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810B1 -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 Google Patents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810B1
KR100202810B1 KR1019950034391A KR19950034391A KR100202810B1 KR 100202810 B1 KR100202810 B1 KR 100202810B1 KR 1019950034391 A KR1019950034391 A KR 1019950034391A KR 19950034391 A KR19950034391 A KR 19950034391A KR 100202810 B1 KR100202810 B1 KR 1002028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recording
head
mode
re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4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5389A (ko
Inventor
세이지 히구라시
Original Assignee
슈즈이 다케오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슈즈이 다케오, 닛폰 비구타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슈즈이 다케오
Publication of KR9600153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53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8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810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6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 G11B15/467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 G11B15/473Controlling, regulating, or indicating speed in arrangements for recording or reproducing wherein both record carriers and heads are driven by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5/00Recording by magnetisation or demagnetisation of a record carrie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5/02Recording, reproducing, or erasing methods; Read, write or erase circui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2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 G11B15/125Masking of heads; circuits for Selecting or switching of heads between operative and inoperative functions or between different operative functions or for selection between operative heads; Masking of beams, e.g. of light beams conditioned by the operating function of the apparat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08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 G11B15/1875Driving of both record carrier and head adaptations for special effects or 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8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 H04N5/782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 H04N5/7824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 H04N5/782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 H04N5/78263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 H04N5/78266Television signal recording using magnetic recording on tape with rotating magnetic heads involving helical scanning of the magnetic tape for recording on tracks inclined relative to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the tape using more than one track for the recording of one television field or frame, i.e. segmented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21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 H04N9/7925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more than one processing mode for more than one stand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797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 H04N9/7973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for recording the signal in a plurality of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signal by dividing the luminance or colour component signal samples or frequency bands among a plurality of recording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rocessing of the soun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04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 H04N9/804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involving pulse code modulation of the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involving data redu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H04N9/80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 H04N9/82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 H04N9/83Transform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for recording, e.g. modulation, frequency changing; Inverse transformation for playback the individual colour picture signal components being recorded simultaneously only the recorded chrominance signal occupying a frequency band under the frequency band of the recorded brightness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ignal Processing For Digit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헬리컬 주사형 기록 및 재생 장치가 회전 드럼에 감기는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관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재생한다.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 및 저주파수 변화된 색신호와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를 담고 있는 다중 신호가 기록/재생될 때, 회전 드럼이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되어 회전한다. 디지털 비디오 신호가 기록/재생될 때, 회전 드럼이 NTSC 시스템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가 기록/재생되는 때보다 1.25배 속도에서 회전하고 그리고 PAL 또는 SECAM 시스템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가 기록/재생될 대보다 1.5배 속도에서 회전된다.

Description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2도는 오디오 기록 프로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3도는 비디오 기록 프로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4도는 회전 드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5도는 헤드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제6도는 헤드 선택기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도면.
제7도는 이 헤드 선택기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8도는 비디오 재생 프로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9도는 오디오 재생 프로세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0도는 드럼 구동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1도는 이 드럼 구동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
제12도는 이 드럼 구동 회로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3도는 이 드럼 구동 회로의 동작을 보여주는 타이밍 챠트.
제14도는 이 드럼 구동 회로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5도는 이 드럼 구동 회로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6도는 이 드럼 구동 회로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17도는 디지털 신호 기록 처리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 차트.
제18도는 D2 모드에서의 테입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제19도는 D3 모드에서의 테입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제20도는 디지털 신호기록 프로세서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21도는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의 다른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제23도는 회전 드럼의 구성을 보여주는 도면.
제24도는 헤드의 장착 위치를 보여주는 도면.
제25도는 헤드 선택기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제26도는 헤드 선택기 회로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
제27도는 디지털 신호 기록 처리 회로의 동작을 나타내는 타이밍챠트.
제28도는 D2 모드에서의 테입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제29도는 D3 모드에서의 테입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 2 : 비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
3 : 오디오 신호 재생 프로세서 4 : 비디오 신호 재생 프로세서
5 :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 6 : 디지털 신호 재생 프로세서
7 : 헤드 선택기 회로
[발명의배경]
[발명의분야]
본 발명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및 디지털 비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헬리컬 주사형(helical scan type)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설명]
디지털 비디오 테입 레코더(이하에서 VTR)에 상응하여 디지털화되는 NTSC 신호 및 PAL 신호가 비디오 신호 프레임 마다 자기 테입상의 트랙의 같은 수의 트랙에 기록될 때, 종래의 기술에서는 NTSC 시스템과 PAL 시스템 사이의 자기 테입의 기록 밀도를 변경해야하고, 따라서 기록 회로와 재생 회로를 포함하는 두 개의 별도의 시스템을 각각 제공해야 한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NTSC 신호를 기록하는 경우 드럼의 회전 속도와 트랙의 포맷은 NTSC 비디오 신호 마다 트랙의 수와 PAL 비디오 신호 마다 트랙의 수를 5:6으로 세팅하여 PAL 신호의 기록의 경우에서의 그것들과 동일하게 만들어진다. 이 시스템을 이용하는 디지털 VTR은 공지되어 있고 소위 D1 및 D3 스탠더드(standard)의 그것들로서 실행된다.
다른 한편으로, 일본 특허 출원 공개 번호 H5-207507에 한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고, 여기에서, 디지털 신호를 기록할 때, 드럼의 회전 속도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기록의 회전 속도보다 두배가 된다.
D1 및 D3 스탠더드의 이와 같은 디지털 VTR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기록의 회전 속도보다 두배인 회전 속도가 표시된 회전 드럼이 필요로하는 9000 r.p.m. 또는 4500 r.p.m과 같은 크기이다. 즉, 1800 r.p.m에서 (PAL 또는 SECAM 시스템에 대해, 1500 r.p.m.) 회전하는 가정용 VTR의 회전 속도가 이용될 수 없고 그리고 이 VTR 자체의 구성이 복잡해진다.
