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064B1 -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064B1
KR100206064B1 KR1019960041966A KR19960041966A KR100206064B1 KR 100206064 B1 KR100206064 B1 KR 100206064B1 KR 1019960041966 A KR1019960041966 A KR 1019960041966A KR 19960041966 A KR19960041966 A KR 19960041966A KR 100206064 B1 KR100206064 B1 KR 1002060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ctuating
assembly
latch
actuat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5160A (ko
Inventor
피. 허배처 래리
에이치. 몬타그 존
에프. 클라크 제임스
Original Assignee
갈라스 윌리엄 이.
티알더블유 인코오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갈라스 윌리엄 이., 티알더블유 인코오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갈라스 윌리엄 이.
Publication of KR970015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5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0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0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5/00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f instruments in or on vehicles
    • B60K35/10Input arrangements, i.e. from user to vehicle, associated with vehicle functions or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37/00Dashboar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8Arrangements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a switch, e.g. cartridge hou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Instrument Panels (AREA)

Abstract

차량(20)의 계기판(28)에 배치되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28)는 작동 상태와 비작동상태 사이에서 작동가능한 스위치 조립체(54)를 포함한다. 그 스위치 조립체(54)를 둘러싸는 하우징은 래치 조립체(78)에 의하여 계기판(28)과 연결된다. 래치 조립체(78)는 상기 하우징(52)를 계기판(28)내에 유지하는 맞물림 상태와 하우징을 계기판내에 유지하는데 효과를 발휘하지 못하는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가능하다. 상기 스위치 조립체(54)에는 작동부재(32)가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52)에 대하여 회전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킬 수 있다. 작동부재(32)는 또한 상기 하우징(52)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78)를 상기 해제 상태로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계기판(28)에 대하여 이동하게 상기 하우징을 해제시킬 수 있다. 상기 래치 조립체(78)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 상기 작동부재(32)를 수동으로 잡아당겨 상기 하우징(52) 및 스위치 조립체(54)를 계기판(28)으로 부터 이동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신규하고 개선된 스위치 제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특정적으로는 차량 계기판내에 위치될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공지의 스위치 제어 조립체에는 차량 계기판과 연결되고 스위치 조립체를 둘러싸는 하우징이 포함된다. 스위치 조립체에는 차량 주차등, 전조등 및 안개등을 켜도록 회전가능한 작동부재가 연결된다. 하우징을 계기판내에 유지하는 래치 조립체가 구비된다.
스위치 조립체를 계기판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때는, 작동부재를 하우징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당긴다. 그 다음, 스크루드라이버(screwdriver)와 같은 공구를 작동부재내의 접근 개구내로 삽입하여 작동부재를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분리되게 해제시킨다. 작동부재가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분리되어지면, 이전에 작동부재에 의해 덮여 있었던 하우징내의 슬롯이 노출된다. 스크루드라이버와 같은 공구가 래치 조립체를 해제 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해 슬롯내로 삽입된다.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로 작동되어지면, 하우징을 계기판으로부터 빼내도록 하우징에 힘을 인가해야만 한다. 계기판으로부터 하우징을 빼내는데 요구되는 힘은, 래치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슬롯을 통해 연장되는 공구 및/또는 다른 공구에 의해 하우징에 인가될 수도 있다. 그러나, 래치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해 슬롯내로 연장되는 공구는, 계기판으로부터 하우징을 제거하는 중에, 래치 조립체를 해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 슬롯을 통해 계속 연장되어 있어야만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 및 작동되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를 갖는 차량의 부분 사시도.
제2도는 비작동 상태에 있는 제1도의 스위치 제어 조립체의 부분 확대평면도.
제3도는 작동 상태에 있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를 도시하는 제2도와 대체로 유사한 평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차량의 계기판에 장착된 스위치 제어 조립체를 도시한 입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스위치 제어 조립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스위치 조립체의 개략도.
제6도는 제4도의 스위치 제어 조립체의 부품들의 개략적인 전개도.
제7도는 제5도의 스위치 제어 조립체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형성하는 경사부(bezel)의 일부를 도시한 확대평면도.
제8도는 제5도의 스위치 제어 조립체를 작동하는, 하우징에 대해 회전가능한 작동부재의 측입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9-9를 따라 취한, 작동부재의 구성을 도시한 저면도.
제10도는 제8도의 선 10-10을 따라 취한, 작동부재가 구동부재와 연결되어 있는 방식을 도시한 부분단면도.
제11도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가 제2도의 비작동 상태에 있을때의 하우징의 일부 내측을 도시한 확대평면도.
제12도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가 제3도의 작동 상태에 있을때의 하우징의 일부 내측을 도시한, 제11도와 대체로 유사한 평면도.
제13도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가 계기판으로부터 제거되었을때 작동부재의 방향이 바뀌는 방식을 도시한, 제2도와 대체로 유사한 평면도.
제14도는 래치 조립체가 맞물림 상태에 있고, 작동부재가 제13도에 도시된 방향에 있을 때의 하우징의 내측을 도시한, 제11도와 대체로 유사한 개략평면도.
제15도는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의 작동부재와 래치 조립체의 래치부재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입면도.
제16도는 제15도의 선 15-15를 따라 취한,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의 작동부재와 래치 조립체의 관계를 도시한 개략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6 : 스위치 제어 조립체 28 : 계기판
32 : 작동부재 34 : 표시기
52 : 하우징 54 : 스위치 조립체
56 : 경사부 58 : 측벽 어레이
78 : 래치 조립체 84 : 스위치 작동 캠
86 : 구동부재 120 : 래치부재
172 : 래치 작동부 218 : 소켓
본 발명은 하우징이 래치 조립체에 의해 계기판내에 유지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우징은 스위치 조립체를 둘러싸고 있다.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하우징에 대해 작동부재가 이동가능하다.
작동부재는 또한, 래치 조립체가 하우징을 계기판내에 유지하는데 유효하지 못한 해제 상태로 래치 조립체를 동작시키도록 하우징에 대해 이동될 수 있다. 작동부재는 래치 조립체를 동작시키도록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한 래치 작동부를 갖는다.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 래치 작동부는 하우징을 계기판에 대해 이동시키도록 하우징에 힘을 전달하는데 유효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하우징 및 스위치 조립체를 계기판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때, 작동부재를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킨다. 그 다음, 작동부재가 상이한 방향으로 위치되도록, 작동부재를 스위치 조립체와 재연결시킨다. 그 다음,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로 작동되도록 작동부재를 하우징에 대해 회전시킨다.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로 작동되어지면, 하우징이 계기판에 대해 이동되도록 작동부재를 축방향 외측으로 당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한 본 발명에 대한 하기의 설명을 고려한다면, 본 발명의 전술한 그리고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과 관련되는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차량(20)의 운전자는 운전선(220에 앉아 조종핸들(24)을 수동으로 회전시키고 스위치 제어 조립체(26)를 작동할 수 있다(제1도). 스위치 제어 조립체(26)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고, 차량(20)의 계기판(28)상에 장착된다. 스위치 제어 조립체(26)는 차량 주차등, 전조등 및 안개등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동작가능하다.
스위치 제어 조립체(26)에는 작동 경로를 따라 수동으로 이동가능한 작동부재 혹은 노브(32, 제2도)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작동부재(32)는 먼저 주차등이 켜지도록 제2도에 도시된 오프(off)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가능하다. 작동부재(32)를 제3도에 도시된 위치가지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전조등과 주차등이 함께 켜진다. 작동부재(32)가 제3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 작동부재를 계기판(28)으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당기면 안개등이 켜진다.
작동부재(32)가 오프 위치에 있을때(제2도), 작동부재상의 표시기(34)는 등(light)들이 모두 오프 혹은 꺼진 상태로 되어 있다는 것을 표시하는 표지(36)와 정렬된다. 작동부재(32)를 그 중심축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대략 27.5°만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표시기 (34)는 주차등이 켜져있음을 표시하는 표지(38)와 정렬되도록 이동된다. 작동부재(32)를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표시기(34)는 표지(40)와 정렬되도록 이동된다. 표지(40)는 주차등과 전조등이 켜져있음을 표시한다.
안개등을 켜기 위해서는, 먼저 작동부재를 표시기(34)가 표지(40)와 정렬되는 전조등 켜짐 위치(제3도)로 돌린다. 그 다음, 작동부재(32)를 축방향 외측으로 당긴다. 작동부재(32)를 축방향 외측으로 당기면, 안개등이 켜지고 표지(42)가 밝혀진다. 이때, 주차등, 전조등 및 안개등이 모두 켜지게 된다.
제2도에 도시된 스위치 제어 조립체(26)의 실시예에는, 계기판(28)상의 등들의 밝기를 변화시키도록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엄지에 의한 조절방식의 엄지 휘일(thumbwheel, 46)이 포함된다. 추가적으로, 차량 엔진이 꺼지고나서 전조등이 자동적으로 꺼질때까지 시간 간격을 변화시키도록 수동으로 회전가능한 엄지 휘일(48)이 포함된다. 원한다면 엄지 휘일(46 및/또는 48)이 다른 기능의 제어를 위해 이용되거나 혹은 생략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스위치 제어 조립체(26)는 공지의 스위치 조립체(54)를 둘러싸는 하우징(52)을 포함한다(제4도). 하우징(52)에는 계기판(28)의 외측(57)과 맞물리는 경사부(56)가 포함된다. 하우징(52)에는 또한 경사부(56)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측벽 어레이(array, 58)가 포함된다.
