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0775B1 -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 Google Patents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0775B1
KR100210775B1 KR1019970016399A KR19970016399A KR100210775B1 KR 100210775 B1 KR100210775 B1 KR 100210775B1 KR 1019970016399 A KR1019970016399 A KR 1019970016399A KR 19970016399 A KR19970016399 A KR 19970016399A KR 100210775 B1 KR100210775 B1 KR 100210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mode
address
line address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6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8784A (ko
Inventor
유병철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163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1077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87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87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0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0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2Modifying the appearance of television pictures by optical filters or diffusing 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Transforming Electric Information Into Light Informa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4:3 또는 16:9모드의 순차주사 또는 비월주사방식을 갖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수단(22)과, 수평동기신호와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 및 수직주사신호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라인을 순차주사 또는 비월주사방식에 대응함과 더불어 4:3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는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 수평동기신호와 수평주사신호 및 클럭신호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칼럼을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고서,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대응하여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주사방식 또는 비월주사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보정데이터저장수단(28), 상기 보정데이터저장수단(28)으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하는 데이터격납수단(30) 및, 상기 4:3 또는 16:9모드의 순차주사 또는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격납수단(30)을 통한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화소보정처리하는 화소보정수단(32,34,36)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본 발명은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AMA부재의 화상구동을 통해 투사형 화상을 재현하는 프로젝터에서 다수의 AMA소자에 대한 제조상 오차의 보정을 위한 화상보정데이터가 16:9화면모드에 대응하여 로딩출력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화상표시시스템에는 CRT장치가 채용된 직시형 화상표시시스템과 LCD장치가 채용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으로 대별되는 바, 그 중에 직시형 화상표시시스템은 형광패널상에 R.G.B의 형광점이 다수개로 형성되어 있어서 전자비임을 그 R.G.B형광점에 집광함에 의해 컬러화상이 브라운관상에 형성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고화질이 보장되는 반면에 화면의 대형화에 제한을 받게 되고 제조공정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에 채용되는 LCD장치의 경우에는 액정의 균일한 배열로부터 화상신호에 대응하는 전압을 액정구동전압으로서 인가하여 편광판에 의해 액정의 배열방향을 조절함으로써 재생하고자 하는 화상이 표시되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비교적 경량박형화가 가능하지만 전체의 입사광에 대한 투광량을 조절하기 위한 편광판에 의한 광손실이 증대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AMA(Actuated Mirror Array)를 사용한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으로서의 프로젝터가 제안되어 컬러화상의 재현에 채용되고 있는 바, 그 AMA를 사용한 투사형 프로젝터에서는 AMA를 1차원으로 배열한 상태에서 스캐닝미러를 이용하여 M×1개의 광속을 선주사시키는 1차원구조 또는 M×N개의 광속을 투사시켜서 M×N화소의 어레이를 갖는 화상을 나타내는 행/열구동회로부를 갖는 2차원구조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행/열구동회로부에 의해 AMA패널에 설정된 화소구동소자를 구동하는 경우에, 그 AMA패널상에 형성되는 액츄에이터의 제조시에 수반되는 평탄도에 대한 허용오차 또는 평탄도의 불균일성에 의한 화소구동의 불균일성을 배제하기 위해 미리 해당 AMA패널상에 형성된 액츄에이터의 전체적인 평탄도를 포함하는 제조시의 원초적인 오차에 대한 보정데이터가 산출되어 그 AMA패널의 구동시 화상신호전압에 가산(또는 감산)되는 형태로 상기 행/열구동회로부에 제공되어 AMA패널의 제조시의 원초적인 오차에 대한 보정이 행해지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프로젝터의 화소보정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동 도면에서 참조부호 2는 영상신호에서 수평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 및 컬러서브캐리어(fsc; 대략 3.58 MHz)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를 나타내고, 4는 그 동기분리부(2)에서 분리된 수직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 및 컬러서브캐리어주파수에 의한 클럭신호(4fsc)를 조합하여 어드레스신호와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어드레스/제어신호 생성부로서,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 생성부(4)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640 × 480(즉, C0 ∼ C639 × L0 ∼ L479)치수의 투사형 화상에 의해 구현된 화면을 가정하는 경우에 그 화면의 전체 화소의 수는 307,200이고, 그 전체의 화소를 구동하기 위해 20~218의 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게 된다.
