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2297B1 -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2297B1
KR100202297B1 KR1019960027820A KR19960027820A KR100202297B1 KR 100202297 B1 KR100202297 B1 KR 100202297B1 KR 1019960027820 A KR1019960027820 A KR 1019960027820A KR 19960027820 A KR19960027820 A KR 19960027820A KR 100202297 B1 KR100202297 B1 KR 100202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butyl
composition
perox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78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9367A (ko
Inventor
유종선
전용철
박세형
최경만
제장수
Original Assignee
권오상
코오롱상사주식회사
박정수
한국신발피혁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상, 코오롱상사주식회사, 박정수, 한국신발피혁연구소 filed Critical 권오상
Priority to KR10199600278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2297B1/ko
Publication of KR980009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93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2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22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3Fillers, pigments or reinforc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25Crosslinking or vulcanising agents; including accelera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부타디엔 고무 5095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50 종량부를 포함하는 기재 100 중량부, 작업성 및 물성 향상용 고무성분 230 중량부, 충전제 540 중량부, 발포제 25 중량부, 가교제 0.23 중량부, 가교 조제 0.15 중량부, 커플링제 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신발 겉창용 조성물을 가교제와 발포제의 분해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혼련하여 혼련물을 형성하고, 상기 훈련물을 금형에 투입한 후 압축성형하는 공정으로 제조되는 신발 겉창은 인장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인장인열 강도 및 내마모성은 저하되지 않으면서 미끄럼 방지 효과가 우수한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일반적으로 신발의 바닥 구성재는 안창, 중창 및 겉창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겉창은 지면과 직접 접촉함으로서 지면의 상태 및 특성 등의 외부 조건에 가장 민감하게 작용하고 그 영향이 일차적으로 전달되는 부위이다. 이러한 겉창은 보행이나 달리기 시에 착지하는 노면 상태에 적절히 대응함으로서 주행 효율 향상은 물론 신체의 보상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하며, 특히 기후 변화에 따라 눈 또는 비에 의해 노면이 젖어 있거나 노후화된 도로 등에서는 미끄러질 위험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미끄럼 방지 기능이 있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의 신발 겉창은 이러한 외부 환경에 대해 적응성을 지니지 못하고 단지 인장인열 강도 및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물성에만 의존함으로서 실제 보행이나 달리기 시에 발생할 수 있는 미끄럼을 방지하는 기능이 우수하지 못한 단점이 있다.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과제]
이에,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노후화되어 미끄러지기 쉬운 도로 상태 또는 눈비등의 기후 변화에 따른 열악한 노면 상태에 대해 저절히 대처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용 겉창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연구노력한 결과, 부타디엔 고무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또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지를 적절한 비율로 블렌드한 기재에, 기능성 및 물성 향상을 위하여 각종 고무 성분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첨가하고 여기에 충전제, 가교제, 발포제 및 기타 첨가제를 투여하여 잘 혼련한 후 압축성형에 의해 가교발포시켜 신발 겉창을 제조하고, 제조된 겉창의 바닥 면에 있는 스킨 층을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미끄럼 방지 기능이 우수하여 열악한 노면 상태 등의 외부 환경에 적절히 대응할 수 있는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의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부타디엔 고무 50~95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또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5~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재 100 중량부 ; 작업성 및 물성 향상용 고무 성분 2~30 중량부 ; 충전제 5~40 중량부 ; 첨가제 3~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신발 겉창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0~40 중량%이고, 용융 흐름 지수가 0.5~30g/10분인 수지이고, 상기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9~35 중량%이고, 용융 흐름 지수가 1~30g/10분인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무 성분은 에폭시화 천연 고무, 아크릴 고무, 브롬화 부틸 고무, 이소프렌 고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공중합체 고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충전제는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황상 바륨, 황산 칼슘, 실리카, 카본 블랙 및 이들의 변성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발포제, 가교제, 가교 조제,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된다. 