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4329B1 -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4329B1
KR0134329B1 KR1019930024071A KR930024071A KR0134329B1 KR 0134329 B1 KR0134329 B1 KR 0134329B1 KR 1019930024071 A KR1019930024071 A KR 1019930024071A KR 930024071 A KR930024071 A KR 930024071A KR 0134329 B1 KR0134329 B1 KR 01343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constant
correction
lumin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40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6300A (ko
Inventor
김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300240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4329B1/ko
Publication of KR95001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63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43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43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4Projection arrangements for image reproduction, e.g. using eidoph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신호 분리부(5)에서 영상신호로부터 휘도 신호 동기 신호를 분리시킨 후 신호 출력부(13)에서 휘도 신호를 보정하도록 하여 수직 구동부(14)가 신호 출력부(13)에서 수직 구동신호를 추출하도록 하고 수평 구동부(15)가 신호 분리부(5)에서 수평 구동신호를 추출하도록 하여 그 두 수직 신호 및 수평 신호로 AMA(16)를 구동시키므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도면은 본 발명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휘도 및 동기 분리부 2 : 신호 발생 및 제어부
3 : A/D 컨버터 4 : 제 1 보정부
5 : 신호 분리부 6, 7 : 제1, 제2상수부
8 : 상수부 9 : 곱셈부
10 : 덧셈부 11 : 제 2 보정부
12 : 입력 및 출력부 13 : 신호 출력부
14 : 수직 구동부 15 : 수평 구동부
16 : AMA 17 : 표시 구동부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를 구동시키기에 적합한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상 표시 장치는 표시 방법에 따라 직시형 화상 표시 장치와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로 구분된다.
먼저, 직시형 화상 표시 장치로는 음극선관(cathode ray tube; CRT)등이 있는데, 이러한 음극선관은 화질이 좋으나, 화면이 커짐에 따라 중량 및 두께의 증대와 원가가 비싸지는 결점이 있다.
다음,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로는 대화면 액정 디스플레이(active matrix liquid drystal display; AMLCD)등이 있는데, 이러한 대화면 액정 디스플레이는 박형화가 가능하여 중량을 작게 할 수는 있으나, 편광판에 의한 광 손실이 크고 액정 디스플레이를 구동하기 위한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가 각 화소마다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개구율(광이 투과면적)을 높이는데 한계가 있으므로 광의 효율이 매우 낮다.
따라서, 그 액정 디스플레이의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합중국 Aura사에 의해 광로 조절장치중의 하나인 AMA(acturated mirror arrays)를 이용한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가 개발되었다.
또한, AMA는 구동 방식에 따라 액츄에이터가 M×1의 매트릭스로 된 1차원 AMA와 액츄에이터가 M×N의 매트릭스로 된 2차원 AMA로 구분된다. 이때, M과 N은 임의의 정수이다.
그리고, 상기 AMA를 구성하는 각 액츄에이터는 압전 소자나 전왜 소자로 이루어져 그 압전 소자나 전왜소자에 전압이 인가될 경우, 전계가 발생하므로써 변형되어 상부에 장착된 거울을 기울어지게 하므로 그 각 거울에 반사되는 빛이 해당렌즈 등을 화면의 일정부분에 도달하게 되어 원하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AMA를 구동시키기 위한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투사형 화상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AMA(acturated mirror arrays)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휘도 신호 및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는 신호분리부와; 상기 신호 분리부에 접속되며, 상기 AMA를 구성하는 액츄에이터의 제작 특성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분리부로부터 제공되는 γ(감마) 보정된 휘도신호를 상기 상수부로부터 제공되는 상수값이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출력부로부터 제공되는 보정신호에 따라 상기 AMA의 수직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구동부 및 상기 신호 분리부로부터 제공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AMA의 수평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수평구동부로 이루어진 표시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며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블럭도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 및 동기 신호를 분리하는 휘도 및 동기 분리부(1), 신호 발생 및 제어부(2), A/D 컨버터(analog/digital converter)(3) 그리고, A/D 컨버터(3)의 출력신호를 감마(γ) 보정하는 제1보정부(258x8 PROM 룩업 테이블(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lookup table))(4)로 이루어진 신호 분리부(5)와 신호 분리부(5)에 접속되어 AMA를 구성하는 각각의 액츄에이터에 대한 제작시의 압전특성의 차이에 따른 동일신호에 대한 구동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상수를 저장하는 제1상수부(80K Byte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roy))(6) 및 각각의 액츄에이터의 제작시의 평면도, 즉, 초기 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상수값을 저장하는 제2상수부80K Byte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roy))(7)로 이루어진 상수부(8)와, 상수부(8)와 신호분리부(5) 사이에 접속되어 신호 분리부(5)의 출력신호 및 제1상수부를 출력하는 곱셈(multiplication)부(9), 곱셈부(9) 및 제2상수부(7)로부터 제공되는 상수값에 따라 초기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신호를 발생하는 덧셈(addition)부(10), 제2보정부(11) 그리고 입력 및 출력부(first in first out; FIFO)(12)로 된 신호출력부(13)와, 신호 출력부(13)와 신호 분리부(5)사이에 접속되어 화상을 표시하기 위해 각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키기 위한 수직 구동부(D/A(digital/analog)컨버터)(14) 및 수평 구동부(15)로 이루어진 표시 구동부(17)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을 보면, 먼저 신호 분리부(5)의 휘도 및 동기 분리부(1)는 각 재생기(player)(도면중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한 해당 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휘도 신호 및 동기 신호를 분리해 낸다.