또한, 참조부호 6은 AMA장치를 구성하는 화소구동소자에 대응적으로 제공된 각 액츄에이터(AMA소자)의 평탄도에 대한 오차보정치가 화상보정데이터로서 격납된 예컨대 8비트 512Kbit의 불휘발성 반도체메모리(ROM)로 이루어진 보정데이터저장부로서, 상기 보정데이터저장부(6)는 상기 AMA장치에서 미리 측정된 제조시의 평탄도에 대한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를 산출해서 ROM테이블화하여 작성되고,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 생성부(4)에서 출력되는 어드레스와 제어신호에 의거하여 해당하는 화소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여기서, 상기 보정데이터저장부(6)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치수의 화면에 대응하는 C0 ∼ C639 × L0 ∼ L479(여기서, C는 영상화면의 칼럼(Column)이고, L은 영상화면의 라인(Line)을 칭함)치수의 화면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신호에 대한 화소보정에 적합하도록 비월주사방식으로 저장되는 바, 0 ∼ 639의 어드레스데이터에 대해 L0:C0 ∼ L0:C639의 화면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된 다음에, 640 ∼ 1279의 어드레스데이터에 대해 L2:C0 ∼ L2:C639의 화면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격납되는 방식으로 영상신호의 기수필드(Odd Field)에 대응하는 화면의 화소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되는 한편, 153600 ∼ 159999의 어드레스데이터에 대해 L0:C0 ∼ L1:C0의 화면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된 다음에, 160000 ∼ 160639의 어드레스데이터에 대해 L3:C0 ∼ L3:C639의 화면에 배치되는 화소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격납되는 방식으로 영상신호의 우수필드(Even Field)에 대응하는 화면의 화소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되고, 307200 ∼ 524288의 어드레스데이터에 대해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가능한 저장영역을 확보하여 이후의 16:9치수의 화면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추가적으로 저장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참조부호 8은 상기 어드레스/제어신호 생성부(4)에서 생성된 어드레스에 대응하는 화소단위의 화상보정데이터가 상기 보정데이터저장부(6)로부터 독취되는 경우 그 독취된 화상보정데이터가 일시적으로 격납된 다음 재출력되도록 하는 예컨대 SRAM으로 이루어진 데이터격납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10은 소정의 화소보정의 대상으로 되는 영상신호를 디지털변환하는 ADC(Analog-Digital Converter)를 나타내고, 12는 상기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와 그 영상데이터에 대응하여 상기 데이터격납부(8)를 통해 제공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화소정합방식으로 대응시켜 각 화소에 대해 상기 화상보정데이터를 적용하고 보정된 영상데이터를 화소구동데이터로서 출력하는 디지털화소보정부를 나타내며, 14는 상기 화소보정된 영상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AMA장치에 화상구동신호로서 출력하는 DAC(Digital-Analog Converter)를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프로젝터의 화소보정장치에 따르면, 어드레스/제어신호 생성부(4)에서는 동기분리부(2)로부터 분리된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에 따라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생성하여 보정데이터저장부(6)에 출력하게 되고, 보정데이터저장부(6)는 상기 어드레스에 따라 비월주사방식으로 저장된 화상보정데이터를 비월주사방식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독취하여 출력하게 되는 한편, 데이터격납부(8)에서는 상기 어드레스와 제어신호를 공급받아서 상기 보정데이터저장부(6)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한 다음에 화소보정부(12)에 로딩출력시키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화소보정부(12)에서는 ADC(10)로부터 디지털변환된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격납부(8)로부터 로딩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시켜서 가감방식으로 화소보정함에 의해 보정된 영상데이터를 출력하게 되고, DAC(14)를 통해 아날로그변환된 영상보정신호는 화상구동신호로서 AMA장치에 공급되어 각각의 화소에 대응하는 AMA소자의 광로조절동작을 통해서 투사형 화상광으로서 스크린상에 투사될 수 있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프로젝터의 화소보정장치에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보정데이터저장부(6)의 경우에는 640 × 480화면치수의 4:3화면비에 대응하는 어드레스데이터에 대응하여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16:9화면모드에 따른 영상신호에 대해 화소보정동작하는 것이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어서 와이드화면의 용이한 구현이 힘들어지게 된다는 불리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통상적인 4:3화면비의 투사형 화상을 재현하는 프로젝터에서 다수의 AMA소자에 대한 오차보정을 위해 순차주사방식으로 저장된 화상보정데이터가 16:9화면치수의 화면비를 갖고서 순차주사방식으로 재현되는 영상신호에 의한 와이드화면에 대해 적합하게 로딩출력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상적인 4:3화면비의 투사형 화상을 재현하는 프로젝터에서 다수의 AMA소자에 대한 오차보정을 위해 비월주사방식으로 저장된 화상보정데이터가 16:9화면치수의 화면비를 갖고서 비월주사방식으로 재현되는 영상신호에 의한 와이드화면에 대해 적합하게 로딩출력가능하도록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에 의하면, 동기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소정의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순차주사방식을 갖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 및 