 일률적으로 같은 치수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것에 수반하여 비이드(27)의 높이치수도 동일하게 형성되어 헤더탱크에 설치된 튜우브 삽입공에 편평튜우브의 삽입단부를 삽입하고, 그 후 일체 납땜에 의하여 헤더탱크에 접합하여 열교환기가 형성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1) 및 2)의 편평튜우브를 사용하여 적층형 열교환기를 형성한 경우, 일체 납땜시에 편평튜우브의 폭방향의 중앙부분에 설치된 비이드끼리가 납땜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하여 예컨대 콘덴서 수단으로는 내압성의 점에서 만족할 수 없다는 불합리가 발생할 수 있다.
이것은 일체 납땜시에 플레이트 가장자리의 접합부에서는 플레이트 내면의 납땜재외에 플레이트외면의 납땐재도 돌아서 가기 때문에 충분한 납땜이 가능하지만, 편평튜우브의 폭방향의 중압부분에 설치된 비이드끼리의 당접부에는 플레이트 내면의 납땜재가 잘 돌아서 들어가지 않거나, 이것들의 비이드끼리가 당접해야 할 개소에서 미소한 틈이 생기고, 그리하여 이 부위에는 상기 플레이트 내면의 납땜재(材)밖에 돌아서 들아가지 않기 때문에, 또 납땜에 있어서 브래이징 시트(Brazing sheet)의 납땜재 층의 용해에 의한 두께의 감소나 비이드 높이의 불규칙 등으로 충분한 납땜을 얻을 수 없는데 있다.
또한, 상기 종래의 것은 비이드끼리 납땜 불량이 발생하더라도 확인되지 않는 불합리가 있었다.
그 위에 또 상기한 종래의 것은 편평튜우브내에 인너핀을 삽입할 경우에도 상기한 바와 같은 불합리가 있었다.
첨가하여 전술한 한쪽 탱크형의 적층형 열교환기의 경우에도 상기 칸막이 돌조나 비이드에 납땜의 불량을 일으킬 수가 있으며, 그리하여 납땜 불량이 발생하여도 확인할 수 없는 불합리가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한 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려서 성형시킨 열교환용 도관 및 2장의 플레이트를 겹쳐 맞추어서 성형시킨 열교환용 도관이라 할지라도 열교환용 도관내에 삽입되는 인너핀 또는 열교환용 도관에 설치된 칸막이돌조를 확실히 접합 가능하도록 함에 있어서 충분한 내압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더욱이 납땜 불량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그 발견이 용이할 적층형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은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합금을 포함한 알루미늄재로서 되는 것으로서, 한 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리므로 혹은 2장의 플레이트를 겹쳐서 납땜에 의하여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를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는 상대를 향하는 한쪽 또는 양쪽의 플레이트면에 이 플레이트면보다 다른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부를 상기 다른쪽 플레이트의 편평면 또는 상기 다른쪽 플레이트의 돌부와 당접시켜서 접합하고 또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를 접합함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접합부의 개소의 높이치수보다도 작은 치수에 형성시킨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합금을 포함하는 알루미늄재로 되며, 편평면에 안쪽을 향하여 돌출한 돌부가 설치되었다. Y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리거나 혹은 2장의 플레이트를 겹침으로서 상기 돌부의 선단끼리를 당접하고, 납땜에 의하여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 및 상기 돌부의 선단끼리를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의 높이치수를 상기 돌부의 높이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프레스성형 등에 의하여 성형시킨 후, 열교환용 도관의 단에 헤더탱크에 만들어진 삽입공에 삽입하고, 그 후 납땜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접합부 및 돌부의 선단끼리를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용 도관의 제조방법이다.
또 본 발명은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합금을 포함한 알루미늄재로 되며, 한 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리거나 또는 2장의 플레이트를 겹쳐 맞추어서 내부 인너핀을 삽입하고, 납땜에 의하여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 및 상기 인너핀을 상기 플레이트에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 자리 접합부의 자리접합부의 높이치수를 상기 인너핀을 삽입했을 때의 상기 플레이트 높이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프레스성형 등에 의하여 형성한 후 열교환용 도관의 단부를 헤더 탱크에 설치된 삽입공에 삽입하고, 그 후 납땜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 접합부 및 상기 인너핀과 상기 플레이트가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의 제조방법이다.
