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683B1 - 열변위 t 다이 - Google Patents

열변위 t 다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683B1
KR100196683B1 KR1019950036313A KR19950036313A KR100196683B1 KR 100196683 B1 KR100196683 B1 KR 100196683B1 KR 1019950036313 A KR1019950036313 A KR 1019950036313A KR 19950036313 A KR19950036313 A KR 19950036313A KR 100196683 B1 KR100196683 B1 KR 1001966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heating sleeve
thermal
bolt
bend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63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3502A (ko
Inventor
사토루 닛타
류이치 와키타
Original Assignee
오까노 사다오
도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까노 사다오, 도시바 기까이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오까노 사다오
Publication of KR960013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3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6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6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05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 B29C48/31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 B29C48/313Extrusion nozzles or dies having a wide opening, e.g. for forming sheets being adjustable, i.e. having adjustable exit sections by positioning the die 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25/00Profiling tools for metal extruding
    • B21C25/02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7Flat, e.g. panels
    • B29C48/08Flat, e.g. panels flexible, e.g. fil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다이슬릿갭의 초기조정이 넓은 범위내에서 용이하고 정밀하게 이루어지고 다이슬릿갭에 대한 열변위 액츄에이터의 제어성이 개량되도록 설계된 열변위 T 다이가 개시되었다. 한쌍의 립은 휨가능한 립으로 형성되어 있다. 수동식 다이볼트는 휨가능한 립상에 배열되어 있는 반면에,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다이볼트는 다른 휨가능한 립상에 배열되었다. 수동식 다이볼트의 배열피치는 자동으로 작동되는 다이볼트의 배열피치보다 더 짧다.

Description

열변위 T 다이
제1도는 열직동타입의 열변위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변위 T 다이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제2도는 열변위 액츄에이터의 다이볼트와 가열슬리브 사이의 나사이음부에서 백래시가 있을 때 성립되는 온도와 휨가능 립의 변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3도는 나사이음부에서 백래시가 없을 때 성립되는 온도와 휨가능한 립의 변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
제4도는 열차동 타입의 열변위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열변의 T 다이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제5도는 종래의 열변위 T 다이의 배열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21 : 다이몸체 22 : 제1의 휨가능한 립
23 : 제2의 휨가능한 립 24 : 다이슬릿 간격
25, 26 : 롤 30 : 열변위 다이볼트
34 : 록너트 40 : 수나사부
42 : 가열슬리브 44 : 슬리브 히터
46, 47 : 너트
[발명의 배경]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필름, 쉬트 등을 위한 압출기에서 사용되는 열변위 T 다이에 관한 것이며, 더 구체적으로는 립들 사이에 형성된 다이슬릿 간격이 다이볼트의 열팽창 및 수축을 이용함으로써 조정되도록 설계된 개량 열변위 T 다이에 관한 것이다.
[관련기술의 정보]
이런 타입의 T 다이는 한쌍의 립을 고정되게 그리고 이동가능하게 또는 휨가능하게 가지고 있다. 다이볼트는 고정된 립과 휨가능한 립사이에 형성된 다이슬릿 간격을 조정하기 위해서 휨가능한 립에 연결되어 있다. 다이볼트는 다이슬릿 틈새를 조정하는데 사용되어서 형성될 필름 등의 두께를 조정한다.
종래의 T 다이는 다이볼트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것외에, 다이슬릿 틈새가 열변위 액츄에이터(예를들어, 일본국 실공평 5-40993호)의 열팽창 및 수축을 제어함으로써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설계된 것을 포함한다.
제5도는 열차동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종래의 T 다이를 도시하고 있다. 휨가능한 립(62)과 고정된 립(63)은 A 다이몸체(60)와 B 다이몸체(61) 각각의 선단에 형성되어 있다. 다이슬릿 간격(64)은 립(62와 63)의 각각 마주보는 면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휨가능한 립(62)을 가지고 있는 A 다이몸체(60)에서 장착플랜지(65)는 립(62)의 위에 돌출하여 있고, 열차동 액츄에이터(66)의 한쪽 끝은 플랜지(65)에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있다.
