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783B1 - 공기조화기 조립라인에서 캐비닛 및 부품박스의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 조립라인에서 캐비닛 및 부품박스의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783B1
KR100200783B1 KR1019960038276A KR19960038276A KR100200783B1 KR 100200783 B1 KR100200783 B1 KR 100200783B1 KR 1019960038276 A KR1019960038276 A KR 1019960038276A KR 19960038276 A KR19960038276 A KR 19960038276A KR 100200783 B1 KR100200783 B1 KR 1002007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component box
cabinet
conveyance belt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9973A (ko
Inventor
조남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382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783B1/ko
Publication of KR19980019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9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7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7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1/0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1/10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 B65G21/14Supporting or protective framework or housings for endless load-carriers or traction elements of belt or chain conveyors movable, or having interchangeable or relatively movable parts; Devices for moving framework or parts thereof to allow adjustment of length or configuration of load-carrier or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65G2203/0233Position of th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128Belt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Assembly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이송장이체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완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결합되는 부품들이 탑재된 부품박스가 동일하게 이송되도록 한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소에 마련된 제어부와 접속된 모타, 상기 모타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러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완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탑재된 캐비닛이 작업차측으로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 벨트를 구비하는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캐비닛이 탑재되어 이송도는 제1이송벨트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부품이 구획되어 내장되는 부품박스가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2이송벨트로 마련된 구성이다.

Description

자동이송장치
본 발명은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완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결합되는 부품들이 탑재된 부품박스가 동일하게 이송되도록 한 자동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람이 작업을 하는 대신 기계가 자동적으로 작업을 하도록 하는 자동화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자동화시스템중의 하나인 일반적인 컨베이어(Conveyor)를 제1도에 도시하였는데, 이를 간단히 설명한다.
그 내부에 다수의 롤러(11)가 마련된 이송벨트(12)가 테이블(15)에 지지되어 있다. 롤러중의 하나(11b)는 모타(13)와 연결되어 있는데, 이 롤러(11b)는 모타(13)의 회전력에 의하여 회전되면서 이송벨트(12)가 이송되게 한다. 그리고 다른 로러(11a)들은 이송벨트(12)가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이송되도록 한다. 이송벨트(12) 위에는 캐비닛(20)이 놓여서 이송벨트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이송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자기 주위에 흩어져 있는 부품(21)을 집어서 컨베이어에 의하여 이송되고 있는 캐비닛에 결합한다.
작업공정을 살펴보면 제2도에 도시하듯이, 작업자는 필요한 부품(21)을 자기주위로 갖다놓고(S10), 부품(21)이 결합되는 캐비닛(20)을 컨베이어(10)에 탑재한다(S20). 그리고 모타(13)를 가동시켜서 컨베이어가 작동되도록 한 후(S30), 컨베이어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캐비닛이 자기(작업자) 앞으로 오면 부품을 캐비ㅣㅅ에 결합하는 것이다(S40).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작업자가 작업을 하는 경우에는 작업자가 불필요한 행도을 많이 하게 되고, 또 작업환경이 어수선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각 작업자들은 자기 주위에 자기들이 필요로 하는 부품을 갖다 놓고 작업을 한다. 그러면 작업을 하는 도중 그 부품들은 작업자 주위 여기저기에 흩어져 있게 되는데, 이로인해 작업자는 자기가 필요로 하는 부품들을 찾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또한, 작업자 주위에 흩어져 있는 부품들로 인해 작업환경이 산만해지므로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단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캐비닛에 결합되는 부품들을 구획해서 보관할 수 있는 부품박스를 마련하고, 캐비닛과 부품박스가 동일하게 이송되도록 하므로서 작업자가 부품을 찾을 필요없이 부품박스에 내장된 부품을 꺼내어 조립만 하면되는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이로 인해 작업장소의 환경문제도 개선할 수 있는 자동이송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이송장치를 보인도.
제2도는 종래의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을 보인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를 보인도.
제4a도는 제4도의 A부 확대도.
