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799B1 - 왕복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 Google Patents

왕복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799B1
KR100202799B1 KR1019960003554A KR19960003554A KR100202799B1 KR 100202799 B1 KR100202799 B1 KR 100202799B1 KR 1019960003554 A KR1019960003554 A KR 1019960003554A KR 19960003554 A KR19960003554 A KR 19960003554A KR 100202799 B1 KR100202799 B1 KR 100202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piston
bending
chamber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5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4727A (ko
Inventor
히로미 미치유키
도모지 다루타니
하야토 이케다
노리카즈 데토
Original Assignee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소가이 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도요다지도숏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이소가이 지세이
Publication of KR960034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4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799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2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having plural sets of cylinders or pist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27/0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 F04B27/08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 F04B27/10Multi-cylinder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and characterised by number or arrangement of cylinders having cylinders coaxial with, or parallel or inclined to, main shaft axis having stationary cylinders
    • F04B27/1036Component parts, details, e.g. sealings, lubrication
    • F04B27/1081Casings, hous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s, Vaccum Pumps And Other Relevant Systems (AREA)
  • Compresso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운전상태에 있어서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보어의 구부러짐을 시정할 수 있고 압축 효율을 높이며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으로, 실린더 블록(11,12)의 중심에 구동축(32)이 지지되고 이 구동축 위에 사판(35)을 끼워맞추어 고정한다. 상기 사판(35)에는 슈(37,38)를 거쳐 피스톤(35)이 실린더 보어(11a,12a)내에서 왕복 운동 가능하게 수용된다. 후면 하우징(16)의 중심에 형성된 토출실(28)은 실린더 블록(11,13)의 후면측 단면의 중앙으로 치우치게 형성된 공동부(41,42)와 연통된다.
토출실(28)내의 높은 압력은 공동부(41,42)에도 미치며, 이 압력에 의해 실린더 블록(12)의 실린더 보어(12a)의 구부러짐이 시정되고 피스톤의 틈새가 적절하게 보존된다.

Description

왕복 운동 피스톤 형 압축기
제1도는 본 발명을 양두 피스톤 형 사판식 압축기로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도시한 종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1-1 선을 취한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2-2 선을 취한 단면도.
제4도는 주요부의 작용을 설명하는 설명도.
제5도는 본 발며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횡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
제7도는 종래 사판식 압축기의 중앙부 종단면도.
제8도는 제7도의 3-3 선을 취한 단면도.
제9도는 실린더 블록의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12 : 실린더 블록 11a,12a : 실린더 보어
13,14 : 밸브 플레이트 15,16 : 전면 및 후면하우징
23 : 관통볼트 25,26 : 흡입실
27,28 : 토출실 32 : 구동축
35 : 사판 36 : 피스톤
41,42,42,44 : 공동부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실린더 블록에 형성되고 또한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의 구부러짐을 시정할 수 있는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기술]
종래의 양두(兩頭) 사판식 압축기로서 제7도에 도시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상기 압축기는 전면 및 후면의 실린더 블록(51,52)의 앞단면 및 뒷단면의 밸브 플레이트(53,54)를 거쳐 전면 하우징(55) 및 후면 하우징(56)이 접합되고 복수의 관통 볼트(57)에 의해 서로 조여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양 실린더 블록(51,52)의 중심 구멍에는 구동축(58)이 지지되고 이 축(58)에는 사판(59)이 고종되며 이 사판(59)이 사판실(60)내에서 회전되면 실린더 블록(51,52)의 실린더 보어(51a,52a)내에 수용된 피스톤(61)이 슈(62)를 거쳐 왕복 운동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피스톤(61)의 왕복 운동에 의해 흡입실(63,64)로부터 실린더 보어(51a,52a)내 작동실에 흡인된 냉매 가스는 피스톤(61)에 의해 압축된후 토출실(65,66)로 토출된다. 