근본적으로, 열차동 액츄에이터(66)는 다이볼트(67)에 의해서 동축선상으로 관통하여 있는 가열슬리브(68), 및 이 가열 슬리브의 외주면과 친밀하게 접촉한 상태로 있도록 이 슬리브(68)상에 끼워맞춤된 조정가능한 히터(69)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T 다이는 밀기만 하는 밀기다이이고 다이볼트(67)의 선단은 가열슬리브(68)와의 상대적인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71)를 관통하여 휨가능한 립(62)에 맞닿음해 있다. 조정나사(70)는 다이볼트(67)의 말단부분에 연결되어 있다. 다이볼트(67)의 가압력은 나사(70)가 가열슬리브(68)의 자유단 부분내로 체결되도록 수작업에 의해서 초기에 조정될 수 있다. 저열팽창계수의 주철 또는 실리콘 카바이드와 같은 엔지니어링 세라믹은 다이볼트(67)의 재질로서 사용된다. 반면에, 가열슬리브(68)와 조정나사(70)는 강철 등으로 형성된다. 슬리브(68)의 재질은 더 높은 열팽창계수를 가진다.
이 열차동 액츄에이터에서 다이볼트(67)와 가열슬리브(68)의 재질은 서로 다른 열팽창계수를 가지고 있어서 슬리브(68)의 자유단 부분이 가열에 의해서 상향으로 뻗게된다. 다이볼트(67)가 저열팽창계수의 주철 또는 엔지니어링 세라믹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열팽창계수가 가열슬리브(68)의 열팽창보다 작다. 열팽창의 차이로 인하여 말단 플랜지의 상부표면과 하부표면은 상향으로 이동한다. 그래서, 휨가능한 립(62)상의 가압 하중은 감소되어 다이슬릿 간격(64)이 넓어질 수 있다. 가열슬리브(68)가 냉각되면 이와는 반대로 가열슬리브(68)는 다이볼트(67)보다 더 높은 정도로 수축한다. 따라서, 다이볼트(67)는 휨가능한 립(62)을 눌러 내리도록 상대적으로 작용하고, 그결과 다이슬릿 간격(64)은 좁아진다.
T 다이의 하류측에 배치된 것은 압축된 필름 등의 두께를 측정하기 위한 검출기로서 사용하기 위한 적외선 두께 표시기가 배치되어 있다. 필름 두께는 두께 표시기에 의한 측정결과에 따라 가열슬리브(68)를 가열하는 히터(69)의 온도를 제어함으로써 일정한 값으로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최근의 열변위 타입의 자동 T 다이로서, 제5도에 도시된 밀기만 하는 밀기 다이 외에도 밀고당기는 양쪽방향으로 휨가능한 립을 변위하도록 된 밀고당기는 열변위 액츄에이터가 구비되어 있는 것과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휨가능한 고정된 측의 립을 갖추고 있는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다이슬릿 간격(64)을 자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는 기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이 있다.
그러나,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다이슬릿 간격을 조정하는 경우에, 조작량은 적고 열팽창 또는 수축은 작아져서 조정범위가 좁아진다. 따라서, 다이슬릿 간격의 초기조정을 위한 조작이 특히 까다롭다.
휨가능한 립을 밀고당기는 경우에 있어서, 특히 히터온도는 다이볼트와 가열슬리브에 맞물려 있는 나사부 사이의 백래시로 인하여 가열측과 냉각측 양쪽을 걸쳐 변하할 때에 사구역(불감대)을 통과해야 한다. 따라서 제어성은 상당히 낮아진다.
[발명의 개요]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이슬릿 간격의 초기조정이 광범위한 범위로 쉽고 정확하게 실행될 수 있고 다이슬릿 간격을 위한 열변위 액츄에이터의 제어성이 향상되도록 설계된 열변위 T 다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립의 폭방향으로 복수의 다이볼트를 밀고 당김으로써 한쌍의 립의 사이에서 다이슬릿 간격을 조정하기 위한 열변위 T 다이가 제공되어 있다. 한쌍의 립은 아동가능한 립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동가능한 립들중 하나는 수동식 다이볼트를 위에 배열하여 가지고 있는 반면에, 다른 하나는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다이볼트를 가지고 있다. 수동식 다이볼트의 배열피치는 자동식 다이볼트의 배열피치보다 더 짧다.
각각의 열변위 액츄에이터는 히터, 및 다이의 장착플랜지에 고정된 한쪽 끝과 그리고 이동 가능한 립에 보다 인접한 쪽에서 자유단을 이루고 있고 상기 히터를 외측에 밀착시켜 가지고 있는 다른 한쪽 끝을 가진 가열슬리브를 포함하고 있는 열 직동형 액츄에이터일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다이볼트는 록너트에 의해서 가열슬리브의 자유단측에서 체결되어 고정되어 있다.
