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845B1 -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회로 - Google Patents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845B1
KR100213845B1 KR1019910001163A KR910001163A KR100213845B1 KR 100213845 B1 KR100213845 B1 KR 100213845B1 KR 1019910001163 A KR1019910001163 A KR 1019910001163A KR 910001163 A KR910001163 A KR 910001163A KR 100213845 B1 KR100213845 B1 KR 1002138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ircuit
terminal
monitor circuit
power supply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11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0068A (ko
Inventor
에이취. 앨버크랙 제이드
더블유. 티싱거 에릭
Original Assignee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비센트 비.인그라시아
Publication of KR9200000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00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8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8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5/00Details of stores covered by group G11C11/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65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 G01R19/16533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 G01R19/16538Indicating that current or voltage is either above or below a predetermined value or within or outside a predetermined range of values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in AC or DC suppl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Current Or Voltage (AREA)
  •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nd Detecting Electric Faults (AREA)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 Tests Of Electronic Circuits (AREA)

Abstract

다수의 모드 동작용 전원 공급기 모니터링 회로는 전압 레밸을 감지하기 위해, 각각 제1 및 제2 입력에 연결된 제1 및 제2 단일입력 비교기를 구비한다. 기준 회로는 제1 출력에서 기준전압을 발생시킨다. 프로그래밍 회로는 제1 및 제2 단일 입력 비교기의 출력에 연결되며, 다수의 모드 동작 선택을 제공하고 제1 및 제2 입력에서 나타나는 전압 레벨의 함수인 제2 및 제3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3 입력에 응답한다.

Description

집적 전원 공급기 모니터 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제1동작 모드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3도는 제2동작 모드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4도는 제3동작 모드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5도는 제4동작 모드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6도는 제5동작 모드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7도는 제6동작 모드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8도는 제7동작 모드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9도는 제8동작 모드로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비교기 32 : 배타적 OR 게이트
54 : 광 방출 다이오드
본 발명은 모니터링 전압 레벨, 특히, 다수의 모드로 동작하는 만능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에 관한 것이다.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는 이미 공지되어 있으며 일반적으로 정 또는 음의 전원 공급 전원레벨이 소정 레벨 이상, 소정 레벨 이하 소정의 전압 범위(윈도우) 밖, 또는 소정의 전압범위(윈도우) 내에 있을 때를 검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들 검출계획은 정(positive)의 과/부족 전압(윈도우) 검출기, 음의 과/부족 전압(윈도우) 검출기, 이중 정의 과전압 검출기, 이중 음의 과전압 검출기, 이중 정의 부족전압 검출기, 이중 음의 부족전압 검출기, 정 및 음의 과전압 검출기, 정 및 음의 부족전압 검출기와 같은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에 의해 활용되는 여러 모드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종래 기술로 만들어진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는 다중 집적 칩구성을 포함하는데, 이러한 구성에 의해 분리된 집적 회로 칩은 상술된 모드를 실행하기 위해 직렬로 되어있다. 그러므로, 다중 칩은 일반적으로 상기 집적회로 및 비교기의 큰 전압 강하(drop-out) 전압 때문에, 부리 바이어스(separate bias)의 공급을 요구한다. 더구나, 다중 칩 방식은 전력 손실의 증가로 인해, 더 많은 실리콘과 인쇄 회로 기판을 필요로 한다.
종래 기술로 만들어진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는 상술된 많은 모드중 단지 하나 또는 두 개의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전용 단일 칩을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물론, 상기 몇 개의 모드만 이용되기 때문에 적응성을 제한시켰다.
