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295B1 - 제초성 치환 이환식 트리아졸 - Google Patents

제초성 치환 이환식 트리아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295B1
KR100207295B1 KR1019930700749A KR930700749A KR100207295B1 KR 100207295 B1 KR100207295 B1 KR 100207295B1 KR 1019930700749 A KR1019930700749 A KR 1019930700749A KR 930700749 A KR930700749 A KR 930700749A KR 100207295 B1 KR100207295 B1 KR 100207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ts
compound
perennial crop
germination
t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7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1917A (ko
Inventor
코피 샘 아무티
Original Assignee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이. 아이. 듀퐁 드 네모아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미리암 디. 메코너헤이
Publication of KR9307019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19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29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9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초제로서 유용한 하기 일반식(Ⅰ)의 치환 이환식 트리아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제초성 치환 이환식 트리아졸
[관련 출원과의 상호 참조]
본 출원은 1990년 9월 13일자로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 출원 제07/581,994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의 화합물은 제초제로서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사실은 미합중국 특허 제4,213,773호 및 미합중국 특허 제4,881,967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들 특허에는 다년생 작물에 이러한 제초제의 사용에 관해서는 교시하고 있지 않다. 다년생 작물은 중요한 시장이며, 감귤류, 사탕수수, 커피, 바나나, 기름 야자 등의 작물은 인류의 식품으로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고무와 같은 다년생 작물은 산업 원료 물질의 중요 제공원이다. 이들 작물은 특히 태평양 연안 및 남아메리카 등지에서 재배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다년생 작물을 처리하는 데 유용한 제초제가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화학식(Ⅰ)의 화합물 및 그의 농업상 적합한 염의 다년생 작물에 대한 넓은 범위의 잡초를 방제하기 위한 신규 용도에 관한 것이다.
상기 식 중,
R은 이소프로필, 알릴, 프로파르길 또는 -CH(CH3)C≡CH이고,
X는 Cl 또는 Br이며,
Y는 F 또는 Cl이고,
Z는 H이거나 또는 연결 산소가 메틴 탄소에 결합되도록 R과 함께 -CH2CHCH3를 형성할 수 있다.
보다 효율적인 잡초 방제 및 보다 양호한 작물의 약물 내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한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X가 Cl이고, Y가 Cl이며 Z가 H인 화학식(Ⅰ)의 화합물 제초 유효량을 잡초의 서식지에 살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다년생 작물 중의 잡초 방제 방법.
2. 방법1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감귤류, 사탕수수, 커피, 바나나 및 테다소나무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3. 방법1에 있어서, 화합물이 2-[2,4-디클로로-5-[(2-프로피닐)옥시]페닐]-5,6,7,8 테트라히드로-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3(H)-온인 방법.
4. 방법3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감귤류인 방법.
5. 방법3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사탕수수인 방법.
6. 방법3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커피인 방법.
7. 방법3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바나나인 방법.
8. 방법4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테다소나무이고 화합물이 발아전에 살포되는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합성]
화학식(Ⅰ)의 화합물은 미합중국 특허 제4,213,773호 및 동 제4,881,967호의 방법에 따라 제조할 수 있다. 이들 특허 문헌은 본 발명의 선행 기술 문헌으로서 기재한다.
본 발명에 사용하기 위한 특히 중요한 화합물은 다음과 같다.
[제제]
화학식(Ⅰ)의 화합물의 유용한 제제는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들 제제의 예로는 산제, 입제, 펠릿, 액제, 현탁액제, 유제, 수화제, 유화 농축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다수는 즉시 사용할 수 있다. 분무성 제제는 적절한 매질 중에서 증량시켜 1헥타아르당 수 리터 내지 수백 리터의 부피로 분무시킬 수 있다. 고농도의 조성물은 주로 다른 제제를 위한 중간체로 사용할 수 있다. 대체로, 이들 제제는 약 0.1 내지 99 중량%의 활성 성분(들)과, (a) 약 0.1내지 20 중량%의 개면활성제(들) 및 (b) 약 1내지 99.9 중량% 고상 또는 액상 희석제(들) 중의 1종 이상을 함유한다. 더 구체적으로, 이들 제제는 이 성분들을 하기의 대략적인 비율로 함유할 것이다.
물론, 목적하는 용도 및 회합물의 물성에 따라 더 낮거나 또는 더 높은 농도로 활성 성분이 존재할 수 있다. 때로는 계면활성제의 활성 성분에 대한 비율이 더 높은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제제에 혼합시키거나 또는 탱크 혼합에 의해 얻을 수 있다.