또한, 회전 드럼의 회전 속도가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두배가 되는 시스템에서, 이 테입 포맷은 NTSC와 PAL(또는 SECAM) 신호들 사이에서 변경되어야 하고 그리고 프레임에 의한 편집(editing)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가정용 VTR의 회전 드럼을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기록하고 재생할 수 있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VTR의 회전 드럼의 회전 속도를 현저히 변경하지 않고 가정용 VTR를 이용하여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비디오 신호 양측을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측면을 따라,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회전 드럼에 감기는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과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헬리컬 주사형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이 회전 드럼에 장착된 다수의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수단,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주파수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1 기록 및 재생 수단,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2 기록 및 재생 수단, 다중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1 모드에서 헤드 수단에 이 다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2 모드에서 헤드 수단에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기 수단, 및 회전 드럼이 제1 드럼이 제1 모드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1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그리고 회전 드럼이 제2 모드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1.25배 또는 1.5배에서 회전되는 제2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한 측면에 따라, 회전 드럼에 감긴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관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회전 드럼에 장착된 제1 헤드와 제2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수단,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저주파 변조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1 기록 및 재생 장치, 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2 기록 및 재생 장치,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3 기록 및 재생 장치, 다중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1 모드에서 다중 신호를 제1 헤드에 그리고 오디오 신호를 제2 헤드에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2 모드에서 제1 헤드와 제2 헤드에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기 수단, 및 회전 드럼이 제1 모드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1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그리고 회전 드럼이 제2 모드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1.25 배 속도에서 회전되는 제2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동 수단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되어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파수보다 1.25배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발생기 수단, 제1 모드에서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제2 모드에서 제1 신호와 관련한 제2 프레임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치 수단, 및 이 회전 드럼의 회전 위상과 스위치 수단의 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록 및 재생 장치가 2-채널 전송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이 선택기 수단이 디지털 신호를 2-채널 전송 경로를 통해 나란히 제1 헤드와 제2 헤드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회전 드럼에 감긴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관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이 회전 드럼에 장착된 제1 헤드와 제2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수단,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저주파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1 기록 및 재생 수단, 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2 기록 및 재생 장치,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3 기록 및 재생 장치, 다중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1 모드에서 다중 신호를 그리고 제2 헤드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2 모드에서 제1 및 제2 헤드에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기 수단, 및 회전 드럼이 제1 모드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1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그리고 회전 드럼이 제2 모드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1.5배 속도에서 회전되는 제2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동 수단은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되어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파수보다 1.5배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발생기 수단, 제1 모드에서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제2 모드에서 제1 신호와 관련한 제2 프레임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치 수단, 및 이 회전 드럼의 회전 위상과 스위치 수단의 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기록 및 재생 장치가 2-채널 전송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이 선택기 수단이 디지털 신호를 2-채널 전송 경로를 통해 나란히 제1 헤드와 제2 헤드에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라, 회전 드럼에 감기는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관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이 회전 드럼에 장착된 제1 헤드와 제2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수단,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제1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저주파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제1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1 기록 및 재생 장치,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제1 아날로그 신호와 다른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저주파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제2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2 기록 및 재생장치, 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3 기록 및 재생 장치,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1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제1 디지털 신호 도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1 디지털 비디오 신호의 그것과 다른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제2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4 기록 및 재생 장치, 제1 다중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1 모드에서 제1 헤드에 제1 다중신호를 그리고 제2 헤드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2 다중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2 모드에서 제1 헤드에 제2 다중 신호를 그리고 제2 헤드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제1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3 모드에서 제1 및 제2 헤드에 제1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그리고 제2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4 모드에서 제1 및 제2 헤드에서 제2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기 수단, 그리고 회전드럼이 제1 드럼이 제1 모드에서 제1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1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드럼이 제2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2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회전 드럼이 제3 모드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1.25배 속도에서 회전되는 제3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및 회전 드럼이 제4 모드에서 제2 회전 속도 보다 1.5배에서 회전되는 제3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포함한다.
이 구동 수단이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되는 제1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파수보다 1.25배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발생기 수단, 제2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2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되는 제2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파수보다 1.5배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발생기 수단, 제1 및 제2 모드에서 제1 및 제2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제3 모드에서 제1 신호 및 제4 모드에서 제2 신호와 관련된 제3 프레임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기위한 스위치 수단, 및 회전 드럼의 회전 위상과 이 스위치 수단의 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4 기록 및 재생 수단은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2-채널 전송 경로를 포함할 수 있고 그리고 선택기 수단은 제3 및 제4 모드에서 2-채널 전송 경롤르 통해 나란히 제1 및 제2 헤드에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제공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에 따른 VTR의 실시예는 가정용 VTR 시스템의 하나인 8mm 비디오 시스템 또는 VHS 시스템의 장치를 이용하며 그리고 가정용 VTR의 포맷을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는 그리고 디지털형 VTR로서 이용될 수 있다. 즉, 아날로그 비디오 정보와 디지털 비디오 정보 양측이 회전 드럼과 테입 로딩 장치를 등을 가지는 공동의 기계적인 시스템을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될 수 있다. 이 디지털 비디오 정보가 기록 및 재생될 때, 회전 드럼의 회전 속도가 2250 r.p.m.에 세팅되고 1-채널 또는 2-채널 기록 및 재생이 실행된다. 그러므로, 디지털화된 NTSC 신호가 프레임마다 5개 트랙을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되고 디지털화된 PAL 또는 SECAM 신호가 프레임 마다 6개 트랙을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된다.
그 결과, PAL 및 SECAM 시스템에서의 유니트 시간과 동일한 NTSC 시스템에서의 유니트 시간 내에서 기록 및 재생되는 트랙의 수를 만들고, 1개 트랙내에서 공동의 포맷을 이용하여 그리고 프레임 편집(프레임 마다 편집)을 가능하게 한다. 이 회전 드럼의 속도, 2250 r.p.m.는 NTSC 신호의 아날로그 비디오 정보와 기록 및 재생될 때 1.25배이고, PAL 또는 SECAM 신호의 아날로그 비디오 정보가 기록 및 재생될 때 1.5배이기 때문에, 자기 테입 진행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고 기계적인 시스템의 공동 이용이 가능해진다.
이 VTR은 표준 시간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네 모드에서, 3배 시간 기록 및 재생이 가능한 EP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의 1-채널 기록 및 재생이 제1 전송율에서 가능한 D1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의 2-채널 기록 및 재생이 제1 전송율의 두배가 되는 제3 전송율에서 가능한 D2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의 기록 및 재생이 제1 전송율의 절반인 제2 전송율에서 가능한 D3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SP 모드와 EP 모드 사이의 주된 차이점은 테입 진행 속도일 수 있다. VHS 시스템의 VTR에서, EP 모드에서의 테입 진행 속도가 SP 모드에서의 그것의 1/3이다. 그러므로, EP 모드에서 경사진 트랙의 트랙 피치가 SP 모드에서의 그것의 1/3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가 제1도와 관련하여 이제 상세히 설명된다. 제1도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SP 모드 및 EP 모드에서 입력 오디오 신호(aa)와 입력 비디오 신호(bb)가 오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1)와 비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2) 각각에 제공되고, 그 후 적당한 방법으로 처리되어 나중에 설명될 헤드 선택기 회로(7)를 통해 각각의 헤드에 제공되며, 자기 테입(T)에 기록된다. 이 기록된 신호들이 각각의 헤드에 의해 재생되며 헤드 선택기 회로(7)를 통해 오디오 신호 재생 프로 프로세서(3)와 비디오 신호 재생 프로세서(4)에 제공된다. 이 프로세서(3과 4)로부터, 출력 오디오 신호(cc)와 출력 비디오 신호(dd)가 얻어진다.