또, 각각의 열변위 액츄에이터는 히터 및, 다이의 장착플랜지에 고정된 한쪽 끝과 그리고 이동가능한 립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에서 자유단을 이루고 있고 상기 히터를 외측에 밀착시켜 가지고 있는 다른 한쪽 끝을 가진 가열슬리브를 포함하고 있는 열차동 액츄에이터일 수도 있고, 이 가열 슬리브가 다이볼트재질의 열팽창계수보다 더 큰 열팽창계수를 가지고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고,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다이볼트는 록너트에 의해서 가열슬리브의 자유단측에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있다.
더욱이 바람직하게는 가열슬리브는 다이의 자착플랜지의 암나사부와 나사맞물림상태로 있는 수나사부를 가지고 있고, 너트가 장착플랜지 양쪽측면 각각 상의 수나사부를 끼워 맞춤하여 단단하게 죄어지는 방식으로 고정적으로 위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수동식 다이볼트는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식으로 작동되는 다이볼트와 병용하여 사용된다. 다이슬릿 간격은 수동식 다이볼트에 의해서 초기 조정된다. 압출기의 자동작동동안에 다이슬릿 간격은 자동적으로 조정되어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두께 프로파일을 제어한다.
수동식 다이볼트에 의해서 다이슬릿 간격을 초기 조정함에 있어서, 다이볼트로부터 큰 작동력은 이동가능하거나 또는 휨가능한 립에 작용한다. 더구나 이들 다이볼트의 배열피치가 상대적으로 짧기 때문에 휨가능한 립은 요구되는 대로 변형될 수 있고 조정범위는 넓어질 수 있다.
더구나, 백래시는 각각의 다이볼트와 가열슬리브를 체결하는 역할을 하는 록너트를 추가로 사용함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백래시가 이런 방식으로 제거되기 때문에 히터 온도의 가열측과 냉각측에 걸친 사구역(불감대)이 없다. 따라서, 각각의 휨가능한 립의 변위는 가열슬리브의 팽창 또는 수축에 대하여 선형으로 변해서 향상된 제어성을 확보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열변위 T 다이는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2축으로 뻗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자동 열변위 T 다이에 적용된 본 실시예의 배열상태를 도시하고 있는 단면도이다.
압출기에 부착되는 T 다이는 제1 및 제2 고정다이몸체(20과 21)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 다이몸체(20과 21)의 각각은 휨가능한 립을 가지고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다이몸체(20과 21)는 각각 제1 및 제2 휨가능한 립(22와 23)이 구비되어 있으며, 다이몸체 각각의 하부끝으로부터 돌출되어 이들 립은 이들 사이에서 다이슬릿을 형성한다. 제1 및 제2 휨가능한 립(22와 23)의 각각의 마주보는 면은 용융수지가 통과하는 다이슬릿 간격(24)을 형성하고 있다.
수지가 다이슬릿 간격(24)으로부터 압출될 때 수지는 필름형상으로 성형되고 제1 및 제2 다이몸체(20과 21)의 하류에 배열되는 한쌍의 롤(25와 26) 사이의 간격내로 압출된다. 그다음, 수지필름은 롤(25와 26)로부터 연속적으로 뽑아내어진다.
다이볼트는 다이슬릿 간격(24)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며, 제1 다이몸체(20)를 위한 소정된 수의 수동식 다이볼트(28)와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제2 다이몸체(21)를 위한 다이볼트(30)를 포함하고 있다.
수동식 다이볼트(28)는 제1 다이몸체(20)의 제1 휨가능한 립(22)을 따라 다이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폭방향으로의 볼트(28)의 배열피치는 제2 다이몸체(21)의 제2 휨가능한 립(23)을 위한 열변위 다이볼트(30)의 배열피치보다 짧다. 예를들어 폭이 1,300㎜인 T 다이의 경우에 다이볼트(28과 30)의 배열피치는 20㎜와 30㎜ 각각으로 조정될 수도 있다. 따라서, 다이볼트(28)는 보다 짧은 간격으로 배열된다.