제4b도는 제4도의 B부 확대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부품박스의 사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를 이용하여 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을 보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테이블 121,122 : 제1,2이송벨트
125 : 걸림레일 127 : 낙하판
128 : 승강판 131,132,133 : 롤러
141,142,143,144 : 모타 151 : 캐비닛
152 : 부품박스 161 : 회수벨트
163,164 : 제1,2연결벨트 171,172,173,174,175 : 제1,2,3,4,5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적소에 마련된 제어부와 접속된 모타, 상기 모타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러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완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탑재된 캐비닛이 작업차측으로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벨트를 구비하는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는 상기 캐비닛이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1이송벨트와 상기 캐비닛에 결합되는 부품이 구획되어 내장되는 부품박스가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2이송벨트로 마련된 구성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자동이송장치란 탑재된 물건을 필요한 장소로 자동으로 이송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는 완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캐비닛과 캐비닛에 결합되는 부품을 동시에 이동시키면서 작업자가 불필요한 동작없이 부품박스에서 부품을 꺼내어 캐비닛에 결합하기 위한 자동이송장치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는 제3,4,5도에 도시하듯이,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테이블(110)과 테이블(110)에 의하여 지지되는 이송벨트(120)가 마련된다. 상기 이송벨트(120)의 내부에는 이송벨트를 회전시키면서 전진시키는 다수으 롤러(131,132,133)가 마련된다. 상기 롤러중 하나(133)는 모타(141)와 연결되어 모타와 동일하게 회전되고, 다른 하나(132)는 벨트가 적절한 장력을가지도록 지지하며, 또다른 하나(131)는 벨트가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한다. 상기 모타(141)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200)와 접속되어 제어부의 명령에 의하여 구동된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이송벨트(120)는 제1이송벨트(121)와 제2이송벨트(122)로 마련된다. 상기 제1이송벨트(121)에는 부품이 결합되는 캐비닛(151)이 탑재되어 이송되고, 제2이송벨트(122)에는 캐비닛(151)에 결합되는 부품이 구획되어 내장된 부품박스(152)가 탑재되어 이송된다. 상기 부품박스(152)는 일면이 개구되고, 그 내부는 다수의 구획판(152a)에 의하여 구획도어 있다(제5도 참조).
공기조화기를 예를들어 상세히 설명하면, 이송벨트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캐비닛 각각에결합되는 부품이 20가지라고 하면, 그 20가지 부품이 모두 구획되어 내장되는 부품박스(152)가 마련된다. 상기 부품박스에 모든 부품을 내자하고, 캐비닛과 부품박스를 같이 이송시킨다. 그러면 작업자는 이송되어오는 부품박스에서 필요한 부품을 꺼내어 캐비닛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 더 바람직하게는, 동일 부품들은 부품박스의 동일한 곳에 내장되도록 위치시키면 작업자는 필요한 부품들을 찾기위해 시간을 소모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2이송벨트(121, 122)의 사이에는 상기 부품박스(152)가 제1이송벨트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레일(125)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걸림레일(125)이 마련된 타측의 제2이송벨트(122) 일측에는 부품박스를 지지하는 받침부재(126)가 마련된다. 상기 받침부재(126)는 경사지게 설치되는데, 이는 부품박스가 경사진 상태로 서서 이동되게 하기 위함이다. 부품박스가 경사지게 서 있으면 작업자가 용이하게 부품들을 부품박스에서 꺼낼 수 있고, 또 부품박스에 내장된 부품들이 부품박스의 외측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상기 받침부재(126)는, 상기 제2이송벨트의 일측에 고정된 받침판(126a)과 상기 받침판(126a)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롤러(126b)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126b)는 부품박스의 저면과 접촉되어 제2이송벨트에 탑재되어 이송되는 부품박스가 더욱 더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2이송벨트(122)의 외측에는 부품박스를 회수하여 자동을 이송시키는 부품박스 회수벨트(161)가 마련된다. 이송벨트(120)가 시작되는 곳에 캐비닛과 부품박스를 탑재하고, 부품박스에 있는 부품을 모두 캐비닛에 결합하고 나면 부품박스는 비게 된다. 그 빈 부품박스는 회수되어서 다시 부품이 내장되어 이송장치에 탑재되어야 한다. 회수벨트란 상기와 같이 빈 부품박스를 회수하는 벨트를 말한다. 상기 받침부재(126)의 끝단에는 제2이송벨트의 끝까지 이송된 빈 부품박스를 상기 회수벨트(161)로 낙하시키는 낙하판(127)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낙하판(127)에는 낙하파나에 부품박스가 탑재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송신하는 제1센서(171)가 마련된다. 부품박스가 낙하판에 탑재된 것을 제1센서(171)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면, 제어부는 낙하판의 상측이 기울어지도록 명령한다. 그러면 부품박스는 회수벨트로 떨어지는 것이다. 회수벨트(161)는 이송벨트(120) 보다 낮게 마련되는데, 이는 부품박스가 용이하게 회수벨트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낙하판(127)의 뒷측에 위치되는 회수벨트(161)측에는 제2센서(172)가 마려니돈다. 상기 제2센서(172)는 회수벨트에 부품박스가 탑재되었을 때, 그 상화을 제어부로 송신하면, 제어부는 회수벨트가 회전되도록 회수벨트와 연결된 모타(142)를 구동시킨다.