측벽 어레이(58)에는 평행하는 주 측벽(60 및 62) 및 부 측벽(64 및 66)이 포함된다(제4도 및 6도). 주 측벽(60,62)과 부 측벽(64,66)은 림부(rim portion, 68)를 갖는 일체의 단일편으로 형성된다(제6도). 립부(68)에는 경사부(56)의 하측 돌출부(도시않됨)가 그 속으로 연장되는 개구(70)가 구비된다. 측벽 어레이(58)는 경사부(56)와 고정적으로 맞물려 단일의 하우징(52)을 형성한다.
스위치 조립체(54)는 측벽 어레이(58)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따라서, 스위치 조립체(54)에는 측벽 어레이(58)내에 형성된 개구(74)속으로 연장하는 탭(72)을 갖는 하우징이 구비된다. 이로써 하우징(52)은 스위치 조립체(54)를 계기판(28)내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하우징(52)은 래치 조립체(78, 제4도, 6도 및 제14도)에 의해 계기판(28)내에 형성된 개구(80, 제4도)내에 유지된다. 래치 조립체(78)는, 래치 조립체가 하우징(52)을 계기판(28)내에 유지하는데 유효한 제4도에 도시된 맞물림 상태와, 래치 조립체가 하우징(52)을 계기판(28)내에 유지하는데 유효하지 못한 해제 상태(제16도) 사이에서 동작 가능하다. 래치 조립체(78)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 하우징(52)과 스위치 조립체(54)를 개구(80)를 통해 계기판(28)으로부터 빼낼 수 있다.
스위치 조립체(54)에는 하우징(52)에 의해 둘러싸인 회전가능한 스위치 작동 캠(cam, 84, 제5도)이 포함된다. 회전가능한 스위치 작동 캠(84)은 그 형상이 원통형이고, 작동부재(32)와 동축적 관계로 배치된다. 스위치 작동 캠(84)은 작동부재(32)를 통과하여 연장하는 축(85)에 대해 회전가능하다.
구동부재(86)가 스위치 작동 캠(84)과 연결된다. 구동부재(86)는 스위치 작동 캠(84) 및 작동부재(32)와 동축적 관계로 배치된다. 구동부재(86)는 작동부재(32)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작동부재와 연결된다(제2도 내지 4도).
작동부재(32)가 초기 혹은 오프 위치에 있을때(제2도), 주차등 제어 스위치(90, 제5도)는 주차등(92)이 꺼져 있도록 개방된다. 이때, 전조등 제어 스위치(94)도 역시 전조등(96)이 꺼져 있도록 개방된다. 덧붙여서, 안개등 제어 스위치(98)도 안개등(100)이 꺼져 있도록 개방된다.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축(85)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대략 27.5°만큼 작동부재(32)를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표시기(34)는 주차등(92)이 켜져있음을 표시하는 표지(38)와 정렬되도록 이동된다. 작동부재(32)의 회전은 구동부재(86)에 의해 스위치 작동 캠(84)으로 전달된다. 스위치 작동 캠(84)이 회전되면, 주차등 제어 스위치(90)의 가동 스위치 접촉자(104)가 정지 스위치 접촉자(105)와 맞물리도록 이동된다. 이것의 결과로 주차등(92)이 켜진다. 이때, 전조등(96)과 안개등(100)은 꺼진 상태이다.
제3도에 도시된 위치쪽으로 작동부재(32)를 축(85)에 대해 27.5°만큼 시계방향으로 계속해서 수동으로 더 회전시키면, 표시기(34)는 전조등이 켜져있음을 표시하는 표지(40)와 정렬되도록 이동된다. 작동부재(32)가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 이동되면서, 스위치 작동 캠(84, 제5도)은 구동부재(86)에 의해 축(85)에 대해 회전된다. 이것의 결과로, 전조등 제어 스위치(94)의 가동 스위치 접촉자(106)가 정지 스위치 접촉자(108)와 정렬되도록 이동되어져, 전조등 제어 스위치가 폐쇄된다. 전조등 제어 스위치가 폐쇄되면 전조등이 켜진다. 이때, 주차등(92) 역시 켜진다. 그러나, 안개등(100)은 꺼진 상태이다.
안개등(100)을 켜기 위해서는, 먼저 작동부재(32)를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 축(85)에 대해 회전시켜 주차등(92)과 전조등(96)을 켠다. 이것이 이루어지면, 작동부재(32)를 축(85)을 따라 외측으로, 즉 스위치 조립체(54)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긴다(제4도). 작동부재(32)를 이렇게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시키면, 구동부재(86)가 축방향 외측으로, 즉 제5도에 도시된 것처럼 위로 이동된다. 구동부재(86)의 축방향 외측으로의 이동중에, 스위치 작동 캠(84)은 정지된채로 남는다.
구동부재(86)가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되면서, 안개등 제어 스위치(98)의 가동 스위치 접촉자(112)가 정지 스위치 접촉자(114)와 정렬되도록 이동되어 안개등(100)이 켜지게 된다. 이 결과, 주차등(92), 전조등(96) 및 안개등(100)이 모두 켜진다.
차량등 들을 끄고자 할때에는, 먼저 작동부재(32)가 제3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작동부재(32)를 경사부(56)를 향해 축방향 내측으로 민다. 스위치 작동 캠(84)이 정지된 상태에서, 구동부재(86)는 작동부재(32)와 함께 축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안개등 제어 스위치(98)의 가동 스위치 접촉자(112)가 정지 스위치 접촉자(114)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되어 안개등(100)이 꺼지게 된다.
그 다음, 작동부재(32)를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스위치 작동 캠(84)이 작동부재(32)와 함께 회전되어 전조등 제어 스위치(94)의 가동 스위치 접촉자(106)를 정지 스위치 접촉자(108)로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전조등(96)이 꺼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표시기(34)는 주차등 표지(38)와 정렬되도록 이동된다.
작동부재(32)를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작동부재가 제2도에 도시된 초기 혹은 오프 위치로 이동된다. 스위치 작동 캠(84)이 작동부재(32)와 함께 회전되어 주차등 제어 스위치(90)의 가동 스위치 접촉자(104)를 정지 스위치 접촉자(105)로 부터 멀어지도록 이동시킴으로써, 주차등(92)이 꺼지게 된다. 이와 더불어, 표시기(34)는 오프 위치 표지(36)와 정렬되도록 이동된다(제2도). 따라서, 작동부재(32)가 제2도에 도시된 오프 위치에 있을때, 주차등(92), 전조등(96) 및 안개등(100)은 모두 꺼지게 된다(제5도).
하우징 및 래치 조립체
하우징(52, 제4도)은 스위치 조립체(54)와 래치 조립체(78)를 둘러싼다. 래치 조립체(78)에는 래치부재(120, 제6도 및 14도)가 포함된다. 래치부재(120)의 일부는 하우징(52)내의 개구를 통해 연장하여 계기판(28, 제4도)과 맞물린다.
래치부재(120)는 주 몸체부(122, 제6도)를 갖는다. 래치부재(120)의 주 몸체부(122)는 측벽 어레이(58)의 주 측벽(60)을 따라 연장한다(제6도 및 14도). 래치부재(120)의 주 몸체부(122)는 측벽(64)내 개구(126)를 통해 연장하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래치포올(latch pawl, 124)을 갖는다(제4도 및 6도).
래치조립체(78)가 제4도의 맞물림 상태에 있을때, 래치 포올(124)은 계기판(28)의 내측 돌출부(128)와 맞물린다. 래치부재의 주 몸체부(122)는 주 몸체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한쌍의 래치 핑거(latch finger, 132 및 134)를 갖는다. 래치 핑거(132 및 134)는 주 측벽(60)내에 형성된 개구(138 및 140, 제6도)를 통해 연장한다. 래치 핑거(132 및 134)는 계기판(28)의 내측 표면(142, 제4도)과 맞물린다.
덧붙여서, 래치부재(120, 제6도)는 주 몸체부(122)로부터 연장하는 아암(arm, 146)을 포함한다. 아암(146)은 하우징(52)의 주 측벽들(60 및 62) 사이에서 연장한다(제14도), 아암(146)의 외측 단부상에는 래치 핑거(148)가 형성되며, 래치 핑거(148)는 측벽 어레이(58)의 주 측벽(62)내에 형성된 개구(150)내로 연장한다(제6도).
주 몸체부(122)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는 플런저(plunger, 152)가 연장되어 있다. 래치 조립체(78)가 제14도에 도시된 맞물림 상태에 있을때, 플런저(152)는 편향 스프링(biasing spring, 158)에 의해 측벽 어레이(58)의 주 측벽(60)상의 돌출부(156)에 맞붙여 눌러진다. 편향 스프링(158)은 래치부재(120)가 맞물림 상태로 유지되게 가압한다.
래치부재(120)는, 제14도의 맞물림 상태로부터 제16도의 해제 상태로, 편형 스프링(158)의 힘에 대항하여 우측으로 이동가능하다. 스프링이 적재된 플런저(152)는 래치부재(120)를 (제1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측 및 맞물림 상태로 계속적으로 가압한다.
경사부(56)는 작동부재(32, 제6도)를 수용하는 원형 오목부(162, 제6도 및 7도)를 갖는다. 원형 오목부(162)는 구동부재(86)가 통과하여 연장하는 중앙 개구(164)를 갖는다. 구동부재(86)는 개구(164)를 통해 연장하여 작동부재(32)의 중앙부(168)와 맞물린다. 원형 오목부(162)내의 개구(164)는 스위치 조립체(54)의 작동부재(32), 구동부재(86) 및 스위치 작동 캠(84, 제5도)의 중심축(85)과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다.