상기 발포제는 분해 온도가 130~200인 아조계 화합물, 니트로소계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롤니트릴,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진, 디아조아미노아조벤젠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첨가량은 2~6 중량부이며, 상기 가교제는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라우릴레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디-t-부틸디퍼옥시프탈레이트, t-디부틸퍼옥시말레인산,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t-부틸히드로퍼옥사이,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큐밀 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파옥사이드 및 디-t-부틸퍼옥사이드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과산화물이고, 첨가량은 0.2~3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가교 조제는 황,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사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부티렌글릴콜디메타크릴레이트, 금속-아크릴레이트, 금속-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고, 첨가량은 0.1~5 중량부이며, 산화 아연, 산화 마그네슘, 산화 카드뮴, 산화 칼슘, 산화 납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을 1~1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파라핀계 오일, 방향족계 오일, 디옥틸프탈레이트, 디옥틸아디페이트, 디옥틸아세테이트, 디옥틸세바케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가소제 및 연화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흐름성 개선제를 0.5~1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색소 0.01~10 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부타디엔 고무 50~95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또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5~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재 100 중량부 ; 작업성 및 물성 향상용 고무 성분 2~30 중량부 ; 충전제 5~40 중량부 ; 발포제 2~6 중량부 ; 가교제 0.2~3 중량부 ; 가교 조제 0.1~5 중량부 ; 커플링제 0.5~5 중량부를 포함하는 신발 겉창용 조성물을 가교제와 발포제의 분해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혼련하여 혼련물을 형성하고 ; 상기 혼련물을 금형에 투입한 후 압축 성형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도 역시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혼련하는 공정은 오픈롤-밀, 니이더, 반바리 믹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기구를 사용하여 실시하고, 상기 압축 성형하는 공정은 150~400kgf/의 압력하에서 약 4~20분 동안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압축 성형한 성형물의 바닥면의 표면층을 그라인더, 스카이빙기 또는 수작업으로 1~5mm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애스카 C 경도가 50~75이고, 미끄럼 방지성이(내슬립성)이 1.2 이상인 신발 겉창을 역시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부타디엔 고무(BR)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EVA) 및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EA) 등의 수지를 블렌드한 블렌드물을 기재로 하고, 필요에 따라 작업성 및 물성 향상을 위하여 각종 고무 성분을 단독 또는 2가지 이상을 투입하여 블렌드한 후, 여기에 충전제, 가교제, 발포제, 안정제, 활체 등의 각종 첨가제를 첨가하여 잘 혼련한 다음 압축성형에 의해 가교발포시킴으로서 애스카 C 경도가 50~75이고 발포 배율이 1.1~1.4(비중비)를 나타내는 신발 겉창을 제조한 후, 제조된 겉창의 바닥면에 있는 스킨(표면)을 그라인더(grinder), 스카이빙기(skiving machine) 또는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겉창은 인장인열 강도 및 내마모 등의 기계적 물성이 기존의 겉창과 비교해서 동등 이상의 측정치를 나타내면서도 특히 미끄럼 방지 정도를 나타내는 내슬립성(anti-slip property)이 월등히 우수한 특성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부타디엔 고무 50~95 중량부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또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5~50 중량부를 블렌드한 블렌드물을 기재로 사용하되, 가공성 및 물성 향상을 위하여 에폭시화 천연고무(ENR), 아크릴 고무 (AR), 브롬화 부틸고무(BIIR), 이소프렌 고무(IR) 에틸렌-프로필렌-디엔계 공중합체(EPDM) 등의 고무를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해 2~30 중량부를 블렌드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첨가되는 고무의 사용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 향상 등의 효과가 나타나지 못하고, 30 중량부를 초과하면 가공성이 불량해지며 미끄럼 방지성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재로 사용되는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하 VA 함량이라 함)이 10~40 중량% 이고 용융흐름지수(이하 MFI라 함)가 0.5~30g/10분이고,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하 EA 함량이라 함)이 935 중량%이고 MFI가 130g/10분인 것 가운데 선택된 1종 이상의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첨가제 가운데 충전제로는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황산 바륨, 황산 칼슘, 실리카, 카본 블랙 및 이들의 변성체를 기재 100 종량부에 대하여 5~40 중량부를 첨가한다. 충전제의 첨가량이 5 중량부 미만이면 충전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고 40 중량부 이상이면 경도가 높아져서 미끄럼 방지성이 급격히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발포제로는 분해 온도가 130~200인 아조계 화합물, 니트로소계 화합물, 이조비스이소부틸니트릴,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진, 디아조아미노아조벤젠 등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해 2~6 중량부를 사용하며, 그 사용량이 2 중량부 미만이면 발포 효율이 작아 비중이 높아지며, 6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외관이 불안정해진다.
