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7391B1 -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7391B1
KR100217391B1 KR1019960044297A KR19960044297A KR100217391B1 KR 100217391 B1 KR100217391 B1 KR 100217391B1 KR 1019960044297 A KR1019960044297 A KR 1019960044297A KR 19960044297 A KR19960044297 A KR 19960044297A KR 100217391 B1 KR100217391 B1 KR 1002173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vehicle
sensor
speed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2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976A (ko
Inventor
이재경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442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7391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9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73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73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픈된 도어 내지는 하차하는 탑승자가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도어를 자동으로 로크시키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자동차도어가 선택적으로 로크 및 언로크 되도록 구동되는 도어 로킹부(30)와 상기 도어 로킹부(30)에 접속되어 도어가 로크 되도록 도어 로킹부(30)를 구동시키는 도어 로크 구동부(10) 및 상기 도어 로킹부(30)에 접속되어 도어가 언로크 되도록 도어 로킹부(30)를 구동시키는 도어 언로크 구동부(20)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110), 주변 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120), 그리고 상기 제1센서(110)를 통한 차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하일 때 탑승자가 하차하는 경우 제2센서(120)를 통해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도어 로크 구동부(1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로크 시키는 마이컴(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탑승자가 도어를 오픈하고 하차 할 경우 오픈된 도어 내지는 하차하는 탑승자가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자동차의 도어를 자동으로 로크 시켜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제1도는 종래의 파워 도어 로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의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방법의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로크 제어 스위치 10 : 도어 로크 구동부
20 : 도어 언로크 구동부 30 : 도어 로킹부
100 : 마이컴 110 : 제1센서(차속센서)
120 : 제2센서(초음파센서) 150 : 경보장치
152 : 경음기 154 : 경보등
본 발명은 자동차 도어를 자동적으로 로크 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탑승자가 도어를 오픈시키고 하차할 경우, 오픈된 도어 내지는 하차하는 탑승자가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도어를 자동으로 로크시키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자동차의 도어에는 파워 도어 로크 시스템이 많이 설치되고 있는데, 이러한 파워 도어 로크 시스템은 모터나 솔레노이드를 이용하여 스위치 조작에 의해 전기적으로 도어를 로크 및 언로크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제1도는 종래의 파워 도어 로크 시스템의 대략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로크 제어 스위치(5), 도어 로크 구동부(10), 도어 언로크 구동부(20) 및 도어 로킹부(3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로크 제어 스위치(5)가 로크 모드로 접속되면 트랜지스터(Q2)가 온 되어 릴레이(R2)를 구동시킴으로써, 전원(+B)이 릴레이(R2)를 경유하여 도어 로킹부(30)의 모터들을 로크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모든 도어를 로크시킨다.
그리고, 로크 제어 스위치(5)가 언로크 모드로 접속되면 트랜지스터(Q1)가 온 되어 릴레이(R1)를 구동시킴으로써, 전원(+B)이 릴레이(R1)를 경유하여 도어 로킹부(30)의 모터들을 언로크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모든 도어를 언로크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파워 도어 로크 시스템은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서만 제어됨으로, 접근중인 차량을 인지하지 못한 탑승자가 도어를 오픈시키고 하차할 경우 발생되는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없다는 불편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접근중인 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고, 탑승자가 도어를 오픈시키고 하차할 경우, 오픈된 도어내지는 하차하는 탑승자가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도어를 자동으로 로크시키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동차도어가 선택적으로 로크 및 언로크되도록 