이와같은 열교환용 도관에 있어서, 지그(Jig) 등을 사용하여 열교환용 도관간에 파상핀을 개재하여 복수의 열교환용 도관을 적층하여 조립하고, 그 후 납땜에 의하여 열교환용 도관의 돌부(예컨대 비이드끼리 또는 비이드와 상대방 플레이트 또는 인너핀과 플레이트 또한 칸막이돌조)와 가장자리접합부 끼리가 접합된다.
이 경우에 열교환용 도관에 있어서는 플레이트 가장자리접합부의 높이치수가 상기 돌부 치수 (비이드의 높이 치수나 인너핀을 삽입할 때의 플레이트 높이의 반부분의 치수 또는 칸막이돌조의 치수 등) 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맞붙임으로서 구속력은 특히 비이드끼리의 당접부나 인너핀의 플레이트 접합부 또는 칸막이돌조에 있어서 크게 되고, 따라서 일체 납땜시에는 쌍방의 플레이트 내면의 납땜에 의한 상기 돌부의 개소가 확실하게 접합되며, 또 가장자리접합부에는 플레이트의 내외양면의 납땜재가 돌아 들어가서, 가령 가장자리접합부에 간격이 생겨도, 이 간격은 납땜재로서 메워짐으로 확실히 가장자리접합부가 접합된다.
이와 같이하여 열교환용 도관의 상기 돌부가 우선적으로 납땜되고, 따라서, 비이드끼리 혹은 비이드와 상대방 플레이트 또는 인너핀과 플레이트, 또한 칸막이 돌조 등의 납땜을 확실한 것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게 하며, 그 결과 열교환용 도관의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으며, 콘덴서에도 충분히 적용시키기에 가능하다. 또한 열교환용 도관의 상기 돌부가 우선적으로 납땜됨으로서, 가령 납땜의 불량이 발생할 경우에는 비이드끼리 혹은 비이드와 상대방 플레이트, 또는 인너핀과 플레이트 또한 칸막이돌조 등에서 발생하기 어려우며, 오로지 가장자리접합부에서 발생할 수가 있으나, 가장자리접합부에서 발생할 경우는 눈으로 또는 검사시에 외부누설로서 나타나므로 납땜불량의 발견이 용이하게 된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을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를 기초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적층형 열교환기(1)는 복수의 열교환용 도관, 이 예에서는 편평튜우브(2)가 파상핀(3)을 개재하여 적층됨과 동시에 이것들의 복수의 편평튜우브(2)의 각 단부가 헤더탱크(4)에 설치된 삽입공(7)에 삽입되어 있다. 또, 각 헤더탱크(4)의 상하의 개구부와 브라인드캡(8)에 의하여 폐쇄되고, 각 헤더탱크(4)의 소정 개소에는 칸막이판(9)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헤더탱크(4)에는 입구조인트(10) 또는 출구조인트(11)가 설치되었고, 이것들의 출입구조인트(10), (11)간에 열교환매체가 복수회 지그자그하여 유통된다. 또한, 도면 중 (5), (6)은 헤더탱크(4)를 구성하는 탱크 플레이트 및 엔드 플레이트, (12)는 적층된 편평튜우브(2)의 상하에 배치된 사이드 브레이크를 표시한다.
상기 각 편평튜우브(2)는 제2도 및 제3도에 표시하는 바, 예컨대 프레스 성형에서 소정의 크기의 형상으로 형성된 2장의 플레이트(14), (15)를 겹쳐서 형성되어 있다. 이것들의 각각의 플레이트(14), (15)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측에서 접합부(16), (16)을 가지며, 각각 편평면이 바깥쪽으로 팽창되도록 형성되고, 각 편평면에는 안쪽을 향하여 돌출하고 서로의 선단부가 당접하는 돌부, 이 예에서는 원형의 비이드(17)가 다수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비이드(17)는 제2도에서 표시하는 바, 헤더탱크(4)내에 삽입된 편평튜우브(2)의 단부에까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비이드(17)에 의거, 튜우브 내부에 유통되는 열교환매체에 난류를 발생시켜 열교환 능력을 높이고, 튜우브편평면의 강도를 높이어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제3도에서 보는 바, 편평튜우브(2)의 양측에 설치된 접합부(16), (16)의 높이의 치수, 즉 편평면에서 접합부(16)까지의 두께의 치수 a가 중앙부분에 설정된 각 비이드(17)의 높이치수 b보다도 작게 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져 있어서 이것들이 프레스성형 등에 의하여 제작되고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비이드(17)의 높이 치수 b와 접합부(16)의 높이치수 a의 치수차 t로 한다면, 예컨대 t=0.02∼0.1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적층형 열교환기(1)에 있어서, 헤더탱크(4)의 삽입공(7)에 편평튜우브(2)를 삽입할때에는, 지그연장을 가지고 편평튜우브(2) 간에 파상핀을 개재하여 복수의 편평튜우브(2)를 적층하고 제4도에서와 같이 각각의 편평튜우브(2)의 삽입단부를 헤더탱크(4)의 삽입공(7)에 삽입시켜 맞붙이고, 그 후 납땜에 의하여 편평튜우브(2)의 비이드(17) 끼리 및 접합부(16), (16) 끼리, 또한 편평튜우브(2)와 헤더탱크(4)의 삽입공(7)이 접합된다.
