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038B1 - 엘리베이터 본체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 본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038B1
KR100206038B1 KR1019970003082A KR19970003082A KR100206038B1 KR 100206038 B1 KR100206038 B1 KR 100206038B1 KR 1019970003082 A KR1019970003082 A KR 1019970003082A KR 19970003082 A KR19970003082 A KR 19970003082A KR 100206038 B1 KR100206038 B1 KR 100206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hamber
orifice
fixed
reduc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30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763A (ko
Inventor
꼬우세이 까미무라
아끼라 모토에
Original Assignee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무로 타이죠,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니시무로 타이죠
Publication of KR970061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7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1/00Main component parts of lifts in, or associated with, buildings or other structures
    • B66B11/02Cages, i.e. cars
    • B66B11/026Attenuation system for shocks, vibrations, imbalance, e.g. passengers on the same side
    • B66B11/0266Passive systems
    • B66B11/0273Passive systems acting between car and supporting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age And Drive Apparatuses For Elevator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 Lift-Guide Devices, And Elevator Ropes And Cables (AREA)

Abstract

본체 틀, 본체 틀에 고정된 승강실 및 승강실과 본체 틀간에 액체 흡진기로 된 엘리베이터 본체로서, 액체 흡진기는 제1의 액체실 및 제2의 액체실을 구비하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의해 각각 변화하며, 액체 흡진기는 제1 및 제2의 액체실을 연통하는 오리피스부와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오리피스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더 구비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 본체(ELEVATOR CAGE)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 본체에 관한 것이며, 특히 승강실에 전달된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본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엘리베이터 본체는 도8에 나타낸 바와같이 승강로(hoistway)에 현수된 안내 레일에 의해 엘리베이터 본체가 안내된다.
도 8에서 후술하는 엘리베이터 본체(1)를 구성하는 본체틀(2)은 승강로의 내벽면에 수직으로 설치된 T형부에 형성된 한쌍의 안내 레일(6) 사이의 주 로프(5)에 의해 현수되어 있다.
본체틀(2) 하단부의 하부 빔(2a)에는 4개의 고무 방진체(4)가 고정되어 있다. 고무 방진체(4)상에는 승강실(3) 하단부의 본체바닥이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승강실(3) 상부측과 본체틀(2)의 수직 빔(2b) 사이에는, 후술하는 고무 방진체(7)가 각각 대칭으로 설치되어 있다.
본체틀(2)의 상하 단부의 좌우에는 안내 롤러(8)가 대칭으로 설치되어, 안내 레일(6)의 양측 및 상부와 각각 접촉하고 있다. 본체틀(2)의 상부 빔(2c)의 중앙에는 주 로프 고정봉(도시하지 않음)이 상부 빔(2c)을 관통하고, 주 로프(5)의 하단부는 이 주 로프 고정봉의 상단에 접촉하고 있다.
주 포프(5)의 상단은 승강로의 상부에 형성된 기계실에 설치된 호이스트(도시하지 않음)의 승강 휠에 감겨 승강로 아래로 내려뜨러져 있다. 주 로프(5)의 다른 하단에는 평형추(도시하지 않음)가 부착 현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엘리베이터 본체(1)에서는 안내 레일(6)상에서 회전하는 안내 롤러(8)로부터 하부 빔(2a)으로 진동이 전달된다. 하부 빔(2a)으로부터 승강실(3)로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고무 방진체(4)를 본체틀(2)에 내장시키고 있다.
안내 롤러(8)가 진동하는 이유는 여러가지가 있는 데, 예를 들어 안내 레일(6)의 높이에 약간의 차이가 있다거나, 안내 레일(6)에 약간의 굽이침이 있는 경우가 그렇다. 호이스트로부터의 진동도 주 로프(5) 등을 통해 본체틀(2)에 전달된다.