그러므로, 예외적인 융통성을 가진 단일 집적회로 칩 전원 공급 모니터가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을 실행시키기 위해서는, 다수의 모드로 동작하는 전원 공급 모니터링 회로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 공급 모니터링 회로는 각각의 제1 및 제2입력에 연결된 제1 및 제2단일 입력 비교기와, 제1출력에서 기준전압을 발생하기 위한 기준회로와, 상기 제1 및 제2단일입력 비교기 출력에 연결되고(상기 제1 및 제2입력에서 나타나는 전압 레벨의 함수가 되는 제2 및 제3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제3입력에 응답하는) 프로그래밍 회로로 구성되어 있으며, 한편 상기, 제3입력은 다수의 동작 모드 선택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장점은 첨부한 도면과 연관하여 자세히 상술된 명세서를 참조함으로써 더울 잘 이해할 수 있다.
제1도를 참고로 하면, 입력단자(14)에 연결된 제1입력, 독립 전압원(16)에 의해 기준 접지에 연결된 제2입력 및 프로그래밍 회로(18)에 연결된 출력을 가지고 있는 비교기(12)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10)가 도시되어 있다. 비교기(20)는 입력단자(22)에 연결된 제1입력, 독립전압원(24)에 의해 기준접지에 연결된 제2입력과 프로그래밍 회로(18)에 연결된 출력을 가지고 있다. 비교기(12,20)는 단일 입력 비교기로 불리워진다. 그 이유는 각각이 외부 사용을 위한 하나의 입력을 가지며, 다른 입력은 보통 독립 전압원을 통해 기준 접지에 연결되기 때문이다. 게다가, 독립 전압원(16,24)과 함께 비교기(12,20)는 입력단자(14,22)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을 감지하는 어떤 수단으로 대체될 수 있다.
양호한 실시예(10)는 또한 입력단자(28)에 연결된 제1입력, 독립전압원(30)에 의해 기준 접지에 연결된 제2입력과 배타적 OR(XOR) 게이트(32)의 제1입력에 연결된 출력을 갖는 비교기(26)를 포함하는 프로그래밍 회로(18)를 구비하고 있다. 배타적 OR 게이트(32)의 제2입력은 비교기(12)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반면 배타적 OR 게이트(32)의 출력은 트랜지스터(34)의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34)의 콜렉터는 출력단자(36)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트랜지스터(37)의 에미터는 기준 접지로 연결되어 있다. 프로그래밍 회로(18)는 비교기(38)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비교기(38)는, 입력단자(28)에 연결된 제1입력, 독립전압원(40)에 의해 기준 접지에 연결된 제2입력, 배타적 OR 게이트(42)의 제1입력에 연결된 출력을 가지고 있다. 배타적 OR(42)의 제2입력은 비교기(20)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배타적 OR 게이트(42)의 출력은 트랜지스터(44) 베이스에 연결되어 있다. 트랜지스터(44)의 콜렉터는 출력단자(46)에 연결되며, 에미터는 기준 접지로 연결되어 있다.
양호한 실시예(10)는 제1공급 전압단자에 연결되어 있는 기준회로(48)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다. 상기 제1공급 전압 단자에서는, 동작 전위(Vcc)가 출력단자(50)에 소정의 전압 출력을 제공하기 위해 인가된다.
양호한 실시예(10)는 독립 전압원(30)이 출력단자(50)에서는 소정의 기준 전압보다는 크고, 독립 전압원(40)이 출력단자(50)에서 소정의 기준 전압보다 작게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게다가, 독립전압원(16,24)은 단일입력 비교기(12,20)각각에 대해 소정의 임계치를 간단하게 설정하기 때문에, 독립전압원(30,40)의 값 또는 출력단자(50)에서 발생하는 소정의 기준 전압에 의존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독립전압원(16,24)은 일반적으로 음의 전압 감지를 허용하기 위해, 출력단자(50)에 나타나는 소정의 기준 전압의 전압 레벨보다 작은 전압 레벨을 제공하게 된다.
