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224B1 -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 Google Patents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224B1
KR100206224B1 KR1019970026539A KR19970026539A KR100206224B1 KR 100206224 B1 KR100206224 B1 KR 100206224B1 KR 1019970026539 A KR1019970026539 A KR 1019970026539A KR 19970026539 A KR19970026539 A KR 19970026539A KR 100206224 B1 KR100206224 B1 KR 1002062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injection
screw
rotor
mete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26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2824A (ko
Inventor
아쯔시 에모또
Original Assignee
오자와 미토시
스미토모주키카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자와 미토시, 스미토모주키카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자와 미토시
Priority to KR1019970026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224B1/ko
Publication of KR1999000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2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2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4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29C45/5008Drive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58Details
    • B29C45/63Venting or degassing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54After-treatment
    • C01B32/36Reactivation or regene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32/00Carbon; Compounds thereof
    • C01B32/30Active carbon
    • C01B32/39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29C45/5008Drive means therefor
    • B29C2045/5028Drive means therefor screws axially driven by the coaxial rotor of an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 B29C45/47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into the mould using screws
    • B29C45/50Axially movable screw
    • B29C45/5008Drive means therefor
    • B29C2045/5064Drive means therefor coupling means between rotation motor and rectilinear drive mot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7Shadow masks
    • H01J2229/0722Frame

Abstract

계량용 관통형 모터 및 사출용 관통형 모터의 정격이 떨어짐이 없이, 전동사출성형기의 사용부하에 대응해서 적절한 구동특성을 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계량공정에서 계량용 모터가 구동되고, 로터가 회전된다. 이때, 계량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은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스크류에 전달되고,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후퇴되어 계량이 행해진다. 또, 사출공정에서 사출용 모터가 구동되고 로터가 회전된다. 이때, 사출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에 의한 회전운동은 운동방향 변환수단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상기 스크류로 전달되어 스크류가 전진해서 사출이 행해진다. 그리고, 환기수단은 제1, 제2모터 수용실을 환기하므로 계량용 모터 및 사출용 모터를 구동하므로써 발생된 열은 케이싱 외부로 방출된다.

Description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본 발명은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가열 실린더내에서 가열되어 용융된 수지를 고압으로 사출하여 금형의 캐비티공간에 충전하고, 상기 캐비티공간내에서 냉각하여 고화(固化)시켜, 금형을 열어 성형품을 꺼내도록 되어 있다.
상기 사출성형기는 형체장치(型締裝置) 및 사출장치를 갖추고, 상기 형체장치는 고정플라텐 및 가동플라텐을 구비하여, 형체용 실린더가 가동플라텐을 진퇴시키므로써 금형을 접리(接離)시키도록 되어 있다.
한편, 상기 사출장치는 호퍼로부터 공급된 수지를 가열해서 용융시키는 가열 실린더, 및 용용된 수지를 사출하는 사출노즐을 구비하여, 상기 가열 실린더내에 스크류가 진퇴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를 진진시키므로써 수지를 사출하고, 후퇴시키므로써 계량을 행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런데, 상기 사출장치를 진퇴시키기 위하여 또 상기 스크류를 진퇴시키기 위하여 전동기를 사용하는 전동사출성형기가 제공되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전동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사출장치의 개략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2는 사출장치, 4는 사출장치 프레임이고, 이 사출장치 프레임(4)의 전방(도면에 있어서 좌측)에는 가열 실린더(21)가 고정되고, 상기 가열 실린더(21)의 전단부(도면에 있어서 좌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사출노즐이 배치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실린더(21)내에는 스크류(20)가 진퇴가능하도록 또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20)의 후단부에 볼나사(31)가, 또 상기 볼나사(31)의 후단부에 스플라인(32)이 형성된다.
상기 사출장치 프레임(4)에는 상기 볼나사(31)에 대응해서 사출용 모터(34)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볼나사너트(37)와 사출용 모터(34)가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스플라인(32)에 대응되어 계량용 모터(35)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스플라인너트(38)와 계량용 모터(35)가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사출용 모터(34) 및 계량용 모터(35)에는 NC제어장치(39)가 접속되고, 상기 NC제어장치(39)에 의해 사출용 모터(34) 및 계량용 모터(35)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므로써 사출 및 계량을 행할 수 있다. 즉, 계량공정에 있어서 계량용 모터(35)를 회전시키는 동시에 사출용 모터(34)를 동일한 회전수로 회전시키므로써 스플라인(32), 볼나사(31) 및 스크류(20)가 회전해서 계량이 행해진다. 또, 이때 사출용 모터(34)에 대한 전력의 공급을 조정하고 볼나사너트(37)와 스플라인너트(38)사이에 회전수위 차이를 갖게 하므로써 스크류(20)를 후퇴시켜 계량시에 있어서의 배압제어(背壓制御)를 행할 수 있다.