이 경우에 편평튜우브(2)에 있어서는 헤더탱크(4)의 삽입공(7)내에 편평튜우브(2)가 삽입되면 접합부(16)의 높이치수(a)가 비이드(17)의 높이치수보다도 작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삽입공(7)에 의한 압압에 의하여 서로 마주보는 비이드(17)의 선단부가 당접하고, 약측의 접합부(16) 간에는 근소한 간격이 생긴다. 그리하여 일체 납땜시에는 쌍방의 플레이트(14), (15)의 내면의 납땜재에 의하여 비이드(17)끼리가 접합되고, 쌍방의 접합부(16)간의 간격에는 제5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14), (15)의 내외양면의 납땜재(19)가 돌아들어가서 쌍방의 틈을 확실히 메우고 확실하게 쌍방의 접합부(16)가 접합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접합부의 높이치수를 비이드의 높이치수보다도 작게 형성시켰기 때문에 헤더탱크의 삽입공에 삽입된 편평튜우브의 비이드끼리의 우선적으로 납땜되어, 비이드끼리의 납땜을 확실한 것으로 하기가 가능하며, 그 결과 편평튜우브의 내압성을 향상할 수가 있고, 콘덴서에도 충분히 적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또, 편평튜우브의 비이드끼리가 우선적으로 납땜됨으로, 가령 납땜의 불량이 발생할때는 비이드끼리의 발생은 어렵고, 오로지 접합부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나, 접합부에서 발생하면, 눈으로 보고 또는 검사시에 외부누설되어 나타남으로 납땜 불량의 발견이 용이하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편평튜우브(2)로하여 2장의 플레이트(14), (15)를 겹쳐서 형성된 편평튜우브(2)에 관하여 설명했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제6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한 장의 플레이트(14)를 중앙부를 구부려서 형성시킨 편평튜우브(2)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제6도에 있어서 (17)은 비이드, (16)은 접합부, (20)은 굽힘부를 나타낸다.
또, 굽힘형의 편평튜우브(2)의 경우에도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굽힘부(20)가 완곡한 편평튜우브(2)의 일지라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상기 제6도 및 제7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편평튜우브(2)의 경우에는 한쪽 측부가 굽힘부(20)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므로, 폭방향의 복수 비이드(17) 중 굽힘부(20)에서 접합부(16)에 이르는 각 비이드(17)의 높이치수를 순차 d, e, f, g로 하면 d=e=f=ga로 하던지, 또 defga로 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비이드(17)를 원형상의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제8도에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긴원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비이드끼리가 당접되어 납땜하도록 하였으나, 비이드와 상대방 플레이트를 당접시켜 납땜하여도 좋다.
제9도내지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으로서 이 예에서는 상기 예와 같이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의 형상으로 형성시킨 2장의 플레이트(14), (15)를 겹쳐서 형성되고, 그리하여 이것들의 각각의 플레이트(14), (15)는 길이 방향을 따라 양측에 접합부(16), (16)을 가진다.
