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889B1 -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부착 시공법 - Google Patents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부착 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889B1
KR100214889B1 KR1019920022229A KR920022229A KR100214889B1 KR 100214889 B1 KR100214889 B1 KR 100214889B1 KR 1019920022229 A KR1019920022229 A KR 1019920022229A KR 920022229 A KR920022229 A KR 920022229A KR 100214889 B1 KR100214889 B1 KR 100214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flooring material
flooring
laying surfac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2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0330A (ko
Inventor
도끼가와 카쮸히꼬
오아쮸마 테루
꼬미 히사까쥬
Original Assignee
야기 쿠마키치
후구비 카가구코오교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기 쿠마키치, 후구비 카가구코오교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야기 쿠마키치
Publication of KR930010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0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04F15/02022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with means for aligning the outer surfaces of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94Flooring consisting of a number of elements carried by a non-rollable common support plate or gri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04F15/08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Abstract

타일의 배분, 위치결정, 혹은 접착등을 지극히 간단하게 행할수가 있음과 동시에 타일의 바닥재를 부설면에 견고하게 고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이를 위하여 복수의 테부재를 다각형 형상의 타일의 면에 연하여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상호 교점에서 연결시키는 형상으로 일체 성형한 타일 부착 바닥재에 관한 것이며, 하나의 타일을 포위하는 다각형중에서 적어도 2개의 교점의 근방에는 이 타일과 부설면과의 사이에 접착재를 공급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부재로부터 타일의 부설면의 사이를 향하여 연장되는 타일지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들 타일지지부가 형성된 테부재에는 그 축선을 따라서 내부에 접착재를 충전할 장공이 관통으로 형성되는 것이다.

Description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부착 시공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의 구석부 바닥재를 나타낸 평면도.
제2도는 상기바닥재의 일부를 확대한 바닥재의 평면도.
제3도는 돌기접속부의 형상의 설명도이며 a도는 돌기접속부의 면도, b도는 돌기접속부의 측단면도.
제4도는 끼워마춤 접속부의 형상 설명도이며, a도는 끼워마춤접속부의 평면도, b도는 끼워마춤접속부의 단면도.
제5도는 돌기접속부와 끼워마춤접속부를 접속시킨 상태를 설명하는 접속부의 평면도.
제6도는 종래의 타일부착 바닥재의 접속부끼리의 접속상태를 설명하는 접속부의 측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인 립을 갖는 바닥재의 일부를 확대한 바닥재의 평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의 타일부착 바닥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타일부착을 용이하게 행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및 이와같은 바닥재를 사용한 타일부착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타일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하는 공법으로서, 사전에 타일이 부착되어 있는 판을 현장에서 부착하는 건식공법이 있으며, 또한 이건식공법의 현장 맞춤의 곤란성을 해소한 특공소 63-289180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는 타일 부착방법이 알려져있다. 이 타일 부착방법은 경질고무등으로되고 타일감합홈이 복수 형성된 타일맷드를 사용하는 것이며, 타일을 부설할 경우에 이 타일맷드를 현장마춤시키는 부착위치를 분배하기 위한 실띄음 작업등이 상기 건식 공법과 같이 불필요함과 동시에, 현장마춤이 용이하고, 작업자의 높은 숙련도가 요구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타일맷드를 사용한 방법에서는, 타일을 타일맷드에 끼워마춘것만으로는 외력에 의하여 용이하게 비껴나게 되는 것은 물론이며,타일의 하면에 접착재를 도포하여 부착하였다 하더라도, 각타일은 유연성을 갖는 타일맷드에만 접착되므로, 타일의 적합한 부착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강도가 확보되기 어려운 문제를 가지게 된다.
즉, 타일맷드가 비스고정등에 의하여 부착된 경우에, 예를들어, 타일맷드가 온도변화 또는 습도변화등에 의하여 변형되며는 타일은 타일맷드와 더불어 부분적으로 부설면으로부터 부상될 가능성이 있으며, 또한 예를들어, 타일맷드를 전면적으로 부설면으로부터 부설면에 접착시켜서 이런 가능성을 저감시키는 것이 고려될 수 있으나 이 경우 접착재를 도포하는 수고가 증대하고, 접착재가 다량으로 필요하게 될뿐아니라, 타일맷드가 용이하게 착탈되지 않게되므로, 분배작업의 재수정등이 곤란하여 본래의 특성인 타일의 부설작업의 용이성이 저하된다. 즉, 상기 종래의 타일맷드를 가지고는 이와같은 불편한점을 피하고, 동시에 타일을 바닥지에 대하여 부상되지 않도록 설치할 수 없었다.