주차등 및/또는 전조등이 켜져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표지(36, 38 및 40, 제7도)는 원형 오목부(162)의 주변을 따라 아아치형(arcuate)배열로 배치된다. 표지(36, 38 및 40)의 아아치형 배열의 곡률 중심은 개구(164)의 중심축(85, 제6도)상에 배치된다.
본 발명의 특징들중 하나에 따르면, 작동부재(32)는 래치 작동부(172)를 갖는다. 래치작동부(172)는 작동부재(32)의 회전중에 래치 조립체(78)를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동작시킨다. 래치 작동부(172)는 또한 래치 조립체(78)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 하우징(52)에 힘을 가하여 스위치 제어 조립체(26)를 계기판(28)에 대해 이동시킨다. 래치 작동부(172)는 작동부재의 원통형 림부(174)로부터 축방향 외측으로 연장한다(제6도, 8도 및 9도). 작동부재(32)의 원통형 림부(174)는 경사부(56)의 원형 오목부(162)내에 수용된다(제7도). 작동부재(32)의 원통형 림부(174)의 곡률 중심은 개구(164) 및 작동부재의 중심축(85)과 일치하도록 배치된다.
작동부재(32)가 경사부(56)에 대해 정상적으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때(제2도 및 3도), 작동부재의 래치 작동부(172)는 경사부(56)의 아아치형 저장 슬롯(178, 제7도)내로 연장한다. 아아치형 저장 슬롯(178)은 축(85)상에 배치되는 곡률 중심을 갖는다. 래치 작동부(172)가 아아치형 저장 슬롯(178)내에 배치되어 있을때, 래치 작동부(172)는 래치 조립체(78)을 동작시키는데 유효하지 못하다. 따라서, 래치 작동부(172)가 저장 슬롯(178)내에 배치되어 있을때, 작동부재(32)의 회전은 편향 스프링(158)의 힘에 대항하여 래치부재(120)를 이동시키는데 유효하지 못하다. 그러나, 래치 작동부(172)가 저장 슬롯(178)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부재(32)를 회전시키면, 스위치 조립체(54)가 유효하게 작동된다.
경사부(56)에 대한 작동부재(32)의 방향이 제13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바뀌면, 래치 작동부(172)는 래치 해제 슬롯(180)내로 연장된다(제7도). 작동부재(32)가 이러한 방향으로 있을때, 래치 작동부(172)는 작동부재의 회전시 래치 조립체(78)를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작동시키는데 유효하다. 아아치형 저장 슬롯(178)과 래치 해제 슬롯(180)은 개구(164)의 중심축(85)상에 배치되는 공통의 곡률 중심을 갖는다. 래치 작동부(172)가 래치 해제 슬롯(180)내에 배치되어 있는 상태에서 작동부재(32)를 회전시키면, 스위치 조립체(54) 역시 유효하게 작동된다.
제7도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저장 슬롯(178)은 대략 99°의 아아치형 크기를 가지며, 래치 해제 슬롯(180)은 대략 103°의 아아치형 크기를 갖는다. 저장 슬롯(178)의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좌측 단부와 래치 해제 슬롯(180)의 좌측 단부 사이의 아아치형 간격은 대략 62°이다. 저장 슬롯(178)의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우측 단부와 래치 해제 슬롯(180)의 우측 단부 사이의 아아치형 간격은 대략 96°이다.
제7도에 도시된 경사부(56)의 실시예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clear polycar bonate)로 이루어진 단일편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되며, 백색으로 도색된 다음 흑색으로 도색된 외측 표면을 갖는다. 흑색층은 표지(36, 38 및 40)가 노출되도록 레이저로 에칭되며, 도광관(light pipe, 190)은 투명한채로 남는다. 전술된 저장 슬롯(178)과 래치 해제 슬롯(180)의 아아치형 크기 및 특정 물질은 기재의 명료성의 목적으로 설명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다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작동부재 및 구동부재
작동부재(32) 및 구동부재(86, 제6도, 8도, 9도 및 10도)는, 경사부(56, 제7도)에 대해 작동부재를 수동으로 회전시킬때, 스위치 조립체(54, 제5도)가 작동되도록 힘을 전달한다. 작동부재(제8도)는 작동부재(32)의 중앙부(168)를 포함하는 원형 몸체부(184, 제8도 및 9도)를 포함한다. 원통형 림부(174)는 몸체부(184)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된다. 몸체부(184)로부터 외측으로 몸체부를 반경방향으로 가로질러서 핸들부(186)가 연장된다.
표시기(34, 제6도)는 안개등 표지(42)와 함께 핸들부(186)상에 배치된다. 표시기(34)는 반투명성이다. 표시기(34)에 광을 전도하도록 도광관 시스템이 구비된다. 도광관 시스템은 경사부(56)상에 형성된 투명한 아아치형 도광관(190, 제7도)을 포함한다. 도광관(190)은, 도광관(190)의 단부(192)내측으로 하우징내에 위치된 광원에 노출된다.
작동부재(32)에는 표시기(34)로 향하는 투명한 도광관(196, 제9도 및 10도)이 구비된다. 작동부재(32)상의 투명한 도광관(196)은 경사부에 대한 작동부재(32)의 회전중에 경사부(56)내 오목부(162)의 바닥에 있는 아아치형 도광관(190, 제7도)을 따라 이동한다. 따라서, 계기판 등들이 켜지고 표시기(34)가 표지(36, 38 혹은 40, 제7도)중 어느 하나와 정렬될때, 도광관 시스템을 통해 표시기(34)로 광이 전도된다.
래치 작동부(172, 제8도 및 10도)는 작동부재(32)의 원통형 림부(174)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한다. 래치 작동부(172)는 작동부재(32)의 리부(174)와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 아아치형 형상이다(제9도). 따라서, 아아치형 래치 작동부(172)의 곡률 중심은, 작동부재(32)가 환형 오목부(162)내에 배치될때, 경사부(56)의 환형 개구(164, 제7도) 및 작동부재의 일치하는 중심축(85)상에 배치된다.
래치 작동부(172)는 림부(174)로부터 축방향 내측으로 연장하는 연결부(197)를 포함한다. 연결부(197)로부터 반대방향에서 림부(174)를 따르는 원주 형태로 주 부분(198)이 연장된다. 래치 작동부(172)의 주 부분(198)은 래치 조립체(78, 제14도)를 동작시키도록 래치 조립체와 맞물릴 수 있는 단부 표면(202, 제8도)을 갖는다. 스위치 제어 조립체(26, 제1도)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좌측형 구동 차량이 아닌 우측형 구동 차량에 설치될때는, 래치 작동부(172)의 반대쪽 단부(204, 제8도)가 래치 조립체를 동작시키는데 사용된다.
덧붙여서, 래치 작동부(172)의 주 부분(198)은 아아치형의 외측 표면(206, 제8도)을 갖는다. 아아치형의 외측 표면(206)은 래피 조립체(78)를 해제 상태(제15도 및 16도)로 유지한다. 래치 작동부(172)의 주 부분(198)은 또한 아아치형의 힘 전달표면(210)을 갖는다. 힘 전달 표면(210)은 림부(174)쪽을 향하고, 림부와 같은 곡률 반경을 갖는다.
래치 조립체(78)가 해제상태에 있을때, 힘 전달표면(210)은 경사부(56)상의 내측표면(214, 제11도)과 맞물릴 수 있다. 이로써, 하우징(52, 제4도)에 힘이 가해지도록 작동부재(32)를 축방향 외측으로 당기는 것이 가능하다. 래치 조립체(78)가 해제된 상태에서 작동부재(32)를 수동으로 당기면, 하우징(52)에 인가된 힘은 계기판(28)에 대해 스위치 제어 조립체(26)를 유효하게 이동시킨다.