전형적인 고상 희석재는 문헌[와트킨스(Watkins) 등의 Handbook of insecticide Dust Diluents and Carriers, 제2판, 뉴저지주 캘드웰 소재 Dorland Books]에 기재되어 있으나, 채굴되거나 또는 제조된 다른 희석제도 사용될 수 있다. 흡수성이 더 큰 희석제가 수화제로서 바람직하며, 보다 농밀한 희석제가 산제용으로서 적합하다. 전형적인 액상 희석제 및 용매가 문헌 [마스덴(Marsden)의 Solvents Guide, 제2판, Interscience, 뉴욕주 소재, 1950년]에 기재되어 있다. 0.1% 이하의 용해도는 현탁액제에 바람직하고, 농축 액제는 0℃에서 상분리에 대해 안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문헌[McCutcheon's Detergents and Emulsifiers Annual, Mc Publishing Corp., 리지우드, 뉴저지주 소재 및 시즐리(Sisely) 및 우드(Wood)의 Encyclopedia of Surface Active Agents, Chemical Publishing Co., Inc., 뉴욕주, 1964년]에는 계면활성제 및 추천된 용도가 나열되어 있다. 모든 제제는 발포, 응결, 부식, 미생물의 생장 등을 감소시키기 위해 소량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의 제조 방법은 잘 알려져 있다. 액제는 성분들을 단순히 혼합시켜 제조한다. 미세한 고상 조성물은 혼합 및 해머 또는 유체 에너지 분쇄기에 의한 통상적인 분쇄에 의해 제조한다. 현탁액제는 습식 분쇄시켜 제조한다(리틀러(Littler)의 미합중국 특허 제3,060,084호 참조). 입제 및 펠릿은 활성 물질을 예비 형성된 입제 담체 상에 분무시키거나 또는 응집 기술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브라우닝 (J. E. Browning) 의 Agglomeration, Chemical Engineering, 1967년 12월 4일, 제147페이지 이하, 및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제5판, 맥그로우힐, 뉴욕주 소재, 1973년, 제8-57페이지 이하 참조).
제제 기술에 관한 추가 정보에 대해서는 하기 문헌 참조:
라욱스(H. M. Loux)의 미합중국 특허 제3,235,361호, 1966년 2월 15일, 6행16열 내지 7행 19열 및 실시예 10 내지 41,
루켄바우프(R.W. Luckenbaugh)이 미합중국 특허 제3,309,192호, 1967년 3월 14일, 5행 43열 내지 7행 62열 및 실시예 8, 12, 15, 39, 41, 52, 53, 58, 132, 138-140, 162-164, 166,167 및 169-182,
지신(H. Gysin) 및 누슬리(E. knusli) 의 미합중국 특허 제2,891,855호, 1959년 6월 23일, 3행 66열 내지 5행 17열 및 실시예 1-4,
클링맨(G. C. Klingman)의 Weed Control as a Science, 죤 윌리 앤드 선스, 인크. (John Wiley and Sons, Inc., 뉴욕주, 1961년, 제81-96페이지 및
프라이어(J. D. Fuyer)와 에반스(S. A. Evans)의 Weed Control Handbook, 제5판,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옥스퍼드, 1968년, 제101-108 페이지.
하기 실시예에서, 달리 지적하지 않는 한, 모든 부는 중량부이다.
[실시예 1]
[수화제 ]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모든 고상물들이 필수적으로 50이하로 될 때까지 해머 분쇄시키고, 재혼합시키고 포장하였다.
[실시예 2]
[수화제]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조대하게 해머 분쇄한 후 공기 분쇄시켜 본질적으로 직경이 10μ 이하인 입자들을 얻었다. 생성물을 재혼합한 후 포장하였다.
[실시예 3]
[입제]
(U.S.S. 20-40 메쉬; 0.84-0.42 mm)
25% 고상물을 함유하는 수화제의 슬러리를 이중 원추 혼합기로 애터펄가이트 입제의 표면 상에 분무시켰다. 이들 입제를 건조시키고 포장하였다.
[실시예 4]
[압출 펠릿]
상기 성분들을 혼합하고, 해머 분쇄시킨 후 약 12% 물로 보습시켰다. 혼합물을 약 3㎜ 직경의 실린더를 통해 압출시키고 절단하여 약 3㎜길이의 펠릿을 제조하였다. 이들 펠릿은 건조시킨 직후에 사용하거나, 건조된 펠릿을 U.S.S 제20호 체(0.84㎜ 개구)를 통과시켜 분쇄시킬 수 있다. U.S.S. 제40호 체(0.42㎜ 개구) 상에 유지된 입제를 사용할 수 있게 포장하고 나머지 분말을 위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5]
[저농도 입제]
활성 성분을 용매에 용해시키고 용액을 이중 원추 혼합기로 입제 상에 분무시켰다. 용액의 분무가 완결된 후, 혼합기를 단시간 동안 가동하고, 이어서, 입제를 포장하였다.
[실시예 6]
[입제]
상기 성분들을 혼합시키고 분쇄시켜 100매쉬 스크린을 통해 통과시켰다. 이어서, 이 물질을 유동충 과립기에 첨가하고, 공기 흐름을 조절하여 물질을 부드럽게 유동화시키고, 유동 물질 상으로 물을 미세 분무시켰다. 목적하는 크기 범위의 입제가 얻어질 때까지 유동화 및 분무를 계속하였다. 분무는 중지하지만, 물의 함량이 목적하는 수준, 일반적으로 1%이하로 감소할 때까지 임의로 열을 가하면서 유동화를 계속하였다. 이어서, 이 물질을 배출시키고, 목적하는 크기범위, 일반적으로 14-100메쉬(1410-149μ)로 스크린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포장하였다.
[실시예 7]
[수성 현탁액제]
상기 성분들을 샌드 밀로 함께 혼합하고 분쇄시켜 필수적으로 5μ 이하 크기의 입자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8]
[고농도 농축제]
상기 성분들을 해머 필드 밀로 혼합 분쇄시켜, 필수적으로 U.S.S. 제50호 스크린(0.3㎜ 개구)을 통과하는 물질을 얻었다. 필요할 경우, 농축제를 추가로 제제화할 수 있다.