다른 한편으로, D1, D2, 또는 D3 모드에서, 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 등을 담고 잇는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5)에 제공되고, 그 다음 이 프로세서(5)에서 처리되어, 헤드 선택기 회로(7)를 통해 각각의 헤드에 제공되며 자기 테입(T)에 기록된다. 기록된 디지털 신호가 헤드에 의해 재생되고 디지털 신호 재생 프로세서(6)에 제공되어 출력 디지털 신호(ff)가 된다.
제2도는 오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1)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제2도에서, 2-채널(R,L)의 오디오 신호들은 잡음 감소 회로(101a 및 101b), 프리-엠퍼시스 회로(102a 및 102b)를 통해 주파수 변조기(103a 및 103b) 각각으로 통과된다. 이 주파수 변조기(103a 및 103b)의 반송 주파수가 각각 1.3MHz 및 1.7 MHz이다. 이 주파수 변조기(103a 및 103b)의 출력들이 대역 필터(BPF's) (104a 및 104b) 각각에 의해 대역 제한되고, 믹서(105)에 의해 주파수 다중화되며 헤드 선택기(7)에 제공된다.
제3도는 비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2)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제3도에서 Y/C 분리기 회로(201)는 입력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bb)로부터 휘도 신호(Y)와 색신호(C)를 분리한다. 이 휘도 신호(Y)는 프리-엠퍼시스 회로(202)를 통해 통과되고 이의 고주파 성분을 강조하며(emphasize), 클립(clip) 회로(203)에 의해 진폭 제한되고 주파수 변조기(204)에 의해 주파수 변조된다. 고역 통과 필터(HPF)(205)는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의 정해진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이것을 믹서(206)에 제공한다.
다른 한편으로, Y/C분리기(201)로부터의 색신호(C)가 주파수 변환기(207)에 의해 주파수 변환되므로, 이의 반송 주파수가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의 주파수 대역보다 낮게 된다. 저역 통과 필터(LPF)(208)는 주파수 변환된 색신호의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여 이것을 믹서(206)에 제공한다. 이 믹서(206)는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저주파 변환된 색신호를 주파수 다중화(frequency-multiplex)시키고 합성 신호가 헤드 선택기 회로(7)에 제공된다.
위에서 언급한 이 오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1)와 비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2)가 SP 모드와 EP 모드에서 동일한 신호 처리를 실시한다.
제4도는 이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헤드와 회전 드럼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면 부호 100은 헤드가 장착되는 회전 드럼을 나타낸다. 헤드(S1 및 S2)는 SP 모드에서 비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이 헤드(S1 및 S2)는 이 드럼의 동축 근처에 반대 위치에서 회전 드럼에 장착되고6의 방위각을 갖는다. 헤드(E1 및 E2)는 EP 모드에서 비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데 이용한다. 헤드(E1 및 E2)는6의 방위각을 가진 드럼의 동축 둘레에 반대측에 회전 드럼에 장착되고 이 헤드(S1 및 S2) 각각에 이웃한다. 헤드(A1 및 A2)는 SP 및 EP 모드 양측에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이 헤드(A1 및 A2)는30의 방위각을 가지는 드럼의 동축 둘레 반대편에 회전 드럼에 장착된다. 이 헤드(A1)는 120까지 헤드(S1)를 전진시키고 헤드(A2)는 120까지의 헤드(S2)를 전진시킨다.
회전 드럼에서 각각의 헤드의 장착 위치는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이 헤드(E1 및 E2)의 하측 단부가 6정도 이 헤드(S1 및 S2)의 하측 단부의 한 레벨보다 더 높은 레벨에 각각 위치하고, 이 헤드(A1 및 A2)의 하측 단부는 57.6정도 헤드(S1 및 S2)의 하측 단부의 레벨 보다 더 높은 레벨에 각각 위치된다.
제6도는 헤드 선택기 회로(7)의 동작을 나타내고 제7도는 헤드 선택기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제6도에서, 대문자 V는 비디오 신호를 위한 기록 및 재생 동작을 나타내고, A는 오디오 신호를 위한 기록 및 재생 동작을 나타내며, D1, D2 및 D3는 각각 D1, D2 및 D3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를 위한 기록 및 재생 동작을 나타낸다.
SP 모드에서, 헤드(A1, A2, S1 및 S2)는 헤드 선택기(7)에 의해 선택되므로, 깊은(deep) 기록 및 재생 동작이 실행된다. 즉, 오디오 신호가 선행하는 헤드(A1 및 A2)를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된 후에, 비디오 신호가 다음 헤드(S1 및 S2)를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된다. 더 상세히 말하면, SP 기록 모드에서, 스위치(SW8 및 SW9)가 턴온(turn-on)되어 오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1)로부터 헤드(A1 및 A2)에 오디오 신호(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여 이것을 자기 테입의 깊은 부분에 기록한다. 동일 모드에서, 또한 스위치(SW1 및 SW2)가 턴온되어 비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2)로부터 헤드(S1 및 S2)에 비디오 신호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저주파 변화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다중 신호)를 제공하여 이것을, 오디오 신호가 기록되는 트랙의 표면 부분에 기록한다. SP 비디오 신호 재생 모드에서, 재생 증폭기(71a 및 71b)가 헤드(S1 및 S2) 각각에 의해 재생되는 신호를 증폭한다. 이 증폭기(71a 및 71b)의 출력이 회전 드럼(100)의 회전 위상과 동기되어 스위치(SW5)에 의해 스위칭되어 연속 재생된 신호가 된다. 이 스위치(SW5)의 출력이 스위치(SW7)를 통해 비디오 신호 재생 프로세서(4)에 제공된다.
EP 모드에서, 헤드(A1, A2, E1 및 E2)는 헤드 선택기 회로(7)에 의해 선택되므로, 깊은 기록 및 재생 동작이 실행된다. 즉, 오디오 신호가 선행하는 헤드(A1 및 A2)를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된 후에, 비디오 신호가 다음 헤드(E1 및 E2)를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된다. 상세히 말하면, EP 기록 모드에서, 스위치(SW8 및 SW9)가 턴온되어 오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1)로부터 헤드(A1 및 A2)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여 이것을 자기 테입의 깊은 부분에 기록한다. 또한 동일 모드에서, 또한 스위치(SW3 및 SW4)가 턴온되어 비디오 신호 기록 프로세서(2)로부터 헤드(E1 및 E2)에 비디오 신호를 제공하여 이것을, 오디오 신호가 기록되는 트랙의 표면 부분에 기록한다. EP 비디오 신호 재생 모드에서, 재생 증폭기(72a 및 72b)가 헤드(E1 및 E2) 각각에 의해 재생되는 신호를 증폭한다. 이 증폭기(72a 및 72b)의 출력이 회전 드럼(100)의 회전 위상과 동기되어 스위치(SW6)에 의해 스위칭되어 연속 재생된 신호가 된다. 스위치(SW6)의 출력이 스위치(SW7)를 통해 비디오 신호 재생 프로세서(4)에 제공된다.