상기 회수벨트(161)의 끝단에는 회수된 부품박스를 다시 제2이송벨트(121)로 전달하기 위한 제1연결벨트(163)가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결벨트(163)는 제2연결벨트(164)의 시작단가 인접되게 설치되는데, 상기 제2연결벨트(164)의 끝단은 제2이송벨트(122)의 시작단과 인접되게 설치된다. 또한, 제1연결벨트(163)측에는 회수벨트(161)로 부터 부품박스가 이송되었는가를 감지하는 제3센서(173)가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벨트(164)측에는 제1연결벨트로 부터 부품박스가 이송되었는가를 감지하는 제4센서(174)가 마련된다. 제1연결벨트에 부품박스가 탑재도면, 제3센서(173)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제1연결벨트와 연결된 모타(143)를 구동시킨다. 또한 제2연결벨트(164)에 부품박스가 탑재되면 제4센서(174)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제2연결벨트를 구동시키는 모타(144)를 가동시킨다. 상기 제2연결벨트(164)이 시작단을 제2연결벨트(163)으 끝단과 동일한 높이이고, 제2연결벨트(164)의 끝단은 제2이송벨트(122)의 시작단과 동일 높이이다.
즉, 제2연결벨트는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회수벨트(161) 및 제1,2연결벨트(163,164)에 빈 부품박스가 탑재되어 이송되는 도중에 작업자는 다시 부품박스에 부품을 내장하는 것이다.
상기 받침부재(126)의 시작단에는 승강판(128)이 마련된다. 상기 승강판은 부품박스의 상측을 승강시켜 부품박스의 저면이 받침부재에 지지되게 한다. 상세히 설명하면, 제2이송벨트(122)와 제2연결벨트(164)의 인접부위는 동일한 높이이므로, 부품박스을 받침부재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그 상면이 들어주어야 한다. 이와같은 작용을 하는 것이 승강판이다. 상기 승강판(128)에는 부품박스가 승강판에 탑재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송신하는 제5센서(175)가 마련된다. 승강판에 부품박스가 탑재된 것을 제5센서가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면 제어부는 승강판의 상단을 승강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분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으 작용을 간단히 정리하여 설명한다.
캐비닛(151)을 제1이송벨트(121)에 탑재하고, 캐비닛에 결합되는 부품이 내장된 부품박스(152)를 제2이송벨트(122)에 탑재하여 모타(141)를 구동시키면 이송벨트(120)가 가동된다. 그러면 작업자는 자기 앞에 오는 부품박스에서 부품을 꺼내어 캐비닛에 결합하면 된다. 모든 부품을 캐비닛에 결합가고 나면 부품박스는 빈 상태로 되는데, 이 빈 부품박스는 낙하판(127)에 탑재된다. 그러면 낙하판(127)에 설치된 제1센서(171)가 제어부(200)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어부의 명령에 의하여 모타(142)가 구동되므로 회수벨트가 작동된다. 회수벨트(161)에 탑재된 부품박스가 제1연결벨트(173)를 거쳐서 제2연결벨트(164)에 탑재되면 상기와 같이 제3,4센서(173, 174)가 그 신호를 제어부로 송신하고, 제어부는 모타(143,1440를 구동하는 것이다. 부품박스가 회수벨트(161)및 제1,2연결벨트(163,164) 위에 탑재되어 있을 때, 캐비닛에 결합되는 부품을 다시 부품박스에 넣는다.
부품이 다시 내장된 부품박스에 제2연결벨트(164)를 거쳐서 제2이송벨트(122)의 시작단에 마련된 승강판(128)에 탑재되면 제5센서(175)가 그 상태를 제어부로 송신한다. 그러면 제어부는 승강판의 상단을 승강시켜서 부품박스가 받침부재에 놓여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동작이 계속하여 반복되는 것이다.
제6도를 참조하여 다시한번 정리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는, 부품박스에 부품을 탑재하고(S100), 캐비닛과 부품박스를 이송벨트에 탑재(S200)만 하면 모든 공정이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작업자는 자기 앞으로 이송되어 오는 부품박스에서 부품을 꺼내어 캐비닛에 결합하면 되는 것이다(S300).
이상에서 설명하듯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이송장치는, 부품이 내장된 부품박스와 캐비닛을 자동이송장치에 탑재한 후, 작업자는 자기 위치로 이송되어 오는 부품박스에서 부품을 꺼내어 캐비닛에 결합만 하면되므로 작업자가 불필요한 행동을 전혀 할 필요가 없는 특징이 있다. 그러므로 생산성이 향상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부품들이 작업장 주위에 흩어져 있지 않으므로 작업장의 환경이 깨끗해지는 특징이 있다.

