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861B1 - 피펫 팁 랙 로딩장치 - Google Patents

피펫 팁 랙 로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861B1
KR100199861B1 KR1019960706763A KR19960706763A KR100199861B1 KR 100199861 B1 KR100199861 B1 KR 100199861B1 KR 1019960706763 A KR1019960706763 A KR 1019960706763A KR 19960706763 A KR19960706763 A KR 19960706763A KR 100199861 B1 KR100199861 B1 KR 1001998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t
platform
pipette tip
assembly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706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703201A (ko
Inventor
피터 린드
Original Assignee
피터 린드
랩콘, 노스 아메리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8/253,977 external-priority patent/US5470538A/en
Application filed by 피터 린드, 랩콘, 노스 아메리카 filed Critical 피터 린드
Publication of KR9707032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703201A/ko
Priority to GB9726979A priority Critical patent/GB2320850B/en
Priority to US09/001,000 priority patent/US593348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8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8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9/00Supporting devices; Holding devices
    • B01L9/54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ipettes and burettes
    • B01L9/543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pipettes and burettes for disposable pipette tips, e.g. racks or casset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LCHEMICAL OR PHYSICAL LABORATORY APPARATUS FOR GENERAL USE
    • B01L3/00Containers or dishes for laboratory use, e.g. laboratory glassware; Droppers
    • B01L3/02Burettes; Pipett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linical Laboratory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vices For Use In Laboratory Experiments (AREA)
  • Automatic Analysis And Handling Materials Therefor (AREA)
  • Sampling And Sample Adjustment (AREA)

Abstract

피펫팁 랙 적하기(1)는 실험실대에서 사용하기 위해 랙(102) 내로 피펫팁(92)의 플렛(90)을 적하시킨다. 피펫팁(92) 용 플렛은 실제 적하될 팁랙(102)의 상측 표면과 동일한 크기를 가지고 플랫(90)에 적하된 팁의 단부는 팁랙(102)의 구멍에 하나하나씩 위치한다. 적하기는 적하안된 팁랙(102)를 보유하는 하측 플랫포옴 또는 베이스(12)와 상측 플랫포옴으로 구성된다. 상측 플랫포옴(18)은 팁(92)이 랙(102)을 치지 않도록 팁랙(102) 위해 충분히 높은 위치에서 제 1 위치로 편향되어 있다. 상측 플랫포옴(18)은 플랫에 있는 팁(92)이 팁랙 구멍으로 들어가도록 눌려진다. 상측 플랫포옴(18)이 팁랙(102)에 근접할 때 플랫은 랙(102)에 등록된 팁(92)이 있는 팁랙(102)에 있도록 상측 플렛포옴(18)으로 부터 해제된다. 팁(92,96)과 몇 개 플랫(90,94)이 상측 플랫에 팁(96)과 로딩기(10)에 위치할 수 있다. 로딩기(10)는 한변에 하나의 플랫(90)이 해제되도록 작동된다.

Description

피펫 팁 랙 로딩장치
최근에, 다양한 실험 테스트를 실행하는 동안에 멸균 또는 무균 조건을 유지하는 요구 때문에 피펫과 피펫팁의 이용은 상당히 보편화되어 있다. 이와같은 이용은 사람으로 부터 취한 유체 샘플을 다양한 과정에서 실시하는 의학적 테스트 실험실에서 그리고 생물학의 진보분야등에서 실시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생의학과 생체공학 실험실 모두에서 사용하고 있다.
무균 조건을 유지하는 요구는 생물학적 실험실에 있는 어떠한 종류의 오염이 조사될 특정 분야에 관련된 부적절한 발견이 있을 수 있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의료 분야에서 실행되는 테스트가 테스트를 실행하는 환자에 지속적인 효과를 실행하는 결과를 가질 수 있다. 과거 10년 또는 15년에 HIV 또는 사람 면역 결핍 바이러스에 대한 테스트의 요건은 의료 테스트 실험에 더욱 심각한 압력을 주게된다. 물론, 잘못된 양성 테스트는 환자에게 심각한 어려움을 주고, 반면, 잘못된 음성 테스트는 환자에게 충격을 줄 뿐 아니라 질병을 더 확산시키는 결과를 가질수도 있다. 실험실 기술자의 입장에서 보면, 물론 테스트할 오염된 종과의 접촉은 매우 중요한데 실험기술자는 조사하려는 오염된 질병이 확산됨으로써 고통을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실험실은 실험장비 특별히는 장비와 시료의 사이면이 멸균후에 사람이 다루지 않도록 하는 것을 달성하는 것이다.
물론, 피펫과 피펫팁은 테스트할 샘플을 소량 얻기 위해 수년간 사용되어 왔다. 약 20년전에, 플라스틱 피펫팁과 기계적인 피펫터캠이 급속히 사용되어 왔다. 하나의 피펫터는 약2내지 21/2 인치(5내지 6.25cm)피펫팁을 사용하는데 피펫팁은 끝이 가늘게 되어 피펫터팁의 가늘어지는 단부에 맞게 된다. 피펫터는 피펫팁내에 유체를 피펫터내로 끌어들이기 위해 흡입이 일어나도록 피스톤 작용을 가진다. 기계적인 피펫터의 장점은 플라스틱 피펫이 시료가 접촉한 부분만 폐기하도록 된 것이다. 상당수의 피펫팁이 사용되었기 때문에 이들 피펫팁은 랙으로 시판된다. 시장에는 피펫랙을 피펫팁과 같이 판매되는데, 이는 환경 문제를 고려하여 과거에는 버려진 랙을 일단 비워진 경우 다시 사용하는 운동이 일고 있다. 따라서, 실험실은 피펫팁이 적하된 랙을 사는 운동이 있고 랙이 일단 비워지면 묶음으로 시판되는 피펫팁을 손으로 랙안에 다시 채워넣는다.