밀고당기는 타입의 각각의 수동식 다이볼트(28)는 선단부상에 형성된 수나사부(33)를 가지고 있다. 다이볼트(28)는 휨가능한 립(22)내로 수나사부(33)를 체결한 후에 록너트(34)에 의해서 이 수나사부를 클램핑함으로써 휨가능한 립(22)에 이음되어 있다. 제1 다이몸체(20)는 내부에 나사가공된 지지부(31)가 구비되어 있다. 각각의 다이볼트(28)의 외주면상의 수나사부(32)는 지지부(31)에 나사식으로 끼워맞춤되어 있다. 따라서, 휨가능한 립(22)은 다이볼트(28)가 전진되거나 후퇴되도록 공구에 의해서 각각의 다이볼트(28)의 헤드(35)를 수동식으로 돌림으로써 밀거나 당겨질 수 있다.
한편, 밀고당기는 타입인 각각의 자동식 다이볼트(30)는 선단부에 형성되어 휨가능한 립(23)과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는 수나사부(40)를 가지고, 록너트(41)에 의해서 수나사부(40)를 클램핑함으로써 립(22)에 단단하게 이음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열 직동 액츄에이터는 휨가능한 립(23)을 밀고당기도록 다이볼트(30)를 가압하는 열변위 액츄에이터로서 사용된다. 상기 열 직동 액츄에이터는 가열슬리브(42) 및 이 슬리브(42) 왼측에 밀착시켜 끼워맞춤된 슬리브 히터(44)로 구성되어 있다. 다이볼트(30)는 가열슬리브(42)안에 동축으로 삽입되고 그 수나사부(40)는 슬리브(42)의 자유단측상의 암나사에 체결된다. 다이볼트(30)는 록너트(45)에 의해서 특히, 느슨해지지 않도록 가열슬리브(42)에 체결고정된다.
한편, 수나사부(38)는 가열슬리브(42)의 고정단측에 형성된다. 수나사부(38)는 제2 다이몸체(21)로부터 돌출한 장착플랜지(37)의 양쪽 측으로부터 제1 및 제2 작동너트(46과 47)에 의해서 클램핑됨으로써 고정된다. 너트(46과 47)는 록너트로서 작용을 하고, 또 다이볼트(30)를 수동식으로 밀고당기는데 사용된다.
가열슬리브(42)가 히터(44)에 의해서 가열되면, 이러한 열변위 액츄에이터에서는 슬리브(42)가 열팽창함에 따라 각각의 다이볼트(30)가 다이슬릿 간격(24)을 좁히도록 휨가능한 립(23)을 가압한다. 이와 반대로, 다이슬릿 간격(24)은 가열슬리브(42)를 냉각시킴으로써 넓어질 수 있다.
한편 수작업에 의해서 휨가능한 립(23)을 누르는 방향으로(다이슬릿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조정함에 있어서 제1 작동너트(46)는 사전에 먼저 제2 작동너트(47)를 느슨하게 한후 죄어진다. 그후, 가열슬리브(42)가 휨가능한 립(23) 쪽의 위치로 이동되어, 립이 슬리브(42)에 연결된 제2 다이볼트에 의해서 점차적으로 눌러진다. 이와 반대로 휨가능함 립(23)을 당김방향으로 조정함에 있어서, 제2 작동너트(47)는 먼저 제1 작동너트(46)를 느슨하게 한후에 죄어진다. 그후, 가열슬리브(42)가 휨가능한 립(23)으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이동되어 립(23)이 당겨질 수 있다.
압출기의 자동작동에 연관된 본 실시예의 작용이 아래에서 설명된다. 먼저 다이슬릿 간격(24)의 초기조정을 하기 위한 다이볼트의 작동이 설명된다. 이 초기조정에 있어서 수동식 다이볼트(28)는 자동식 다이볼트(30)가 고정된 상태에서 주로 사용된다. 따라서 각각의 가열슬리브(42)의 위치를 휨가능한 립(23)측에 결정해두기 위하여, 제1 및 제2 작동너트(46, 47)를 각각 조인후에 록너트(45)는 죄어져서 슬리브(42)와 다이볼트(30)의 상대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잠금한다.
