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147B1 -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과정 정도의 평가와 결석 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과정 정도의 평가와 결석 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147B1
KR100207147B1 KR1019940704122A KR19940704122A KR100207147B1 KR 100207147 B1 KR100207147 B1 KR 100207147B1 KR 1019940704122 A KR1019940704122 A KR 1019940704122A KR 19940704122 A KR19940704122 A KR 19940704122A KR 100207147 B1 KR100207147 B1 KR 1002071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tone
urolithiasis
urine
urine sam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4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1735A (ko
Inventor
니콜라에비취 샤브린 블라디미르
니콜라에브나 샤토크히나 스베트라나
Original Assignee
니콜라에비취 샤브린 블라디미르
니콜라에브나 샤토크히나 스베트라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U5059948 external-priority patent/RU2061956C1/ru
Priority claimed from SU925065432A external-priority patent/RU2043634C1/ru
Application filed by 니콜라에비취 샤브린 블라디미르, 니콜라에브나 샤토크히나 스베트라나 filed Critical 니콜라에비취 샤브린 블라디미르
Publication of KR9507017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17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1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147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5/00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 G01N25/14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using distillation, extraction, sublimation, condensation, freezing, or crystallisation
    • G01N25/147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thermal means by using distillation, extraction, sublimation, condensation, freezing, or crystallisation by cristallis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14Heterocyclic carbon compound [i.e., O, S, N, Se, Te, as only ring hetero atom]
    • Y10T436/145555Hetero-N
    • Y10T436/147777Plural nitrogen in the same ring [e.g., barbituates, creatinine, etc.]
    • Y10T436/148888Uric aci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36/00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 Y10T436/25Chemistry: analytical and immunological testing including sample preparation
    • Y10T436/25875Gaseous sample or with change of physical stat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석형성 과정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뇨시료에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각각 9:1, 7:1, 5:1의 비율로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매끈한 표면에 적하시켜 적어도 24시간 건조 시키고; 뇨시료의 가장자리 부위에 염결정 특징을 조사하고, 하나의 결정이 형성되거나, 결정이 뭉쳐져 있거나 또는 가장자리에 완전히 결정이 형성된경우 각각 결석형성 과정을 하,중,상으로 판단하고, 결정형성 조성물을 조사하고, 동시에 동일 뇨시료의 중앙부분의 염조성물을 조사하여 결석형성 요산염의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두 조성물을 비교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과정 정도의 평가와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는 방법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의약품에서 사용하는 분석용 방법에 관계하며, 특히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과정 정도를 파악하고,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을 결정하는 방법에 관계한다.
[기존기술의 검토]
공지의 기술분야에서 요석증의 경우에 개인 치료요법적 치료과정을 처방 실시하고, 결석형성 과정의 정확한 치료시기와, 요결석의 형성을 예방할 수 있기 때문에, 사람에서 결석형성 과정, 그 정도에 대한 연구, 결석형성 과정에서 염조성물의 결정에 대한 왕성한 조사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새로 수득한 뇨 또는 방뇨후 단시간 내에 분석한 뇨에서 요산염 결정의 감지에 기초하는 예후방법(Ref. V. Ye. predtechensky Guide for Clinical laboratory Investigations, 1964, Medicina Publishers, pp. 420-446) 또는 염화칼슘, 옥살레이트 나트륨과 뇨를 혼합하고, 생성혼합물을 유지시키고, 형성된 결정수를 헤아려서 뇨의 결정형성 활성을 평가하는 것으로 기초하는 요결석증 예후방법(SU, A, 1 629 846)과 같은 결석형성 과정을 감지하는 것을 기초하는 요석증의 예후방법은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전술한 방법은 결석형성 과정을 감지하는 것이고, 이 과정의 진행정도를 파악할 수는 없게되어 있다.
요석증의 예후를 아는 공지된 방법으로, 추천된 수학적 과정 (Refer, please, to the Urological Research, No. 2, 15, 1987, Springer-Verlag, H.-G. Tiselius, Measurement of the Risk of Calcium Phosphate Crystallization in Urine, pp. 79-81)에 의해 특정크기를 가지고 형성된 결정의 수를 파악하여 뇨에서 인산칼슘 결정의 위험정도를 파악하는 방법이 있다. 후자의 방법은 복잡한 수학적 계산을 요구하고, 이 또한 결석형성 과정의 사실을 감지하는 것만이 된다.
