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5269B1 - 필름 카트리지 - Google Patents

필름 카트리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5269B1
KR100215269B1 KR1019960020484A KR19960020484A KR100215269B1 KR 100215269 B1 KR100215269 B1 KR 100215269B1 KR 1019960020484 A KR1019960020484 A KR 1019960020484A KR 19960020484 A KR19960020484 A KR 19960020484A KR 100215269 B1 KR100215269 B1 KR 100215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spool
cover
cartridge
gu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0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2447A (ko
Inventor
다쿠지 야마구치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츠 고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700024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4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5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5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13/00Processing apparatu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covered by groups G11B3/00 - G11B11/00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28Locating light-sensitive material within camera
    • G03B17/30Locating spools or other rotatable holders of coiled film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Developing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름 컨테이너에 저장된 필름의 효율적인 재설정을 허용하는 필름 카트 리지에 관한 것이다. 커버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카트리지 본체상에 장착된다. 폐쇄위치에서, 필름저장공간은 커버와 카트리지 본체에 의해 형성된다. 또한, 필름저장공간의 외측과 연결하는 필름 입구/출구 슬롯이 형성된다. 필름저장공간내에 스풀과, 필름저장공간으로 삽입된 필름을 스풀의 외주 위로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판이 장착된다. 스풀의 외주에 대향한 가이드판의 단부 상에는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가이드판은 롤러가 스풀에 맞서서 가압되도록 스프링에 의해 편위된다. 필름입구/출구를 통해 필름저장공간으로 삽입된 필름은 스풀과 롤러 사이로 가이드판에 의해 가이드된다. 스풀은 스풀 둘레에 필름을 감기 위해 상기 상태에서 회전된다.

Description

필름 카트리지
제 1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카트리지의 실시예의 사시도,
제 2 도는 커버가 폐쇄된 동 실시예의 단면도,
제 3 도는 제 2도의 선(Ⅲ-Ⅲ)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4 도는 동 도면의 가이드판의 사시도,
제 5 도는 동 도면의 필름 입구/출구의 정면도,
제 6 도는 필름 감기단계의 초기 스테이지를 나타내는 동 도면의 단면도,
제 7 도는 제 6도의 필름 입구/출구의 정면도,
제 8 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필름 카트리지의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본 발명은 필름 컨테이너에 저장된 노광 필름을 현상할 경우에 사용되는 필름 카트리지에 관한 것이다.
자동 필름 현상기로 현상될 수 있는 사진용 필름으로서는 타입 110, l20, 126 및 135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서로 다른 타입의 필름 중에서, 타입 135 필름을 현상하려면, 그 컨테이너 또는 필름통이 자동 필름 현상기의 필름 세팅부에 세팅된다. 그 후 필름은 필름통을 벗어나 현상 유니트로 공급된다.
타입 135 필름 이외의 필름을 현상하려면, 필름의 필름통으로부터 필름 카트리지내에서 재세팅되어야 한다. 일단 필름이 카트리지에 재세팅되면, 필름은 카트리지를 벗어나 현상 유니트로 공급하기 위해 필름 세팅부에 세팅된다.
합성수지시트로 된 리더는 가이드로서 필름을 리더와 함께 현상유니트로 이송하기 위해 각각의 필름의 선단부에 연결된다.
예컨대 타입 110 필름을 재세팅하기 위한 전형적인 종래의 필름 카트리지는 카트리지 본체 및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카트리지 본체에 장착된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에, 카트리지 본체와 협력하여 필름 저장공간을 형성하고 그 필름저장공간의 외측과 연결하는 필름 입구/출구를 형성한다.
이러한 필름 카트리지는 그 둘레에 필름을 감는 스풀을 구비하고 있지 않다. 이 카트리지에 필름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필름 컨테이너 밖으로 끌어당겨진 필름이 수동으로 필름 카트리지의 외측으로 나선식으로 감겨져야 한다. 이에 따라 감겨진 필름은 카트리지에 세팅된다. 이 작업은 매우 번거롭다.