[실시예 9]
[수화제]
상기 성분들을 해머 밀로 혼합 분쇄시켜 필수적으로 모두 100μ 이하의 입자들을 얻었다. 이 물질을 U.S.S 제50호 스크린을 통해 걸른 후 포장하였다.
[실시예 10]
[수화제]
상기 성분들을 철저히 혼합하고, 조대하게 해머 분쇄시킨 후, 공기 분쇄시켜 필수적으로 모두 10μ이하 크기인 분말을 얻었다. 이 물질을 재혼합시킨 후 포장하였다.
[실시예 11]
[유성 현탁액제]
상기 성분들을 샌드 밀로 함께 혼합하고 분쇄시켜 필수적으로 모두 5μ 이하인 입자들을 제조하였다. 이 생성물은 즉시 사용하거나, 유상물과 증량시키거나 또는 물 중에 유화시킬 수 있다.
[실시예 12]
[산제]
활성 성분을 애터펄가이트와 혼합시킨 후 해머 밀을 통해 통과시켜 실질적으로 모두 200μ 이하인 입자들을 얻었다. 이어서, 분쇄된 농축물을 균질해질 때까지 분말 피로필라이트와 혼합시켰다.
[실시예 13]
[유성 현탁액체]
상기 성분들을 고형 입자들이 약 5μ 이하로 감소될 때까지 샌드밀로 함께 분쇄시켰다. 생성된 증점 현탁액을 즉시 살포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유상물로 증량시키거나 물 중에 유화시킨 후 살포할 수 있다.
용도
본 발명의 화합물은 커피, 코코아, 기름 야자, 고무, 사탕 수수, 감귤류, 포도, 과일나무, 견과나무, 바나나, 요리용 바나나, 파인애플, 침엽수, 예를 들면 테다소나무, 및 잔다종 켄터키 블루그래스, 세인트 아우구스틴 그래스, 켄터기 김의털 및 버뮤다그래스를 비롯한 일체의 다년생 작물에 대한 선택적 및(또는) 일반적인 활엽 및 잔디 잡초를 방제하는데 효과적인 제초제이다.
이들 화합물은 발아전 또는 발아후 처리로서 밴딩, 즉석 분무 또는 광범위 살포법을 사용하여 살포할 수 있다. 당업자들에게 명백한 적절한 비율을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은 모든 식물의 완전한 방제이 요구되는 영역, 예를 들면 연료저장 탱크 근처, 군수품 창고 근처, 산업용품 저장소 근처, 유정 부위, 드라이브인 극장, 광고게시판 근처, 고속도로 및 철도 구조물 및 울타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별법으로, 적절한 비율 및 보조제를 선택함으로써, 본 발명의 화합물을 다년생 작물, 예를 들면 감귤류, 사탕수수, 커피, 기름야자, 고무, 코코아, 포도, 과일 나무, 파인애플, 및 세인트 아우구스틴그래스, 켄터키 블루그래스, 버뮤다그래스, 켄터키 김의털과 같은 잔디종 중의 잡초를 선택적으로 방제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들은 5 내지 5000 g/h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0 g/ha 범위의 비율로 사용된다. 당업자들은 주어진 상황에 대해 적절한 비율을 선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아래 나열된 다른 제초제와 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제초제는 특히 다년생 작물 중의 모든 식물을 방제하기 위한 배합물에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트리아진, 트리아졸, 우라실, 우레아, 아미드, 카르바메이트, 비피리딜리움, 페녹시, 술포닐우레아 및 이미다졸형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제초제는 메플루이다이드, 글리포세이트 또는 글루포시네이트와 배합하여 사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초 특성은 하기 많은 온실 시험을 수행하는 중에 발견되었다.
[화합물표]
[시험 1]
콩과 작물 푸에라리아 자바니카(Pueraria javanica) 및 칼라포고늄 무쿠노이데스(Calapogonium mucunoides)의 종자를 온실용 파종 배지로 채워진 11.4㎠의 화분에 파종하였다. 파스팔룸 콘주게이룸(Paspalum conjugatum)의 삽수(揷穗)를 동일한 파종 배지로 채워진 15.2㎠의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식물의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용매 중의 시험 화합물을 분무하였다. 처리된 식물을 처리후 14일(DAT)간 육안으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손상의 평가를 0 내지 100의 수치로 나타냈으며,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20은 최소 손상율을 나타내고,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시험 2]
띠(Imperata Cylindrica)의 뿌리 및 미카니아종(Mikania spp.)의 줄기 삽수를 온실용 파종 배지로 채워진 별개의 15.2㎝의 플라스틱 화분에 심고 온실에서 성장시켰다. 미카니아종은 줄기가 충분히 성장하여, 처리후 동일한 시간에 뿌리가 충분히 성장하였다.
이들 식물의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용매 중의 시험 화합물을 분무하였다. 처리는 육안으로 24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식물 손상율은 0 내지 100의 수치에 기초하며,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20은 최소 손상율을 나타내며,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냈다.
[시험 3]
미키니아종 및 보스톤 양치류(Nephrolepis exaltata)의 줄기 삽수를 온실용 파종 배지로 채워진 별개의 15.2㎝ 플라스틱 화분에 심고, 온실에서 성장시켰다.
이들 식물의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용매 중의 시험 화합물을 분무하였다. 처리된 식물들을 육안으로 49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표 2에서 사용한 식물의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도 역시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냈다.