요석증의 예후를 아는 공지된 방법으로(PCT/SU91/00140), 알부민 용액과 같은 단백질 용액을 뇨시료에 첨가하고, 생성혼합물은 건조시키고, 뇨시료의 100% 결정화가 일어날 경우 요석증이 된다. 후자방법은 요석증의 과정을 밝히는 방법이나 결석형성 과정의 정도를 파악하는데 사용되지는 않는다.
또한, 요석증에서 요산염의 조성을 결정하는 방법이 공지되어 있다(V. Ye. Predtechensky Guide for Clinical Laboratory Investigations, 1964, Medicina Publishers, Moscow, pp. 452-454; Wandt M., Underhill L. Brit. J. Urol., 1988, 61, No. 6, 478-481; Schubert G., Brien G., Adam K. Z. Klin. Med., 1989, 44, No. 11, 923-928; Nichino T., Sakura T., Sato T., Koiso K., Kaneko S. Jap. J. Nephrol., 1987, 29, No. 5, 571-575). 전술한 모든 방법은 크로마토그래피, X-레이 구조 분석, X-레이 스펙트럼 분석, 핵자기공명과 전자부-자기공명과 관계된 열분석 그리고 다른 스핀효과와 같은 이온교환, 흡수등을 사용한 물리화학적 경로에 의해 요구성(염침착물, 샌드, 응결)의 연구에 기초한다.
모든 전술한 방법은 인체에서 방류된 이미 형성된 결석의 연구에만 적절하고 초기 요석증 단계에서 초기 결석의 화학적 특징을 결정할 수 없고 이미 형성된 결석을 체외로 빼낼 수 없다.
초기 요석증 단계에서 결석을 형성하는 요산염의 화학적 조성을 결정하고, 유기체에서 방류되지는 않았으나 완전히 형성된 결석의 화학적 조성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이 공지되어 있지 않다.
[발명의 개요]
결석형성 과정의 정도를 판단하고,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는 본 방법은 신규하며, 기존의 문헌에도 상술된적이 없다.
본 발명은 요석증 과정동안에 결석형성 과정 정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판단하고, 형성단계에서 결석의 염조성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한 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을 결정하고, 결석형성 과정의 강도를 파악하는데 도입되는 다음과 같은 개선점으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데, 그 개선점은 뇨시료에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9:1, 7:1 또는 5:1 의 비율로 각각 첨가하고, 준비된 혼합물은 매끈한 평면에 적하시키고, 적어도 24시간동안 적하시킨 방울을 건조시키고, 뇨시료의 가장자리 부위에 요산염의 결정화를 측정하고, 결정이 있는 경우, 결정이 뭉친다거나 또는 가장자리의 완전한 결정이 형성되는 경우 결석형성 과정의 강도를 1주, 중기 또는 말기로 판단할 수 있고, 이 결정형성 조성물이 결정되고 동시에 동일 뇨시료의 중앙에 있는 요산염의 조성을 결정하고 결석형성 뇨산염의 존재를 감지하기 위해 두 조성물의 비교분석을 한다.
전술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은 8-12% 수용성 알부민 용액이 적절하다. 분석의 정확도를 개선시키기 위해, 실온에서 매끄러운 표면에서 혼합물 적하를 건조시킬 필요가 있다. 분석을 신속하게 그리고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는 결정형성의 기초 조성물을 분석하는데 사용되는 X-레이 스펙트럼 마이크로분석이 적절하다.
본 발명에 따른 분석은 다음의 사실을 밝힌다. 뇨시료의 가장자리에서 요산염의 결정 과정과 결석형성 과정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현상은 뇨시료에서 결석형성 과정의 정도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분석하여 이 과정에서 결석형성 과정을 연구하고 적시에 치료법을 제공하여 뇨결석의 형성을 방지하고 필요할 경우 개별 치료과정을 실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체내에서 결석형성전에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고 체내에서 이들 요산염의 제거를 위해 적절한 측정을 실시하고, 음료와 음식에서 이의 섭취를 제한하는 방법도 제공한다. 본 분석방법은 특정 관찰기간동안에 결석의 표면층에 결석형성 요산염의 구성이 정확히 무엇인지를 알고 결석이 환자의 요도에서 감지되는 경우 쇄석술(요도결석)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기능적인면(결석형성 과정의 개시부터)에서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물 연구로 전체 결석의 조성물과 구조를 밝히고, 이는 쇄석술에서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분석은 요석증 재발에 대한 효과적인 예방을 실행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용이하여 실행이 간단하고 특수장비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구체예]
전술한 것과 같이, 결석형성 과정의 정도를 측정하는 본 발명의 방법은 뇨시료의 가장자리에 염결정 정도와 결석형성 강도 사이에 정립된 상관관계에 기초한다.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뇨시료에 수용성 단백질용액(8-12% 수용성 알부민 용액이 사용되는 것이 적절하다)이 9;1, 7:1 또는 5:1의 비율로 첨가된다. 분석을 목적으로 수용성 알부민 용액에 전술한 비율중 하나를 선택한 뇨시료를 사용할 수 있다. 분석의 정확성을 위하여 두개이상의 비를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수득된 혼합물-평면에 적하시킨-은 실온에서 적어도 24시간 건조시킨다.