또, 사출공정에 있어서 사출용 모터(34)를 회전시켜 계량용 모터(35)의 회전을 저지하면 볼나사(31)는 볼나사너트(37)의 회전에 의해 전진한다. 그 결과, 스크류(20)도 전진하여 사출이 행해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전동사출성형기의 사출장치에 있어서는, 계량용 모터(35) 및 사출용 모터(34)가 발생시킨 열이 도시하지 않은 구동케이스내에 축적되면 계량용 모터(35) 및 사출용 모터(34)가 과열되어 계량용 모터(35) 및 사출용 모터(34)의 정격이 떨어질 뿐 아니라 전동사출성형기의 사용부하에 대응하는 최적의 구동특성을 선정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전동사출성형기 사출장치의 문제점을 해결해서 계량용 모터 및 사출용 모터의 정격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부하에 대응되는 최적의 구동특성을 선정할 수 있는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종래의 전동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사출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의 종방향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선을 따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빌트 인 모터형 전동사출성형기의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사출장치 4 : 사출장치 프레임
11 : 케이싱 12, 21 : 가열 실린더
12a : 사출 노즐 13 : 프론트 커버
15 : 중간 프레임 17 : 리어 커버
20, 22 : 스크류 22a : 스크류 헤드
23 : 플라이트 26 : 홈
31 : 볼나사 32 : 스플라인
34, 45 : 사출용 모터 35, 44 : 계량용 모터
37 : 볼나사너트 38 : 스플라인너트
39 : NC제어장치 41, 42 : 모터 프레임
41a : 제1모터 수용실 42a : 제2모터 수용실
46, 48 : 스테이터 47, 49 : 로터
51, 52, 53, 54, 66, 67, 74 : 베어링
56 : 제1로터 샤프트 57 : 제2로터 샤프트
62 : 제1스플라인 너트 63 : 제1스플라인 축
64 : 리테이너 65 : 볼나사 축
69 : 볼너트 71 : 제2스플라인 축
72 : 베어링 박스 73 : 슬러스트 베어링
76 : 제2스플라인 너트 81 : 제1환기수단
81a, 82a, 82b : 급기구 81b, 82c : 배기구
82 : 제2환기수단 83, 85, 86 : 팬
84, 87 : 정류판 88 : 프레임
D1 : 제1구동력 전달수단 D2 : 제2구동력 전달수단
D3 : 제3구동력 전달수단 S : 온도센서
E1 : 운동방향 전환수단
본 발명의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케이싱과 이 케이싱내에 있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케이싱과의 사이에 제1모터 수용실을 형성하는 제1로터 샤프트(rotor shsft)와, 상기 제1로터 샤프트와 삽입결합하는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모터 수용실에 배치되어 설치된 계량용 모터와, 상기 케이싱내에 있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케이싱과의 사이에 제2모터 수용실을 형성하는 제2로터 샤프트와, 상기 제2로터샤프트와 삽입결합하는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모터 수용실에 배치되어 설치된 사출용 모터와, 상기 제1로터 샤프트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계량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을 스크류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제2로터 샤프트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사출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해서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운동방향 변환수단과,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모터 수용실을 환기하는 환기수단을 갖는다.
이 경우, 계량공정에서, 계량용 모터가 구동되고 로터가 회전된다. 이때, 계량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은 구동력 전달수단에 의해 스크류에 전달되고 스크류가 회전하면서 후퇴하여 계량이 행해진다.
또, 사출공정에서, 사출용 모터가 구동되고 로터가 회전된다. 이때, 사출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에 의한 회전운동은 운동방향 변환수단에 의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고 상기 스크류에 전달되어 스크류가 전진하여 사출이 행해진다.
그리고, 환기수단은 제1, 제2모터 수용실을 환기하므로 계량용 모터 및 사출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열은 케이싱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열이 케이싱내에 축적되지 않으므로 계량용 모터 및 사출용 모터가 과열되지 않고 계량용 모터 및 사출용 모터의 정격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성형사이클, 부하사이클 등의 사용부하에 대응해서 계량용 모터 및 사출용 모터의 최적의 구동특성을 선정할 수 있으므로 계량용 모터 및 사출용 모터의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은 제1, 제2환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제1환기수단은 제1모터 수용실을, 제2환기수단은 제2모터 수용실을 각각 독립적으로 환기한다.