전체 작동부재(32)는 단일의 물질편으로 일체로 성형된다. 따라서, 작동부재(32)의 핸들부(186), 림부(174) 및 래치 작동부(172)는 단일편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작동부재(32)는 투명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진 단일편으로 일체적으로 성형된다. 작동부재의 외측 표면은 백색으로 도색된 다음 흑색으로 도색되며, 흑색층은 표시기(34) 및 표지(42, 제2도)가 노출되도록 레이저로 에칭된다. 물론, 원한다면, 작동부재(32)는 다른 물질과 다른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7도에 도시된 경사부(56)를 갖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래치 작동부(172)의 주 부분(198, 제8도)이 대략 60°의 아아치형 크기를 가지고, 연결부(197)는 대략 24°의 아아치형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부(197)가 대략 1.8 밀리미터의 축방향 크기를 가지고, 주 부분(198)은 대략 4.2 밀리미터의 축방향 크기를 가진다. 작동부재(32, 제8도) 및 경사부(56, 제7도)에 대한 전술된 특정 치수 및 물질은 기재의 명료성을 위한 목적으로 설명된 것임을 이해해야 하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작동부재(32)의 중앙부(168)내에는 소켓(218 제9도 및 10도)이 형성되며, 소켓은 구동부재(86)와 함께 플러그와 소켓의 관계를 형성한다. 소켓(218)은 작동부재(32)의 중심축(85)과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다. 소켓(218)은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 혹은 삽입부(222, 제10도)를 망원경 식으로 수납한다. 소켓(218)은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반대 단부들(226 및 228, 제9도)을 갖는다. 덧붙여서, 소켓(218)은 같은 형상 및 크기를 갖는 한쌍의 반대 단부들(230 및 232)을 갖는다. 그러나, 반대 단부들(230 및 232)은 상기 반대 단부들(226 및 228)보다는 작다.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222)는 소켓(218)의 형상과 같은 횡단면 형상을 갖는다. 소켓(218)이 대칭형이므로, 구동부재(86)의 단부(222, 제10도)는 소켓이 구동부재(86)에 대한 방향중 어느쪽 하나에 있을때 소켓내로 망원경 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재(86)의 단부(222)는 구동부재가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배향될때 소켓(218)내로 망원경 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재(86)의 단부(222)는 또한 작동부재(32)와 소켓(218)이 구동부재(86)에 대해 제10도에 도시된 배향 위치로부터 180°만큼 오프셋(offset)될때 소켓(218)내로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재(86)의 단부(222)는 소켓(218)의 측벽(239)내의 직사각형 개구(238)와 맞물릴 수 있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리테이너(retainer, 236, 제10도)를 갖는다. 작동부재(32)가 제10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180°만큼 오프셋될때, 탄성 리테이너(236)는 개구를 갖지 않는 소켓의 반대 측벽(24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따라서, 탄성 리테이너(236)는, 측벽(24)과 맞물려 작동부재(32)를 구동부재(86)의 단부(222)상에 작동부재(32)를 유지시킬 수 없다.
작동부재(32)가 경사부(56)에 대해 제2도 및 제3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배치될때, 표시기(34)는 표지(36, 38 및 40)중 선택된 하나에 인접하게 된다. 이때, 리테이너(236, 제10도)는 소켓(218)의 측벽(239)내 개구(238)와 맞물려 작동부재(32)를 구동부재(86)와 신축자재식 결합 상태로 유지시킨다. 작동부재(32)가 제13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배치될때, 리테이너(236)는 측벽(240)과 연결되므로 작동부재(32)가 구동부재(86)의 단부(222)로부터 떨어지도록 당겨지는 것을 막을 수가 없다.
리테이너(236)가 개구(238, 제10도)와 맞물려 있을때 작동부재(32)를 구동부재(86)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작동부재(32)의 림부(174)내에 형성된 공구 접근 개구(246, 제8도 및 10도)를 통해서 공구(244)가 삽입가능하다. 작동부재(32)가 구동부재(86)와 연결되어 경사부(56)의 환형 오목부(162, 제7도)내에 배치될때, 공구 접근 개구(246)는 경사부에 의해 막혀진다(제4도). 그러나, 작동부재가 제3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 안개등(100, 제5도)을 켜기 위해서 작동부재(32)를 경사부(56)에 대해 축방향 외측으로 당기면, 공구 접근 개구(246)는 원형 오목부(162)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공구(244)가 공구 접근 개구(246)를 통해, 리테이너(236, 제10도)와 맞물리는 개구(238)내로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재(86)는 회전가능한 스위치 작동 캠(84, 제5도)상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249)을 갖는 내측 단부(248, 제10도)를 갖는다. 작동부재(32)를 회전시키면, 힘이 소켓(218)을 통해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222)에 전달되어, 구동부재(86)와 스위치 작동 캠(84)이 하우징(52)에 대해 회전된다. 그러나, 구동부재(86)의 슬롯(249)은 스위치 작동 캠(84)을 이동시키지 않으면서 하우징(52)에 대해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구동부재(86)는 스위치 작동 캠(84)을 단지 회전만 시킬 수 있을뿐, 축방향으로 이동시킬 수는 없다.
구동부재(86)의 내측 단부(248)에는 또한 안개등 제어 스위치(98)와 연결되는 한쌍의 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슬롯(250 및 252, 제10도)이 포함된다. 작동부재가 제3도에 도시된 전조등 켜짐 위치로 회전되었을때, 작동부재(32)는 경사부(56)에 대해 축방향 외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작동부재(32)가 축방향 외측으로 당겨지면, 힘이 소켓으로부터 리테이너(236)를 통해 구동부재(86)로 전달되어, 구동부재가 축방향 외측으로 당겨진다. 구동부재(86)가 축방향 외측으로 당겨지면, 안개등 제어 스위치(98)가 제5도의 개방상태에서 폐쇄 상태로 작동되어, 안개등(100)이 유효히 켜진다. 안개등(100, 제5도)을 켜기위해 작동부재(32)를 당길때, 스위치 작동 캠(84, 제5도)은 고정되어 있다.
안개등(100)을 켜기 위해 작동부재(32)를 외측으로 당기면,작동부재가 구동부재 (8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안개등(100)을 켜기 위해 작동부재(32)를 외측으로 당기면, 공구 접근 개구(246, 제8도 및 10도)는 경사부(56)의 환형 오목부(162, 제7도)의 외측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되면, 리테이너(236)와 맞물리는 공구 접근 개구(246)를 통해, 공구(244)를 삽입할 수 있다. 그 다음, 리테이너(236)가 (제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으로 탄성적으로 구부려지도록 공구(244)를 축방향 내측으로 밀어넣어, 리테이너를 소켓(218)의 측벽(239)내의 개구(238)로부터 해제 시킨다. 리테이너(236)가 소켓(218)의 측벽(239)내의 개구(238)로부터 해제되어지면, 작동부재(32)는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222)로부터 해제되도록 외측으로 당겨질 수 있다.
인덱스(index) 조립체
경사부(56)의 내측상에는 인데스 조립체(260, 제11도 및 12도)가 장착된다. 인덱스 조립체(260)는 구동부재(86)를 통해 작동부재(32)와 연결된다. 인덱스 조립체(260)는 스위치 조립체(54)의 작동중에 작동부재(32)를 경사부(56)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되는 위치에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인덱스 조립체(260)는 경사부(56)상의 표지(36, 38 및 40, 제6도 및 7도)로부터 180°만큼 오프셋된 지점에서 경사부(56) 아래에 배치된다. 따라서, 표지(36, 38 및 40)는 경사부(56)의 아아치형 래치 해제 슬롯(180)을 따라 경사부(56)의 외측상에 배치된다. 인덱스 조립체(260)는 경사부(56)의 아아치형 저장 슬롯(178)에 인접한 경사부의 내측상에 배치된다(제11도).
인데스 조립체(260)는 아아치형 형상을 갖는 고정 인덱스 판 혹은 패널(panel, 264)을 포함한다. 인덱스 판 혹은 패널(264)의 반경방향 내측에는 V 형상의 노치(ntch, 266, 268 및 270)가 구비된다. 구동부재(86)의 아암부(276)내에는 원통형 인덱스 플런져(274, 제10도, 11도 및 12도)가 망원경 식으로 배치된다. 인데스 플런저(274)가 아암부(276)에 대해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노치들(266,268 및 270, 제11도 및 제12도)중 어느 하나와 맞물리도록, 편향 스프링(277, 제10도)이 인덱스 플런저(274)를 가압한다. 구동부재(86)의 아암부(276)는 작동부재(32)의 핸들부(186, 제8도 및 제10도)와 정렬된다. 구동부재(86)상의 아암부(276)와 인덱스 플런저(274)는 작동부재(32)상의 표시기(34, 제2도)와는 반대방향을 가리킨다.
작동부재(32)와 구동부재(86)를 경사부(56)에 대해 회전시키면, 구동부재상의 아암(276)과 인데스 플런저(274)는 작동부재의 중심축과 일치하는 중심축을 갖는 아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된다. 작동부재(32)가 주차등, 전조등 및 안개등이 꺼져 있는 오프 위치에 있을때(제11도), 인덱스 플런저(274, 제11도)는 제1인덱스 위치 혹은 노치(266)와 맞물린다. 주차등이 켜지도록 작동부재(32)가 27.5°만큼 회전될때, 구동부재(86)의 아암부(276)와 인덱스 플런저(274)는 제2인덱스 위치 혹은 노치(268)와 정렬되도록 이동한다. 작동부재(32)가 전조등 켜짐 위치(제3도)쪽으로 27.5°만큼 추가로 회전될때, 구동부재(86)상의 아암부(276)와 인덱스 플런저(274)는 제3인덱스 위치(270, 제12도)와 정렬된다.
제3인덱스 위치(270)는 비교적 큰 축방향 크기를 갖는다. 따라서, 인덱스 플런저(274)가 제3인덱스 위치(270)와 정렬되도록 배치될때, 구동부재(86)는 인덱스 플런저(274)를 제3인덱스 위치를 따라 이동시키도록 경사부(56)의 내측 표면(214)쪽 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안개등 제어 스위치(98, 제5도)는 안개등(100)이 켜지도록 구동부재(86)에 의해 작동된다.