그리고, 상기 타일감합홈은 단순한 방형의 홈부로 되어 있으므로 접착재의 도포량을 고려하여 타일을 끼워넣지 않으면 안되고 이점에 있어서는 아직 숙련을 요하게 되었다. 즉, 타일을 높은 신뢰성으로 타일맷드에 접착시키기 위해서는 타일의 주위에도 접착재를 개재시켜야 하며, 따라서, 타일을 끼워넣을때에 접착재가 타일의 주의에 밀려나올만큼의 접착재의 양을 더 필요로 하게되나, 접착재가 너무 많으면은 타일의 각 요홈에서의 접채재의 양을 균일화할 필요가 있게되므로, 타일의 크기에 따라서 접착재의 도포량을 상기 요흠부마다 관리하도록 하여야한다.
그리고, 봉재를 격자형상으로 조합시킨 직립골격을 타일의 부설명에 펴고서, 이직립골격에 의한 구획으로 배분을 하여 타일을 부설하는 방법이 특개평 1-304257호 공보에 표시되어 있다. 이 방법은 상기 타일맷드의 부상과 같은 불편이 없게되며, 더욱이 실띄음에 의한 배분작업이 필요없게 된다는 특징을 갖게되나, 타일을 위치결정할 경우의 안내로서 직립골격의 기능은 지극히 박약하며, 타일 끼워넣는다는 간단한 작업에의하여 타일의 부설이 미숙련공에도 용이하게 행하여질 수 있는 것은 아니였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사정에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타일의 배분작업, 위치결정, 혹은 접착등이 지극히 간단하게 되고, 미숙련자도 용이하게 부설작업을 할수있음과 동시에, 타일의 바닥에 대한 견고한 부착상태를 실현시킬수 있는 타일부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한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타일부착 바닥재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복수의 테부재를 다각형 형상의 타일의 변에 연하여,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서로의 교점에 의해 연결한 형상에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타일을 포위하는 다각형중에서, 적어도 2개의 교점의 근방에는 이 타일과 부설면사이에 접착재를 공급할 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부재로부터 타일의 부설면의 사이를 향하여 연장되는 타일지지부가 형성되고, 나아가 이들 타일지지부가 형성된 테부재에는 그 축선을 따라서 내부에 접착제를 충전할 장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타일부착 바닥재에 의하여는 이 바닥재에 의하여 배분작업을 결정한 후, 이 바닥재를 타일을 부칠 부설면에 사전 고정한 상태에서, 칸막이판부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의 영역내에 접착재를 유입하면서 타일을 끼워마춤으로서, 간단하게 타일부착을 행한다.
즉, 본 발명의 바닥재에는 테부재에 의하여 타일을 끼워 부치는 영역이 복수 구획되므로 타일을 부치고저 하는 부설면에 이 바닥재를 적시에 절단하면서 배열하여 사전고정을 하면은 마무리 상태를 상정하여 배분작업을 행할 수 있고, 실띄음 작업은 필요없게 된다. 타일과 부설면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부재로부터 타일의 부설면의 사이를 향하여, 연장되는 타일지지부가 형성되고, 여기에 접착재가 유입하여 타일과 부설면의 사이의 밀착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이들의 타일지지부가 형성된 테부재에도 축선에 연하여 장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여기에 도접착재가 유입되므로 한층 밀착성이 높아진다. 그리고, 이 발명은 복수의 테부재를 다각형 형상의 타일의 변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서로의 교점에 의해 연결한 형상에 일체로 성형하여 이루어진 타일부착바닥재이고, 이하의 특징을 가진 것을 제공한다.
즉, 상기 테부재는 부설면에 접하는 기판부와 이것에서 입설된 칸막이부에 의해 단면이 역 T자 형상으로 성형되고, 상기 칸막이판부에는 접착재의 유입 또는 유출을 위한 절경이 형성된다.