동작에 있어, 배타적 OR 게이트(32,42)의 제1입력의 논리 레벨은 입력단자(28)에서 나타나는 전압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 비교기(12,20,26,38)의 동작은 이미 알려져 있다. 그러나, 간략한 설명이 이해를 돕기 위해 기재되어 있다. 만약 입력단자(28)에서 전압 레벨이 독립 전압원(30)의 전압 레벨보다 작다면, 그때 논리 하이(logic high)가 XOR 게이트(32)의 제1입력에서 나타나거나, 또는 논리 로우(low)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만약 상기 입력단자(28)의 전압 레벨이 독립 전압원(40)의 전압 레벨보다 작다면, 논리 하이가 XOR 게이트(42)의 제1입력에서 나타나거나 그렇지 않으면, 논리 로우가 발생한다. 더구나, XOR 게이트(32,42)의 제2입력 논리 레벨이 각각 입력단자(14,22)에서 발생하는 전압 레벨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입력단자에서 전압 레벨이 독립 전압원(16)의 전압 레벨보다 큰 경우에는, 논리 하이가 배타적 OR 게이트(32)의 제2입력에서 발생하거나 그렇치 않으면 논리 로우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입력단자(22)에서 전압 레벨이 독립 전압원(24)의 전압 레벨보다 큰 경우에는, 논리 하이가 배타적 OR 게이트(42)의 제2입력에서 발생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논리 로우가 발생한다. 배타적 OR 게이트(32,42)의 동작은 이미 알려져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되어져 있다. 더구나, 배타적 OR 게이트(33,42)의 출력이 논리 하이일 때, 트랜지스터(34,44)는 각각, 동작되고 전류는 제2도의 광 방출(light emitting) 다이오드(LED)(54)와 저항(56)을 통해 흐르게 된다. 양호한 실시예(10)에서는, 만약 LED(54)가 LED(54)에 흐르는 전류르 가지고 있고, ON 상태로 되어 있다면, 이것은 에러상태가 입력단자(14) 또는 입력단(22)중 하나 또는 둘다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므로, 반전상태(reverse conditions)는 비교기에서 입력들을 스위칭함으로써, 쉽게 얻어진다. 그 결과, 에러상태가 입력단자(14) 또는 입력단자(22)중의 하나 또는 둘다에서 발생할 때, LED의 동작을 중지시키게 된다.
양호한 실시예(10)는 다수의 모드내에서 동작하여 입력단자(14,22)에 연결된 전원 공급 전압 레벨들을 모니터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특히, 양호한 실시예(10)는 아래에 따르는 모드 : 정의 과/부족 전압(over/undervoltage) 검출기, 음(negative)의 과/부족 전압 검출기, 이중 정의 관전압 검출기, 이중 음의 과전압 검출기, 이중 정의 과전압 검출기, 이중 음의 부족전압 검출기, 이중 정의 부족전압 검출기, 이중 음의 부족전압 검출기, 정 및 음의 과전압 검출기 및 정 및 음의 부족전압 검출기중 어떤 것으로 동작하기 위해 구성된다. 이들 모드 각각의 구성들간의 주요 차이점은, 상술된 다수의 모드중 하나의 모드를 제공하기 위해 프로그래밍 회로(18)에 연결된 입력단자(28)에 공급된 전압 레벨이다. 이들 모드 각각의 구성 사이의 중요한 차이점은 각각의 비교기(12,20)의 스위칭 임계치를 준수하기 위해 입력단자(14,22)에서 여러 전압 레벨을 제공할 때, 요구되는 저항 스케일링(scaling)이다. 이들 기술된 차이 및 다른 차이점들은 제2도 내지 제9도에 상세히 설명되어 있으며, 다음 부분에 자세히 상술될 것이다.