피펫팁을 채우는 수작업은 지루하고 시간 소모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 피펫팁 제조업자는 실험실에서 사용하기 위해 트레이내로 피펫팁을 적하시키는 과정을 이용하는 것을 시도하고 있다.
현행 피펫터가 다중-채널 피펫터이기 때문에 트레이 요구가 있는데; 즉 8개 또는 12개 시료를 동시에 취할 수 있도록 8개 또는 12개 피펫을 탑재한다. 랙은 실험실대에 위치하고 피펫터는 랙에 포함된 피펫팁열에 내려지도록 된다. 통상 랙은 세로 8개 팁 가로12개 팁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피펫터 제조업자 가운데 표준인 것은 피펫팁과 랙 사이에 공간을 두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재적하 장치는 번거롭고 피펫팁 랙의 재사용을 해결하기 위한 이들 시도에 소량의 플라스틱만이 절약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은 기존 랙보다 상당히 플라스틱 사용을 감소시키고 사용자는 플렛에 적하된 피펫팁을 살 수 있고 그다음 특별히 디자인된 장치를 사용함으로써 실험실대에 사용하는 통상의 랙내로 이들 다수 팁 플랫을 적하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시장에서 볼 수 있는 통상의 랙내로 팁을 사용자가 적하시킬 수 있도록 피펫팁 적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피펫팁과 피펫팁 랙 제조시에 플라스틱의 사용을 줄이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일련의 피펫팁렉내로 피펫팁 플렛 다수를 적하시킬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사용자의 사용할 때 특별히 고안된 랙과 플랫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실험실에서 사용하는 직립 피펫랙안에 플랫에 위치한 피펫팁을 적하하는 장치에 관계한다.
도 1 은 제 1 위치에 있을 때 피펫팁로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2 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동일 피펫 팁로딩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 은 도1에 나타낸 피펫팁 로딩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피펫팁 로딩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측면 플레이트중 하나의 정면도이다.
도 6 은 베이스 어셈블리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에서 7-7선을 따른 베이스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8 은 플랫포옴 어셈블리와 슬라이드의 하부이다.
도 9 는 도8에서 9-9 선을 따른 하부기소의 단면도이다.
도 10 은 플랫포옴 어셈블리의 상측부이다.
도 11 은 수반되는 특정상자에 있는 본 발명의 피펫팁 랙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랙과 플랫을 함께 한 도 11에 나타낸 상자의 단면도로써 도면에는 상자, 랙 그리고 플랫의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낸다.
도 13 은 상자, 랙 그리고 플랫의 측면도이다.
도 14 는 도 1의 14-14선을 따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직립 피펫팁랙내에 플랫에 위치한 다수의 피펫팁을 위치시키기 위한 로딩 장치에 관계한다.
로딩장치는 직사각형 베이스 어셈블리와 베이스 어셈블리의 맞은편에 고정된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로 이는 상방향으로 이어진 것으로 구성된다. 장치는 측면 플레이트 한쌍과 연결된 이동 가능한 플랫포옴 어셈블리를 포함하는데 플랫포옴은 기저단부의 제1 위치에서 기저 상단부의 제 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플랫포옴이 제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평행이동 수단은 베이스 어셈블리에 평행하게 플랫포옴을 유지시키고 플랫포옴 어셈블리에는 플랫포옴 어셈블리가 기저 단부에 있는 동안에는 플랫포옴 어셈블리위에 플랫을 보유하고 플랫포옴이 기저에 근접한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예정된 위치에서 플랫을 풀어주는 해제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는 4개 측벽과 각측벽의 상단에 고정된 상측 표면부를 포함하는 피펫팁랙을 포함한다. 상측 표면은 균일한 형의 다수의 구멍을 가지고 이는 원뿔 모양의 피펫을 수용, 유지시키게 된다. 상측 표면부에는 적어도 2개의 돌기를 포함하는데 한 돌기는 상측표면의 한단부에 인접위치하고, 다른 한돌기는 제1돌기와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고 실제 상측 표면부와 동일 모양을 가지는 플랫은 다수의 구멍을 가지고 이는 상측 표면부와 같이 동일한 균일 형태의 원뿔형 피펫팁을 수용하고 유지시키게 되는데, 플랫이 상측 표면 부위에 위치할 때 플랫에 있는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 표면부에 구멍의 적어도 일부에 일치되고 플랫은 상측 표면부에 2개 직접 돌기에서와 같은 플랫에 동일 관련 위치에서 플랫에 위치한 적어도 2개 등록 구멍을 또한 한정하는데 플랫이 상측 표면부에 위치할 때 그리고 2개 직립돌기가 적어도 2개 지정 구멍을 통하여 통과할 때 플랫에 있는 구멍은 상측 표면부에 있는 구멍과 일치한다.
도 1을 참고하면 피펫팁 로딩장치(10)를 나타낸다. 피펫팁 로딩장치(10)에는 직각 베이스부(12)를 포함한다. 측면 플레이트(14)(16) 한 쌍은 베이스 부에 직립이다. 플랫포옴 어셈블리(18)는 측면 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할 수 있는데, 플랫포옴 어셈블리(18)는 베이스 부에 나란하게 도1의 제 1 위치로부터 도2의 제2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플랫포옴 어셈블리는 베이스부(12)와 동일한 크기로 직각형이 된다.