이 바닥재에 대해서는 단면이 역 T자 형성이 되게하여 테부재 자체의 강도가 높아짐과 동시에 기판부가 타일과 부설면 사이의 공간을 형성하게 되므로 여기에 접착재가 유입하여 타일과 부설면의 사이의 밀착성을 유지한다. 그리고, 칸막이판부는 부설면에 입설되는 것이 되므로, 타일을 끼워넣을때에는 이 칸막이판이 타일의 위치결정 안내로서 작용함과 동시에, 만약 부지면이 수직인 면이라 하여도 끼워넣는 타일은 접착재가 응고될때까지 확실하게 이 칸막이판에 지지되어 위치의 어긋남이나 탈락을 일으키지 않게된다.
그리고, 복수의 타일의 끼워지는 영역에 대하여 고정상태인 칸막이판이 타일의 띄음새를 형성하게 되므로, 마무리된 띄음새는 정확하게 소망의 모양을 형성한다 (소위 사이재를 끼운상태로 된다).
그리고, 타일의 접착재들이 타일이 끼워지는 영역에서 절결을 거쳐서 주위의 영역으로 도망하게 할수 있음과 동시에 바닥재상에 흘러 넣어진 접착재는 경화하기 전에 각 영역 상호간에서 유출 혹은 유입하여 전체적으로 균일화된다. 따라서 타일이 끼워넣어지는 각 영역마다에 접착재의 양을 고려할 필요가 없고, 전체적으로 일괄하여 적량으로 조정된다. 그리고 기판부의 측부에 접착부를 형성하고, 이것을 서로 접속시키므로서 지극히 용이하게 기판부끼리 연결되어 큰 바닥재로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발명은 이하와 같은 시공법을 제공한다.
즉, 타일을 부설면에 부설한 상태로 또한 타일의 하면을 이 부설면에 대향시킨 상태로 이 타일을 지지하는 공간을 복수 구획한 타일부착 바닥재를 사전에 작성하고 이것을 부설면에 예비고정 시킨후에 이공간에 접착재(고정재)를 공급하고, 다시 이공간에 타일을 놓고, 접착재의 고화에 의하여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을 부설면에 고착시키게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타일부착 바닥재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타일부착바닥재(이하 바닥재라 함)이다.
이 바닥재는 예를들어, 인젝션 프레스성형, 진공성형등에 의하여 일체 성형된 것이며, 타일(T)을 부치고져 하는 부설면에 부착되는 기판부(2)와, 이 기판부(2) 상에 입설된 칸막이판부(3)로 구성된다. 칸막이판부(3)는 부착하는 타일(T)보다도 약간 큰 복수의 영역(R)을 구획하게 되는 것이며, 이 칸막이판부(2)에 의하여 구획되는 영역(R)내에 있어서의 기판부(2)에는 각각 각공(관통공)(4)이 형성된다.
즉, 바닥재(1)가 전체로서 격자상으로 형성된다. 이 바닥재(1)의 가판부(2)의 격자형상을 구성하는 대판상의 부분이 교차하는 개소는 십자형의 평판상으로 형성된 평판부(5)로 되어있으며, 이 평판부(5)의 십자의 중심위치에는 못구멍(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평판부(5)에는 십자를 따라서 각각 장공(7)이 형성된다. 기판부(2)의 각공(4)에는 각각 동일 방향쪽의 구석부(S)의 근방에 각각 띠모양의 부분으로부터 각공(4)의 안쪽으로 연장된는 안내편(8)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안내편(8)이 형성되어 있는 구석부(S)로 타일(T)의 각부를 맞추어 위치를 결정하도록 되어있다.
즉, 이 안내편(8)에 의하여 타일(T)의 위치결정방향(제2도 화살표가 방향)을 한눈으로 확인할 수가 있게 되어 있다. 칸막이판부(3)는 영역(R)에 타일(T)이 끼워지며는 타일(T)의 띄음새에 매몰되는 높이로 한것으로써, 그 중간부에는 절결(3a)이 형성된다. 그리고, 절결(3a)에는 단부(3b)가 일체로 형성되며, 칸막이판부(3)를 절결시키므로서 바닥재(1)의 강성의 저하를 억제하여 양호한 강성이 확보된다.
이 바닥재(1)의 가판부(2)의 측부에는 격자를 형성하는 기판부(2)의 대판상의 부분을 연장시킨 접속부(11a, 11b)가 일체 형성된다. 이 접속부(11a, 11b)의 안쪽의 한 측부쪽은 제3a도 및 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부설면으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돌기부(12)를 갖는 돌기접속부(14)가 있으며, 다른 측부쪽은 제4a도 및 b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기 돌기부(12)에 끼워마춘 감합공(13)을 갖는 감합접속부(19)가 있다.