유기과산화물 가교제는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라오릴레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디-t-부틸디퍼옥시프탈레이트, t-디부틸퍼옥시말레인산,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큐밀 퍼옥사이드, 메틸에텔케톤퍼옥사이드 및 디-t-부틸퍼옥사이드 등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2~3 중량부 사용하며, 이들은 1분 반감기 온도가 130~200인 것이다. 사용량에 있어서 0.2 중량부 미만을 사용하면 가교가 부족하여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고, 3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도가 급격히 높아지고 발포체가 불안정해진다.
가공특성 및 물성 향상을 위하여 산화아연, 산화마그네슘, 산화카드늄, 산화칼슘 및 산화납 등의 금속산화물과 스테아린산, 탄산아연, 스테아린산 아연 및 탄산 칼슘 등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1~10 중량부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작업성 및 성형성 개선을 위하여 흐름성개선제를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10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흐름성 개선 효과가 나타나지 못하고 10 중량부를 초과하면 기계적 물성이 급격히 저하되는데, 이러한 흐름성 개선제로는 파라핀계 오일, 방향족계 오일, 나프탄계 오일, 화이트 오일 등의 프로세스 오일과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옥틸아디페이트(DOA), 디옥틸아세테이트(DOS), 디옥틸아셀레이트(DOZ) 등의 가소제 및 연화제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가교 조제로는 소량의 황이나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부티렐글릴콜디메타크릴레이트 및 금속-아크릴레이트 또는 금속-메타크릴레이트 등을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의 사용량이 0.1 중량부 미만이면 가교 조제의 효과를 볼 수 없으며,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경도가 높아지고 발포체가 불안정해진다.
한편, 폴리머와 충전제 사이의 계면 특성을 향상시켜 성형물의 물성을 높이기 위해 커플링제(coupling agent)를 기재 100 중량부에 대해 0.5~5 중량부를 사용할 수 있는데 사용량이 0.5 중량부 미만이면 첨가의 효과를 불 수 없고, 5 중량부를 초과하면 고무 탄성 및 유연성이 저하되고 성형물의 외관이 불량하게 된다.
이밖에, 다양한 색상을 나타내기 위하여 소량의 색소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혼합물을 기재의 융용 온도 이상, 가교제와 발포제의 분해 온도 이하의 온도 범위에서 오픈롤-밀(open roll-mill), 니이더(kneader) 또는 반바리 믹서(banbury mixer)를 사용하여 충분히 혼련시켜 혼련물을 만든 다음, 150~200의 온도로 조절된 금형에 투입하고 150~400kgf/의 압력을 가하면서 약 4~20분 정도 압축 성형함으로서 외부에 스킨층을 지니는 신발 겉창용 발포체를 제조하고, 그라인딩, 스카이빙 또는 수작업에 의해 발포체의 바닥면의 스킨층을 1~5mm 제거함으로서 내슬립성이 우수한 신발 겉창을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압축 성형에 있어서, 금형 온도가 150미만이거나 성형 시간이 3분 미만이면 가교제와 발포제의 분해가 충분히 일어날 수 없으며, 금형온도가 200를 초과하거나 성형 시간이 20분을 초과하면 일부분이 변색되거나 외관이 불안정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신발 겉창은 발포 배율(비중비)이 1.1~1.4배이고 애스카 C 경도가 50~70을 보이며 내슬립성이 1.5~20 를 나타냄으로서 기존의 겉창이 가지는 0.6~1.1 에 비해 월등히 우수한 미끄럼 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고무 탄성, 인장, 인열 특성 및 내마모특성 등의 제반 물성이 기존의 겉창과 비교해서 동등 이상의 우수한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부타디엔 고무 65 중량부와 VA 함량이 25 중량% 이고 MFI가 2g/10분인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이하 EVA라 함) 35 중량부를 기재 100 중량부로 하고 천연 고무 2 중량부를 첨가한 블렌드물에 실리카, 산화아연, 스테아린산, 폴리에틸렌 글리콜, 노화방지제, 프로세스 오일과 커플링제를 하기 표 1의 조성비로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내부 온도가 70~80C 인 니이더에서 20분간 혼련한 후, 가교제인 디큐밀 퍼옥사이드와 가교 조제인 트리아밀시아누레이트, 발포제인 아조디카본아미드를 상기 혼련물에 첨가하였다. 이어서, 표면 온도 50~70인 오픈롤-밀을 사용하여 15~20분간 잘 혼련시킨 다음, 두께 3~5mm 정도의 쉬트 형태로 만들었다.
