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296B1 - 반도체소자의미세패턴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반도체소자의미세패턴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296B1
KR100200296B1 KR1019940014248A KR19940014248A KR100200296B1 KR 100200296 B1 KR100200296 B1 KR 100200296B1 KR 1019940014248 A KR1019940014248 A KR 1019940014248A KR 19940014248 A KR19940014248 A KR 19940014248A KR 100200296 B1 KR100200296 B1 KR 1002002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forming
photoresist film
semiconductor device
upper photoresi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4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1883A (ko
Inventor
문승찬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40014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296B1/ko
Publication of KR9600018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18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2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29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involved to create the mask, e.g. lift-off masks, sidewalls, or to modify the mask, e.g. pre-treatment, post-treat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271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 H01L21/027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photoresist layers
    • H01L21/0274Photolithographic proces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2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composition, e.g. multilayer masks,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7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 H01L21/033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 H01L21/0334Making masks on semiconductor bodies for further photolithographic processing not provided for in group H01L21/18 or H01L21/34 comprising inorganic layer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orientation, disposition, behaviour, shape, in horizontal or vertical plane
    • H01L21/0338Process specially adapted to improve the resolution of the mas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otosensitive Polymer And Photoresist Processing (AREA)
  • Exposure Of Semiconductors, Excluding Electron Or Ion Beam Expo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반도체소자가 고집적화됨에 따라 종래의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미세패턴을 형성하기가 어렵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물질층 상부에 삼층감광막을 형성하고 노광 및 현상공정을 실시하여 상층감광막패턴을 형성한 다음, 실리레이션공정을 실시하여 종래보다 미세한 상층감광막패턴을 형성하고 이를 마스크로한 식각공정으로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을 형성함으로써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Description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공정을 도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반도체기판 3 : 하부물질층
5 : 하층감광막 7 : 중간층
9 : 상층감광막 19 : 상층감광막패턴
29 : 실리레이트된 상층감광막패턴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광리소그래피 기술에 의하여 정상적인 패턴을 형성하고 실리레이션 공정으로 감광막 부피팽창에 의한 스웰링(swelling) 현상을 이용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소자의 집적도가 증가함에 따라 웨이퍼상에서 구현되어야 하는 패턴크기가 점점 감소함에 따라 광간섭현상에 의한 광콘트라스트 저하로 공정능력의 개선에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잠재 이미지 형상 구현에 사용되는 감광막의 두께를 낮추거나 감광막 표면부위에 근접 노광을 실시하고 실리레이션 공정으로 실리콘 기(group)를 주입시킨 다음, 산소 플라즈마 공정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패턴을 구현하는 디자이어(desire) 공정이 긍정적으로 검토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디자이어공정의 경우 잠재 이미지 형상, 즉 잠상이 일정한 기울기를 갖는 버즈빅(bird's beak) 모양을 갖고 있기 때문에 산소 플라즈마 식각시 식각선택비 변화에 따른 선폭 크기변화 및 패턴 프로파일 변화로 재현하기 힘든 문제점이 발생된다.
또한, 디자이어 공정시 해상능력 및 촛점 심도 여유도 등은 마스크 및 렌즈를 투과한 잠상 콘트라스트에 의하여 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공정능력의 개선에 한계가 따르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잠상 이미지를 형성하는 실리레이션용 감광막의 두께를 가능한한 얇게 하여 통상적인 노광 및 습식방법으로 감광막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감광막패턴에 실리콘을 주입시키는 실리레이션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실리콘주입에 따른 감광막패턴의 측면 부피팽창에 의하여 더욱 미세한 미세패턴을 형성할 수 있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 상부에 하부물질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하층감광막, 중간층 및 상층감광막을 순차적으로 도포하는 공정과,
상기 상층감광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상층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상층감광막패턴에 실리콘 소오스를 주입시키는 실리레이션공정을 실시하되, 온도를 80℃ - 120℃로 하고, 압력을 0.5 Torr - 1.5 Torr로 하여 일분 내지 삼분동안 실시하여 스웰링시키는 공정과,
상기 스웰링된 상층감광막패턴을 마스크로하여 상기 중간층을 식각하고 상기 상층감광막패턴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식각된 중간층을 마스크로하여 상기 하층감광막을 식각함으로써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1도 내지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서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공정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1도는 반도체기판(1) 상부에 하부물질층(3)을 형성하고 그 상부에 하층감광막(5), 중간층(7) 및 상층감광막(9)을 순차적으로 도포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하층감광막(5)는 1.0㎛ - 2.0㎛의 두께로 도포하고 150℃ - 300℃의 온도에서 일분 내지 삼분간 열공정을 실시하여 경화시킨 것이며, 상기 중간층(7)은 에스.오.지(SOG : Spin on Glass, 이하에서 SOG라 함) 또는 플라즈마화학기상증착(PECVD : Plasma Enhanced CVD, 이하에서 PECVD라 함) 기술로 형성한 PECVD 산화막을 0.05㎛ - 0.15㎛의 두께로 도포한 것이며, 상기 상층감광막(9)은 실리레이션용 감광막을 0.2㎛ - 0.4㎛ 두께로 도포한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노광 및 현상공정으로 미세한 상층감광막패턴(19)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제3도는 일정한 공정조건하에서 상기 상층감광막패턴(19)에 실리콘 소오스를 주입하는 실리레이션공정을 실시하여 부피가 팽창되어 스웰링현상이 발생한 실리레이트된 상층감광막패턴(29)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실리레이션공정은 온도를 80℃ - 120℃, 압력을 0.5 Torr - 1.5 Torr 로 하고 일분 내지 삼분동안에 실시한 것이고, 상기 실리콘 소오스는 헥사메틸다이사이레인(HMDS : HexaMehtyl DiSilane, 이하에서 HMDS라 함), 테트라메틸다이사이레인(TMDS : TetraMehtyl DiSilane, 이하에서 TMDS라 함) 등과 같이 실리콘기와 메틸기(CH3)가 포함된 물질을 사용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실리레이션 공정시 실리콘소오스에 내포된 실리콘기와 메틸기가 상기 상층감광막패턴(19)에 주입되어 상기 상층감광막패턴(19)의 부피가 패창함으로써 상기 실리레이트된 상층감광막패턴(29)의 패턴간격이 상기 상층감광막패턴(19)보다 적어져 더욱 미세한 패턴을 형성하는데 이는 상기 제2도의 공정에서 얻어진 상층감광막패턴(19)을 기준으로하고 실리레이션공정시 온도와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그리고, 일반적으로 실리레이트된 물질을 사용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것은 감광막으로 패턴을 형성하는 것보다 30 - 50% 정도 더 미세한 패턴을 얻을 수 있다.
제4도는 상기 제3도의 공정후에 상기 실리레이트된 상층감광막패턴(29)을 마스크로하여 상기 중간층(7)을 식각하고 상기 실리레이트된 상층감광막패턴(29)을 제거한 다음, 상기 식각된 중간층(7)을 마스크로하여 상기 하층감광막(5)을 식각하여 미세패턴을 형성한 것을 도시한 단면도로서, 상기 중간층(7)의 식각공정은 불소계열의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실시하고 상기 하층감광막(5) 식각공정은 산소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실시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마스크상의 패턴 크기가 감소시킴으로써 엄격하게 제어되어야 할 마스크 결함효과를 감소시키게 된다. 특히, 종래보다 미세한 폭의 스페이서 및 콘택홀을 형성할 수 있어 반도체소자의 고집적화를 가능하게 한다.