[시험 4]
테다소나무(Pinus taeda), 피칸(Carya spp.) 늪지 오크(Quercus spp.), 화이트 애쉬(Fraxinus americana) 및 소합향 (Liquidambar stryaciflua) 종자를 파종 배지로 채워진 30 리터 플라스틱 화분에 파종하였다. 이들 식물을 시험 화합물의 분무 전에 5달 온실에서 성장시켰다.
이들 식물의 발아후에 비식물득성 용매중의 시험 화합물 1을 분무하였다. 처리된 식물들을 육안으로 99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표 2에서 사용한 식물의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도 역시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냈다.
[시험 5]
기나아그래스(Panicum maximum) 종자 및 엘리펀트그래스(elephantgrass) 뿌리의 삽수를 온실용 파종 토양으로 채워진 별개의 15.2㎝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식물의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용매 중에 배합된 화합물 1을 분무하였다. 기니아그래스(P. maximum)를 발아전 및 발아후 성장 단계의 초기 및 후기에 처리하였다. 처리된 식물들을 육안으로 32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표 2에서 사용한 식물의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서도 역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냈다.
[시험 6]
세인트 아우구스틴 그래스 및 알렉산더그래스(Brachiaria plantagenea) 줄기 삽수, 켄터키 블루그래서 떼 및 켄터키 김의털, 새포아풀, 버뮤다그래스, 벤트그래스, 바랭이 및 민바랭이의 종지를 별개의 11.4㎠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식물을 사용 전까지 온실에서 성장시켰다.
이들 시물의 발아후에 비식물성 용매 중에 배합된 시험 화합물 1을 분무하였다. 처리된 식물들을 육안으로 29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표 2에서 사용한 식물의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서도 역시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냈다.
[시험 7]
기니아그래스(P. maximum)의 종자를 파종 배지로 채워진 15.2㎝ 플라스 화분에 파종하고 2단계로 성장시켰다. 사탕수수 줄기 삽수, 참새피(Paspalum conjugatu
m) 및 메역취(Solidago spp.)의 줄기 및 뿌리 삽수를 파종 배지로 채워진 15.2㎝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식물을 종종 가지치기하여 사탕수수의 새싹의 생성 및 참새피와 메역취의 성장을 자극시켰다.
이들 식물의 발아후 비식물독성 분무 용매중의 시험 화합물 1을 분무하였다. 이러한 처리를 육안으로 20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식물 손상율은 0 내지 100의 수치에 기초하며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20은 최소한의 손상율을 나타내며,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냈다.
[시험 8]
야생 레몬(Citrus spp.)의 뿌리 삽수를 30ℓ 플라스틱 화분 및 11.4㎠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30ℓ 화분에 명아주(Amaranthus viridis), 샌드버(Cenchrus echinatus), 텍사스 파니쿰(Panicum texanum), 침엽 파니쿰(P. maximum) 종자 및 참방동산이(Cyperus esculentus) 괴경을 파종하였다.
30ℓ 화분의 감귤류는 감귤류 과수원에서 사용하는 가지에서 가지로 제초제를 살포하는 방법으로 분무시키는 한편, 잡초는 발아전에 처리하였다. 11.4㎠ 화분의 감귤류는 상부에 직접적으로는 처리하였다. 모든 화분을 비식물독성 분무 용매중에 배합된 화합물 1로 처리하였다. 이들 식물을 육안으로 28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 1에서 사용한 손상율 수치를 역시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냈다.
[시험 9]
미카니아종(Mikania spp.), 포도나무 삽수, 보스톤 양치류(N. exaltata) 및 커피(Coffea spp.)를 15.2cm 플라스틱 화분에 개별적으로 심었다. 화합물 1을 30 psi 및 40 psi 분무압을 사용하여 식물들의 발아후에 살포하였다.
이 시험에서, 화합물 1을 0.25% X-77 계면활성제와 배합하였다. 이들 식물을 육안으로 32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 1에서 사용한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서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냈다.
[시험 10]
야생 레몬의 뿌리 삽수를 30ℓ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화분에 텍사스 파니쿰, 기니아그래스, 명아주(A. viridis), 샌드버 및 참방동산이의 괴경도 파종하였다. 미카니아종(Mikania spp.), 포도나무 삽수 및 보스톤 양치류를 15.2㎝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식물을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분무 용매 중에 배합된 화합물 1로 처리하였다. 텍사스 파니쿰, 기니아그래스 및 명아주를 30ℓ 화분에 파종하고 발아전 처리하였다.
이들 식물을 육안으로 35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손상율은 0 내지 100의 수치에 기초하여,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20은 최소 손상율을 나타내며,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냈다.
[시험 11]
세인트 아우구스틴 그래스의 줄기 삽수, 켄터키 블루그래스 떼, 켄터키 김의털, 벤트그래스, 버뮤다그래스, 바랭이, 민바랭이, 달리스그래스 및 질경이의 종자를 개별적으로 파종 배지로 채워진 114㎠ 화분에 심었다. 이들 식물을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분무 용매 중에 배합된 화합물 1로 처리하였다.
처리된 식물들을 육안으로 24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 6에서 사용한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서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냈다. 시험 6에서 관찰된 것에 대한 이들 결과의 변화치는 이 시험이 다른 시간대에 행해졌다는 사실에 기인할 수 있다.
