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39074B1 -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39074B1
KR100239074B1 KR1019960052909A KR19960052909A KR100239074B1 KR 100239074 B1 KR100239074 B1 KR 100239074B1 KR 1019960052909 A KR1019960052909 A KR 1019960052909A KR 19960052909 A KR19960052909 A KR 19960052909A KR 100239074 B1 KR100239074 B1 KR 100239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rrection
pixel
gamma correctio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753A (ko
Inventor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52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9074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7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75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9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90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79Video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9/3182Colour adjustment, e.g. white balance, shading or gamut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12Analogue/digital conver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00Analogue/digital conversion; Digital/analogue conversion
    • H03M1/66Digital/analogue conver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04N5/08Separation of synchronising signals from pictur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8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 H04N9/69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controlling the amplitude of colour signals, e.g. automatic chroma control circuits for modifying the colour signals by gamma cor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G/B신호에 대한 감마보정에 따른 아날로그신호와 픽셀보정에 따른 아날로그신호를 원래의 R/G/B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함으로써 감마보정과 픽셀보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보정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보정손실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입사광을 광변조하는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화소구동을 위한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AMA패널(30)과, 상기 화상신호와 그 AMA패널(30)에 대한 화상구동신호를 정합하여 그 AMA패널(30)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를 행/열구동하기 위한 행/열구동수단(26,28)을 갖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감마보정부(40)와, 상기 감마보정시 소요되는 시간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수단(60), 상기 AMA패널(30)의 화소구동소자에 대하여 픽셀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픽셀보정신호를 출력하는 픽셀보정부(50) 및, 상기 감마보정신호와 상기 픽셀보정신호를 상기 화상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여 화소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신호합성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IMAGE CORRECTION APPARATUS OF PROJECTOR}
본 발명은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소에 대응하는 다수의 AMA(Actuated Mirror Array)부재를 구비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서 그 AMA부재를 구동하는 화소구동소자에 대해 감마(Gamma)보정과 픽셀(Pixel)보정을 아날로그(Analog) 방식으로 동시에 처리하여 그 감마보정과 픽셀보정에서의 보정손실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미합중국 Aura사에 의해 제안된 AMA부재 또는 장치를 채용한 소위 프로젝터(Projetor)라고 불리우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가 제안되어 실용화를 위한 개발이 진행되는 도중인 바, 그 AMA장치는 예컨대 640×480치수의 화면에 구비되는 다수의 화소의 구동을 위해 그 화소의 수에 대응하는 예컨대, MOS트랜지스터로 구성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액티브 매트릭스기판과, 그 액티브매트릭스기판상에 각 화소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각 화소구동소자로부터 제공되는 화상신호전압에 따라 경사변형되어 입사광의 변소(즉, 광로조절)을 행하는 액츄에이터를 갖추어 구성된다.
그러한 AMA장치를 사용하는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따르면, 그 AMA장치는 액티브 매트릭스기관(즉, AMA패널)과 그 AMA패널상에 형성되어 입사광을 반사시키는 화소 수에 대응하는 다수의 액츄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그 AMA패널의 내부에는 예컨대, 640×480의 화면을 가정하는 경우 그 화면을 구성하는 전체 화소의 수에 대응하여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가 갖추어지게 된다. 따라서, 그러한 AMA패널내에 갖추어진 화소구동소자를 화상신호전압에 대응하여 각 화소구동소자에 대응하는 액츄에이터를 경사변형시켜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각 화소에 해당하는 화상신호전압을 기초로 매트릭스 어레이형태의 화소구동소자를 제어하기 위해 AMA패널의 행/열방향에서 기수화소와 우수화소를 구동하는 화소구동소자의 구동을 위해 행/열구동회로부가 제공된다.