Claims (7)

  1.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에 있어서, 반도체기판 상부에 패턴이 되는 하부물질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물질층상에 하층감광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하부감광막상에 SOG나 PECVD 산화막으로된 중간층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중간층상에 실리레이션용 감광막으로 상층감광막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상층감광막을 노광 및 현상하여 상층감광막패턴을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상층감광막패턴에 실리콘 소오스를 주입시키는 실리레이션공정을 실시하여 스웰링시키는 공정과, 상기 스웰링된 상층감광막 패턴을 마스크로하여 상기 중간층을 식각하고 상기 상층감광막패턴을 제거하는 공정과, 상기 식각된 중간층을 마스크로하여 상기 하층감광막을 식각함으로써 미세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감광막은 1.0㎛ - 2.0㎛의 두께로 도포하고 150℃ - 300℃에서 일분 내지 삼분간 열공정을 실시하여 경화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의 두께는 0.05㎛ - 0.1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층감광막은 0.2㎛ - 0.4㎛의 두께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소오스는 실리콘기와 메틸기가 함유된 물질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층 식각공정은 불소계열 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층감광막 식각공정은 산소플라즈마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KR1019940014248A 1994-06-22 1994-06-22 반도체소자의미세패턴형성방법 KR1002002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248A KR100200296B1 (ko) 1994-06-22 1994-06-22 반도체소자의미세패턴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4248A KR100200296B1 (ko) 1994-06-22 1994-06-22 반도체소자의미세패턴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883A KR960001883A (ko) 1996-01-26
KR100200296B1 true KR100200296B1 (ko) 1999-06-15

Family

ID=193859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4248A KR100200296B1 (ko) 1994-06-22 1994-06-22 반도체소자의미세패턴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029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1883A (ko) 1996-0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9600B1 (ko) 콘택 형성 방법
US6627388B2 (en) Method for reducing roughness of photoresist through cross-linking reaction of deposit and photoresist
KR0128827B1 (ko) 위상반전마스크 제조방법
JP4206669B2 (ja) エッチングパターン形成方法
KR100200296B1 (ko) 반도체소자의미세패턴형성방법
KR960012630B1 (ko) 반도체소자의 미세패턴 형성방법
JPH1083087A (ja) レジストパターンの形成方法
KR20010037049A (ko) 실리레이션을 이용한 리소그라피 방법
KR100401206B1 (ko) 실리카함유 포토 레지스트를 이용한 반도체 및 광소자제조 방법
KR100380274B1 (ko) 디유브이 공정을 이용한 실리콘 산화막 식각방법
KR100842736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920005782B1 (ko) O₂/He 플라즈마를 이용한 실리레이티드 포토레지스트(silylated photoresist)의 RIE 건식현상공정
KR100350762B1 (ko)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20010063778A (ko) 스컴제거방법
CN108074806A (zh) 在基体的表面形成凸起结构的方法
KR980012133A (ko) 반도체장치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790294B1 (ko)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9980048210A (ko) 반도체 장치의 미세 패턴 형성 방법
KR100265361B1 (ko) 포토레지스트의 식각 선택비 개선방법
KR100464654B1 (ko) 반도체소자의 콘택홀 형성방법
KR0179339B1 (ko) 감광막패턴 형성방법
KR20050120412A (ko) 침수 리소그래피 공정을 이용한 반도체 소자의 미세 패턴형성방법
US20080081297A1 (en) Method of forming pattern of semiconductor device
KR20020056014A (ko) 반도체소자의 패턴 형성방법
JPS6239014A (ja) 微細パタ−ンの形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1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