수직주사신호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라인을 순차주사방식에 대응함과 더불어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 수평동기신호와 수평주사신호 및 클럭신호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칼럼을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 4:3모드에 따른 4:3화면치수에 대응함과 더불어 순차주사방식에 대응하여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고서,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대응하여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주사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보정데이터저장수단,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보정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하는 데이터격납수단 및, 상기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순차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격납수단을 통한 순차적인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화소보정처리하는 화소보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에 의하면, 동기분리부에 의해 분리된 소정의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비월주사방식을 갖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수단과, 상기 수평동기신호와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 및 수직주사신호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라인을 비월주사방식에 대응함과 더불어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 수평동기신호와 수평주사신호 및 클럭신호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칼럼을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 4:3모드에 따른 4:3화면치수에 대응함과 더불어 비월주사방식에 대응하여 기수라인과 우수라인에 따른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고서,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대응하여 화상보정데이터가 비월주사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보정데이터저장수단,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으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보정데이터저장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하는 데이터격납수단 및, 상기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격납수단을 통한 순차적인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화소보정처리하는 화소보정수단을 구비하여 구성된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인 4:3화면비의 투사형 화상을 재현하기 위해 AMA부재를 채용한 프로젝터에서 16:9모드에 따른 순차주사방식 또는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신호에 대한 화소보정을 위해 4:3화면치수에 대응하여 순차주사방식 또는 비월주사방식으로 저장된 화상보정데이터가 16:9화면치수에 대응하여 정합적으로 로딩출력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프로젝터의 화소보정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프로젝터의 투사형 화상에 따라 640 × 480치수의 화면이 구현된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보정데이터저장부에 어드레스데이터와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된 일예를 나타낸 개략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라인어드레스생성부의 상세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칼럼어드레스생성부의 상세한 회로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4:3화면치수의 와이드화면을 16:9화면치수의 와이드화면으로 구획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보정데이터저장부에 라인/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과 보정데이터저장영역에 순차주사방식에 따라 라인/칼럼어드레스데이터와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4에 도시된 보정데이터저장부에 라인/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과 보정데이터저장영역에 비월주사방식에 따라 라인/칼럼어드레스데이터와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순차주사방식 및 비월주사방식의 화상보정데이터를 로딩시키기 위한 라인어드레스의 생성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0:동기분리부, 22:제어신호생성부,
24:라인어드레스생성부, 26:칼럼어드레스생성부,
28:보정데이터저장부, 30:데이터격납부,
32:ADC, 34:화소보정부,
36:DAC, 40:어드레스생성제어부,
42: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 44:라인어드레스 카운터,
46:라인어드레스 종료판별부, 48:칼럼어드레스 카운터,
50:칼럼종료 판별부.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설명한다.
즉,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 및 다른 실시예가 적용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를 나타낸 블럭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장치에서 참조부호 20은 16:9모드 또는 4:3모드에 따른 영상신호에 포함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를 분리하는 동기분리부를 나타낸다.
또한, 참조부호 22는 상기 동기분리부(20)로부터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에 의거하여 화상보정데이터의 로딩출력상태를 제어하는 제어신호(즉, 기록제어신호와 독취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부를 나타낸다.