그러므로 하부 빔(2a)과 본체 바닥 사이에 고무 방진체(4)를 설치하고, 고무 방진체(7)와 안내 롤러(8)도 고무재로 만듦으로써, 승객의 승차에 대한 불안감을 덜어주고 있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엘리베이터 본체(1)중에서, 양정이 높을수록 그 속도가 가속화하는 엘리베이터에서는 승강실(3)에 전달되는 진동을 더욱 감소시킴으로써, 쾌적한 승차의 질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은 승강실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본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쾌적한 승차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본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본체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엘리베이터 본체의 동작을 나타낸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를 나타낸 종단면도.
도 8은 종래의 엘리베이터 본체의 일례를 나타낸 종단면도.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 목적은 본체 틀, 본체 틀에 고정한 승강실, 및 승강실과 본체 틀 사이에 고정한 액체 흡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본체를 제공함으로써 달성할 수가 있다. 액체 흡진기는 제1의 액체실과 제2의 액체실로 되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따라 각각 변화한다. 또한 액체 흡진기는 제1 및 제2의 액체실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부와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오리피스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형태에 의하면, 본체 틀, 본체 틀에 고정한 승강실, 및 본체 틀과 안내 레일 사이에 고정한 액체 흡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본체를 제공한다. 액체 흡진기는 제1의 액체실과 제2의 액체실로 되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따라 각각 변화한다. 또한 액체 흡진기는 제1 및 제2의 액체실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부와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오리피스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 의하면, 본체 틀, 본체 틀에 고정한 승강실, 및 액체 흡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본체를 제공한다. 액체 흡진기는 본체 틀과 승강실 사이에서 승강실의 제1측에 고정한 제1의 액체실과 본체 틀과 승강실 사이에서 제1측에 대향한 승강실의 제2측에 고정한 제2의 액체실로 되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따라 각각 변화한다. 또한 액체 흡진기는 제1 및 제2의 액체실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관과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오리피스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더 구비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의하면, 본체 틀, 본체 틀에 고정한 승강실, 및 액체 흡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본체를 제공한다. 액체 흡진기는 본체 틀과 제1의 안내 레일 사이에서 본체 틀의 제1측에 고정한 제1의 액체실과 본체 틀과 제2의 안내 레일 사이에서 제1측에 대향한 본체 틀의 제2측에 고정한 제2의 액체실로 되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따라 각각 변화한다. 또한 액체 흡진기는 제1 및 제2의 액체실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관과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오리피스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더 구비한다.
[실시예]
다음은 도면을 참조하고, 도면중의 동일한 부분이나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의 일부를 나타낸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1에서는 도 8에 나타낸 고무 방진체(7) 대신에 액체 흡진기(100)를 승강실(3) 상부와 본체 틀(2) 사이에 각각 설치하고 있다.
즉 원판형의 설치대(10)가 본체 틀(2)의 승강실(3)측의 본체 틀(2)에 볼트(9)로 체결되어 있다. 이 설치대(10)에는 원통형의 고무튜브(11)의 한쪽이 미리 부착되어 있다.
이 고무튜브(11)의 다른 쪽에는 원판형의 오리피스판(12)의 한쪽이 부착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판(12)의 중앙에는 오리피스 구멍(12a)이 형성된다. 오리피스판(12)의 다른 쪽 외주부에는 플랜지부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한편 승강실(3)의 상부 본체 틀(2)측에는 π형에 가까운 단면의, 연강판으로 된 틀(14)의 플랜지부(14a)가 승강실(3)에 볼트(9)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이 틀(14)의 원통부(14b)의 상부 개구측에는 U형 단면의 플랜지부(14c)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4c)의 내면에는 링형의 홈(14d)이 형성된다.
이 홈(14d)의 본체 틀(2)측의 홈(14d)에는 도 1에 단면이 선박의 바닥형상으로 나타나 있고, 측면(도시하지 않음)은 원판형인 고무재로 된 진동판(diaphragm)의 주변부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홈(14d)의 본체 틀(2)측의 홈(14d)에는 오리피스판(12)의 플랜지부(12b)도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원통형 고무튜브(11)에는 제1의 액체실이 형성되고, 원판형의 오리피스판(12)과 진동판 사이에 제2의 액체실이 형성된다.