SP 및 EP의 양측 모드에서 오디오 신호를 재생할 때, 재생 증폭기(73a 및 73b)가 헤드(A1 및 A2) 각각에 의해 재생되는 신호를 증폭한다. 이 증폭기(73a 및 73b)의 출력이 회전 드럼(100)의 회전 위상과 동기되어 스위치(SW10)에 의해 스위칭되어 재생된 연속 신호가 된다. 스위치(SW10)의 출력이 오디오 신호 재생 프로세서(3)에 제공된다.
기록 동작 동안 SP 모드 또는 EP 모드의 선택기 조작자에 의해 손으로 입력 장치(9)를 통해 실행되고 그리고 이 입력 장치(9)의 출력 신호가 제어 회로(8)에 제공된다.
이 제어 회로(8)는 입력 장치(9)로부터의 신호에 근거하여 헤드 선택기 회로(7)에 제어 신호(8a)를 출력시키므로, 이 헤드는 제6도에 도시된 것처럼 선택되고 테입 구동 회로(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8b)를 출력시킨다. 이 테입 구동 회로(10)가 자기 테입(T)을 구동시키고 제어 신호(8b)가 EP 모드를 나타낼 대 SP 모드에서 속도의 1/3의 속도에서 움직인다. 다른 한편으로, 재생 동작 동안, 제어 헤드(H)가 기록 동작 동안 입력 비디오 신호(bb)와 동기되어 기록된 제어 신호를 재생한다. CTL시 기록 및 재생 회로(11)가 제어 헤드(H)의 출력 신호를 위한 파형 정형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여 재생된 제어 신호(11a)를 출력한다. 제어 회로(8)는 재생된 제어 신호(11a)의 주파수를 검출하고, 이것에 근거하여 이것이 재생 하의 자기 테입이 SP 모드 또는 EP 모드에서 기록되는지의 여부를 결정한다.
이 결정에 따라, 제어 회로(8)가 제어 신호(8b)를 만든다.
제8도는 비디오 신호 재생 프로세서(4)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 헤드 선태기 회로의 스위치(SW7)의 출력 신호가 HPF(81) 및 LPF(86)에 제공된다. HPF(81)에 의해 분리된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가 제한기(82)에 의해 진폭-제한되고 주파수 복조기(83)에 의해 주파수-복조된다. 주파수 복조된 휘도 신호가 LPF(84) 및 디-엠퍼시스 회로(85)를 통해 믹서(89)로 지나간다.
다른 한편으로, LPF(86)에 의해 분리된 저주파 변환된 색신호가 주파수 변환기(87)에 의해 원래의 반송 주파수를 가지는 색신호로 변환된다.
이 주파수 변환기(87)의 출력 신호가 BPF(88)를 통해 믹서(89)로 지나간다.
이 믹서(89)는 휘도 신호와 색신호를 다중화하며 복합 화상 신호를 출력한다.
이 휘도 신호와 색신호는 다중화 없이 출력된다.
제9도는 오디오 신호 재생 프로세서(3)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헤드 선택기 회로(7)의 스위치(SW10)로 부터의 출력 신호가 BPF(91a 및 91b)에 제공된다. 이 BPF(91a 및 91b)의 출력 신호가 주파수 복조기(92a 및 92b), 디-엠퍼시스 회로(93a 및 93b) 및 잡음 감소 회로(94a 및 94b) 각각을 통해 지나가며, 재생된 오디오 신호가 된다.
제6도 및 제7도로 돌아가, D1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가 헤드 선택기 회로(7)의 스위치(SW14 및 SW15)를 턴온되어 헤드(A1 및 A2)를 선택하여 기록 또는 재생된다.6의 방위각을 가지는 헤드(E1 및 E2)를 이용하여 디지털 신호를 기록 또는 재생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그러나, 헤드(A1 및 A2)의 방위각이 헤드(E1 및 E2)의 방위각보다 더 큰30이기 때문에, 헤드(A1 및 A2)가 이용될 때, 이웃하는 트랙들 사이에 크로스-토크를 방지할 수 있다. D1 모드는 유럽에서 연구된 MPEG2를 이용하고 10Mbps의 전송율을 가지는 DBS(digital broadcasting system)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런 경우에, 채널 마다 기록 용량이 D2 및 D3를 고려하여 약 14.5Mbps에 세팅되기 때문에, 4.5Mbps의 마진이 있다.
그러므로, 기록 및 재생 동작이 실행되어 0 데이터 또는 다른 디지털 데이터를 4.5Mbps에 상응하는 부분에 삽입한다.
D2 모드에서, 헤드(A1, A2, E1 및 E2)는 헤드 선택기회로(7)의 스위치(SW11, SW12, SW13 및 SW15)를 온-오프 제어하여 선택되고 그리고 디지털 신호의 2-채널 동시 기록 및 재생 동작이 실행된다. D2 모드는 NTSC 신호 또는 PAL/SECAM 신호의 주파수 대역을 압축하여 얻어지는 29 Mbps의 디지털 비디오 신호에 적용할 수 있다. NTSC 신호의 경우에, 기록 및 재생 동작이 프레임 마다 5 개 트랙을 이용하여 실행되고, PAL/SECAM 신호의 경우에, 이것은 프레임 마다 6개 트랙을 이용하여 실행된다.
D3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의 간격 기록 및 재생 동작이 헤드 선택기 회로(7)의 스위치(SW12 및 SW13)를 턴 온하여 헤드(A1 및 A2)를 선택하여 실행된다. 이 D3 모드는 미국에서 연구된 MPEG2를 이용하고 7Mbps의 전송율을 가지는 DTV(digital television)에 적용된다.
이런 경우에, 채널 마다 기록 용량이 D1 및 D2를 고려하여 약 7.25 Mbps에 세팅되기 때문에, 0.25Mbps의 마진이 있다. 그러므로, 기록 및 재생 동작이 실행되어 0 데이터 또는 다른 디지털 데이터를 0.25Mbps에 상응하는 부분에 삽입한다.
이 실시예의 드럼 구동 회로(13)의 구성 및 동작은 제10도 내지 제16도와 관련하여 상술된다.