일단 적하물이 건조되면 뇨시료의 가장자리에서 요산염 결정정도를 평가한다: 별도의 단일 결정의 존재는 결석형성 과정이 약하다는 것을 나타내고, 염결정이 뭉쳐져 있는 경우에는 중간정도의 결석형성 과정이 진행됨을 나타내고, 가장자리의 완전한 결정은 결석형성 과정이 상당히 진행되었음을 나타낸다.
가장자리 부위에 결정이 없다는 것은 결석형성 과정이 일어나지 않았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두가지 목적을 얻을 수 있다. 즉, 결석형성 과정정도를 평가하고 동시에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한다. 뇨시료의 가장자리에 결정형성이 된경우 물리분석방법(적절하게는 X-레이 스펙트럼 마이크로분석)이 이와 같은 결정형성의 기본적인 구성요소를 결정하는데 사용된다. 동시에 동일 뇨시료의 중앙지역에 요산염의 기본성분이 결정되고, 이들 두 성분의 비교분석이 실행되고, 결석형성 요산염의 화학적 조성을 유추할 수 있다. 결석형성 과정은 기능적 과정으로 염구성물이 다양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뇨의 주어진 염구성 성분으로 형성된 또는 미래에 형성될 결석의 염구성물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은 임상실험에서 테스트할 수 있다. 결석형성 과정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결석 배설자로 분류되는 12명의 환자(가령 결석의 지발적 파괴와 배설이 관측된 환자)와 임상적으로 결석형성 단계전의 건강한 128명에서 검사하였다. 이와 같이 건강한 사람은 결석형성 단계전에 있어 통상의 방법으로 실시될 수 있으나 결석형성 정도는 여전히 밝혀지지 않는다. 다음의 조사과정이 사용된다: 뇨시료를 취하고 수용성 단백질용액을 9:1, 7:1, 또는 5:1 비율로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은 현미경 슬라이드에 적하 시키고 24시간동안 실온에서 건조시킨다. 그다음 건조된 뇨시료의 가장자리에 결정이 형성되었는지를 조사한다. 연구 결과는 표 1과 2에 나타내었다.
표 1과 2에서 보고된 결과에서 볼때, 요산염 결석의 형성을 나타내는 실험실과 임상시험이 100% 일치하였다. 완전히 진행이된 요석증의 환자집단에서, 새로 형성된 결석은 2-3개월 경과후에 나타나고, 중간정도의 진행과정이 있는 환자는 새로이 형성된 결석이 7-8개월 경과후에 나타나고, 결석형성 과정이 약한 제3의 환자집단은 새로이 형성된 결석이 2-2.5년 경과후에 나타난다. 임상전단계에서 뇨석증에 영향을 받은 실제 건강한 사람에서 임상과 실험실 결과가 동일하게 유효하였다(표 2).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결석형성 과정 정도와 결석형성에 걸리는 시간을 판단할 수 있게된다.
결석형성 과정 정도의 평가와 동시에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연구는 결석형성이 완전히된 요석증환자 3명에서 실시하였다. 13명의 환자중 6명은 결석방출 범주에 속하고, 7명은 쇄석술을 실시한 범주에 속한다. 뇨시료는 메크로스코프 슬라이드에 얹어 건조시킨다. 가장자리의 완전한 결정이 관찰된다(이는 결석형성이 완전히 되었다고 이미 언급한 바 있다.) 결정형성의 기본 조성물은 X-레이 구조 분석과 X-레이 스팩트럼 분석에 의해 결정된다. 뇨시료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된 결정형성의 기초 조성물의 분석결과를 실제 방출된 뇨결석을 분석한 결과에서 얻은것과 비교하였다.
