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819B1 - 동기분리장치 - Google Patents

동기분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819B1
KR100215819B1 KR1019960079265A KR19960079265A KR100215819B1 KR 100215819 B1 KR100215819 B1 KR 100215819B1 KR 1019960079265 A KR1019960079265 A KR 1019960079265A KR 19960079265 A KR19960079265 A KR 19960079265A KR 100215819 B1 KR100215819 B1 KR 100215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lor burst
output
reliability
correl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92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918A (ko
Inventor
남호준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792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5819B1/ko
Publication of KR199800599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9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6Gene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44Colour synchronisation
    • H04N9/455Gene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sertion of colour burst signals in colour picture signals or separation of colour burst signals from colour picture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Picture Signal Circuits (AREA)

Abstract

동기분리장치의 수평 동기신호와 클램프 신호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저장된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입력되는 복합동기신호의 칼라 버스트 신호를 비교하여 상관값들을 출력하는 칼라 버스트 상관부와, 상기 칼라 버스트 상관부에서 출력된 상관값들을 기준 문턱값과 비교하여 기준 문턱값 이상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검출된 상관값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번 발생하는에 따라 신뢰성 여부신호를 출력하는 신뢰성 체크부와, 상기 신뢰성 체크부에서 출력된 신뢰성 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부의 상관값 출력으로부터 수평동기신호 및 클램프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로 구성되어 입력되는 Csync신호에 노이즈나 고스트등이 섞여 있더라도 신뢰도 높은 동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칼라 버스트 위치에 정확히 클램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어 고품질의 디지털 신호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기분리 장치
본 발명은 티브이(TV)신호의 동기분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평 동기신호와 클램프 신호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드필드와 이븐필드의 복합 동기신호(Csync)와 수직 동기신호(Vsync)를 보여주는 파형도로써, 한 프레임에 해당하는 오드필드와 이븐필드의 동기신호를 살펴보면 라인번호 1∼9,263∼271까지를 등화펄스 구간이라 하며, 특히 라인번호 1∼3과 263∼265를 선등화 펄스 구간, 라인번호 4∼6,266∼268을 수직동기(Vsync) 구간, 라인번호 7∼9,269∼271을 후등화펄스 구간 이라고 한다.
이 등화펄스 구간은 0.5H 간격으로 펄스가 발생하고 있으며, 나머지 라인들은 1H 간격으로 색동기 신호인 칼라 버스트(co1or burst)를 포함한 펄스가 발생한다.
여기서,1H구간은 4Fsc(약 14.328MH)클럭으로 910클럭의 길이 이다.
또한,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동기분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로써,4Fsc클럭과 Csync 및 Vsync를 입력받아 등화펄스 구간만 로우인 펄스 즉,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고, 이 윈도우 신호와 Csync신호를 앤드시킨 블랭크드(blanked) Csync신호를 출력하는 등화펄스 제거부(21)와, 등화펄스 제거부(21)에서 출력된 블랭크드 Csync신호를 입력받아 에지(edge)신호를 발생하는 에지 검출부(22)와, 에지 검출부(22)의 에지 신호를 이용하여 Hsync (Horizonta1 sync)를 발생하여 출력하는 Hsync 발생부(23)와, Hsync 발생부(23)에서 발생된 Hsync와 등화펄스 제거부(21)에서 발생된 블랭크드 Csync를 윈도우 신호룰 이용하여 먹싱하여 Hsync를 출력하는 먹스(24)와, 에지 검출부(22)에서 출력된 에지신호를 이용하여 일정한 위치를 카운트후 클램프 신호를 발생하는 클램프 신호 발생부(25)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기술에 따른 동기분리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도 2의 등화펄스 제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고, 도 4는 도 2의 에지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고, 도 5는 도 2의 먹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로써, 먼저, 등화펄스 제거부(21)는 도 1과 같은 Csync와 Vsync 및 4Fsc클럭를 입력받아 오드 필드의 등화펄스 구간과 이븐 필드의 등화펄스 구간에만 로우인 도 3(b)과 같은 윈도우 신호를 발생하여 먹스(24)로 출력한다.
그 후 이 윈도우 신호와 Csync를 앤드(AND)시키면 도 3(a)와 같은 블랭 크드 Csync를 발생하여 에지 검출부(22)에 출력한다.
이 4Fsc신호는 약 14.328MHz의 정현파 클럭이다.