고무튜브(11), 오리피스 구멍(12a) 및 진동판(13)의 내부에는 저점도 부동액인 에틸렌 글리콜(15)이 충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조의 엘리베이터 본체(1)의 액체 흡진기(100)에서는, 탄성고무로 된 고무튜브(11) 및 에틸렌 글리콜(15)과 고무튜브(11)와 진동판(13) 사이에 에틸렌 글리콜이 연통하는 오리피스 구멍(12a)에 의해, 본체 틀(2)로부터 승강실(3)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된 엘리베이터 본체의 동작을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2에서는 본체 틀(2)과 승강실(3)이 본체 틀(2)측의 고무튜브(11)에 의해 스프링(km, ke)으로 지지되어 있다. 우측의 진동판(13) 내부, 좌측의 고무튜브(11) 내부 및 오리피스 구멍(12a)의 내부에는 비압축성 액체인 에틸렌 글리콜(15)이 충전되어 있다. 이 액체의 점도를 c라 한다.
또한 오리피스부(16)의 액체의 질량을 mc 및 mf, 오리피스부(16)의 액체의 변위를 xo, 승강실(3)측 및 본체 틀(2)측의 액체의 변위를 xc 및 xf라 한다. 그리고 스프링(ke)에 의해 접속된 제1의 액체실의 단면적은 At, 오리피스부(16)의 단면적은 Ao라 한다. 이렇게 하면 승강실과 오리피스부(16)내의 액체 질량에 관한 운동방정식은 다음의 수학식 1로 표시된다.
[수학식 1]
mc·xc=km(xc-xf)+ke(x-xc)
mo·xo=(Ao/At)·ke(x-xc)-c·xo'
x=xf-(Ao/At)xo
여기서 마크 '는 변위 x의 시간 t에 대한 제1계 미분(dx/dt)을 표시하고, 마크 는 변위 x의 시간 t에 대한 제2계 미분(d2x/dt2x)을 표시한다.
그런데 도 2로부터 xc'≪xo'임이 명백하므로, 오리피스부(16)내의 액체의 질량에 관한 방정식은 다음의 수학식 2로 주어진다.
[수학식 2]
meq·xo≒(At/Ao)ke·(x-xc)ceq·(xo'-xc')
meq=(At/Ao)2·mo,
ceq=(At/Ao)2c
수학식 2로부터 등가 질량 meq과 등가 감쇠량 ceq은 오리피스부(16)과 액체실의 단면적비의 제곱배(At/Ao)2로 확대된다는 것을 알 수가 있다. 그 결과 이 액체 흡진기를 사용하면 일반적인 동흡진기에서보다 적은 질량으로 그 동흡진기와 동등한 감진효과를 발휘할 수가 있다.
또한 수학식 1 및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동흡진기의 사용과 병행하여 오리피스부(16)와 승강실의 단면적비 At/Ao, 오리피스부(16)의 길이 및 액체 점도 c의 크기에 의존하여 본 실시예의 액체 흡진기를 감쇄기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 xc'(≒xf')≪xo'와 같이 동일한 위상평행이동 모드에서는 감쇠량에 작용하는 속도가 승강실(3)과 본체 틀(2) 사이에 일반적인 감쇠기를 설치하는 경우보다 크다. 그 결과 액체 흡진기(10)를 사용하면 도 8에 나타낸 종래의 감쇠기의 경우보다 큰 감진효과를 얻을 수가 있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의 엘리베이터 본체(1)상에 승강실(3)과 본체 틀(2) 사이의 승강실(3)의 고유진동에 대응하는, 승강실(3)과 본체 틀(2) 사이의 상대변위나 상대점도에 작용하는 스프링 또는 제진기(damper)와는 다른 액체 충전의 동흡진기를 설치함으로써 승강실(3)의 진동을 직접 감쇠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체 틀(2)측에 도 2에 나타낸 탄성고무(ke, km)를 설치하고 종래의 바닥 및 흡진부재와 본체 상부 흡진부재를 사용하여, 승강실(3)과 본체 틀(2) 사이의 상대변위나 상대점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승강실(3)의 감진효과 증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체 틀(2)측에 설치대(10)를, 승강실(3)측에 틀(14)을 설치한 예를 들었으나, 그 전체를 좌우 반전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
다음에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를 나타낸 종단면도이며, 본체 틀(2)과 승강실(3)의 전체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에는 승강실(3)과 수직 빔(2b) 사이에 평면(도시하지 않음)도 장방형인 장방형의 고무용기(17A)가 승강실(3)의 상부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좌우 양측의 고무용기(17A)는 승강실(3)의 상부를 가로질러 설치된 소경의 오리피스관(16B)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들 고무용기(17A)와 오리피스관(16B)은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에틸렌 글리콜(15)로 충전되어 있다.