표 3에서 보고된 분석결과에서 뇨시료의 가장자리의 결정형성의 조성물의 분석결과가 실제로 방출된 뇨결석의 조성물 연구결과와 일치하였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방법은 요석증 발생 전단계에서 결석의 염구성을 결정하거나 또는 예견하고 그리고 이 사실은 결석형성 예방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을 더 잘 이해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음과 같은 구체예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
환자 B(50세)는 2년간 임상실험에 의해 관찰하였다. 체외로 결석방출후에 기능검사를 받았다. 본 발명에 따라 주단위로 소변겸사를 실시하였다. 다음의 과정이 사용되었다.
수용성 알부민 용액을 뇨시료에 9:1, 7:1 또는 5:1 비율로 각각 첨가하였다. 생성혼합물은 현미경 슬라이드에 적하시키고 실온에서 24시간 건조시킨다. 뇨시료에서 가장자기 부위에 염결정 특징을 조사한다. 4달동안 결석형성 과정의 정도를 관찰하였다. 동시에 X-레이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가장자리의 결정형성의 기본구성을 정립한다. 비교분석을 위해 동일 뇨시료의 중앙부위의 기본구성을 결정한다. 중앙부분의 기본구성 보다 가장자리 부분의 기본구성이 초과되는 것이 결석형성염의 기초가 된다.
결석형성염 조성의 결정결과는 신체에서 결석이 빠져나간후에 결석조성물 분석결과에 의해 확인된다. 연구결과는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에서 볼수 있는 것과 같이 결석형성염의 주요성분이 칼슘과 인산이다. 그리고 이와 같은 추론은 환자 체외로 배출시킨 후 결석의 구성에 의해 확인된다. 체외로 결석제거후에 의료적 치료과정을 환자에 처방하고 그의 소변을 2년간 주단위로 검사한다. 환자의 기능검사(결석형성 과정 정도를 주기적으로 평가함)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 상술된 과정에 따라 환자 H의 소변에서 결석형성 과정 정도를 관찰하였다. 환자 H 는 상당한 정도의 결석형성이 되었다. (뇨시료의 가장자리에 완전히 결정이 형성됨). X-레이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가장자리에 결정형성 기본조성을 결정한다. 비교를 위하여 건조된 뇨시료의 중앙과 가장자리의 기본구성의 비교분석을 실시하였다. 결석형성염의 구성의 결정에서 수득된 결과는 환자의 체외로 배출된 뇨결정 조성의 분석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분석결과는 표 6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 상술한 과정을 이용하여 환자 K의 뇨시료에서 결석형성 과정정도를 검사하였다. 환자 K는 완전히 결석이 형성된 상태였다. (그의 소변시료의 가장자리 부위에 결정이 완전히 형성됨). X-레이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가장자리 부위의 기본구성을 결정하였다. 건조된 뇨시료의 가장자리와 중앙부위의 기본구성을 비교분석하였다. 결석형성염의 기본 조성물의 결정결과는 환자 체외로 배출된 결석의 실제 조성에 확인된다. 분석결과는 표 7에 있다.
표 7에서 보는 것과 같이 결석형성염의 주요성분은 칼슘과 인산이고 이와 같은 결론은 결석추출후 실제 결석조성에 의해 확인될 수 있다.
extraction : Ca44.7%, P 39.3%, Mg 14.0%.
[실시예 4]
실시예 1에 상술된 과정을 이용하여 환자 S 에서 취한 뇨시료에서 결석진행 과정의 정도를 판단한다. 환자 S는 매우 강하게 결석형성 과정이 진행되었다. (소변시료의 가장자리에 완전한 결정형성). X-레이 스펙트럼 분석에 의해 가장자리의 결정형성 기본구성을 결정한다. 건조된 뇨시료의 가장자리와 중앙의 기본구성의 비교분석을 실시한다. 환자 S가 매우 강하게 결석형성 과정이 진행됨을 결정하였고 결석형성염의 성분을 결정하고, 환자 S는 개인적인 치료과정을 밟는다. 뇨시료는 분석하여 표 8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표 8에서 볼수 있는 것과 같이 결석형성염의 주요성분은 칼슘과 인산이고(치료전), 치료후에 결석형성 과정이 모두 중단되었다.
[산업적 응용]
본 발명의 방법은 요결석 과정의 기능적 측면의 연구, 요결석 형성을 예방하고, 요결석정에서 개별적 치료과정을 위한 초기 요결석 단계에서 결석의 구성성분을 결정하기 위한 임상적 그리고 과학적 실험연구에 응용될 수 있다.