즉, 바닥재(1)의 돌기접속부(14)를 돌기부(12)에 대하여 인접시킨 다른 바닥재(1)의 감합접속부(15)의 감합공(13)을 끼워 맞춤으로써, 한쪽의 바닥재(1)의 기판부(2)의 격자상을 이루는 대판상의 부분이 다른쪽의 바닥재(1)의 기판부(2)의 대판상의 부분과 직선적으로 접속되어 복수의 바닥재(1) 끼리가 연결되도록 되어있다. 그리하여 복수의 바닥재(1) 끼리를 연결하므로서 이 연결부분에도 타일(T)을 장착시킬 수가 있는 사각 형상의 영역(R)이 형성된다.
돌기접속부(14)에서 돌기부(12)의 측부근방에는 구멍부(16)가 형성되며, 이 돌기접속부(14)의 돌기부(12)에 감합접속부(15)의 감합공(13)을 끼워맞추어 접속시킨 상태에서 제5도의 표시와 같이 이 구멍부(16)가 감합접속부(15)의 감합공(13)과 연통하도록 되어있다. 돌기접속부(14)에 형성된 돌기부(12)에는 그 하부근방이 잘룩져있고, 이돌기부(12)에 대해 감합접속부(15)의 감합공(13)을 끼워맞추므로서, 이 감합공(13)이 돌기부(12)의 잘룩져진 개소에 걸어 맞춰지도록 되어있다. 감합접속부(15)의 감합공(13)에는 계지편(17)이 형성되며, 돌기부(12)에 대해 감합공(13)을 끼워맞출때에 돌기부(12)와 감합공(13)과의 확실한 걸어맞춤상태가 확보되도록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11a, 11b)에 의하여 접속시켜서 형성된 영역(R)에 의하여 안내편(8)이 형성되는 구석부(S)에 대해 각부를 맞추어서 타일(T)을 부설하였을때, 이 접속부(11a, 11b)는 타일(T)끼리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된다. 즉, 이 접속부(11a, 11b)는 격자를 구성하는 기판부(2)의 대판상의 부분의 선상으로부터 약간 어긋난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닥재(1)를 사용하여 건축물의 마루면(부설면)에 타일을 부착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먼저, 마루면에 바닥재(1)를 배열하여 예비부착하고, 마무리 상태를 가상하면서 배분작업을 행하고, 이때 바닥재(1)의 평판부(5)의 중심에 형성된 못구멍(6)에 대해 못질하여 부설면에 삽입하므로서 용이하게 이 바닥재(1)를 예비부착 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면에 타일(T)을 부칠경우에는 단지, 바닥재(1)를 배열하는 것으로 된다. 그리고, 타일(T)의 부설면적이 넓은 경우에는 복수의 바닥재(1, 1)끼리를 그 연결부(11a,11b)를 가지고, 연결시켜 대응한다.
2. 다음에 바닥재(1)의 영역(R)내에 예를들어, 시멘트페이스트등의 접착재를 유입시키면서 타일(T)의 각부를 기판부(2)의 안내편(8)이 형성된 구석부(S)방향 즉, 위치결정방향 (제2도중 화살표가 방향)으로 타일(T)의 측부와 칸막이판부(3)를 당접시킬때까지 근접시킨다.
여기서 기판부(2)의 구석부(S)에 타일(T)의 각부를 근접시킬때, 기판부(2)의 대판상의 부분으로부터 각공(4)의 안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안내편(8)이 타일(T)과 부설면과의 사이에 개입되므로서 타일(T)이 기판부(2)와 부설면과의 사이에 개입되므로서 타일(T)이 기판부(2)상에 중합한다. 즉 타일(T)의 측부와 기판부(2)의 측부와의 당접에 의한 위치결정의 불량이 방지되어 확실하게 칸막이판부(3)의 측부에 타일(T)의 측부를 당접시켜 위치 결정시킬 수 있게된다.
이 바닥재(1)에는 각공(4) 및 장공(7)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접착재가 이들 각공(4) 및 장공(7)으로부터 마루면에 확실하게 유입하여 바닥재(1)가 확실하게 마루면에 접착되다. 그리고, 상기 접속부(11a, 11b)가 타일(T)끼리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배치되므로 이 타일(T)의 저면과 접속부(11a, 11b)와의 간섭에 의한 타일이 뜨는등의 장해가 방지된다.
