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312B1 - 지연회로 - Google Patents

지연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312B1
KR100199312B1 KR1019930022168A KR930022168A KR100199312B1 KR 100199312 B1 KR100199312 B1 KR 100199312B1 KR 1019930022168 A KR1019930022168 A KR 1019930022168A KR 930022168 A KR930022168 A KR 930022168A KR 100199312 B1 KR100199312 B1 KR 1001993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lay
signal
circuit
delay circuit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773A (ko
Inventor
히로시 이즈까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940010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7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3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31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7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 H04N9/78Circuits for processing the brightness signal and the chrominance signal relative to each other, e.g. adjusting the phase of the brightness signal relative to the colour signal, correcting differential gain or differential phase for separating the brightness signal or the chrominance signal from the colour television signal, e.g. using comb fil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cessing Of Color Television Signals (AREA)
  • Networks Using Active Elements (AREA)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TV 신호에 대응 가능한 지연 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다.
제1지연 회로(52) 내의 복수의 지연부의 지연 시간을 입력되는 TV 신호의 방식에 대응해서 설정함과 동시에 그 설정으로 대응할 수 없는 미소한 지연 시간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치한 제2지연 회로(59)로 조정한다.

Description

지연회로
제1도는 본 발명의 지연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2도는 종래의 지연 회로를 도시한 회로도.
제3도 및 제4도는 각종 방식의 TV 신호의 특성도.
제5도는 지연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지연 수단의 회로도.
제6도는 가변 시간 지연 수단 중의 고역 통과 필터의 구성 부분을 추출한 설명도.
제7도는 가변 시간 지연 수단 중의 대역 통과 필터의 구성 부분을 추출한 설명도.
제8도는 가변 시간 지연 수단 중의 저역 통과 필터의 구성 부분을 추출한 설명도.
제9도는 각각의 필터의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
제10도는 가변 증폭기의 상세한 회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코움형 필터의 구성 블럭도.
제12도는 각종 TV 신호에 대한 각 스위치의 설정예를 나타낸 도표.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1 : 방송 방식 판별 회로 52 및 202 : 제1지연 회로
59 및 204 : 제2지연 회로 60 내지 63 : 지연 수단
65 : 클럭 신호원 100 : 가변 시간 지연 수단
102 및 104 : 가변 증폭기 200 : 코움형 필터
212 및 214 : 접속 스위치 216 : 가산기
222 및 224 : 전환 스위치 226 : 비반전 버퍼
228 : 반전 버퍼
본 발명은 TV 수상기 등의 복합 영상 신호 재생 기기에 있어서, Y/C 분리를 위해 자주 사용되는 코움(comb)형 필터의 지연 회로에 관한 것이다.
근래, 국내(일본)의 영상 신호 재생 기기는 TV를 필두로 고화질화가 요망되고 있고, NTSC 방식의 영상 신호 재생 기기는 Y/C 분리 회로의 부분에서 코움형 필터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또한, 유럽에서도 같은 경향으로 영상 신호 재생 기기는 TV를 필두로 고화질화가 요망되고 있고, PAL 방식의 영상 신호 재생 기기는 Y/C 분리 회로 부분에서 종래의 대역 통과 필터와 노치 필터를 이장하고 있어서, 크로스 컬러를 저하시키는 코움형 필터로 대체되고 있다.
한편, 각 TV 제조 회사는 종래 TV를 NTSC용(국내용)과 PAL용(유럽용)으로 나누어 제작했으나, 양자 겸용 가능하도록 설계하는 것이 양산 효과에 따른 비용절감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NTSC 방식과 PAL 방식 겸용이 요망되고 있다. 이것은 코움형 필터 및 코움형으로 사용되는 지연 소자에서도 동일해서 국내 뿐만 아니라 유럽에서도 공통으로 사용 가능한 것이 요망되고 있다. 지연 소자는 종래부터 유리 지연선이 이용되었으나, 유리 지연선으로는 양 방식을 겸용할 수 없었다. 따라서, 유리 지연선 대신에 CCD나 시프트 레지스터를 이용해서 지연 소자를 제작하여 겸용 가능하게 한 것이 제안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개평 제4-185195호 공보에는 제2도와 같은 지연 회로가 도시되어 있다.