이 경우, 계량용 모터만을 구동시킬 경우에는 제1환기수단만을 작동시키고, 사출용 모터만을 구동시킬 경우에는 제2환기수단만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상기 제2환기수단은 각각 독립해서 작동되는 다수의 팬(fan)을 구비한다.
이 경우, 사출용 모터의 구동상태에 대응해서 작동되는 상기 각 팬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의 전력 소비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는 또한 상기 제1, 제2모터 수용실내에 각각 온도센서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의거해서 상기 제1, 제2환기수단이 각각 구동된다.
이 경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의거해서 상기 제1, 제2환기수단이 각각 구동되므로 제1, 제2모터 수용실을 필요할 때만 환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전력소비량을 적게 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의 종방향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A-A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의 측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2는 가열 실린더이고, 상기 가열 실린더(12)는 전단부(도2에 있어서의 좌단부)에 사출노즐(12a)이 배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가열 실린더(12)내에는 스크류(22)가 진퇴가능하도록 또한 회전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22)는 전단부에 스크류 헤드(22a)를 갖추고, 상기 가열 실린더(12)내를 후바(도2에 있어서의 우측)으로 뻗고, 후단부(도2에 있어서의 우단부)에 있어서 제1스플라인 축(63)으로 연결한다. 또, 상기 스크류(22)의 주위에는 나선형상의 플라이트(23)가 형성되고 상기 플라이트(23)사이에 홈(26)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가열 실린더(12)가 설정된 곳에는 도시하지 않은 수지공급구가 형성되고, 상기 수지공급구에 호퍼가 고정된다. 상기 수지공급구는 스크류(22)를 가열 실린더(12)내에 있어서의 가장 전방(도2에 있어서의 좌측)에 놓인 상태에서 상기 홈(26)의 후단부에 대응되는 곳에 형성된다.
따라서, 계량공정시에 상기 스크류(22)를 회전시키면서 후퇴시키면 호퍼내펠릿(pellet)형상의 수지는 낙하해서 가열 실린더(12)내에 진입하여 홈(26)내를 전진하게 된다.
또, 상기 가열 실린더(12)의 주위에는 도시하지 않은 히터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히터에 의해 가열 실린더(12)를 가열하고 상기 홈(26)내의 수지를 용융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스크류(22)를 회전시키면서 소정량만 후퇴시키면 상기 스크류 헤드(22a)의 전방에 1쇼트분의 용융된 수지가 고이게 된다.
다음으로 사출공정시에 상기 스크류(22)를 회전시키지 않고 전진시키면 상기 스크류헤드(22a)의 전방에 고인 수지는 사출노즐(12a)로부터 사출되어 도시하지 않은 금형의 캐비티공간에 충전된다.
그런데, 상기 가열 실린더(12)의 후단부에는 케이싱(11)이 고정된다. 상기 케이싱(11)은 프로트 커버(13), 중간 프레임(15), 리어 커버(17), 상기 프론트 커버(13)와 중간 프레임(15)을 연결하는 프론트측의 모터 프레임(41) 및 상기 중간 프레임(15)과 리어 커버(17)를 연결하는 리어측의 모터 프레임(42)으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케이싱(11)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레임(88)에 장착된다.
또, 상기 케이싱(11)의 전방부에 계량용 모터(44)가, 후방부에 사출용 모터(45)가 서로 동일축상에 배치되어 설치된다. 상기 계량용 모터(44)는 상기 모터 프레임(41)에 고정된 스테이터(46) 및 상기 스테이터(46)의 내부 둘레측에 배치되어 설치된 로터(47)로 이루어지고, 상기 사출용 모터(45)는 상기 모터 프레임(42)에 고정된 스테이터(48) 및 상기 스테이터(48)의 내부둘레측에 배치되어 설치된 로터(49)로 이루어진다.
상기 로터(47)는 케이싱(11)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 때문에 로터(47)에 속이 빈 제1로터 샤프트(56)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1로터 샤프트(56)의 전단부가 베어링(51)에 의해 프론트 커버(13)에, 후단부가 베어링(52)에 의해 중간 프레임(15)에 지지된다.
