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976B1 - 동기 신호 검출 방법 - Google Patents

동기 신호 검출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976B1
KR0153976B1 KR1019950022878A KR19950022878A KR0153976B1 KR 0153976 B1 KR0153976 B1 KR 0153976B1 KR 1019950022878 A KR1019950022878 A KR 1019950022878A KR 19950022878 A KR19950022878 A KR 19950022878A KR 0153976 B1 KR0153976 B1 KR 01539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chronization signal
pulses
signal
counted
minim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9194A (ko
Inventor
임중환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22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976B1/ko
Publication of KR9700091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91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9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9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7/00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 H04N17/04Diagnosis, testing or measuring for television systems or their details for recei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ynchronizing For Televi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상 신호에서 소정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동기 신호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하여, 영상 신호에서 분리되어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 수를 소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는 제1단계와 ; 소정 시간 동안 카운트된 펄스 수가 동기 신호임을 의미하여 기설정된 최대 펄스 수와 최소 펄스 수 사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최대 펄스 수와 최소 펄스 수 사이에 있으면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동기 신호가 갖는 주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동기 신호 펄스를 카운트하여 동기 신호의 유무 검출을 할 수 있고, 또한 동기 신호로 인식하기 위한 한계 범위인 최소 및 최대 펄스 수를 용이하게 임의로 설정 변경할 수 있으므로 영상 신호의 감도 조정이 가능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동기 신호 검출 방법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을 위한 하드웨어 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동기 분리부 20 : 마이컴
본 발명은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 또는 텔레비젼등의 영상 기기에서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서 소정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의 펄스를 카운트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동기 검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영상 기기에서는 방송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여 방송이 행하여지고 있는 채널임을 판단할 경우와 동기 신호가 없는 경우에 Blue Back 화면을 선택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것이 필요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영상 기기에서는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할 경우에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서 동기 신호의 유무를 하드웨어적인 회로를 사용하여 검출하였으며, 불필요한 하드웨어와 입력되는 신호의 감도 상태를 체크하는 것은 불가능하였다.
한편, 통상적인 NTSC(National Television System Committe) 방송에서의 동기 신호, 특히 수평 동기 신호 1 sec에 30(프레임)×525(주사선수)=15750개의 펄스를 갖는다. 그리고, 수평 동기 신호는 전송 과정에서의 노이즈에 의하여 다소 증감될 수 있으며 따라서, 동기 신호를 카운트하여 소정 범위를 벗어나면 감도 불량이나 동기 신호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입력되는 방송 신호에서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를 카운트하여 카운트된 펄스 수가 기설정된 소정 범위에 포함되는지를 판단하여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할 수 있도록 한 동기 신호 검출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영상 신호에서 소정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영상 신호에서 분리되어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 수를 소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는 제1 단계와 ; 소정 시간 동안 카운트된 펄스 수가 동기 신호임을 의미하여 기설정된 최대 펄스 수와 최소 펄스 수 사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 단계와 ;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최대 펄스 수와 최소 펄스 수 사이에 있으면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 방법에 있다.
또한, 상기 제3단계는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최대 펄스 수와 최소 펄스 수 사이에 있으면 판단 카운터를 카운트 업하고 최대와 최소 펄스 수를 벗어나면 상기 판단 카운터를 카운트 다운하여 상기 판단 카운터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에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을 위한 블럭도로서, 동기 분리부(10, 마이컴(20)을 포함한다.
동 도면에 있어서, 동기 분리부(10)는 인가되는 영상 신호에서 수평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출력하며, 마이컴(20)은 텔레비젼이나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등의 영상 기기의 동작을 제어하며 동기 분리부(10)로부터의 동기 신호의 펄스 수를 마이컴(20)내의 이벤트 카운터(Event Counter)를 이용하여 카운트하여 동기 신호 유무를 판단한다.
즉, 마이컴(20)은 상술한 바와 같이 1 sec에 15750개의 펄스를 갖는 수평 동기 신호를 소정 시간(2msec)동안 카운트한다. 소정 시간 동안(2 msec)에는 정상적인 수평 동기 신호는 31.5개의 펄스가 카운트될 것이다.