도5를 참고하면, 두 개 측면 플레이트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측면 플레이트는 상측 모서리로부터 하향으로 이어지는 한 쌍의 캠슬롯(20,22)을 가진다. 각 캠 슬롯은 예정거리 d만큼 하향으로 이어진다. 이들은 제 2 예정된 거리만큼 떨어져있다. 이들이 베이스부(10)에 근접할 때, 이들은 제 2거리 d2로 아랫방향으로 확장되어 이들은 측면 플레이트의 상단(24)에서보다도 더 큰 거리로 떨어져 있게 된다. 홈의 바닥에는 짧은 지역(26)이 있는데, 여기에서 슬롯은 베이스(10쪽으로 수직하향으로 다시 뻗어있다. 두 개 슬롯(20, 22)사이에는 제 3 캠 슬롯(38)이 있다. 캠 슬롯(20, 22)의 목적은 간략하면, 상측 플렛포옴에 대해 설명하게 되는 해제기작을 작동하게 하는 것이다. 제 2 측면 패널(16)은 동일 위치에 캠슬롯과 함께 제 1 측면 패널(14)과 동일하다.
도 6과 7을 참고하면, 베이스부(12)를 나타낸다. 베이스부(12)는 도 7에 나타낸 하측 베이스(30), 도7에 나타낸 두 개 측부(32,34) 그리고 도6에 나타낸 상측 베이스 플랫포옴으로 구성된다. 상측 베이스부(36)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하측 베이스부(30)와 같은 너비를 가진다. 이와 같은 더 작은 크기는 척부(14, 16)사이에 개구부(39, 40)를 만든다. 개구부(39)는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은 베이스부의 1/2에서 확장된다. 개구부(39, 40)의 목적은 슬롯(39, 40)내로 하향으로 뻗어있다.
도1에는 나란한 이동부(42, 44)를 가장 잘 나타낸다. 도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동일한 구조의 X-형 또는 가위모양을 하고 있다. 두개 부(42, 44)는 가위 작동을 하기 위해 축(46)에 의해 서로 피봇식으로 고정된다. 축(46)은 장치가 조립되었을 때(도1과 2), 슬롯(38)내로 외방향으로 이어진다.
가위부(42, 44)의 하단에는 도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상측 베이스 플랫포옴(36)을 가로질러 이어진 막대(48, 50)가 랙의 반대 단부에서 이에 상응하는 가위부(42, 44)에 연결된다. 제2세트 가위는 제1세트가위와 동일하다. 가위(42,44)의 상단부는 핀(52, 54)에 의해 랙의 반대측에 동일한 한 쌍의 가위(42, 44)와 서로 연결된다. 핀(52, 54)사이에는 스프링(56)과 같은 탄성수단 또는 탄성체 수단이 있는데, 도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가위 장치를 편향시켜 닫힌 위치로 된다.
상측 플랫포옴 어셈블리(18)는 서로 고정된 두개부로 구성된다. 도 8에는 하부기소(58)를 나타낸다. 하부기소(58)는 직각모양으로 두 개 돌기(60, 62)에서부터 외향으로 뻗어있고, 이은 두 개 단부(14, 16)각각에 있는 슬롯에 들어가기에 적합하다. 하측단편(58)에는 직각구멍(64)이 중앙에 있다. 구멍(64)은 실제 플랫방향에서 피펫팁 플렛이 통과할 수 있도록 충분히 크다.
하부기소(58)는 도9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두 개 도려진 지역(79)을 가진다. 이들 부위(79)는 하부기소(58)의 폭을 가로질러 이어져 있어, 슬라이드(76, 78)는 구멍(64)로부터 측면 이동할 수 있다. 플랫포옴(18)의 상부(82)와 하부가 조립 될 때, 도8에서와 같이 슬라이드(76, 78)가 이동할 수 있도록 위치한다.
닫힌 위치에서 슬라이드(76, 78)와 같이 피펫팁 플랫(설명하겠지만)은 구멍(64)을 통과할 수는 없다. 열린 위치에서는 즉, 구멍으로부터 측면으로 끌어낼 때, 피펫팁 플랫은 구멍(64)을 통과할 수 있다. 슬라이드(76, 78)의 단부중에는 돌기(80)가 고정되어 있는데, 캠슬롯(20, 220에 캠이 따라가게 된다.
플랫포옴(18)의 상부기소는 도10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직각단편이다. 상부기소(82)는 하부기소(58)에 상응하는데, 단, 이의 상측 면에 있는 구멍이 약간 작은 것이 예외이다. 그러나, 이것이 통과하는 피펫팁 플랫과는 거의 동일하다. 또한, 상측 플랫포옴 의 측면에는 돌기(84)가 위치하여, 하측 플랫포옴에 각 위치한 전술한 돌기(60, 62)와 맞게된다. 상측 플랫포옴에 있는 구멍은 구멍을 통해 플랫이 통과 할 수 있도록 86(도10에서)에서 비스듬하게 되어있다.