그에 더하여, 상기 행/열구동회로부에 의해 AMA패널에 설정된 화소구동소자를 구동하는 경우 그 AMA패널상에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의 제조시에 수반되는 평탄도에 대한 허용오차 또는 평탄도의 불균일성에 의한 화소구동의 불균일성을 배제하기 위해 미리 해당 AMA패널상에 형성된 액츄에이터의 전체적인 평탄도를 포함하는 제조시의 원초적인 오차에 대한 보정데이터의 산출되어 그 AMA패널의 구동시 화상신호전압에 가산(또는 감산)되는 형태의 상기 행/열구동회로부에 제동되어 AMA패널의 제조시의 원초적인 오차에 대한 보정(즉, 픽셀보정)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픽셀보정을 행함에 앞서 R/G/B신호를 재생출력하기 위한 신호전류에 비례하여 해당 R/G/B신호의 밝기가 결정되는 것이 이상적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신호전류에 대해 이상적인 신호밝기가 출력되지 않기 때문에 해당 신호전류에 비례하는 이상적인 신호밝기가 출력되도록 하기 위하여 R/G/B신호에 대한 보정(즉, 감마보정)도 행해지게 된다.
첨부되어진 도 1을 참조하여 종래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를 설명한다.
동 도면에서 참조번호 10은 해당 투사형 화상표시장치를 구성하는 AMA패널(30)에 의해 광변조를 행하여 재생되어질 화상신호(R/G/B신호)가 R/G/B디코딩되어 인가되는 경우 그 R/G/B컬러신호를 디지탈데이터로 변환하는 ADC(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이고, 12는 상기 화상신호(R/G/B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 및 컬러서브캐리어(fsc;대략 3.58 MHz)를 분리하는 동기분리/PLL회로부이며, 14는 상기 동기분리/PLL회로부(12)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CLK; 4fsc)(fsc는 컬러서브캐리어주파수)를 조합하여 어드레스신호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이다.
여기서,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는 수직동기신호(Vsync)와 수평동기신호(Hsync)에 동기를 맞추어 클럭신호(CLK)를 분주하여 화소구동을 위한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되는 바, 예컨대 640×480의 화면을 가정하는 경우 그 화면의 전체 화소의 수는 307,200이고, 그 전체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어드레스는 20-218로 된다. 따라서,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에는 주지된 바와 같이 동기분리/PLL회로부(12)에서 분리된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직동기신호(Vsync)를 조합하여 그 조합된 결과에 동기적으로 클럭신호(CLK)를 분주하여 화소구동을 위한 어드레스를 생성하게 된다.
한편, 도 1에서 참조번호 16은 AMA패널(30)을 구성하는 화소구동소자에 대응적으로 제공된 각 액츄에이터의 평탄도에 대한 오차보정치가 저장된 예컨대,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ROM)에 의해 구성된 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인 바, 상기 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16)에 저장된 픽셀보정데이터는 AMA패널(30)에서 미리 측정된 제조시의 평탄도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를 산출해서 ROM테이블화하여 작성되고,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픽셀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또, 참조번호 18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화소단위의 픽셀보정데이터가 상기 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16)로부터 독취되는 경우 그 독취된 픽셀보정데이터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반응하여 일시적으로 저장된 다음 재출력되도록 하는 예컨대, SRAM으로 구성된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20은 예컨대, ROM이 내장되어 상기 ADC(10)로부터 출력된 R/G/B데이터에 대한 감마보정치를 저장하고 있음과 더불어 그 감마보정치를 근거로 상기 R/G/B데이터에 대한 감마보정을 수행하는 감마보정회로이고, 22는 상기 감마보정회로(20)에서 감마보정되어 출력된 R/G/B데이터와 그 R/G/B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18)를 통해 제공되는 픽셀보정데이터를 화소정합방식으로 대응시켜 각 화소에 대해 상기 픽셀보정데이터를 적용하여 보정된 화소구동데이터를 출력하는 픽셀보정회로이다.