다음, 신호 발생 및 제어부(2)는 휘도 및 동기 분리부(1)의 동기신호를 인가받아 화상 표시를 위한 각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A/D 컨버터(3)는 신호 발생 및 제어부(2)로부터 클락(clock) 신호(9.3MHz)를 인가받아 휘도 및 동기 분리부(10의 휘도 신호를 그 클락 신호에 의해 심플링(sampling)하여 디지탈 신호를 출력한다.
이어, 제1보정부(4)는 A/D 컨버터(3)로부터 8비트로 신호를 인가받아 AMA에 사용하기 위한 신호, 즉, 디지탈의 휘도신호를 γ 보정하여 출력하며, 상수부(8)의 제1, 제2상수부(6)(7)는 각각 컴퓨터(Computer) 또는 마이컴(micon)등에 의해 AMA의 각 액츄에이터의 압전특성에 따른 동일신호의 구동각도 및 초기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상수값을 곱셈부(9) 및 덧셈부(10)로 제공한다.
그리고, 신호 출력부(13)의 곱셈부(9)는 각각 8비트로 제공되는 제1보정부(4)의 신호와 제1상수부(6)의 신호를 곱셈하여 제1보정부94)로부터 제공되는 신호강도에 비례하여 압전특성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신호를 발생하여, 덧셈부(10)는 각가 8비트로 제공되는 곱셈부(9)와 제2상수부(7)의 신호를 덧셈하여 제작시의 액츄에이터의 초기 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신호를 발생한다.
다음, 제2보정부(11)는 덧셈부910)의 신호를 8비트로 인가받아 오버플로우(overflow)에 대해서 보정하여 신호를 출력하며, 입력 및 출력부(12)는 상기 신호 발생 및 제어부(2)의 리드(read)신호 또는 라이트(write)신호에 따라 제2보정부(11)의 신호를 8비트로 인가받아 선입선출 방식으로 출력한다.
이어, 표시 구동부(17)의 수직 구동부(14)는 입력 및 출력부(12)의 신호를 8비트로 인가받아 신호 발생 및 제어부(2)의 신호에 따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시켜서 수직 구동용 신호를 400채널(channel)로 출력하며, 수평 구동부(15)는 신호 발생 및 제어부(2)의 신호를 인가받아 수평 구동용 신호를 200채널로 출력한다.
따라서, AMA(16)는 수평구동부(15) 및 수직 구동부(14)의 신호를 인가받아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각 액츄에이터를 구동시킨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신호 분리부(5)에서 영상 신호로부터 휘도 신호 및 동기 신호를 분리시키도록 한 후 신호 출력부(13)에서 휘도 신호를 보정하도록 해서 수직 구동부914)가 신호출력부(13)에서 수직 신호를 추출하도록 하고, 수평 구동부(15)가 신호 분리부(5)에서 수평 신호를 추출하도록 하여 그두 수직 신호 및 수평 신호로 AMA(16)를 구동시킬 수 있다.