상기 구조의 엘리베이터 본체(1)의 액체 흡진기(100A)에서도, 오리피스관(16B)내의 에틸렌 글리콜(15)의 질량과 오리피스관(16B)의 감쇠량은 고무용기(17A)와 오리피스관(16B)의 단면적비의 제곱배로 확대되며, 액체 흡진기(100A)는 감쇠기로서뿐 아니라 동흡진기로서도 작용한다. 그 결과 본체 틀(2)로부터 승강실(3)에 전달되는 진동을 급격하게 감쇠할 수가 있다.
도 4는 도 3과 같이 구성되고, 도 2에 대응하는 엘리베이터 본체(1)의 동작을 설명하는 개략도이다.
도 4에는 도 2에 나타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좌우의 수직 빔(2b)과 승강실(3) 사이에 고무용기(17A)에 부착된 스프링(ke, km)이 있다.
다음에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5에서 도 1에 나타낸 액체 흡진기(100)와 다른 것은 상하 양측에 액체 흡진기(100B)내의 오리피스관(16c)에 의해 연결된 액체실이 있는 점이다.
즉 도 5의 액체 흡진기(100B)에서는 승강실(3)의 상부측과 본체 틀(2) 사이에 도 3과 마찬가지로 고무용기(17B)가 설치되고, 이 고무용기(17B)의 상부에는 오리피스관(16C)을 통해 제2의 용기(17C)가 연결되어 있다.
이들 고무용기(17B, 17C)와 오리피스관(16C)의 내부공간에는 도 1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틸렌 글리콜(15)이 충전되어 있다.
상기한 구조의 엘리베이터 본체(1)의 액체 흡진기(100B)에서도 오리피스관(16C)내의 에틸렌 글리콜(15)의 질량과 오리피스관(16C)의 감쇠량이 고무용기(17B)와 오리피스관(16C)의 단면적비의 제곱배로 확대된다. 그 결과 감진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가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의 일부를 나타내는, 도 1에 대응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6에서는 도 1에 나타낸 액체 흡진기(100)와 거의 같은 형상의 액체 흡진기(100C)가 안내 레일(6)상을 회전하는 안내 롤러(8)와 본체 틀(2)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액체 흡진기(100C)도 안내 롤러(8)의 지지체로서 기능한다.
즉 본체 틀(2)에는 원판형의 설치대(10)가 체결되어 있다. 이 설치대(10)에는 원통형의 고무튜브(11A)가 미리 부착되어 있다.
이 고무튜브(11A)의 다른 쪽에는 원판형 오리피스판(12A)의 한쪽이 부착되어 있다. 이 오리피스판(12A)의 중앙에는 오리피스 구멍(12a)이 형성되고, 오리피스판(12A)의 다른 쪽 외주부에는 플랜지부(12b)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π형에 가까운 단면의, 연강판으로 된 틀(14A)이 설치되어 있다. 이 틀(14A)의 원통부(14b)의 상부 개구측에는 U형 단면의 플랜지부(14C)가 형성된다. 플랜지부(14C)의 내면에는 링형의 홈(14d)이 형성된다. 홈(14d)의 원통부(14b)측의 홈(14d)에는 도 6에 단면이 선박의 바닥형상으로 나타나 있고, 측면(도시하지 않음)은 원판형인 고무재로 된 진동판의 외주부가 삽입되어 있다. 또한 홈(14d)의 안내 레일(6)측의 홈(14d)에는 오리피스판(12A)의 플랜지부(12b)도 삽입되어 있다.