[시험 12]
플라스틱 창턱 바닥에 파종 배지를 채우고, 옥수수, 죤슨그래스, 새터케인, 수수류, 독새풀, 메기장, 바랭이, 벨벳잎 및 사탕수수 마디 삽수를 스파이크 단계에서 파종하였다. 제2 시험에서, 창턱 바닥에 미처리 및 종지 해독 처리된 옥수수, 죤슨그래스, 벨벳잎, 윌리엄스 콩, W-20 및 W-4 콩, 메기장, 도꼬마리류, 미처리 및 종자 해독 처리된 수수류, 나팔꽃, 새터케인, 독새풀, 흰명아주 및 사탕수수 마디 삽수를 스파이크 단계에서 파종하였다.
이들 식물을 발아전에 비식물독성 분무 용액에 배합된 화합물 1로 처리하였다. 처리는 육안으로 24 및 41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손상율은 0 내지 100의 수치에 기초하며,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20은 최소손상율을 나타내며,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결과는 표 13a 및 13b에 나타냈다.
[시험 13]
이 시험의 목적은 테다소나무 및 야생 레몬에 대해 화합물 1을 식물에 미리 혼입시킨 효과를 산출하기 위한 것이다. 토양에 화합물 1을 분무하였다. 처리된 토양을 플라스틱 백 중에서 철저히 혼합하여 이 혼합물을 토양에 혼입시켰다. 이어서, 테다소나무 및 야생 레몬을 화합물 1로 처리된 토양에 이식시켰다. 이들 식물을 육안으로 66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손상율은 시험 12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수치에 기초한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냈다.
[시험 14]
야생 레몬의 뿌리 삽수를 30ℓ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화분에 도깨비바늘 (Bidens pilosa), 명아주 (A. viridis), 침엽 파니쿰, 텍사스 파니쿰, 기니아그래스, 샌드버 및 퍼플 향무자 괴경을 파종하였다. 미타니아종 포도나무 삽수 및 보스톤 양치류를 별개의 15.2cm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식물을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분무 용액에 배합된 화합물 1로 처리하였다. 30ℓ 화분을 몇몇 감귤류 과수원에서 사용되는 가지에서 가지로의 처리와 유사하게 처리하였다. 처리 결과를 육안으로 37 DAT로 평가하였으며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 12에서 사용한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서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15a 및 15b에 나타냈다. 이들 결과의 다른 시험에 대한 변화치는 이들 시험이 1년중 상이한 달에 수행되고 처리 시간에 있어서 식물의 성장이 상이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온실 시험은 1년(12개월)을 기초로 수행하였다. 이들 시험은 시험이 처음으로 시작된 정확한 시간은 아니지만, 일년중 일정한 시간까지 반복하였다.
[시험 15]
파종 배지로 채워진 큰 섬유유리관에 종자 감자를 심고, 돼지풀, 까마중, 메기장, 둑새풀 및 강피를 파종하여 재배하였다. 다른 시험에서, 이들 관에 종지 감자 및 자생 명아주를 심어 성장하였다. 이들 관을 발아전에 비식물독성 분무 용매에 배합된 화합물 1로 처리하였다. 이들 식물을 육안으로 34 및 66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 1에 사용된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서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16a 및 16b에 나타냈다.
[시험 16]
개별적인 재배 격실로 이루어진 플라스틱 접시 라이너에 파종 배지를 채우고, 개별적으로, 버뮤다그래스(Cynodon dactylon), 활엽 시그널그래스(Brachiaria platyphylla), 기니아그래스(Panicum maximum), 민바랭이(Digitaria ischaemum), 강피(Echinocloa crus-galli), 방랭이(D. sanguinalis), 죤슨그래스(Sorghum halepense), 텍사스 파니쿰(Panicum texanum), 샌드버(Cenchrus echinatus), 이치 그래스(Rottboellia cochichinensis), 왕바랭이(Eleusine indica), 달리스그래스(Paspalum dilatatum), 새포아풀(Poa annum), 자주개자리(Medicago sativa), 푸에 라리아 자바니카(Pueraria javanica), 나팔꽃(Ipomea spp.), 쇠비름(Portulacaoleracea), 들 메꽃(Convolvulus arvensis), 돼지풀(Ambrosia elatior), 낙화생(Arachis hypogea), 퍼플 향무자(Cyperus rotundus) 참방동산이(C. esculentus), 및 켄터키 블루그래스 떼(Poa pratense)를 파종하였다. 사탕수수 마디 삽수를 파종 배지로 채워진 15.2cm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식물을 발아전 및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분무 용액에 배합된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이들 식물은 발아전 및 발아후 처리가 동일자로 이루어지도록 엇갈리게 배열하였다. 이들 식물은 육안으로 처리후 18 내지 29일(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손상율은 0 내지 100의 수치에 기초하며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20은 최소 손상율을 나타내며,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대쉬(-)는 측정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이들 결과의 변화는 이들 시험이 1년중 상이한 시간에 수행되고, 식물들이 상이한 성장 단계에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결과는 표17a-17r에 나타냈다.