제9도 및 제10도에 표시한 것은 각각의 편평면의 외방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어, 각 편평면에는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고, 선단부가 다른쪽의 편평부에 당접하는 돌부, 이 예에서는 굴곡한 돌조(17')와 비이드(17)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제11도에 표시한 것은 각각의 편평면이 외방으로 팽출하도록 형성되고, 각 편평면에는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여 서로의 선단부가 당접하는 돌부, 이 예에서는 굴곡한 칸막이돌조이며, 대향하는 굴곡면이 서로 당접하고 있는 연속형의 비이드(17)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9도 및 제10도에서 표시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예와 같이 편평튜우브(2)의 양측에 설치된 접합부(16), (16)의 높이 치수(a), 즉 편평면에서 접합부(16)까지의 두께 치수가, 튜우브 높이의 반부분의 치수(b)보다도 작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11도에서 표시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치수(a)가 각 비이드(17)의 높이치수(b)보다도 작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것들의 실시예에서는 편평튜우브(2)로 하고, 2장의 플레이트(14), (15)를 겹쳐서 형성되는 편평튜우브(2)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이것에 한하지 않고 한장의 플레이트를 중앙부를 구부리여 성형되는 편평튜우브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다.
이와같이하여 상기 제9도 내지 제11도에서 표시하는 실시예의 경우에도 상기 전예와 같은 작용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것이다.
제12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것인 바, 이 예에서는 상기 제1실시예와 같이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소정의 크기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한 장의 플레이트(14)를 중앙부에서 굽혀서 형성하며, 그리고, 이 플레이트(14)는 길이 방향을 따라서 한쪽에 접합부(16), (16)을 가지며, 내부에는 인너핀(18)을 삽입하고 있다.
제12도에서 표시하는 바는 인너핀(18)을 단독으로서, 길이방향 형상이며, 그리고 플레이트(14)의 가장자리접합부의 높이 치수(a)를 상기 인너핀(18)을 삽입할때의 상기 플레이트(14)높이의 반부분의 치수(d)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하고, 편평튜우브(2)의 단부를 분배집합부재의 헤더탱크(5), (6)에 설치된 삽입공(7)에 삽입하여, 납땜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접합부 및 상기 인너핀(18)이 플레이트(14)에 접합되는 것이다.
제13도에서 표시하는 바는 인너핀(18), (18)이 길이 방향으로 다수 분할됨과 동시에, 인접하는 인너핀(18), (18)이 좌우로 밀려서 배치된 것이다. 인접하는 인너핀(18), (18)을 좌우로 밀리게하여 배치시킴으로 인하여 튜우브내부에 유통하는 열교환매체는 난류를 일으켜서 열교환능력을 높이며, 또, 인너핀(18), (18)의 존재에 의하여 튜우브 편평면의 강도를 높이고, 내압성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설치하고 있다. 그리하여, 플레이트(14)의 가장자리접합부의 높이 치수(a)를 상기 인너핀(18)을 삽입할때의 상기 플레이트(14) 높이의 반부분의 치수(d)보다 더 작은 치수로 형성시켜서 편평튜우브(2)의 단부 헤더탱크(5), (6)에 설치된 삽입공(7)에 삽입하여 납땜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 및 상기 인너핀(18)이 플레이트(14)에 접합되는 것이다.
또, 상기 제12도 및 제13도에서 표시하는 실시예의 경우도 상기 예와 같은 작용 효과를 나타내는 것이다. 또, 제12도 및 제13도에서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편평튜우브(2)로 하고, 한 장의 플레이트를 중앙부에서 구부려서 성형시켜 편평튜우브에 대하여 설명했으나, 이것에 구애됨이 없이 2장의 플레이트(14), (15)를 겹쳐서 형성된 편평튜우브에도 적용시킬 수가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구성의 적층형 열교환기(1)를 납땜할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적층형 열교환기(1)는 지그를 사용하여 편평튜우브(2)간에 파상핀(3)을 개재하여 복수의 편평튜우브(2)를 적층하고, 각각의 편평튜우브(2)의 삽입단부 헤더탱크(4)의 삽입공(7)에 삽입하여 맞붙어 진다.
그리하여, 조립한 열교환기(1)을 일체 납땜하기에는 제16도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납땜장치(23)에 의하여 행해진다. 이 납땜장치(23)는 열교환기(1)에 액상의 용제를 윗쪽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샤워형으로 분사하여 도포하는 플럭스 도포기(21) 및 플럭스가 도포된 열교환기(1)의 온도를 점차로 상승시킨후 냉각시켜 납땜을 행하는 납땜로(22)와, 이것들의 내부에 순차 열교환기(1)을 반송하는 벨트콘베어(23)를 갖추어 구성되어 있다.