제2도를 참고로 하면, 제1동작 모드로 구성된 양호한 실시예(10)를 도시하고 있다. 제1도와 유사한 성분은 동일한 참고번호에 의해 표시되어 있다. 제2도의 회로는 정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압, 공급원의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범위(윈도우) 밖에서 이동되는 때를 검출하는 정의 과/부족 전압 검출기 모드내에서 동작하는 양호한 실시예(10)를 포함하고 있다. 모든 모드에 있어서, 출력단자(36,45)는 광 방출 다이오드(54)와 저항(56)의 직렬 조합에 의해 동작 전위 Vcc에 연결된다. 그러므로 저항(56)은 LED(54)가 있거나 없는 Vcc 또는 어떤 다른 정의 전압원에 연결된다. 이때 LED(54)는 오직 하나의 출력상태 표시 가능 수단으로서 도시되어져 있다. 상기 제1모드 동작에 대해서는, 출력단자(50)가 입력단자(28)에 연결되어 있다. 게다가, 입력단자(22)는 저항(58)에 의해 기준 접지에 저항(60)에 의해 입력단자(14)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단자(14)는 저항(62)에 의해 단자(64)에 연결되어 있으며, 단자(64)는 일반적으로 정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의 출력에 연결되어 있다.
동작시, 저항(58,60,62)은 입력단자(14,22)에서 소정의 전압 레벨을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단자(64)에 연결된 전원 공급을 위해 전압범위 또는 윈도우를 발생시켜 에러 상태를 나타내지 않고, 내부에서 동작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독립전압원(30)은 출력단자(50)에서 기준 전압보다 크며, 따라서 논리 하이가 배타적 OR 게이트(32)의 제1입력에 나타난다. 또한, 독립 전압원(40)은 출력단자(50)에서의 전압 레벨보다 작으며, 따라서, 논리 로우가 배타적 OR 게이트(42)의 제1입력 단자에 나타난다. 입력단자(28)에 공급된 전압 레벨이 동작 모드 선택을 위해 어떻게 사용되는 가를 확실히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만약 단자(64)의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로 떨어져, 입력단자(14)의 전압이 독립 전압원(16)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임계치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비교기는 (12)는 하이 상태에서 로우 상태로 변화하며, 배타적 OR 게이트(32)의 제2입력에 논리 로우를 제공한다. 이것은 배타적 OR 게이트(32)의 출력에서 논리 하이를 발생시킨다. 그러므로 트랜지스터(34)와 광 방출 다이오드(54)를 동작시키게 된다. 이것은 부족 전압 에러 상태가 단자(64)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단자(64)의 전압 레벨이 소정의 레벨 이상으로 상승하여, 입력단자(22)의 전압 레벨이 독립전압원(24)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전압 레벨위로 상승한다면, 비교기(20)는 로우 상태에서, 배타적 OR 게이트(42) 출력에서 논리 하이를 발생하는 하이 상태로 변화한다. 이것은 트랜지스터(44)와 광 방출 다이오드(54)를 동작시키며, 이것은 과전압 에러 상태가 단자(64)에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요약하면, 제1모드 동작에 대해서는, 입력(64)의 전압 레벨이 저항(58,60,62)으로 구성되어, 저항 분배망에 의해 설정된 전압 윈도우 밖으로 이동될 때, 광 방출 다이오드(54)는 동작하고, 이것은 과전압 또는 부족 전압 에러 상태를 나타낸다.
제3도를 참고하면, 양호한 실시예(10)는 제2동작 모드로 구성되며,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한 성분은 같은 참고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제2동작 모드에 대해서는, 양호한 실시예(10)가, 부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의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범위(윈도우) 밖으로 이동할때를 검출하는 음의 과/부족전압 검출기로 동작한다. 출력단자(50)는 입력단자와 저항(65)에 의해 입력단자(14,2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입력단자(14)는 저항(66)에 의해 입력단자에 연결되며, 입력단자(22)는 저항(70)에 의해 단자(68)에 연결되며, 반면 단자(68)는 일반적으로 부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된다. 제2도의 동작과 같이, 단자(68)의 전압 레벨이 저항(65,66,70)으로 구성된 저항 분배망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전압 윈도우 밖으로 이동될 때, 광 방출 다이오드(54)는 동작하며, 이것은 단자(68)에서 발생하는 과전압 또는 부족전압 에러 상태를 의미한다. 더 크거나 또는 더 작은 전압 레벨들은 접지에 대한 전압 레벨의 절대 값을 일컫는다.
