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3586B1 -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3586B1
KR100203586B1 KR1019960074166A KR19960074166A KR100203586B1 KR 100203586 B1 KR100203586 B1 KR 100203586B1 KR 1019960074166 A KR1019960074166 A KR 1019960074166A KR 19960074166 A KR19960074166 A KR 19960074166A KR 100203586 B1 KR100203586 B1 KR 10020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rrection data
image correction
signal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41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4961A (ko
Inventor
나대희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41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35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54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4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35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8/00Arrangements for selecting an address in a digital store
    • G11C8/18Address timing or clocking circuits; Address control signal generation or management, e.g. for row address strobe [RAS] or column address strobe [CAS]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MA부재를 채용한 프로젝터에서 AMA부재의 화소 보정을 위한 화상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이 다수의 라인메모리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드레스의 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디지털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에 의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수단(22)과, 상기 어드레스발생수단(22)으로부터의 어드레스에 의해 저장된 화상보정데이터를 출력하는 보정데이터메모리수단(24), 상기 보정데이터메모리수단(24)으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되는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을 통한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화상보정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을 행하는 다수의 스위칭수단(S1∼Sn),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한 카운팅출력에 동기적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에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에 동기되는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저장되도록 기록인에이블제어(WE)를 행함과 더불어, 그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으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다수의 스위칭수단(S1∼Sn)을 스위칭제어하는 제어수단(28) 및, 상기 다수의 스위칭수단(S1∼Sn)을 통해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화소보정함에 의해 화상구동신호로서 AMA장치(36)로 출력하는 화소보정출력수단(30,32,34)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MA부재를 채용하여 투사형 화상을 재현하는 프로젝터에서 AMA부재의 제조상 오차에 대한 보정을 위한 화상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이 다수의 라인메모리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디지털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동화상을 표시하는 화상표시시스템으로는 CRT(Cathode Ray Tube)장치로 대표되는 직시형 화상표시시스템과, LCD(Liquified Crystal Display)장치로 대표되는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으로 대별되는 바, 직시형 화상표시시스템에서의 CRT장치의 경우에는 화상의 컬러성분에 대응하는 R/G/B전자총에서 발생되는 전자비임의 유동거리가 필요하게 되므로 브라운관의 소형경량화가 어렵게 되고,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LCD장치의 경우에는 화상의 컬러성분에 의해 액정의 배열을 변환시켜서 화면표시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소형경량화가 가능하기는 하지만 액정소자의 특성상 광효율이 낮다는 불리함을 갖게 된다.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광원으로부터 발생되는 백색광을 R/G/B컬러성분으로 각각 분리하고 그 R/G/B컬러성분에 대응하는 화상신호의 화소에 대한 컬러성분에 대응하여 광로를 조절함에 의해, 스크린상에 컬러화상을 투사방식으로 구현하는 다수의 AMA소자를 채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의 프로젝터가 개발되어 제품화단계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AMA소자를 채용한 투사형 프로젝터에 따르면, 그 다수의 AMA소자가 액티브 매트릭스기판상에 집적되는 AMA부재로서 형상화되어 있고, 그러한 AMA부재는 단일의 액티브 매트릭스기판상에 단일의 화면을 구성하는 다수의 화소에 각각 대응하는 수의 화소구동소자로서의 MOS트랜지스터가 집적되어 있는 한편, 각각의 AMA소자는 그 화소구동소자에 대응하여 신호적으로 접속되고서 해당 화소구동소자에 인가되는 컬러성분의 화상신호에 의거하여 경사도(Tilting Angle)가 조정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젝터에 채용되는 AMA부재에 있어서는 그 제조시 각각의 AMA소자의 초기 경사도에 대해 원초적인 오차가 발생되는 바, 그러한 원초적인 오차를 감쇄시키기 위해 그 AMA부재에 대한 초기 경사도에 의거한 화상보정데이터를 생성하여 저장시킴에 의해 입력되는 영상신호와의 화소정합에 의해 각각의 화소에 대한 오차를 보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프로젝터의 화소보정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2는 영상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 및 컬러서브캐리어(fsc; 대략 3.58 MHz)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를 나타내고, 4는 그 동기분리부(2)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 및 컬러서브캐리어주파수에 의한 클럭신호(4fsc)를 조합하여 어드레스신호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발생부를 나타내는 바, 예컨대 640 x 480의 화면을 가정하는 경우 그 화면의 전체 화소의 수는 307,200이고, 그 전체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어드레스는 20-218로 된다.