벨트콘베어(23)상에 열교환기(1)을 올려놓기 위해서는 또한 제14도에서 표시하는 쌍방의 헤더탱크(4)를 벨트콘베어(23) 상에 눕히도록 한다.
플럭스도포가 행해진 열교환기(1)은 벨트콘베어(23)에 의하여 납땜로(22)내에 반송되어서 일체 납땜이 행해진다. 이 경우에 편평튜우브의 접합부(16), (16)간의 틈새는 용융된 납땜재에 의하여 메워지고, 접합부(16), (16)끼리가 접합되고, 타부위도 동일하게 납땜된 열교환기(1)가 제조된다.
또, 편평튜우브(2)의 접합부(16)이 하나인 경우, 도면과 같은 밑쪽을 향하도록 놓아지고 반송된다. 이것으로서 플레이트의 내외 양면의 납땜재가 돌아 들어가서 상기 접합부(16)의 틈새를 확실히 메워져서 이 접합부가 접합되는 것으로 된다.
이상 설명한 것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열교환용 도관을 구성하는 프레이트는 서로 대향하는 한쪽 또는 양쪽의 플레이트면에, 이 플레이트면보다 다른쪽의 플레이트를 향하여 돌출하는 돌부가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돌부를 상기 다른쪽의 플레이트의 편평면 또는 상기 다른쪽의 플레이트의 돌부와 당접시켜 접합하고, 또한,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를 접합시킴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의 개소의 높이 치수를 상기 돌부의 개소의 높이 치수보다 더 작은 치수로 형성하고 있으므로, 열교환용 도관의 돌부의 개소를 우선적으로 납땜이 되고, 따라서 이 돌부의 부분의 납땜을 확실한 것으로 할 수 있고, 그 결과 열교환용 도관의 내압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고 콘덴서에도 충분히 적용시킬 수 있다.
또한, 열교환용 도관의 돌부 개소가 우선적으로 납땜이 되므로, 가령 납땜에 불량이 발생할 경우 당해 돌부의 개소에서는 발생하기 어렵고, 오로지 접합부에서 발생할 수 있겠으나 접합부에서 발생할 경우 눈으로 또는 검사시에 외부 누설되어 나타남으로 납땜 불량의 발견이 용이하다.

Claims (7)

  1.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합금을 포함한 알루미늄재로 형성되고, 한 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리거나 또는 같은 2장의 플레이트를 겹쳐서, 납땜에 의하여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를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플레이트는 서로 대향하는 한쪽 또는 양쪽의 플레이트면에, 그 플레이트면보다 다른쪽의 플레이트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부를 형성하였으며, 상기 열교환용 도관은 편평튜우브이고, 상기 돌부는 복수의 비이드이며, 이 돌부를 상기 돌부를 상기 다른쪽 플레이트의 편평면 또는 상기 다른쪽 플레이트의 돌부와 당접되어 접합하고, 또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를 접합함에 있어,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의 개소의 높이 치수를 상기한 돌부개소의 높이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하여,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를 가압하고 접합하여 납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용 도관은 편평관이며, 또한 상기 돌부는 U 설형(舌形) 유체유로를 형성시키기 위한 칸막이돌조와 플렌지의 주위에 복수로 설치된 비이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부를 복수형성함과 동시에 당해 돌부 중 소정의 개소에서 플레이트의 가장자리 접합부의 개소에 걸쳐서, 높이치수를 점차 작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
  4.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한 알루미늄재로 형성되고, 편평면에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하는 돌부가 설치된, 한 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리므로서 또는 같은 2장의 플레이트를 겹침에 따라 상기 돌부의 선단을 상대방에 당접시키고, 납땜에 의하여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 및 상기 돌부의 선단을 상대방에서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의 높이치수를 상기 돌부의 높이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형성하고, 열교환용 도관의 단부를 분배집합부재에 설치된 삽입공에 삽입하고, 또한 가압하여 납땜하므로서,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접합부 및 돌부의 돌부의 선단이 상대방에서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
  5.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합금을 포함한 알루미늄재로 형성되고, 편평면에 안쪽으로 향하여 돌출한 돌부가 설치되고, 한 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리거나 또는 같은 2장의 플레이트를 겹쳐서 상기 돌부의 선단끼리를 당접하고, 납땜에 의하여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 및 상기 돌부의 선단끼리를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의 높이치수를 상기 돌부의 높이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프레스성형 등에 의하여 형성한 다음, 열교환용 도관의 단부를 헤더탱크에 설치된 삽입공에 삽입하여 가압한 다음, 납땜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 접합부 및 돌부의 선단끼리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 의 도관의 제조방법.