또한, 필름 컨테이너를 벗어난 필름을 조밀하게 감기가 어렵다. 필름이 다소 조밀하게 감겨지더라도, 필름이 카트리지 본체에 세팅되는 순간에 필름이 그 자체의 탄성에 의해 느슨해질 것이고, 그 직경이 카트리지 본체의 내주면 또는 커버에 접촉할 때까지 증가할 것이다. 필름이 이러한 상태에서 순차적으로 카트리지 밖으로 끌어당겨지기 때문에, 그 프레임(및 그 위의 화상)이 손상을 입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서 필름을 자동적으로 감을 수 있고, 필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필름을 감거나 풀 수 있는 필름 카트리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라서, 한쌍의 단부판, 그 한쌍의 단부판 사이에 제공된 전면판 및 그 전면판의 최상단에 일체로 제공된 외방으로 뻗어 있는 필름 입구 형성판을 구비한 카트리지 본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카트리지 본체에 장착되어 있고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에 카트리지 본체와 협력하여 필름저장공간을 형성하고 필름 입구 형성판과 협력하여 필름 입구/출구 포트를 형성하는 커버, 커버를 폐쇄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 필름저장공간에 장착되어 있고 외측으로부터 구동시킴으로써 회전되도록 그 양단이 단부판상에 지지되어 있는 스풀, 및 필름 입구/출구 포트를 통해 삽입된 필름을 스풀의 외주로 유도하기 위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스풀에 맞서서 필름을 가압하기 위해 그 일단이 스풀의 외주에 맞서서 탄성있게 가압되어 있는 가이드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름 카트리지가 제공된다.
스풀의 외주에 맞서서 가이드판의 단부를 가압하기 위해서, 가이드판 자체의 탄성이 이용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별도의 탄성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스풀의 외주에 맞서서 가압되도록 가이드판의 단부상에는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있다.
유지수단은, 커버의 양측면 상에 제공되어 있고 그 단부가 필름 입구 형성판에 접하도록되어 있는 한쌍의 탄성 클로(claw)로 구성될 수 있고, 이 클로는 필름 입구 형성판의 바닥면의 양측면과 맞물릴 수 있다.
필름 카트리지 내에서 필름을 재세팅하기 위해서, 커버는 개방되고 필름 컨테이너 밖으로 끌어당겨진 필름의 선단은 스풀과 가이드판의 단부 사이에서 잡힐 때까지 필름 입구/출구로 삽입된다. 스풀은 스풀 둘레에 필름을 감기 위해서 이 상태에서 회전된다. 필름의 후단이 필름 컨테이너 밖으로 나올 때에, 필름은 필름 컨테이너로부터 그 후단이 절단된다.
커버는 카트리지 본체를 유지하면서 클로의 팁을 밀어올림으로써 또는 커버와 카트리지 본체 사이의 연결부와 클로의 팁을 지지하면서 단부판의 최상부를 밀어내림으로써 개방될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버는 매우 용이하게 개방될 수 있다.
필름이 카트리지에 삽입되고 있는 동안에 광으로부터 필름을 차폐하기 위한 수단이 제공된다. 일단 필름이 카트리지 본체에 세팅되면, 커버는 광의 입사를 방지하기 위해 폐쇄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목적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진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실시예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먼저 제 1 내지 3 도를 참조하면, 카트리지 본체(1)는 한쌍의 단부판(2) 및 단부판(2)의 바닥단 사이에 뻗어 있는 바닥판(3)을 구비한다. 전면판(5)은 활모양부(4)를 통해 바닥판(3)에 일체로 연결된다. 외방으로 뻗어 있는 필름 입구 형성판(6)은 전면판(5)의 최상단상에 일체로 제공된다.