[시험 17]
바랭이(Digitaria spp.), 강피(Echinochloa crus-galli), 둑새풀(Setaria faberi), 메귀리(Avena fatus), 개보리류(Bromus secalinus), 벨벳잎(Abutilon theophrasti), 나팔꽃(Ipomoea spp.), 도꼬마리류(Xanthium pensylvanicum), 수수류, 옥수수, 콩, 사탕무우, 면화, 벼, 밀, 보리, 계수나무 및 퍼플 향무자(Cyperus rotundus) 괴경을 심고 발아전에 비식물독성 용매 중에 용해된 시험 화합물로 처리하였다. 동시에, 이들 작물 및 잡초를 토양/잎 살포액으로 처리하였다. 처리시 식물은 2 내지 18cm높이 범위였다. 처리된 식물 및 대조군을 온실에서 16일 동안 유지시킨 후, 모든 종을 대조군과 비교하고, 처리에 대한 응답도를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표 18a-18g에 요약된 손상율은 0 (손상 없음) 내지 10(완전 고사) 범위의 수치에 기초한다. 수반된 부호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C=백화/사멸
B=소사
C = 낙엽
E = 발아 억제
G = 성장 지체
H = 형성 효과
U = 비정상 착색
X = 보조 자극
S = 백피증
6Y = 이탈된 싹 또는 꽃
[시험 18]
[발아후]
3개의 둥근 화분(직경 25cm × 깊이 12.5cm)에 사사프라스 사질 양토를 채웠다. 한 개의 화분에 향무자(Cyperus rotundus) 괴경,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 시클포드(Cassia obtusifoli), 흰꽃독말풀(Datura stramonium), 벨벳잎(Abutilon theophrasti), 흰명아주(Chenopdium album), 벼(Oryza sativa) 및 차풀(Sida spinosa)을 심었다. 제2 화분에 강아지풀(Setaria viridis), 도꼬마리류(Xanthium pensylvanicum), 나팔꽃(Ipomoea hederacea), 면화(Gossypium hirsutum)
, 죤슨그래스(Sorghum halepense), 강피(Echinochloa crus-galli), 옥수수(Zea mays), 콩(Glycine max) 및 둑새풀(Setaria faberi)을 심었다. 제3화분에 밀(Triticum aestivum), 보리(Hordeum vulgare), 메밀(Polygonum convolvulus), 다우니 브롬(Brmus tectorum), 사탕무우(Beta vulgaris), 메귀리(Avena fatua), 별꽃(Stellaria media), 블랙그래스(Alopecurus myosuroides), 및 평지(Brassica napus)를 심었다. 이들 식물을 약 14일 동안 성장시킨 후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용매에 용해된 화합물로 분무하였다.
[발아전]
3개의 둥근 화분(직경 25cm × 깊이 12.5cm)에 사사프라스 사질 양토를 채웠다. 한 개의 화분에 향무자 괴경, 바랭이, 시클포드, 흰꽃독말풀, 벨벳잎, 흰명아주, 벼 및 차풀을 심었다. 제2 화분에 강아지풀, 도꼬마리류, 나팔꽃, 면화, 죤슨그래스, 강피, 옥수수, 콩 및 둑새풀을 심었다. 제3 화분에 밀, 메밀, 다우니 브롬, 사탕무우, 메귀리, 별꽃, 블랙그래스 및 평지를 심었다. 3개의 화분을 발아후에 비식물독성 용매에 용해된 화합물로 분무하였다.
처리된 식물 및 대조군을 온실에서 약 24일 동안 유지시킨 후, 모든 평가된 식물을 대조군과 비교하고, 식물 응답에 대해 육안으로 평가하였다.
시험 17에 사용된 응답율을 몇몇 시험에 사용하였다. 다른 시험에서 응답율은 0 내지 100의 수치에 기초하며,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20은 최소 응답율을 나타내며,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대쉬(-)는 시험이 수행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결과를 표 19a 내지 19e에 나타냈다.
[시험 19]
봄 밀(Triticum aestivum), 겨울 밀(T. aestivum), 봄 보리(Hordeum vulgare), 겨울 보리(H. vulgare), 사탕무우(Beta vulgaris), 평지(Brassica napus), 메귀리(Avena fatus), 다우니 브롬(Bromus tectorium), 개보리류(B. sealinus), 블랙그래스(Alopercurus myosuroides), 새포아풀(Poa annum), 강아지풀(Setaria viridis), 이탈리아 독보리(Lolium multiflorum), 고트그래스(Aegilops cylindrica), 마트리카리아 인도라(Matricaria indora), 갈리움종(Galium spp.), 러시아 엉겅퀴(Salsolal kali),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댑싸리(kochia scoparia), 까마중(Solanum nigrum), 개불알풀(Veronica persica), 메밀(Polygonium convolvulus), 제비꽃(Viola spp.), 베로니카 헤데라에폴리아(Veronica hederaef
olia) 및 말냉이(Thlapsi arvensis) 종자를 살균된 사질 양토를 함유하는 26cm 플라스틱 화분에 심었다. 이들 식물을 비식물독성 용매 중에 배합된 화합물을 사용하여 발아후 처리한 후 28일 동안 온실에 유지시켰다. 시험물의 발아전 부분을 분무 직전에 파종하였다. 발아후 처리는 1잎 및 3잎 성장 단계의 메귀리 및 블랙그래스를 포함한다. 모든 처리는 온실에서 추가로 21일 동안 행해지며 식물 손상의 육안 평가는 0 내지 100의 수치를 사용하여 이루어졌으며,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20은 최소 손상율을 나타내며,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관찰된 활성의 변화는 이들 시험이 1년중 상이한 시간대에 행해졌으며, 식물들의 성장 단계가 상이하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이들 결과를 표20a 내지 20f에 나타냈다.