  6.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합금을 포함한 알루미늄재로 형성되고, 한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리거나, 또는 같은 2장의 플레이트를 겹쳐서 내부에 인너핀을 삽입하고, 납땜에 의하여 플레이트가장자리끼리 및 상기 인너핀을 상기 플레이트에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의 높이치수를 상기 인너핀을 삽입한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 높이의 반부분의 치수보다도 작은 치수로 형성하고, 열교환용 도관의 단부를 분배집합부재에 설치된 삽입공에 삽입하고, 또한 가압하여 납땜하므로서,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접합부 및 상기 인너핀이 상기 플레이트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
  7. 납땜재가 피복된 알루미늄 합금을 포함한 알루미늄재로 형성되고, 한 장의 플레이트를 구부리거나 또는 같은 2장의 플레이트를 겹쳐서 내부에 인너핀을 삽입하고, 납땜에 의하여 플레이트 가장자리끼리 및 상기 인너핀을 상기 플레이트에 접합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접합부의 높이치수를 상기 인너핀을 삽입한 경우에 상기 플레이트 높이의 반부분의 치수보다 작은 치수로 프레스성형에 의하여 형성한 다음, 열교환용 도관의 단부를 헤더탱크에 설치된 삽입공에 삽입하여 가압한 다음 납땜에 의하여 상기 플레이트 가장자리접합부 및 상기 인너핀과 상기 플레이트를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층형 열교환기의 도관의 제조방법.
KR1019950032046A 1994-09-30 1995-09-27 적층형 열교환기의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 KR1002175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8242A JPH07227631A (ja) 1993-12-21 1994-09-30 積層型熱交換器の熱交換用導管及びその製造方法
JP94-238242 1994-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1376A KR960011376A (ko) 1996-04-20
KR100217515B1 true KR100217515B1 (ko) 1999-09-01

Family

ID=17027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2046A KR100217515B1 (ko) 1994-09-30 1995-09-27 적층형 열교환기의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96633A (ko)
EP (1) EP0704667B1 (ko)
KR (1) KR100217515B1 (ko)
DE (1) DE69514463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508B1 (ko) * 2010-12-14 2018-11-20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미소 유체 컴포넌트, 복수의 그러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반응기, 및 그들을 생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05049B2 (ja) * 1997-01-20 2006-08-02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熱交換器用チューブ
JP3212268B2 (ja) * 1997-08-08 2001-09-25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JP3299148B2 (ja) * 1997-09-16 2002-07-08 株式会社ゼクセルヴァレオクライメートコントロール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とその製造方法
EP0947794A1 (de) * 1998-03-30 1999-10-06 Balcke-Dürr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Rippenrohren
JP4175443B2 (ja) * 1999-05-31 2008-11-0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2000346585A (ja) * 1999-06-07 2000-12-15 Mitsubishi Heavy Ind Ltd 熱交換器
US6241012B1 (en) * 1999-12-10 2001-06-0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Folded tube for a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king same
FR2803376B1 (fr) * 1999-12-29 2002-09-06 Valeo Climatisation Evaporateur a tubes plats empilees possedant deux boites a fluide opposees
DE10137334A1 (de) * 2001-07-31 2003-02-27 Modine Mfg Co Flachrohr, Herstellungsverfahren, Wärmetauscher
CN100402182C (zh) * 2002-10-30 2008-07-16 昭和电工株式会社 用于制造半成品扁平管的方法和装置
EP1558411A4 (en) * 2002-10-30 2007-03-07 Showa Denko Kk FLAT TUBE HOLDINGS,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FLAT TUBE, HEAT EXCHANGER WITH THE FLAT TUB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HEAT EXCHANGER
