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212B1 -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212B1
KR100205212B1 KR1019960015837A KR19960015837A KR100205212B1 KR 100205212 B1 KR100205212 B1 KR 100205212B1 KR 1019960015837 A KR1019960015837 A KR 1019960015837A KR 19960015837 A KR19960015837 A KR 19960015837A KR 100205212 B1 KR100205212 B1 KR 1002052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d
type impurity
layer
high concentration
diff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58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7200A (ko
Inventor
이종홍
Original Assignee
김충환
한국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환, 한국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환
Priority to KR10199600158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212B1/ko
Publication of KR9700772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72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2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2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083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e.g. two-terminal devices
    • H01L29/6609Diodes
    • H01L29/66136PN junction di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8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only by variation of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one or more of the electrodes carrying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scillated or switched
    • H01L29/861Dio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ipolar Transistors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은, 고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저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에핑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피층 내의 표면 근방에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한 상기 에피층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 물을 염화금산 용액에 딥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및 상기 차단층 상에 각각 금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금박막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내로 금을 확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져, 딥(dip) 방식을 적용한 금확산 공정진행시 고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층으로만 확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금확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
본 발명은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고속의 역회복 시간이 요구되는 반도체 장치인 NP 및 PN 다이오드에 딥 방식을 적용하여 금을 확산시킬 때 야기되는 확산 효율 저하를 막을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역회복 시간이 길면 반도체 소자가 고속 차단 및 접속 시스템에서 동작할 때 소자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결국 소자가 일정 온도 범위를 넘어서게 되면 파괴된다. 그래서 고속 및 접속 시스템에 적용되는 반도체 소자는 시스템에 준하는 역회복 시간이 요구되는데, 이와 같이 빠른 역회복 시간(Trr) 특성을 얻기 위해서 소자 설계 구조에 의한 개선 방법도 있지만 소자의 구조적인 변화만으로는 한계에 이르게 됨으로서 대부분의 고속으로 차단 및 접속할 수 있는 반도체 소자는 전자선 조사, 중금속 확산 등의 공정 기술을 통하여 소자 내부의 국부적인 부분에 소자가 정상 동작시에 발생되는 축적된 소수 캐리어와 재결합할 수 있도록 자리를 만들어 주어 역회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종래의 금확산에 의한 역회복 시간 제어는, 통상 금 소스(source)를 NP형이나 PN형의 다이오드에 관계없이 반도체 표면에 데포지션하거나 딥(Dip)한 뒤, 확산 공정을 실시해 주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도 1에는 이중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딥 방식을 적용한 금확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다이오드 구조가 제시되어 있다.
도 1의 단면도를 참조하면, 종래의 딥 방식을 적용한 다이오드 제조는 다음의 제 2단계를 거쳐 진행됨을 알 수 있다.
제1단계로서, 고농도 제1도전형의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기판(10) 상에 저농도 제1도전형의 에피층(12)을 형성하고, 상기 에피층(12)의 표면이 소정부분 노출되도록 그 위에 절연층(1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기판 상으로 고농도 제2도전형의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에피층(12) 내에 표면이 노출되는 불순물영역(16)을 형성한다.
제2단계로서, 상기 결과물을 염화금산 용액에 딥하여 상기 기판(10)의 이면과 표면이 노출된 불순물 영역(15) 상에 금박막층(18)을 형성하고,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금박막층(18)으로부터 기판(10) 내로 금을 확산시켜 주므로써, 본 공정 진행을 완료한다.
이 때, 상기 다이오드가 NP 다이오드일 경우에는 제1도전형의 불순물로 P형 불순물이 그리고 제2도전형의 불순물로 N형 불순물(예컨대, 인)이 사용되며, 상기 다이오드가 PN 다이오드일 경우에는 제1도전형의 불순물로 N형 불순물(예컨대, 인)이 그리고 제2도전형의 불순물로 P형 불순물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반도체 장치의 역회복 시간을 제어할 경우에는 공정 진행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된다.