제7도 및 8도에 도시된 그리고 이를 참조하여 전술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작동부재(32)의 연결부(197, 제8도)는 대략 1.8 밀리미터의 축방향 크기를 갖는다. 본 발명의 본 실시예에서, 환형 오목부(162, 제7도)는 저장 슬롯(178)과 래치 해제 슬롯(180)이 형성된 환형 바닥 벽부(277)를 갖는다. 환형 바닥 벽부(277)는 대략 1.25밀리미터의 두께를 갖는다. 이로써, 래치 작동부(172)가 제11도에 도시된 위치 혹은 제16도에 도시된 위치중 어느 한 위치에 있을때, 바닥 벽부(277)의 일부가 래치 작동부(172)의 주 부분(198)과 림부(174) 사이의 공간내에 수용될 수 있다. 전술된 경사부(56) 및 작동부재(32)의 특정 크기는 기재의 명료성의 목적으로 설명된 것임을 이해해야 하며,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동작
래치 조립체가 맞물림 상태에 있을때, 래치 조립체(78, 제4도 및 14도)는 스위치 제어 조립체(26)을 계기판(28)내에 유지한다. 이때, 작동부재(32)는 제2도에 도시된 오프 위치와 제3도에 도시된 전조등 켜짐 위치 사이에서 경사부(56)에 대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다. 작동부재(32)가 제2도에 도시된 오프 위치에 있을때, 주차등(92), 전조등(96) 및 안개등(100)은 꺼져 있다.
작동부재(32)가 오프 위치에 있을때, 인덱스 플런저(274, 제11도)는 인덱스 판 혹은 패널(264)상의 제1인덱스 위치(266)와 맞물려 작동부재를 오프 위치에 유지한다. 이때, 래치 작동부(172)는 인덱스 조립체(260)에 인접한 저장 슬롯(178)을 통해 연장한다. 환형 바닥 벽부(277, 제7도)의 일부는 래치 작동부(172)의 주 부분(198, 제8도)과 작동부재(32)의 림부(174) 사이에 배치된다.
주차등(92)을 켜고자 할때는, 작동부재(32)를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표시기(34)가 주차등 표지(38)와 정렬되도록 한다. 작동부재(32)를 회전시키면, 스위치 작동 캠(84, 제5도)이 회전된다. 스위치 작동 캠(84)이 회전되면, 주차등 제어 스위치(90)가 동작되어 주차등(92)이 켜진다.
주차등(92)을 켜기 위해 작동부재(32)를 회전시키면, 구동부재(86)상의 아암부(276, 제11도)와 인덱스 플런저(274)는 (제11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의 결과로, 인덱스 플런저(274)는 제1인덱스 위치(266) 밖으로 이동되면서, 스프링(277, 제10도)의 힘에 대항하여 아암부(276)내로 끼워 넣어지게 힘을 받는다. 구동부재(86)를 (제11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시키면, 인덱스 플런저(274)는 아암부(276)로부터 밖으로 이동되어 제2인덱스 위치(268)와 맞물린다. 따라서, 작동부재(32)가 표시기(34)가 주차등 표지(38, 제2도)와 정렬되도록 이동되어졌을때, 인덱스 플런저(274)는 제2인덱스 위치(268)와 맞물리도록 이동되어 작동부재를 주차등 켜짐 위치에 유지할 것이다.
전조등(96)을 켜고자 할때는, 작동부재(32)를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 회전시켜 표시기(34)가 전조등 표지(40)와 정렬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구동부재(86, 제12도)는 아암부(276)와 인덱스 플런저(274)가 제3인덱스 위치(270)와 정렬되도록 회전된다. 인덱스 플런저(274)는 인덱스 판(264)의 인덱스 위치와 맞붙어 탄성적으로 눌러져, 구동부재(86) 및 작동부재(32)가 경사부(56)에 대한 회전에 대항하여 유지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스위치 작동 캠(84)은, 전조등 제어 스위치(94)가 작동되어 주차등(92)과 전조등(96)이 모두 켜지도록 회전되어 질 것이다.
안개등(100)을 켜고자 할때는, 작동부재(32)를 축방향 외측으로 수동으로 당긴다. 작동부재(32)가 외측으로 당겨지면, 힘이 리테이너(236, 제10도)를 통해 구동부재(86)로 전달되어, 구동부재(86)가 축방향 외측으로 당겨지게 된다. 구동부재(86)가 축방향 외측으로 당겨지면, 아암부(276, 제12도)와 인덱스 플런저(274)는 경사부(56)의 내측 표면(214)을 향해 제3인덱스 위치(270)를 따라 축방향으로 이동된다. 구동부재(86)의 축방향 외측 이동의 결과로, 안개등 제어 스위치(98, 제5도)의 가동 스위치 접촉자(112)가 정지 스위치 접촉자(114)와 맞물리도록 축방향 외측으로 이동되어, 안개등(100)이 켜진다.
작동부재(32)가 주차등 및 전조등을 순차적으로 켜기 위한 전술된 방식으로 회전되면, 래치 작동부(172)는 제11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12도에 되시된 위치로 저장 슬롯(178)을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이동이 일어나면, 래치 작동부(172)는 래치 조립체(178)로부터 이격되어 래치 조립체를 동작시킬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래치 조립체(78)는 제4도, 11도 및 12도에 도시된 맞물림 상태로 남는다. 맞물림 상태의 래치 조립체(78)는 계기판(28)에 대한 이동에 대항하여 하우징(52, 제4도)을 유지한다.
하우징(52) 및 스위치 조립체(54, 제4도)를 교체, 수리 혹은 다른 목적을 위해 계기판(28)으로부터 제거하고자 할때, 작동부재(32)는 래치 조립체(78)를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도록 사용된다. 래치 조립체(78)가 해제 상태로 동작되어지면, 작동부재(32)가 축방향 외측으로 수동으로 당겨져, 하우징(52)이 계기판(28)의 개구(80)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당겨지게 된다. 따라서, 작동부재(32)는 래치 조립체(78)를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는 기능과,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 계기판(28)으로부터 하우징(52)이 당겨지도록 하우징(52)에 힘을 전달하는 기능의 이중 기능을 수행하도록 이용된다.
계기판(28)으로부터 하우징(52)을 제거하기 위해서, 작동부재(32)를 제3도의 전조등 켜짐 위치로 회전시킨다. 그 다음, 작동부재(32)를 안개등 켜짐 위치쪽으로 축방향 외측으로 당긴다. 작동부재(32)가 안개등 켜짐 위치쪽으로 축방향 외측으로 당겨지면, 작동부재(32)의 림부(174)내의 공구 접근 개구(246, 제8도 및 제10도)는 경사부(56)의 오목부(162, 제7도) 밖으로 이동한다.
그 다음, 공구(244, 제10도)를 공구 접근 개구(246)를 통해 삽입한다. 공구(244)를 통해 전달된 축방향 힘은 리테이터(236)를 소켓(218)의 측벽(239)내의 개구(238)와의 맞물림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탄성적으로 변형시킨다. 그 다음, 작동부재(32)를 외측으로 수동으로 당기면, 소켓(218)이 구동부재(86)의 단부(222)와의 신축자재식 맞물림 상태에서 벗어나도록 이동된다.
작동부재(32)가 구동부재(86)로부터 해제되면, 작동부재는 구동부재의 단부에 대해 180°만큼 회전된다. 이 결과로, 표시기(34)는 전조등 표지(40)로부터 반대쪽인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작동부재는 제3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180° 만큼 오프셋된다. 이때, 인덱스 플런저(274)는 제3인덱스 위치(270)와 맞물려 배치되어 있고, 표시기 부재는 제4도 및 10도에 도시된 것처럼 인덱스 플런저(274)의 위포 똑바로 밖에 배치되어 있다.
작동부재를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222)상으로 거꾸로 민다. 그러나, 이때, 래치 작동부(172)는 경사부(56)의 원형 오목부(162)의 환형 바닥 벽부(277, 제7도)와 맞물린다. 래치 작동부(172)는 래치 해제 슬롯(180)의 우측 단부로부터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시계방향으로 위치된 지점에서 환형 바닥 벽부(277)와 맞물린다. 래치 작동부(172)와 경사부(56)간의 이러한 접촉에 의해, 구동부재(86, 제10도)의 외측 단부(222)와 소켓(218, 제9도)의 신축자재식 맞물림이 부분적으로 봉쇄된다. 그러나,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222)와 소켓(218)이 부분적으로 망원경 식으로 맞물려 있어도, 작동부재(32)가 구동부재(86)를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기에는 충분하다.
작동부재(32)를 제13도에 도시된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회전시킨다. 이때, 표시기(34)로부터 반대쪽인 작동부재 핸들부(186)의 단부는 오프 위치 표지(36)와 정렬된다. 인덱스 플런저(274)는 제14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제1인덱스 위치(266)와 맞물리도록 이동된다. 작동부재(32)의 래치 작동부(172)는 래치 해제 슬롯(180, 제14도)과 정렬된다. 래치 작동부(172)는 래치부재(120)의 몸체부(12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아암(146)의 한쪽 측으로 오프셋된다. 따라서, 작동부재(32)가 경사부(56)의 원형 오목부(162, 제7도)내로 눌러져 래치 작동부(172)가 래치 해제 슬롯(180)내로 삽입될 수 있다.
작동부재(32)가 경사부(56)의 오목부(162)내로 눌러지면,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222)와 소켓(218, 제10도)의 망원경 식으로 맞물리는 정도가 증가한다. 리테이너(236)는 개구(238)로부터 반대쪽인 소켓 측벽(240)의 표면과 맞물린다. 소켓 측벽(240)이 개구(238)에 대응하는 개구를 갖지 않기 때문에, 리테이너(236)는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222)상으로 작동부재를 체결할 수가 없다.
작동부재(32)가 제13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을때, 래치 작동부(172)는 제14도에 도시된 위치에 있고, 경사부(56)내의 래치 해제 슬롯(180)을 통해 연장한다. 작동부재(32)를 제13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수동으로 회전시키면, 스위치 조립체(54)가 작동되고, 래치 작동부(172)는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렇게 되면, 래치 작동부(172)의 단부(202)는 래치부재(120)의 아암(146)과 맞물리도록 이동한다.