제3도 회로의 상세한 동작은 제2도의 회로에 대한 설명과 같이 기술되지 않는다. 그러나, 제1도 및 제2도의 동작을 이해하면, 제3도의 회로 동작과 제4도 내지 제9도 동작을 이해할 수 있다.
제4도를 참고하면, 양호한 실시예(10)는 제3동작 모드로 구성되며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한 성분은 같은 참고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제3동작 모드에서는, 양호한 실시예(10)가 2개의 전원 공급 중 하나의 전압 레벨이 각각 독립 전압원(16,24)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레벨보다는 더 정으로(more positive) 될 때를 검출하는 이중 정의 과전압 검출기로 동작한다. 입력단자(28)는 동작 전위 Vcc에 연결되어 있으며, 반면 출력단자(50)는 플로팅(floating)이 된다. 입력단자(14)는 저항 (72)에 의해 접지 기준에, 그리고 저항(76)에 의해 단자(74)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입력단자(22)는 저항(78)에 의해 접지 기준에, 저항(82)에 의해 단자(80)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자(74,80)들은 일반적으로 정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어 있다. 동작시, 단자(74) 및/또는 (80)의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더 정으로 될 때마다, 광 방출 다이오드가 동작하고, 이것은 과전압 에러 상태가 하나 또는 2개의 단자(74,80)에서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출력 단자(46)를 출력 단자(36)에 그리고 저항(56) 및 다이오드(54)를 통해 Vcc 에 연결시키는 대신에, 출력 단자(46)는 저항(56)과 다이오드(54)와는 다른 저항과 다이오드를 통해 Vcc 에 연결되므로, 각각의 다이오드의 광은 입력단자(14 또는 22)가 범위밖에 있다는 것을 나타내게 된다는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제5도를 참고로하면, 양호한 실시예(10)는 제4동작 모드로 구성되며,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한 성분은 같은 참고번호로 표시된다. 제4모드 동작에서는, 양호한 실시예(10)가 하나 또는 둘의 전압 공급의 전압 레벨이 각각 저항 분배망(84,90,86,94)에 의해 설정된 소정의 레벨보다 더욱 음으로 될 때를 검출하는 이중의 음의 과전압 검출기로서 동작한다. 입력 단자(28)는 접지 기준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단자(50)는 저항(84)에 의해 입력단자(14)에, 그리고 저항(86)에 의해 입력 단자(22)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단자(14)는 또한 저항(90)에 의해 단자(88)에 연결되며, 입력단자(22)는 저항(94)에 의해 단자(92)에 연결되며, 반면 단자(88,92)는 일반적으로 음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된다. 동작에 있어서, 제4도의 회로 동작과 비슷하며 단자(88) 및/또는 (90)에서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더 음으로 될 때, 광 방출 다이오드(54)는 동작되고, 과전압 에러 상태는 단자(88,92)의 하나 또는 2 개중 하나에서 발생하는 것을 의미한다.