또한, 참조번호 24는 상기 픽셀보정회로(22)에서 출력되는 화상구동데이터를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의 제어하에 디지탈-아날로그변환하는 DAC(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이고, 26은 AMA패널(30)에 대해 상기 DAC(24)에서 아날로그변환된 화소구동데이터에 기초하여 그 AMA패널(30)에 구비된 화소단위의 액츄에이터를 구동하기 위한 행구동회로부이며, 28은 그 AMA패널(30)에 대해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에서 제공되는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상기 행구동회로부(26)와 화소정합방식으로 그 AMA패널(30)의 화소구동소자를 지정하여 대응하는 액츄에이터를 경사구동하기 위한 열구동회로부이다.
따라서, 그와 같은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처리방식에서는 재생대상의 화상신호(Vin)가 동기분리/PLL회로부(12)에 의해 동기분리되어 얻어지는 클럭신호(CLK; 4fsc)에 의해 상기 데이터변환부(10)에서 디지탈데이터로 변환되어 감마보정회로부(20)에 인가되고, 그 상태에서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에서는 전체 화소의 보정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어드레스와 제어신호(기록(RE),독출(WE), 칩인에이블(CE) 등)를 생성하여 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16)로부터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18)로 픽셀보정데이터가 독출되게 한 다음 상기 픽셀보정회로(22)를 통해 감마보정된 상태에서 픽셀보정된 화소구동데이터가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16)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에서 순차적으로 제공되는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위치의 화소단위의 픽셀보정데이터를 상기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18)로 전송로딩시키게 되고, 상기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18)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에서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픽셀보정데이터를 일시저장한 다음 순차적으로 픽셀보정회로(22)에 인가한다.
한편, 상기 감마보정회로(20)에서는 상기 ADC(10)로부터 인가된 R/G/B데이터의 신호크기에 비례하는 신호밝기를 얻을 수 있도록 내장된 감마보정치에 기초하여 해당 R/G/B데이터에 대하여 감마보정처리를 수행한 다음 그 감마보정된 R/G/B데이터를 상기 픽셀보정회로(22)로 인가함에 따라 상기 픽셀보정회로(22)는 감마보정된 R/G/B데이터에 대해 상기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18)에서 제공되는 픽셀보정데이터를 화소단위로 정합시켜 보정된 화소구동데이터를 DAC(24)로 인가하게 되고, 그 DAC(24)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의 제어하에 상기 클럭신호(CLK)에 의해 제어되어 그 화소구동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한 다음 상기 행구동회로부(26)에 제공하게 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열구동회로부(28)에서는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14)로부터 인가되는 화소구동을 위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열방향의 화소구동소자를 지정하게 되고, 그 지정되는 화소구동소자가 상기 행구동회로부(26)에서 인가되는 화소구동데이터에 반응하여 액츄에이터를 경사구동시켜 그 AMA패널(30)에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킨 다음 투사렌즈(도시 생략)을 통해 스크린상에 투사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그런데, 도 1에 도시된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에 따르면, 상기 ADC(10)에서 디지탈변환되어진 R/G/B데이터가 상기 감마보정회로(20)로 인가되어 감마보정된 다음 상기 감마보정회로(20)의 후단에 접속된 픽셀보정회로(22)로 인가되어 픽셀보정되도록 되어 있는 바, 상기 픽셀보정회로(22)에서 픽셀보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감마보정된 R/G/B데이터에 대하여 디지탈적 수치에 대한 연산처리를 통해 픽셀보정을 수행하기 때문에 전단에 행해졌던 감마보정이 후단에서 행해지는 픽셀보정에 영향을 받아 보정손실을 갖게 됨으로써 상기 AMA패널(30)을 통해 고화질의 영상을 제공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되어진 것으로, R/G/B신호에 대한 감마보정에 따른 아날로그신호와 픽셀보정에 따른 아날로그신호를 원래의 R/G/B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함으로써 감마보정과 픽셀보정을 동시에 수행하여 보정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보정손실을 개선할 수 있도록 된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입사광을 광변조하는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화소구동을 위한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AMA패널과, 상기 화상신호와 그 AMA패널에 대한 화상구동신호를 정합하여 그 AMA패널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를 행/열구동하기 위한 행/열구동수단을 갖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감마보정부와, 상기 감마보정시 소요되는 