도 흡입실(63,64)은 실린더 블록(51,52)에 형성된 흡입 통로(67,68)에 의해 사판실(60)과 연통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러나 종래의 양두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는 복수의 관통 볼트(57)에 의해 양 실린더 블록(51,52), 밸브 플레이트(53,54) 및 양 하우징(55,56)이 설치 고정되면 실린더 보어(51a,52a)가 제8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이크로 미터()단위로 변형된다. 이러한 변형량은 반경방향 바깥쪽으로는 8, 반경 방향 안쪽으로는 10와 같이 크다. 이 때문에 피스톤(61)이 보어(51a,52a)의 틈새가 큰 부분에서는 가스 누설이 발생하고 또한 틈새가 적은 부분에 잇어서는 피스톤(61)과 보어(51a,52a)와의 국부적인 가압력이 증대되어 마모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양 실린더 블록(51,52)은 볼트(57)의 조임에 의해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면 일수록 외경으로 증대되는 방향으로 구부러지며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틈새가 스러스트 방향에 관해서 일정하지 않고 상술한 바와 같이 압축 가스가 누설되거나 마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목적은 종래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점을 해소해서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보어 내주면이 구부러짐을 운전 상태에 있어서 시정할 수 있고 압축 효율을 높이며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피스톤을 수용하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를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이 실린더 블록에 접합되어 흡입실, 토출실 또는 크랭크실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실린더 블록 및 하우징에 지지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실내의 캠 기구를 거쳐 피스톤을 실린더 보어내에서 왕복 운동시킴으로서 흡입실에서 흡입된 가스를 압축하여토출실로 토출시키도록 구성된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 동작중 냉매 가스 압력에 의해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보오 내부면이 구부러짐을 시정하는 구부러짐 시정 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구부러짐 서정 수단으로서 실린더 블록의 보어 사이에 냉매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공동부(空洞部)를 설치하고 이 공동부의 위치를 실린더 보어가 구부러지는 것을 시정하하는 위치에 설정한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공동부를 토출실과 연통시키고, 이 공동부의 위치를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이 반경방향의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시정하는 위치에 설정한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공동부를 흡입실과 연통시키고, 이 공동부의 위치를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이 반경방향 바깥 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시정하는 위치에 설정한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3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공동부의 압력받이 면적을 실린더 블록의 스러스트 방향 중앙부분 일수록 크게 설정한다.
[작용]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압축기의운전중에 잇어서 흡입실 또는 토출실내의 냉매 가스의 압력에의해 구부러짐 시정 수단이 작동되어 실린더 보어의 구부러짐이 시정되고 피스톤의 틈새가 적정하게 보존된다. 이 때문에 작동실에서 저압실로의 압축 냉매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어 압축 효율이 향상되고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마모가 저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냉매가스의 압력이 공동부에 작용하고 이 압력 및 실린더 보어내의 압력의 대소관계 및 실린더 블록 자신의 강성등에 의해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보어의 구부러짐이 시정된다. 이때 실린더 보어와 피스톤과의 틈새가 적정하게 보존되고 압축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고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국부마찰을 억제하고 마모를 저지할 수 있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토출실내의 고압의 가스 압력이 공동부에 작용하고 이 압력이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것을 시정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와의 틈새가 적정하게 보존된다. 이 때문에 작동실로 부터 저압실로의 압축 냉매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어 압축 효율이 향상되고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마모가 저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흡입실내의 저압의 가스 압력이 공동부에 유도되어 압축 행정에 있는 실린더 보어내의 높은 압력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구부려져 있는 실린더 보어 내주면이 바깥쪽으로 가압되고, 보어의 구부러짐이 시정되고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와의 틈새가 적정하게 보존된다. 이 때문에 작동실에서 저압실로의 압축냉매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어 압축 효율이 향상되고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마모가 저지되어 내구성이 향상된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어느 한 항 발명에 따른 작용에 의해서 압력받이 면적이 적은 곳보다 큰 곳에서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의 구부러짐 시정량이 증대되고,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의 구부러짐이 실린더 블록의 스러스트 방향 전체에 걸쳐서 적절하게 시정이 된다.