제6도를 참고로하면, 양호한 실시예(10)는 제5동작 모드로 구성되며,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한 성분은 같은 참고번호에 의해 표시되며, 제5모드 동작에 대해 양호한 실시예(10)는, 하나 또는 2 개의 전원 공급기의 전압 레벨의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약간 정(less positive)으로 될 때를 검출하는 이중의 정의 부족 전압 검출기로서 동작한다. 입력단자(28)가 접지 기준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단자(50)는 플로팅(floating)이 된다. 입력단자(14)는 저항(96)에 의해 접지 기준에, 그리고 저항(100)에 의해 단자(98)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입력단자(22)는 저항(102)에 접지 기준에 저항(106)에 의해 단자(104)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자(98) 및 (104)는 일반적으로 정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어 있다. 제4도의 회로와 같이, 단자 98 및/또는 (104)에서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 밑으로 떨어질때마다, 각각 방출 다이오드(54)는 동작하고, 이것은 부족 전압 에러 상태가 단자(98,104)중 하나 또는 2개중 하나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7도를 참고하면, 양호한 실시예(10)는 제6동작 모드로 구성되며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한 성분은 같은 참고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제6동작 모드에 대해서는, 양호한 실시예(10)는 하나 또는 2개의 전원공급기 렙레이 소정의 전압레벨보다 더 음으로 될 때를 검출하는 이중의 음의 부족 전압 검출기로 동작한다. 입력단자(28)는 동작전위 Vcc에 연결되어 있으며, 출력단자(50)는 저항(108)에 의해 입력단자(14)에, 그리고, 저항(110)에 의해 입력단자(22)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단자(14)는 또한 저항(114)에 의해 단자(112)에 연결되어 있고, 반면 입력단자(22)는 저항(118)에 의해 단자(116)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자(112,116)는 일반적으로 음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어 있다. 제6도의 회로와 같이, 단자(112) 및/또는 (116)에서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약간 음극성으로 될 때마다 각각, 광 방출 다이오드(54)가 동작하고, 이것은 음의 과전압 에러 상태가 단자(112,116)의 하나 또는 2개에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제8도를 참고로하면, 양호한 실시예(10)는 제7동작 모드로 구성되며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한 성분은 같은 참고번호에 의해 표시된다. 제7동작 모드에 대해서, 양호한 실시예(10)는 정의 전압을 가진 전원 공급기가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더 정으로 되고 음의 전압을 가진 전원 공급기가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더욱 음으로 될때를 검출하는 정 및 음의 과전압 검출기로 동작한다. 출력단자(50)는 저항(124)에 의해 입력단자(28)와 입력단자(14)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 단자(14)는 저항(124)에 의해 단자(122)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입력단자(22)는 저항(126)에 의해 접지 기준에, 저항(130)에 의해 단자(128)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자(128)는 일반적으로 정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어 있으며, 단자(122)는 음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어 있다. 동작시, 단자(122)의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더욱 음으로 될 때마다, 광방출 다이오드(54)가 동작되고, 이것은 과전압 에러 상태가 난자(128)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9도를 참고하면, 양호한 실시예(10)는 제8동작 모드로 구성되며, 제1도 및 제2도와 유사한 성분은 같은 참고번호로 표시된다. 상기 제8모드 동작에 대해, 양호한 실시예(10)는 정의 전압을 가진 전원 공급기가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약간 정으로 되고 음의 전압을 가진 전원 공급기가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약간 음으로 될 때를 검출하는 정 및 음의 부족전압 검출기로 동작한다. 출력단자(50)는 저항(132)에 의해 입력단자(28)와 입력단자(22)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단자(14)는 저항(134)에 의해 접지 기준에, 저항(138)에 의해 단자(136)에 연결되어 있다. 그러므로 단자(136)는 일반적으로 정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되어 있다. 입력단자(22)가 저항(142)에 의해 단자(140)에 연결된 경우에는, 단자(140)는 일반적으로 음의 전압 레벨을 발생하는 전원 공급기에 연결된다. 동작시 단자(136)의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약간 정으로 될 때마다, 광방출 다이오드(54)가 동작되고, 이것은 부족 전압 에러 상태가 단자(136)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단자(140)의 전압 레벨이 소정의 전압 레벨보다 다소 음으로 될 때마다, 광 방출 다이오드(54)가 동작되며, 이것은 부족 전압 에러 상태가 단자(140)에서 발생했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는 다수의 동작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융통성이 증가된 새로운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가 제공되어졌다.