또한 접착재는 칸막이판부(3)의 중간부에 형성되는 절결(3a)을 경유하여 주위의 영역(R)으로 유출가능하므로, 모든 영역(R)에 접착재가 유입되어 질때까지는 약간 과다량으로 넣어두면은 되고, 각 영역(R)에 있어서의 접착재의 양에 대하여 주의를 쏟을 필요는 없다.
3. 그리고 모든 타일(T)을 끼우면은 예비부착을 위하여 못구멍(6)을 통해서 마루면에 꽂을 못을 빼고, 필요에 따라 접착재의 경화를 기다린 후에, 예를들어, 백몰탈등의 틈새 충진재를 타일끼리의 틈새에 충진한다.
그리고 배분작업시의 형장마춤에 의하여 벽의 변부에서 바닥재(1)를 절단하고 영역(R)이 규정의 크기가 아닌 경우에는 그치수에 맞추어 타일(T)을 절단하여 끼워맞추는 것은 종전과 동일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이 실시예의 바닥재(1)에 의하여는 바닥재(1)에 의하여 배분작업을 결정한 후에 이 바닥재(1)를 마루면에 예비부착한 상태에서 칸막이판부(3)에 의하여 구획된 복수의 영역(R)내에 접착재를 흘려넣으면서 타일(T)을 끼워가므로써 지극히 용이하고 또한 확실하게 타일부착을 행할 수 있다. 그리고 칸막이판부(3)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R)에 타일(T)을 끼울때에 기판부(2)의 각공(4)의 구석부(S)에 형성된 안내편(8)이 타일(T)과 마루면과의 사이에 위치된다. 즉, 이 안내편(8)이 타일(T)과 마루면과의 사이에 개입된 상태로 되므로, 타일(T)의 측부와 기판부(2)의 측부의 당접에 의한 위치결정 불량이 발생하는 일없이 타일(T)이 확실하게 기판부(2)에 중합되고, 영역(R)내에서 확실하게 타일(T)의 측부와 칸막이판부(3)의 측부를 당접시켜서 위치결정을 할 수가 있게된다.
그리고 각각의 바닥재(1)끼리의 접속부(11a, 11b)에서는 돌기접속부(14)의 감합공(13)이 연통전 상태로되므로, 제6도의 표시는 종래의 경우와는 달리 타일(T)을 부치기 위하여 접착재를 유입시켰을때에 이 접착재가 이들 연통상태에 있는 감합공(13) 및 구멍부(16)를 지나서 부설면으로 유입되고, 접속부(11a, 11b)가 부설면에 대해 확실하게 접착상태를 확보할 수가 있다. 이로서, 이 접속부(11a, 11b)에 있어서의 부설면으로부터의 박리등의 장해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타일(T)의 부설작업의 작업효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더우기 타일(T)의 부설상태를 칸막이판부(3)에 연하여 규칙적으로, 틈새를 갖는 지극히 양호한 마무리를 행할 수 있게된다. 그리고 안내편(8)이 기판부(2)의 각공(4)의 각각 동일방향쪽의 구석부(S)에 형성되므로, 타일(T)의 위치결정 방향을 지극히 용이하게 확인할 수가 있다.
제7도의 표시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며, 상기 실시예의 바닥재(1)의 강성을 높이기 위하여, 기판부(2)의 각공(4)내에서, 서로 인접하는 기판부(2)의 측부끼리를 리브(15)걸침으로 형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각공(4)내에 리브(15)를 설치하므로서 바닥재(1)의 강성이 향상되어, 마루면에 대한 설치작업시에 있어서의 바닥재(1)의 변형이 방지되고, 설치작업의 작업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십자상의 리브를 기판부(2)의 각공(4)내에서 대향하는 기판부(2)의 측부에 각각 연결시킨 상태로 형성하여도 상기와 동일하게 바닥재(1)의 강성을 향상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의 바닥재(1)의 타일(T)이 끼워 넣어지는 영역(R)의 수량 및 크기는 실시예에 한정받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영역(R)내에서 관통공으로 정방형의 각공(4)을 형성하였으나, 이관통공은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들어, 장방형 혹은 사다리꼴등의 형상의 구멍도 좋은 것은 물론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의 타일부착 바닥재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면에서 부호(21)은 타일부착 바닥재이다. 이 바닥재(21)는 상기 제1 또는 제2실시예의 바닥재(1)와 같이 일체 형성된 것으로, 타일(T2)를 부치고자 하는 부설면에 부착되는 기판부(22)와 이 기판부(22)상에 입설되는 칸막이판부(23)로 구성된다. 기판부(22)는 장척의 판상의 가로틈새부(31)가 복수 본 동일평면상에 서로가 평행하게 배열되고, 서로가 인접하는 가로 띄음새부(31a, 31b) 사이에는 이들 가로띄음새부(31a, 31b)와 수직방향으로 이들의 가로띄움새부(31a, 31b)를 연결하도록 같은 간극으로 세로띄음새(32, 32,...)가 설치된다. 그리고, 서로의 인접하는 가로띄음새부(31b, 31c)의 사이에 있어서도, 이들 가로띄음새부(31a, 31b)와 수직방향으로 이들 가로띄음새(31b, 31c)를 연결하도록 하고, 또한 상기 가로띄음새(31a, 31b) 사이의 세로띄음새부(3, 32,...)의 각각의 사이의 중간점에 위치되도록 세로띄음새(32, 32)가 설치된다. 이와 동일하게 가로띄음새부(31c, 31d...) 사이에 대해서도 상술한 규칙에 따라서 세로띄음새부(32, 32...)가 설치된다.