먼저, 입력 비디오 신호(bb) 및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하나의 예로서 30Hz의 프레임 주기를 가지는 NTSC 신호로 이루어지는 경우는 제10도와 제11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제10도는 드럼 구동 회로(1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제10도에서, 입력 비디오 신호(bb) 및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드럼 구동 회로(13)의 동기 분리기 회로(130)에 제공된다. 이 동기 분리기 회로(130)는 입력 비디오 신호(bb)와 입력 디지털 신호(ee)로부터의 프레임 주기를 나타내는 프레임 펄스(FP)(참고 제11a도)를 분리하고 이것을 X5 주파수 곱셈기 회로(140)의 입력 및 스위치 회로(142)의 한 단자에 제공한다. X5 주파수 곱셈기회로(140)는 프레임 펄스(FP) (참고 제11b도)의 그것보다 5배인 주파수를 가지는 출력 신호를 만든다. X5 주파수 곱셈기 회로(140)에 의해 만들어진 신호가 1/4 주파수 분할기 회로(141)에 제공되며, 이 1/4 주파수 분할기 회로(141)로부터 합성 출력 신호(제11c도)가 스위치 회로(142)의 다른 단자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 1/4 주파수 분할기 회로(141)로부터 합성 출력 신호(제10도)가 스위치회로(142)의 다른 단자에 제공된다.
따라서, 이 1/4 주파수 분할기 회로(141)의 출력 신호가 프레임 펄스(FP)의 주파수보다 1.25배 주파수를 가지며 프레임 펄스(FP)와 동기된다.
이 스위치 회로(142)는 제어 회로(8)로부터 제어 신호(8c)에 의해 제어되고 그리고 제어 신호(8c)가 아날로그 비디오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SP 모드 및 EP 모드를 나타내는 때 프레임 펄스(FP)를 출력하고 제어 신호(8c)가 디지털 비디오 정보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D1, D2 및 D3 모드를 나타내는 때 1/4 주파수 분할기 회로(141)의 출력 신호를 출력한다. 이 스위치 회로(142)의 출력 신호가 PLL 회로(143)의 하나의 입력에 제공되고 드럼 회전과 동기되는 PLL 회로(143)의 다른 입력에 제공된 펄스(DP)(제11e도)와 위상면에서 비교되므로, 이 드럼의 한 회전이 이의 주기에 상응한다. 드럼 구동 신호(13a)는 PLL 회로에 대한 입력 양측이 서로 동기된 위상일 때 이 PLL 회로(143)에 의해 만들어진다.
이 위상 비교는 스위치 회로(142)의 출력에 근거하여 제11d도에 도시된 톱니파 신호를 만들고, 펄스(DP)에 의해 톱니파 신호를 샘플-홀딩하며 루프 필터를 통과시켜 만든다.
전술한 것처럼, SP 또는 EP 모드에서, 회전 드럼의 회전 주파수가 프레임 주파수보다 1.25배가 된다. 즉, SP 및 EP 모드에서, 회전 드럼이 1800 r.p.m.에서 회전되고, D1, D2 및 D3 모드에서, 이것은 2250 r.p.m.에서 회전된다.
입력 비디오 신호(bb)와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25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PAL 또는 SECAM 신호와 관련되어 있는 경우에서, 이 드럼 구동 회로(13)의 회로 구성이 제12도에 도시된 것으로 바뀌고, 이것은 X3 주파수 곱셈기(146)와 1/2 주파수 분할기 회로(147)가 X5 주파수 곱셈기(140)와 1/4 주파수 분할기(141) 각각을 대신하여 이용되는 점에서 제10도에 도시된 드럼 구동 회로와 다르다.
제12도에 도시된 드럼 구동 회로와 다르다.
제12도에 도시된 드럼 구동 회로(13)는 프레임 펄스(제13a도)의 주파수보다 1.5배인 주파수를 가지는 신호(제13c도)를 발생시키고, D1, D2 및 D3 모드에서, 제13c도에 도시된 신호에 근거하여 만들어진 톱니파 신호(제13d도)를 위상면에서 펄스(DP)와 비교하여 드럼 구동신호(13a)를 발생시킨다.
그 결과, 회전 드럼의 회전 속도가 SP 및 EP 모드에서 프레임 주파수와 일치하고 이것은 D1, D2 및 D3 모드에서 프레임 주파수보다 1.5배가 된다.
즉 이 드럼은 SP 또는 EP 모드에서 1500 r.p.m.에서 회전되고 이것은 D1, D2 및 D3 모드에서 2250 r.p.m.으로 회전된다.
이 드럼 구동 회로(13)의 다른 실시예가 제10도와 제1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 소자가 동일한 도면 부호로 표시되어 있는 제14도와 제15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제14도는 입력 비디오 신호(bb)와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30M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NTSC 신호와 관련하는 경우에, 드럼 구동 회로(13)의 회로 구성을 보여준다.
제14도에서 SP 또는 EP 모드에서, 스위치 회로(142)가 프레임 펄스(FP)를 선택하고, 스위치 회로(144)가 펄스(DP)를 선택한다. PLL 회로(143)는 프레임 펄스(FP)의 위상과 펄스(DP)의 위상을 비교한다.
다른 한 편으로, D1, D2 및 D3 모드에서, 스위치 회로(142)가 프레임 펄스 주파수의 1/4인 주파수를 가지는 1/4주파수 분할기 회로(141)의 출력 신호를 선택한다.
이 스위치 회로(144)는 DP 펄스 주파수의 1/5인 주파수를 가지는 1/5 주파수 분할기 회로(145)의 출력 신호를 선택한다. PLL 신호(143)는 스위치 회로(142와 143)의 출력 신호의 위상들을 비교한다.
이 회전 드럼의 회전은 제10도에 도시된 드럼 구동 회로(13)의 경우에서 처럼 PLL 회로의 출력 신호에 의해 제어된다.
제15도는 입력 비디오 신호(bb)와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25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PAL 또는 SECAM 신호와 관련되는 경우에, 드럼 구동 회로의 회로 구성이다. 제15도에 도시된 회로는 1/2 주파수 분할기(147) 및 1/3 주파수 분할기 회로(148)가 1/4주파수 분할기(141) 및 1/5 주파수 분할기(145) 각각 대신에 이용되는 점에서 제14도에 도시된 것과 다른다.
이 드럼 구동 회로(13)는 다른 실시예는 제10도와 제12도에 도시된 것과 같은 구성 소자가 동일한 도면 부호로 설명되는 제16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제16도에 도시된 회로는 입력 비디오 신호(bb)와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30M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NTSC 신호로 이루어지는 경우와, 입력 비디오 신호(bb)와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25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PAL 또는 SECAM 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적응될 수 있다. 제16도에서, SP 또는 EP 모드에서, 스위치 회로(149)가 프레임 펄스(FP)를 선택한다. D1, D2 또는 D3 모드에서 스위치 회로(149)는 30Hz의 프레임 주기를 가지는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입력일 때 1/4 주파수 분할기(141)의 출력 신호를 선택하고 25Hz의 프레임 주기를 가지는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입력일 때, 1/2 주파수 분할기(147)의 출력 신호를 선택한다. 이 출력 신호의 선태깅 제어 회로(8)로부터 제어 신호(8c)의 제어하에 실행된다.