에지 검출부(22)는 도 4와 같이 등화펄스 제거부(21)에서 출력된 블랭크드 Csync신호를 이용하여 에지 신호를 발생하여 Hsync 발생부(23)에 출력한다.
그러면 NTSC 티브이 신호의 1H 구간은 4fsc클럭으로 910 클럭의 길이이므로 Hsync 발생부(23)는 에지 신호로 부터 910클럭을 카운트하면 블랭크드Csync신호로 부터 1H간격의 Hsync신호(Hsync ' )를 얻어 먹스(24)로 출력한다.
즉, 먹스(24)에 입력된 도 5(b)와 같은 Hsync'신호와 도 5(a)와 같은 등화펄스 제거부(21)에서 출력된 블랭크드 Csync신호는 도 5(c)와 같은 윈도위 신호를 이용하여 먹싱하여 도 5(d)와 같은 Hsync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티브이 신호의 클램프 펄스는 Csync신호로 부터 항상 일정한 위치에 있기 때문에 클램프 신호발생부(25)는 4fsc를 이용하여 에지 검출부(22)에서 출력된 에지신호로 부터 카운트하여 도 5(d)와 같이 클램프 신호를 출력한다. 이 클램프 신호는 등화펄스 구간에서는 발생되지 않는데, 그 이유는 등화 펄스구간에는 칼라 버스트가 없기 때문이다.
종래기술에 따른 동기분리장치는 도 6(a)과 같이 블랭크드 Csync신호가 아닌 도 6(b)와 같은 노이즈나 고스트가 섞인 블랭크드 Csync신호가 에지 검출부에 입력되면 도 6(c)와 같이 노이즈인 Csync신호에서도 에지가 발생되어 정확한 Hsync신호를 분리하는데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노이즈나 고스트등이 입력되는 Csync 및 Vsync에 섞였을 때도 신뢰도 높은 Hsync신호를 분리하고, 칼라 버스트 위치에 클램프 신호를 발생시켜주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오드필드와 이븐필드의 복합 동기신호와 수직 동기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동기분리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a 내지 도 3b는 도 2의 등화펄스 제거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
도 4는 도 2의 에지 검출부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
도 5a 내지 도 5e는 도 2의 먹스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도 6a 내지 6c는 종래기술에 따른 동기분리장치의 문제점을 보여주기 위한 파형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도 8은 고스트 신호가 섞이지 않은 경우 도 7의 칼라 버스트 상관부 및 비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고스트 신호가 섞여 있을 경우 도 7의 칼라 버스트 상관부 및 비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0a 내지 도 10d는 도 7의 각 블록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1 : 칼라 버스트 상관부 72 : 비교부
73 : 신뢰성 체크부 74 : 신호발생부
본 발명에 따른 동기분리장치의 칼라 버스트 상관부는 저장된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입력되는 복합동기신호의 칼라 버스트 신호를 비교하여 상관값들을 출력하고, 비교부는 칼라 버스트 상관부에서 출력된 상관값들을 기준 문턱값과 비교하여 기준 문턱값 이상의 상관값을 검출하고, 신뢰성 체크부는 비교부에서 검출된 상관값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번 발생하는에 따라 신뢰성 여부신호를 출력하고, 신호발생부는 신뢰성 체크부에서 출력된 신뢰성 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부의 상관값 출력으로부터 수평 동기신호 및 클램프 신호를 발생함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다른 동기분리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동기분리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로써, Csync신호 및 4fsc클럭이 입력되어 저장된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입력되는 Csync신호의 칼라 버스트 신호를 비교하여 상관값(correlation)들을 출력하는 칼라 버스트 상관부(71)와, 4fsc클럭이 입력되고 칼라 버스트 상관부(71)에서 출력된 상관값들을 기준 문턱값과 비교하여 기준 문턱값 이상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비교부(72)와,4fsc클럭이 입력되고 비교부(72)에서 검출된 상관값이 일정한 위치에 발생되어 신뢰성 여부를 판단하는 신뢰성 체크부(73)와, Csync신호 및 4fsc클럭이 입력되고 신뢰성 체크부(73)에서 출력된 신뢰성 여부신호에 따라 비교부(72)의 상관값 출력으로부터 Hsync신호 및 클램프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74)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동기분리장치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고스트 신호가 섞이지 않은 경우 도 7의 칼라 버스트 상관부 및 비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고스트 신호가 섞여 있을 경우 도 7의 칼라 버스트 상관부 및 비교부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도 7의 각 블록에서 출력되는 신호를 보여주는 파형도이다.