[시험 20]
플라스틱 화분을 부분적으로 침적 양토로 채웠다. 이어서, 토양을 물로 포화시켰다. 2.0 내지 2.5잎 단계의 자포니카 벼(Oryza sativa) 묘목, 강피(Echinochloa crus-galli), 덕 샐러드(Heteranthera limosa), 및 알방동산이(Cyperus difformis) 종자, 및 올미(Sagittaria spp.) 괴경 및 올방개(Eleocharis spp.)를 심었다. 심은지 며칠 후, 수면을 토양 표면 위 3cm까지 상승시키고 시험하는 동안 이 수면을 유지시켰다. 비식물독성 용매 중에 화합물을 배합하여 논의 물에 직접 살포하였다. 처리 식물 및 미처리 대조군을 온실에서 약 21일 동안 유지한 후 모든 처리 식물을 미처리 대조군과 비교하고 육안으로 손상율에 대해 평가하였다. 식물의 응답율을 표 21a에 요약하였으며 0 내지 10의 수치로 나타냈고,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1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시험 21]
옥수수 및 수수 제초 시험에는 다음 종들의 발아전 및 발아후 평가가 포함된다.
[발아후 ]
발아후의 묘목을 사사르라스 사질 양토에서 성장시켰다. 옥수수 및 수수를 별개의 25cm 직경의 용기에서 성장시켰다. 수수 및 7종의 잡초를 18cm 직경의 용기 2개에, 각 용기당 4종을 심었다. 7종의 활엽 잡초를 18cm 직경의 용기 2개에, 제1 용기에는 4종을, 제2 용기에는 3종을 심었다. 추가로 하나의 옥수수 묘목을 18cm 직경의 용기에 심었다. 이 추가 옥수수 용기의 토양 표면을 분무 처리 전에 흡수성 펄라이트로 덮고, 앞만을 통해 식물에 시험 화합물을 살포하였다. 이들 식물을 식물 종에 따라 10-21일 동안 성장시킨 후에 비식물독성 용매에 용해된 시험 화합물로 발아후 분무하였다.
[발아전]
발아전 묘목을 기름진 타마 침적 양토에 심었다. 이들 묘목은 옥수수 묘목의 토양 표면을 펄라이트로 덮는 것을 제외하고는 발아후 부분에 기재된 것과 같다. 이들 묘목은 비식물독성 용매에 용해된 시험 화합물로 분무하는 날 또는 분무하기 전날에 제조하였다.
처리 식물 및 대조군을 온실에서 2 내지 4주 동안 유지하였다. 0 내지 100의 수치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손상율을 평가하고, 0은 영향이 없음을 나타내고, 100은 완전 방제를 나타낸다. 결과를 표 33a 및 22b에 나타냈다.
[시험 22]
20.3cm 플라스틱 화분에서 성장하는 사탕수수 식물을 가지치기하여 새싹의 성장을 자극하였다. 어린 새싹 단계에서 화분에 이치그래스(R. cochinchimensis), 기니아그래스(P. maximum) 및 바랭이(D. sanguinalis) 종자를 파종하였다.
이들 화분에 비식물독성 분무 용매에 배합된 화합물 1을 분무하였다. 사탕수수는 발아후에 처리하고, 잡초 종자는 발아전에 처리하였다. 이들 식물을 육안으로 65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 7에 사용한 손상율 수치를 이시험에서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23에 나타냈다.
[시험 23]
20.3cm 화분에서 성장하는 바나나(Musa sp.)를 이 시험에 사용하였다. 11잎 단계의 식물들에 비식물독성 용매 중의 화합물 1을 분무하였다. 이러한 처리는 1군의 식물에는 꼭대기 위로 살포하고, 다른 군에는 필드형 처리와 유사하게 줄기 방향으로 살포하였다. 처리 식물들을 육안으로 54 DAT로 평가하고, 적절한 대조군과 비교하였다. 시험 W에서 사용된 손상율 수치를 이 시험에서도 사용하였다. 결과를 표 24에 나타냈다.

Claims (12)

  1. 제초 유효량의 하기 일반식(Ⅰ)의 화합물을 잡초의 서식지에 살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다년생 작물 중의 잡초의 방제 방법.
    상기식 중, R은 이소프로필, 알릴, 프로파르길 또는 -CH(CH3)C≡CH이고, X는 Cl 또는 Br이며, Y는 F 또는 Cl이고, Z는 H이거나 또는 연결 산소가 메틴 탄소에 결합되도록 R과 함께 -CH2CHCH3를 형성할 수 있다.
  2. 제1항에 있어서, X가 Cl이고, Y가 Cl이며, Z가 H인 일반식(Ⅰ)의 화합물 제초 유효량을 잡초의 서식지에 살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감귤류, 사탕수수, 커피, 바나나, 기름 야자, 고무 및 테다소나무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2-[2,4-디클로로-5-[(2-프로피닐)옥시]페닐]-5,6 ,7,8-테트라히드로-1,2,4-트리아졸로-[4,3-a]-피리딘-3(H)-온인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감귤류인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사탕수수인 방법.
  7. 제4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커피인 방법.
  8. 제4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바나나인 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기름 야자인 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고무인 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테다소나무이고, 화합물이 발아전에 살포되는 방법.
  12. 제4항에 있어서, 다년생 작물이 포도인 방법.