즉, PN 다이오드 제조시에는 P형 불순물 영역(16)쪽에서 확산이 실시되기 때문에 별 문제가 발생되지는 않지만, 이 경우에는 금확산 과정에서 기판(24) 이면쪽에 집중적으로 금 소스가 포획되므로 이로 인해 소자의 특성이 변화될 가능성이 있고, 반면 NP 다이오드 제조시에는 N형 불순물 영역(16)쪽에서 확산이 실시되므로 금확산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문제는 확산 공정 진행시 N형 불순물인 인이 확산되는 금을 포획(c아파트ure)하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유발되는 것으로, 이러한 문제가 야기될 경우 반도체 장치의 스위칭 특성이 저하되는 결과가 초래되므로 이에 대한 개선책이 시급하게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NP 및 PN 다이오드의 역회복 시간 개선을 위한 금확산 공정 진행시 딥 방식을 적용하되, 차단층을 이용하여 N+형 불순물이 주입된 층으로는 금확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P+형 불순물이 주입된 층으로만 금확산이 이루어지도록 공정을 변경해 주므로써, 금확산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도는 종래 기술로서, 딥 방식에 의해 금확산이 이루어진 경우의 다이오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딥 방식에 의해 금확산이 이루어진 경우의 NP 다이오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딥 방식에 의해 금확산이 이루어진 경우의 PN 다이오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는, 고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저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피층 내의 표면 근방에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한 상기 에피층 상에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을 염화금산 딥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및 상기 차단층 상에 각각 금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금박막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내로 금을 확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이 제2실시예에서는, 고농도 N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저농도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피층의 표면이 소정 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결과물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절연층을 마스크로 사용한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통해, 상기 에피층 내의 표면 근방에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이면에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을 염화금산 용액에 딥하여 상기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한 상기 절연층 상부와 상기 차단층 상에 각각 금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금박막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내로 금을 확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로서, 딥 방식에 의해 금확산이 이루어진 경우의 NP 다이오드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내고, 제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로서, 딥 방식에 의해 금확산이 이루어진 경우의 PN 다이오드의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를 나타낸다.
먼저, 제2도에 제시된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 제안된 금확산 방법을 살펴본다. 여기서는 편의상, 상기 금확산 방법을 제2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단계로서, 고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기판(20) 상에 저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에피층(22)을 형성하고, 상기 에피층(22)상의 소정 부분에만 선택적으로 고농도 N형 불순물이 이온주입하여 상기 에피층(22) 내에 표면이 노출되는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2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고농도 N형 불순물층(24)의 표면 노출부를 포함한 에피층(22) 상에 규소를 산화시켜 만든 차단층(26)을 형성한다.
제2단계로서, 상기 결과물을 염화금산 용액에 딥하여 상기 고농도 P형 기판(20)의 이면과 차단층(26) 상에 각각 금박막층(28)을 형성하고,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금박막층(28)으로부터 기판 내로 금을 확산시켜 주므로써, 본 공정 진행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24)의 표면 노출부를 포함한 에피층(22) 상에 산화막 재질의 차단층(26)을 기 형성한 상태에서 딥 방식에 의한 금확산이 이루어지도록 공정을 진행할 경우, 차단층(26)으로 인해 금을 포획하는 성질을 갖는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24)쪽으로는 금 소스와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고, 고농도 P형 기판(20)쪽으로의 확산만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금확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도 3에 제시된 단면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 제안된 금확산 방법을 살펴본다. 이 경우 역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상기 금확산 방법을 제2단계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제1단계로서, 고농도 N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기판(30) 상에 저농도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에피층(32)을 형성하고, 상기 에피층(32)의 표면이 소정 부분 노출되도록 그 위에 절연층(34)을 형성한 다음, 상기 기판 상으로 고농도 P형 불순물을 이온주입하여 상기 에피층(32) 내에 표면이 노출되는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36)을 형성하고, 상기 고농도 N형 기판(30)의 이면에 규소를 산화시켜 만든 차단층(38)을 형성한다.
제2단계로서, 상기 결과물을 염화금산 용액에 딥하여 표면이 노출된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36)을 포함한 상기 절연층(34) 상부와 상기 기판(30) 이면의 차단층(38) 상에 각각 금박막층(40)을 형성하고,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금박막층(40)으로부터 기판 내로 금을 확산시켜 주므로써, 본 공정 진행을 완료한다.