제2도에서 점선으로 도시한 부호 11은 메모리 본체이다. 부호 12는 입력 클럭 핀이고, 13은 입력 클럭 핀(12)으로부터의 샘플링 클럭에 의해 1 클럭 지연시키는 지연 셀이다. 부호 14는 910개의 지연 셀(13)을 갖고 있는 지연부로서, 이것은 입력 클럭 핀(12)으로부터 NTSC의 샘플링 클럭 신호가 입력된 때에 복합 영상 신호를 NTSC의 1H 기간분만큼 지연할 수 인다. 부호 15는 1360개의 지연 셀(13)을 갖는 지연부이다. 지연부(14 및 15)를 합한 지연 시간은 2270 클럭이 된다. 이것은 입력 클럭 핀(12)으로부터 PAL의 샘플링 를럭 신호가 입력된 때에 지연부(14 및 15)를 합해서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를 PAL의 2H 기간분만큼 지연할 수 있다. 부호 16은 외부로부터 지연 메모리(11)로 송신되는 전환 신호이고, 17은 전환 신호를 입력하는 전환 신호 입력 핀이며, 18은 전환 신호 입력 핀(17)으로부터 입력된 신호에 의해 지연부(14)로부터의 출력 신호 또는 지연부(15)로부터의 출력 신호중 하나의 출력 신호를 외부로 송출하는 선택부이다.
상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PAL/NTSC 양용 지연 메모리에 대해 이하 제2도를 참조하여 그 동작을 설명한다.
입력 클럭 핀(12)에는 NTSC 또는 PAL의 샘플링 클럭이 입력된다. NTSC의 샘플링 클럭은 14.31818MHz이고, PAL치 샘플링 클럭은 약 17.7MHz이다. 910개의 지연 셀(13)을 갖는 지연부(14)와 1360개의 지연 셀(13)을 갖는 지연부(15)는 각각 입력 클럭 핀(12)으로부터의 클럭 신호를 수신하여 전단의 지연 셀로부터 입력된 신호를 1클럭분만큼 지연시켜 후단의 지연 셀로 송신한다. 그리고, 지연 메모리(11)로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는 복합 영상 신호가 NTSC인 때에 지연부(14)에 의해 정확히 NTSC의 1H 기간분만큼 지연된다 또한, 지연 메모리(11)로 입력된 복합 영상 신호는 복합 영상 신호가 PAL인 때에 지연부(14 및 15)에 의해 정확히 PAL의 2H 기간분만큼 지연된다. 외부로부터 송신된 전환 신호(16)는 영상 신호가 NTSC인 때에 선택부(18)가 지연부(14)의 출력측을 선택하도록 하고, 영상 신호가 PAL인 때는 지연부(15)의 출력측을 선택하도록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도의 설명에 따르면, 지연부(14 및 15), 전환 신호 입력핀(17) 및 선택부(18)를 설치함으로써 PAL/NTSC 양용의 코움형 필터를 위한 지연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유럽에서 튜너가 부착된 가정용 VTR은 여러 종류의 방송 TV 신호를 기록 재생할 필요가 있고, 또 여러 종류의 방송 방식의 TV 신호가 기록된 비디오 카세트 테이프를 재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NTSC 및 PAL 방식계는 각각 다양한 크로머 신호 주파수 및 수평 동기 신호 주기를 갖는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다양한 지연 시간을 준비할 필요가 있다. 제2도의 회로에서는 지연 시간을 지연 셀(13)의 수와 클럭 신호 주파수에 의해 결정함으로써, 이산적으로 되어 제3도의 NTSCM, PAL/GBI 및 PAL/N의 신호의 경우에만 올바른 지연 시간을 설정할 수 있었다. 또한, 제2도의 회로에서는 NTSC 방식과 PAL 방식으로 클럭 신호의 주파수를 전환하고 있기 때문에, PAL 방식의 고주파수인 때를 위해 지연 셀의 수가 2270개나 필요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고려한 것으로, 복수 규격의 TV 방송 신호를 판별해서 판별 신호를 발생하는 방송 방식 판별 회로, 클럭 신호에 따라 TV 신호를 차례로 전송하는 복수의 지연 소자로 구성된 복수의 지연부, 및 복수의 지연부를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접속하는 복수의 스위치군을 구비하고, 하나의 지연로가 선택되는 제1지연 회로, 및 복수의 지연 수단과 이 지연 수단 중 