커버(7)의 일단에 제공된 핀(8)을 바닥판(3)의 후단에 형성된 핀홀(9)에 삽입함으로써 커버(7)는 그 일단이 바닥판(3)의 후단에 피봇식으로 결합되어 있다.
커버(7)는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핀홀(9)에 대해 피봇팅될 수 있다. 제 2 도에 도시된 폐쇄위치에서, 필름 저장공간(10)은 커버(7)와 카트리지 본체(1)에 의해 형성되고, 한편 필름 입구/출구 슬릇(11)은 커버(7)의 전단과 필름 입구 형성판(6) 사이에서 형성된다. 필름 입구/출구 슬롯(11)에는, 상부 및 하부 연질 광차폐막(12)이 제공된다.
커버(7)가 폐쇄될 경우에, 광차폐막(12)은 서로 밀착하게 되어 카트리지로의 빛의 입사를 차단한다.
커버(7)를 폐쇄위치로 유지하기 위해 커버유지기구(13)가 제공된다. 제 5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유지기구(13)는, 커버(7)의 양측면 상에 제공되고 그 단부가 필름 입구 형성판(6)에 접하도록 되어 있는 한쌍의 탄성클로(14)를 포함한다. 각각의 클로(14)는 그 팁에 테이퍼 내면을 갖는다. 커버(7)가 폐쇄될 경우에, 클로(l4)는 필름 입구 형성판(6)의 바닥면의 양측면에 맞물려서 커버(7)를 폐쇄위치에서 잠근다.
필름 입구 형성판(6)의 양측면 상에는 그 최상부 에지를 따라 맞물림부(16)가 형성되어 있다. 클로(14)가 맞물림부(16)와 맞물려 있을 경우에 커버(7)는 반 개방 위치로 유지된다 (제 7 도).
맞물림부(16)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 또는 오목부일 수 있다.
스풀(17)과 가이드판(18)은 카트리지 본체(1)와 커버(7)에 의해 형성된 필름저장공간(10)에 장착된다. 필름 입구/출구 슬롯(11)을 통해 필름저장공간(10)에 삽입된 필름은 가이드판(18)에 의해 스풀(17) 위로 유도된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풀(17)은 단부판(2)에 형성된 구멍(19)에 스풀의 양단부를 삽입함으로써 단부판(2)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풀(17)은 구멍(19) 중 하나를 통해 뻗어 있으므로 스풀의 단부는 단부판(2)으로부터 돌출한다. 스풀(17)의 어느 한쪽의 단부에 구멍(20)이 형성되어 있다. 각각의 구멍(20)에는 토크전달리브(21)가 제공되어 있다.
스풀(17)에는 또한 필름저장공간(10)에 위치하고 스풀에 감겨질 필름의 폭과 같거나 큰 거리만큼 서로 이격되어 있는 한쌍의 플랜지(22)가 제공되어 있다. 고무 등의 탄성재료로 만들어진 슬리브(23)는 스풀 상에 감겨진 필름이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플랜지(22) 사이의 스풀(17) 상에 놓여진다.
플랜지(22)에는 그 외부 원주에 환형상 홈(24)이 형성되어 있다(제 3 도). 커버(7)가 폐쇄될 경우에, 커버(7)의 내면 상에 형성된 리브(25)는 양측면 상에서 환형상 홈(24)에 끼워맞춰져서, 커버(7)와 플랜지(22) 사이의 공간을 통한 빛의 통과를 방지한다.
제 4 도를 참조하면, 가이드판(18)은 필름저장공간(10)의 바닥부에 제공된 축(26) 상에 피봇식으로 지지되어 있고 스풀(17) 부근의 단부에서 롤러(27)를 운반한다.
축(26) 상에 지지된 스프링(28)은 스풀(17)의 외주에 맞서서 롤러(27)를 가압하기 위해 롤러(27)를 편위시킨다.
제 2 도 및 제 3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가이드피스(29)가 가이드판(18)의 전방에 제공되어 있다. 이들은 활모양 가이드에지(30)를 가지며 그것을 따라 필름이 가이드판(18)쪽으로 유도된다.