그다음에, 휨가능한 립(22)은 다이슬릿 간격(24)을 조정하기 위하여 밀거나 또는 당겨진다. 이 경우에는 다이슬릿 간격(24)이 수동식 다이볼트(28)를 공구에 의해서 돌림으로써 소정의 크기로 조정된다. 이렇게해서 행한 다이슬릿 간격(24)의 조정의 경우에는 다이볼트(28)로부터의 큰 작동력이 휨가능한 립(22)에 적용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볼트(28)의 배열피치가 짧으므로, 다이슬릿 간격(24)은 넓은 범위에 걸쳐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슬릿간격(24)이 이러한 방식으로 초기 조정된 후에 성형작동이 시작된다. 압출된 필름의 두께 프로파일은 두께 표시기에 의해서 그 폭의 전체에 걸쳐서 검출되며, 히터(44)에 의해서 가열된 가열슬리브(42)의 온도는 동시에 검출된다. 검출된 두께 프로파일은 이전에 저장된 목표 프로파일과 비교되며, 이에 의해 필름두께의 불균일성이 계산된다. 이러한 자동제어모드에 있어서, 작동은 프로파일 형성이 시작됨과 동시에 시작된다. 불균일한 필름 두께가 기준값보다 작으면, 생산작동은 자동제어모드를 전환시키지 않고 시작된다.
한편 불균일한 필름 두께가 기준값보다 크면, 다이슬릿 간격(24)의 크기는 작동모드를 수동모드로 전환한 후 상기 초기조정의 경우와 동일한 방식으로 수동식 다이볼트(28)를 수작업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이것은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한 립변위가 기본적으로 작으므로, 조작량이 큰 수동식 다이볼트(28)에 의해 그 조정을 돕도록 행해진다. 두께의 불균일이 조정에 의해서 감소된 것으로 확인되면, 자동작동모드에서의 생산작동은 시작된다.
자동작동모드가 이러한 방식으로 계속되면,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으로 작동되는 자동식 다이볼트(30)의 운동은 밀기에서 당기기로 전환하도록 가압된다.
이러한 경우, 각각의 다이볼트(30)의 수나사부(40)와 가열슬리브(42)의 암나사부 사이에서 백래시가 존재한다. 본래, 온도변화에 기인되는 가열슬리브(42)의 변위에 비례 관계에 있는 휨가능한 립(23)의 변위는 이 백래시의 간격 만큼 감소된다. 제2도는 백래시가 존재할 때 성립되는 히터(44)의 온도변화와 휨가능한 립(23)의 변위 사이의 관계를 도시한 그래프이다. 어떤 범위에서는 히터(44)의 온도가 변화하더라도 가열슬리브(42)의 변위는 백래시에 의해서 상쇄되며 휨가능한 립(23)의 변위와 직접 관련될 수 없다. 제2도에서, 휨가능한 립(23)의 변위가 0인 구역은 백래시 구역에 상당한다. 백래시 구역은 히터온도의 가열측과 냉각측 사이의 경계에 존재한다. 결국 립변위는 전체적으로 감소된다. 이것을 피하기 위하여, 록너트(45)는 죄여져 잠그어진다. 그래서, 서로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는 다이볼트(30)와 가열슬리브(42) 사이의 백래시는 너트(45)에 의해서 완전하게 억제되어 원활하고 연속적인 선형제어가 예컨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백래시 구역에 해당하는 사구역(불감대)에 들어감이 없이 계속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자동운전중에는 예를들면, 수지의 특성변화 등의 장애에 기인하여 필름의 두께 프로파일이 상하한 허용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경보가 울리는 것과 동시에 필요에 의한 수동식 다이볼트(28)의 최적 조작량을 연산, 표시하도록 할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조작자는 그 표시를 보면서 수동식 다이볼트(28)를 작동시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열변위 T 다이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수동식 다이볼트가 제1 다이몸체(20)에 부착된 다이볼트로서 배열되어 있다. 열차동 액츄에이터는 제2 다이몸체(21)에 부착된 다이볼트(30)를 개입하여 휨가능한 립(23)을 밀고당기는 열변위 액츄에이터로서 사용되고 있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다이볼트(28)의 배열피치는 다이볼트(30)의 배열피치보다 짧다.
각각의 열차동 액츄에이터는 가열 슬리브(51)와 그리고 이 가열슬리브(51)의 외측에 밀착시켜 끼워진 슬리브 히터(52)로 이루어졌다. 다이볼트(30)는 가열슬리브(51)에 동축으로 삽입되고 그 선단부에서 수나사부(53)는 록너트(54)에 의해서 휨가능한 립(23)에 체결된다. 다이볼트(30)의 다른 한 선단측에서 수나사부(58)는 가열슬리브(51)의 자유단측과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고 느슨해지지 않도록 록너트(59)에 의해서 슬리브(51)에 고정된다. 너트(59)가 죄어지면, 수나사부(58)의 백래시는 억제되어 다이볼트(30)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열슬리브(51)에 체결된다.