작동부재(32)를 계속해서 회전시키면, 래치 작동부(172)의 선단부(202)가 래치부재(120)의 아암(146)을 제14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우측으로 제15도 및 16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이동시키게 된다. 래치부재(120)가 우측으로 이동하면, 래치 포올(124)은 하우징(52)내로 후퇴된다. 이 결과로, 래치 포올(124)이 계기판(28, 제4도)상의 돌출부(128)로부터 해제된다. 동시에, 래치 핑거(142, 144 및 148)는 계기판내의 슬롯과 정렬되도록 이동한다. 래치부재(120)상의 아암(146)은 작동부재(32)의 래치 작동부(172)상의 아아치형 외측 표면(206)과 맞물려 래치 조립체(78)를 제16도의 해제 상태로 유지한다.
작동부재(32)가 래치 조립체(78)를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도록 회전될때 작동부재(32)가 하우징(52)에 대해 제13도에 도시된 방향으로 있더라도, 스위치 조립체(54)는 작동부재가 회전되면 작동된다. 따라서,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로 동작되면, 스위치 조립체(54)는 주차등 제어 스위치(90)및 전조등 제어 스위치(94)가 폐쇄되는 상태로 작동된다. 이때, 차량 배터리(battery)는, 차량등이 불필요하게 켜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스위치 조립체(54)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래치 조립체(78)가 제16도에 해제 상태에 있을때, 하우징(52)은 작동부재(32)를 축방향 외측으로 당김으로써 계기판(28, 제4도)내의 개구(80)로부터 당겨질 수 있다. 이때, 래치 작동부(172)는 래치 해제 슬롯(180, 제16도)의 단부를 지나서 연장하여 경사부(56)의 내측 표면(214)과 맞물린다. 래치 해제 슬롯(180)의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우측 단부에 인접하여 배치된 환형 바닥 벽부(277)의 일부는, 래치 작동부(172)상의 힘 전달 표면(210, 제8도)과 작동부재(32)의 림부(174) 사이에 배치된다.
작동부재(32)의 핸들부(186, 제8도)를 외측으로 당기면, 래치 작동부(172)상의 힘 전달 표면(210)이 경사부(56)의 내측 표면(214, 제16도)에 맞붙어 눌리게 된다. 래치 작동부(172)로부터 경사부(56)쪽으로 전달된 외측방향의 힘은 하우징(52)과 스위치 조립체(54)를 계기판(28)내의 개구(80, 제4도)를 통해 끌어낸다.
스위치 제어 조립체(26)를 계기판(28)내에 재설치하고자 할때는, 작동부재(32)가 래치 조립체(78)를 해제 상태로 유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개구(80)를 통해 하우징(52)을 단지 밀어넣으면 된다. 스위치 제어 조립체(26)가 계기판내에 위치되어지면, 작동부재(32)를 거꾸로 제13도에 도시된 위치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되면, 래치 작동부(172)는 제14도에 도시된 위치쪽으로 이동하고, 스프링 편향 플런러(152)는 래치 조립체(78)를 거꾸로 맞물림 상태로 동작시킨다.
이때, 작동부재(32)는 구동부재의 외측 단부(222)밖으로 수동으로 당겨질 수 있다. 리테이너(236)가 소켓(218)의 측벽(240)내 개구와 맞물려 있지 않기 때문에, 작동부재(32)가 구동부재(86)의 단부(222)로부터 떨어지도록, 공구를 삽입하여 리테이너(236)를 해제 상태로 작동시킬 필요는 없다. 소켓(218)이 구동부재(86)의 단부(222)와의 신축자재식 맞물림 상태에서 벗어나면, 작동부재(32)를 제13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도에 도시된 위치로 180°만큼 회전시킨다.
그러면, 제10도에 도시된 방식으로 소켓(218)이 구동부재(86)의 단부(222)상으로 끼워넣는 식으로 부분적으로 삽입되므로, 작동부재(32)는 구동부재(86)와 부분적으로 재연결된다. 이때, 래치 작동부(172)는 경사부(56)의 원형 오목부(162)의 환형 바닥 벽부(277, 제7도)와 맞물린다. 래치 작동부는, 래치 저장 슬롯(178)의 우측 단부로부터(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반시계방향으로 배치된 지점에서 환형 바닥 벽부(277)와 맞물린다. 소켓(218)이 구동부재(86)의 외측 단부(222)와 부분적으로 맞물려 있어도, 작동부재(32)가 구동부재(86)를 (제7도에 도시된 것처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기에는 충분하다.
래치 작동부(172)가 래치 저장 슬롯(178)과 정렬될때까지 작동부재를 회전시킨다.
그 다음, 작동부재(32)가 경사부(56)의 원형 오목부(162, 재7도)내로 눌러질 수 있다. 이때, 작동부재(32)는 도3에 도시된 위치에 있게 되고, 리테이너(236, 제10도)는 개구(238)와 맞물린다.
래치 조립체를 해제 상태로 동작시키도록 작동부재가 하우징(52)에 대해 회전될때, 스위치 조립체(54)는 주차등 제어 스위치(90) 및 전조등 제어 스위치(94)가 폐쇄 상태에 있는 온(on) 상태로 작동된다. 따라서, 작동부재(32)가 하우징(52)에 대해 도 13에 도시된 방향으로 있을때, 축(85)에 대한 작동부재(32)의 회전은 래치 조립체(18)를 동작시키고 스위치 조립체(54)를 작동시키는데 유효하다. 작동부재(32)가 하우징(52)에 대해 도 2 및 3에 도시된 방향으로 있을때, 축(85)에 대한 작동부재의 회전은 스위치 조립체(54)를 작동시키는데는 유효하나, 래치 조립체(78)를 동작시키는데는 유효하지 못하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 대한 전술된 설명으로부터 다양한 개량에, 변경에 및 변형예들을 인지할 수 있을 것이다. 종래 기술내에서의 그러한 개량에, 변경에 및 변형 예들은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모두 포함되는 것이다.

Claims (61)

  1. 계기판에 배치되어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스위치 조립체; 상기 스위치 조립체용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계기판에 유지하는 맞물림 상태와 상기 하우징을 계기판에 유지하는데 효력을 발휘하지않는 해제 상태와의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래치 조립체; 및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되어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함으로써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상기 작동 상태와 상기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작동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맞물림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그 작동부재에 수동으로 인가된 힘(manual force)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어 상기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하우징이 상기 작동부재에 수동으로 인가된 힘의 영향으로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표면을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축을 중심으로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이동가능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방향을 취한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2방향을 취한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상기 래치 조립체를 맞물림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며, 상기 제1방향은 상기 제2방향과는 다른 스위치 제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작동부재에 의해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구동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구동부재와 작동부재중 일방의 부재에는 소켓이 연결되어있고 타방의 부재에는 상기 소켓내에 망원경 식으로 수납될 수 있는 삽입부가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삽입부와 소켓은,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작동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서로에 대하여 제1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재가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작동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서로에 대하여 제2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위치 제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그 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래치 조립체가 상기 맞물림 상태와 상기 해제 상태 사이에서 동작됨과 동시에 상기 작동 상태와 상기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효력을 발휘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의 아아치형 거리(arcuate distance)에 걸쳐 회전하여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상기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1의 아아치형 거리에 걸쳐 회전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사익 맞물림 상태와 상기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는 스위치 제어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부재에 연결된 인덱스 조립체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인덱스 조립체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동작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인덱스 부재를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인덱스 부재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가 비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상기 제1의 위치에 있고, 상기 스위치 조립체가 작동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위치에 있으며, 상기 인덱스 부재는 또한 상기 래치 조립체가 맞물림 상태에 있을 때에는 제1의 위치에 있고, 상기 래치 조립체가 해제 위치에 있을 때에는 제2위치에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그 래치 조립체가 맞물림 상태에 있을때에는 제1의 위치에, 그리고, 래치 조립체가 해제 상태에 있을때는 제2위치에 있고, 편향 스프링에 의해 제1위치로 가압되는 래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그것이 상기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상기 편향 스프링의 작용력에 대항하면서 상기 래치부재를 상기 제1위치로부터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래치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래치 작동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의 방향을 취한 상태에서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의 아아치형 거리(arcuate distance)에 걸쳐 회전하여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상기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제1방향을 취한 상태로 상기 제1의 아아치형 거리에 걸쳐 이동하는 동안 상기 래치부재로 부터 이격되어 있으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의 방향을 위한 상태에서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1의 아아치형 거리에 걸쳐 회전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상기 맞물림 상태와 상기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킬 수 있으며,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제2방향을 취한 상태로 상기 제1의 아아치형 거리에 걸쳐 회전하는 동안 상기 래치부재와 맞물릴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에 수동으로 인가된 힘(manual force)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되어, 상기 래치부재가 제2위치에 있을때, 상기 작동부재에 수동으로 인가된 힘의 영향으로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되는 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표면을 구비하는 스위치 제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며 그 작동부재를 수동으로 맞물리게 할 수 있는 핸들부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부와, 상기 핸들부와 연결되어 있는 원형의 림부와, 상기 핸들부로부터 원격한 방향으로 상기 림부로부터 연장되는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핸들부의 회전중에 상기 래치 조립체를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작동시키도록 힘을 상기 림부로부터 상기 래치 조립체로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와 맞물릴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래치 조립체가 해재 상태에 있을 때 사익 하우징을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핸들부에 수동으로 인가된 힘이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 될 수 있도록 상기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표면을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슬롯을 형성하는 제1표면 수단과 제2슬롯을 형성하는 제2표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핸들부의 회전중에 제1슬롯 안으로 연장하여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 상태와 비작동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고, 상기 핸들부의 회전중에 상기 제2슬롯 안으로 연장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맞물림 상태와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며, 상기 제1슬롯은 상기 제2슬롯으로부터 이격되어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16. 래치 조립체로 하우징을 계기판내 유지하는 하우징 유지 단계; 작동부재를 수동으로 이동시켜 하우징내의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 및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해제시키기 위하여 작동부재를 수동으로 이동시켜 상기 래치 조립체를 작동하는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를 수행한 후에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하우징 이동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 이동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를 수동으로 당겨 힘을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 조립체를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 조립체를 상기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그리고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를 수행햐는 중에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되는 스위치 제어 방법.
