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760B1 -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760B1
KR100199760B1 KR1019960067780A KR19960067780A KR100199760B1 KR 100199760 B1 KR100199760 B1 KR 100199760B1 KR 1019960067780 A KR1019960067780 A KR 1019960067780A KR 19960067780 A KR19960067780 A KR 19960067780A KR 100199760 B1 KR100199760 B1 KR 1001997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shaft
axle shaft
joint
gea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7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107A (ko
Inventor
김효석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67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7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491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1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7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7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22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main drive shafting, e.g. cardan shaft
    • B60K17/24Arrangements of mountings for shafting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슬축과 휠측의 허부와의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슬축(10)은 허브(20)의 종단의 외부에 형성된 기어부(21)와 치합된 기어부(31)를 구비한 조인트축(30)과 등속조인트(11)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허브(20)에는 허브(20)의 종단에 기어부(21)를 형성하고 허브(20)내에는 독립된 너클아암(15)을 한 쌍의 베어링(16)으로 지지하도록 설치하고, 허브(20)의 종단의 기어부(21)의 외측에 하우징(35)을 설치하여 하우징(35)내부에서 허브(20)의 기어부(21)와 치합되는 기어부(31)를 구비한 조인트축(30)을 설치하고 조인트축(30)과 액슬축(10)을 등속죠인트(11)로 연결하여 구성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액슬축(10)은 종래의 방식에 비해 허브(20)의 내경과 조인트축(30)의 치차부(31)의 외경에 해당하는 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전체적인 전륜의 액슬축의 높이를 상승시켜 차고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액슬축과 허브의 연결방식에 관한 것이며, 특히는 액슬축의 높이를 상승시켜 현가장치의 설계변경을 용이하게 하고 또한, 차고를 높여 비포장도로상의 주행성을 향상시키는 액슬축의 연결구조에 관한 것이다.
엔진에 의해 발생하여 변속기에 의해 변환된 구동토크는 종감속장치와 차동장치 그리고 구동륜을 거쳐 노면에 전달된다. 엔진, 변속기, 종감속장치 및 구동륜 현가장치 등의 형식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액슬축을 통해 휠에 구동토크를 전달하게 된다.
전륜구동형 자동차에 있어서, 구동륜의 프론트액슬축은 종감속장치로 전달된 구동력의 전달과 무게를 지지하고 또 조향을 할 수 있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조향을 하기 위하여 킹핀축 선상에 중심이 있는 등속자재이음이 액슬축에 설치되어 있다.
제1도에 종래의 분할식 구동륜의 프론트액슬축 연결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프론트휠(1)과 액슬축(2)은 프론트휠(1)에 고정된 허브(3)에 허브베어링(4)으로 지지되는 조인트축(5)과 액슬축(2)이 등속죠인트(6)로 연결되어 액슬축(2)의 회전을 허브(3)를 통해 휠(1)에 전달된다. 차의 하중은 휠(1)에서 액슬허브(3)를 통하여 허브베어링(4)에 전달된 반력이 너클(7)과 현가스프링(8)을 통하여 차체로 전달되어 지지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액슬축 연결방식은 휠(1)의 중앙에 설치된 허브(3)에 지지된 조인트축(5)과 액슬축(2)을 등속조인트(6)로 직접 연결하는 방식이므로 차량의 바닥 높이를 높이기 위해서는 휠의 반경을 크게하는 방식외에 별다른 방법이 없었다.
특히, 지프차나 트럭 등 비포장도로를 주행하기 위한 차량에 있어서는 차고의 설정은 중요한 설계요소이며, 최근 레저문화의 성숙에 따라 일반승용차의 경우에도 차고의 상승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액슬축연결방식은 현가장치의 설계나 엔진의 배치를 제한하여 자동차의 설계를 제한하는 요소로 인식되고 있다.
이와같은 액슬축연결 상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본 발명은 차고를 높일 수 있는 새로운 방식의 액슬축 연결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의 액슬축 연결구조를 도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허브와 액슬축의 연결상태를 도시하는 부분확대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액슬축 11 : 등속조인트
15 : 너클 16 : 베어링
20 : 허브 21 : 기어부
30 : 조인트축 31 : 기어부
35 : 하우징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종단에 원주외측으로 기어부가 형성된 허브, 허브의 기어부 상측에 위치되어 허브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구비한 조인트축, 및 조인트축과 등속조인트로 연결되는 액슬축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허브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조인트축을 지지하는 한 싸의 베어링이 설치된 하우징을 또한 포함하는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액슬축은 종래의 방식에 비해 허브의 내경과 조인트축의 치차부의 외경에 해당하는 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전체적인 전륜의 액슬축의 높이를 상승시켜 차고를 항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차고를 높여 차량의 비포장도로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형가장치나 엔진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슬축 연결구조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본 발명에 따른 액슬축의 연결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액슬축(10)은 허브(20)의 종단의 외부에 형성된 기어부(21)와 치합되는 기어부(31)를 구비한 조인트축(30)과 등속조인트(11)로 연결되어 구성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허브(20)에는 허브(20)의 종단에 기어부(21)를 형성하고 허브(20)내에는 독립된 너클아암(15)을 한 쌍의 베어링(16)으로 지지하도록 설치하고, 허브(20) 종단의 기어부(21)의 외측에 하우징(35)을 설치하여 하우징(35) 내부에서 허브(20)의 기어부(21)와 치합되는 기어부(31)를 구비한 조인트축(30)을 한 쌍의 베어링(33)으로 지지하여 설치하여 조인트축(30)과 액슬축(10)을 등속죠인트(11)로 연결하므로써 전륜의 액슬축 연결구조를 구성한 것이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축(30)은 허브(20)의 종단의 기어부(21)상부에 설치되므로 허브(20)의 중앙에 설치되는 종래의 조인트축(5)에 비해 조인트축(30)의 설치위치가 높아지게 되며, 이에따라 조인트축(30)과 등속조인트(110로 체결된 액슬축(10)의 높이를 적절한 위치로 상승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동력의 전달은 추진축에 의해 구동토크를 전달받은 액슬축(10)이 액슬축(10)과 등속조인트(11)로 연결된 조인트축(30)을 구동하고 조인트축(30)의 구동에 따라 조인트축(30)과 치합된 허브(20)가 회전되으로써 프론트휠을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본 발명에 따른 액슬축(10)은 종래의 방식에 비해 허브(20)의 내경과 조인트축(30)의 치차부(31)의 외경에 해당하는 만큼 높은 위치에 설치되므로 전체적인 전륜의 액슬축의 높이를 상승시켜 차고를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
이에따라, 차고를 높여 차량의 비포장도로 주행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현가장치나 엔진설계상의 자유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2)