한편, 수나사부(73)는 가열슬리브(51)의 고정단측에 형성되어 있다. 수나사부(73)는 제1 및 제2 작동너트(56, 57)에 의해서 제2 다이몸체(21)로부터 돌출한 장착플랜지(50)의 양측으로부터 클램프됨으로써 고정된다. 너트(56, 57)는 록너트로서 작용하고 그밖에는 가열슬리브(51)를 초기 위치결정하는데 사용된다.
휨가능한 립(23)을 수작업에 의해 밀기방향으로 조정함에 있어서 제1 작동너트(56)는 사전에 먼저 제2 작동너트(57)를 느슨하게 한후에 죄여진다. 그래서, 가열슬리브(51)가 휨가능한 립(23) 쪽으로 그 위치를 이동하여 립(23)이 슬리브(51)에 연결된 다이볼트(30)에 의해서 점차적으로 밀어질 수 있다.
이에 반대로 휨가능한 립(23)을 당김방향으로 조정함에 있어서, 제2 작동너트(57)는 먼저 제1 작동너트(56)를 느슨하게 한후에 죄여진다. 그래서, 가열슬리브(51)가 휨가능한 립(23)으로부터 떨어지는 위치로 이동되어 립(23)이 당겨질 수 있다. 이러한 열차동 액츄에이터에 있어서는, 열팽창의 상이한 계수를 가진 재질이 다이볼트(30)와 가열슬리브(51)에 각각 사용된다. 예컨대, 스텐레스강은 가열슬리브(51)에 사용되는 반면에 저열팽창 주철 또는 엔지니어링 세라믹은 다이볼트(30)의 재질로 사용되어 볼트(30)의 열팽창이 슬리브(51)의 열팽창보다 작도록 한다.
가열슬리브(51)는 가열되면 볼트(30)의 신장이 열팽창에 있어서의 상이함으로 인하여 슬리브(51)의 신장보다 작기 때문에 다이볼트(30)를 당긴다. 그결과, 휨가능한 립(23)상에서 누르는 하중이 감소되어 다이슬릿 간격(24)이 넓어질 수 있다.
이와 반대로 가열슬리브(51)가 냉각되면, 이 가열슬리브는 다이볼트(30) 보다 더 수축되어 휨가능한 립(23)을 이 볼트(30)가 눌러내려 다이슬릿 간격(24)을 좁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열된 실시예에 따라, 다이슬릿 간격(24)은 수동식 다이볼트(28)에 의해서 초기 조정되며 열차동 액츄에이터에 의한 두께 프로파일의 자동제어 작동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자동작동하는 동안에 서로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는 다이볼트(30)와 가열슬리브(51) 사이의 백랙시가 록너트(56)에 의해서 제거되어 휨가능한 립(23)의 변화가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가열슬리브(51)의 온도변화에 선형적으로 추종시킬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한쌍의 립은 이동가능한 립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이동가능한 립들중 하나는 수동식 다이볼트가 배열되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작동되는 다이볼트가 배열되어 있다. 수동식 다이볼트의 배열피치가 자동식 다이볼트의 배열피치보다 짧으므로, 다이슬릿 간격은 수동식 다이볼트에 의해 조작성 좋게 넓은 범위에 걸쳐서 초기 조정될 수 있다. 한편, 자동작동중의 두께 프로파일 제어에 있어서 다이슬릿 간격은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더욱이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한 조정은 작동조건에 따라 수동식 다이볼트에 의해서 다이슬릿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보정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백래시는 가열슬리브와 다이볼트 사이의 나사이음부를 록너트에 의해서 고정시킴으로써 제거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다이볼트의 이동이 밀기에서 당김으로 또는 당김에서 밀기로 전환될 때 어떠한 사구역(불감대)도 없어서 휨가능한 립의 변위에 대한 제어성은 더욱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이 개시가 예시의 목적으로 되어 있으며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은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7)

  1. 용융 수지의 쉬트를 한쌍의 휨가능한 립(22, 23) 사이에 형성한 다이슬릿 간격(24)을 통하여 압출하는 열변위 T 다이로서, 다이슬릿 간격을 조정하기에 적합하게 되어 있는 열변위 T 다이에 있어서, 휨가능한 립들중 하나(22)에 배열된 복수의 수동식 다이볼트(28) 및 열변위 액츄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작동되고 휨가능한 립의 다른 하나(23)에 배열된 복수의 다이볼트(30)로 구성되어 있으며, 수동식 다이볼트의 배열피치는 자동식 다이볼트의 배열피치보다 짧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위 T 다이.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열변위 액츄에이터는 열직동 액츄에이터이며, 이 열직동 액츄에이터는 히터(44)와, 그리고 다이의 장착 플랜지(37)에 한쪽 끝이 고정되고 휨가능한 립에 가까운 쪽에서 다른 한쪽 끝이 자유단을 이루고 있고 외측에 밀착시켜 끼워진 히터를 가지고 있는 가열 슬리브(42)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위 T 다이.