조립되었을 때, 플랫포옴 어셈블리는 도 5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슬롯(20, 22, 38)의 닫힘에 의해 어셈블리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3의 측면에서, 동일 플랫(90)은 팁로더(10)에 의해 자리하는 것을 설명한다. 단지 설명을 위해 다수의 피펫팁(96)과 제 2 플랫(94)을 나타낸다. 도 4에서 제일 잘 나타낸 플랫(94)에는 균일한 형태로 된 다수의 구멍(98), 예로써, 12개의 구멍이 8줄로 된 것을 포함하는데, 여기에는 피펫팁(92, 96)과 같은 피펫팁이 위치한다. 이들 구멍은 도 3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피펫팁 랙(100)에 있는 균일한 상응하는 일련의 구멍에 들어간다. 전술한 것과 같이, 피펫팁 랙(100)은 상측면(91)에 동일한 수의 구멍(97)을 가지고, 구멍(97)은 균일한 형으로 위치하여, 랙(100)에 있는 구멍(97)이 랙(90)에 있는 구멍(98)에 맞게될 것이다.
풀랫(90)에는 플랫(90)의 단부에서 두 개 지정 구멍(200, 202)을 가진다. 두 개 지정 구멍은 피펫팁 랙(100)의 상측 면에 위치한 두 개 상응하는 직립 돌기(204, 206)와 같이 동일한 관련 위치에 있다.(도 2와 3참조) 이들 지정 구멍과 직립 돌기는 피펫팁 랙(100)위에 위치한 후에 지정된 플랫(90)에서 유지되도록 한다.
랙(100)은 장치가 작동될 때, 피펫팁(92)이 적하된 플랫(90)이 랙(100)에 적절히 맞는 피펫팁(92)이 있는 랙(100)에 위치할 수 있도록 로딩장치(10)에 적절한 위치에 있어야 한다. 따라서, 랙(100)에는 랙의 4개 직립 측부중 하나의 상부에 인접하여 위치한 슬롯(208)또는 오리피스(도 3참조)를 포함한다. 이 슬롯(208)은 측벽(14, 16)사이에 고정되고 이어진 벽(102)에 단단히 고정된 설상부(102)를 수용한다. 슬롯(208)은 수평 맞춤효과를 위해 설상부(102)보다는 약간 큰 수평크기로 만들어진다. 랙(100)은 설상부가 수평 정지부(21)에 고정되어 정확하게 위치하였을 때 정지부에 랙(100)이 접하도록 로딩기(10)에서 비스듬히 되는 것을 막아준다. 슬롯(208)의 수직크기는 상자(220)내에 있을 때 랙(100)이 충분히 적하될 수 있는 크기가 된다.(도 11 참조)
상자(22)는 내부크기가 랙(100)보다 약간 크고; 즉, 상자의 내측 길이(100)는 랙(100)보다 약간 길거나 상자의 내측(100)은 랙(100)의 것보다 약간 넓다. 이로써 랙이 상자 내에 위치할 때 알맞도록 된다. 또한, 슬롯(208)은 정지부(212)가 랙(100)과 접하고 랙의 상부가 상자의 가장자리위로 이어질 때 로딩기(10)에서 랙(100)이 있는 상자(220)과는 접하지 않을 때 설상부와 맞게된다.
상자(22)에는 상자(22)에 힌지형으로 고정된 덮게(222)를 포함하는데, 덮게(222)는 이의 180°위치에서 완전히 개방되고 상자(220)로부터 분리할 수 있게된다. 상자(220)에는 소켓(224)을 포함하는 랫취장치(226)를 포함하고 핀(228)은 상자(22)에 덮개를 잠그기 위해 소켓(224)에 위치할 때 소켓(224)위에서 접혀지는 랫칭부를 포함한다.
덮개(222)의 상부의 내표면(23)에는 하향으로 이어지는 적어도 두 개의 자루(232)가 있는데, 덮개(222)가 닫힐 때 각 자루(232)는 랙(100)에 있는 적어도 하나 적절하게는 두 개 피펫팁과 접촉하고 구멍(200, 202)에 맞는 핀(204)에 의해 랙(100)에 플랫(90)이 맞도록 접하게 된다.(도 12참조)
작동 시에, 플랫(90)또는 다수의 플랫(90, 94)은 상부 플랫포옴(18)의 위에 있는 구멍에 위치한다. 이 지점에서, 두 개 슬라이드(78, 76)에 있고(도8 참조) 그리고 상부 플랫포옴의 하측에 있는 구멍을 통과하지는 못한다. 또한, 플랫포옴의 상부에 있는 베벨(86)은 플랫(90)에 있는 구멍(98)과 랙(100)이 맞도록 한다. 랙(100)은 설상부(210)에 의해 예정된 위치에서 유사하게 보지된다. 상측 플랫포옴(18)이 손에 의해 눌려지면 나란한 이동암(42, 44)은 도2에서 가장 잘 설명된 것과 같이 분리된다. 캠(80)이 캠슬롯(20, 22)아래로 이동하면, 이들은 분리되고, 슬라이드(76, 78)를 끌어당겨 피펫팁이 피펫팁 랙(100)에 있는 구멍에 맞게된다.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구조가 이의 최저위치에 닿게되면, 슬라이드(78, 76)는 완전히 개방되고, 플랫(90)은 도 1과 2의 점선으로 나타낸 것과 같이 피펫팁 랙(100)위에 있도록 해제된다. 결과적으로, 등록 핀(204, 206)은 플랫을 제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해 구멍(200, 202)을 통과한다. 랙이 상자에 들어갈 때, 자루(232)는 덮개(222)가 닫힐 때 플랫이 적당한 위치에서 랙(100)에 남아 있도록 한다.