이것을 적절한 크기로 잘라서 175로 가온된 금형에 넣은 다음 250~300kg/의 압력으로 8분 20초동안 압축 성형을 시킨 후 금형을 순간적으로 열어 탈형과 동시에 팽창된 신발 겉창을 제조하였다.
이것을 실온에서 냉각시키고 바닥측 면의 스킨층을 그라인더로 제거한 뒤 물성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제조된 겉창은 에스카 C 경도가 65이고 내슬립성이 1.84 였으며, 기존의 겉창과 비교해서 제반물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부타디엔 고무 55 종량부와 VA 함량이 25 중량% 이고 MFI가 2g/10분인 EVA 25 중량부와 VA 함량이 15 중량% 이고 MFI가 2.5g/10분인 EVA 20 중량부를 블렌드한 기재 100 중량부에 아크릴 고무 3 중량부를 첨가하여 블렌드하고 기타 첨가제를 하기 표 1의 조성비에 의해 투여한 다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겉창을 제조하였다.
수지계 고무의 함량이 높음으로 인해 성형성이 우수하였으며 제조된 겉창의 애스카 C 경도는 55이었고 내슬립성은 1.53 이었으며, 기존의 겉창과 비교해서 제반물성이 우수하였다.
(실시예 3)
부타디엔 고무 80 중량부와 에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하 EA 함량이라 함)이 30 중량% 이고 MFI가 3g/10분인 에틸 아클릴레이트(이하 EEAFK 함) 20 중량부를 기재 100 중량부로 하고 하기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겉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겉창은 애스카 C 경도가 68이었으며 내슬립성은 1.75 였고, 기존의 겉창과 비교해서 제반 물성이 동등이상으로 우수하였다.
(실시예 4)
부타디엔 고무 65 중량부와 EA 함량이 30 중량% 이고 MFI가 3g/10분인 EEA 35 중량부를 기재 100 중량부로 하고 브롬화부틸 고무 5 중량부를 첨가한 폴리머 블렌드물 에 하기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여러 가지 첨가제를 투여한 다음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겉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겉창은 애스카 C 경도가 60이었으며 내슬립성은 1.69 였고, 제발물성이 기존의 겉창과 비교해서 동등 이상으로 우수하였다.
(비교예 1)
천연 고무 75 중량부와 부타디엔 고무 25 중량부를 블렌드한 고무 100 중량부를 기재로 하고 나이더와 오픈롤밀을 사용하여 하기 표 1의 조성비에 따라 첨가제를 투여하여 잘 혼련한 다음 쉬트상으로 제조하고,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170의 금형에서 150kgf/의 압력으로 7분 동안 압축 성형하여 신발 겉창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겉창의 바닥측 면을 그라인딩하여 스킨 층을 제거한 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경도는 75였고 내슬립성 1.05 였으며 또한 내마모특성이 70%로 낮게 나타났다.
(비교예 2)
1, 2-폴리부타디엔 70 중량부, 부타디엔 고무 15 중량부 및 이소프렌 고무 15 중량부를 블렌드한 기재 100 중량부에 내부 온도가 90~100인 니이더와 80~90의 오픈롤밀을 사용하여 하기 표 1과 같은 조성비에 의해 첨가제를 투여하고 잘 혼련한 다음 쉬트상으로 제조하였으며, 프레스기를 사용하여 160의 금형에서 150kgf/의 압력으로 20분간 압축성형하여 1차 발포체를 제조하고, 이것을 일정한 두께와 크기로 재단하고 그라인딩한 다음 겉창 형태의 금형에 넣고 150~160에서 10분간가온 프레스한 후, 금형이 닫힌 채로 10의 저온에서 프레스하는 리프레스(repress)공정을 거쳐 2차 발포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겉창의 바닥 측면을 그라인더를 사용하여 스킨층을 제거한 후, 물성을 측정하였다.