[실시예]
다음에 본 발명을 왕복 운동 피스톤 형 압축기로 구체화한 제1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전면측의 실린더 블록(11)과 후면측의 실린더 블록(12)은 중앙에서 접합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의 전면측 단면에는 밸브 플레이트(13)를 거쳐 전면 하우징(15)이, 실린더 블록(12)의후면측 단면에는 밸브 플레이트(14)를 거쳐 후면하우징(16)이 접합되어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11,12)과 밸브 플레이트(13,14)사이에는 흡입 밸브(17a,18a)를 형성하는 흡입 밸브 형성판(17,18)이 개재되고 밸브 플레이트(13,14)와 전면(후면) 하우징(15,16) 사이에는 토출 밸브(19a,20a)를 형성하는 토출 밸브 형성판(19,20)이 개재되어 있다. 토출 밸브 형성판(19,20)과 전면(후면) 하우징(15,16) 사이에는 토출 밸브(19a,20a)의 최대 개구를 규제하는 리테이너 플레이트(21,22)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실린더 블록(11,12), 밸브 플레이트(13,14), 흡입 밸브 형성판(17,18), 토출 밸브 형성판(19,20) 및 , 리테이너 플레이트(21,22) 등은 복수(이 실시예에서는 5개)의 관통 볼트(23)에 의해 서로 조여져 고정되어 있다.
상기 전면 하우징(15) 및 후면 하우징(16)의 외주에는 흡입실(25,26)이 형성되고, 중심측에는 간막이벽(15a,16a)에 의해 토출실(27,28)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블록(1,12)의 실린더 보어(11a,12a)내에 형성된 전후 1 쌍의 작동실(29,30)은 밸브 플레이트(13,14)에 형성된 흡입구멍(13a,14a)을 거쳐 흡입실(25,26)과 연통되고 작동실(29,30)이 흡입 행정에 있을 때 흡입 밸브(17a,18a)를 개방해서 흡입실(25,26)에서 냉매 가스를 작동실(29,30)내로 흡입시킨다. 또한 작동실(29,30)이 토출 행정에 있을 때 밸브 플레이트(13,14)에 형성된 토출 구멍(13b,14b)에서 압축된 냉매 가스가 토출 밸브(19a,20a)를 밀어내어 토출실(27,28)로 토출된다.
상기 양 실린더 블록(11,12)의 중앙에는 크랭크실로서 사판실(31)이 형성되어 있다. 양 실린더 블록(11,12)의 중심 구멍(11b,12b)에는 구동축(32)이 레디얼 베어링(33,34)을 거쳐 외부 동력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구동축(32)의 중간 외주에는 사판(35)이 끼워맞추어 고정되고, 상기 사판(35)에는 피스톤(36)이 슈(37,38)를 거쳐 계류되며 사판(35)의회전에 의해 피스톤(36)이 실린더 보어(11a,12a) 내에서 왕복 운동을 한다.
상기 사판실(31)을 형성하는 실린더 블록(11,12)의 전후 양 측벽면과 사판(35)의 보스 부분(35a)의 단면 사이에는 스러스트 베어링(39,40)이 개재되어 있다.
상기 시판실(31)은 실린더 블록(11,12)에 형성된 흡입 통로(11c,12c)에 의해 흡입실(25,26)과 연통되어 있다. 사판실(31)은 실린더 블록(11,12)에 형성된 도시되지 않은 흡입 플랜지를 거쳐 냉매 가스의 흡입 관로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토출실(27,28)은 실린더 블록(11,12)에 형성된 토출 통로(11d,12d)(제2도, 제3도 참조) 및 토출 플랜지(도시 생략)를 거쳐 냉매 가스의 토출 관로에 접속되어 있다.
이상의 구성은 종래 공지된 압축기의 구성이다. 이어서 본 발명의 주요부구성을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1), 흡입 밸브 형성판(17), 밸브 플레이트(13) 토출 밸브 형성판(19)에는 토출실(27))과 연통되는 공동부(41)가 각 실린더 보어(11a)가 끼워진 사이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와 동일하게 실린더 블록(12), 흡입 밸브 형성판(18), 밸브 플레이트(14) 및, 토출 밸브 형성판(20)에는 후면측의 토출실(28)과 연통되는 후면측의 공동부(42)가 형성되어 있다 토출 압력이 공동부(41,42)의 내주면에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작용함으로서 실린더 보어(11a,12a)의 내부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구부러짐을 시정하도록 하고 있다.
이어서, 위와 같이 구성된 피스톤형 압축기에 대해서 그것의 작용을 설명한다.