한편, 상기 로터(49)도 케이싱(11)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 때문에 로터(49)에 속이 빈 제2로터 샤프트(57)가 삽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제2로터 샤프트(57)의 전단부가 베어링(53)에 의해 중간 프레임(15)에, 후단부가 베어링(54)에 의해 리어 커버(17)에 각각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 계량용 모터(44)에 있어서, 스테이터(46)에 소정 주파수의 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스크류(22)를 회전시키면서 후퇴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1로터 샤프트(56)의 전단부 내부둘레에 제1스플라인 너트(62)가 고정되고, 상기 제1스플라인 너트(62)와 제1스플라인 축(63)이 스플라인연결되고, 상기 제1스플라인 축(63)의 전단부에 상기 스크류(22)가 고정된다. 이 경우, 상기 제1스플라인 너트(62)와 제1스플라인 축(63)에 의해 제1구동력 전달수단(D1)이 구성되고, 상기 제1구동력 전달수단(D1)은 제1스플라인 너트(62)와 제1스플라인 축(63)사이에 있어서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운동을 규제하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운동은 허용한다. 또, 상기 제1스플라인 축(63)은 스크류(22)의 스트로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상기 계량용 모터(44)를 구동시켜 로터(47)를 회전시키면 로터(47)의 회전은 제1로터 샤프트(56) 및 제1구동력 전달수단(D1)을 통해서 스크류(22)에 전달되어 상기 스크류(22)를 회전시킨다.
이 경우, 제1스플라인 너트(62)와 제1스플라인 축(63)사이에 있어서,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운동이 허용되므로 제1스플라인 너트(62)에 대해서 제1스플라인 축(63)이 상대적으로 후퇴되어 스크류(22)도 후퇴된다. 그리고, 상기 스크류(22)를 후퇴시킬 때 수지가 발생하는 압력에 저항해서 스크류(22)에 배압(背壓)이 가해진다.
한편, 상기 사출용 모터(45)에 있어서, 스테이터(48)에 소정 주파수의 전류를 공급하므로써, 상기 스크류(22)를 회전시키지 않고 전진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2로터 샤프트(57)의 후단부에 환형상의 베어링 리테이너(64)가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 리테이너(64)의 내부둘레에 볼나사축(65)이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볼나사축(65)은 케이싱(11)에 대해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즉, 볼나사축(65)은 베어링 리테이너(64)를 통해서 베어링(66)에 의해, 또 상기 베어링(66)보다 후방에 배치되어 설치된 베어링(67)에 의해 리어 커버(17)에 지지된다.
그리고, 사익 제2로터 샤프트(57)내에 볼너트(69)가 진퇴가능하도록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볼너트(69)와 볼나사축(65)을 나사결합시키므로써 운동방향 변환수단(E1)이 구성된다. 따라서, 로터(49)의 회전은 제2로터 샤프트(57) 및 베어링 리테이너(64)를 통해서 볼나사축(65)에 전단되고, 상기 운동방향 변환수단(E1)에 의해 회전운동이 직선운동으로 변환되어, 그 결과 볼너트(69)가 진퇴된다.
또, 상기 볼너트(69)가 볼사낫축(65)과 함께 회전하지 않도록 상기 볼너트(69)의 전단부에 속이 빈 제2스플라인 축(71)이 고정되고, 상기 중간 프레임(15)에 고정된 제2스플라인 너트(76)와 제2스플라인 축(71)이 스플라인 연결된다. 이 경우, 제2스플라인 너트(76)와 제2스플라인 축(71)에 의해 제2구동력 전달수단(D2)이 구성되고, 상기 제2구동력 전달수단(D2)은 제2스플라인 너트(76)와 제2스플라인 축(71)사이에서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운동을 규제하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운동은 허용한다. 또, 상기 제2스플라인 축(71)은 스크류(22)의 스트로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갖는다.
그리고, 상기 제2스플라인 축(71)의 전단부에 제3구동력 전달수단(D3)으로서의 베어링 박스(72)가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 박스(72)내의 전방에 슬러스트 베어링(73)이, 후방에 베어링(74)이 배치되어 설치된다. 이 경우, 베어링 박스(72)는 제1스플라인 축(63)과 제2스플라인 축(74)과의 축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운동을 규제하고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상대적인 운동을 허용한다. 따라서, 상기 제1스플라인 축(63)은 슬러스트 베어링(73) 및 베어링(74)에 의해 제2스플라인 축(71) 및 볼너트(69)에 대해서 상대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그런데, 상기 구성의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 제1로터 샤프트(56)의 내측에 제2구동력 전달수단(D2) 및 제3구동력 전달수단(D3)이, 제2로터 샤프트(57)의 내측에 운동방향 변환수단(E1)이 각각 배치되어 설치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모터 프레임(41)과 제1로터 샤프트(56)사이에 형성되는 제1모터 수용실(41a), 및 모터 프레임(42)과 제2로터 샤프트(57)사이에 형성되는 제2모터 수용실(42a)이 좁아진다. 따라서, 계량용 모터(44)및 사출용 모터(45)에 의해 발생된 열이 제1, 제2모터 수용실(41a), (42a)내에 축적되기 쉽다.