시간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수단, 상기 AMA패널의 화소구동소자에 대하여 픽셀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픽셀보정신호를 출력하는 픽셀보정부 및, 상기 감마보정신호와 상기 픽셀보정신호를 상기 화상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여 화소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신호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입사광을 광변조하는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화소구동을 위한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AMA패널과, 상기 화상신호와 그 AMA패널에 대한 화상구동신호를 정합하여 그 AMA패널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를 행/열구동하기 위한 행/열구동수단을 갖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감마보정부와, 상기 AMA패널의 화소구동소자에 대하여 픽셀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픽셀보정신호를 출력하는 픽셀보정부 및, 상기 감마보정신호와 상기 픽셀보정신호를 상기 화상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는 신호합성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마보정부는 상기 화상신호의 R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R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감마보정회로와, G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G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감마보정회로 및, B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B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제 3 감마보정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된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R/G/B신호에 대한 감마보정에 따른 아날로그신호와 픽셀보정에 따른 아날로그신호를 원래의 R/G/B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시킴으로써 감마보정과 픽셀보정이 동시에 이상적으로 수행되어 보정상호간의 간섭에 의한 보정손실이 개선됨에 따라 AMA패널에서 반사된 다음 투사렌즈를 통해 투사되어 스크린상으로 재생출력되는 영상신호의 상태를 보완하게 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프로젝터에서의 화상표시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의 블럭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감마보정회로(48a)의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42: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ADC), 12:동기분리/PLL회로부,
14,52: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 16,54: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
18,56: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 20,44:감마보정회로,
22:픽셀보정회로, 24,46,58:디지탈/아날로그변환기(DAC),
26:행구동회로부, 28:열구동회로부,
30:AMA패널, 40:감마보정부,
48a,48b,48c:제 1,2,3 감마보정회로,50:픽셀보정부,
60:지연부, 62a,62b,62c:버퍼,
64a,64b,64c:지연단, 49a,49b,49c,66a,66b,66c:신호합성회로,
A1∼A8:증폭기, C1∼C8:감산기.
이하, 첨부되어진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의 블럭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동 도면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는 화상신호(R/G/B)에 대해 감마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감마보정부(40)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52)로부터의 어드레스신호와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AMA패널(30)의 화소에 대한 픽셀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픽셀보정부(50), 상기 감마보정부(40)에서 발생되는 지연시간을 보상하기 위하여 원래의 영상신호(R/G/B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키기 위한 지연부(60) 및, 상기 감마보정부(40)와 상기 픽셀보정부(50)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지연부(60)로부터 출력된 원래의 R/G/B신호와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기 위한 신호합성회로(6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감마보정부(40)는 상기 R/G/B신호를 디지탈변환하기 위한 ADC(42)와, 내장된 ROM에 저장된 감마보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ADC(42)에서 디지탈변환되어 출력되는 R/G/B데이터에 대한 감마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감마보정회로(44) 및, 상기 감마보정회로(44)에서 감마보정된 상태로 출력되는 R/G/B데이터에 대한 감마보정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감마보정신호를 생성하는 DAC(46)로 구성된다.