따라서, 최소 펄스 수와 최대 펄스 수를 그 사이에 설정하여 소정 시간(2 msec) 동안 카운트된 펄스 수가 최소 펄스 수와 최대 펄스 수 사이에 포함되면 동기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마이컴(20)은 정확한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2 msec) 동안 동기 펄스를 카운트한 값이 기설정된 정상 범위내에 있는지를 비교한 후, 비교 결과, 정상적인 동기 신호가 아니면 판단 카운터를 감소하고, 정상적인 동기 신호면 판단 카운터를 증가하여 판단 카운터가 소정값(초기 설정값 : 동기 신호 무로 판단하기 위한 값, 판단 설정값 : 동기 신호 유로 판단하기 위한 값)일 경우에 최종적으로 동기 신호의 유무를 판단하는 동기 플레그를 셋 또는 리셋시킨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동기 신호 검출 과정을 첨부한 제2도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마이컴(20)은 동기 분리부(10)로부터 인가되는 수평 동기 신호를 마이컴(20)내의 이벤트 카운트(Event Counter)를 이용하여 카운트한다(단계 200).
다음에, 마이컴(20)은 소정 시간(2 msec)이 경과되었는지를 체크하여(단계 202). 소정 시간(2 msec)이 경과되었으면 이벤트 카운터에서 카운트한 동기 펄스 카운트 값이 기설정된 최대 펄스 수보다 큰지를 판단한다(단계 204).
이때, 동기 펄스 카운트 값이 최대 펄스 수보다 크면 판단 카운터 값이 초기 설정값과 같은지를 비교한다(단계 206). 이때는 영상 신호가 노이즈에 의해서 감도가 극히 불량한 상태로 간주하여 동기 신호가 없는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상술한 판단 카운터는 보다 정확하게 동기 검출을 하기 위하여 동기 신호를 카운트하는 본 루틴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카운트된 동기 펄스 수가 설정된 최소 및 최대 펄스 수 범위에 포함되면 카운트 업하고, 반대로 기설정된 정상 범위를 벗어나면 카운트 다운하여 설정된 소정값(초기 설정값 : 동기 신호 무로 판정하기 위한 값, 판단 설정값 : 동기 신호 유로 판정하기 위한 값)이 될 경우에 최종적으로 동기 신호의 유무를 판단한다.
따라서, 상기 단계 (206)에서 초기 설정값과 판단 카운터의 값이 같지 않으면 판단 카운터를 감소시키고(단계 208), 상기 단계 (200)에서 카운트한 이벤트 카운터를 클리어시키고(단계) 220), 상기 단계 (200)으로 귀환하여 다시 동기 펄스를 카운트한다.
한편, 상기 단계 (206)에서 판단 카운터 값이 초기 설정값과 동일하면 동기 신호가 없음으로 판단하고 동기 플레그를 리셋시키고(단계 210) 상기 단계 (220)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204)에서 동기 펄스를 카운터한 값이 설정된 최대 펄스 수보다 작으면 설정된 최소 펄스 수보다 작은지를 판단한다(단계 212). 이때, 카운터한 동기 펄스 값이 최소 펄스 수보다 작으면 소정 시간(2 msec) 동안 수평 동기 신호가 갖고 있는 펄스 수의 정상 범위를 벗어난 것이므로 동기 신호로 인식하지 않기 위하여 상기 단계 (206)으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단계 (212)에서 카운터한 동기 펄스 값이 최소 펄스 수보다 크면 카운트된 동기 펄스 수가 설정된 최소 펄스 수와 최대 펄스 수 사이에 있는 것이므로 동기 신호로 인식하기 위하여 판단 카운터 값이 판단 설정값과 같은지를 비교한다(단계 214).
이때, 같지 않으면 판단 카운터 값을 증가하고 단계 (220)으로 진행한다. 이때 최종적으로 동기 신호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지 않는 이유는 상술한 바와 같이 보다 정확하게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기 위하여 본 루틴을 반복 수행하여 판단 카운터가 소정값 즉, 판단 설정값이 될 경우에 최종적으로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단계 (214)에서 판단 카운터가 판단 설정값과 동일하면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여 동기 플레그를 셋시키고(단계 218), 단계 (220)으로 진행하여 상술한 동기 신호 검출 과정을 반복 수행한다.