그래서, 사익 모터 프레임(41)에 제1환기수단(81)이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환기수단(81)에 의해 상기 제1모터 수용실(41a)을 환기하여 상기 계량용 모터(44)에 의해 발생된 열을 케이싱(11)외부로 방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1환기수단(81)은 상기 모터 프레임(41)에 있어서 수평방향으로 개구하는 급기구(給氣口)(81a), 이 급기구(81a)에 배치되어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제1환기용 모터에 연결된 팬 (83), 상기 모터 프레임(41)에 있어서의 급기구(81a)와 반대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개구하는 배기구(81b) 및 이 배기구(81b)에 배치되어 설치된 정류판(84)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도시하지 않은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제1환기용 모터를 구동하고 팬(83)을 회전시키면 케이싱(11)외부의 공기가 급기구(81a)로부터 제1모터수용실(41a)로 들어가 계량용 모터(44)를 냉각하고 배기구(81b)로 배출된다.
또, 상기 모터 프레임(42)에 제2환기수단(82)이 배치 설치되어, 상기 제2환기수단(82)에 의해 상기 제2모터 수용실(42a)을 환기하고, 상기 사출용 모터(45)에 의해 발생된 열을 케이싱(11)외부로 방출하도록 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제2환기수단(82)은 상기 모터 프레임(42)에서 수평방향으로 개구된 2개의 급기구(82a), (82b), 이 급기구 (82a), (82b)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도시하지 않은 제2환기용 모터에 연결된 팬(85), (86), 상기 모터 프레임(42)에 있어서의 급기구(82a), (82b)와 반대측에서 수평방향으로 개구하는 1개의 급기구(82a), 및 이 배기구(82c)에 배치되어 설치된 정류판(87)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제어장치에 의해 상기 제2환기용 모터를 구동시켜 팬(85), (86)을 회전시키면 케이싱(11)외부의 공기가 급기구(82a), (82b)로부터 제2모터수용실 (42a)에 들어가 사출용 모터(45)를 냉각하고 배기구(82c)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제1, 제2 환기수단(81), (82)을 각각 작동시키므로써 제1, 제2모터 수용실(41a), (42a)을 환기할 수 있으므로 계량용 모터(44) 및 사출용 모터(45)에 의해 발생된 열은 케이싱(11)외부로 방출된다. 따라서, 상기 열이 케이싱(11)내에 축적되지 않으므러 계량용 모터(44) 및 사출용 모터(45)가 과열되지 않고 게량용 모터(44)및 사출용 모터(45)의 정격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에 있어서의 성형사이클, 부하사이클 등의 사용부하에 대응해서 계량용 모터(44)및 사출용 모터(45)의 최적의 구동특성을 선정할 수 있으므로 계량용 모터(44)및 사출용 모터(45)의 구동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환기수단(81)은 제1모터 수용실(41a)을 제2환기수단(82)은 제2모터 수용실(42a)을 각각 독립적으로 환기한다. 따라서, 계량용 모터(44)만을 구동할 경우에는 제1환기수단(81)만을 작동시키고, 사출용 모터(45)만을 구동할 경우에는 제2환기수단(82)만을 작동시킬 수 있으므로 전력소비량을 적게 할수 있다.
이 경우, 사출공정에 있어서 사출용 모터(45)에 가해지는 부하는 계량공정에 있어서 계량용 모터(44)에 가해지는 부하에 비해서 크고, 사출용 모터(45)가 발생하는 열의 양은 계량용 모터(44)가 발생하는 열의 양보다 커진다. 따라서, 제1환기수단(81)에 있어서는 1개의 팬(83)이 배치되어 설치되는 것에 대해서 제2환기수단(82)에 있어서는 2개의 팬(85),(86)이 배치되어 설치되고 각각 독립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사출용 모터(45)의 구동상태에 대응해서 작동시키는 팬(85), (86)의 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의 전력소비량을 적게 할 수 있다.