Claims (3)

  1. 다수의 모드에서 동작하는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예컨대, 모니터 회로; 10)에 있어서, 제1출력(예컨대, 단자(50)에서의 출력)에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회로(예컨대, 기준 회로; 48)와, 모니터 회로의 제1과 제2입력(예컨대 단자들(14,22)의 입력)에 각각 연결된 입력들을 가지고 있으며 인가된 전압 레벨들을 감지하기 위한 제1과 제2 비교기(예컨대, 비교기들;12,20) 및 제1비교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1입력과 제2 비교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2 입력을 가지고 있는 프로그래밍 회로(예컨대 회로; 1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그래밍 회로는 모니터 회로의 제3입력(예컨대 단자 28에서의 입력)에 인가된 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모드들을 선택하고 제1과 제2 입력들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들의 함수가 되는 모니터 회로의 각 출력들(예컨대, 단자(36,46에서의 출력))에 제2 와 제3 의 출력 신호를 제공하는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
  2. 집적 회로내에서 다수의 모드내에서 동작하는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예컨대, 모니터 회로; 10)에 있어서, 상기 모니터 회로의 제3단자(예컨대, 출력; 50)에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회로(예컨대 회로 1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그래밍 회로는 모니터 회로의 제4단자(예컨대, 기준 회로; 48)와, 모니터 회로의 제1 과 2 입력(예컨대, 단자들; 14,22)에 각각 연결된 입력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입력들에 인가된 전압 레벨들을 감지하기 위한 제1과 2 비교기(예컨대 비교기들; 12,20) 및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1입력과 제2비교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2입력을 가지고 있는 프로그래밍 회로(예컨대, 단자; 28)에 인가된 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모드들을 선택하며 모니터 회로의 제1과 제2단자들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들의 함수가 되는 모니터 회로의 제5와 제6단자들(예컨대, 단자들; 36,46)에 출력들을 제공하는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
  3. 다수의 모드로 동작하기 위해 전원 단자(예컨대, Vcc)와 접지 단자를 가지고 있는 8-단자 패키지내의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예컨대, 모니터 회로; 10)에 있어서. 상기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의 전원 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의 제3 단자(예컨대, 출력; 50)에서 기준 전압을 발생시키는 기준 회로(예컨대 기준 회로; 48)와. 모니터 회로의 제1과 제2 단자들(예컨대. 단자들; 14,22)에 각각 연결된 입력들을 가지고 있으며 그 입력들에 인가된 전압 레벨들을 감지하기 위한 제1과2 비교기(예컨대 비교기들; 12,20) 및 제1 비교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1입력과 제2비교기의 출력에 연결된 제2입력을 가지고 있는 프로그래밍 회로(예컨대, 회로; 18)를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프로그래밍 회로는, 모니터 회로의 제4단자(예컨대, 단자; 28)에 인가된 신호에 응답하여, 다수의 모드들을 선택하여, 모니터 회로의 제1과 제2단자들에 나타나는 전압 레벨들의 함수가 되는 모니터 회로의 제5와 제6단자(예컨대, 단자들; 36,46)에 출력을 제공하는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 회로.