Claims (4)

  1.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고 그리고 결성형성 과정의 정도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뇨시료에 수용성 단백질 용액을 각각 9:1, 7:1, 5:1의 비율로 첨가하고; 수득된 혼합물을 매끈한 표면에 적하시켜 적어도 24시간 건조시키고; 뇨시료의 가장자리 부위에 염결정 특징을 조사하고, 하나의 결정이 형성되거나, 결정이 뭉쳐져 있거나 또는 가장자리에 완전히 결정이 형성된 경우 각각 결석형성 과정을 하,중,상으로 판단하고, 결정형성 조성물을 조사하고, 동시에 동일 뇨시료의 중앙부분의 염조성물을 조사하여 결석형성 요산염의 구성을 결정하기 위해 두 조성물을 비교하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단백질 용액이 8-12% 수용성 알부민 용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수용성 단백질 용액과 뇨시료를 혼합하여 형성된 혼합물의 적하방울은 적어도 24시간 실온에서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1-3항에 있어서, 결정형성의 기본구성을 결정하는데 X-레이 스펙트럼 마이크로분석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40704122A 1992-05-21 1993-05-06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과정 정도의 평가와 결석 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는 방법 KR10020714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U5059948 RU2061956C1 (ru) 1992-05-21 1992-05-21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тепени активности уролитиаза
RU5059948 1992-05-21
RU5065432 1992-06-30
SU925065432A RU2043634C1 (ru) 1992-06-30 1992-06-30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остава солей мочи при уролитиазе
PCT/RU1993/000105 WO1993023753A1 (en) 1992-05-21 1993-05-06 Method for determining lithogenesis activity rate and urina lithogenetic salts content in urolithiasi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1735A KR950701735A (ko) 1995-04-28
KR100207147B1 true KR100207147B1 (ko) 1999-07-15

Family

ID=26666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4122A KR100207147B1 (ko) 1992-05-21 1993-05-06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과정 정도의 평가와 결석 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561067A (ko)
EP (1) EP0642020B1 (ko)
JP (1) JP2002509602A (ko)
KR (1) KR100207147B1 (ko)
CN (1) CN1050426C (ko)
AU (1) AU666410B2 (ko)
BG (1) BG61781B1 (ko)
CA (1) CA2136195C (ko)
CZ (1) CZ283429B6 (ko)
DE (1) DE59308412D1 (ko)
DK (1) DK0642020T3 (ko)
EE (1) EE03198B1 (ko)
ES (1) ES2117710T3 (ko)
FI (1) FI945436A (ko)
HU (1) HUT78027A (ko)
LT (1) LT3161B (ko)
RO (1) RO113402B1 (ko)
SK (1) SK278508B6 (ko)
WO (1) WO199302375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145990T1 (de) * 1990-08-08 1996-12-15 Vladimir Nikolaevich Shabalin Verfahren zur diagnose der komplexen urolithiase und prognose der urolithiase
CN101183054B (zh) * 2007-12-14 2010-05-26 暨南大学 尿液处理方法
WO2009076996A1 (en) * 2007-12-14 2009-06-25 Nestec S.A. A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a hydrolysate
CN115901659B (zh) * 2023-01-05 2023-05-30 昆明医科大学第二附属医院 泌尿系结石成石系数检测试剂盒及检测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2796A (en) * 1953-07-20 1958-12-02 Edward N Gomberg Method and means for testing aqueous solutions for presence of protein
US4183729A (en) * 1978-02-27 1980-01-15 University Patent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crystallization properties of urine
CA1282164C (en) * 1986-07-10 1991-03-26 Walter Greenfield System for microscopically analyzing fluids
DE3643263A1 (de) * 1986-12-18 1988-07-07 Horst Dipl Ing Hommel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kennung von stoffwechselstoerungen durch harnuntersuchung, insbesondere zur frueherkennung einer steinbildungsneigung des harnspenders
US4982741A (en) * 1987-05-22 1991-01-08 Inax Corporation Apparatus for detecting certain substances in urine, a toilet stool and a system for collecting information on health
US4847206A (en) * 1987-07-28 1989-07-11 Heinz Spagyrik Institut Ag Method for the crystal morphological analysis of blood and urine, for early diagnosis and for the production of medicaments
SU1573425A1 (ru) * 1988-04-14 1990-06-23 Московский областно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клинический институт им.М.Ф.Владимирского Способ исследовани содержащих белок образцов мочи