이 지점에서, 도 2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제 2 플랫(94)은 캠슬롯(20, 22)의 분기부분 위에 있어, 플랫포옴 어셈블리(18)는 가위(42, 44)와 함께 탄성부(52)에 의해 상향으로 자극을 받게된다. 슬라이드(76, 78)는 도 1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이, 어셈블리가 이의 상측 위치로 이어질 때 이들 슬롯에 의해 그 다음 피펫팁 플랫(94)을 집기 위해 안 방향으로 캠된다. 이 지점에서, 피펫팁 랙(100)은 장치로부터 끌어당겨져, 그 다음 플랫(94)에 있는 팁단부가 랙(100)의 상부에 바로 위치한 플랫에 걸리도록 충분히 하향으로 이어지지는 않는다. 랙(100)이 상자 내에 있을 때, 상자(220)의 덮개는 설상부(210)에 반대쪽에 있거나 또는 덮개는 제거될 수도 있다.
기술자들이 어셈블리내에 있는 팁을 이용하기 위해 작업공간에 랙(100)을 둔다.
랙(100)에 있는 팁을 다 사용한 경우, 플랫(90)은 재사용 요기에 두고, 랙(100)은 제 2 또는 또다른 세트의 피펫팁과 이내에 삽입된 관련 플랫을 가지도록 장치(10)로 복귀시킨다.
이와 같은 어셈블리의 장점은 피펫팁 랙을 반복해서 사용할 수 있고 제조업자에게 돌려보내는 단 한가지는 플랫(90)인데, 원하는 경우, 사용한 피펫팁(92, 96)도 가능하다. 이는 제조업자가 피펫팁 랙이 피펫팁과 같은 수로 제조할 필요는 없으며, 반면, 플랫은 요구하는 수의 피펫팁 을 포함하도록 제조 될 수 도 있다. 사용자는 과거에 했던 것처럼 손으로 랙(100)안에 피펫팁을 채우는 지루한 작업을 할 필요가 없어졌다. 또한, 일부 피펫팁 사용자가 하는 것처럽 피펫팁 랙으로 되돌려 보내는 대신에, 피펫팁 랙은 실험실에서 바로 재사용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음의 청구범위에 한정한다.

Claims (24)

  1. 직립 피펩팁랙내의 플랫에 위치한 다수의 피펫팁을 적하시키는 로딩장치에 있어서, 장치의 구성은 - 직사각 베이스 어셈블리; - 베이스 어셈블리의 양단에 고정된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로 이는 양단에서 상방향으로 이어져있고; -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플랫포옴 어셈블리는 측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할 수 있어 플랫포옴은 베이스의 제 1 알단위치에서 베이스의 제 2 전단위치로 이동할 수 있고; - 플랫포옴 어셈블리가 제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베이스 어셈블리와 나란하게 플랫포옴 어셈블리를 유지시켜주는 평행이동수단; - 플랫포옴 어셈블리는 이것이 베이스의 말단에 있을 때 플랫포옴에 플랫을 유지시키고 플랫포옴이 베이스의 전단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예정된 위치로 플랫을 풀어주는 해제수단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은 제 1 위치로 탄성을 가지며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피펫팁랙의 높이보다 더 먼 거리로 베이스와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은 플랫포옴에서 예정된 위치에 플랫을 위치시키는 유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 어셈블리가 베이스의 말단에 있을 때 플랫포옴은 플랫의 크기보다 더 작은 직사각 구멍을 한정하고 플랫포옴 어셈블리가 제 2 위치에 있을 때 이 직사각 구멍은 플랫의 크기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베이스 어셈블리에는 예정된 위치에 피펩팁랙을 위치시키는 유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평행 이동 수단은 베이스 어셈블리에 이의 단부를 따라 한단부에 피봇식으로 고정된 한쌍의 제 1 막대가 있고 플랫포옴 어셈블리의 한단부를 따라 플랫포옴 어셈블리와 미끄럼식으로 연합되어 있고 이의 반대 단부에는 각 단부에 피봇식으로 고정된 한쌍의 제 2 막대가 있고 플랫포옴 어셈블리의 반대단부를 따라 플랫포옴 어셈블리와 미끄럼식으로 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는 측면 플레이트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제 1 거리로 떨어진 한쌍의 캠슬롯이 예정 거리로 나란하게 하향으로 이어지고 캠슬롯은 제 2 예정거리로 분산되어 있으며, 해체 수단은 나란하게 플랫포옴에 이동식으로 탑재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플랫포옴이 위에 있을 때 플랫의 폭보다 짧은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고; 캠 추종자는 슬라이드부의 각 단부에 고정되어 캠슬롯에 들어가 플랫포옴이 제 1 상 위치에서 제 2 하위치로 될 때 캠추종자는 캠슬롯이 분산되는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9. 피펩팁로딩 어셈블리에 구성에 있어서 -피펫팁랙은 4개 측벽과 측벽 각각의 상단에 고정된 상측 표면부를 가지고 상측 표면부는 원뿔형 피펩팁을 수용하고 유지시키는 균일한 형태의 다수 구멍을 가지고 상측 표면부는 적어도 2개 직립돌기를 추가로 포함하고 있는데 한돌기는 상측표면부의 한단부에 인접위치하고 있고 다른 돌기는 제 1 돌기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으며; - 제 1 플랫은 실제 상측 표면부와 동일 모양을 가지고 플랫은 상측 표면부 구멍과 동일한 균일형으로 원뿔형 피펩팁을 수용하고 유지시킬 수 있도록 다수의 구멍을 가지고 있어 피펫이 상측 표면부의 위에 위치할 때 플랫에 있는 구멍의 적어도 일부는 상측 표면부에 있는 구멍의 일부에 들어가고 플랫은 또한 상측 표면부에 있는 2개 직립돌기와 같이 플랫에 동일한 상대적 위치에서 플랫에 위치한 적어도 2개의 맞춤 구멍이 있어 플랫이 상측 표면부에 위치할 때 그리고 2개 직립 돌기가 적어도 2개 맞춤구멍을 통하여 통과할 때 플랫에 있는 구멍은 상측 표면부에 있는 구멍과 맞고; - 로딩장치는 예정된 위치에서 팁랙을 수용하기 위해 직사각 베이스 어셈블리로 구성되고; - 베이스 어셈블리의 마주하는 단부에 고정되어 여기에서 상방향으로 이어진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 - 플레이트 어셈블리는 한쌍의 측면 플레이트에 대해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플랫포옴이 베이스의 말단 제 1 위치에서 베이스의 전단 제 2 위치로 이동하고; - 플랫포옴이 제 1 위치에서 제 2 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베이스 어셈블리와 나란하게 플랫포옴 어셈블리를 유지시키는 평행이동수단; - 플랫포옴 어셈블리는 플랫포옴 어셈블리가 베이스 단부에 있을 때 플랫포옴 어셈블리에서 플랫을 유지시키고, 플랫포옴이 베이스 전단인 제 2 위치로 이동할 때 예정된 위치에서 플랫을 해제시키는 해제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펩팁 로딩 어셈블리.