위에서 언급한 구성으로, 회전 드럼이 SP 또는 EP 모드에서 입력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펄스와 동기되어 1800 r.p.m.에서 즉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기록 및 재생 처리 동안 회전된다. 이 회전 드럼은 D1. D2 또는 D3 모드에서 30Hz 또는 25 Hz의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입력 디지털 신호일 때 약 2250r.p.m.에서 회전된다.
기록 동안 모드, D1, D2 또는 D3의 선택은 입력 디지털 신호(ee)에 삽입되고 제어 회로(8)에 의해 전송율을 나타내는 식별 호(ID 정보)를 식별하여 실행된다. 즉, 제어 회로(8)는 식별 신호에 근거하여 제어 신호(8a 및 8b)를 발생시킨다.
다른 한편으로, 재생 동안 모드의 선택은, D1, D2 또는 D3, 제어 회로(8)에 의해 입력 디지털 신호(ff)안에 삽입되는 식별 신호를 식별하여 실행된다. 그 다음, 테입 구동 회로(10)는 제어 신호(8b)가 D1 모드를 나타낼 때 SP 모드에서 자기 테입 주행 속도의 절반인 속도에서 주행하도록 자기 테입(T)을 구동시키고, 제어신호(8b)가 D2 모드를 나타낼 때 네 모드에서 자기 테입 주행 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주행하도록 자기 테입(T)을 구동시키며 그리고 제어 신호(8b)가 D3 모드를 나타낼 때 SP 모드에서의 속도의 절반인 속도에서 주행하도록 자기 테입(T)를 구동시킨다.
이제,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5)의 동작이 디지털화된 신호가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5)에 대한 입력일 경우를 위해 제17도와 관련하여 설명된다. 제17a도는 입력 디지털 신호(ee)를 나타내고 그리고 제17b도는 헤드(E1 및 E2)의 회전과 동기된 펄스 신호를 나타낸다. 펄스가 높은 레벨에 있는 주기에서, 헤드(E1)는 자기 테입(T)과 접촉하고, 그리고 펄스가 낮은 레벨에 있는 주기에서 헤드(E2)는 자기 테입(T)과 접촉된다.
제17c도는 위상면에서 120도 정도인 헤드(E1 및 E2)를 각각 선행하는 드럼의 위치에서 장착된 헤드(A1 및 A2)의 회전과 동기된 펄스 신호를 나타낸다. 제17c도에 도시된 펄스가 높은 레벨에 있는 주기에서, 헤드(A1)가 자기 테입(T)와 접촉하며, 그리고 펄스가 낮은 레벨에 있는 주기에서 헤드(A2)가 자기 테입(T)과 접촉한다. 제17a도에 도시된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제1 전송율에 두배인 제3 전송율을 갖는다.
D1 모드에서, 데이터 a1, b1,는 제17d도에 도시된 시팍스 타이밍에서 헤드(A2)에 제공되고 그리고 데이터 a3, b3,는 제17e도에 도시된 시퀀스 타이밍에서의 헤드(A1)에 제공된다.
그 결과, 입력 디지털 신호(ee)의 정보 즉, 제1 전송율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 정보의 절반인 정보의 1-채널 기록 또는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D2 모드에서, 데이터 a1, a3, b1, b3,는 제17d도와 제17e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A1 및 A2)에 의해 기록되고 그리고, 데이터 a4, b4,는 제17f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E1)에 제공되며 그리고 데이터 a2, b2,는 제17g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E1)에 제공된다.
그 결과, 제3 전송율에 상응하는 입력 디지털 신호(ee)의 두 개 채널을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D2 모드에서, 트랙 패턴이 제18도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D3 모드에서, 데이터 a2, c1,는 제17h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A1)에 제공되며, 그리고, 데이터 a1,는 제17i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E2)에 제공된다.
그 결과 입력 디지털 신호(ee) 즉, 제2 전송율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 정보의 1/4인 정보의 간격 기록 또는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D3 모드에서, 트랙 패턴이 제19도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D1, D2 또는 D3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의 사간축이 제어 회로(8)로부터 제어 신호(8c)의 제어하에 수정되고 재배열될 수 있다.
전술한 것처럼, 회전 드럼에 어떠한 헤드라도 첨가시키지 않고, SP 모드, EP 모드, D1 내지 D3 모드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헤드 구성에서, 이 헤드(E1 및 S2)는 서로 이웃하며 이 헤드(E2 및 S1)는 서로 이웃한다.
그러므로, 표준 속도와 다른 속도에서 기록 동작이 좋은 결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D1, D2 또는 D3 모드에서 기록 및 재생되는 디지털 신호로서 입력인 경우에,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5) 및 디지털 신호 재생 프로세서(6)가 제20도 및 제21도 각각에 도시된 것처럼 구성될 수 있다.
제20도에서, 도면 부호 51은 입력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를 디지털 비디오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A/D 변환기를 나타내고 도면 부호 52는 A/D 변환된 신호를 압축 코드로 처리하기 위한 인코더이며 이것을 혼화하고(seramble)에러 수정 코드를 발생시키며 53은 제17도에 도시된 방법으로 헤드에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제공하고 분배하기 위한 디멀티플렉서를 나타낸다. 제21도에서, 도면 부호 61은 디지털화된 연속 데이터에 각각의 헤드에 의해 재생되는 신호를 만들기 위한 멀티플렉서를 나타내고, 62는 인코더의 그것에 대해 역처리, 즉 에러 수정, 신호의 역혼화 및 확장을 수행하기 위한 디코더이고, 61은 디코더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비디오 및 오디오 신호로 변환시키기 위한 D/A 변환기이다.
이 실시예에서, 특히 D2 모드에서, 제1 쌍의 헤드에 의해 형성된 트랙들 사이에, 다른 트랙들이 제2쌍의 헤드에 의해 형성된다.
그러므로, 어떤 헤드의 첨가도 없이 덮어쓰기 기록 또는 재생뿐만 아니라 동시 2-채널 기록 또는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동시적인 2-채널 기록 또는 재생에서, 회전 드럼의 회전 속도를 증가시킬 필요가 없다.
따라서, 어떤 특별한 인장 제어 장치도 이용하지 않고 안정된 자기 테입 주행을 실현할 수 있고 간단한 회로 구성으로 그리고 신호 나빠짐 없이 기록 또는 재생을 달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제22도 내지 제29도와 관련하여 상세히 설명된다.