물성 측정한 결과, 비중은 0.5로 가벼웠으나 내슬립성이 0.90 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내마모 등의 제반 물성이 열악하였다.
상기 표 1에서
1) 부타디엔 고무
2)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VA 함량 2 중량%, MFI 25g/10분)
3)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VA 함량 2.5 중량%, MFI 15g/10분)
4) 에틸렌 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EA 함량 30 중량%, MFI 3g/10분)
5) 천연 고무
6) 브롬화 부틸고무
7) 1, 2-폴리부타디엔
이소프렌 고무
9) 아크릴 고무
10) 실리카
11) 폴리에틸렌글리콜(분자량 4000)
12) 카본 블랙
13) 커플링제
14) 커플링제
15) 프로세스 오일(파라핀계)
16) 프로세스 오일(방향족계)
17) 노화방지제
18)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가교조제)
19) 아조디카본 아미드(발포제)
20) p, p-옥시비스(벤젠술포닐하이드라지드)(발포제)
상기한 실시예 1~4와 비교예 1~2에 의해 제조된 성형품의 내슬립성, 비중, 경도, 인장 강도, 인열 강도, NBS 내마모시험을 하기한 방법으로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내슬립성
신발 겉창의 미끄럼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바닥면의 스킨층을 그라인더로 제거한 후 시험편을 제작한 다음 ASTM D-1894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시험편이 미끄러지기 직전의 정마찰계수를 취하여 값으로 나타냈다.
비중
비중은 자동비중측정장치를 사용하여 5회 측정한 후, 평균치를 취하였다.
경도
경도는 애스카 C(Asker C) 타입의 경도계로 ASTM D-2240에 준하여 측정속도로서 5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취하였다.
NBS 내마모 시험
마모 특성은 규격화된 5개의 시편은 NBS 마모 시험을 실시하여 하기 일반식에 의해 NBS 내마모율(%)을 구하여 최대최소값을 제외하고 평균값을 취하였다.

Claims (7)

  1. (a) 부타디엔 고무 50~95 중량부,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및/또는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5~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기재 100 중량부 ; (b) 작업성 및 물성 향상용 고무 성분 2~30 중량부 ; (c) 충전제 5~40 중량부 ; 및 (d) 첨가제 3~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신발 겉창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는 비닐아세테이트 함량이 10~40 중량% 이고, 융용 흐름 지수가 0.5~30 g/10분인 수지이고, 상기 에틸렌에틸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는 에틸아크릴레이트 함량이 9~35 중량% 이고, 용융 흐름 지수가 1~30 g/10분인 수지인 신발 겉창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제는 탄산 칼슘, 탄산 마그네슘, 황산 바륨, 황산 칼슘, 실리카, 카본 블랙 및 이들의 변성체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신발 겉창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제는 발포제, 가교제, 가교조제, 커플링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인 신발 겉창용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발포제는 분해 온도가 130~200인 아조계 화합물, 니트로소계 화합물, 아조비스이소부티롤니트릴, p-톨루엔설포닐히드라진, 디아조아미노아조벤젠으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첨가량은 2~6 중량부인 신발 겉창용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제는 t-부틸퍼옥시이소프로필카보네이트, t-부틸퍼옥시라루릴레이트,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디-t-부틸디퍼옥시프탈레이트, t-디부틸퍼옥시말레인산, 시클로헥사논퍼옥사이드, t-부틸큐밀퍼옥사이드, t-부틸히드로퍼옥사이드,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 디큐밀 퍼옥사이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및 디-t-부틸퍼옥사이드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유기과산화물이고, 첨가량은 0.2~3 중량부인 신발 겉창용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 조제는 황, 트리알릴시아누레이트, 트리알릴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그릴레이트, 디에틸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부티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금속-아크릴레이트, 금속- 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그룹 중에서 선택되는 것이고, 첨가량은 0.1~5 중량부인 신발 겉창용 조성물.