  10. 제 9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은 제 1 위치로 탄성을 가지며 편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1. 제 9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이 제 1 위치에 있을 때 피펫팁랙의 높이보다 더 먼 거리로 베이스와 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2. 제 9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은 플랫포옴에서 예정된 위치에 플랫을 위치시키는 유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3. 제 9 항에 있어서 플랫포옴 어셈블리가 베이스의 말단에 있을 때 플랫포옴은 플랫의 크기보다 더 작은 직사각 구멍을 한정하는 로딩장치.
  14. 제 9 항에 있어서 베이스 어셈블리에는 예정된 위치에 피펩팁랙을 위치시키는 유도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평행 이동 수단은 베이스 어셈블리에 이의 단부를 따라 한단부에 피봇식으로 고정된 한쌍의 제 1 막대가 있고 플랫포옴 어셈블리의 한단부를 따라 플랫포옴 어셈블리와 미끄럼식으로 연합되어 있고 이의 반대 단부에는 각 단부에 피봇식으로 고정된 한쌍의 제 2 막대가 있고 플랫포옴 어셈블리의 반대단부를 따라 플랫포옴 어셈블리와 미끄럼식으로 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각 플레이트는 측면 플레이트의 상측 단부에 인접한 제 1 거리로 떨어진 한쌍의 캠슬롯이 예정 거리로 나란하게 하향으로 이어지고 캠슬롯은 제 2 예정거리로 분산되어 있으며, 해체 수단은 나란하게 플랫포옴에 이동식으로 탑재된 슬라이드부를 포함하고 플랫포옴이 위에 있을 때 플랫의 폭보다 짧은 거리로 서로 떨어져 있고; 캠 추종자는 슬라이드부의 각 단부에 고정되어 캠슬롯에 들어가 플랫포옴이 제 1 상 위치에서 제 2 하위치로 될 때 캠추종자는 캠슬롯이 분산되는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로딩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피펩팁랙은 길이가 ℓ, 폭이 w이며 어셈블리에는 추가로 - 힌지식 덮개를 가지는 상자, 힌지식 상자에는 플랫탑이 있고 상자는 ℓ보다 더 긴 내측과 w보다 더 넓은 내폭을 가지고 상자는 힌지식 덮개가 닫힌 위치에서 피펩팁랙과 플렛에 피펫팁을 보유한 피펫팁랙의 위에서 플랫과 피펩팁랙의 높이보다 더 높은 내측 높이를 가지고, - 힌지식 덮개의 플랫탑은 힌지식 덮개의 플랫탑 내측에 있는 적어도 2개의 자루를 한정하고 자루는 하향으로 이어져 각 자루는 덮개가 닫혀있을 때 피펫팁랙과 플랫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피펩팁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8. 제 17 항에 있어서, 힌지식 덮개는 상자로부터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19. 제 17 항에 있어서 힌지식 덮개는 덮개를 상자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랫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0. 제 9 항에 있어서 피펩팁랙은 상측 표면에 인접하여 이의 측면을 따른 오리피스를 한정시키고 장치에서 피펫팁랙을 등록시키기 위한 구멍은 피펩팁랙에 있는 플랫에 위치한 피펫팁을 적하시키기에 알맞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1. 제 18 항에 있어서 힌지식 덮개는 덮개를 상자에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한 랫치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2. 제 17 항에 있어서 피펩팁랙은 상측 표면에 인접하여 이의 측면을 따른 오리피스를 한정시키고 장치에서 피펫팁랙을 등록시키기 위한 구멍은 피펩팁랙에 있는 플랫에 위치한 피펫팁을 적하시키기에 알맞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3. 제 9 항에 있어서, 제 1 플렛과 동일한 모양의 제 1 플랫 그리고 적어도 세 개 피펫팁으로 구성되고 제 1 피펩팁랙에 원뿔형 모양의 피펫팁을 수용하고 유지시키도록 만들어진 구멍에 각각 적어도 세 개 피펫팁이 위치하고 제2 플랫은 적어도 세 개 피펫팁에 위치하여 제2 랙에 원뿔형 피펫팁을 수용하고 유지시키는 형태로 된 구멍에 수용된 피펩팁은 제 1 랙이 있는 피펫팁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셈블리.