자동차의 엔진 등의 외부 동력원에 의해 구동축(32)이 회전되면 사판실(31)내의 사판(35)이 회전되고 슈(37,38)를 거쳐 복수의 피스톤(36)이 실린더 보어(11a,12a)내에서 왕복 운동한다. 이 피스톤(36)의 운동에 의해 흡입 플랜지(도시 생략)에서 사판실(31)에 유도된 냉매 가스는 이 사판실(31)로 부터 흡입 통로(11c, 12c)를 거쳐 흡입실(25,26)로 유도되고, 흡입 구먼(13a,14a)을 통과해 작동실(29,30)내로 유도되고 이 작동실내에서 피스톤(36)에 의해 압축된 후 토출 구멍(13b,14b)을 거쳐 토출실(27,28)에 토출된다. 다시 토출실(27,28)내의 고압의 냉매 가스는 토출 통로(11d,12d) 및 토출 플랜지(도시생략)를 거쳐 응축기, 팽창 밸브, 증발기로 공급되어 차량실내의 공조에 제공된다.
압축기의 운전시에 있어서 후면측의 토출실(28)로 토출된 냉매가스는 간막이 벽(16b)의 통로(16c)를 거쳐 중앙부의 토출실(28A)로 유도되고 전면 및 후면측의 각 공동부(41,42)에는 토출실(27,28)에서 높은 압력의 냉매 가스가 진입하여 높은 압력이 작용되고, 실린더 보어(11a,12a)의 내주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구부러짐을 시정한다. 즉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동부(41,42)내에서는 화살표(P1) 방향으로 가압력이 작용하고 이것이 합성되어 실린더 블록을 화살표(P2)방향으로 가압하는 힘으로 된다. 따라서 실린더 보어(11a,12a)의 내주면의 반경방향바깥쪽으로의 구부러짐(쇄선참조)이 P2 방향의 가압력에 의해 시정된다, 이 때문에 피스톤(36)과 실린더 보어(11a,12a) 사이의 틈새의 변화가 억제되고, 예를 들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구부러짐은 2, 반경방향 안쪽으로의 구부러짐의 5로 억제된다. 그 결과 작동실(29,30)로부터 사판실(31)로의 냉매 가스의 누설이 억제되고 압축 효율의 저하를 저지시킬 수 있다. 또한 틈새가 거의 일정하게 보존되므로 피스톤(36)과 실린더 보어(11a,12a)의 내주면과의 국부편 하중이 없어지고 마모에 의한 손상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후면하우징(16)의 중앙의 토출실(28A)외에 공동부(41,42)에 의해 토출실 전체의 용적을 더욱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작동실(29,30)에서 토출실(27,28)로 토출된 냉매가스의 토출 맥동에 수반되는 소음을 압축기의 외형 치수를 크게 하지 않고도 억제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제5도에 의거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공동부(41,42)를 생략함과 함께 실린더 블록(11,112)에 대해 흡입실(25,26)과 연통되는 공동부(43,44)가 실린더 보어(11a,12a)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구부러진 부분 근터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본 제2실시예에 있어서는 실린더 보어(11a,12a)의 내주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구부러진 부분에 있어서 압축 행정시 바깥쪽으로의 토출압 상당의 압력이 작용한 경우 내부면을 공동부(43,44)측으로 변형시킬 수있고, 그 결과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틈새를 거의 일정하게 보존 압축 효율의 저하를 억제하고 마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상기 제2실시예의 그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제6도에 의거해서 설명을 한다.
종래의 기술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제9도 참조) 양 실린더 블록(11,12)이 관통 볼트(23)에 의해 조여지면 중앙 부분 일수록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구부러지는 량이 증대한다. 이 때문에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린더 블록(12,11)의 외 주측에 공동부를 설치하고 공동부(42,41)의 가압면(42a,41a)의 면적을 스러스트 방향에 관해서 실린더 블록(12,11)의 중앙 부분으로 치우칠수록 커지도록 형성한다.
