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73656B1 -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 - Google Patents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73656B1
KR100373656B1 KR10-2000-0080460A KR20000080460A KR100373656B1 KR 100373656 B1 KR100373656 B1 KR 100373656B1 KR 20000080460 A KR20000080460 A KR 20000080460A KR 100373656 B1 KR100373656 B1 KR 100373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rear suspension
drive shaft
ho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80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51424A (ko
Inventor
박승재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80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3656B1/ko
Publication of KR200200514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514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3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36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2/00Responses or measures related to driver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차체(1)의 저부에 마운틴되며, 리어현가장치에 결합되는 서브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10)에 리어휠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샤프트(6)가 관통되어 결합할 수 있는 소정크기 의 홀(11)을 형성하므로서, 서브프레임(10)의 지상고를 낮춰 후측 승차공간 및 적재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 및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완성된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Description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Sub-frame of rear suspension system}
본 발명은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후륜구동식 차량의 독립형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의 지상고를 낮춤으로서 후측의 승차공간과 적재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도록 발명된 것이다.
자동차에 있어서의 현가장치는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때 차축과 차체를 연결하여 주행할 대 차축이 노면에서 받는 진동이나 충격을 차체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차체나 화물의 손상을 방지하고 승차감을 좋게 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현가장치는 차축현가장치와 독립현가장치로 구분되며, 승용차의 경우에는 전, 후륜 모두 양 휠이 상호 간섭됨이 없이 움직이게 하여 승차감과 안정성이 향상되는 독립현가장치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한 독립현가장치는 차체의 저부에 마운팅되는 서브프레임과; 상기 서브프레임과 휠지지체를 연결하여 각 휠의 독립적인 상하운동을 가능케하는 다수의 콘트롤 아암과; 쇽업소바와 스프링의 스프링의 조립체로 형성되는 스트러트아암과; 자동차의 횡방향으로 설치되는 스테이빌라이저등으로 구성되어 차체 및 휠에 가해지는 충격 및 진동하중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한편, 도 1 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구동장치는 엔진(2')에서 발생된 동력을 트랜스미션(3')과 프로펠러축(4')으로 리어휠에 연결된 드라이브 샤프트(6')로 전달시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6')의 회전으로 리어휠이 구동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차체(1')의 저부에 마운팅되며 리어현가장치와 결합되는 서브프레임(10')은 주행상태에 따른 현가장치의 움직임과 드라이브 샤프트(6')의이동반경을 반영하여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6')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서브프레임을 드라이브 샤프트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높이 설정될 경우에는 차체내부의 후측지상고가 높아지므로 승차공간 및 적재공간이 좁고, 보다 넓은 공간을 확보하기가 불가능한 폐단이 있었던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서브프레임의 지상고를 낮춤으로서, 보다 넓은 승차공간 및 적재공간을 확보하여 탑승자와 운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 은 종래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구조도.
도 2 는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측면에서 도시한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 구조를 평면에서 도시한 요부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에 형성된 홀을 요부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면 중 주요 부호에 대한 설명*
1 - 차체 2 - 엔진
3 - 트랜스미션 4 - 프로펠러축
5 - 디퍼런셜기어 6 - 드라이브 샤프트
10 - 서브프레임 11 - 홀
12 - 파이프부시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차체(1)의 저부에 마운틴되며, 리어현가장치에 결합되는 서브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10)에 리어휠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샤프트(6)가 관통되어 결합할 수 있는 소정크기의 홀(11)을 형성하므로서 달성된다.
즉, 서브프레임(10)에 홀(11)이 형성되어 상기 홀(11)에 드라이브 샤프트(6)가 관통되어 결합되므로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6)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측으로 서브프레임(10)이 장착되어지지 않으므로, 서브프레임(10)의 지상고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구성을 평면에서 도시한 요부확대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서브프레임(10)에 형성된 홀(11)의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요부확대도이다.