Claims (4)

  1. 투사형 화상 표시장치에 사용되는 AMA(actuated mirror array)를 구동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영상 신호를 인가받아 휘도 신호 및 동기 신호를 분리하여 각각 출력하는 신호 분리부(5)와; 상기 신호 분리부(5)에 접속되며, 상기 AMA를 구성하는 액츄에이터의 제작 특성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상수값을 저장 및 출력하는 상수부(8)와; 상기 상수부(8)와 신호 분리부(5)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분리부(5)로부터 제공되는 γ(감마) 보정된 휘도신호를 상기 상수부(8)로부터 제공되는 상수값과 연산하여 이 연산된 보정신호로써 출력한는 신호 출력부(13)와; 상기 신호 출력부(13)와 신호 분리부(5) 사이에 접속되어 상기 신호 출력부(13)로부터 제공되는 보정신호에 따라 상기 AMA의 수직 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수직 구동부(14) 및 상기 신호 분리부(5)로부터 제공되는 동기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에 의해 상기 AMA의 수평구동신호를 발생하는 수평구동부(15)로 이루어진 표시 구동부(17)를 포함아는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분리부(5)는, 영상 신호를 인가 받아 휘도 신호 및 동기 신호를 분리해 내는 휘도 및 동기 분리부91)와; 상기 휘도 및 동기 분리부(1)의 동기 신호를 인가받아 그 동기에 따라 각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 및 제어부(2)와; 상기 신호 발생 및 제어부(2)의 신호에 따라 휘도 및 동기 분리부(1)의 휘도 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탈 신호를 출력하는 A/D 컨버터(3)와; 상기 A/D 컨버터(3)의 신호를 인가받아 이를 γ(감마) 보정하는 제1보정부9)를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수부(8)는, 신호 분리부(5)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AMA를 구성하는 각각의 액츄에이터의 평면도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상수값을 저장하는 제1 저장부(6) 및 제작시의 액츄에이터의 평면도에 따른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상수값을 저장하는 제2상수부(7)로 이루어진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출력부(13)는 상기 신호 분리부(5)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1상수부(6)로부터 제공되는 상수값을 곱하여 상기 각각의 액츄에이터의 제작시 압전특성에 따른 동일신호에 대한 구동각도를 보정하기 위한 보정신호를 발생하는 곱셈부(9)와; 상기 곱셈부(9)의 출력신호와 상기 제2상수부(7)로부터 제공되는 상수값을 가산하여 상기 각각의 액츄에이터의 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신호를 발생하는 덧셈부(10)와; 상기 덧셈부(10)로부터 제공되는 보정신호에 따라 오버플로우에 대한 보정을 실행하는 제2보정부(11)와; 상기 신호 분리부(5)로부터 제공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제2보정부(11)의 신호를 입력 및 출력하는 입력 및 출력부(12)를 포함하는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장치.
KR1019930024071A 1993-11-12 1993-11-12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KR01343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071A KR0134329B1 (ko) 1993-11-12 1993-11-12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24071A KR0134329B1 (ko) 1993-11-12 1993-11-12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300A KR950016300A (ko) 1995-06-17
KR0134329B1 true KR0134329B1 (ko) 1998-04-23

Family

ID=19367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4071A KR0134329B1 (ko) 1993-11-12 1993-11-12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432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6300A (ko) 1995-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218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비대칭화면 보정위치제어 방법
KR0173704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비대칭화면 보정장치
US7696988B2 (en) Selective use of LCD overdrive for reducing motion artifacts in an LCD device
US7345663B2 (en) Pixel overdrive for an LCD panel with a very slow response (sticky) pixel
US20070097326A1 (en) Digital rear-projection display apapratus and method for adjusting a displayed image thereof
JP4228931B2 (ja) 液晶パネルの駆動装置及び駆動方法並びにこれを用いた液晶プロジェクタ
KR20020000940A (ko) 키스톤 보정 장치 및 방법
US20050225525A1 (en) LCD overdrive with data compression for reducing memory bandwidth
US7116320B2 (en) Display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projection-type display apparatus
CN111124330A (zh) 影像控制装置以及使用该装置之电视墙系统与输出影像至电视墙的控制方法
JP5924478B2 (ja) 画像処理装置、プロジェクターおよび画像処理方法
US5999227A (en) Special features for digital television
KR0134329B1 (ko) 투사형 화상 표시 구동 장치
US6719428B2 (en) Projector device and projector system having irregular color and irregular luminance correction circuit
JP2006106345A (ja) 映像表示装置
KR101267952B1 (ko) 공간 광 변조(slm)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의해 제공된 영상을 개선하는 방법 및 장치
JPH08102900A (ja) 液晶プロジェクタ装置
JP2000098981A (ja) 画像信号処理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光学装置並びに電子機器
KR100546639B1 (ko) 영상 왜곡 보정 장치
JP5057053B2 (ja) ガンマ切替装置および方法
KR0135598Y1 (ko) 화소 보정 장치의 보정 데이타 저장 장치
JP2008009299A (ja) 画像処理装置及びマルチプロジェクションシステム
KR970003460B1 (ko) 투사형 화상 표시 장치
US20230254459A1 (en) Image projection apparatus
JP2006085139A (ja) 画像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回路、及び画像出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1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