필름 컨테이너 내의 스풀 상에 감겨진 필름을 본 실시예의 필름 카트리지로 보내기 위해서는, 필름의 선단이 필름 입구/츨구 슬롯(11)을 통과하여 필름저장공간(10) 내의 스풀(17)과 롤러(27) 사이에서 잡힐 때까지 필름 컨테이너의 스풀이 컨테이너 밖으로 필름을 이송하도록 회전된다. 이 상태에서, 필름 컨테이너 내의 스풀의 회전이 정지되고 필름 카트리지의 스풀(17)이 그 둘레에 필름을 감도록 회전된다.
스풀(17)은 수동으로 또는 모터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에 모터의 구동축의 팁상에 분기단이 제공되고 분기단은 스풀(17)의 일단에 있는 토크전달리브(21)와 맞물릴 수있다.
필름을 슬롯(11) 내에 삽입할 경우에, 커버(7)는 클로(14)를 맞물림부(l6)와 맞물림으로써 반개방위치로 유지된다(제 7 도).
커버(7)를 반개방하려면, 클로(14)의 팁과, 커버(7)와 카트리지 본체(1) 사이의 연결부가 제 2 도의 점선으로 표시된 지지부재(A)상에 지지된 채로, 단부판(2)의 최상부를 제 2 도의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밀어내린다. 그렇지 않으면, 카트리지 본체(1)를 유지하면서 클로(l4)의 팁을 밀어올린다.
필름(F)의 단부는 반개방 슬롯(11)을 통해 필름저장공간(10)으로 삽입될 경우에, 제 6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판(18)에 의해 유도되고 스풀(17)과 롤러(27) 사이에서 잡힌다. 필름(F)이 스풀(l7)과 롤러(27) 사이에서 잡힌 채로, 스풀(17)은 스풀(l7) 둘레에 필름을 감도록 회전된다.
필름(F)의 후단이 필름 컨테이너 밖으로 나올 때에 필름 컨테이너로부터 절단된다. 그후 커버(7)는 클로(14)를 필름 입구 형성판(6)의 바닥면의 양측면과 맞물리도록 폐쇄된다.
만약 필름 카트리지가 복수의 가이드판(18)과 롤러(27)를 갖는다면, 제 1 롤러와 스풀 사이를 통과한 필름의 단부는 그 탄성으로 인해 스풀의 접선방향으로 다시 튀어오를 것이다.
필름단부는 이 상태에서 제 2 가이드판에 접하고 제 2 롤러와 스풀 사이로 유도된다. 이에따라 필름은 제 1 롤러와 제 2 롤러 사이에서 느슨해지고 느슨해진 상태로 스풀 둘레에 감긴다.
이에 반하여, 본 실시예의 필름 카트리지는 단일 가이드판(18)과 단일 롤러(27)를 가지므로, 필름은 스풀 둘레에 조밀하게 감길수 있다.
필름(F)이 스풀 둘레에 감겨있을 경우에, 롤러(27)는 필름(F)을 탄성있게 가압하여 필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필름이 스풀 둘레에 조밀하게 감기기 때문에, 카트리지 밖으로 필름을 이송할 경우에 필름이 카트리지 본체(1) 또는 커버(7)의 내부면에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름 카트리지 둘레에 감겨있는 필름을 현상하기 위해서 클로(14)를 맞물림부(16)와 맞물려 있는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커버(7)가 반개방된 채로 필름(F)이 카트리지 밖으로 이송된다.
자동 필름 현상기에서, 필름이 그 현상유니트 내에 이송되어있으면 필름 카트리지는 자동적으로 배출된다. 카트리지가 배출될 경우에 커버(7)가 완전히 개방된다면, 배출되면서 막힐 수 있을 것이다.
본 실시예의 구성에서, 커버(7)는 필름이 카트리지 밖으로 이송될 경우에 완전하게 개방되지 않고 반개방되기만 한다. 따라서, 카트리지는 배출되면서 거의 막히지 않는다.