또한, 참조부호 6은 AMA장치(10)를 구성하는 화소구동소자에 대응적으로 제공된 각 액츄에이터의 평탄도에 대한 오차보정치가 화상보정데이터로서 격납된 예컨대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ROM)로 이루어진 보정데이터메모리를 나타내는 바, 그 보정데이터메모리(6)에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는 상기 AMA장치(10)에서 미리 측정된 제조시의 평탄도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를 산출해서 ROM테이블화하여 작성되고, 상기 어드레스발생부(4)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와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8은 상기 어드레스발생부(4)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화소단위의 보정데이터가 상기 보정데이터메모리(6)로부터 독취되는 경우 그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격납된 다음 재출력되도록 하는 예컨대 SRAM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0은 소정의 영상신호를 디지털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나타내고, 12는 상기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저장부(8)를 통해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화소정합방식으로 대응시켜 각 화소에 대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를 적용하고 보정된 화소구동데이터를 출력하는 디지털화소보정부를 나타내며, 14는 상기 화소보정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AMA장치(16)에 화상구동신호로서 출력하는 DAC(Digital-Analog Converter)를 나타낸다.
이러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프로젝터의 화소보정장치는 어드레스발생부(4)에서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단위의 화상보정데이터를 보정데이터메모리(6)로부터 순차적으로 독취하여 데이터저장부(8)에 의해 일시 저장된 다음에 순차적으로 디지털화소보정부(12)에 인가되면, 그 디지털화소보정부(12)는 ADC(10)를 통해 디지털변환된 영상신호에 대해 상기 데이터저장부(8)에서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화소단위로 정합시켜 보정된 화소구동데이터를 출력함에 따라, DAC(14)를 통해 아날로그변환된 화소구동신호가 AMA장치(16)에 공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에 따라, 그 AMA장치(16)에 구비된 각 AMA소자의 제조상 오차에 기인하는 화소오차가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젝터의 화소보정장치에서는 보정데이터저장부(6)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SRAM으로 이루어진 데이터저장부(8)에 로딩받아 일시 격납하기 위해 그 화상보정데이터에 대한 어드레스를 항상 발생시키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그 어드레스에 의한 디지털노이즈가 많아지게 된다는 불리함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AMA부재를 채용한 프로젝터에서 AMA부재의 화소 보정을 위한 화상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이 다수의 라인메모리를 통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어드레스의 발생에 의해 야기되는 디지털노이즈를 저감시키기 위한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에 의하면,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에 의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수단과, 상기 어드레스발생수단으로부터의 어드레스에 의해 저장된 화상보정데이터를 출력하는 보정데이터메모리수단, 상기 보정데이터메모리수단으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되는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을 통한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화상보정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을 행하는 다수의 스위칭수단,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한 카운팅출력에 동기적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에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에 동기되는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저장되도록 기록인에이블제어를 행함과 더불어, 그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으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다수의 스위칭수단을 스위칭제어하는 제어수단 및, 상기 다수의 스위칭수단을 통해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화소보정함에 의해 화상구동신호로서 AMA장치로 출력하는 화소보정출력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AMA부재를 채용한 프로젝터에서 AMA부재의 제조상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에 대한 로딩출력이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대한 영상주사라인별로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하였다가 출력하는 다수의 라인메모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종래의 SRAM을 동작시키는 경우에 발생되는 어드레스에 의한 디지털노이즈가 저감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3a와 도 3b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2에 도시된 다수의 라인메모리가 화상보정데이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데이터처리상태를 나타낸 타이밍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동기분리부, 22:어드레스발생부,