또, 참조부호 24는 상기 동기분리부(20)로부터의 수평동기신호(HSYNC)와 영상신호의 수직주사영역에 따른 수직주사신호(VDSP) 및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N/W)를 인가받아 16:9모드와 4:3모드에 따라 후술하는 보정데이터저장부(28)의 화상보정데이터에 따른 라인데이터를 16:9모드 또는 4:3모드에 대응하여 절환적으로 출력시키도록 하는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라인어드레스생성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부(24)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4:3화면치수(M × N)의 영상화면에 대해 16:9화면치수(M × K)로 구획하는 경우에(도 7 참조), 상기 수직주사신호(VDSP)와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인가받아 상기 수직주사신호(VDSP)에 의한 수직주사기간동안의 로딩개시신호와 카운팅 인에이블신호 및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어드레스생성제어부(40)와, 상기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N/W)의 모드판별에 따른 신호치에 따라 4:3모드에 따른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0; 도 7 참조) 또는 16:9모드에 따른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N-K / 2; 도 7 참조)를 선택적으로 발생하는 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42)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부(24)는 상기 어드레스생성제어부(40)로부터의 로딩개시신호를 그 로딩개시단자(LDN)에 인가받고, 그 카운팅 인에이블신호를 카운팅 인에이블단자(CEP)에 인가받으며, 그 클럭신호를 클럭단자(CLK)에 인가받고서 상기 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42)로부터의 4:3모드에 따른 칼럼어드레스개시데이터(0) 또는 16:9모드에 따른 칼럼어드레스개시데이터(M-K / 2)를 최선의 카운팅개시치로서 인가받아 4:3모드에 따른 n비트를 갖는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 - 1; 도 7 참조) 또는 16:9모드에 따른 n비트를 갖는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K / 2 - 1; 도 7 참조)까지 카운팅동작하여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함과 더불어,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의 카운팅시 클리어신호를 그 클리어단자(CLR)에 인가받아 카운팅동작이 클리어되는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 및, 상기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4:3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 - 1) 또는 16:9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K / 2 - 1)까지의 카운팅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에 클리어신호를 발생하는 칼럼어드레스 종료판별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참조부호 26은 수평주사영역에 대한 수평주사신호(HDSP)와 수평동기신호(HSYNC) 및 클럭신호(CLK)를 인가받아서 4:3모드 또는 16:9모드의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화소보정이 절환적으로 가능하도록 후술하는 보정데이터저장부(28)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를 로딩출력하기 위한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절환적으로 생성하는 칼럼어드레스생성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부(26)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를 그 로딩개시단자(LDN)에 인가받고 수평주사신호(HDSP)를 그 카운팅 인에이블단자(CEP)에 인가받으며 상기 클럭신호(CLK)를 그 클럭단자(CLK)에 인가받고서 그 데이터단자(DATA)를 통해 0 ∼ M-1칼럼영역까지의 m비트를 갖는 데이터를 인가받아서 4:3화면치수(M × N) 또는 16:9화면치수(M × K)에 대해 최선의 칼럼영역(0)으로부터 최후의 칼럼영역(M-1)까지 카운팅하여 m비트를 갖는 칼럼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는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와, 상기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최후의 칼럼영역(M-1)에 대한 카운팅치를 판별하고서 상기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를 클리어시키기 위한 클리어신호를 발생하는 칼럼어드레스 종료판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 참조부호 28은 4:3화면치수를 갖는 통상적인 투사형 화면에 대응하여 AMA장치를 구성하는 다수의 AMA소자의 제조상 오차를 보정하기 위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되고서, 상기 제어신호생성부(22)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부(24)로부터의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m비트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부(26)로부터의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n비트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라인/칼럼어드레스신호에 대응하는 라인/칼럼어드레스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절환적으로 화상보정데이터를 순차적으로 독취하여 출력하는 보정데이터저장부를 나타낸다.
여기서, 상기 보정데이터저장부(28)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화소보정데이터가 순차주사방식의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경우에,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M × N화면치수의 4:3모드에 따른 화면에 대해 라인영역당으로 지정되어 할당된 라인어드레스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된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과, 상기 4:3모드의 화면에 대해 칼럼영역당으로 지정되어 할당된 칼럼어드레스데이터가 할당되어 순차적으로 저장된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을 갖추고 있는 바, 상기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에는 도 7에 도시된 M × N화면치수에 따른 4:3모드의 화면에서 L0 ∼ LN-1의 라인에 대해 0 ∼ 2n-1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가 순차주사방식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저장됨과 더불어, 상기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에는 C0 ∼ CM-1의 칼럼에 대해 0 ∼ 2m-1의 칼럼어드레스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한편, 상기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과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에 각각 순차적으로 저장된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지정된 화면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그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데이터에 대해 L0:CO, L0:C1, L0:C2, ... L1:C0, L1:C1, ... L2:C0, L2:C1, ...과 같이 순차주사방식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저장된 보정데이터저장영역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보정데이터저장부(28)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화소보정데이터가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신호에 대응하여 저장되는 경우에,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M × N화면치수의 4:3모드화면에 대해 라인영역당으로 지정되어 할당된 라인어드레스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된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과, 상기 4:3화면에 대해 칼럼영역당으로 지정되어 할당된 칼럼어드레스데이터가 할당되어 순차적으로 저장된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을 갖추고 있고, 상기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에는 M × N화면치수의 4:3화면에 따른 L0 ∼ LN-1의 라인에 대해 0 ∼ 2n-1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됨과 더불어, 상기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에는 C0 ∼ CM-1의 칼럼에 대해 0 ∼ 2m-1의 칼럼어드레스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한편, 상기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과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에 각각 순차적으로 저장된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지정된 화면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그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데이터에 대해 L0:C0, L0:C1, L0:C2, ... L2:C0, L2:C1, ... L4:C0, L4:C1, ... , ... L1:C0, L1:C1, ... L3:C0, L3:C1, ...과 같이 비월주사방식에 대응하여 저장된 보정데이터저장영역으로 구성된다.