구동되는 도어 로킹부와 상기 도어 로킹부에 접속되어 도어가 로크되도록 도어 로킹부를 구동시키는 도어 로크 구동부 및 상기 도어 로킹부에 접속되어 도어가 언로크되도록 도어 로킹부를 구동시키는 도어 언로크 구동부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 주변 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 그리고 상기 제1센서를 통한 차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하일 때 탑승자가 하차하는 경우 제2센서를 통해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도어 로크 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로크시키는 마이컴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소정의 속도가 0 km/hr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센서는 차속센서를 사용하여, 상기 제2센서는 초음파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이컴에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음기와 경보등으로 이루어진 경보장치가 연결되어 마이컴에서 도어 로크 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킴과 동시에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성을 실현시키는 방법은, 제1센서로부터 차속도를 입력받는 단계 S10; 상기 단계 S10에서 입력된 차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S20; 상기 단계 S20에서 입력된 차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라고 판단되면 제2센서로부터 주변 차량의 속도 및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S30; 상기 단계 S3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후방에 접근중인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40; 상기 단계 S40에서 전후방에 접근중인 차량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3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50; 상기 단계 S50에서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도어 로크 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로크시키고 시작단계로 돌아가는 단계 S60; 그리고 상기 단계 S40에서 전후방에 접근중인 차량이 없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단계 S50에서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도어 언로크 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언로크시키고 시작단계로 돌아가는 단계 S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계 S60에서는 도어 로크 구동부에 구동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경보장치를 작동시키며, 상기 단계 S70에서는 도어 언로크 구동부에 구동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경보장치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단계 S30의 전 단계에, 제1센서로부터 차속도를 입력받는 단계 S10; 그리고, 상기 단계 S10에서 입력된 차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지를 판단하여 입력된 차속도가 기준속도 이하일 경우에는 상기 단계 S30을 실행하고, 입력된 차속도가 기준속도 보다 클 경우에는 시작단계로 돌아가는 단계 S2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단계 S70 다음에, 도어가 오픈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도어가 오픈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시작단계로 돌아가고 도어가 오픈 상태일 경우에는 알고리즘을 종료시키는 단계 S80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의 블록도로서 종래의 파워 도어 로크 시스템에 제1센서(110), 제2센서(120), 마이컴(100) 및 경보장치(150)를 연결 구성시킨 것이다.
종래의 파워 도어 로크 시스템은, 자동차 도어가 선택적으로 로크 내지는 언로크되도록 구동되는 도어 로킹부(30)와, 상기 도어 로킹부(30)에 접속되며 도어가 로크되도록 도어 로킹부(30)를 구동시키는 도어 로크 구동부(10) 및 상기 도어 로킹부(30)에 접속되며 도어가 언로크되도록 도어 로킹부(30)를 구동시키는 도어 언로크 구동부(20)를 구비한다.
제1센서(110)는 자동차 속도를 감지하는 센서이고, 제2센서(120)는 주변 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마이컴(100)은 상기 도어 로크 구동부(10), 제1센서(110) 및 제2센서(120)에 접속되며,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도어 로크 구동부(10)로 구동 신호를 입력하여 도어를 자동으로 로크시킨다.
즉, 마이컴(100)에서는 제1센서(110)에서 감지된 차속도와 제2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주변 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분석하여 탑승자가 도어를 오픈시키고 하차할 경우, 오픈된 도어내지는 하차하는 탑승자가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오어 게이트(OR)를 통하여 도어 로크 구동부(10) 내의 트랜지스터(Q2)의 베이스측에 소정의 전압을 인가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Q2)가 온 되어 릴레이(R2)가 구동되고, 전원(+B)이 릴레이(R2)를 경유하여 도어 로킹부(30)의 모터들을 로크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모든 도어를 로크시킨다.
