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4458B1 -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4458B1
KR100214458B1 KR1019960000130A KR19960000130A KR100214458B1 KR 100214458 B1 KR100214458 B1 KR 100214458B1 KR 1019960000130 A KR1019960000130 A KR 1019960000130A KR 19960000130 A KR19960000130 A KR 19960000130A KR 100214458 B1 KR100214458 B1 KR 100214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ce
nurungji
hopper
heating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01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8573A (ko
Inventor
김정익
Original Assignee
김정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정익 filed Critical 김정익
Priority to KR10199600001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4458B1/ko
Publication of KR9700585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85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4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44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17Flakes or other shapes of ready-to-eat type; Semi-finished or partly-finished products therefor
    • A23L7/126Snacks or the like obtained by binding, shaping or compacting together cereal grains or cereal pieces, e.g. cereal ba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ereal-Derive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60℃ 이상의 밥을 호퍼에 공급하고 공급된 밥을 성형시키며 이를 가열 및 건조시켜 포장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하므로 누룽지의 신속 대량생산이 가능하여 많은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제1도는 누룽지 제조방법을 보이는 개략적 순서도.
제2도는 누룽지 제조장치를 보이는 개략적 측면도.
제3도는 호퍼를 보이는 부분 사시도.
제4도는 압착로울러를 보이는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버켓 2 : 공급컨베이어
3 : 호퍼 4 : 공급날개
5 : 감지센서 6 : 제1이송컨베이어
7 : 압착로울로 8 : 가로절단날
9 : 10 : 압차컨베이어 11 : 히터
12 : 건조기 13 : 제2이송컨베이어
14 : 포장기
본 발명은 누룽지의 제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량의 누룽지를 균일하고 신속하게 제조할 수 있어 대량생산에 의한 상품화가 가능토록 된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인스턴트 식품이 급증하는 오늘날에 누룽지는 건강을 도모할 수 있고, 특히 어린이들에게 옛 정서를 함양할 수 있는 좋은 식품인데, 각 가정마다 압력밥솥이나 전기밥솥이 보급되어 누룽지가 생기지 않도록 밥을 태우지 않고 손쉽게 밥을 지을 수 있어, 누룽지가 일상생활 가운데서 점점 잊혀지게 되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누룽지를 대량생산하여 상품화시키므로써 많은 사람들에게 건강식품인 누룽지를 보급할 수 있도록 한 누룽지 제조방법과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60℃ 이상이고, 35∼50%의 수분을 함유하는 밥을 호퍼에 이송시켜서 공급하고, 공급된 밥을 콘베이어와 로울러 및 절단날에 의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일정한 크기로 압착 구획한 다음,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수분함유량이 25∼40% 되도록 누룽지화하고, 원적외선의 열원에 의해 건조하여 수분함유량이 10∼15%인 누룽지로 제조하여 포장완료되도록 되는 방법을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술한 누룽지 제조방법에 적합한 누룽지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밥을 호퍼에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로 이루어진 공급수단과, 상기 호퍼내에 공급닐개와 감지센서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호퍼 하측에 제1이송컨베이어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측으로 압착로울러 및 가로절단날이 설치되어 밥을 일정크기로 구획 성형하는 성형수단과,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압착 구획된 밥을 가열시키도록 한 쌍의 압력컨베이어내측에 히터가 구비되어 있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제조된 누룽지에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기가 구비되어 있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에 의해 건조된 누룽지를 포장하는 포장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어 있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의 한 특징에 의하면, 성형수단의 제1이송컨베이어 상에 호퍼로부터 공급된 밥을 1차로 압착하여 세로로 길게 절단 구획하는 압착로울러와, 제1이송컨베이어 후방에 세로절단된 밥을 다시 가로절단하는 가로절단날이 구비된다.
본 발명 누룽지 제조장치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공급수단의 공급컨베이어상에 비켓이 구비되고 비켓이 호퍼내의 밥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동작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다량의 누룽지를 신속하고 균일하게 제조할 수 있어 이를 상품화하여 많은 사람들이 손쉽게 누룽지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일실예로서의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서,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방법은 60℃이상의 밥을 호퍼에 이송시키는 공급공정과, 공급된 밥을 적당한 크기로 압착 구획하는 성형공정과, 압착구획된 밥을 가열시켜 누룽지화 하는 가열공정과, 성형된 누룽지를 건조시키는 건조공정과, 건조된 누룽지를 포장하는 포장공정을 거치면서 누룽지를 제조하게 되는 바, 양질의 쌀을 세척장치에서 30분간 깨끗이 씻어 약 1시간 정도 물에 담가둔 다음 충분히 물을 흡수한 쌀로 취반기에서 30분간 증숙하여 밥을 만든 후 이를 공급공정을 통해 호퍼(3)로 이송한다.