그리고, 픽셀보정부(50)는 상술되어진 도 1에서와 동일기능을 수행하는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52)와, 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54),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56) 및, 상기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56)로부터 출력되는 픽셀보정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픽셀보정신호를 생성하는 DAC(58)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지연부(60)는 상기 R/G/B신호를 각각에 대하여 일시적으로 저장시켰다가 해당 R/G/B신호를 후단에 접속되어 입력된 해당 R/G/B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켰다가 출력하는 지연단(64a,64b,64c)으로 인가하는 R신호에 대한 버퍼(62a), G신호에 대한 버퍼(62b), B신호에 대한 버퍼(62c)로 구성되고, 상기 신호합성기(66)는 상기 감마보정부(40)의 DAC(46)로부터 출력된 R/G/B신호에 대한 아날로그성분의 감마보정신호와 상기 픽셀보정부(50)의 DAC(58)로부터 출력된 각 화소에 대한 아날로그성분의 픽셀보정신호를 상기 지연단(64a, 64b, 64c)으로부터 출력된 R/G/B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여 R/G/B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됨과 동시에 픽셀보정되어진 화소구동신호로서의 R′/G′/B′신호를 출력하는 R신호에 대한 신호합성회로(66a)와, G신호에 대한 신호합성기(66b), B신호에 대한 신호합성회로(66c)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에서는 R/G/B신호가 상기 ADC(42)로 인가되어 디지탈변환처리된 다음 그 디지탈변환되어진 R/G/B데이터를 감마보정회로(40)로 인가되게 된다. 이어, 감마보정회로(40)에서는 해당 R/G/B데이터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한 다음 그 감마보정에 따른 감마보정데이터를 후단에 접속된 DAC(46)로 인가하며, 상기 DAC(46)에서는 해당 감마보정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그에 따른 감마보정신호를 후단에 접속된 신호합성회로(66a,66b,66C)로 인가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R/G/B신호는 지연부(60)의 버퍼(62a,62b,62c)로 인가되어 일시적으로 저장되었다가 순차적으로 지연단(64a,64b,64c)에 인가되며, 상기 지연단(64a,64b,64c)에서는 해당 R/G/B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킨 후에 신호합성회로(66a,66b,66c)로 인가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52)에서는 전체 화소의 보정데이터를 독취하기 위한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54)로부터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56)로 픽셀보정데이터가 로딩되게 한 다음 해당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56)가 DAC(58)로 출력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이어, 상기 DAC(58)에서는 해당 픽셀보정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그에 따른 픽셀보정신호를 신호합성회로(66a,66b,66c)로 인가한다.
이와 같은 과정으로 상기 신호합성회로(66a,66b,66c)로 인가되어진 감마보정신호와 픽셀보정신호는 상기 지연부(60)로부터 출력된 R/G/B신호와 아날로그적으로 합성되며, 그 신호합성의 결과 해당 R/G/B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됨과 동시에 픽셀보정된 상태의 화소구동신호로서의 R′/G′/B′가 행구동회로부(도 1참조;26)로 출력되어지는 바, 각각의 신호합성회로(66a,66b,66c)는 상기 감마보정신호와 픽셀보정회로 및 R/G/B신호를 각각 아날로그적으로 합성하기 때문에 상기 R/G/B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된 상태와 R/G/B의 3판에 해당하는 AMA패널의 각 화소구동소자에 대하여 픽셀보정된 상태가 서로 상호간섭없이 작용하므로, 상기 신호합성회로(66a,66b,66c)를 통해서는 상기 감마보정과 픽셀보정 상호간의 보정손실이 개선된 상태의 R′/G′/B′신호(화소구동신호)가 행구동회로부(26)에 제공되어 진다.