KR1019960027820A 1996-07-10 1996-07-10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KR100202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820A KR100202297B1 (ko) 1996-07-10 1996-07-10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7820A KR100202297B1 (ko) 1996-07-10 1996-07-10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367A KR980009367A (ko) 1998-04-30
KR100202297B1 true KR100202297B1 (ko) 1999-06-15

Family

ID=194659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7820A KR100202297B1 (ko) 1996-07-10 1996-07-10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22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135A (ko) * 2002-03-28 2003-10-08 주식회사 국제상사 탄성율이 강화된 운동화 중저용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조성물
WO2014003376A1 (ko) * 2012-06-25 2014-01-03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신발창용 스펀지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0207577A (pt) * 2001-02-23 2004-07-27 Phat Cushion Llc Almofada de espuma, método para a fabricação de uma almofada de espuma, e, uso de uma almofada
KR100485954B1 (ko) * 2001-11-19 2005-04-28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올레핀-고무 복합 고분자 발포체
KR100454284B1 (ko) * 2001-12-27 2004-10-26 한국신발피혁연구소 고신장성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0481088B1 (ko) * 2002-04-26 2005-04-07 우리켐테크(주) 입체 고발포 피브이씨계 수지 조성물
KR100477889B1 (ko) * 2002-07-18 2005-03-18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소광제와 이를 포함하는 사출용 발포체 컴파운드
KR20040050165A (ko) * 2002-12-09 2004-06-16 한국신발피혁연구소 신발 겉창용 펠렛형 고무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및 신발겉창의 제조방법
KR100852972B1 (ko) * 2007-06-29 2008-08-19 주식회사 트렉스타 난마킹성과 난슬립성을 동시에 갖는 등산화용 부틸 고무조성물
KR101512168B1 (ko) * 2014-03-10 2015-04-16 주식회사 에이로 고무 밑창용 조성물
KR101690686B1 (ko) * 2014-11-21 2016-12-29 신화에이치 주식회사 경량성이 향상된 슬립방지형 아웃솔용 고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아웃솔의 제조방법
CN112694683B (zh) * 2020-12-31 2024-01-16 中国铁路经济规划研究院有限公司 丙烯酸酯橡胶与三元乙丙橡胶共混复合橡胶的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8135A (ko) * 2002-03-28 2003-10-08 주식회사 국제상사 탄성율이 강화된 운동화 중저용eva(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조성물
WO2014003376A1 (ko) * 2012-06-25 2014-01-03 화인케미칼 주식회사 신발창용 스펀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936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2297B1 (ko) 미끄럼 방지용 신발 겉창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신발 겉창의 제조 방법
JPH04234448A (ja) ポリブテン−1を含む動的に部分架橋した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
JP2008308615A (ja) タイヤ用ゴム組成物
BR102012025160B1 (pt) composição elastomérica não expandida à base de polímero de etileno e acetato de vinila e uso da mesma para confecção de calçados
JP7010868B2 (ja) ゴム・テルペン履物
CN110591215A (zh) 一种运动鞋用超轻eva中底材料及其制造方法
KR0154397B1 (ko) 신발겉창의 제조방법
KR20060042463A (ko) 고분자의 슬로우 리커버리 특성을 이용한 슬립 방지 신발겉창용 조성물
EP1433812A1 (en) Thermoplastic elastomer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preparing them
KR19980014510A (ko) 폐고무를 사용한 신발겉창의 제조방법
US5482993A (en) Rubber composition suitable for grips of articles and grip made thereof
KR100358778B1 (ko) 프리폼 성형법에 의한 신발창용 복합화 발포체의 성형방법.
KR100340093B1 (ko) 신발용 열가소성 탄성체 조성물
KR100357907B1 (ko) 신발 겉창용 발포체 조성물
KR20070022419A (ko) 신발창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조성물, 이를 이용한 신발창 제조용 스펀지의 제조방법 및 신발창용 스펀지
KR100219730B1 (ko) 신발밑창용 스티렌계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KR101002211B1 (ko) 실리콘 오일을 이용한 신발창용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조성물 및 이에 따른 신발창용 스펀지 제조방법
JPS582340A (ja) ポリプロピレン樹脂組成物の製造法
KR100454284B1 (ko) 고신장성 고무 조성물의 제조방법
JPH0476063A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KR100378108B1 (ko) 고물성 열가소성 고무 조성물.
KR20120103196A (ko) 고무시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S61247745A (ja) 覆物底用熱可塑性樹脂組成物
WO2016137179A1 (ko) 사출성형용 고무장화 조성물
KR100314706B1 (ko) 자동차 내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2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