그 다음 성형공정을 통해 호퍼(3)로부터 공급된 밥을 어느 정도 압착한 후 적당한 크기로 구획하게 되면, 가열공정을 통과하여 더욱 압착되면서 가열되어 밥이 누룽지화 되고, 가열공정후 건조공정을 지나면서 누룽지에 잔류된 수분을 적당한 수준으로 제거하게 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따른 누룽지 제조장치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절히 지어진 밥을 운반하도록 공급수단이 구비되는 바, 이는 상향 경사지도록 공급컨베이어(2)가 설치되고, 이에 밥이 수납되는 버켓(1)이 설치되어 있으며, 공급컨베이어(2)의 상단 하측으로 성형수단이 구비되어 있다.
이 성형수단은 호퍼(3)와 호퍼(3) 하측의 제1이송컨베이어(6)로 대분되어 있는데, 호퍼(3) 내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한 쌍의 공급날개(4)가 구비되어 버켓(1)에 의해 적재되는 밥을 일정량씩 하측의 제1이송컨베이어(6)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고 공급날개(4) 하측의 호퍼(3)에는 한 쌍의 감지센서(5)가 구비되어 공급날개(4)로부터 공급되는 밥의 양을 적절히 조절시키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버켓(1)에 의한 밥의 공급은 호퍼(3) 내의 밥의 적재량이 적정량의 이하가 되면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 공급컨베이어(2)가 작동되어 버켓(1)에 의해 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이때 밥의 온도는 60℃ 이상을 유지하도록 하여야 담백하고 고소한 맛의 누룽지를 제조할 수 있다.
한편, 성형수단의 제1이송컨베이어(6)상에는 호퍼(3) 일측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압착로울러(7)가 구비되어 있어 호퍼(3)에서 공급된 밥은 적절히 압착하면서 세로방향으로 구획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제1이송컨베이어(6) 후방에는 승강되는 가로절단날(8)이 구비되어 장방으로 길게 절단된 압착된 밥을 가로절단하여 압착된 밥이 사각으로 다수 구획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압착로울러(7)와 제1이송컨베이어(6)에 사용된 벨트는 그 재질이 260℃까지 견디는 비교적 열에 강한 테프론이므로 밥을 압착하거나 이송과정에서 눌러붙거나 변형되지 않는다.
이러한 성형수단 일측에는 사각형태로 다수 구획된 밥을 가열시키도록 가열수단이 구비되는 바, 이 가열수단은 상하 배열된 한 쌍의 압착컨베이어(9, 10)가 구비되어 있고, 이 압착컨베이어(9, 10)의 벨트 내측에 대향되도록 히터(11)가 구비되어 있어 압착이송되는 밥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압착컨베이어(9, 10)에 사용된 벨트도 테프론 벨트가 사용되므로 열에 의한 변형이 거의 없고 밥이 눌러붙지 않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압착컨베이어(9, 10) 사이의 간격은 구획 성형된 밥이 이송됨에 따라 더욱 압착되도록 후방 단부측으로 점차 좁아지도록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가열수단 일측에는 압착 가열되어 제조된 누룽지를 건조시키도록 망사벨트를 가지는 제2이송컨베이어(13) 및 건조기(12)로 구성된 건조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건조수단 일측에 건조된 누룽지를 포장하기 위한 공지의 포장기(14)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 누룽지 제조장치는 40% 내외의 수분을 함유한 밥을 버켓(1)에 담아 공급컨베이어(2)에 의해 호퍼(3)에 공급하게 되고, 호퍼(3)내에 밥이 적정량 이상이 되면 도시되지 않은 센서가 작동하여 공급컨베이어(2)의 작동을 중지시키므로 버켓(1)에 의한 밥의 공급이 중지된다.
이와 같이 호퍼(3)에 공급된 밥은 공급날개(4)의 간헐적 회전에 의해 제1이송컨베이어(6)의 선단에 밥을 공급하는데, 제1이송컨베이어(6)에 적재된 밥의 높이가 비교적 낮아 감지센서(5)에 감지되지 못하면 공급날개(4)는 다시 간헐적으로 회전하여 밥을 더 공급하게 되며, 따라서 제1이송컨베이어(6)에 적정 높이의 밥이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따라서, 적정 높이는 공급되어 제1이송컨베이어(6)에 의해 이송되는 밥은 압착로울러(7)에 의해 10mm 정도의 두께를 갖도록 1차 압착되면서 세로로 절단되고 가로절단날(8)에 의해 다시 가로로 절단되어 적당한 크기로 절단, 구획한다.