그에 따라, 0 ∼ 2/N-1의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에 대응하는 보정데이터저장영역에는 기수라인(EVEN LINE)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되고, N/2 ∼ 2N-1의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에 대응하는 보정데이터저장영역에는 우수라인(ODD LINE)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된다.
또, 참조부호 30은 상기 제어신호생성부(22)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부(24)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부(26)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고서 상기 보정데이터저장부(28)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예컨대 SRAM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진 데이터격납부를 나타낸다.
그리고, 참조부호 32는 상기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영상신호를 샘플링하여 디지털변환하는 ADC를 나타내고, 34는 상기 디지털변환된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격납부(30)로부터 로딩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가감처리함에 의해 화소보정을 행하는 화소보정부를 나타내며, 36은 상기 화소보정된 영상보정데이터를 아날로그변환하여 AMA장치(도시되지 않음)측으로 화상구동신호로서 출력하는 DAC를 나타낸다.
이어,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4:3화면치수의 투사형 화면을 재현하는 프로젝터에서 16:9모드에 따라 16:9화면치수를 갖고서 순차주사방식을 갖는 영상신호가 프로젝터에 공급되는 경우에, 동기분리부(20)는 상기 영상신호로부터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를 분리하게 되고, 제어신호생성부(22)에서는 상기 분리된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를 기초로 보정데이터저장부(28)의 화상보정데이터 독취와 데이터격납부(30)의 화상보정데이터 일시 격납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생성하게 된다.
이 때, 라인어드레스생성부(24)의 어드레스생성제어부(40)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동기신호와 수직동기신호 사이의 유효영상구간을 나타내는 수직주사신호(VDSP)와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인가받아서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의 로딩개시단자(LDN)에 상기 수직주사신호(VDSP)의 상승엣지에 트리거되어 그 수평동기신호(HSYNC)와 동일한 펄스기간을 갖는 로딩개시신호를 인가하고, 카운팅 인에이블단자(CEP)에 상기 수직주사신호(VDSP)와 동일한 펄스치를 갖는 카운팅 인에이블신호를 인가함과 더불어 클럭단자(CLK)에 수평동기신호(HSYNC)를 클럭신호로서 인가하게 되고, 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42)에서는 16:9모드 판별신호(W)를 인가받음에 의해 16:9모드에 따른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N-K / 2)를 발생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에서는 그 데이터단자(DATA)를 통해 상기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N-K / 2)를 최선의 카운팅치로서 인가받아서 카운팅동작함에 의해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라인어드레스 종료판별부(46)에서는 상기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서 최후의 카운팅치(N+K / 2 - 1)가 카운팅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의 클리어단자(CLR)에 클리어신호를 인가하여 그 카운팅동작을 클리어시키게 된다.
한편, 칼럼어드레스생성부(26)의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는 그 로딩개시단자(LDN)를 통해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인가받고 그 카운팅 인에이블단자(CEP)를 통해 수평동기신호와 수평동기신호 사이의 유효영상영역을 나타내는 수평주사신호(HDSP)를 인가받으며 그 클럭단자(CLK)를 통해 클럭신호(CLK)를 인가받고서 그 데이터단자(DATA)를 통해 m비트의 0 ∼ M-1칼럼에 이르는 데이터를 인가받아 카운팅하여 m비트를 갖는 칼럼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칼럼어드레스 종료판별부(50)는 상기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로부터 발생된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고서 최후의 칼럼(M-1)이 카운팅된 것으로 판별하면 클리어신호를 그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의 클리어단자(CLR)로 출력하여 그 카운팅동작을 클리어시키게 된다.
그 다음에, 보정데이터저장부(28)는 상기 제어신호생성부(22)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부(24)로부터의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부(26)로부터의 m비트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고서,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칼럼어드레스신호에 의한 라인/칼럼어드레스데이터의 조합에 따라 화상보정데이터저장영역에서 순차주사방식에 따라 화상보정데이터를 순차적으로 16:9모드에 대응되도록 출력하게 되는 한편, 데이터격납부(30)에서는 상기 출력되는 16:9모드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하게 되고, 화소보정부(34)에서는 ADC(32)를 통해 디지털변환된 16:9모드에 따른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격납부(30)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가감처리함에 의해 화소보정하게 되고, DAC(36)를 통해 아날로그변환된 영상보정신호가 화상구동신호로서 AMA장치에 출력된다.