Claims (8)

  1. 적소에 마련된 제어부(200)와 접속된 모타(141), 상기 모타(141)에 의하여 회전되는 롤러(130)에 의하여 이동되면서 완제품의 외관을 이루는 탑재된 캐비닛(151)이 작업차측으로 자동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이송벨트(120)를 구비하는 자동이송장치에 있어서, 상기 이송벨트(120)는 상기 캐비닛(151)이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1이송벨트(121)와 상기 캐비닛(151)에 결합되는 부품이 구획되어 내장되는 부품박스(152)가 탑재되어 이송되는 제2이송벨트(122)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이송벨트(121,122)의 사이에는 상기 부품박스(151)가 제1이송벨트(121)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리레일(125)이 마련되고, 상기 걸림레일(125)의 타측의 제2이송벨트(125)에는 상기 부품박스(152)가 경사진 상태로 서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받침부재(126)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자동이송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26)는, 상기부품박스(152)의 저면과 접촉되어 부품박스가 원활하게 이송되도록 하는 롤러(126b)와 상기 롤러(126b)를 지지하는 받침판(126a)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이송벨트(122)의 외측에는 빈 부품박스(152)를 회수하여 자동으로 이송시키는 부품박스 회수벨트(161)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26)의 끝단에는 제2이송벨트의 끝까지 이송된 빈 부품박스를 상기 회수벨트(161)로 낙하시키는 낙하판(127)이 마련되고, 상기 낙하판(127)에는 낙하판에 부품박스(152)가 탑재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송신하는 제1센서(171)가 마련되며, 상기 낙하판의 뒷측에 위치되는 회수벨트에는 빈 부품박스가 회수벨트에 탑재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2센서(172)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수벨트(161)의 끝단에느 회수된 부품박스를 다시 제2이송벨트(122)로 전달하기 위한 제1연결벨트(163)가 마련되고, 상기 제1연결벨크(163)는 제2이송벨트(122)의 시작단과 그 끝단이 인접되게 설치된 제2연결벨트(164)의 시작단과 인접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126)의 시작단에는 제2연결벨트(164)에 의하여 제2이송벨트(122)로 이송되는 부품박스의 일측을 승강시켜 부품박스가 상기 받침부재에 놓여지도록 하기 위한 승강판(128)이 마련되고, 상기 승강판(128)에는 부품박스가 승강판에 탑재된 것을 감지하여 제어부(200)로 송신하는 제5센서(175)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벨트(163)측에는 회수벨트(161)로 부터 이송된 부품박스가 제1연결벨트에 탑재되었느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3센서(173)가 마련되고, 상기 제2연결벨트(164)측에는 제1연결벨트(163)로 부터 이송된 부품박스가 제2연결벨트에 탑재되었는가를 감지하여 제어부로 송신하는 제4센서(174)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이송장치.
KR1019960038276A 1996-09-04 1996-09-04 공기조화기 조립라인에서 캐비닛 및 부품박스의 이송장치 KR1002007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276A KR100200783B1 (ko) 1996-09-04 1996-09-04 공기조화기 조립라인에서 캐비닛 및 부품박스의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8276A KR100200783B1 (ko) 1996-09-04 1996-09-04 공기조화기 조립라인에서 캐비닛 및 부품박스의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973A KR19980019973A (ko) 1998-06-25
KR100200783B1 true KR100200783B1 (ko) 1999-06-15

Family

ID=19472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276A KR100200783B1 (ko) 1996-09-04 1996-09-04 공기조화기 조립라인에서 캐비닛 및 부품박스의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78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9973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55620B1 (ko) 기판 운반시스템 및 운반방법
US6481560B2 (en) Robotic feeding system
CN111069076A (zh) Aoi检测自动分拣机
KR100200783B1 (ko) 공기조화기 조립라인에서 캐비닛 및 부품박스의 이송장치
KR960006348B1 (ko) Nc 루터 자동 가공 시스템
JP2002347618A (ja) 無人搬送車および物品搬送設備
CN115339800A (zh) 移载装置
JPH1053332A (ja) 板状部材搬送装置
KR101984467B1 (ko) 포장용 로봇시스템
JP2000233832A (ja) 収納体処理装置
JP3702681B2 (ja) ワーク自動積み込み装置
CN219707532U (zh) 一种带有撕膜翻转功能的供料设备
JPS591127A (ja) 部品収容装置
KR200147517Y1 (ko) 캠코더 데크의 자동 조립장치
JP3344870B2 (ja) 部品供給装置
JPH05306003A (ja) パレットストッカー
JP3262678B2 (ja) 部品供給装置
JPH0322181Y2 (ko)
JPH0274093A (ja) プリント配線基板投入装置
JP2587485Y2 (ja) 天井作業等への部材の供給装置
JPH0585608A (ja) パレツトストツカー
KR0164163B1 (ko) Vtr용 하부드럼가공기의 미가공드럼공급 및 가공드럼반출용 보좌장치
JP2003053631A (ja) 部品搬送ライン
JP2002066849A (ja) 部品供給装置及び部品搬送ライン
JP2000269684A (ja) 部品供給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