  3. 제2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자동식 다이볼트는 록너트(45)에 의해서 가열슬리브의 자유단측에 고정적으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위 T 다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슬리브는 다이의 장착플랜지의 암나사부와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는 수나사부(38)를 가지고 있고 너트(46, 47)가 장착플랜지의 양쪽 각각에서 수나사부에 끼워져서 죄여지는 방식으로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위 T 다이.
  5.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열변위 액츄에이터는 열차동 액츄에이터이며, 이 열차동 액츄에이터는 히터(52)와, 그리고 다이의 장착플랜지(50)에 한쪽 끝이 고정되고 휨가능한 립(23)으로부터 멀리 떨어진 쪽에서 다른 한쪽 끝이 자유단을 이루고 있고 외측에 밀착시켜 끼워진 히터를 가진 가열 슬리브(51)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가열슬리브는 다이볼트(30)의 재질의 열팽창계수보다 높은 열팽창계수를 가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위 T 다이.
  6.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다이볼트는 록너트(59)에 의해서 가열슬리브의 자유단측에서 고정적으로 체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위 T 다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슬리브는 다이의 장착플랜지의 암나사부와 나사식으로 맞물려 있는 수나사부(73)를 가지고 있고, 너트(56, 57)가 장착플랜지의 양측 각각에서 수나사부에 끼워져서 죄여지는 방식으로 고정적으로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변위 T 다이.
KR1019950036313A 1994-10-20 1995-10-20 열변위 t 다이 KR1001966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55419A JP2996882B2 (ja) 1994-10-20 1994-10-20 熱変位式tダイ
JP94-255419 1994-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3502A KR960013502A (ko) 1996-05-22
KR100196683B1 true KR100196683B1 (ko) 1999-06-15

Family

ID=172785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6313A KR100196683B1 (ko) 1994-10-20 1995-10-20 열변위 t 다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22730A (ko)
JP (1) JP2996882B2 (ko)
KR (1) KR100196683B1 (ko)
CN (1) CN1066391C (ko)
TW (1) TW332170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968B1 (ko) * 2013-10-24 2015-02-1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79383B1 (en) * 1994-02-04 1999-01-05 Extrusion Dies Inc Dual flexible lip extrusion apparatus
US7053752B2 (en) * 1996-08-06 2006-05-30 Intuitive Surgical General purpose distributed operating room control system
US6463361B1 (en) * 1994-09-22 2002-10-08 Computer Motion, Inc. Speech interface for an automated endoscopic system
DE19535930C1 (de) * 1995-09-27 1997-01-09 Heinz Dr Ing Gros Vorrichtung zur veränderlichen Begrenzung eines flachen Fließkanals und Verfahren zum Austragen einer Massebahn mit veränderlicher Geometrie
US6911916B1 (en) * 1996-06-24 2005-06-28 The Cleveland Clinic Found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ccessing medical data over a network
JPH10225973A (ja) * 1997-02-14 1998-08-25 Toshiba Mach Co Ltd 熱変位式自動tダイの制御方法
US5888556A (en) * 1997-03-11 1999-03-30 The Cloeren Company Thermal translator device
US6663375B1 (en) 2000-06-19 2003-12-16 Extrusion Dies, Inc. Dual flexible lip extrusion apparatus with pivoting actuation member
DE10328104B4 (de) * 2003-06-20 2006-08-17 Breyer Gmbh Maschinenfabrik Extrusionsdüse mit zumindest einem flexiblen Lippenelement
WO2007069473A1 (ja) * 2005-12-12 2007-06-21 Konica Minolta Opto, Inc. 偏光板保護フィルム、フィルム製造方法、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4669433B2 (ja) * 2006-04-21 2011-04-13 株式会社日本製鋼所 アクチュエータ取付位置調整用の支援装置
ES2387857B1 (es) * 2010-11-30 2013-11-07 Gamesa Innovation & Technology S.L. Dispositivo de regulación de las deformaciones del lecho de un molde de geometría aerodinámica y método de moldeo con dicho dispositivo