24:보정데이터메모리, 26:동기카운터,
28:제어부, 30:ADC,
32:화소보정부, 34:DAC,
36:AMA장치, L1∼Ln:라인메모리,
S1∼Sn:스위치소자.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즉,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20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를 나타내고, 22는 상기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에 의해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4는 AMA장치(36)를 구성하는 AMA부재상의 제조상 오차를 보정하기 위환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되고서 상기 어드레스발생부(22)로부터의 어드레스에 따라 화상보정데이터를 독취하여 출력하는 예컨대 ROM으로 이루어진 보정데이터메모리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26은 상기 동기분리부(20)로부터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하여 카운팅출력을 발생하는 동기카운터를 나타내고, 28은 상기 카운팅출력에 동기되어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영상주사라인에 동기적으로 상기 화상보정데이터가 영상주사라인별로 일시 격납되도록 제어하는 기록인에이블신호(WE1∼WEn)를 발생하고, 그 영상주사라인별로 일시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로딩출력되도록 제어하는 스위칭제어신호(SC1∼SCn)를 발생하는 제어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L1∼Ln은 상기 제어부(28)로부터의 기록인에이블신호(WE1∼WEn)를 각각 인가받아 그 기록동작이 각각 인에이블되고서 기록클럭(W CLK)에 동기도히는 기록속도로 상기 보정데이터메모리(24)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영상주사라인별로 각각 일시 격납하는 제 1∼제 n라인메모리를 나타내고, S1∼Sn은 상기 제어부(28)로부터의 스위칭제어신호(SC1∼SCn)를 각각 인가받고서 상기 제 1∼제 n라인메모리(L1∼Ln)로부터의 영상주사라인별로 일시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를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을 행하는 제 1∼제 n스위치소자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제 1∼제 n라인메모리(L1∼Ln)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1영상주사라인별로 각각 지연되어 발생되는 기록인에이블신호(WE1∼WEn)를 각각 인가받고서 상기 보정데이터메모리(24)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각각 1영상주사라인별로 할당되어 저장되도록 한다.
또, 상기 제 1∼제 n스위치소자(S1∼Sn)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동기카운터(26)로부터의 동기신호의 카운팅출력(C-SYNC)에 의거하여 1영상주사라인별로 지연되어 발생되는 스위칭제어신호(SC1∼SCn)에 의해 스위칭되어 상기 제 1∼제 n라인메모리(L1∼Ln)로부터의 1영상주사라인별로 일시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와 정합되도록 로딩출력시키게 된다.
또한, 참조부호 30은 입력되는 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변환하는 ADC를 나타내고, 32는 상기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와 상기 제 1∼제 n스위치소자(S1∼Sn)를 통한 상기 제 1∼제 n라인메모리(L1∼Ln)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1영상주사라인별로 화소정합하여 화소를 보정함에 의해 화상구동데이터로서 출력하는 화소보정부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34는 상기 화소보정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상기 AMA장치(36)에 화상구동신호로서 출력하는 DAC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동작에 대해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전원이 온된 상태에서 동기분리부(20)는 입력되는 영상신호에서 수평/수직동기신호를 분리하게 되고, 어드레스발생부(22)는 상기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에 의한 어드레스를 발생하게 되는 한편, 보정데이터메모리(24)는 상기 발생되는 어드레스에 의해 화상보정데이터가 독취되어 출력된다.
이 때, 제어부(28)는 동기카운터(26)에 의해 수평/수직동기신호가 카운팅된 카운팅출력(C-SYNC)을 인가받아 동기되고서 상기 보정데이터메모리(24)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1영상주사라인별로 일시 격납되도록 제어하는 기록인에이블신호(WE1∼WEn)를 발생하게 되고, 제 1∼제 n라인메모리(L1∼Ln)에서는 상기 기록인에이블신호(WE1∼WEn)를 각각 인가받아 그 기록동작이 인에이블되고서 기록클럭(W CLK)에 동기되는 기록속도로 상기 화상보정데이터메모리(24)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1영상주사라인별로 일시 격납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제어부(28)에서는 상기 제 1∼제 n라인메모리(L1∼Ln)에 일시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되도록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칭제어신호(SC1∼SCn)를 발생하게 되고, 제 1∼제 n스위치소자(S1∼Sn)는 상기 스위칭제어신호(SC1∼SCn)를 인가받고서 상기 제 1∼제 n라인메모리(L1∼Ln)에 일시 격납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1영상주사라인별로 로딩출력되도록 스위칭된다.