고무튜브(11A), 오리피스 구멍(12a) 및 진동판(13)의 내부에는 저점도 부동액인 에틸렌 글리콜(15)이 충전되어 있다.
틀(14A)의 플랜지부(14a)에는 한쌍의 지지금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안내 롤러(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안내 롤러(8)는 각 안내 레일(6)의 양측과 상부에 각각 접촉하고 있다.
상술한 구조의 엘리베이터 본체(1)의 액체 흡진기(100C)를 사용하면, 탄성고무로 된 고무튜브(11A)와 진동판(13)에 충전된 에틸렌 글리콜(15)과 고무튜브(11A)와 진동판(13) 사이에 에틸렌 글리콜(15)이 연통하는 오리피스 구멍(12a)에 의해, 안내 레일(6)로부터 본체 틀(2)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가 있다.
또한 도 6의 설치대(10)를 안내 레일(6)측에 설치하고, 기타의 부품들을 반대로 해서 조립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의한 엘리베이터 본체를 나타내는, 도 3에 대응하는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7에서는 본체 틀(2)과 안내 레일(6) 사이에 평면(도시하지 않음)도 장방형인 장방형의 고무용기(17D)가 본체 틀(2)의 양측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좌우의 고무용기(17D)는 승강실 상부에 수평으로 설치된 소경의 오리피스관(16A)에 연결된다.
이들 고무용기(17D)와 오리피스관(16A)은 도 3에 나타낸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에틸렌 글리콜(15)로 충전되어 있다.
각 고무용기(17D)의 안내 레일(6)측에는 한쌍의 지지금속(도시하지 않음)을 통해 안내 롤러(8)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들 안내 롤러(8)는 각 안내 레일(6)의 양측과 상부에 접촉하고 있다.
상술한 구조의 엘리베이터 본체(1)의 액체 흡진기(100D)를 사용하면, 오리피스관(16A)내의 에틸렌 글리콜의 질량과 오리피스관(16A)의 감쇄량이 고무용기(17D)와 오리피스관(16A)의 단면적비의 제곱배로 확대되어, 액체 흡진기(100D)는 감쇠기로서뿐 아니라 동흡진기로서 기능한다. 그 결과 안내 레일(6)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을 급격하게 감쇠시킬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본체 틀로부터 승강실에 전달되는 진동이 본체 틀과 승강실 사이에 설치된 액체 흡진기에 의해 감쇠되므로, 승강실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본체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레일로부터 본체 틀에 전달되는 진동이 본체 틀과 안내 레일 사이에 설치된 액체 흡진기에 의해감쇠되므로, 승강실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본체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내 롤러로부터 본체 틀에 전달되는 진동이 본체 틀과 안내 레일 사이에 설치된 액체 흡진기와 액체 흡진기상에 설치된 안내 롤러에 의해 감쇠되므로, 승강실에 전달되는 진동을 감소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본체를 얻을 수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승강실에 전달되는 진동이 감소되므로, 쾌적한 승차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 본체를 얻을 수가 있다.
상기한 주지에 비추어 본 발명의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그러므로 본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한 것 이외의 것도 실시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8)

  1. 본체 틀과; 상기 본체 틀에 고정한 승강실과; 상기 승강실과 상기 본체 틀 사이에 고정한 액체 흡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진기는
    제1의 액체실과,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부와,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오리피스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따라 각각 변화하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진기는
    상기 본체 틀과 상기 승강실중의 하나에 고정된 설치대와;
    원통형의 고무튜브와;
    오리피스판의 중앙을 관통하는 오리피스 구멍을 갖는 원판형 오리피스판과;
    상기 본체 틀과 상기 승강실중의 다른 하나의 저부에 고정된 관형 틀과;
    상기 관형 틀의 관형부에 설치된 진동판과;
    상기 액체로서의 부동액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고무튜브는 그의 제1측이 상기 설치대에 부착되고, 제2측은 상기 원판형 오리피스판의 제1측에 부착되어, 상기 원통형 고무튜브내에 상기 제1의 액체실을 형성하고;
    상기 관형 틀의 상부 개구측은 상기 원판형 오리피스판의 제2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진동판의 상부 개구부도 상기 원판형 오리피스판의 상기 제2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형부를 분할함으로써, 상기 원판형 오리피스판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 상기 제2의 액체실을 형성하고;
    상기 부동액은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오리피스 구멍의 오리피스부의 내부를 충전하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본체.