  1. 종단에 원주외측으로 기어부가 형성된 허브, 허브의 기어부 상측에 위치되어 허브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기어부를 구비한 조인트축, 및 조인트축과 등속조인트로 연결되는 액슬축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브의 기어부와 맞물리는 조인트축을 지지하는 한쌍의 베어링을 구비한 하우징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KR1019960067780A 1996-12-19 1996-12-19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KR1001997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780A KR100199760B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7780A KR100199760B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107A KR19980049107A (ko) 1998-09-15
KR100199760B1 true KR100199760B1 (ko) 1999-06-15

Family

ID=1948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7780A KR100199760B1 (ko) 1996-12-19 1996-12-19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7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107A (ko) 199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6676A (ko) 독립차륜 현가장치
JPH0380651B2 (ko)
US3476200A (en) Interchangeable wheel suspension system in a four-wheel drive vehicle
US5577571A (en) Automobile chassis with pivoted inner and outer frames
AU2011230694B2 (en) Travelling vehicle for uneven terrain
US6793035B2 (en) Semi-independent swing arm suspension system for a low floor vehicle
EP0399461B1 (en) Mounting arrangement for final drive unit for automotive vehicles
KR100199760B1 (ko) 자동차의 액슬축 연결장치
JP2005306090A (ja) 自動車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
US4046212A (en) Steerable front wheel drive transmitting mechanism
JP3750329B2 (ja) トーションビーム式サスペンション
JP2005145132A (ja) 自動車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
JPS61271179A (ja) 荒地走行用車両
CN111806553A (zh) 转向电机置于单纵臂悬架单纵臂上的独立转向系统
JP2005343354A (ja) 自動車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
JP2005153557A (ja) 自動車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
KR200147033Y1 (ko) 자동차의 드라이브 샤프트
CN2344256Y (zh) 机动车内转向装置
CN116787988A (zh) 车辆底盘和包括该车辆底盘的车辆
KR100373656B1 (ko)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
KR200174691Y1 (ko) 자동차의 아암부쉬
JPS60234024A (ja) プロペラシヤフト
KR19980035556A (ko) 후륜구동형 자동차용 리어액슬의 설치구조
US3233914A (en) Resilient hanger for swinging half axles
JPH031105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