그 다음에,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동작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4:3화면치수로서 투사형 화상을 재현하는 프로젝터에서 16:9모드에 따라 16:9화면치수를 갖고서 비월주사방식을 갖는 영상신호가 프로젝터에 공급되는 경우에,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부(24)의 어드레스생성제어부(40)에서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수직영상주사기간에서의 영상신호에 대한 유효영상영역을 나타내는 수직주사신호(VDSP)와 클럭신호(CLK)를 인가받아서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의 로딩개시단자(LDN)에 상기 수직주사신호(VDSP)의 상승엣지에 트리거되는 수평동기신호(HSYNC)의 펄스주기를 갖는 로딩개시신호를 인가하고 카운팅 인에이블단자(CEP)에 상기 수직주사신호(VDSP)를 카운팅 인에이블신호로서 인가함과 더불어 클럭단자(CLK)에 수평동기신호(HSYNC)를 클럭신호로서 인가하게 되고, 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42)에서는 16:9모드 판별신호(W)를 인가받음에 의해 16:9모드에 따른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M-K / 2)를 발생하게 됨에 따라, 상기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에서는 그 데이터단자(DATA)를 통해 상기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M-K / 2)를 최선의 카운팅치로서 인가받아서 카운팅동작함에 의해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한편, 상기 라인어드레스 종료판별부(46)에서는 상기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로부터의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서 최후의 카운팅치(N+K / 2 - 1)가 카운팅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의 클리어단자(CLR)에 클리어신호를 인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부(26)의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에서는 그 로딩개시단자(LDN)를 통해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인가받고 그 카운팅 인에이블단자(CEP)를 통해 수평주사신호(HDSP)를 인가받으며 그 클럭단자(CLK)를 통해 클럭신호(CLK)를 인가받고서 그 데이터단자(DATA)를 통해 m비트의 0 ∼ M-1칼럼에 이르는 데이터를 인가받아 카운팅하여 m비트를 갖는 칼럼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게 되고, 칼럼어드레스 종료판별부(50)는 상기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로부터 발생된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고서 최후의 칼럼(M-1)이 카운팅된 것으로 판별하면 클리어신호를 그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의 클리어단자(CLR)로 출력하게 된다.
그에 따라, 상기 보정데이터저장부(28)는 상기 제어신호생성부(22)로부터의 제어신호를 인가받은 상태에서,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부(24)로부터의 n비트의 라인어드레스신호와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부(26)로부터의 m비트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순차적으로 인가받음에 따라,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의 칼럼어드레스데이터에 의한 조합에 따라 화상보정데이터저장영역에 비월주사방식을 갖고서 0 ∼ 2/N-1의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에 대해 기수라인(EVEN LINE)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저장된 다음에 N/2 ∼ 2N-1의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에 대해 우수라인(ODD LINE)에 대한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된 화상보정데이터가 그 라인/칼럼어드레스신호에 따라 16:9모드에 대응되도록 순차적으로 출력된다.
한편, 상기 데이터격납부(30)에서는 상기 기수라인으로부터 우수라인의 순서로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16:9모드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하게 되고, 상기 화소보정부(34)에서는 ADC(32)를 통해 디지털변환된 16:9모드에 따라 비월주사방식을 갖는 영상데이터를 상기 데이터격납부(30)로부터의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가감처리함에 의해 화소보정하게 됨에 따라, DAC(36)를 통해 아날로그변환된 영상신호가 AMA의 화소에 대해 보정이 완료된 화상구동신호로서 AMA장치에 출력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AMA부재를 채용한 4:3모드를 갖는 투사형 화상의 재현이 가능한 프로젝터에서 16:9화면모드에 따른 영상신호에 대해 정합적으로 로딩출력 가능하도록 함에 따라, 4:3모드와 16:9모드에 관계없이 화상보정데이터가 절환적으로 로딩출력되어 안정되게 화소보정가능하다는 이점을 갖게 된다.