하나를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선택하는 스위치를 갖고 있는 제2지연 회로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규격의 TV 방송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 소자의 개수 및 상기 지연 수단의 지연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지연 회로 내의 복수의 지연부의 지연 시간을 입력되는 TV 신호의 방식에 대응해서 설정함과 동시에 그 설정으로 대응할 수 없는 미소한 지연 시간에 대해서는 별도로 설치한 제2지연 회로로 조정한다. 그 결과, 모든 방식의 TV 신호에 대응 가능한 지연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를 도시한 회로도로서, 부호 50은 복수 규격의 TV 방송 신호가 인가되는 입력 단자이고; 51은 복수 규격의 TV 방송 신호를 판별해서 판별 신호를 발생하는 방송 방식 판별 회로이며; 52는 클럭 신호에 따라 TV 방송 신호를 차례로 전송하는 복수의 지연 소자(53a, 53b 및 53c)로 구성된 제1지연부(54), 제1지연부(54)와 동일한 구성의 제2및 제3지연부(55 및 56), 및 이들 복수의 지연부를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접속하는 스위치(57 및 58)를 구비하며, 하나의 지연로를 선택하는 제1지연 회로이고; 59는 복수의 지연 수단(60 내지 63)과 이들 지연 수단 중 하나를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선택하는 스위치(64)를 구비하는 제2지연 회로이며; 65는 NTSC 방식의 버스트 신호 주파수(3.579545 MHz)의 4배의 주파수(14.31818 MHz)의 클럭 신호를 발생하는 클럭 신호원이다.
제1도에 도시된 제2지연 회로(59)의 입력 단자에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각종 TV 신호(방송 신호와 VTR 신호를 포함)가 Y/C 분리 또는 VTR 재생시의 누화를 제거하기 위해 입력된다 제3도의 1 내지 5까지의 TV 신호는 방송국으로부터의 방송 신호로서 존재하는 것이므로 방송 신호라 한다. 또한, 제3도의 6 내지 8까지의 TV 신호는 VTR 내부에서 테이프를 재생하는 경우에 일시적으로 발생하는 신호 상태로 존재하는 것이므로 VTR 신호(색 신호가 방식 전환된 신호)라 한다.
제3도에는 각 TV 신호의 1H(H는 1 수평 동기 신호 기간) 기간에 상당하는 지연 시간 TD가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지연 시간 TD를 제1도의 지연 회로에서 생성해야 한다. 제3도의 NTSC계의 TV 신호는 1H 기간의 지연을 필요로 하고, PAL계의 TV 신호는 2H 기간의 지연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지연 시간을 가능한 한 제1도의 제1지연 회로(52)로 설정한다. 제1지연 회로(52)의 지연 시간은 지연 소자의 단 수와 클럭 신호의 주파수의 곱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14.31818 MHz의 클럭 신호 주파수와 제3도의 각 지연 시간에서 최적인 지연 소자의 단 수를 구하면 910이 된다. 그러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1, 2 및 4의 방송 신호와 6, 7 및 8의 VTR 신호는 그 단 수로 정확히 지연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4도의 TV 신호 중 방송 신호인 4는 단 수 910을 2회 통과한다. 이러한 이유때문에, 제1지연 회로(52)에는 지연 소자를 910단 갖고 있는 제2및 제3지연부(55 및 56)가 설치되어 있다.
제4도의 TV 신호 중 방송 신호인 3 및 5는 1832.72 - 910 × 2 = 12.72로 12단의 지연 소자 및 50 nsec( = 0.72 비트)의 지연 시간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제1지연부(54)의 지연 소자를 12단으로 함과 동시에 제2지연 회로(59)에 50 nsec의 지연 시간을 갖는 지연 수단(61)을 설치한다.