제22도에서, 헤드(H1, H2, H3 및 H4)는 디지털 신호만을 기록 및 재생하는데 이용된다. SP모드 및 EP 모드에서, 이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것을 동작시킨다.
D1, D2 또는 D3 모드에서, 입력 디지털 신호(ee)는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55)에 제공되고, 그리고 이 프로세서(55)에서 처리된 후 헤드 선택기 회로(71)를 통해 각의 헤드(H1, H2, H3 및 H4)에 제공되고 자기 테입(T)에 기록된다.
이 기록된 디지털 신호는 헤드(H1, H2, H3 및 H4)에 의해 재생되고 디지털 신호 재생 프로세서(65)에 제공되어 출력 디지털 신호(ff)가 된다.
제23도는 제2 실시예에서 이용되는 헤드와 회전 드럼의 구성을 나타내고, 그리고 제24도는 회전 드럼 상에 각각의 헤드의 장착위치를 나타낸다. 이 헤드(H1 및 H3)는 드럼의 동축 둘레 반대측 위치에서 회전 드럼에 장착되고 헤드(H2 및 H4)에 이웃한다.
헤드(H2 및 H4)의 하측 단부는 약 29정도 헤드(H1 및 H3)의 하측 단부의 한 레벨보다 더 높은 레벨에 위치된다. 이 헤드(H1 및 H3)의 폭은 각각 29보다 짧다.
제25도는 헤드 선택기 회로(71)의 동작을 나타내고 제26도는 이 헤드 선택기 회로의 블록도를 나타낸다. SP 모드 및 EP 모드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및 아날로그 오디오 신호가 제1 실시예와 같은 헤드(H1, H2, H3 및 H4)를 이용하여 기록 및 만들어진다. D1, D2 및 D3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가 헤드(H1, H2, H3 및 H4)를 이용하여 기록 및 재생된다.
D1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가 헤드 선택기 회로(71)의 스위치(SW16 및 SW17)를 턴온하여 헤드(H1 및 H3)를 선택하여 기록 또는 재생된다. D2 모드에서, 헤드(H1, H2, H3 및 H4)는 헤드 선택기 회로(71)는 스위치(SW16, SW17, SW18 및 SW19)를 턴온하여 선택되고, 그리고 이 디지털 신호의 2-채널 동시 기록 및 재생 동작이 실행된다. D3 모드에서, 디지털 신호의 간격 기록 및 재생 동작이 헤드 선택기 회로(71)의 스위치(SW16)를 턴온하여 헤드(H1)를 선택하여 설명한다.
이제,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55)의 동작은 디지털화된 신호가 디지털 신호 기록 프로세서(5)에 대한 입력인 경우를 위해 제27도와 관련하여 상술된다. 제27a도는 입력 디지털 신호(ee)를 나타내고, 그리고 제27b도는 헤드(H1, H2, H3 및 H4)의 회전과 동기된 펄스 신호를 나타낸다. 펄스가 낮은 레벨에 있는 주기에서, 헤드(H1 및 H2)는 자기 테입(T)과 접촉하며 그리고, 펄스가 높은 레벨에 있는 주기에서, 헤드(H3 및 H4)는 자기 테입(T)과 접촉한다. 제27a도에 도시된 입력 디지털 신호(ee)가 제1 전송율의 두배인 제3 전송율을 갖는다.
D1 모드에서, 데이터 a1, b1,는 제27c도에 도시된 시퀀스 타이밍에서 헤드(H1)에 제공되며 그리고 데이터 a3, b3,는 제27d도에 도시된 시퀀스 타이밍에서의 헤드(H3)에 제공된다.
그 결과, 입력 디지털 신호(ee)의 정보 즉 제1 전송율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 정보의 절반인 정보의 1-채널 기록 또는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D2 모드에서, 데이터 a1, a3, b1, b3,는 제27c도와 제27d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H1 및 H3)에 의해 기록되고, 그리고 데이터 a2, b2,는 제27e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H4)에 제공되고 그리고 데이터 a4, b4,는 제27f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H4)에 제공된다.
그 결과, 제3 전송율에 상응하는 입력 디지털 신호(ee)의 2개 채널을 기록 및 재생할 수 있다. D2 모드에서, 트랙 패턴이 제28도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D3 모드에서, 데이터 a2, c1,는 제27c도에 도시된 타이밍으로 헤드(H1)에 제공된다.
그 결과 입력 디지털 신호(ee) 즉, 제2 전송율에 상응하는 디지털 신호 정보의 1/4인 정보의 간격 기록 또는 재생을 실행할 수 있다. D3 모드에서, 트랙 패턴이 제29도에 도시된 것처럼 된다.

Claims (10)

  1. 회전 드럼에 감기는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과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기위한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회전 드럼에 장착된 다수의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수단과;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주파수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1 기록 및 재생 수단과;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2 기록 및 재생 수단과; 다중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1 모드에서 헤드 수단에 이 다중 신호를 제공하기 위해 그리고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2 모드에서 헤드 수단에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기 수단; 및 회전 드럼이 제1 드럼이 제1 모드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1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며 회전 드럼이 제2 모드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1.25배 또는 1.5배에서 회전되는 제2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2. 회전 드럼에 감기는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관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기 위한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회전 드럼에 장착된 제1 헤드와 제2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수단과;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주파수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1 기록 및 재생 수단과; 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2 기록 및 재생 수단과;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3 기록 및 재생 수단과; 다중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1 모드에서 다중 신호를 제1 헤드에 그리고 오디오 신호를 제2 헤드에 제공하며,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2 모드에서 제1 헤드와 제2 헤드에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기 수단; 및 회전 드럼이 제1 모드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1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며 회전 드럼이 제2 모드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1.25배 속도에서 회전되는 제2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3. 회전 드럼에 감기는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관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와 오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회전 드럼에 장착된 제1 헤드와 제2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수단과;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저주파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1 기록 및 재생 수단과; 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2 기록 및 재생 수단과;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3 기록 및 재생 수단과; 다중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1 모드에서 제1 헤드에 다중 신호를 그리고 제2 헤드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며,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2 모드에서 제1 및 제2 헤드에서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기 수단; 및 회전 드럼이 제1 모드에서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1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며 회전 드럼이 제2 모드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1.5배 속도에서 회전되는 제2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4. 회전 드럼에 감기는 자기 테입의 세로 방향과 관련하여 비스듬하게 자기 테입에 형성된 트랙에 비디오 신호를 기록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회전 드럼에 장착된 제1 헤드와 제2 헤드를 포함하는 헤드 수단과;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제1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저주파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제1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1 기록 및 재생 수단과; 주파수 변조된 휘도 신호와 제1 아날로그 신호와 다른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저주파 변환된 색신호를 담고 있는 제2 다중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2 기록 및 재생 수단과; 주파수 변조된 오디오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3 기록 및 재생 수단과;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제1 디지털 오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제1 디지털 신호 또는 디지털 오디오 신호와 제1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는 다른 프레임 주파수를 가지는 제2 디지털 비디오 신호로 이루어지는 제2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제4 기록 및 재생 수단과; 제1 다중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1 모드에서 제1 헤드에 제1 다중 신호를 그리고 제2 헤드에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며, 제2 다중 신호와 오디오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2 모드에서 제1 헤드에 제2 다중 신호를 그리고 제2 