Claims (8)

  1. 동기분리부(20)에 의해 분리된 소정의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순차주사방식을 갖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수단(22)과,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와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N/W) 및 수직주사신호(VDSP)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라인을 순차주사방식에 대응함과 더불어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평주사신호(HDSP) 및 클럭신호(CLK)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칼럼을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
    4:3모드에 따른 4:3화면치수에 대응함과 더불어 순차주사방식에 대응하여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고서,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2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으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으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대응하여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주사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보정데이터저장수단(28),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2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으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으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보정데이터저장수단(28)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하는 데이터격납수단(30) 및,
    상기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순차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격납수단(30)을 통한 순차적인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화소보정처리하는 화소보정수단(32,34,36)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저장수단(28)은 4:3화면치수(M × N)의 4:3화면에 대해 라인영역당으로 지정된 라인어드레스데이터가 할당되어 순차적으로 저장된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과, 상기 4:3화면치수의 화면에 대해 칼럼영역당으로 지정된 칼럼어드레스데이터가 할당되어 순차적으로 저장된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 및,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지정된 화면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0 ∼ 2n-1(n은 라인어드레스의 데이터비트수)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0 ∼ 2m-1(m은 칼럼어드레스의 데이터비트수)의 칼럼어드레스데이터에 걸쳐서 그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데이터에 의한 4:3화면치수에 대응하여 순차적으로 저장된 보정데이터저장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은 수직주사신호(VDSP)와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인가받아 순차주사방식에 따라 상기 수직주사신호(VDSP)에 의한 수직주사기간의 로딩개시신호와 카운팅 인에이블신호 및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어드레스생성제어부(40)와, 상기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N/W)의 신호치에 따라 4:3모드에 따른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0) 또는 16:9모드에 따른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N-K / 2)를 발생하는 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42), 상기 어드레스생성제어부(40)로부터의 로딩개시신호와 카운팅 인에이블신호 및 클럭신호를 인가받고서 상기 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42)로부터의 4:3모드에 따른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0) 또는 16:9모드에 따른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N-K / 2)를 최선의 카운팅개시치로서 인가받아 4:3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 - 1) 또는 16:9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K / 2 -1)까지 카운팅동작하여 라인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는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 및, 상기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4:3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 - 1) 또는 16:9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K / 2 -1)까지의 카운팅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의 카운팅동작을 클리어시키기 위한 클리어신호를 발생하는 라인어드레스 종료판별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은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평주사신호(HDSP) 및 클럭신호(CLK)를 인가받아서 순차주사방식에 따라 4:3화면치수(M × N) 또는 16:9화면치수(M × K)에 대해 최선의 칼럼영역(0)으로부터 최후의 칼럼영역(M-1)까지 카운팅하여 칼럼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는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와, 상기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최후의 칼럼영역(M-1)에 대한 카운팅치를 판별하고서 상기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를 클리어시키기 위한 클리어신호를 발생하는 칼럼어드레스 종료판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5. 동기분리부(20)에 의해 분리된 소정의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비월주사방식을 갖는 영상신호의 수평/수직동기신호(HSYNC/VSYNC)와 컬러 서브캐리어주파수신호에 의거하여 제어신호를 생성하는 제어신호생성수단(22)과,
    상기 수평동기신호(HSYNC)와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N/W) 및 수직주사신호(VDSP)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라인을 비월주사방식에 대응함과 더불어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평주사신호(HDSP) 및 클럭신호(CLK)를 인가받아 화상보정데이터의 칼럼을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라 절환적으로 로딩출력시키기 위한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생성하는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
    4:3모드에 따른 4:3화면치수에 대응함과 더불어 비월주사방식에 대응하여 기수라인과 우수라인에 따른 화상보정데이터가 순차적으로 저장되고서,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2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으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으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대응하여 화상보정데이터가 비월주사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출력되는 보정데이터저장수단(28),