이들 가로띄음새부(31a, 31b)의 양단부에는 접속부(33a, 33b)가 일체 성형된다. 이들 접속부(33a, 33b) 내에서 한 측부쪽의 접속부(33b)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기부(34)가 형성되고, 다른측부쪽의 접속부(33b)에는 상기 돌기부(34)에 끼워맞춰지는 감합공(35)가 형성된다.
즉, 한쪽의 바닥재(21)의 가로띄음새부(31a, 31b)의 각각의 접속부(33a)의 돌기부(34)에 대해 인접시킨 다른 바닥재(21)의 가로띄음새부(31a, 31b)의 각각의 접속부(33b)의 감합공(35)을 끼워맞추므로써, 한쪽의 바닥재(21)와 다른쪽의 바닥재(21)가 직선적으로 접속되어 복수의 바닥재(21, 21) 끼리가 연결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복수의 바닥재(21, 21) 끼리를 가로, 세로로 연결하므로서 이 연결부분에 타일(T2)을 장착시킬 수 있게 되며, 대략 직사각형상의 영역(R2)에 가로, 세로로 형성되도록 된다. 칸막이판부(23)에는 기판부(22)의 가로띄음새부(31a, 31b)상에 이 가로띄음새부(31a,31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되고, 부칠 타일(T2)보다도 약간 큰 복수의 영역(R2)을 구획하는 것으로 영역(R2)에 타일(T2)이 끼워질 경우에 이 타일(T2)의 띄음새에 매몰되는 높이로 한다. 그리고 이 칸막이판부(23)에 의하여 구획된 영역(R2)내에 있어서의 기판부(22)에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의 구멍(관통공)(24)이 형성된다. 그리고 가로띄움새(31a, 31b)와 세로띄음새(32,32)의 각각의 교차부(41)에 있어서, 칸막이부(23)의 한쪽의 측면에 인접하는 위치에는 기판부(22)를 상기 부설면상에 고정하는 구멍(42)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바닥재(21)를 사용하여 건축용의 벽면(부설면)에 타일 부착을 행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먼저 타일(T2)을 부착하고자 하는 벽면에 수평의 구석내기를 행한 후에 이 구석부에 맞추어서 바닥재(21)를 배열하고, 사전부착을 행하고, 마무리 상태를 예상하면서 배분작업을 행한다.
이때 바닥재(21)의 가로띄음새부(31a, 31b...)와 세로띄음새부(32,32..)를 각각의 교차부(41)에 형성된 구멍(42)에 철근침을 삽입하여 벽면에 박는다. 철근침은 바닥재(21)의 강성이 수평으로 유지될 정도로 임의의 개소에 박는다. 이렇게 하여 용이하게 이 바닥재(21)의 예비부착을 행할 수가 있다.
그리고 마루등의 수평면에 타일(T)을 부칠 경우는 단지, 바닥재 (21)를 배열만 하면된다.
2. 다음에 이 바닥재(T2) 위에서 고무 인두, 플래스틱 인두, 혹은 금속 인두등을 사용하여 타일용 몰탈, 타일용 접착재등을 도포하고, 칸막이판부(23)의 정상부가 나타나도록 도포면을 평탄하게 고른다.