US20040099408A1 (en) * 2002-11-26 2004-05-27 Shabtay Yoram Leon Interconnected microchannel tube
DE10359806A1 (de) * 2003-12-19 2005-07-14 Modine Manufacturing Co., Racine Wärmeübertrager mit flachen Rohren und flaches Wärmeübertragerrohr
JP2006189206A (ja) * 2005-01-06 2006-07-20 Denso Corp 熱交換器
JP2006189205A (ja) * 2005-01-06 2006-07-20 Denso Corp 熱交換器
DE102005010493A1 (de) * 2005-03-08 2006-09-14 Modine Manufacturing Co., Racine Wärmeübertrager mit flachen Rohren und flaches Wärmeübertragerrohr
US7264045B2 (en) * 2005-08-23 2007-09-04 Delphi Technologies, Inc. Plate-type evaporator to suppress noise and maintain thermal performance
DE102005053924B4 (de) * 2005-11-11 2016-03-31 Modine Manufacturing Co. Ladeluftkühler in Plattenbauweise
EP1894660B1 (en) * 2006-08-31 2011-10-05 Luvata Oy A method for producing a metal tube by clad rolling at least two profiles to form at least three channels
KR101250771B1 (ko) * 2006-09-21 2013-04-04 한라공조주식회사 열교환기
CN101589286B (zh) * 2007-01-23 2011-09-28 摩丁制造公司 热交换器和方法
US8424592B2 (en) 2007-01-23 2013-04-23 Modine Manufacturing Company Heat exchanger having convoluted fin end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090250201A1 (en) 2008-04-02 2009-10-08 Grippe Frank M Heat exchanger having a contoured insert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US20100294458A1 (en) * 2007-12-17 2010-11-25 Panasonic Corporation Heat exchange device and device for receiving heat generation body
US8267163B2 (en) * 2008-03-17 2012-09-18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Radiator tube dimple pattern
DE202009016426U1 (de) * 2009-11-17 2010-05-12 Arup Alu-Rohr Und Profil Gmbh Flachrohr mit Turbulenzeinlage für einen Wärmetauscher und Wärmetauscher mit derartigen Flachrohren
CN101900459A (zh) * 2010-06-28 2010-12-01 吴植仁 一种微通道平行流换热器
KR20130030315A (ko) 2010-07-01 2013-03-26 이엠디 밀리포어 코포레이션 강성 일회용 유로
DE102010031468A1 (de) * 2010-07-16 2012-01-19 Behr Gmbh & Co. Kg Fluidkanal für einen Wärmetauscher
JP5734129B2 (ja) * 2011-08-09 2015-06-10 日本発條株式会社 流路付き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GB2509506B (en) * 2013-01-04 2016-05-11 Kenwood Ltd Juicer Arrangements
FR3025596B1 (fr) * 2014-09-08 2016-12-23 Valeo Systemes Thermiques Tube a reservoir de materiau a changement de phase pour echangeur de chaleur
MX2019012124A (es) * 2017-04-10 2019-11-21 Nippon Steel Corp Un miembro estructural para automoviles y un metodo para producir el mismo.
DE102017223616A1 (de) * 2017-12-21 2019-06-27 Mahle International Gmbh Flachrohr für einen Abgaskühler
CN110887396B (zh) * 2018-09-10 2021-03-05 浙江盾安热工科技有限公司 换热器扁管及具有其的换热器
CN209310597U (zh) * 2018-12-18 2019-08-27 杭州三花微通道换热器有限公司 换热管及具有该换热管的换热器
CN111351376A (zh) * 2018-12-21 2020-06-30 浙江盾安热工科技有限公司 换热器扁管及具有其的换热器
CN111366013A (zh) * 2018-12-26 2020-07-03 浙江盾安热工科技有限公司 扁管及换热器
KR102147124B1 (ko) * 2019-04-16 2020-08-31 주식회사 폴라앤코 주입관이 없는 휴대 전자기기용 박막 증기챔버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02142A (en) * 1968-04-01 1970-03-24 Tranter Mfg Inc Multi-directionally distributed flow heat transfer plate unit
US3734178A (en) * 1971-05-26 1973-05-22 Defawes Ets Thomas Heat exchanger
US4209064A (en) * 1978-08-25 1980-06-24 General Electric Company Panel-type radiator for electrical apparatus