그 상태에서 열구동부(도 1참조;28)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
(52)로부터 인가되는 화소구동을 위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열방향의 화소구동소자를 지정하게 되고, 그 지정되는 화소구동소자가 상기 행구동회로부(26)에서 인가되는 화소구동신호에 반응하여 액츄에이터를 경사구동시켜 상기 AMA패널(30)에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킨 다음 투사렌즈를 통해 스크린상에 투사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이어, 첨부되어진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는 R신호에 대한 감마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 1 감마보정회로(48a)와, G신호에 대한 감마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 2 감마보정회로(48b) 및, B신호에 대한 감마보정을 수행하기 위한 제 3 감마보정회로(48c)로 구성된 감마보정부(48)와, 상술되어진 도 2에서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픽셀보정부(50) 및, 상기 제 1,2,3 감마보정회로(48a,48b,48c)로부터 출력된 감마보정신호와 상기 픽셀보정부(50)로부터 출력된 픽셀보정신호를 원래의 R/G/B신호와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여 화소구동신호로서의 R′/G′/B′신호를 출력하는 신호합성기(66a,66b,6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 1 감마보정회로(48a)와, 상기 제 2 감마보정회로(48b) 및, 상기 제 3 감마보정회로(48c)는 서로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첨부되어진 도 4를 참조하여 상기 제 1 감마보정회로(48a)의 구성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으로써 상기 제 2 감마보정회로(48b)와 상기 제 3 감마보정회로(48c)의 구성예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감마보정회로(48a)는 0VPP∼1VPP미만까지를 일정한 전압차를 갖도록 기준전압이 설정되어진 다수개의 감산기와, 상기 감산기와 대응적으로 설치되어 상기 감산기에 설정된 기준전압과 R신호에 대한 신호전압을 비교하여 그에 따른 전압차에 대한 전압신호를 소정의 증폭도로 증폭하여 후단에 접속된 신호합성회로(49a)로 인가하는 증폭기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 1 감마보정회로(48a)에서는 상기 0VPP∼1VPP미만을 8간격으로 세분화하여 그 기준전압이 0.125VPP간격으로 즉 0VPP,0.125VPP,0.25VPP,0.375VPP,0.5VPP,0.625VPP,0.75VPP,0.875VPP으로 설정된 8개의 감산기(C1∼C8)로 구성되며, 그 감산기(C1∼C8)의 비반전(+)단자로는 R신호에 대한 신호전압이 인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R신호전압의 크기에 따라 상기 감산기(C1∼C8)에서는 차등적인 전압이 출력되어지는 바, 여기서 상기 R신호전압이 예컨대, 0.45VPP이면 상기 감산기(C1)으로부터는 +0.45VPP, 상기 감산기(C2)로부터는 +0.325VPP, 상기 감산기(C3)로부터는 +0.2VPP와 같은 전압이 출력되는 것과 같이 설명되지 않은 상기 감산기(C4,C5,C6,C7,C8)에서도 각 감산기의 반전단자(-)와 비반전단자(+)간의 전압차에 해당하는 전압이 출력되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증폭기(A1∼A8)는 상기 R신호의 감마보정을 하기 위한 소정의 증폭도를 갖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감산기(C1∼C8)로부터 출력된 신호전압은 각각 후단에 접속된 증폭기(A1∼A8)로 인가되어지는데, 상기 증폭기(A1∼A8)에서는 해당 신호전압의 소정의 증폭도로 증폭하여 상기 신호합성회로(49a)로 인가한다.
이때, 상기 신호합성회로(49a)는 각각의 증폭기(A1∼A8)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성분의 신호전압들을 합성하여 그 합성결과치를 근거로 R감마보정신호를 생성한 다음, 그 R감마보정신호를 후단에 접속된 신호합성기(66a)로 인가하고, 상기 신호합성기(66a)에서는 상기 R감마보정신호와 상기 DAC(58)로부터 출력된 픽셀보정신호를 원래의 R/G/B신호에 합성하여 감마보정됨과 동시에 픽셀보정된 상태의 화소구동신호로서의 R′를 출력하여 후단에 접속된 행구동회로부(도 1참조;26)로 해당 화소구동신호(R′)가 인가되도록 한다.
이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상기 제 2 감마보정회로(48b)로부터 출력된 G감마보정신호와 상기 제 3 감마보정회로(48c)로부터 출력된 B감마보정신호가 각각 신호합성회로(66b)와 신호합성회로(66c)로 인가됨에 따라, 각각의 신호합성회로(66a,66b,66c)는 상기 감마보정신호와 픽셀보정회로 및 R/G/B신호를 각각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여 그에 따른 화소보정신호로서의 R′/G′/B′신호를 상기 행구동회로부(26)로 제공한다.