3. 다음에 타일(T2)을 기판부(22)의 소정위치에 배치하고 이 타일(T2)의 하단부를 칸막이판부(23)의 상면에 당접시켜 고정한다.
이렇게하여, 타일(T2)은 기판부(23)상의 소정위치에 고정되고 타일(T2)의 하단부를 당접시키게 되고, 위치결정불량을 방지할 수가 있다. 특히, 중량이 무거운 타일(T2)에 있어서는 종래 빈번히 행하여지던 상하의 어긋남 수정작업이 필요없어져, 보다 높은 정밀도로 아름다운 벽면의 마무리가 가능해진다.
4. 그리고, 벽면에 모든 타일(T2)을 고정하면은 예비부착을 위하여 사용한 철근침을 구멍(42)으로부터 빼내고, 필요에 따라 타일용 몰탈, 타일용 접착재등의 경화를 기다린 후에, 예를들어, 백몰탈등의 띄음새의 충전재를 타일(T2) 끼리의 띄음새에 충진한다. 그리고, 배분작업시의 형장맞춤에 의하여 벽면의 끝부에서 바닥재(21)를 절단하여 영역(R2)이 규정의 크기가 아닌 경우에는 그 치수에 맞추어 타일(T2)을 절단하여 고정하는 것은 종래와 같다.
이상 설명과 같이 이 제3실시예의 바닥재(21)에 의하여는 이바닥재(21)에 의해 배분작업을 한후에 이 바닥재(21)의 구멍(42)에 마루면의 철근침을 삽입하고, 마루면에 고정하므로써 용이하게 바닥재(21)의 예비부착을 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 고정한 상태로 칸막이판부(23)에 의하여 구획되는 복수의 영역(R2)내에 타일(T2)을 고정하므로서 지극히 용이하고 동시에 확실하게 타일부착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타일(T2)의 부설작업의 작업효율을 대폭으로 향상시킬 수가 있다.
또한 타일(T2)의 부설 상태를 칸막이판부(23)에 연하여 규칙적으로 띄음새를 갖는 지극히 양호한 마무리 상태로 다듬을 수가 있게 된다.

Claims (19)

  1. 복수의 테부재를 다각형 형상의 타일의 변에 연하여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서로의 교점에서 연결한 형상으로 일체적으로 형성한 타일부착 바닥재이며, (가) 하나의 타일을 포위하는 다각형중에서 적어도 2대의 교점의 근방에는 이타일과 부설면의 사이에 접착재를 공급할 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부재로부터 타일의 부설면의 사이를 향하여 연장되는 타일지지부가 형성되고, (나) 이들 타일지지부가 형성된 테부재에는 그 축선에 연하여 내부에 접착재를 충전할 장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적어도 하나의 교점에는 상기 타일지지부로부터다각형의 접시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내편이 형성되어 구성되는 타일부착 바닥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를 부설면상에 핀에 의하여 고정하기 위하여 못등이 삽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기판끼리를 연결하여 이것으로 인하여 동일 형상의 다각형을 구성하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는 돌기부를 갖는 돌기접속부와 이 돌기접속부의 돌기에 끼워 맞출 수 있는 감합공을 갖는 감합접속부로 구성되고, 상기 돌기접속부의 측부 부근에는 이들 돌기접속부 및 감합접속부가 상호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감합접속부의 감합공과 연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6. 복수의 테부재를 다각형 형상의 타일의 변에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하고, 상호의 교점에서 연결한 형상으로 일체 성형한 타일부착바닥재이며, 상기 바닥재의 (가) 테부재는 부설면에 접하는 기판부와 이것에서 입설되는 칸막이판부로 되고, 단면이 역T자 형상으로 성형되며, (나) 상기 칸막이판부에는 접착재의 유입 또는 유출을 위한 절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적어도 하나의 교점에는 상기 타일지지부로부터다각형의 접시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내편이 형성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접착 바닥재.
  8. 제6항에 있어서, 이 바닥재를 부설면상에서 핀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못등을 삽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인접하는 기판부끼리를 연결하여 이로인하여 동일형상의 다각형을 구성하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가 돌기부를 갖는 돌기접속부와, 이 돌기접속부의 돌기에 끼워맞춤이 가능한 감합공을 갖는 감합접속부로 구성되며, 상기 돌기접속부의 돌기부 측부근방에는 이들 돌기접속부 및 감합접속부가 서고 접속된 상태에서 상기 감합접속부의 감합공과 연통하는 구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바닥재.