헤드에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하고, 제1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3 모드에서 제1 및 제2 헤드에 제1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며,그리고 제2 디지털 신호가 기록 및 재생되는 제4 모드에서 제1 및 제2 헤드에 제2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선택기 수단; 및 회전 드럼이 제1 모드에서 제1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 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1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며 회전 드럼이 제2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의 프레임마다 한번 회전되는 제2 회전 속도에서 회전 속도를 구동시키고, 회전 드럼이 제3 모드에서 제1 회전 속도보다 1.25배 속도에서 회전되는 제3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며, 회전 드럼이 제4 모드에서 제2 회전 속도보다 1.5배 속도에서 회전되는 제3 회전 속도에서 회전 드럼을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수단을 구비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되어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파수보다 1.25배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발생기 수단과; 제1 모드에서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제2 모드에서 제1 신호와 관련한 제2 프레임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치 수단; 및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위상과 스위치 수단의 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되어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파수보다 1.5배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발생기 수단과; 제1 모드에서의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와 제2 모드에서 제1 신호와 관련한 제2 프레임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치 수단; 및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위상과 스위치 수단의 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수단은 :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되어 제1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파수보다 1.25배 주파수를 가지는 제1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1 신호 발생기 수단과; 제2 디지털 비디오 신호와 관련된 제2 프레임 동기 신호와 동기되는 제2 프레임 동기 신호의 주파수보다 1.5배 주파수를 가지는 제2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2 신호 발생기 수단과; 제1 및 제2 모드에서 제1 및 제2 아날로그 비디오 신호, 제3모드에서 제1 신호 및 제4 모드에서 제2 신호와 관련한 제3 프레임 동기 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시키기 위한 스위치 수단; 및 상기 회전 드럼의 회전 위상과 스위치 수단의 출력을 동기시키기 위한 동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제3 기록 및 재생 장치는 2-채널 전송 경로를 포함할 수있으며, 상기 선택기 수단이 디지털 신호를 2-채널 전송 경로를 통해 나란히 제1 헤드와 제2 헤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제3 기록 및 재생 장치는 2-채널 전송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기 수단이 디지털 신호를 2-채널 전송 경로를 통해 나란히 제1 헤드와 제2 헤드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10. 제4항에 있어서, 제4 기록 및 재생 수단이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기록 및 재생하기 위한 2-채널 전송 경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선택기 수단은 제3 및 제4 모드에서 2-채널 전송 경로를 통해 나란히 제1 헤드와 제2 헤드에 제1 및 제2 디지털 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950034391A 1994-10-07 1995-10-07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020281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7069294 1994-10-07
JP94-270692 1994-10-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5389A KR960015389A (ko) 1996-05-22
KR100202810B1 true KR100202810B1 (ko) 1999-06-15

Family

ID=17489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4391A KR100202810B1 (ko) 1994-10-07 1995-10-07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42457A (ko)
EP (1) EP0706290B1 (ko)
KR (1) KR100202810B1 (ko)
CN (1) CN1087468C (ko)
DE (1) DE69521259T2 (ko)
MY (1) MY112179A (ko)
TW (1) TW2792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6468B2 (ja) * 1996-12-25 2001-09-10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ディジタル信号記録方法
JP2000149357A (ja) * 1998-11-04 2000-05-30 Canon Inc 画像再生装置、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3645458B2 (ja) * 1999-11-29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情報記録再生装置
CN104486541A (zh) * 2014-11-26 2015-04-01 成都盛军电子设备有限公司 一种采用触发器分频的时钟电路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44797B2 (ja) * 1988-01-25 1997-08-2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2532667B2 (ja) * 1989-06-20 1996-09-11 シャープ株式会社 ビデオ信号記録再生装置
JPH03288360A (ja) * 1990-04-04 1991-12-18 Pioneer Electron Corp 複合ディスク演奏方法
EP0465110A3 (en) * 1990-06-27 1993-08-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Apparatus for record and playback of a digital signal
DE69225103T2 (de) * 1991-08-28 1998-08-20 Japan Broadcasting Corp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zeugen eines Kopiersignals mit hoher Geschwindigkeit
JPH05207507A (ja) 1992-01-30 1993-08-1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Vtr装置
JP2897611B2 (ja) * 1992-10-16 1999-05-31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DE601963T1 (de) * 1992-12-10 1994-11-17 Gold Star Co System für die Aufzeichnung/Wiedergabe von digitalen und analogen Videosignalen.
EP0606180B1 (en) * 1993-01-05 1998-06-10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digital/analog video signals
KR0133015B1 (ko) * 1994-03-11 1998-04-16 구자홍 디지탈 아날로그 겸용 영상 기록/재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706290B1 (en) 2001-06-13
EP0706290A2 (en) 1996-04-10
KR960015389A (ko) 1996-05-22
EP0706290A3 (en) 1997-07-30
US5642457A (en) 1997-06-24
CN1087468C (zh) 2002-07-10
MY112179A (en) 2001-04-30
DE69521259T2 (de) 2002-04-11
DE69521259D1 (de) 2001-07-19
TW279227B (ko) 1996-06-21
CN1150290A (zh) 1997-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27210B1 (en) Magnetic-recording apparatus for carrying out recording by selectively using one of two kinds of recording systems
US5706385A (en) Rotary head type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202810B1 (ko) 헬리컬 주사형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920010167B1 (ko) 영상신호 중첩 및 펼침회로
JP3010742B2 (ja) 回転ヘッ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JP283979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US4695874A (en) Apparatus for processing a time-division multiplex video signal having signal durations divisible by the same number
JPS6121050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614343A (ja) ビデオレコーダ
JP3082641B2 (ja) ヘリキャルスキャン型磁気テープ装置
JPH083200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238192A (ja) 磁気記録装置
JPH0572153B2 (ko)
JPS6112337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296783A (ja) 録画再生装置
JPS6013599B2 (ja) Secamカラ−映像信号の再生装置
JPH05207513A (ja) カラー映像信号の記録装置
JPH10241284A (ja) 信号再生装置及び信号記録再生装置
JPS63161563A (ja) 情報信号再生装置
JPH10174054A (ja) 回転ヘッド型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46912A (ja) 映像信号記録装置及び映像信号再生装置
JPH10154302A (ja) 磁気記録方法
JPH0828883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019928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615838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