이와 더불어, 열구동부(도 1참조;28)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52)로부터 인가되는 화소구동을 위한 어드레스에 기초하여 열방향의 화소구동소자를 지정하게 되고, 그 지정되는 화소구동소자가 상기 행구동회로부(26)에서 인가되는 화소구동신호에 반응하여 액츄에이터를 경사구동시켜 상기 AMA패널(30)에 입사되는 광을 반사시킨 다음 투사렌즈를 통해 스크린상에 투사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AMA패널(30)의 각 화소구동소자가 감마보정됨과 동시에 픽셀보정되도록 경사구동되어짐으로써 상기 AMA패널(30)로부터 반사되어 투사렌즈를 통해 스크린상에 투사되어진 영상신호가 고화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에 의하면, 원래의 R/G/B신호에 대한 감마보정과 AMA패널의 각 화소구동소자에 대한 픽셀보정이 별도로 수행되어 상기 감마보정에 따른 감마보정신호와 상기 픽셀보정에 따른 픽셀보정신호가 상기 R/G/B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되어 화소보정신호를 생성됨에 따라 상기 R/G/B신호에 대한 감마보정과 픽셀보정간의 상호간섭으로 인한 보정손실을 개선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AMA패널의 각 화소구동소자가 해당 화소보정신호에 기초하여 경사구동됨으로써 상기 AMA패널을 통해 반사되어 투사렌즈를 통해 스크린상에 투사되어지는 영상신호가 고화질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Claims (8)

  1.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입사광을 광변조하는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화소구동을 위한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AMA패널(30)과, 상기 화상신호와 그 AMA패널(30)에 대한 화상구동신호를 정합하여 그 AMA패널(30)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를 행/열구동하기 위한 행/열구동수단(26,28)을 갖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에 대하여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감마보정부(40)와,
    상기 감마보정시 소요되는 시간차를 보상하기 위하여 상기 화상신호를 소정 시간동안 지연시키는 지연수단(60),
    상기 AMA패널(30)의 화소구동소자에 대하여 픽셀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픽셀보정신호를 출력하는 픽셀보정부(50) 및,
    상기 감마보정신호와 상기 픽셀보정신호를 상기 화상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여 화소구동신호를 생성하는 신호합성부(6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마보정부(40)는 상기 화상신호를 디지탈변환하기 위한 ADC(42)와, 내장된 ROM에 기저장된 각 신호크기에 따른 감마보정치에 기초하여 상기 ADC(42)로부터 출력된 화상데이터에 대한 감마보정을 수행하는 감마보정회로(44) 및, 상기 감마보정회로(44)에서 감마보정된 감마보정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감마보정신호를 생성하는 DAC(46)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픽셀보정부(50)은 동기분리수단에 의해 분리된 동기신호를 기초로 상기 데이터변환 및 화상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동기분리수단에서 분리된 동기신호중 수직동기신호의소정주기 동안에는 화상보정데이터의 로딩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생성하고 그 수직동기신호의 소정주기의 경과후에는 화소보정데이터의 출력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52)와, 상기 AMA패널의 원초적 에러에 대한 픽셀보정데이터가 저장된 픽셀보정데이터저장부(54),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생성부(52)의 제어하에 상기 픽셀보정데이터를 로딩하여 출력하는 픽셀보정데이터격납부(56) 및, 상기 픽셀보정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픽셀보정신호를 생성하는 DAC(58)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연부(60)는 화상신호(R/G/B신호)가 일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62a,62b,62c)와, 상기 버퍼(62a,62b,62c)로부터 순차적으로 인가되는 상기 화상신호를 소정시간동안 지연시켰다가 출력하는 지연수단(64a,64b,64c)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5.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입사광을 광변조하는 방식으로 재생하기 위한 다수의 화소구동을 위한 화소구동소자가 매트릭스 어레이형태로 배열된 AMA패널(30)과, 상기 화상신호와 그 AMA패널(30)에 대한 화상구동신호를 정합하여 그 AMA패널(30)에 구비된 다수의 화소구동소자를 행/열구동하기 위한 행/열구동수단(26,28)을 갖춘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방식으로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감마보정부(48)와,
    상기 AMA패널(30)의 화소구동소자에 대하여 픽셀보정을 수행하여 소정의 픽셀보정신호를 출력하는 픽셀보정부(50) 및,