    상기 제어신호생성수단(22)으로부터의 제어신호와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으로부터의 라인어드레스신호 및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으로부터의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상기 보정데이터저장수단(28)으로부터 출력되는 화상보정데이터를 일시 격납하는 데이터격납수단(30) 및,
    상기 4:3모드 또는 16:9모드에 따른 비월주사방식의 영상신호를 상기 데이터격납수단(30)을 통한 순차적인 화상보정데이터와 화소당으로 정합하여 화소보정처리하는 화소보정수단(32,34,36)을 구비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데이터저장수단(28)은 16:9화면치수(M × N)의 와이드화면에 대해 라인영역당으로 지정된 라인어드레스데이터가 할당되어 순차적으로 저장된 라인어드레스저장영역과, 상기 16:9화면치수의 와이드화면에 대해 칼럼영역당으로 지정된 칼럼어드레스데이터가 할당되어 순차적으로 저장된 칼럼어드레스저장영역 및, 상기 순차적으로 저장된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데이터의 조합에 의해 지정된 화면의 각 화소에 대응하는 화상보정데이터가 그 라인어드레스데이터와 칼럼어드레스데이터에 의한 와이드화면치수에 대응하여 0 ∼ 2/N-1(N은 화면의 라인수)의 라인어드레스에 대해 기수라인이 저장되고 나서 N/2 ∼ 2n-1의 라인어드레스에 대해 우수라인이 비월주사방식에 따라 순차적으로 저장된 보정데이터저장영역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4:3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7.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어드레스생성수단(24)은 수직주사신호(VDSP)와 수평동기신호(HSYNC)를 인가받아 비월주사방식에 따라 상기 수직주사신호(VDSP)에 의한 수직주사기간의 로딩개시신호와 카운팅 인에이블신호 및 클럭신호를 제공하는 어드레스생성제어부(40)와, 상기 4:3모드/16:9모드 판별신호(N/W)의 신호치에 따라 4:3모드에 따른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0) 또는 16:9모드에 따른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N-K / 2)를 발생하는 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42), 상기 어드레스생성제어부(40)로부터의 로딩개시신호와 카운팅 인에이블신호 및 클럭신호를 인가받고서 상기 라인어드레스 개시판별부(42)로부터의 4:3모드에 따른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0) 또는 16:9모드에 따른 라인어드레스개시데이터(N-K / 2)를 최선의 카운팅개시치로서 인가받아 4:3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 - 1) 또는 16:9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K / 2 -1)까지 카운팅동작하여 라인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는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 및, 상기 라인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4:3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 - 1) 또는 16:9모드에 따른 최후의 라인어드레스데이터(N+K / 2 -1)까지의 카운팅상태를 판별하여 상기 라인어드레스 카운터(44)의 카운팅동작을 클리어시키기 위한 클리어신호를 발생하는 라인어드레스 종료판별부(46)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8. 제 5항 또는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칼럼어드레스생성수단(26)은 수평동기신호(HSYNC)와 수평주사신호(HDSP) 및 클럭신호(CLK)를 인가받아서 비월주사방식에 따라 4:3화면치수(M × N) 또는 16:9화면치수(M × K)에 대해 최선의 칼럼영역(0)으로부터 최후의 칼럼영역(M-1)까지 카운팅하여 칼럼어드레스신호를 발생하는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와, 상기 칼럼어드레스신호를 인가받아 최후의 칼럼영역(M-1)에 대한 카운팅치를 판별하고서 상기 칼럼어드레스 카운터(48)를 클리어시키기 위한 클리어신호를 발생하는 칼럼어드레스 종료판별부(5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KR1019970016399A 1997-04-30 1997-04-30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KR100210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399A KR100210775B1 (ko) 1997-04-30 1997-04-30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6399A KR100210775B1 (ko) 1997-04-30 1997-04-30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784A KR19980078784A (ko) 1998-11-25
KR100210775B1 true KR100210775B1 (ko) 1999-07-15

Family

ID=19504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6399A KR100210775B1 (ko) 1997-04-30 1997-04-30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107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8784A (ko) 1998-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19017B1 (en) Image display control in synchronization with optical axis wobbling with video signal correction used to mitigate degradation in resolution due to response performance
KR0167017B1 (ko) 디지탈 컨버전스 장치
US5418572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displaying images at different rates
KR100210775B1 (ko) 프로젝터의 16:9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KR100239071B1 (ko) 와이드화면 프로젝터의 4:3모드시 화상보정데이터처리장치
JPH02243076A (ja) 画像信号受信装置
US6580470B1 (en) Display apparatus for displaying an image representative of an interlaced video signal
KR100203589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데이터 저장방법과 어드레스생성제어장치
KR100221478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배속변환장치
KR10018820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장치용 화상보정데이터 생성제어장치
KR100192949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순차주사변환장치
KR100227105B1 (ko) 프로젝터의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KR100192944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영상주사영역선택장치와 그 방법
KR100203582B1 (ko) 플라이백펄스 생성회로를 갖춘 프로젝터
KR0145914B1 (ko) 화상표시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JPH0614188A (ja) 画像処理装置
KR100192946B1 (ko) 투사형 화상표시시스템의 파노라마(panorama)화면변환장치
JPH07154808A (ja) 画像撮像装置及び画像調整装置
KR100203586B1 (ko) 프로젝터의 라인메모리를 이용한 화상보정데이터 로딩장치
JPH11122562A (ja) 画像補正装置
KR0150535B1 (ko) 화상표시 장치의 의사동기신호 생성회로
KR0132511B1 (ko) Focrt를 이용한 칼라비디오 프린터장치
JP3003760B2 (ja) 撮像装置
JP2000209462A (ja) ガンマ補正回路と表示装置
JP2000250456A (ja) 映像表示装置及び映像表示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3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