DE102010062900A1 (de) * 2010-12-13 2012-06-14 Evonik Röh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chtleitkörpern und deren Verwendung in Beleuchtungseinheit
DE102011088835A1 (de) * 2011-12-16 2013-06-20 Evonik Industries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chtleitkörpern und deren Verwendung in Beleuchtungseinheit
CN104552868B (zh) * 2013-10-10 2018-12-07 诺信公司 具有热响应唇调整系统的挤压模具
JP6399850B2 (ja) * 2014-08-05 2018-10-03 住友重機械モダン株式会社 ダイリップ駆動構造
US10272609B2 (en) * 2016-09-26 2019-04-30 Nordson Corporation Extrusion die having thermally responsive lip adjustment assembly
CN106956416A (zh) * 2017-02-27 2017-07-18 浙江凯阳新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薄膜挤出装置
US11351711B2 (en) * 2017-09-28 2022-06-07 Nordson Corporation Die with a modular adjustment system and a modular adjustmen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61553A (en) * 1971-06-28 1973-09-25 Celanese Corp Method for producing uniform drawn films
US4454084A (en) * 1982-06-09 1984-06-12 Leesona Corporation Extrusion die control system
DE3427912C1 (de) * 1984-07-28 1986-03-06 Reifenhäuser GmbH & Co Maschinenfabrik, 5210 Troisdorf Strangpressaggregat fuer das Strangpressen von thermoplastifiziertem Kunststoff
DE3427915C1 (de) * 1984-07-28 1986-03-06 Reifenhäuser GmbH & Co Maschinenfabrik, 5210 Troisdorf Kalibrieraggregat einer Strangpressvorrichtung fuer thermoplastifizierten Kunststoff
EP0256490B1 (en) * 1986-08-12 1992-04-29 Toshiba Kikai Kabushiki Kaisha Heat displacing type dies
US5051082A (en) * 1989-02-17 1991-09-24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adjusting die lips for extrusion molding
JPH0622849B2 (ja) * 1989-07-21 1994-03-30 東芝機械株式会社 フイルム等のプロフアイル制御方法
JPH0628891B2 (ja) * 1990-04-23 1994-04-20 東レ株式会社 製膜用ダイおよびそのダイのスリット間隙の調整方法
JPH0540993A (ja) * 1991-08-05 1993-02-19 Sony Corp テープガイ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968B1 (ko) * 2013-10-24 2015-02-12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391C (zh) 2001-05-30
TW332170B (en) 1998-05-21
KR960013502A (ko) 1996-05-22
US5622730A (en) 1997-04-22
JPH08118455A (ja) 1996-05-14
JP2996882B2 (ja) 2000-01-11
CN1132140A (zh) 1996-10-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83B1 (ko) 열변위 t 다이
US4753587A (en) Extrusion die for the production of a flat sheet of thermoplastic material
US4592710A (en) Extruder press unit for extruding thermoplastic material
EP0668143B1 (en) Dual flexible lip extrusion apparatus
JP4716879B2 (ja) 押出成形用tダイ
EP0383418B1 (en) Apparatus for adjusting die lips for extrusion molding
US5626888A (en) Wide slot die
CN1596183A (zh) 用在热流道模具中的喷嘴
JP2021070235A (ja) 押出成形用ダイ
KR19980071361A (ko) 열 변위식 자동 티 다이의 제어 방법
JPS6140537B2 (ko)
KR101492968B1 (ko)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JP2002178385A (ja) 熱変位式tダイのリップ隙間設定装置
EP4259413A1 (en) Method and system for adjusting a slot die used for making an extruded article
JPH02215515A (ja) 押出成形用ダイリップ調整装置
JPS6313813B2 (ko)
JP2001293767A (ja) Tダイのリップ隙間調整装置
JPH0723234Y2 (ja) 押出成形用ダイリップ調整装置
JP2000108192A (ja) 押出成形用tダイ
JPH07268Y2 (ja) 押出成形用ダイリップ調整装置
JP5039636B2 (ja) 押出成形用のtダイ
WO2022195735A1 (ja) リップ間隔調整装置、押出成形用ダイ、押出成形装置、リップ間隔調整方法、及びフィルム製造方法
JPH11320650A (ja) 押出成形用tダイ
JPH1110704A (ja) フイルム押出成型用ダイ
JP2000117812A (ja) 押出成形用tダ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30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01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