먼저, 칼라 버스트 상관부(71)는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를 저장하고 있으며, Csync신호 및 4fsc클럭이 입력되어 Csync신호의 칼라 버스트 신호와 저장되어 있는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를 상관하여 비교부(72)에 출력한다.
즉, Csync신호의 고스트가 없는 칼라 버스트 신호가 입력되면 칼라 버스트 상관부(71)는 도 8과 같이 노이즈등이 섞이지 않은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입력되는 Csync신호의 칼라 버스트가 정확히 일치하였을 때 최대의 상관값이 비교부(72)에 출력된다. 이때, 비교부(72)는 이 최대의 상관값과 문턱값을 비교하여 문턱값 이상인 상관값을 출력한다.
또한, Csync신호에 프리 고스트와 포스트 고스트가 있는 칼라 버스트 신호가 입력되면 칼라 버스트 상관부(71)는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상관하는데 입력되는 Csync신호의 프리 고스트 부분이 먼저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일치하게 되어 도 9(a)의 1과 같은 상관값을 비교부(72)로 출력한다.
다음은 입력되는 Csync신호의 칼라 버스트의 본체 부분이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일치하게 되어 도 9(a)의 2와 같은 상관값을 비교부(72)로 출력하고, 그 다음은 입력되는 Csync신호의 포스 고스트 부분이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일치하게 되어 도 9(a)의 3과 같은 상관값을 비교부(72)로 출력한다.
여기서, Csync신호의 프리 고스트와 포스트 고스트 신호는 원래의 칼라버스트 신호가 공기(air)를 통하여 전송되는 과정에서 건물이나 산 등의 장애물에 의해 감쇄되고, 왜곡된 신호이기 때문에 갈라 버스트 상관부(71)에서 상관된 출력값들은 칼라 버스트 본체와 기준 칼라 버스트신호를 상관한 값보다 작게된다.
비교부(72)는 도 9(b)와 같이 기준 문턱값을 정하여 입력된 도 9(a)의 1,2,3과 같은 상관값들이 기준 문턱값보다 큰 상관값을 걸러내어 도 9(a)의 2번 신호만을 신호발생부(74) 및 신뢰성 체크부(73)에 출력한다.
그리고, 신뢰성 체크부(73)는 4fsc클럭을 이용하여 도 10(b)와 같이 비교부(72)에서 출력된 상관값이 매번 같은 위치에 발생되는지 체크하며, 신호성 체크부(73)에 설정된 값 이상으로 계속해서 비교부(72)의 상관값이 같은 위치에 발생하면 신뢰성 있음에 대한 신호를 신호발생부(74)에 출력한다.
한편, 입력되는 Csync신호에 아주 심한 노이즈나 고스트등이 섞이거나 채널이 변했을 경우 예를들어 티브이의 채널을 6번에서 9번으로 바꿨을 경우에 칼라 버스트 상관부(71)에 설정된 문턱값 이상 되는 펄스가 발생되하지 않거나 채널이 바뀌기 전의 도 9(b)의 상관값 위치와 다른 위치에 펄스가 발생되게 되는데, 이런 이유로 인해서 신뢰성 체크부(73)에 설정된 값 이하로 계속해서 엉뚱한 위치에 펄스가 발생되면 신뢰성 없음에 대한 신호를 신호발생부(74)에 출력한다.
신호발생부(74)는 신뢰성 체크부(73)에서 출력된 신뢰성 여부신호와 도10(b)와 같은 비교부(72)에서 출력된 상관값을 이용하여 최종 출력인 Hsync신호 및 클램프 신호를 출력한다.
즉, 티브이 신호는 칼라 버스트와 동기신호와의 관계가 항상 일정하고, NTSC 티브이 신호의 1라인은 4fsc 클럭으로 910클럭이어서, 신호발생부(74)는 신뢰성 체크부(73)에서 출력된 신뢰성 여부신호와 도 10(b)와 같은 비교부(72)에서 출력된 상관값을 입력받아 이 비교부(72)에서 출력된 상관값으로부터 도 10 (a)의 Y클럭 후 부터 Hsync ′ 신호를 도 10(c)와 같이 X' 기간동안 로우인 클럭을 발생한다.