상기와 같은 마이컴(100)의 작동은 자동차가 정지상태일 때에만 수행되도록 할 수 있으며, 차속도와 무관하게 수행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급한 용무가 있는 탑승자는 자동차가 완전히 정지하기 전에 도어를 오픈시키고 하차할 경우도 있으므로 소정의 차속도(예:10km/hr)이하에서만 상기 마이컴(100)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이컴(100)에는 경보장치(150)가 연결 접속됨으로써, 마이컴(100)에서 도어를 로크시켜야 한다고 판단되면 도어 로크 구동부(10)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킴과 동시에 경보장치(150)를 구동시켜서 운전자에게 경고 신호를 보내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보장치(150)는 도어가 오픈된 상태에서도 작동되게 함으로써 탑승자가 하차하기 전에 작동되는 경보장치(150)에 의하여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경보장치(150)로는 경음기(152) 또는 경보등(154)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센서(110)로는 차속센서를 사용하며, 상기 제2센서(120)로는 초음파센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실현하기 위한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방법을 제3도에 나타난 흐름도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단계 S10에서는 제1센서(110)로부터 감지된 차속도 값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이 입력된 차속도 값이 소정의 기준 속도값 보다 크다고 판단되면 단계 S10을 다시 실행하고, 입력된 차속도 값이 소정의 기준 속도값 이하일 경우에는 단계 S30을 실행한다.
단계 S30에서는, 제2센서(120)로부터 감지된 주변 차량의 위치 및 속도 값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다. 그리고 이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방 또는 후방에서 접근중인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한다(단계 S40).
단계 S50에서는, 상기 단계 S40에서 전방 또는 후방에서 접근중인 차량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3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탑승자가 도어를 오픈시키고 하차할 경우, 오픈된 도어 내지는 하차하는 탑승자가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도어 로크 구동부(10)로 구동 신호를 출력하여 도어 로킹부(30)를 구동시켜서 도어를 로크시킨 후 시작단계로 돌아간다(단계 S60).
단계 S70에서는, 상기 단계 S40에서 전방 또는 후방으로부터 접근 중인 차량이 없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단계 S50에서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도어 언로크 구동부(2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 로킹부(30)를 언로크 방향으로 구동시켜서 도어를 언로크시킨 후 제3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난 바와 같이 시작단계로 돌아간다.
그리고, 제3도에서 단계 S70 다음에 실선으로 나타나 바와 같이, 자동차 도어가 본 알고리즘을 종료하기 위하여 단계 S80을 포함할 수 있다. 단계 S80에서는, 자동차 도어가 오픈된 상태인가를 판단하며, 도어가 오픈된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되면 시작단계로 돌아가서 상기 알고리즘을 재 실행하고, 도어가 오픈된 상태라고 판단되면 알고리즘을 종료시킨다.
상기 단계 S60에서는, 도어 로크 구동부(1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로크시킴과 동시에 경보장치(150)를 작동시키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S70에서는 도어 언로크 구동부(2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의 로크를 해제함과 동시에 경보장치(150)의 작동을 오프시키도록 한다.
또한, 자동차의 속도와 관계없이 본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도 있는데, 이때는 상기 단계 S10과 단계 S20을 삭제하고 단계 S30부터 알고리즘이 시작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일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주변차량의 위치 및 속도에 따른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을 구비함으로써, 탑승자가 도어를 오픈하고 하차할 경우 오픈된 도어 내지는 하차하는 탑승자가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자동차의 도어를 자동으로 로크시켜서 교통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가지로 그 응용과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8)

  1. 자동차도어가 선택적으로 로크 및 언로크되도록 구동되는 도어 로킹부(30)와 상기 도어 로킹부(30)에 접속되어 도어가 로크 되도록 도어 로킹부(30)를 구동시키는 도어 로크 구동부(10) 및 상기 도어 로킹부(30)에 접속되어 도어가 언로크 되도록 도어 로킹부(30)를 구동시키는 도어 언로크 구동부(20)를 구비하는 자동차 도어 로크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동차의 속도를 감지하는 제1센서(110); 주변 차량의 속도 및 위치를 감지하는 제2센서(120); 그리고 상기 제1센서(110)를 통한 차속도가 소정의 속도 이하일 때 탑승자가 하차하는 경우 제2센서(120)를 통해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도어 로크 구동부(1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로크 시키는 마이컴(1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속도가 0 km/h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센서(110)가 차속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센서(120)가 초음파센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100)에는, 경보를 발생하는 경음기(152)와 경보등(154)로 이루어진 경보장치(150)가 연결되어 마이컴(100)에서 도어 로크 구동부(10)로 구동신호를 출력시킴과 동시에 경보장치(150)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6. 