  2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를 수행하는 중에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로부터 분리시키는 작동부재 분리 단계와, 상기 작동부재의 방향을 상기 하우징에 대한 제1방향으로 부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제2방향으로 변경하는 작동부재 방향 변경 단계와,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2방향에 있을때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와 다시 연결시키는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22.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표지 어레이(an array of indicia)가 연결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재에는 표시기가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표시기가 상기 표지 어레이로부터 제1거리만큼 이결되게 상기 표시기를 상기 표지 어레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표시기가 상기 표지 어레이로부터 제2거리만큼 이격되게 상기 표시기를 사익 표지 어레이에 대하여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제2거리가 상기 제1거리보다 더 긴 스위치 제어 방법.
  23.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24.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래치 조립체의 일부분을 상기 작동부재의 일부분과 맞물리게하고, 수동으로 상기 작동부재를 이동시킴에 따라 그 작동부재의 일부분과 맞물린 상기 래치 조립체의 일부분을 이동시키는 스위치 제어 방법.
  25. 제16항에 있어서,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되게 상기 작동부재를 그것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제1위치로 부터 제2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이때 상기 작동부재는 제2위치에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에 대하여 제1의 각도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키는 스위치 조립체 분리 단계와, 상기 작동부내를 상기 스위치 조립체에 대하여 제2의 각도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재 이동 단계와,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스위치 조립체에 대하여 제2각도 방향에 있는 동안,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다시 연결시키는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를 실행한 후에 상기 작동부재를 그것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 분리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부분을 상기 하우징내의 제1슬롯으로부터 빼내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부분을 상기 하우징내의 제2슬롯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래치 조립체를 상기 제2슬롯에 삽입되어있는 작동부재의 일부분과 맞물리게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2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부내를 이동시켜 상기 래치 조립체와 맞물리게하고, 힘을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상기 래치부재로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28. 계기판에 배치되는 스위치 조립체;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과 연결되어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계기판에 유지하는 맞물림 상태와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계기판에 유지하는 작용을 하지 못하는 해제 상태와의 사이에서 작동할 수 있는 래치 조립체; 및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되어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할수 있으며, 래치 작동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상기 맞물림 상태로부터 상기 해제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는 작동부재를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부재의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래치 조립체가 상기 해제 상태에 있을때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시키도록 힘을 상기 작동부재에서 상기 하우징으로 전달하는 표면 수단을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3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가동 스위치 접촉자와, 정지 스위치 접촉자 및 상기 가동 스위치 접촉자와 연결된 구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그것이 상기 구동부재에 대하여 제1방향을 취하든 혹은 제2방향을 취하든 상기 구동부재와 탈착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대하여 제1방향을 취하고 있을때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구동부재 및 상기 가동 스위치 접촉자를 상기 정지 스위치 접촉자에 대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상기 작동부재의 래치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에 대하여 제1방향을 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는 중에 상기 래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데 효력을 발휘하지 않으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에 대하여 제1방향을 취하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는 동안에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이동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맞물림 상태에서 해제 상태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래치 작동부를 이동시킬 수 있는 승위치 제어 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그 부재가 상기 구동부재에 대하여 제1방향을 취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와 연결될때, 그리고 상기 구동부재에 대하여 제2방향을 취한 상태에서 상기 구동부재와 연결될때, 상기 구동부재와 망원경 형태의 관계로서 배치되는 장착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구동부재를 회전시키고 상기 정지 위치 접촉자에 대하여 상기 가동 스위치 접촉자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수동으로 회전시킬 수 있는 핸들부 및 상기 핸들부로부터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하는 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의 상기 림부와 단일편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33.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의 아아치형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1의 표면 수단 및, 제2의 아아치형 슬롯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는 제2의 표면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2의 아아치형 슬롯은 상기 제2의슬롯으로부터 이격되어 있고, 상기 작동부재의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의 방향을 취하고 있을때 상기 제2의 아아치형 슬롯 안으로 연장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그것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의 방향을 취하고 있을때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2의 방향을 취하고 있을때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젼가능하며, 상기 작동부재는 그것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의 방향을 취하여있고 상기 래치 작동부가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제1의 아아치형 슬롯 안으로 연장하고 있을때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작동부재의 회전시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힘을 전달하는데 효력을 발휘하며,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방향을 취하고 있고 상기 래치 작동부가 상기 제1의 슬롯 안으로 연장하고 있을때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작동부내의 회전시 상기 래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데에 효력을 발휘하지 않으며, 상기 작동부재는 그것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2의 방향을 취하고 있고 상기 래치 작동부가 상기 하우징내의 상기 제2의 아아치형 슬롯내로 연장하고 있을때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작동부내의 회전시 상기 래치부재를 작동시키도록 힘을 전달하는데 효력을 발휘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래치 조립체가 해제 위치에 있을때 상기 계가판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도록 힘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표면 영역을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35.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래치 조립체를 맞물림 상태로부터 해제 상태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제1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36.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상기 구동부재와 작동부재중 일반의 부재에는 소켓이 연결되어있고 타방의 부재에는 상기 소켓내에 망원경 식으로 수납될 수 있는 삽입부가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삽입부와 소켓은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작동부재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서로에 대하여 제1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삽입부와 상기 소켓이 서로에 대하여 제1의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을때에는 상기 래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데 효력을 발휘하지 못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소켓은 상기 래치 조립체를 상기 맞물림 상태에서 상기 해제 상태로 작동시키도록 상기 래치 작동이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서로에 대하여 제2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위치 제어 장치.
  37.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래치 조립체를 상기 맞물림 상태로부터 상기 해제 상태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래치 작동부가 이동하고 있는 동안에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데 효과를 발휘하지않는 스위치 제어 장치.
  38.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된 인덱스 조립체를 또한 구비하며, 상기 인덱스 조립체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제1상태와 제2상태 사이에서 작동 시키기 위하여 상기 작동부재가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위치와 제2위치 상태에서 이동할 수 있는 인덱스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인덱스 부재는 상기 래치 조립체를 상기 맞물림 상태와 상기 해제 상태 사이에서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래치 작동부가 이동하면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제1위치와 제2위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3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는 그것이 맞물림 상태에 있을때에는 제1위치에 있고 그것이 해제 상태에 있을때에는 제2위치에 있는 래치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래치부재는 편향 스프링에 의해 제1위치를 향하여 가압되며,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래치부재와 맞물려 그 래치부재를 상기 편향 스프링이 영향에 대항하면서 상기 제1위치에서 상기 제2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40.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킬 수 있고,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상기 맞물림 상태에서 상기 해제 상태로 작동시킬 수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되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에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이 방향으로 연장하는 원형 림부를 구비하며, 상기 래치 작동부는 상기 림부와 연결되어 상기 람 부분으로 부터 상기 스위치 조립체 방향으로 연장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42.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된 작동부재를 래치부재에 의해 계기판과 연결된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시킴으로써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의 방향을 취하고 있을때 상기 스위치부재로부터 상기 작동부재를 분리시키는 작동부재 분리 단계;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2의 방향을 취하고 있을때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스위치 부재와 다시 연결 시키는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 그리고 그후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킴으로써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하여 래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를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 분리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안에 공구를 삽입하고 상기 공구를 통해서 상기 작동부재를 분리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44.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 분리 단계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상기 작동부재 사이의 플러그와 소켓 연결부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상기 작동부재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는 상기 플러그와 소켓 연결부의 요소들 사이의 망원경식 연결 관계를 형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45.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 분리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의 래치 작동부를 상기 하우징의 제1위치로 부터 빼내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의 래치 작동부를 상기 하우징내의 제2위치에 삽입하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제2위치로 부터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46.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를 실행한 후에 상기 스위치 조립체로 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작동 조립체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것을 또한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47.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작동 조립체를 회전시킴에 의해 복수의 상태들 사이에서 작동가능하며, 상기 작동부재 분리 단계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가 상기 복수의 상태들중 제1의 상태에 있을때 실행되며, 상기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가 상기 복수의 상태들중 제1의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작동 부재를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부분적으로 연결시키고,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부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동안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상기 복수의 상태중 제1의 상태에서 제2의 상태로 이동시키며, 상기 스위치 조립체가 상기 복수의 상태중 제2의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작동부재의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의 연결을 완료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상기 복수의 작동 상태중 제1의 상태에서 상기 복수의 작동 상태중 다른 한 상태로 작동시키는 스위치 제어 방법.