따라서, 제1지연 회로(52) 및 제2지연 회로(59) 내의 지연 수단(61)을 이용하면, 제3도의 지연 시간 TD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TV 신호의 크로머 신호 주파수 FSC와 수평 동기 주파수 Fh는 주파수 인터리브 관계를 성립시키기 위해, FSC/Fh또는 2FSC/Fh의 결과가 0.5로 표현되도록 해야 한다. 그 결과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4도에서 방송 신호인 2와 VTR 신호인 6, 7 및 8은 모두 단 수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제4도의 단 수 0.281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으로서 63.4 nsec( = 0.281/4.43361875 MHz)를, 단 수 0.25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으로서 69.7 nsec를, 그리고 단 수 0.16에 대응하는 지연 시간으로서 44.7 nsec를 제2지연 회로(59)에 의해 보정한다.
따라서, 제1지연 회로(52) 및 제2지연 회로(59) 내의 지연 수단(60, 62 및 63)을 이용하면, 제4도의 주파수 인터리브에 기인하는 지연 시간을 보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4도의 방송 신호와 VTR 신호는 제1도의 제1및 제2지연 회로(52 및 59) 내의 스위치(57, 58 및 64)를 적절히 전환함으로써 모두 소망의 지연량으로 지연된다.
예를 들면, 제4도에서 TV 신호 중 방송 신호인 1의 NTSC/M이 선택된 경우, 스위치(64)는 a를 선택하고, 스위치(57 및 58)는 b를 선택한다. 그 결과, 제1지연 회로(52)의 제3지연부(56)의 910단의 지연 소자에서 결정되는 지연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제4도의 TV 신호 중 방송 신호인 3의 PAL/GBI가 선택된 경우, 스위치(64)는 c를 선택하고, 스위치(57 및 58)는 a를 선택한다 그 결과, 1832단의 지연소자에서 결정되는 지연과 50 nsec 지연의 합을 지연시킬 수 있다. 또한, 이것 이외의 TV 신호에 대응하는 스위치(57, 58 및 64)의 전환 동작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제1도의 지연 수단은 소자의 오차를 자동 조절할 수 있는 구동 필터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제1도에서 제2지연 회로(59)는 소건의 지연 시간을 갖는 지연 수단(60, 61, 62 및 63)을 구비하고 있지만, 지연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지연 수단을 1개만 구비해도 된다. 1개만으로 구성할 때에는 복수의 지연 소자가 불필요하다. 이와 같은 지연 시간을 가변시킬 수 있는 지연 수단의 회로도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은 복수개의 증폭기를 구비한다. 이 중에서 가변 증폭기(102 및 104)는 그 상호 컨덕턴스를 가변할 수 있다.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은 이들 가변 증폭기(102 및 104)와의 상호 컨덕턴스를 변화시킴으로써 지연 시간을 변화시킨다.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은 저역 통과 필터(LPF), 대역 통과 필터(BPF) 및 고역 통과 필터(HPF)를 병렬로 접속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가변 증폭기(102 및 104)의 상호 컨덕턴스를 변화시킴으로써 각 주파수 대역이 교차하는 차단 주파수가 변화하고, 그 결과 지연 시간이 변화한다.
이하, 도면을 이용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중의 고역 통과 필터(HPF)의 구성 부분을 추출한 설명도이다. 제6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덴서(C2:제5도 참조)를 통해 입력하는 신호에서 보면, 정확히 고역 통과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7도는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 중의 대역 통과 필터(BPF)의 구성 부분을 추출한 설명도이다.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덴서(C1:제5도 참조)을 통해 입력하는 회로에서 보면, 정확히 대역 통과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8도는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 중의 저역 통과 필터(LPF)의 구성 부분을 추출한 설명도이다.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콘덴서를 통하지 않고, 가변 증폭기(102:제5도 참조)로 입력되는 회로에서 보면, 정확히 저역 통과 필터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각각의 필터의 출력 신호의 관계를 나타내는 그래프가 제9도에 도시되어 있다. 제9도에 도시되어 있는 그래프는 횡축이 주파수를 나타내고, 종축이 그레스폰스를 나타낸다. 제9도의 그래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필터의 출력 신호의 합성값은 항상 1이 되므로,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은 완전 통과 필터로 신호의 지연 시간만을 변화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가변 증폭기(102 및 104)의 상호 컨덕턴스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의 지연 시간이 변화한다. 즉, 상기 상호 컨덕턴스를 변화시킴으로써 제9도의 좌측에 도시되어 있는 그래프로부터 우측에 도시되어 있는 그래프와 같이 각 필터의 수용 주파수 대역이 변화한다. 유의할 것은 수용 주파수 대역이 변화할뿐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 자체는 변함없는 완전 통과 필터이다.