KR1019930700749A 1990-09-13 1991-09-11 제초성 치환 이환식 트리아졸 KR100207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199490A 1990-09-13 1990-09-13
US581,994 1990-09-13
PCT/US1991/006372 WO1992004827A1 (en) 1990-09-13 1991-09-11 Herbicidal substituted bicyclic triazol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1917A KR930701917A (ko) 1993-09-08
KR100207295B1 true KR100207295B1 (ko) 1999-07-15

Family

ID=243274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749A KR100207295B1 (ko) 1990-09-13 1991-09-11 제초성 치환 이환식 트리아졸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EP (1) EP0548264B1 (ko)
JP (3) JP2693642B2 (ko)
KR (1) KR100207295B1 (ko)
CN (1) CN1056494C (ko)
AT (1) ATE148612T1 (ko)
AU (1) AU657709B2 (ko)
BR (1) BR9106832A (ko)
CA (1) CA2090976C (ko)
DE (1) DE69124613T2 (ko)
ES (1) ES2096661T3 (ko)
GR (1) GR3023125T3 (ko)
MX (1) MX9101075A (ko)
MY (1) MY111872A (ko)
NZ (1) NZ239792A (ko)
UA (1) UA27714C2 (ko)
WO (1) WO1992004827A1 (ko)
ZA (1) ZA91733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62833A2 (en) * 1994-05-27 1997-03-19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es for specialty crops
AU5392000A (en) 1999-04-19 2000-11-02 Syngenta Participations Ag Herbicidal seed treatment
WO2017041230A1 (en) * 2015-09-08 2017-03-16 Aceneobiochem, Inc. Herbicidal chloromethyl triazolinones
CN116530412A (zh) * 2023-06-13 2023-08-04 四川省川椒种业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酿酒高粱恢复系种质材料的选育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538477A (da) * 1977-01-13 1978-07-14 Du Pont Herbicidt aktive substituerede bicycliske triazoler
US4213773A (en) * 1977-11-17 1980-07-2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rbicidal substituted bicyclic triazoles
US4881967A (en) * 1986-12-10 1989-11-21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Heterocyclic 2,3-dihydrobenzofuran herbicides
MA21126A1 (fr) * 1986-12-10 1988-07-01 Shell Int Research Benzafurannes et benzopyrannes substitues herbicides .
IL96432A0 (en) * 1989-11-30 1991-08-16 Schering Ag Pest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pyridine derivatives and novel pyridine derivativ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Z239792A (en) 1992-08-26
AU8718691A (en) 1992-04-15
UA27714C2 (uk) 2000-10-16
CA2090976C (en) 2002-03-05
CN1056494C (zh) 2000-09-20
JPH0977618A (ja) 1997-03-25
WO1992004827A1 (en) 1992-04-02
JP2909429B2 (ja) 1999-06-23
CN1059827A (zh) 1992-04-01
JPH06501264A (ja) 1994-02-10
MY111872A (en) 2001-02-28
JPH0977619A (ja) 1997-03-25
DE69124613D1 (de) 1997-03-20
MX9101075A (es) 1992-05-04
GR3023125T3 (en) 1997-07-30
ZA917330B (en) 1993-03-15
EP0548264A1 (en) 1993-06-30
ES2096661T3 (es) 1997-03-16
ATE148612T1 (de) 1997-02-15
CA2090976A1 (en) 1992-03-14
JP2693642B2 (ja) 1997-12-24
EP0548264B1 (en) 1997-02-05
DE69124613T2 (de) 1997-09-04
BR9106832A (pt) 1993-07-06
AU657709B2 (en) 1995-03-23
JP2931788B2 (ja) 1999-08-09
KR930701917A (ko) 1993-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32146B1 (en) Herbicidal substituted bicyclic triazoles
AU2006224738A1 (en) Herbicidal composition
KR102632658B1 (ko) L-글루포시네이트 및 인다지플람을 포함하는 제초제 조합물
EP0863705A1 (de) Synergistische herbizide mischungen
ES2459873T3 (es) Método para la represión de malas hierbas en céspedes
KR101615174B1 (ko) 다이쿼트디브로마이드와 비선택성 제초제를 포함하는 상승작용적 제초제 혼합물
FI90188B (fi) Herbisidisiä o-karbometoksisulfonyylikarbamideja
KR100207295B1 (ko) 제초성 치환 이환식 트리아졸
WO1996022022A1 (en) Herbicidal composition
CA1283553C (en) Plant growth regulating composition
KR100320834B1 (ko) 상승작용성 제초제 및 독성완화제
US4530717A (en) Synergistic herbicidal mixtures of substituted phenylsulfonylurea derivatives and benzthiazol-2-yl-oxyacetic acid N-methylanilide
US5332718A (en) Herbicidal substituted bicyclic triazoles for plantation crops
JP3100061B2 (ja) 柑橘類、サトウキビ、油ヤシなどのための除草剤
US4798621A (en) Selective method-of-use of oxabicycloalkanes
CA2659235C (en) Method of selectively controlling morning glory spp
US4509974A (en) S-n-Butyl-N,N-diisopropyl thiocarbamate as a selective herbicide in cotton
RU2692793C2 (ru) Производное замещенного пиразолилпиразола и его применение в качестве гербицида
JPH04257505A (ja) 相乗的除草剤組成物
GB2078521A (en) Herbicidal composition and its use for inhibiting growth of weeds
KR19990087709A (ko) 제초제 혼합물
CN110692644A (zh) 一种除草组合物防治旱地作物不希望的植物发芽或生长的用途
PL151678B1 (en) Weed-killer
CN107108622A (zh) 经取代的吡唑基吡唑衍生物及其作为除草剂的用途
CN107108620A (zh) 经取代的吡唑基吡唑衍生物及其作为除草剂的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4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