KR1019910001163A 1990-02-05 1991-01-24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회로 KR10021384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474,908 US4980791A (en) 1990-02-05 1990-02-05 Universal power supply monitor circuit
US474,908 1990-02-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0068A KR920000068A (ko) 1992-01-10
KR100213845B1 true KR100213845B1 (ko) 1999-08-02

Family

ID=238854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1163A KR100213845B1 (ko) 1990-02-05 1991-01-24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회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80791A (ko)
JP (1) JP2937504B2 (ko)
KR (1) KR1002138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24010A (en) * 1991-08-21 1993-06-29 Compaq Computer Corporation Power supply supervisor with independent power-up delays and a system incorporating the same
US5289166A (en) * 1991-10-04 1994-02-22 Lambda Electronics Inc. Voltage detector
US5229697A (en) * 1992-01-30 1993-07-20 Siemens Industrial Automation, Inc. Sampling bipolar peak detector for sensing a non-symmetrical decay of an AC voltage signal
DE4221779A1 (de) * 1992-07-01 1994-01-05 Siemens Ag Meldesystem
US5473497A (en) * 1993-02-05 1995-12-05 Franklin Electric Co., Inc. Electronic motor load sensing device
JP2734963B2 (ja) * 1993-12-28 1998-04-02 日本電気株式会社 低電圧コンパレータ回路
US5737168A (en) * 1995-05-04 1998-04-07 Baker; George T. Electrical power management system
US5805091A (en) * 1996-02-12 1998-09-08 Analog Devices, Inc. Reference voltage circuit
US5859768A (en) * 1997-06-04 1999-01-12 Motorola, Inc. Power conversion integrated circuit and method for programming
JP3795195B2 (ja) * 1997-08-22 2006-07-12 三菱電機株式会社 ヒステリシス特性を有する電圧監視回路
US6510064B1 (en) * 1999-03-24 2003-01-21 Dell Products L.P. Power supply restart circuit
US6462971B1 (en) 1999-09-24 2002-10-08 Power Integr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a multi-function terminal for a power supply controller
US7557725B2 (en) * 2003-09-30 2009-07-07 Intel Corporation Event signature apparatus, systems, and methods
CN1979992A (zh) * 2005-12-07 2007-06-13 比亚迪股份有限公司 一种二次电池组的充放电保护电路
JP5924199B2 (ja) * 2012-09-05 2016-05-25 ソニー株式会社 電源監視装置、交直変換装置、および、電源監視装置の制御方法
JP6767417B2 (ja) 2018-03-29 2020-10-14 平田機工株式会社 加工システム及び加工方法
CN112117740B (zh) * 2020-08-21 2023-09-15 亚美智联数据科技有限公司 欠压保护触发电路、欠压保护装置和供电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35969U (ko) * 1978-03-14 1979-09-20
JPS60138474A (ja) * 1983-12-27 1985-07-23 Ricoh Co Ltd 電源電圧異常検知回路
US4623833A (en) * 1984-12-31 1986-11-18 Motorola, Inc. Alternator system multifunction fault detector
US4724375A (en) * 1986-11-12 1988-02-09 Dittmar Norman R Selectable direct current power supply
US4951171A (en) * 1989-05-11 1990-08-21 Compaq Computer Inc. Power supply monitoring circuitry for compute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80791A (en) 1990-12-25
JP2937504B2 (ja) 1999-08-23
KR920000068A (ko) 1992-01-10
JPH04213074A (ja) 1992-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845B1 (ko) 집적 전원 공급 모니터회로
US5081379A (en) Current-sensing circuit for an ic power semiconductor device
US5245523A (en) Power delivery circuit with current detection
US7684163B2 (en) Abnormal connection detecting circuit and driv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US4659944A (en) High voltage detection circuit
CA1122663A (en) Protection circuit for transistorized switch
JP3656758B2 (ja) 動作状態検出回路
KR100366867B1 (ko) 누설저항 테스트용 회로장치
JPH1118277A (ja) 過電流検出回路
US5266840A (en) Circuit for detecting the failure of a load which is connected in series with an electronic switch
US5451891A (en) Potential detecting circuit
EP0238803B1 (en) Stabilized power-supply circuit
JPH05315931A (ja) レベルシフト回路
EP0344715A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temperature detecting means
US7692442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 current and temperature for an integrated circuit
US6204699B1 (en) Voltage detection circuit
JPH02260712A (ja) スイッチ回路
JPH11160370A (ja) 異常電圧検出回路
JP3338929B2 (ja) 電源装置の低電圧異常検出回路
KR0119736Y1 (ko) 전원전압 선택회로
JP2007073841A (ja) 駆動回路
JP2629488B2 (ja) 多出力センサ回路
JPH1068747A (ja) 電源電圧変動検出回路
KR200143128Y1 (ko) 과전류 보호 회로
JPH051766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429

Year of fee payment: 12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