또,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제2모터 수용실(41a), (42a)에 있어서의 스테이터(46), (48)의 근방에는 각각 온도센서(S)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각 온도센서(S)에 의해 계량용 모터(44) 및 사출용 모터(45)의 각 온도를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각 온도센서(S) 에 의해 온도가 검출되면 검출온도가 상기 제어장치로 보내진다. 따라서, 소정의 조건이 성립했을 때에만, 예를 들면 계량용 모터(44) 및 사출용 모터(45)의 각 온도가 설정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팬(83) 및 팬(85), (86)을 선택적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 제2모터수용실(42a)에 있어서의 사출용 모터(45)의 온도에 대응해서 상기 팬(85), (86)의 한편만을 회전시키거나 양측에 회전시키거나 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온도센서(S)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의거해서 제1, 제2환기수단(81), (82)을 구동할 수 있으므로 제1, 제2모터 수용실(41a), (42a)을 필요할 때에만 환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의 전력소비량을 적게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에 근거해서 각종 변형이 가능한데, 그들을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Claims (4)

  1. (a)케이싱과, (b) 상기 케이싱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케이싱과의 사이에 제1모터 수용실을 형성하는 제1로터 샤프트와, (c) 상기 제1로터 샤프트와 삽입결합되는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1모터수용실에 배치되어 설치된 계량용 모터와, (d) 상기 케이싱내에서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케이상과의 사이에 제2모터 수용실을 형성하는 제2로터 샤프트와, (e) 상기 제2로터 샤프트와 삽입결합되는 로터를 구비하고, 상기 제2모타 수용실에 배치되어 설치된 사출용 모터와, (f) 상기 제1로터 샤프트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계량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을 스크류에 전달하는 구동력 전달수단고, (g)상기 제2로터 샤프트내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사출용 모터에 의해 발생된 회전에 의한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을 변환해서 상기 스크류에 전달하는 운동방향 변환수단과, (h) 상기 케이싱에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제1, 제2모터 수용실을 환기하는 환기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기수단은 제1, 제2환기수단으로 이루어지고, 제1환기수단은 제1모터 수용실을, 제2환기수단은 제2모터 수용실을 각각 독립되게 환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환기수단은 각각 독립되게 작동되는 다수의 팬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모터 수용실내에 각각 온도센서가 배치되어 설치되고,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검출된 온도에 의거해서 상기 제1, 제2환기수단이 각각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KR1019970026539A 1997-06-23 1997-06-23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KR1002062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539A KR100206224B1 (ko) 1997-06-23 1997-06-23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26539A KR100206224B1 (ko) 1997-06-23 1997-06-23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824A KR19990002824A (ko) 1999-01-15
KR100206224B1 true KR100206224B1 (ko) 1999-07-01

Family

ID=1951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26539A KR100206224B1 (ko) 1997-06-23 1997-06-23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2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268A (ko) * 2014-03-25 2015-10-05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출성형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1268A (ko) * 2014-03-25 2015-10-05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출성형기
KR101683360B1 (ko) 2014-03-25 2016-12-06 스미도모쥬기가이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사출성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2824A (ko) 1999-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91485A (en) Built-in motor type electric injection molding apparatus
US5679384A (en) Injection apparatus for an electric injection molding machine
JP5052253B2 (ja) 成形機
EP0967064B1 (en) Injection apparatus
KR100206224B1 (ko) 빌트 인 모터형 전동식 사출성형기
JP2009538595A (ja) 駆動システム
EP1371473B1 (en) Cooling mechanism for cooling electric driving part of injection molding machine and cooling method for the same
JP3245391B2 (ja) ビルトインモータ型射出装置
CN101098777A (zh) 成型机、注射装置及其温度控制方法
JP6700141B2 (ja) 射出装置
JP2000052393A (ja) 射出成形機の潤滑装置
JP3380474B2 (ja) 電動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JP3236826B2 (ja) 射出成形機のストローク設定装置
JP3140996B2 (ja) 電動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JP4035123B2 (ja) 射出成形機
JP3262224B2 (ja) 電動射出成形機
JPH09267369A (ja) ビルトインモータ型電動式射出成形機におけるモータ冷却装置
JP3316183B2 (ja) 射出成形機の冷却装置
JP2001225345A (ja) 電動射出成形機
JP3236823B2 (ja) 射出成形機
JP2000108181A (ja) 電動射出成形機の異物進入防止装置
JP2880674B2 (ja) 電動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JP3145681B2 (ja) 電動射出成形機の射出装置
JP2000052394A (ja) 射出成形機の潤滑装置
JP2004025888A (ja) 射出成形機の回転検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26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