타입 110 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 카트리지는 타입 135 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통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필름 카트리지는 자동 필름 현상기의 필름 세팅부에 제공된 필름통 홀더에 세팅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되면 2가지 타입의 필름, 즉, 타입 135 필름 및 110 필름을 차례차례 현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 8 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실시예에서, 제 2 도에 도시된 롤러(27) 대신에, 가이드판(18)은 그 전면 모서리에 돌출부(18a)를 가진다. 돌출부는 스풀(17)의 외주에 맞서서 탄성있게 가압된다. 돌출부는 스풀(17)에 맞서서 프레임(f)의 양측면 상의 필름(F)의 가장자리를 가압한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필름은 그 프레임을 손상시키지 않고 감기거나 풀릴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름 카트리지 내의 필름을 그 프레임을 손상시키지 않으면서 재세팅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필름의 재세팅을 자동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필름은 스풀 둘레에 조밀하게 감겨질 수 있으므로, 카트리지 밖으로 끌어당겨질 경우에 카트리지 본체 또는 커버의 내면에 결코 접촉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필름의 프레임에 대한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11)

  1. 한쌍의 단부판, 상기 한쌍의 단부판 사이에 제공된 전면판 및 상기 전면판의 최상단에 일체로 제공된 외방으로 뻗어 있는 필름 입구 형성판을 구비한 카트리지본체;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카트리지 본체에 장착되어 있고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에 상기 카트리지 본체와 협력하여 필름저장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필름 입구 형성판과 협력하여 필름 입구/출구 포트를 형성하는 커버;상기 커버를 폐쇄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유지수단; 상기 필름저장공간에 장착되어 있고 외측으로부터 구동시킴으로써 회전되도록 그 양단이 상기 단부판 상에 지지되어 있는 스풀; 및 상기 필름 입구/출구 포트를 통해 삽입된 필름을 상기 스풀의 외주 위로 유도하기 위해 피봇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상기 스풀에 맞서서 필름을 가압하기 위해 그 일단이 상기 스풀의 외주에 맞서서 탄성있게 가압되어 있는 가이드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필름 카트리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외주에 맞서서 상기 가이드판의 상기 일단을 가압하기 위해 상기 가이드판을 편위시키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외주에 맞서서 가압되도록 상기 가이드판의 상기 일단 상에는 롤러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수단은 상기 커버의 양측면 상에 제공되어 있고 그 단부가 상기 가이드판에 접하도록 되어 있는 한쌍의 탄성클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클로는 그 양측면이 상기 필름 입구 형성판의 바닥면과 맞물릴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입구 형성판에는 그 양측면 상에 상기 클로와 맞물릴 수 있는 맞물림부가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6.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에 타입 135 필름을 감기 위한 필름통과 동일한 외부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유지하면서 상기 한쌍의 클로의 팁을 밀어올림으로써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8.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 사이의 연결부및 상기 클로의 팁을 유지하면서 상기 쌍의 단부판의 최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가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에 타입 135 필름을 감기위한 필름통과 동일한 외부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카트리지 본체를 유지하면서 상기 한쌍의 클로의 팁을 밀어올림으로써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상기 커버와 상기 카트리지 본체 사이의 연결부 및 상기 클로의 팁을 유지하면서 상기 쌍의 단부판의 최상부를 가압함으로써 개방위치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름 카트리지.