따라서, 마이컴(20)은 수시로 동기 플레그의 상태를 체크하여 동기 신호의 유무를 판단할 수 있으며, 동기 신호의 유무에 따라서 채널 선구 및 Blue Back 화면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동기 신호가 갖는 주기의 특성을 이용하여 동기 신호 펄스를 카운트하여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을 할 수 있고, 또한 동기 신호로 인식하기 위한 한계 범위인 최소 및 최대 펄스 수를 용이하게 임의로 설정 변경할 수 있으므로 영상 신호의 감도 조정이 가능한 잇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영상 신호에서 소정 주기를 갖는 동기 신호의 유무를 검출하는 방법으로서, 영상 신호에서 분리되어 입력되는 수평 동기 신호의 펄스 수를 소정 시간 동안 카운트하는 제1단계와 ; 소정 시간 동안 카운트된 펄스 수가 동기 신호임을 의미하여 기설정된 최대 펄스 수와 최소 펄스 수 사이에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2단계와 ;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최대 펄스 수와 최소 펄스 수 사이에 있으면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3단계를 포함하는 동기 신호 검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단계는, 카운트된 펄스 수가 상기 최대 펄스 수와 최소 펄스 수 사이에 있으면 판단 카운터를 카운트 업하고 최대와 최소 펄스 수를 벗어나면 상기 판단 카운터를 카운트 다운하여 상기 판단 카운터가 소정 값 이상일 경우에 동기 신호가 검출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기 신호 검출 방법.
KR1019950022878A 1995-07-28 1995-07-28 동기 신호 검출 방법 KR01539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878A KR0153976B1 (ko) 1995-07-28 1995-07-28 동기 신호 검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878A KR0153976B1 (ko) 1995-07-28 1995-07-28 동기 신호 검출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94A KR970009194A (ko) 1997-02-24
KR0153976B1 true KR0153976B1 (ko) 1998-11-16

Family

ID=19422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878A KR0153976B1 (ko) 1995-07-28 1995-07-28 동기 신호 검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9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78356B1 (ko) * 1998-04-11 2001-02-01 윤종용 평판 디스플레이 장치의 비디오 신호 개시점 검출 회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9194A (ko) 1997-0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98171A (en) Automatic shift circuit for a sub-picture screen for picture-in-picture feature
KR0123731B1 (ko) 방송상태 자체진단회로
KR0153976B1 (ko) 동기 신호 검출 방법
JP3043307B2 (ja) 同期信号判定方法及び装置
JP3241539B2 (ja) 映像信号処理回路
KR19990001151U (ko) 영상 신호 처리 장치의 약신호 판단 회로
KR19980015105A (ko) 텔레비젼수상기의 자동 와이드화면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
JP2956457B2 (ja) ディジタル映像信号自動識別回路
JP2714221B2 (ja) テレビジョン方式判別装置
KR0137171Y1 (ko) 모니터에서의 개선된 영상신호 처리장치
KR20080024298A (ko) 디지털 비디오 레코더에서의 팬/틸트 명령 삽입장치 및방법
KR100228664B1 (ko) 영상신호 유무판별장치
JP2000041202A (ja) テレビジョン方式判別回路
JPH01314483A (ja) テレビジョン信号受信装置
KR0158834B1 (ko) 엔티에스시/팔 방송방식의 판별방법
JPH06233235A (ja) 不要信号記録阻止装置
KR950007872B1 (ko) 오디오/비디오 자동 절환장치 및 방법
KR200151799Y1 (ko) 영상 신호의 판별 회로
KR100427176B1 (ko) 비디오 신호를 이용한 동기 검출 방법
KR100202085B1 (ko) 화면 수평위치 보정장치 및 보정방법
KR19980012673U (ko) 동기 신호 검출 장치
KR970078578A (ko) 자막위치정보를 이용한 자막신호 위치 조정장치 및 방법
KR0174929B1 (ko) 피디피에서의 영상처리 장치
JPH04307872A (ja) 非標準同期信号検出回路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KR970003023B1 (ko) 동기신호 유무 자동판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62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