이와 같이, 고농도 N형 기판(30) 이면에 산화막 재질의 차단층(38)을 기 형성한 상태에서 딥 방식에 의한 금확산이 이루어지도록 공정을 진행할 경우, 차단층(38)으로 인해 고농도 N형 기판(30)쪽으로는 금 소스의 확산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므로, 금확산 과정에서 특정 부위(예컨대 고농도 N1-형 기판)에 금 소스가 집중적으로 포획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되어, 소자의 특성 저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이오드의 역회복 시간 개선을 위한 금확산 공정을 진행할 때, NP 다이오드 제조시에는 저농도 N형 불순물 영역 상에 산화막 재질의 차단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금확산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반면 PN 다이오드 제조시에는 고농도 N형 기판 이면에 산화막 재질의 차단층이 형성된 상태에서 금확산이 이루어지도록 공정을 변경해 주므로써, 딥 방식을 적용한 금확산 공정 진행시 고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층에서만 확산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금확산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Claims (2)

  1. 고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저농도 P형 불순물이 도핑된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피층 내의 표면 근방에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한 상기 에피층 상에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을 염화금산 용액에 딥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의 이면 및 상기 차단층 상에 각각 금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금박막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내로 금을 확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농도 N형 불순물 영역은 인을 이온주입하여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
    고농도 N형 불순물이 도핑된 반도체 기판 상에 저농도 N형 불순물이 도핑된 에피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에피층의 표면이 소정 부분 노출되도록, 상기 결과물 상에 절연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층을 마스크로 사용한 불순물 이온주입 공정을 통해, 상기 에피층내의 표면 근방에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판 이면에 차단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을 염화금산 용액에 딥하여 상기 고농도 P형 불순물 영역을 포함한 상기 절연층 상부와 상기 차단층 상에 각각 금박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확산 공정을 실시하여 상기 금박막층으로부터 상기 기판 내로 금을 확산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 방법.
KR1019960015837A 1996-05-13 1996-05-13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방법 KR1002052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837A KR100205212B1 (ko) 1996-05-13 1996-05-13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5837A KR100205212B1 (ko) 1996-05-13 1996-05-13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200A KR970077200A (ko) 1997-12-12
KR100205212B1 true KR100205212B1 (ko) 1999-07-01

Family

ID=194585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5837A KR100205212B1 (ko) 1996-05-13 1996-05-13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21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7200A (ko) 1997-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10059A (en) Method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emiconductor layer of SiC by implanting
JPS61287266A (ja) 半導体デバイス
JP4647734B2 (ja) 半導体素子のダイオード及びその製造方法
US3786318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channel preventing structure
US5429953A (en) Method of forming solid state suppressors with concave and diffused substitution regions
JP2573201B2 (ja) 半導体素子の拡散層形成方法
JP3718223B2 (ja) 縦の溝を有する高電圧用の半導体デバイス
KR100205212B1 (ko) 반도체 장치의 금확산방법
JP2005135972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KR920008124B1 (ko) InP 함유반도체 장치의 제조방법
US8237239B2 (en) Schottky diode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EP0974165A2 (en) Semiconductor device with a bipolar transist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uch a device
US6683328B2 (en) Power semiconductor and fabrication method
EP0890184B1 (en) A METHOD FOR PRODUCING A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SEMICONDUCTOR LAYER OF SiC
KR100192966B1 (ko) 모스 콘트롤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KR0126116B1 (ko) 에스램 소자 제조 방법
KR100293269B1 (ko) 반도체 소자 제조방법
KR101915219B1 (ko) 실리콘 광전소자의 제조방법
US6306717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n avalanche diode with an adjustable threshold
JPH1012913A (ja) 半導体受光素子
JPH06237005A (ja) 光検知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920000704B1 (ko) 반도체 장치의 금속배선막 제조방법
KR100317604B1 (ko) 쇼트키 베리어 다이오드 및 그 제조방법
JP3257225B2 (ja) プレーナ型半導体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9990024496A (ko) 스위칭 특성을 개선할 수 있는 전력 반도체장치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33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