이 경우에는 변형량이 커지는 중앙 부분으로 치우치는 것을 보다 큰 면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제6도에 쇄선으로 도시된 실린더 보어(11a,12a)의 내주면의 변위량이 중앙 부분일수록 많아지며, 이 결과 보어 내주면의 스러스트 방향에 관한 구부러짐이 전체에 걸쳐 시정된다.
상기 제3실시예의 그 밖의 구성, 작용 및 효과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제3실시예의 구조는 흡입실(25,26)과 연통되는 공동부(43,44)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즉 이 공동부(43,44)의 면적을 실린더 블록의 중앙부분 일수록 크게하고 보어(11a,12a)의 내주면이 작동실(29,30)내의 높은 압력에 의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가압되는 양을 실린더 블록의 스러스트 방향에 관해서 중앙부분 일수록 많게 하면 실린더 보어(11a,12a)의 내주면의 구부러짐을 전체에 걸쳐 시정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구체화할 수 있다.
(1) 상기 실시예에서는 공동부(41,42)의 지향 방향을 구동축(32)의축선과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하였으나 이것을 원주방향 성분을 갖도록 형성한다.
(2) 상기 실시예에서는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로 구체화하였으나, 이것을 한쪽 머리 피스톤형 사판식 압축기로 구체화한다. 또한, 요동 사판식의 가변용량 피스톤형 압축기로 구체화한다. 상기의 경우에도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효과가 있다.
(3)상기 실시예에서는 실린더 블록(11,12)에 공동부를 형성하였으나 이것 대신에 도시생략된 후면 하우징(15,16)에 스풀실을 설치하고, 상기 스풀실로부터 눌려 동작되는 로드가 롤러가 구비된 쐐기를 작동시켜 보어(11a,12a)의 구부러짐을 시정하도록 구성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특허청구의 범위와 같이 구성하였으므로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압축기의 운전중에 있어서 흡입실 또는 토출실내의 냉매가스의 압력에 의해 구부러짐 시정수단이 작동되어 실린더 보어의 구부러짐이 시정되고 피스톤의 틈새를 적정하게 보존할 수 있으며, 작동실에서 저압실로의압축 냉매 가스의 누설을 억제하여 압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의 마모를 저지시켜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2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압축기의 운전상태에 있어서 공동에 냉매 가스 압력을 유도하고 이 공동내의 압력과 작동실내의 압력과의 대소관계 및 양자간의 실린더 보어의 강성과의 관계에 의해 실린더 보어의 구부러짐을 억제할 수 있으며, 그 때문에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와의 틈새를 적정하게 보존해서 압축 효율의 저하를 저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와의 국부 마모를 억제시킬 수있다.
청구항 제3항에 기재된 발명은 고압의 토출압 냉매 가스를 공동부로 유도하도록 하였으므로 실린더 보어의 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구부러짐의 시정을 보다 확실하게 할 수 있어,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와의 틈새를 적정히 보존하고 압축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피스톤 및 실린더 보어의 국부 마모를 억제시킬 수있다.
청구항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은 공동부에 흡입실내의 압력의 냉매 가스를 유도하도록 하였으므로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의반경방향 바깥쪽으로의 구부러짐을 실린더 보어내의 작동실의 높은 압력에 의해 시정시켜, 피스톤과 실린더 보어와의 틈새를 적정하게 보존하여 압축 효율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으며, 피스톤 및 실린더 보어의 국부 마모를 억제시킬 수 있다.
청구항 제5항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청구항 제3항 또는 제4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의 구부러짐이 실린더 블록의 스러스트 방향 전체에 걸쳐 시정된다.