도 2 ∼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후륜구동방식의 차량은 엔진(2)에서 발생되는 동력이 트랜스미션(3)과 프로펠러축(4)을 통하여 드라이브 샤프트(6)로 전달되어 리어휠을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6)는 프로펠러축(4)과 차량의 선회시 외측의 휠을 빠르게, 내측의 휠을 느리게 회전시켜 차량을 원활히 회전시키고, 타이어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디퍼런셜기어(5)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가장 큰 특징은 상기한 드라이브 샤프트(6)를 차체(1)의 저부에 마운틴되며 리어현가장치와 결합되는 서브프레임(10)에 관통시켜 결합하는 것이다.
즉, 상기 서브프레임(10)에 소정의 크기를 가지는 홀(11)을 형성하여, 상기 홀(11)에 상기 드라이브 샤프트(6)를 관통시켜 결합하므로서 서브프레임(10)의 지상고를 낮출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서브프레임(10)에 형성되는 홀(11)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른 독립형 리어 현가장치의 움직임과 드라이브 샤프트(6)의 이동반경을 고려하여, 관통되어 결합된 드라이브 샤프트(6)와의 간섭이 일어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홀(11)로 인한 강성저하로 발생되는 서브프레임(10)의 균열 및 파손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홀(11)에 파이프부시(12)를 삽입하여 용접하여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리어휠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샤프트(6)가 서브프레임(10)에 형성된 홀(11)에 관통되어 결합하므로, 서브프레임(10)의 지상고를 낮춰 후측 승차공간 및 적재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탑승자 및 운전자의 편의성이 향상되어 완성된 차량의 상품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차체(1)의 저부에 마운틴되며, 리어현가장치에 결합되는 서브프레임(10)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10)에 리어휠을 구동시키는 드라이브 샤프트(6)가 관통되어 결합할 수 있는 소정크기의 홀(11)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현가 장치의 서브프레임.
  2. 청구항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10)에 형성된 홀(11)에 파이프부시(12)를 삽입하여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어 현가 장치의 서브프레임.
KR10-2000-0080460A 2000-12-22 2000-12-22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 KR100373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60A KR100373656B1 (ko) 2000-12-22 2000-12-22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80460A KR100373656B1 (ko) 2000-12-22 2000-12-22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424A KR20020051424A (ko) 2002-06-29
KR100373656B1 true KR100373656B1 (ko) 2003-02-26

Family

ID=27684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80460A KR100373656B1 (ko) 2000-12-22 2000-12-22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365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51424A (ko) 2002-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35138B2 (en) Frame integrated rear suspension
JP5784509B2 (ja) 自動車用サスペンション
CN105073454B (zh) 用于机动车的轮悬架
WO1999022979A1 (en) Independent rear suspension system
KR101826566B1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캐리어
US4969661A (en) Vehicular rear suspension system and rear end construction including same
KR100320499B1 (ko) 자동차의전륜현가장치
KR960005902B1 (ko) 자동차의 후륜 현가장치
KR100373656B1 (ko) 리어 현가장치의 서브프레임
CN114435047A (zh) 一种无人车独立悬挂系统
KR100369145B1 (ko) 차량의 비구동용 서스펜션 시스템
CN116209586B (zh) 车辆
JP2005343354A (ja) 自動車のモータ駆動システム
KR100353941B1 (ko) 자동차용 현가장치
KR200237454Y1 (ko) 승용차 리어 어퍼암 구조
KR200174691Y1 (ko) 자동차의 아암부쉬
JP3189708B2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100862267B1 (ko) 자동차의 트레일링암 부시
KR100457196B1 (ko) 어퍼암 보강구조
JPS5831690Y2 (ja) 自動車の懸架装置
CN116209586A (zh) 用于越野车辆的前悬架组件
KR100398211B1 (ko) 자동차용 반독립 후륜 현가장치
KR20040072940A (ko) 차량의 세미 트레일링 암형 리어 서스펜션
KR20050047947A (ko) 비독립 후륜현가장치에 사용되는 트레일링암 부시
KR19990015084A (ko) 후륜 현가장치의 트레일링아암 장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03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