  24. 피펫팁을 포장하는 방법에 있어서 1) 적어도 2개 플렛을 제공하는데 각 플렛에는 상측과 하측표면이 있고 각 플렛은 균일한 형태의 다수의 구멍이 있고 이 구멍중 적어도 일부는 플렛을 통해 이어져 있는 피펩팁이 위치한 구멍내에 있고 적어도 2개 플랫에는 상하 플랫이 포함되는데 상측 플렛은 하측 플랫을 통하여 이어진 피펫팁이 있고 하측랙을 통하여 이어진 피펫팁은 상측 랙을 통해 이어지고; 2) 피펩팁랙을 제공하는데 직립 측벽과 1단계에서 제시한 플랫에 있는 구멍에 상응하는 구멍을 가지는 상측표면을 가지고 3) 피펩팁랙에 하측플랫과 피펩팁을 위치시키기 위해 적어도 2개 플렛을 지지하는 로딩기를 제공하고 4) 하나 플랫이 피펫팁랙의 상측면에 있는 구멍을 통하여 피펫팁이 이어진 피펩팁 랙의 위에 위치시키도록 로딩장치를 작동시키는 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60706763A 1994-06-03 1995-03-20 피펫 팁 랙 로딩장치 KR1001998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9726979A GB2320850B (en) 1996-11-29 1997-12-22 Automatic call designation in key telephone exchange
US09/001,000 US5933482A (en) 1996-11-29 1997-12-30 Method and apparatus for designating and making an automatic call for a pair of key telephone sets in a key telephone exchange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K0552/94 1994-05-16
KZ940561.1 1994-05-23
KZ9405601 1994-05-23
US08/253,977 1994-06-03
US8/253,977 1994-06-03
US08/253,977 US5470538A (en) 1994-06-03 1994-06-03 Pipette tip rack loader
EP94/02676 1994-08-11
US37716195A 1995-01-24 1995-01-24
US8/377,161 1995-01-24
US08/377,161 1995-01-24
PCT/US1995/003576 WO1995033564A1 (en) 1994-06-03 1995-03-20 Pipette tip rack load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703201A KR970703201A (ko) 1997-07-03
KR100199861B1 true KR100199861B1 (ko) 1999-06-15

Family

ID=26943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706763A KR100199861B1 (ko) 1994-06-03 1995-03-20 피펫 팁 랙 로딩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622676A (ko)
EP (1) EP0762938B1 (ko)
JP (1) JP3816950B2 (ko)
KR (1) KR100199861B1 (ko)
AT (1) ATE194091T1 (ko)
AU (1) AU686791B2 (ko)
CA (1) CA2191581C (ko)
DE (1) DE69517688T2 (ko)
WO (1) WO199503356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9421735U1 (de) * 1994-09-08 1996-07-11 Steinbrenner Bernd Dr Vorrichtung zur Bereitstellung einer Vielzahl von Gegenständen auf einem Träger
US5779984A (en) * 1996-12-04 1998-07-14 Rainin Intstrumental Co., Inc. Pipette tip rack and refill pack containing large maximized volume freely nestable pipette tips
DE19714135C1 (de) * 1997-04-05 1998-09-03 Bernd Dr Steinbrenner Vorrichtung zum Umsetzen von Gegenständen für Laborbedarf
US5882603A (en) * 1997-10-15 1999-03-16 Point Plastics Incorporated Support rack for pipette tips
FR2784076B1 (fr) 1998-10-06 2000-12-22 Gilson Sa Ensemble comprenant des recharges de cones de pipette empilees
US6019225A (en) * 1998-10-26 2000-02-01 Matrix Technologies Corp. Pipette tip rack with array of interconnected sleeves
US6193064B1 (en) * 1998-11-04 2001-02-27 J. G. Finneran Associates, Inc. Multi-tier vial plate
US6426047B1 (en) 1999-02-01 2002-07-30 Matrix Technologies Corporations Disposable tip magazine
US6221317B1 (en) * 1999-04-30 2001-04-24 Ccs Packard, Inc. Universal pipette tip box
US6328933B1 (en) 2000-03-16 2001-12-11 Corning Incorporated Double density pipette tip storage rack
WO2002020375A2 (en) * 2000-09-08 2002-03-14 Jason Cimmiyotti Racking system for platform loaded goods and dispensing device for dispensing platform loaded goods
US6752967B2 (en) 2002-01-04 2004-06-22 Dade Behring Inc. Stackable aliquot vessel array
US7169361B2 (en) * 2002-01-10 2007-01-30 Molecular Bioproducts, Inc. Pipette tip reloading system
PL351910A1 (en) * 2002-01-29 2003-08-11 Pz Htl Sa Container for holding pipette tips
FI20031302A0 (fi) * 2003-09-11 2003-09-11 Thermo Labsystems Oy Kärkiteline
DE10361167A1 (de) * 2003-12-22 2005-07-28 Brand Gmbh + Co Kg Verpackungsbox für Laborgegenstände
US20050265900A1 (en) * 2004-05-27 2005-12-01 Gard Douglas J Pipetting system with selective pipette tip loading
US8100263B2 (en) * 2004-07-01 2012-01-24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Vacuum package system
US7963396B2 (en) * 2004-07-01 2011-06-21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Vacuum package system
US7658887B2 (en) * 2004-09-02 2010-02-09 Scientific Specialties, Inc. Pipette tip grid with lock mechanism
JP5160725B2 (ja) * 2004-11-02 2013-03-13 シスメックス株式会社 チップラックおよびチップ組立品
US8012767B2 (en) * 2006-08-07 2011-09-06 Amgen Inc. Pipette tip loading assembly
US7820115B2 (en) * 2007-05-30 2010-10-26 Bel-Art Products, Inc. Adjustable laboratory rack
US20100219093A1 (en) * 2009-01-13 2010-09-02 Biotix, Inc. Manufacture processes for assessing pipette tip quality