이와 같이 일정 크기로 구획·절단된 밥은 압착컨베이어(9, 10)를 5분 정도 통과하면서 2차 압착 및 히터(11)로 가열되어 두께가 5mm 정도, 수분함량이 20% 이내인 누룽지가 제조되고, 이러한 누룽지는 건조수단을 통과하면서 건조기(12)의 열품에 의해 수분함량이 10% 내외로 감소되어 누룽지 완제품이 제조되며, 제2이송컨베이어(13)의 벨트가 망사이므로 이에 적재된 누룽지의 통풍을 원활히하여 건조효율을 더욱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여기에 사용되는 열원은 원적외선이 사용되는 바, 가스나 오일에 의한 일반적인 열원과 원적외선 열원을 비교하여 보면 다음과 같다.
[가열효율]
원적외선 가열은 장파장 및 반사판에 의한 피건조물에 집중적으로 열을 복사시키어 누룽지 내부부터 건조가 이루어지는 반면 가스열원은 대류에 의한 간접열에 의하여 건조가 이루어지므로 누룽지 외면부터 건조되어 누룽지 외면의 과다한 고온 건조로 인해 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설비비용]
원적외선 가열로는 콤펙트(COMPACT)화가 가능하므로 일반적으로 설비비용이 저렴하다.
일반 열풍은 단위량의 설비비는 저가이지만 설비 규모가 커짐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비용이 커진다.
[운전비]
가스나 오일을 열원으로 사용하는 열풍은 전력에 비하여 에너지 코스트가 저렴한 것이 최대의 장점이다.
그러나 가열효율이 높은 원적외선 가열로는 전력을 열원으로 사용하면서도 일반 건조기와 가동비가 같거나 유리한 사례가 많다.
[온도제어성]
직접 발열체는 온도제어를 이중으로 하므로 히터온도 및 분위기온도를 높은 정밀도의 온도제어가 가능하다.
일반 건조기는 대류가 발생하므로 열풍내부의 온도 편차가 많으며 제어성에 의한 응답이 적으며 각 존(ZON)별로 제어가 어렵다.
[설비공간]
원적외선 건조로는 단시간 가열이 가능하므로 작업라인이 짧아진다.
이에 비하여, 일반 건조기는 건조기의 길이가 길어질 뿐만 아니라 열원을 비축하기 위하여 가열로(FURMACE)의 용적이 커지지 않으면 안되고 상·하 방향의 체적도 커짐으로써 설비공간이 충분히 요구된다.
이와 같은 장점들을 가지는 원적외선 열원으로 적절히 건조된 누룽지는 자동 포장기(14)로 파장하여 판매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는 건강식품인 누룽지를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이를 소비자에게 대량으로 보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에 의하면, 누룽지를 신속하게 대량으로 생산할 수 있는 즉, 공급, 성형, 가열, 건조, 포장을 자동으로 할 수 있는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를 구비하므로 건강식품인 누룽지의 신속한 다량 보급이 가능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Claims (3)

  1. 60℃ 이상이고, 35∼50%의 수분을 함유하는 밥을 호퍼에 이송시켜서 공급하고, 공급된 밥을 콘베이어와 로울러 및 절단날에 의해 가로, 세로 및 높이가 일정한 크기로 압착 구획한 다음, 히터에 의해 가열하여 수분함유량이 25∼40% 되도록 누룽지화하고, 원적외선의 열원에 의해 건조하여 수분함유량이 10∼15%인 누룽지로 제조하여 포장완료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방법.
  2. 밥을 호퍼(3)에 공급하는 공급컨베이어(2)로 이루어진 공급수단과, 상기 호퍼(3) 내에 공급날개(4)와 감지센서(5)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호퍼(3) 하측에 제1이송컨베이어(6)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측으로 압착로울러(7) 및 가로절단날(8)이 설치되어 밥을 일정크기로 구획 성형하는 성형수단과, 상기 성형수단에 의해 압착 구획된 밥을 가열시키도록 한 쌍의 압착컨베이어(9, 10) 내측에 히터(11)가 구비되어 있는 가열수단과, 상기 가열수단에 의해 가열되어 제조된 누룽지에 수분을 증발시키기 위한 건조기(12)가 구비되어 있는 건조수단과, 상기 건조수단에 의해 건조된 누룽지를 포장하는 포장수단이 구비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수단의 공급컨베이어(2)상에 버켓(1)이 구비되고, 상기 버켓(1)이 호퍼(3) 내의 밥의 적재량을 감지하는 센서에 의해 동작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룽지 제조장치.