  3. 본체 틀과; 상기 본체 틀에 고정한 승강실과; 상기 본체 틀과 안내 레일 사이에 고정한 액체 흡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진기는
    제1의 액체실과,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부와,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오리피스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따라 각각 변화하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본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레일측에 위치한 상기 제1 및 제2의 승강실중의 하나에 설치된 복수의 안내 롤러를 더 구비하며;
    상기 안내 롤러 각각은 상기 안내 레일에 접촉하면서 회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본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진기는
    설치대와;
    원통형의 고무튜브와;
    오리피스판의 중앙을 관통하는 오리피스 구멍을 갖는 원판형 오리피스판과;
    관형 틀과;
    상기 관형 틀의 관형부에 설치된 진동판과;
    상기 액체로서의 부동액을 구비하며,
    상기 원통형 고무튜브는 그의 제1측이 상기 설치대에 부착되고, 제2측은 상기 원판형 오리피스판의 제1측에 부착되어, 상기 원통형 고무튜브내에 상기 제1의 액체실을 형성하고;
    상기 관형 틀의 상부 개구측은 상기 원판형 오리피스판의 제2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형부를 형성하고;
    상기 진동판의 상부 개구부도 상기 원판형 오리피스판의 상기 제2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형부를 분할함으로써, 상기 원판형 오리피스판과 상기 진동판 사이에 상기 제2의 액체실을 형성하고;
    상기 부동액은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오리피스 구멍의 오리피스부의 내부를 충전하고;
    상기 안내 롤러는 상기 설치대와 상기 관형 틀의 저부중의 하나에 고정되고;
    상기 설치대와 상기 관형 틀의 저부중의 다른 하나는 상기 본체 틀에 고정되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본체.
  6. 본체 틀과; 상기 본체 틀에 고정한 승강실과; 액체 흡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진기는
    상기 본체 틀과 상기 승강실 사이에서 상기 승강실의 제1측에 고정한 제1의 액체실과,
    상기 본체 틀과 상기 승강실 사이에서 상기 제1측에 대향한 상기 승강실의 제2측에 고정한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관과,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오리피스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따라 각각 변화하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본체.
  7. 본체 틀과; 상기 본체 틀에 고정한 승강실과; 액체 흡진기를 구비한 엘리베이터 본체에 있어서, 상기 액체 흡진기는
    상기 본체 틀과 제1의 안내 레일 사이에서 상기 본체 틀의 제1측에 고정한 제1의 액체실과,
    상기 본체 틀과 제2의 안내 레일 사이에서 상기 제1측에 대향한 상기 본체 틀의 제2측에 고정한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 사이를 연통하는 오리피스관과,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과 상기 오리피스관의 내부를 충전하는 액체를 구비하며, 상기 제1 및 제2의 액체실의 내용적은 탄성변형에 따라 각각 변화하는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본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실에 설치된 복수의 제1의 안내 롤러와; 상기 제2의 액체실에 설치된 복수의 제2의 안내 롤러를 구비하며,
    상기 제1의 안내 롤러는 각각 상기 제1의 안내 레일에 접촉하면서 회전이 가능하고,
    상기 제2의 안내 롤러는 상기 제2의 안내 레일에 접촉하면서 회전이 가능한 것이 특징인 엘리베이터 본체
KR1019970003082A 1996-02-02 1997-01-31 엘리베이터 본체 KR100206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017572A JPH09208161A (ja) 1996-02-02 1996-02-02 エレベータのかご
JP017572 1996-02-02
JP96-017572 1996-02-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763A KR970061763A (ko) 1997-09-12
KR100206038B1 true KR100206038B1 (ko) 1999-07-01

Family