  11. 타일을 부설면에 부설하는 상태에서, 또한 타일의 하면을 그 부설면에 대향시킨 상태에서, 이 타일을 지지하는 공간을 복수 구획한 타일부착 바닥재를 사전에 작성하고, 이것을 부설면에 사전 고정한 후에, 이 공간에 접착재(증정재)를 공급하고, 나아가 이 공간에 타일을 재치하고, 접착재의 고화에 의하여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을 부설면에 고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시공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하나의 타일을 둘러싼 다각형중에서 적어도 2개의 교점 근방에는 이 타일과 부설면의 사이에 접착재를 공급할 공간을 형성하도록 테부재로부터 타일의 부설면의 사이를 향하여 연장되는 타일지지부가 형성되고, 또한 이 타일지지부가 형성된 테부재에는 그축선을 따라 내부에 접착재를 충전하기 위한 장공이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시공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타일부착 바닥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교점에 상기 타일지지부로부터 다각형의 접시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내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시공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에는 이 바닥재를 부설면상에 핀으로 고정하기 위한 못등을 삽통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시공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인접하는 기판끼리를 연결하여, 이것에 의해 동일형상의 다각형을 구성하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시공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테부재를 가지며, 이 테부재가 부설면에 접하는 기판부와 이 기판에 입설되는 칸막이부로 되고, 단면이 역T자 형상으로 성형하고, 상기 칸막이부에는 접착재를 유입 또는 유출시키는 절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시공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에는 적어도 하나의 교점에 상기 타일지지부로부터 다각형의 접시에 내측으로 연장되는 안내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시공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는 그 바닥재를 부설면상에 핀으로 고정하기 위해못등이 상통되는 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시공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기판부 끼리를 연결하여 이것에 의하여 동일 형상의다각형을 구성하는 접속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일부착 시공법.
KR1019920022229A 1991-11-25 1992-11-24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부착 시공법 KR1002148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0943591 1991-11-25
JP91-309435 1991-11-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30A KR930010330A (ko) 1993-06-22
KR100214889B1 true KR100214889B1 (ko) 1999-08-02

Family

ID=17992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2229A KR100214889B1 (ko) 1991-11-25 1992-11-24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부착 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88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37B1 (ko) 2015-11-09 2016-07-05 강상수 방수용 경량 타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1672693B1 (ko) 2015-11-09 2016-11-07 주식회사 이에스피소재 방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36337B1 (ko) 2015-11-09 2016-07-05 강상수 방수용 경량 타일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KR101672693B1 (ko) 2015-11-09 2016-11-07 주식회사 이에스피소재 방수용 시멘트 모르타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타일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0330A (ko) 1993-06-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18036A (en) Tile application backing material and tile application execution method
US8186116B2 (en) Tile tray
US6925764B2 (en) Tile
KR0184686B1 (ko) 빌딩 구조물 건축 시스템 및 그의 건축 방법
US20020059764A1 (en) Device for bridging expansion joints in walls or floors of buildings
CN111779225A (zh) 一种地板块、墙面板以及地板块和墙面板的装配方法
KR100214889B1 (ko)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부착 시공법
CN111997296A (zh) 地板块、墙面板以及地板块和墙面板的装配方法
KR20120102944A (ko) 타일부착 바닥재 및 타일부착 시공법
JP2572505B2 (ja) タイル貼り下地材
CN212534911U (zh) 用作地板块或墙面板的结构
JPS6360190B2 (ko)
JP3247481B2 (ja) タイル床ユニット
JP4099809B2 (ja) レンガ壁およびレンガ壁施工方法
JPH05106326A (ja) タイル貼り下地材
JP3356720B2 (ja) ベースユニット
JP2718880B2 (ja) 壁タイル保持構造
JP2510547Y2 (ja) タイル貼り下地材
JPS5912346Y2 (ja) 化粧板
JPS6146117Y2 (ko)
JPH1136557A (ja) タイルの施工方法及びタイルの施工治具
JPH0120430Y2 (ko)
JPH0544332A (ja) 伸縮目地交差部の施工法
JPH1096287A (ja) 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埋込材、該埋込材の取付け施工法、該埋込材を持つコンクリートスラブ用基板、及び該基板を用いたコンクリートスラブを持つ構造物
JPH0635046Y2 (ja) タイル張設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4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