KR1019960000130A 1996-01-05 1996-01-05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0214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130A KR100214458B1 (ko) 1996-01-05 1996-01-05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0130A KR100214458B1 (ko) 1996-01-05 1996-01-05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73A KR970058573A (ko) 1997-08-12
KR100214458B1 true KR100214458B1 (ko) 1999-08-02

Family

ID=19449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0130A KR100214458B1 (ko) 1996-01-05 1996-01-05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445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64B1 (ko) 2007-03-09 2008-07-01 (주)미동이엔지 누룽지 제조장치
KR101390855B1 (ko) 2012-06-20 2014-05-02 (주)제피드 어포류 자동생산시스템
CN103976287A (zh) * 2014-05-13 2014-08-13 瑞安市瑞志机械有限公司 辣条机辣条表皮破口装置
KR101448930B1 (ko) * 2014-07-17 2014-10-13 서정일 누룽지 제조용 밥의 배출장치
KR20200119477A (ko) * 2019-04-10 2020-10-20 한성만 누룽지 제조장치
KR20210047766A (ko) * 2019-10-22 2021-04-30 이태원 누룽지 제조장치
KR102410950B1 (ko) * 2021-04-28 2022-06-23 주식회사 스마트푸드 누룽지 및 누룽지 스낵 제조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9670B1 (ko) * 2002-07-19 2004-12-03 정창구 압착누룽지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858284B1 (ko) * 2006-03-24 2008-09-11 김애란 누룽지 제조기
KR101862557B1 (ko) * 2017-10-19 2018-07-13 농업회사법인 조은농산 주식회사 누룽지 제조기
KR200487908Y1 (ko) * 2018-10-18 2019-02-14 주식회사 스마트푸드 입체형 누룽지 제조 장치
KR102657843B1 (ko) * 2023-11-28 2024-04-16 (주)학인 누룽지 자동 제조장치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2364B1 (ko) 2007-03-09 2008-07-01 (주)미동이엔지 누룽지 제조장치
KR101390855B1 (ko) 2012-06-20 2014-05-02 (주)제피드 어포류 자동생산시스템
CN103976287A (zh) * 2014-05-13 2014-08-13 瑞安市瑞志机械有限公司 辣条机辣条表皮破口装置
KR101448930B1 (ko) * 2014-07-17 2014-10-13 서정일 누룽지 제조용 밥의 배출장치
KR20200119477A (ko) * 2019-04-10 2020-10-20 한성만 누룽지 제조장치
KR102229907B1 (ko) 2019-04-10 2021-03-18 한성만 누룽지 제조장치
KR20210047766A (ko) * 2019-10-22 2021-04-30 이태원 누룽지 제조장치
KR102294155B1 (ko) * 2019-10-22 2021-08-25 이태원 누룽지 제조장치
KR102410950B1 (ko) * 2021-04-28 2022-06-23 주식회사 스마트푸드 누룽지 및 누룽지 스낵 제조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8573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4458B1 (ko) 누룽지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4562650A (en) Board drying apparatus
CN201005012Y (zh) 一种叶丝微波干燥设备
PL183596B1 (pl) Urządzenie do obróbki cieplnej materiałów sypkich w przenośnikach ślimakowych
JPH04211338A (ja) 澱粉を含む製品、特に米を熱水作用で処理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CN110037327A (zh) 烟片复烤设备和烟片复烤方法
US5946817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rying shaped ceramic bodies
JPH06502083A (ja) ねり粉製品を押出して乾燥する方法と装置
KR101216148B1 (ko) 슬러지 건조방법 및 그 장치
CN205825676U (zh) 用于水产品烘干机的热风装置
CN102032758A (zh) 一种植物纤维丝干燥方法和装置
CN107965996A (zh) 一种脱水蔬菜高效节能烘干机
US1231594A (en) Drier, cooker, and baker for foods.
KR101549488B1 (ko) 인라인형 숯 건조장치
EP4303513A1 (en) Device for drying materials in granules
CN218764405U (zh) 一种面料用烘干装置
CN206547807U (zh) 一种省力型肉松烘干机
KR101123832B1 (ko) 슬러지 성형 장치
JPH04252140A (ja) 茶葉の連続乾燥装置
KR950031944A (ko) 슬러지 건조방법 및 그 장치
RU216610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сушки круп
JPS6021757Y2 (ja) 連続真空乾燥装置
CN219390396U (zh) 一种分段式定型烘干装置
JP2576717Y2 (ja) 茶葉火入れ機の温度制御装置
JPS621822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5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