Claims (5)

  1. 피스톤을 수용하는 복수의 실린더 보어가 서로 평행하게 형성된 실린더 블록과, 상기 실린더 블록에 접합되고 흡입실, 토출실 또는 크랭크실이 형성된 하우징과,실린더 블록 및 하우징에 지지된 구동축의 회전에 의해 크랭크실내의 캠 기구를 거쳐 피스톤이 실린더 보어내에서 왕복 운동됨으로써, 흡입실에서 흡입된 가스를 압축해서 토출실로 토출되도록 구성된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에 있어서,
    압축 동작중 냉매 가스의 압력에 의해 실린더 블록에 형성된 보어 내주면의 구부러짐을 시정하는 구부러짐 시정 수단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부러짐 시정 수단은 실린더 블록의 보어 사이에 냉매 가스의 압력이 작용하는 공동부를 설치하고, 상기 공동부의 위치는 실린더 보어의 구부러짐을 시정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토출실과 연통되고, 상기 공동부의 위치는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이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구부러짐을 시정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동부는 흡입실과 연통되고, 상기 공동부의 위치는 실린더 보어의 내주면이 반경 방향 안쪽으로 구부러짐을 시정하는 위치에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공동부의 압력받이 면적이 실린더 블록의 스러스트 방향 중앙부일수록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왕복 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KR1019960003554A 1995-03-20 1996-02-09 왕복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KR100202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60981 1995-03-20
JP7060981A JPH08261146A (ja) 1995-03-20 1995-03-20 往復動ピストン型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4727A KR960034727A (ko) 1996-10-24
KR100202799B1 true KR100202799B1 (ko) 1999-06-15

Family

ID=1315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554A KR100202799B1 (ko) 1995-03-20 1996-02-09 왕복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782613A (ko)
JP (1) JPH08261146A (ko)
KR (1) KR100202799B1 (ko)
CN (1) CN1135023A (ko)
TW (1) TW38114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8299B2 (ja) * 1996-07-09 2005-01-05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JPH10213070A (ja) * 1997-01-28 1998-08-11 Zexel Corp 冷媒圧縮機
JP4065063B2 (ja) * 1998-09-17 2008-03-19 サンデン株式会社 往復動圧縮機
US6113359A (en) * 1999-06-22 2000-09-05 Eaton Corporation Axial piston pump and relieved valve plate therefor
JP2002031050A (ja) * 2000-07-17 2002-01-31 Toyota Industries Corp 圧縮機
JP2004293421A (ja) * 2003-03-27 2004-10-21 Toyota Industries Corp ピストン式圧縮機
US7862307B2 (en) * 2003-04-17 2011-01-04 Zexel Valeo Climate Control Corporation Swash plate compressor
JP4663462B2 (ja) * 2005-09-21 2011-04-06 サンデン株式会社 往復動圧縮機
JP6101422B2 (ja) * 2011-12-21 2017-03-22 日野自動車株式会社 エアコンプレッサのシリンダライナ加工方法
JP2016148292A (ja) * 2015-02-12 2016-08-1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両頭ピストン式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16720A (en) * 1980-09-08 1988-01-05 Karl Eickmann Combustion engine with exterior combustion chamber
JPH0613867B2 (ja) * 1985-12-25 1994-02-23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斜板式圧縮機
JPH0814160A (ja) * 1994-06-27 1996-01-16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ピストン型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81146B (en) 2000-02-01
CN1135023A (zh) 1996-11-06
JPH08261146A (ja) 1996-10-08
KR960034727A (ko) 1996-10-24
US5782613A (en) 1998-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1756A (en) Swash plate compressor including double-headed pistons having piston section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US8047810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US7841840B2 (en)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KR100202799B1 (ko) 왕복운동 피스톤형 압축기
US6231315B1 (en) Compressor having a value plate and a gasket
US6077049A (en) Double-headed piston type compressor
CN1065024C (zh) 往复活塞式制冷压缩机
EP1288497A2 (en) Sealing mechanism for compressor
JPH08261147A (ja) 往復動ピストン型圧縮機
JPH10196536A (ja) 往復動型圧縮機におけるシール部材の劣化防止構造
JPH05312146A (ja) 斜板式圧縮機
JP2001132629A (ja) 斜板式圧縮機
US20030210996A1 (en) Fluid machine
JP2002070739A (ja) 往復式冷媒圧縮機
US6634868B2 (en) Compressor
EP1462651A1 (en) Piston compressor
US20020127118A1 (en) Compressor
KR20070107466A (ko) 압축기
JPH09151847A (ja) 斜板型圧縮機
JPH09177670A (ja) ピストン式圧縮機
JPH062654A (ja) 圧縮機
JP3446586B2 (ja) 圧縮機
JP2000045937A (ja) 斜板式圧縮機
EP1170504A2 (en) Muffler for compressor
JPH09264254A (ja) ピストン式圧縮機及びその組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1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