즉, 입력되는 신호에 대한 지연 시간만이 변화하고, 진폭 특성은 거의 변하지 않는다.
제10도에는 가변 증폭기(102 및 104)의 상세한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10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가변 증폭기(102 및 104)는 차동 증폭기이고, 회로중의 정전류원(C1)의 전류값의 크기를 변화시킴으로써 가변 증폭기(102 및 104)의 상호 컨덕턴스를 변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5도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1도의 제2지연 회로(59)에서의 지연수단(60, 61, 62 및 63)을 1개의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으로 실현했다.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은 자유롭게 지연 시간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복수의 지연 수단(60, 61, 62 및 63)을 구비할 필요가 없는 효과가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코움형 필터(700)의 구성 블럭도이다.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코움형 필터(200)는 지연 시간을 CCD의 단수로 조정하는 제1지연 회로(204), 지연 시간을 미세 조정하는 제2지연 회로(204)로 구성되어 있다.
제1지연 회로(202)는 상기 실시예의 제1도와 마찬가지로 3개의 CCD(206, 208 및 210 : 실시예의 제1도에서는 지연부에 상당함)를 이용한 지연 회로를 갖고 있고, 또 이것들을 전환 접속하는 2개의 접속 스위치(212 및 214)를 구비한다. 또한, 제1지연 회로(202)는 이들 3개의 CCD에 의해 지연시킨 신호와 상기 제2지연 회로(204)의 신호를 가산해서 코움형 필터(200)의 최종 출력 신호로서 출력하는 가산기(216)도 제1지연 회로(202)에 포함되어 있다.
제2지연 회로(204)는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 더미(dummy)의 시간 지연 수단(220)을 구비한다.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은 상기 실시예의 제5도에 도시한 가변 시간 지연 수단(100)과 구성이 동일하고, 외부로부터의 지연 시간 제어 신호 TOCTL에 의해 지연 시간이 연속적으로 제어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보다 정밀도가 높은 코움형 필터(200)를 실현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코움형 필터(200)로 공급되는 크로머 신호는 상기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으로 공급됨과 동시에 더미의 시간 지연 수단(220)으로도 공급된다. 더미의 시간 지연 수단(220)은 상기 가변 시간 지연 수단과 동일한 구성으로 그 지연 시간을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과 대등하게 하기 위한 회로이다. 즉, 상기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을 통과한 신호와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을 통과하지 않은 신호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지연 회로에서 이용되나, 통과하는 신호와 통과하지 않은 신호에서 그 레벨 및 지연 시간을 합치시키기 위해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과 동일한 더미 회로를 통과시킨다.
제2지연 회로(204)는 2개의 전환 스위치(222 및 224)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들 스위치(222 및 224)의 가동 부재는 각각 비반전 버퍼(226)와 반전 버퍼(228)에 접속되어 있다.
비반전 버퍼(226)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전환 스위치(222)에 의해 설정된다. 전환 스위치(222)의 가동 부재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D.E」측에 설정되어 있으면,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에서 지연된 크로머 신호가 CCD 지연 구동 신호로서 제1지연 회로(202)로 공급된다. 한편, 전환 스위치(222)의 가동 부재가 「스루(through)」측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미의 시간 지연 수단(220)을 통과한 지연되지 않은 크로머 신호가 CCD 지연 구동 신호로서 제1지연 회로(202)로 공급된다.