그 결과로, 화소보정부(32)는 ADC(30)를 통해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제 1∼제 n스위치소자(S1∼Sn)를 통한 제 1∼제 n라인메모리(L1∼Ln)로부터의 1영상주사라인당의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정합시킴에 의해 화소를 보정하여 출력하게 되고, DAC(34)는 상기 화소보정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할여 화상구동신호로서 AMA장치(36)에 출력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AMA부재를 채용한 프로젝터에서 다수의 라인메모리를 통해 영상주사라인별로 화상보정데이터가 일시 격납되어 로딩출력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종래의 SRAM를 사용한 상태에서 발생되는 어드레스에 의한 디지털노이즈가 크게 감소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2)

  1. 입력되는 영상신호로부터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에 의한 어드레스를 발생하는 어드레스발생수단(22)과,
    상기 어드레스발생수단(22)으로부터의 어드레스에 의해 저장된 화상보정데이터를 출력하는 보정데이터메모리수단(24),
    상기 보정데이터메모리수단(24)으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되는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저장하였다가 출력하는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을 통한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화상보정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한 스위칭을 행하는 다수의 스위칭수단(S1∼Sn),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를 카운팅한 카운팅출력에 동기적으로 상기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에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에 동기되는 소정 영상데이터단위별로 저장되도록 기록인에이블제어(WE)를 행함과 더불어, 그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으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영상신호에 동기적으로 출력되도록 상기 다수의 스위칭수단(S1∼Sn)을 스위칭제어하는 제어수단(28) 및,
    상기 다수의 스위칭수단(S1∼Sn)을 통해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화소보정함에 의해 화상구동신호로서 AMA장치(36)로 출력하는 화소보정출력수단(30,32,34)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영상메모리수단(L1∼Ln)은 상기 입력되는 영상신호의 영상주사라인에 동기되는 1영상주사라인별로 화상보정데이터를 저장하는 라인메모리(Line Memory)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KR1019960074166A 1996-12-27 1996-12-27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KR10020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166A KR100203586B1 (ko) 1996-12-27 1996-12-27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4166A KR100203586B1 (ko) 1996-12-27 1996-12-27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61A KR19980054961A (ko) 1998-09-25
KR100203586B1 true KR100203586B1 (ko) 1999-06-15

Family

ID=194915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4166A KR100203586B1 (ko) 1996-12-27 1996-12-27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358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4961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557362B1 (en) Improvements relating to spatial light modulators
US861472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creasing compensation sequence storage density in a projection visual display system
KR100203586B1 (ko)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JPH07240891A (ja) 空間光変調器を用いた表示装置のためのディジタル・メモリ
KR0174918B1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픽셀 보정 데이타 로딩 장치
KR100227105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KR100239071B1 (ko) 와이드화면 프로젝터의 4:3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KR0145914B1 (ko) 화상표시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KR100200134B1 (ko) 프로젝터의 아날로그방식에 의한 화소보정장치
KR100239074B1 (ko)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KR10018820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프레임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방법
KR0145910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 제어회로
KR100203582B1 (ko) 플라이백펄스 생성회로를 갖춘 프로젝터
KR0135598Y1 (ko) 화소 보정 장치의 보정 데이타 저장 장치
KR100203587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장치
KR100210775B1 (ko)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JP200608513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及び画像出力装置
KR10018820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용 화상보정데이터 생성제어장치
KR10019294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변환장치
KR100203589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데이터 저장방법과 어드레스생성제어장치
KR0150535B1 (ko) 화상표시 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KR100203584B1 (ko) 프로젝터의 영상데이터처리장치
KR0134329B1 (ko)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KR100188205B1 (ko) 비대칭화면보정에 따른 손실치 제어장치
KR10019294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순차주사변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