    상기 감마보정신호와 상기 픽셀보정신호를 상기 화상신호에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는 신호합성부(66a,66b,66c)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감마보정부(48)는 상기 화상신호의 R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방식으로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R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제 1 감마보정회로(48a)와, G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방식으로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G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제 2 감마보정회로(48b) 및, B신호에 대하여 아날로그방식으로 감마보정을 수행하여 그에 따른 B감마보정신호를 출력하는 제 3 감마보정회로(48c)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마보정회로(48a)는 기준전압과 상기 화상시호의 R신호전압을 비교하여 그 비교결과에 따른 전압신호를 출력하는 다수의 감산기(C1∼C8)와, 상기 감산기(C1∼C8)와 대응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감산기(C1∼C8)로부터 출력된 전압신호를 증폭시키는 증폭기(A1∼A8) 및, 상기 증폭기(A1∼A8)로부터 출력된 전압신호를 아날로그 방식으로 합성하여 R감마보정신호를 생성하는 신호합성기(49a)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감산기(C1∼C8)간의 기준전압은 일정한 전압차를 갖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8. 제 5 항 내지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감마회로(48a)와 제 2 감마회로
    (48b) 및 제 3 감마회로(48c)는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KR1019960052909A 1996-11-08 1996-11-08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KR100239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909A KR100239074B1 (ko) 1996-11-08 1996-11-08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909A KR100239074B1 (ko) 1996-11-08 1996-11-08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753A KR19980034753A (ko) 1998-08-05
KR100239074B1 true KR100239074B1 (ko) 2000-01-15

Family

ID=194812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909A KR100239074B1 (ko) 1996-11-08 1996-11-08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907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8594B1 (ko) * 2000-12-30 2005-07-01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753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9074B1 (ko) 프로젝터에서의 화상보정장치
CA2204853A1 (en) Pixel data correction apparatus for use with an actuated mirror array
KR100203582B1 (ko) 플라이백펄스 생성회로를 갖춘 프로젝터
KR100200134B1 (ko) 프로젝터의 아날로그방식에 의한 화소보정장치
JP2819980B2 (ja) Ccdカメラ信号処理回路テスト用の信号発生器
KR10018820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용 화상보정데이터 생성제어장치
JP3451583B2 (ja) 液晶表示装置のクランプ回路
KR0145910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의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 제어회로
KR100203586B1 (ko)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JPH05259909A (ja) 自動オフセット電圧補正方法
KR0174918B1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픽셀 보정 데이타 로딩 장치
JPH0918790A (ja) カメラ装置
KR10018820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프레임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출력방법
KR0145914B1 (ko) 화상표시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KR100227105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KR100239071B1 (ko) 와이드화면 프로젝터의 4:3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KR100203587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장치
JPH05119733A (ja) 液晶表示装置
KR100203584B1 (ko) 프로젝터의 영상데이터처리장치
JPH06296234A (ja) 画像読取装置
US200201261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rrecting non-uniformity in digital images created on a raster scan film recorder
JP200608513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及び画像出力装置
KR0150535B1 (ko) 화상표시 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JPH1070687A (ja) 固体撮像素子の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
KR100203589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데이터 저장방법과 어드레스생성제어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00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