반전 버퍼(228)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는 전환 스위치(224)에 의해 설정된다. 전환 스위치(224)의 가동 부재가 제11도에 도시되어 있는 D.E측에 설정되어 있으면,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에서 지연된 크로머 신호가 CCD ΦH 구동 신호로서 제1지연 회로(202)로 공급된다 한편, 전환 스위치(217)의 가동 부재가 「스루」측에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더미의 시간 지연 수단(720)을 통과한 지연되지 않은 크로머 신호가 CCD ΦH 구동 신호로서 제1지연 회로(202)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해서, 본 실시예의 제11도에서 코움형 필터는 접속 스위치(212 및 214)나 전환 스위치(222 및 224)를 조작함으로써 원하는 필터링 특성을 얻을 수 있다.
제12도에는 각종 TV 신호에 대한 각 스위치의 설정예를 도시하는 도표가 도시되어 있다.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표 중에서, 가장 좌측의 컬럼은 TV 신호의 종류를 나타내고, 좌측에서 두번째 컬럼은 ΦH 구동 신호로서 공급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즉, 좌측으로부터 두번째 컬럼에서 「D.E」는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을 통과한 신호가 ΦH 구동 신호로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내고, 「스루」는 더미의 시간 지연 수단(222)을 통과한 신호가 ΦH 구동 신호로서 출력되는 것을 나타낸다.
또한, 제12도에 도시되어 있는 도표의 우측으로부터 두번째 컬럼은 지연 구동 신호로서 공급되는 신호를 나타낸다. 이 컬럼에서 「D.E」와 「스루」는 상기 좌측으로부터 두번째 컬럼과 동일한 의미이다.
제12도의 도표의 가장 우측의 컬럼은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에 설정되어 있는 지연 시간의 값을 나타낸다.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에 설정되는 지연 시간은 상술한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 TOCTL에 의해 설정된다.
이와 같이, 제12도에 표시되어 있는 도표에 따라 각 TV 신호에 따른 스위치를 전환하고, 가변 시간 지연 수단(218)에 설정되는 지연 시간을 제어함으로써 많은 TV 신호에 대응한 코움형 필터를 구성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CCD등의 제1지연 회로와 미소 지연 소자의 제2지연 회로에 의해 다양한 방식의 TV 신호에 대응할 수 있는 지연 시간을 갖는 지연 회로를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제1지연 회로에서 지연할 수 없는 경우는 제2지연 회로에서 보완하므로, 인터리브 관계도 고려한 지연량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NTSC 방식의 저클럭 신호 주파수에 따른 클럭 신호로 제1지연 회로를 구동하므로 지연 소자 수가 최대 1832개로 되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복수 규격의 TV 방송 신호를 판별해서 판별 신호를 발생하는 방송 방식 판별 회로, 클럭 신호에 따라 TV 신호를 차례로 전송하는 복수의 지연 소자로 구성된 복수의 지연부, 상기 복수의 지연부를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접속하는 복수의 스위치군을 구비하며, 하나의 지연로가 선택되는 제1지연 회로 및 복수의 지연 수단과 이들 지연 수단 중 하나를 상기 판별 신호에 따라 선택하는 스위치를 갖고 있는 제2지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 규격의 TV 방송 신호에 따라 상기 지연 소자의 개수 및 상기 지연 수단의 지연 시간을 결정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연 회로는 3개의 지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럭 신호는 일정 주파수의 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4. TV 신호를 지연시키는 제1지연 회로, 및 TV 신호를 지연시키며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의해 지연 시간이 연속적으로 가변 설정되는 제2지연 회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연 회로는, TV 신호를 지연시키는 복수의 제1지연부를 갖는 제1지연부군, 및 상기 복수의 제1지연부군을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전환 접속하고, 상기 제1지연 회로의 지연 시간을 설정하는 복수의 제1스위치군을 포함하며, 상기 제1지연부에 의해 TV 신호를 지연시키고, 상기 제2지연부에 의해 TV 신호를 연속적으로 가변 가능한 지연 시간으로 지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연 회로의 상기 복수의 지연부는 각각 복수의 지연 소자를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구성되고, 상기 각각의 지연 소자에는 클럭 신호가 공급되며, 이 클럭 신호와 동기하여 TV 신호가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지연 회로는 3종류의 지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연 회로.