제1센서(110)로부터 차속도를 입력받는 단계 S10; 상기 단계 S10에서 입력된 차속도가 소정의 기준 속도 이하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S20; 상기 단계 S20에서 입력된 차속도가 기준 속도 이하라고 판단되면 제2센서(120)로부터 주변 차량의 속도 및 위치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는 단계 S30; 상기 단계 S3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전후방에 접근중인 차량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40; 상기 단계 S40에서 전후방에 접근중인 차량이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단계 S30에서 입력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S50; 상기 단계 S50에서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도어 로크 구동부(10)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로크시키고 시작단계로 돌아가는 단계 S60; 그리고 상기 단계 S40에서 전후방에 접근중인 차량이 없다고 판단되거나, 상기 단계 S50에서 탑승자가 하차할 경우 접근중인 차량과 충돌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되면 도어 언로크 구동부로 구동신호를 출력하여 도어를 언로크시키고 시작단계로 돌아가는 단계 S7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60에서 도어 로크 구동부(10)에 구동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경보장치(150)를 작동시키며, 상기 단계 S70에서 도어 언로크 구동부(20)에 구동신호가 입력됨과 동시에 경보장치(150)의 작동을 오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S70 다음에, 도어가 오픈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도어가 오픈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시작단계로 돌아가고 도어가 오픈상태일 경우에는 알고리즘을 종료시키는 단계 S8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방법.
KR1019960044297A 1996-10-07 1996-10-07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KR1002173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297A KR100217391B1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297A KR100217391B1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976A KR19980025976A (ko) 1998-07-15
KR100217391B1 true KR100217391B1 (ko) 1999-09-01

Family

ID=19476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297A KR100217391B1 (ko) 1996-10-07 1996-10-07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739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684B1 (ko) * 2016-11-07 2022-08-03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자동차용 로킹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976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14159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a collision of an object with a first vehicle door of a stationary vehicle
KR100217391B1 (ko) 자동차 도어 안전개방 장치 및 방법
JP4744272B2 (ja) 盗難防止システム及び遠隔エンジン始動装置
EP0901112B1 (en) Display system for burglary-preventing device
JP4526699B2 (ja) 自動車におけるドアロック制御装置
JP2001164807A (ja) 車両用施解錠装置
KR100369024B1 (ko) 자동차의 도어용 자동 잠금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100372716B1 (ko) 차량의사고방지장치및방법
KR200151523Y1 (ko) 도어 오픈시 주행 금지장치
KR20010016969A (ko) 자동차 윈도우 잠금방법
EP1524630A1 (en) Power window system for vehicle
KR100227948B1 (ko) 자동차 도어의 자동 컨트롤 장치 및 그 컨트롤 방법
JPS5996369A (ja) 自動車用ドアロツク制御装置
KR0160376B1 (ko) 자동차의 도어 자동 잠금 장치
KR19980024155U (ko) 자동차의 도난방지장치
KR980002583A (ko) 자동차 도어 자동 로크 장치 및 그 방법
KR0135628Y1 (ko) 자동차의 도어 열림 경보 장치
KR100205581B1 (ko) 자동차 도어의 중앙 잠금 장치
KR19980017504A (ko) 정차시 후방물체 접근감지용 도어록 장치
KR19980054781A (ko) 자동차의 도어 자동 잠금장치
KR100187981B1 (ko) 차선 변경시 아웃사이드 미러 각도 변경 시스템 및 그 방법
KR19990002366A (ko) 속도 감응식 자동차 도어록크의 록킹 해제 시스템 및 해제 방법
KR100312868B1 (ko) 자동차용 선 루프의 자동 닫힘 방법
KR100247548B1 (ko) 차량 도난 방지 장치
KR970021611A (ko) 자동차 문 자동 잠금/잠금 해제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