DE102009006511B4 (de) * 2009-01-23 2012-02-23 Eppendorf Ag Träger für Pipettenspitzen
JP5623888B2 (ja) * 2009-12-10 2014-11-12 エフ.ホフマン−ラ ロシュアーゲーF.Hoffmann−La Roche Aktiengesellschaft 分析対象物を分離して検出する方法
WO2011116230A2 (en) 2010-03-18 2011-09-22 Biotix, Inc. Pipette tip trays
JP4685198B1 (ja) * 2010-11-11 2011-05-18 株式会社アルテ 包装用プレート、注射器保持容器及び容器兼用注射器の製造方法
US10737273B2 (en) 2013-02-21 2020-08-11 Biotix, Inc. Pipette tip rack
US9108201B2 (en) 2013-02-21 2015-08-18 Biotix, Inc. Pipette tip rack
US9108772B2 (en) 2013-03-15 2015-08-18 Scientific Specialties, Inc. Container latching systems for one-handed operation
US9414893B2 (en) * 2013-05-24 2016-08-16 Daniel R. Jacobson Protective box for surgery
CN108013853B (zh) * 2016-11-03 2021-02-05 科勒公司 干燥支架
DE102017004233A1 (de) * 2017-05-02 2018-11-08 Seidenader Maschinenbau Gmbh Zentriervorrichtung
CN108855270B (zh) * 2018-07-11 2021-08-13 浙江双浩软件开发有限公司 一种化学用滴管及其加液方法
CA3163969A1 (en) 2020-01-07 2021-07-15 George K. Bonnoitt Jr. Pipette tip rack system
US11510506B1 (en) * 2021-11-11 2022-11-29 Vira Insight, Llc Expandable retail pusher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53217A (en) * 1972-08-09 1974-12-10 Medical Laboratory Automation Pipette tip package
US4130978A (en) * 1975-11-12 1978-12-26 Medical Laboratory Automation, Inc. Method of assembling disposable pipette tips for shipment to users thereof
US4349109A (en) * 1980-10-20 1982-09-14 Medical Laboratory Automation, Inc. Disposable pipette tips and trays therefor
US4413731A (en) * 1982-07-07 1983-11-08 Tulon, Inc. Packaging arrangement for cutting tools such as drills
US4577760A (en) * 1984-09-14 1986-03-25 Rainin Instrument Company, Inc. Apparatus for supporting pipette tips
US5039493A (en) * 1990-05-04 1991-08-13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Positive pressure blotting apparatus with hydropholic filter means
US5057282A (en) * 1990-07-27 1991-10-15 Waldorf Corporation Pipette unitizer and shipper
US5232669A (en) * 1991-11-08 1993-08-03 Abbott Laboratories Pipette tip with self-aligning and self-sealing features
US5318753A (en) * 1992-01-17 1994-06-07 Aloka Co., Ltd. Container for holding disposable tips and package accommodating the container
US5324482A (en) * 1992-08-27 1994-06-28 David A. White Pipette tip packaging system
US5335481A (en) * 1993-01-22 1994-08-09 Ward Glen N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ic packaging of pipette tips
US5366088A (en) * 1993-09-01 1994-11-22 Larcon, North America Stackable pipette tip rack
US5392914A (en) * 1993-09-21 1995-02-28 Rainin Instrument Co., Inc. Refill pack for pipette tip rack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816950B2 (ja) 2006-08-30
KR970703201A (ko) 1997-07-03
DE69517688D1 (de) 2000-08-03
ATE194091T1 (de) 2000-07-15
JPH10501457A (ja) 1998-02-10
EP0762938A4 (en) 1998-07-22
AU2190195A (en) 1996-01-04
WO1995033564A1 (en) 1995-12-14
DE69517688T2 (de) 2001-08-23
EP0762938B1 (en) 2000-06-28
EP0762938A1 (en) 1997-03-19
AU686791B2 (en) 1998-02-12
CA2191581A1 (en) 1995-12-14
CA2191581C (en) 2003-09-02
US5622676A (en) 1997-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9861B1 (ko) 피펫 팁 랙 로딩장치
JP3809165B2 (ja) マルチウェル試験装置
US8845985B2 (en) Specimen sample rack
US4711247A (en) Allergy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US4055396A (en) Tray and carrier assembly
ES2374875T3 (es) Método de carga de un reactivo en un dispositivo de manipulación de especímenes de un dispositivo de ensayo automático.
US7678337B2 (en) Assembly for carrying and holding slides
EP0589295A2 (en) Clinical cartridge apparatus
US5154181A (en) Allergy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JP3960969B2 (ja) 突出部を備えるトレイ
JPS63502929A (ja) モジュール式貯蔵機構
JPH0933541A (ja) プローブチップトレイの装填装置
US5027826A (en) Allergy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US11471890B2 (en) Receptacle holder and receptacle rack
AU615161B2 (en) Allergy testing method and apparatus
JPH0134127Y2 (ko)
EP1695762A2 (en) Common carrier for loading capillary vessels
JPH10239321A (ja) 容器の振分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60170905A1 (en) Common carrier for loading capillary vessels
US20060171858A1 (en) Common carrier for loading capillary vessels
JP2002207047A (ja) ピペットチップ装填具
JPS5845559A (ja) 細胞収集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2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