JPS5959688U (ja) 1982-10-12 1984-04-18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
JPS6317968A (ja) * 1986-07-09 1988-01-25 Mitsubishi Chem Ind Ltd 水溶性ジスアゾ色素およびそれを用いる染色方法
JPS63140294A (ja) * 1986-12-02 1988-06-11 Nippon Denso Co Ltd 積層型熱交換器
EP0283937A1 (en) * 1987-03-25 1988-09-28 Nihon Radiator Co., Ltd. Flat tube for heat exchanger with inner fin inserted therein
KR940010978B1 (ko) * 1988-08-12 1994-11-21 갈소니꾸 가부시끼가이샤 멀티플로우형의 열교환기
US5152337A (en) * 1989-08-30 1992-10-06 Honda Giken Kogyo Stack type evaporator
JP2968807B2 (ja) 1989-11-14 1999-11-02 カルソニック株式会社 熱交換器用伝熱管及びその製造方法
US5514248A (en) * 1990-08-20 1996-05-07 Showa Aluminum Corporation Stack type evaporator
JP3104301B2 (ja) * 1991-07-08 2000-10-30 株式会社デンソー 熱交換器のヘッダ構造
US5295302A (en) * 1991-10-29 1994-03-22 Calsonic Corporatio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luminum heat exchanger
DE9303818U1 (ko) * 1993-03-09 1993-05-13 Long Manufacturing Ltd., Oakville, Ontario, Ca
EP0618003B1 (de) * 1993-03-25 1999-01-07 Sulzer Chemtech AG Als Wärmeübertrager ausgebildetes Packungselement für Stoffaustausch- oder Stoffumwandlungs-Verfahren
US5439050A (en) * 1993-07-09 1995-08-08 Carrier Corporation Multi-poised condensing furnace
US5555933A (en) * 1994-07-14 1996-09-17 Solar Turbines Incorporated Primary surface heat exchanger for use with a high pressure ratio gas turbine engine
JPH08200977A (ja) * 1995-01-27 1996-08-09 Zexel Corp 熱交換器用偏平チューブ及びその製造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0508B1 (ko) * 2010-12-14 2018-11-20 프라운호퍼-게젤샤프트 츄어 푀르더룽 데어 안게반텐 포르슝에.파우. 미소 유체 컴포넌트, 복수의 그러한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반응기, 및 그들을 생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04667A3 (en) 1997-04-16
DE69514463T2 (de) 2000-06-21
EP0704667A2 (en) 1996-04-03
KR960011376A (ko) 1996-04-20
US5996633A (en) 1999-12-07
DE69514463D1 (de) 2000-02-17
EP0704667B1 (en) 2000-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7515B1 (ko) 적층형 열교환기의 열교환용 도관 및 그 제조방법
US5697433A (en) Heat-exchanger conduit for tube-stacking type heat exchang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it
KR100188048B1 (ko) 열교환기용 편평튜우브 및 그 제조방법
US5605191A (en) Heat exchanger
KR0122533B1 (ko) 헤더파이프와의 납땜불량을 저감하는 열교환기용 튜우브 및 그 제조방법
US5678628A (en) Heat exchang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1998044306A1 (fr) Tube pour echangeur de chaleur et procede de fabrication de ce dernier
JPH0825028A (ja) 積層型熱交換器の偏平チューブのろう付け方法
JPS6246195A (ja) 積層型熱交換器
JP2936710B2 (ja) 熱光換器の熱媒体流通用チューブおよびその製作方法
JP4536273B2 (ja) 熱交換器用偏平チューブおよび熱交換器の製造方法
KR20020086523A (ko) 홈이 형성된 스페이서 바를 구비한 핀-튜브 블록형 열교환기
JPH0732133A (ja) 熱交換器用偏平チューブの製造方法
JP3996258B2 (ja) 自動車用の熱交換器、特に過給空気用クーラー
JP2703384B2 (ja) 熱交換器用チューブのuターン部の製造方法及びこのチューブを用いた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3316082B2 (ja) 熱交換器のヘッダタンク
KR20020013403A (ko) 열교환기용 튜브의 제조 방법
JPWO2003052337A1 (ja) チューブ、チューブの製造方法、熱交換器用チューブ、熱交換器用チューブの製造方法、熱交換器、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5141893A (ja) 熱交換器のタンク構造
JP3941714B2 (ja) チューブ、チューブの製造方法及びチューブの製造装置
JPH07117349B2 (ja) 熱交換器
JP3209856B2 (ja) アルミニウム材製熱交換器の製造方法
JPH08145591A (ja) 熱交換器
JPH01217195A (ja) 熱交換器
JPH0464894A (ja) 熱交換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