또한, 비교부(72)에서 출력된 상관값을 입력받아 이 비교부(72)에서 출력된상관값으로부터 도 10 (a)의 Z클럭 후 부터 도 10(d)와 같이 Y' 기간동안 로우인클럭을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시킨 Hsync' 신호를 신뢰성 체크부(73)에서 출력된 신호가 신뢰성 있음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Hsync 신호로 최종 출력하며, 신뢰성 체크부(73)에서 출력된 신호가 신뢰성 없음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되는 Csync신호의 Hsync 부분을 최종 출력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기분리장치는 입력되는 Csync신호에 노이즈나 고스트등이 섞여 있더라도 신뢰도 높은 동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으며, 칼라 버스트 위치에 정확히 클램프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어 고품질의 디지털 신호처리에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저장된 기준 칼라 버스트 신호와 입력되는 복합동기신호의 칼라 버스트 신호를 비교하여 상관값들을 출력하는 칼라 버스트 상관부와, 상기 칼라 버스트 상관부에서 출력된 상관값들을 기준 문턱값과 비교하여 기준 문턱값 이상의 상관값을 검출하는 비교부와, 상기 비교부에서 검출된 상관값이 일정한 위치에 일정번 발생하는에 따라 신뢰성 여부신호를 출력하는 신뢰성 체크부와, 상기 신뢰성 체크부에서 출력된 신뢰성 여부신호에 따라 상기 비교부의 상관값 출력으로부터 수평 동기신호 및 클램프 신호를 발생하는 신호발생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분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발생부는 상기 신뢰성 체크부에서 신뢰성 있음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비교부의 상관값 출력으로부터 수평 동기신호 및 클램프 신호룰 발생하고, 신뢰성 없음에 대한 신호가 입력되면 현재 입력되는 복합 동기신호의 수평 동기신호 부분을 최종 출력함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분리장치.
KR1019960079265A 1996-12-31 1996-12-31 동기분리장치 KR100215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265A KR100215819B1 (ko) 1996-12-31 1996-12-31 동기분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9265A KR100215819B1 (ko) 1996-12-31 1996-12-31 동기분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918A KR19980059918A (ko) 1998-10-07
KR100215819B1 true KR100215819B1 (ko) 1999-08-16

Family

ID=194931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9265A KR100215819B1 (ko) 1996-12-31 1996-12-31 동기분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58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918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14416A (en) Method and circuit for detecting data segment synchronizing signal in high-definition television
US4792852A (en) Vertical synchronizing signal detection circuit
KR100215819B1 (ko) 동기분리장치
EP0782329B1 (en) Horizontal synchronizing signal-generating circuit and method therefor
JP3986614B2 (ja) 同期誤りを修正する方法及び装置
JP3043307B2 (ja) 同期信号判定方法及び装置
JP3024725B2 (ja) スキューパルス検出回路
KR0167899B1 (ko) 고품위 텔레비젼 시스템의 데이타 세그멘트 동기 검출회로
KR970003023B1 (ko) 동기신호 유무 자동판별장치
JPH07135664A (ja) 映像信号判定回路
KR19980703637A (ko) 수직 동기화 신호 검출기
KR100196871B1 (ko) 피디피 티브이의 영상신호 판별장치
KR0153976B1 (ko) 동기 신호 검출 방법
JP2662849B2 (ja) テレビジョン信号の伝送路による映像・音声信号間遅延測定方法
KR100281050B1 (ko) 디지털 텔레비전의 수직 동기 신호 검출 장치및 방법
JPS6239995A (ja) テレビジヨン信号処理装置
JP2604420B2 (ja) 同期分離回路
JPS6097780A (ja) 水平同期抽出回路
KR100246431B1 (ko) 고스트 영향 배제를 위한 자막 방송 수신 장치 및 방법
KR100218271B1 (ko) 수직 동기 분리 회로와 수직 귀선 소거 기간 및 필드 검출 회로
KR100311367B1 (ko) 티브이시스템의라인선택및필드검출장치
KR0185937B1 (ko) 영상신호의 노이즈레벨검출방법 및 그 장치
TWI452903B (zh) 垂直空白區間解碼器及其操作方法
KR0130818B1 (ko) Gcr신호 판별방법 및 장치
JP2000004413A (ja) 識別信号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5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