US4877206A (en) * 1988-05-23 1989-10-31 Lamar Barrett Concrete delivery trolley
SU1629846A1 (ru) * 1988-07-19 1991-02-23 Украинский Институт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ия Врачей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кристаллоингибирующей активности мочи
US5019293A (en) 1989-06-12 1991-05-28 Cornell Research Foundation, Inc. Use of hydrogen peroxide in preparing magnesium containing silicate sols for coating and fiber formation
US5366899A (en) * 1990-08-08 1994-11-22 Vladimir N. Shabalin Methods of diagnosing complicated urolithiasis and predicting urolithiasis
ATE145990T1 (de) * 1990-08-08 1996-12-15 Vladimir Nikolaevich Shabalin Verfahren zur diagnose der komplexen urolithiase und prognose der urolithi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0426C (zh) 2000-03-15
CA2136195C (en) 1998-08-25
BG99191A (bg) 1995-12-29
CN1082714A (zh) 1994-02-23
DE59308412D1 (de) 1998-05-20
CZ283429B6 (cs) 1998-04-15
HUT78027A (hu) 1999-05-28
EP0642020A4 (de) 1996-07-31
AU666410B2 (en) 1996-02-08
LT3161B (en) 1995-02-27
SK278508B6 (en) 1997-08-06
CA2136195A1 (en) 1993-11-25
EP0642020B1 (de) 1998-04-15
LTIP563A (lt) 1994-04-25
RO113402B1 (ro) 1998-06-30
FI945436A (fi) 1995-01-18
SK137594A3 (en) 1995-05-10
DK0642020T3 (da) 1999-01-11
BG61781B1 (bg) 1998-05-29
CZ270094A3 (en) 1995-03-15
WO1993023753A1 (en) 1993-11-25
US5561067A (en) 1996-10-01
EP0642020A1 (de) 1995-03-08
AU5173193A (en) 1993-12-13
ES2117710T3 (es) 1998-08-16
JP2002509602A (ja) 2002-03-26
FI945436A0 (fi) 1994-11-18
KR950701735A (ko) 1995-04-28
EE03198B1 (et) 1999-06-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udon et al. Clinical value of crystalluria and quantitative morphoconstitutional analysis of urinary calculi
Ladenson et al. Relationship of free and total calcium in hypercalcemic conditions
Frochot et al. Clinical value of crystalluria and quantitative morphoconstitutional analysis of urinary calculi
EP2115474A1 (en) Zinc-based screening test and kit for early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Burmester et al. Evaluation of a rapid method for the determination of plasma fibrinogen
Chang et al. Clinical Significance of Serum Type-III Procollagen Arninopropeptide in Hepatitis B Virus-Related Liver Diseases
Giovanella et al. Comparison of thyroglobulin antibody interference in first-and second-generation thyroglobulin immunoassays
US20040229300A1 (en) Zinc-based screening test and kit for early diagnosis of prostate cancer
KR100207147B1 (ko) 요석증에서 결석형성 과정 정도의 평가와 결석 형성 요산염의 조성물을 결정하는 방법
JP7226732B2 (ja) 尿中腫瘍マーカーによるがん検出方法、キット及び装置
US5366899A (en) Methods of diagnosing complicated urolithiasis and predicting urolithiasis
Laube et al. Kinetics of calcium oxalate crystal formation in urine
JP2002538834A (ja) アレルギー及び感染症を区別するための迅速診断法
Achilles et al. Crystal growth of calcium oxalate in urine of stone-formers and normal controls
EP0504409A1 (en) Method of diagnosing complicated urolithiasis and prognosticating urolithiasis
US6027939A (en) Process for evaluating the global capacity of urine to form chalky renal calculus, and corresponding kit
Liang et al.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novel ICP-MS method to quantify different copper species in human plasma from patients with Wilson disease
EP2557423B1 (en) Immunoassay of carboxymethylarginine
Frómeta et al. Quantitative ultramicrotest for newborn screening of galactosemia in Cuba
JP2018044877A (ja) 被験者における骨密度低下の発症又は進行を予測する方法
WO2024005001A1 (ja) 軽度認知障害の試験方法、軽度認知障害の試験試薬、および軽度認知障害の治療薬候補物質のスクリーニング方法
JP2008197081A (ja) 生体中あるいは生体排出物質の検出及び分析方法
Natali et al. A new challenge for urinary free light chains: assessment of the upper reference limit in healthy subjects.
Nielsen et al. A new automated technique for platelet aggregation measurement
RU2403572C2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солевого состава конкремента при мочекаменной болезн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