  49.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됨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와 연결된 래치 작동부의 선단부를 상기 래치 조립체와 맞물리게 이동시키고, 상기 작동부재의 계속된 회전중에 상기 래치 작동부의 선단부로부터 상기 래치 조립체로 전달되는 힘의 영향하에서 상기 래치부재를 이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상기 작동부재의 계속된 회전중에 상기 래치 작동부의 일측부를 상기 래치 조립체와 맞물리게 이동시키며, 상기 하우징에 대한 작동부재의 회전이 중단되면 상기 래치 작동부의 상기 일측부와 상기 래치 조립체사이에 전달된 힘의 영향하에, 상기 래치 조립체를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이 해제되어있는 상태에 유지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를 잡아당김으로써 상기 하우징이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해제되어있는 상태에 상기 래치 조립체가 있는 동안,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는 단계를 또한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51. 계기판에 배치되는 스위치 조립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둘러싸는 하우징; 및 상기 스위치에 연결되어 그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한 작동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작동부재는 그 부재에 인가된 힘의 영향하에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도록 그 작동부재에 인가된 힘을 직접 상기 하우징에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과 맞물릴 수 있는 힘 전달 표면을 구비하는 그위치 제어 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는 상기 작동부재에의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구동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구동부재와 작동부재중 일방의 부재에는 소켓이 연결되어있고 타방의 부재에는 상기 소켓내에 망원경 식으로 수납될 수 있는 삽입부가 연결되어있으며, 상기 삽입부와 소켓은,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켜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고 있는 동안에는 서로에 대하여 제1의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작동부재상의 힘 전달 표면이 상기 하우징과 맞물려 있는 동안에는 서로에 대하여 제2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스위치 제어 장치.
  53.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제1슬롯을 형성하는 제1표면 수단과 제2슬롯을 형성하는 제2표면 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힘 전달 표면은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작동부재를 회전시키는 동안 상기 제1슬롯 안으로 연장하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부분상에 배치되며, 상기 힘전달 표면이 배치되는 상기 작동부재의 일부분은 상기 힘 전달 표면의 상기 하우징과의 맞물림중에 상기 제2슬롯 안으로 연장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54.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힘을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직접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힘 전달 표면을 가압하도록 수동으로 당기는 핸들부를 구비하는 스위치 제어 장치.
  55.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원형 림부 및 그 원형 림부와 단일편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상기 림부로부터 외측으로 연장하는 힘 전달 부분을 구비하며, 상기 힘 전달 표면은 상기 작동부재의 힘 전달 부분상에 배치되어 상기 작동부재의 상기 림부를 향하고 있는 스위치 제어 장치.
  56. 래치 조립체로 상기 하우징을 상기 계기판을 유지하는 하우징 유지 단계; 상기 하우징내의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된 작동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상기 스위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스위치 조립체 작동 단계;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이동하도록 상기 하우징을 해제하기 위하여 상기 래치 조립체를 작동시키는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 및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직접 전달된 힘의 영향하에 상기 계기판에 대하여 상기 하우징을 이동시키도록 상기 작동부재를 당기는 작동부재 당김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 당김 단계는 힘을 상기 작동부재로부터 상기 하우징으로 직접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상의 표면에 상기 작동상의 표면을 가압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57.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래치 조립체 작동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를 하우징에 대하여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 당김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2위치에 있을때 수행되는 스위치 제어 방법.
  58.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조립체에 연결된 작동부재를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를 작동 경로를 따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 당김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작동 경로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원격한 방향으로 당기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59.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의 작동 단계의 실행중에, 그리고 상기 상기 작동부재 당김 단계의 실행중에는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연결되어 있는 스위치 제어 방법.
  60. 제56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1방향을 취하고 있을때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스위치 조립체로부터 분리시키는 작동부재 분리 단계와, 상기 작동부재가 상기 하우징에 대하여 제2방향을 취하고 있을때 상기 작동부재를 상기 스위치 조립체와 다시 연결시키는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를 또한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재 당김 단계는 상기 작동부재 재연결 단계의 실행후에 실행되는 스위치 제어 방법.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재 분리 단계는 공구를 상기 작동부재에 삽입하고 상기 공구를 통해서 상기 작동부재를 해제하기 위한 힘을 전달하는 것을 포함하는 스위치 제어 방법.
KR1019960041966A 1995-09-27 1996-09-24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2060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534,327 US5631454A (en) 1995-09-27 1995-09-27 Switch and instrument panel interlock latch controlled by switch actuator
US8/534,327 1995-09-27
US534,327 1995-09-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5160A KR970015160A (ko) 1997-04-28
KR100206064B1 true KR100206064B1 (ko) 1999-07-01

Family

ID=24129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1966A KR100206064B1 (ko) 1995-09-27 1996-09-24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31454A (ko)
EP (1) EP0765775A1 (ko)
JP (1) JP2855107B2 (ko)
KR (1) KR1002060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7647B1 (ko) * 1995-12-23 1999-01-15 김광호 테스크 탑 컴퓨터의 안전 잠금 장치
DE19936386B4 (de) * 1999-08-03 2006-09-07 Volkswagen Ag Lichtschaltereinheit
SE520222C2 (sv) * 2001-10-15 2003-06-10 Volvo Lastvagnar Ab Ljusströmställare för fordon och metod
DE10249817A1 (de) 2002-10-24 2004-05-13 Daimlerchrysler Ag Schaltanordnung zur Betätigung von Beleuchtungssystemen an einem Kraftfahrzeug
US6733146B1 (en) * 2003-01-10 2004-05-11 Pat J. Vastano Illuminated knob for indicating the operative condition of an appliance
DE10320083A1 (de) * 2003-05-05 2004-11-25 Robert Bosch Gmbh Nachtsichtsystem
US7202433B2 (en) * 2004-01-30 2007-04-10 Ark-Les Corporation Appliance selector switch programmed by console cutout
DE202004006783U1 (de) * 2004-04-28 2004-09-02 Trw Automotive Electronics & Components Gmbh & Co. Kg Drehschalter
DE102004033503A1 (de) * 2004-07-10 2006-02-16 Adam Opel Ag Bedienungsmodul für ein Kraftfahrzeug
DE102007057410B3 (de) * 2007-11-27 2009-07-30 Uhde Gmbh Mechanismus und Verfahren zur automatisierbaren Verriegelung von Türen, Türkörpern oder Türrahmen horizontaler Koksofenkammern
US8110766B2 (en) * 2008-07-09 2012-02-07 Omron Dualtec Automotive Electronics Inc. Switch attachment assembly
DE102012011676B4 (de) * 2012-05-14 2022-02-03 Phoenix Contact Gmbh & Co. Kg Befestigungsklemme und Baueinheit mit zwei Befestigungsklemmen und mehreren nebeneinander angeordneten Reihenklemmen
DE102013001876A1 (de) * 2013-02-02 2014-08-07 Daimler Ag Bedieneinrichtung mit optischem Fingernavigationsmodul für ein Lenkrad
US9472908B2 (en) * 2014-11-29 2016-10-18 Appleton Grp, Llc Electrical plug and receptacle assembly with interlock mechanism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393588A1 (es) * 1970-07-15 1974-10-01 Des Brevets Neiman Soc D Expl Sistema de mando a distancia del tapon de un deposito de combustible.
US3841675A (en) * 1973-08-09 1974-10-15 Gen Motors Corp Dishwasher latch
DE2816450C2 (de) * 1978-04-15 1985-01-03 Elektra Tailfingen Schaltgeräte GmbH & Co KG, 7470 Albstadt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lektrische Geräte, beispielsweise Steuerschalter
DE3533055A1 (de) * 1985-09-17 1987-03-26 Swf Auto Electric Gmbh Schalt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9412197U1 (de) * 1994-07-28 1994-09-29 Philips Patentverwaltung Gmbh, 20097 Hamburg Vorrichtung zum lösbaren Befestigen von elektrischen Servicegeräten an Befestigungswänd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9223436A (ja) 1997-08-26
KR970015160A (ko) 1997-04-28
US5631454A (en) 1997-05-20
JP2855107B2 (ja) 1999-02-10
EP0765775A1 (en) 1997-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6064B1 (ko) 스위치 제어 장치 및 방법
US6525283B2 (en) Multifunction rocker switch
EP0159282B1 (en) A control pod and switch assembly
US5178504A (en) Plugged fastening device with snap-action locking for control and/or signalling units
JP4116998B2 (ja) ロータリースイッチ
KR100898140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탈부착 기구
EP3176033B1 (en) Rotary-type switch
EP1518726A2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EP1518728B1 (en) Operating device of air conditioner for vehicle
US4318158A (en) Bulbholder and filter assembly
US4227060A (en) Locating means for an electric switch
KR19980071341A (ko) 스위치 장치
CN103258681B (zh) 车载用手把开关装置
EP1909158B1 (en) Actuating element
JP3991508B2 (ja) スイッチ
US4797520A (en) Switch,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US6150621A (en) Steering switch module
CN102089841A (zh) 开关附接组件
CN210156301U (zh) 开关旋钮和具有该开关旋钮的操作模块
US20200032903A1 (en) Secondary park lock actuator
US4297549A (en) Direction indicator switch
JPH10334767A (ja) 回転操作型電気部品の組立構造
JPH0680231U (ja) 照光式スイッチ装置
JPH0623129U (ja) パネル取付ユニットのロック機構
JP2017103151A (ja) スイッ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0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