KR1019930022168A 1992-10-26 1993-10-25 지연회로 KR10019931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87584 1992-10-26
JP4287584A JPH06141333A (ja) 1992-10-26 1992-10-26 遅延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773A KR940010773A (ko) 1994-05-26
KR100199312B1 true KR100199312B1 (ko) 1999-06-15

Family

ID=17719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168A KR100199312B1 (ko) 1992-10-26 1993-10-25 지연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595223B1 (ko)
JP (1) JPH06141333A (ko)
KR (1) KR100199312B1 (ko)
DE (1) DE6932368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1599B1 (ko) * 2001-01-29 2005-03-07 엠.제이.테크(주) 차량의 엔진용 태핏
US7256618B2 (en) 2003-08-18 2007-08-14 Rohm Co., Lt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KR102042458B1 (ko) 2018-04-16 2019-12-02 정성훈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1665A (ko) 2020-12-09 2022-06-16 (주)에스피엠씨 천연 벤토나이트를 함유한 고양이 모래 및 그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137428A (ko) * 1974-04-18 1975-10-31
US4053932A (en) * 1974-06-10 1977-10-1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Ghost signal eliminating system
JPH0812987B2 (ja) * 1985-01-25 1996-02-07 株式会社日立製作所 遅延回路
JPS61189717A (ja) * 1985-02-18 1986-08-23 Elmec Corp 可変遅延線
JPS6326188A (ja) * 1986-07-18 1988-02-03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2582250B2 (ja) * 1986-10-03 1997-02-19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タイミング信号遅延回路装置
DE3710420A1 (de) * 1987-03-28 1988-10-06 Grundig Emv Kammfilter fuer videorecorder
DE3925325A1 (de) * 1988-11-30 1990-05-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Kompensationsschaltung fuer eine verzoegerungszeit eines helligkeitssignals beim multimodus-fernsehen
JPH04185195A (ja) * 1990-11-20 1992-07-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遅延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141333A (ja) 1994-05-20
KR940010773A (ko) 1994-05-26
DE69323684D1 (de) 1999-04-08
EP0595223B1 (en) 1999-03-03
DE69323684T2 (de) 1999-10-07
EP0595223A3 (en) 1994-06-29
EP0595223A2 (en) 1994-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34198B2 (ko)
KR100363894B1 (ko) 필터 선택을 위하여 등화 데이터를 이용하는 고선명 텔레비젼 수신기 구동 방법 및 회로
EP0113932B1 (en) Television transmission system
KR100199312B1 (ko) 지연회로
GB2262202A (en) Recording two video signals onto a single recording medium
KR880004695A (ko) 컬러영상신호의 전송방법, 표시장치및 처리장치
US4333104A (en) Color demodulating apparatus with cross-color cancellation
US3400211A (en) Television standards conversion
JPH0582115B2 (ko)
EP0277808B1 (en) Comb filter circuits
EP0486300B1 (en) Video signal processing apparatus
JPH0641429Y2 (ja) 分離されたy,c信号入力に対応可能なy/c分離回路
US4584614A (en) Chroma signal phase correction circuitry to be used in a color video information playback system
JP2932090B2 (ja) 文字多重受信機内蔵多方式テレビ受像機
KR0160697B1 (ko) 더블/와이드 텔레비젼 수상기
JPH04332293A (ja) カラーバック発生装置,記録情報再生装置、およびtv調整方法
JPH0535672Y2 (ko)
KR0136505Y1 (ko) 음성복조회로
JPH0677760A (ja) フィルタ回路の自動周波数調整回路
JPH05336532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
JPS60192478A (ja) ドロツプアウト補正装置
JPH04185195A (ja) 遅延素子
JPS6326188A (ja) 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1135289A (ja) Pal方式ビデオテ−プレコ−ダ
JPS59176988A (ja) 再生装置の色相調整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25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