ID=11947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3082A KR100206038B1 (ko) 1996-02-02 1997-01-31 엘리베이터 본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988322A (ko)
JP (1) JPH09208161A (ko)
KR (1) KR100206038B1 (ko)
CN (1) CN1067032C (ko)
HK (1) HK1008206A1 (ko)
MY (1) MY126368A (ko)
TW (1) TW42537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81228A1 (en) * 2000-04-20 2001-11-01 Otis Elevator Company Fluid-elastic vibration damper system
CN101074078A (zh) * 2006-05-19 2007-11-21 沈阳博林特电梯有限公司 电梯轿架系统
CN103569823A (zh) * 2013-11-06 2014-02-12 南通中尧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电梯减震装置
EP3034448B1 (en) * 2014-12-15 2018-07-18 KONE Corporation Elevator car arrangement
CN106477431B (zh) * 2015-09-01 2020-01-21 奥的斯电梯公司 电梯轿厢的轿厢室隔离
CN109626182B (zh) * 2018-12-24 2023-10-27 宁波宏大电梯有限公司 一种轿顶轮架和高速梯轿架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174043A (en) * 1938-05-16 1939-09-26 Walter E Scheibner Elevator control mechanism
ES2034476T3 (es) * 1988-07-12 1993-04-01 Inventio Ag Dispositivo amortiguador de vibraciones para cabinas de ascensor.
EP0366883B1 (de) * 1988-11-02 1993-04-28 Inventio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usübung des Verfahrens für die Schwingungsabsorbierung an Kabinen bei schnellaufenden Aufzügen
US5195614A (en) * 1991-09-23 1993-03-23 Otis Elevator Company Hydraulic cushionride elevator
SG50564A1 (en) * 1993-12-28 1998-07-20 Hitachi Ltd Elevator
JPH09151064A (ja) * 1995-12-04 1997-06-10 Otis Elevator Co ロープ式エレベー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1363A (zh) 1998-01-28
CN1067032C (zh) 2001-06-13
TW425370B (en) 2001-03-11
US5988322A (en) 1999-11-23
HK1008206A1 (en) 1999-05-07
MY126368A (en) 2006-09-29
JPH09208161A (ja) 1997-08-12
KR970061763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65536C2 (ru) Лифт и способ расположения приводной машины лифта
KR20010033022A (ko) 구동판을 갖춘 케이블 엘리베이터
JPH0316538B2 (ko)
KR100206038B1 (ko) 엘리베이터 본체
EP1727764B1 (en) Balancing apparatus for elevator
JP2000086123A (ja) エレベータ装置
EP0178652A2 (en) Liquid-filled type vibration damping structure
US5199529A (en) Self aligning supports for elevator cab
JPH06239570A (ja) エレベーターの振動防止装置
US5788017A (en) Elevator having an elevator cage guided in rucksack-type manner on a mount frame
JPH04144891A (ja) エレベータ
JPH1046869A (ja) 免震装置の多層式粘性ダンパー
US20040112681A1 (en) Elevator system
JP2004262602A (ja) エレベータの乗りかご
KR20040072636A (ko) 엘리베이터의 카
JPH0533824A (ja) 流体封入式マウント
US5401103A (en) Guide seat for an elevator car for dampening of structure-borne noise
JP2001253668A (ja) エレベーターの巻上装置
JPH07215633A (ja) エレベーターの乗りかご
JPH0449191A (ja) エレベータの振動防止装置
JP2006151634A (ja) エレベータの防振装置
JPH08337372A (ja) 免震建物のエレベータピット構造
KR100255609B1 (ko) 자동차의 액체봉입형 마운팅장치
JPH10152273A (ja) エレベータの振動防止装置
JP2001310886A (ja) エレベータ装置のガイドレール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