KR1019960020484A 1995-06-13 1996-06-08 필름 카트리지 KR1002152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45862 1995-06-13
JP14586295A JP3299861B2 (ja) 1995-06-13 1995-06-13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2447A KR970002447A (ko) 1997-01-24
KR100215269B1 true KR100215269B1 (ko) 1999-08-16

Family

ID=15394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0484A KR100215269B1 (ko) 1995-06-13 1996-06-08 필름 카트리지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25170A (ko)
EP (1) EP0749033B1 (ko)
JP (1) JP3299861B2 (ko)
KR (1) KR100215269B1 (ko)
CN (1) CN1077299C (ko)
CA (1) CA2177541C (ko)
DE (1) DE69620950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7176B2 (en) 1999-03-05 2002-09-10 West Bend Film Company, Llc Film canister device for use in a film package assembly and a method for loading a camera therewith and a camera loadable thereby
US7254878B2 (en) * 2001-11-28 2007-08-14 Fujifilm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film
JP4646200B2 (ja) * 2004-10-12 2011-03-09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テープカートリッジ
CN102053478B (zh) * 2010-12-14 2012-07-04 天津爱安特科技股份有限公司 用于计算机图像输出设备的缩微胶片暗盒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40065A5 (de) * 1978-02-27 1983-12-15 Agfa Gevaert Ag Aufwickelvorrichtung fuer bandfoermiges, fotografisches material.
JPS57205731A (en) * 1981-06-12 1982-12-16 Konishiroku Photo Ind Co Ltd Winder for photographic paper
DD271763A1 (de) * 1988-05-05 1989-09-13 Pentacon Dresden Veb Vorrichtung zum verbinden des filmanfanges mit einer aufwickelspule
JP2781295B2 (ja) * 1990-09-10 1998-07-30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US5232175A (en) * 1992-03-30 1993-08-03 Eastman Kodak Company Airtight seal/use indicator for a film cartridge
US5277374A (en) * 1992-03-30 1994-01-11 Eastman Kodak Company Film-ejecting cartridge
US5251839A (en) * 1992-03-30 1993-10-12 Eastman Kodak Company Snap-open film cartridge
JP3408834B2 (ja) * 1993-03-17 2003-05-1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写真フイルムパトローネ
US5320300A (en) * 1993-04-29 1994-06-14 Eastman Kodak Company Self-threading take-up magaz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299861B2 (ja) 2002-07-08
JPH08339051A (ja) 1996-12-24
EP0749033A1 (en) 1996-12-18
DE69620950T2 (de) 2002-08-29
DE69620950D1 (de) 2002-06-06
KR970002447A (ko) 1997-01-24
CA2177541A1 (en) 1996-12-14
CN1165322A (zh) 1997-11-19
EP0749033B1 (en) 2002-05-02
US5725170A (en) 1998-03-10
CA2177541C (en) 2000-09-26
CN1077299C (zh) 2002-0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34325B1 (en) Film cassette
EP0334324A2 (en) Film cassette
US5911380A (en) Paper magazine for containing a recording paper roll
US4908641A (en) Photographic film and film cassette
US5544835A (en) Photographic film cassette, and apparatus and method of loading and removing photographic film in association with the cassette
US4752797A (en) Photographic camera
US4887776A (en) Film cassette
US4505562A (en) Film supporting apparatus for cameras
KR100215269B1 (ko) 필름 카트리지
EP0397083B1 (en) Metering defeat mechanism
US4834236A (en) Light-tight cassette and method for packing rolls of light-sensitive material in a cassette
GB1585619A (en) Daylight cassette for a web of light-sensitive material
JPH04320258A (ja) フィルムカセット
US3384319A (en) Film winding device
GB2237118A (en) Film initial-advance apparatus for a camera
EP0585749B1 (en) Photographic film package
JP2788917B2 (ja) フィルムマガジン装置
JP2002182337A (ja) フィルムカートリッジ
JPH0772790B2 (ja) 遮光性カセット
JPS58116529A (ja) フイルム簡易装填カメラ
JPH08211485A (ja) カメラのフィルム巻取装置
JPH03228051A (ja) リーダスプライサ及びフイルムプロセサ
JPH04258953A (ja) 写真用ロールフィルムの収納容器
JPH08211484A (ja) カメラのフィルム巻取装置
JPH03267939A (ja) 現像装置用フイルム案内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07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