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92968B1 -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92968B1
KR101492968B1 KR20130127261A KR20130127261A KR101492968B1 KR 101492968 B1 KR101492968 B1 KR 101492968B1 KR 20130127261 A KR20130127261 A KR 20130127261A KR 20130127261 A KR20130127261 A KR 20130127261A KR 101492968 B1 KR101492968 B1 KR 101492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
lip
bolt
die bolt
he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27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철주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272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29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2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2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7/00Producing flat articles, e.g. films or sheets
    • B29D7/01Films or she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T-다이는 히터가 다이볼트 내에 삽입됨에 따라, 히터로부터 다이볼트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되는 열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다이볼트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다이볼트의 끝단으로부터 히터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히터가 고장날 경우에도 유지 보수가 간편하다.

Description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T-DI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FABRICATING PLASTIC FILM USING SAME}
실시예는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필름의 제조에 사용되는 T-다이는, 다이몸체의 선단으로부터 연장된 한 쌍의 립과 이에 연결된 다이볼트를 통해 상기 립 간에 형성된 다이 슬릿의 간격을 조절함으로써, 토출되는 수지의 두께를 제어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종래의 T-다이는 다이볼트가 수동식으로 작동되도록 설계되거나, 또는 다이 슬릿의 간격이 열변위 액추에이터의 열팽창/수축 제어를 통해 자동적으로 조정되도록 설계된다(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96683호 참조).
종래의 T-다이의 일례에 따르면, 다이몸체의 선단이 연장되어 휨 가능한 립과 고정된 립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립들의 마주보는 면에 의해 다이 슬릿이 형성된다. 상기 다이몸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장착플랜지를 통해 액추에이터의 한쪽 끝이 체결되어 고정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가열 슬리브와 이의 내부를 동축선상으로 관통하는 다이볼트를 가지며, 상기 다이볼트의 한쪽 끝은 립에 연결된다. 상기 가열 슬리브의 외주면을 따라 히터가 접촉식으로 구비되며, 히터의 가열에 의해 다이볼트가 열팽창을 통해 길이가 증가되고, 히터의 가동 중단에 따라서 다이볼트의 길이가 줄어든다. 이에 따라서, 다이 슬릿의 간격이 줄어들거나 증가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T-다이는 다이볼트의 정밀한 길이 조절에 따른 립 간격 제어 측면에서 더욱 개선될 여지가 있으며, 또한 히터의 탈착이 쉽지 않아 유지 보수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96683호
실시예는 정확한 두께로 용융 수지를 토출하는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T-다이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제조 장치는 용융 수지를 압출하는 T-다이; 및 상기 T-다이로부터 압출되는 용융 수지를 캐스팅하는 캐스팅 롤을 포함하고, 상기 T-다이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제조 방법은 T-다이로부터 용융 수지를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용융 수지를 캐스팅 롤에 캐스팅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T-다이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T-다이는 히터가 다이볼트 내에 삽입됨에 따라, 히터로부터 다이볼트에 열을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고, 전달되는 열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다이볼트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어서, 용융 수지를 설정된 두께로 균일하게 압출시켜 원하는 두께로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른 T-다이는 다이볼트의 제 1 립 또는 제 2 립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끝단으로부터 히터를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으므로, 히터가 고장날 경우에도 유지 보수가 간편하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T-다이 및 캐스팅 롤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T-다이
일 실시예에 따른 T-다이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T-다이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T-다이 및 캐스팅 롤의 일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액추에이터의 일 단면을 확대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압출기에 부착되는 T-다이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20, 21)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다이몸체(20) 및 제 2 다이몸체(21)로부터 휨 가능한 제 1 립(22) 및 제 2 립(23)이 각각 연장된다.
상기 제 1 다이몸체(20) 및 상기 제 2 다이몸체(21)는 서로 대향된다. 또한, 상기 제 1 다이몸체(20) 및 상기 제 2 다이몸체(21)는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로 용융 수지가 흐를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상기 제 1 립(22) 및 상기 제 2 립(23)은 상기 제 1 다이몸체(20) 및 제 2 다이몸체(21)의 하부끝으로부터 각각 연장된다. 또한, 상기 제 1 립(22) 및 제 2 립(23)은 서로 대향되고, 서로 이격되어, 그 사이에 다이 슬릿(24)을 형성한다. 즉, 휨 가능한 제 1 립(22) 및 제 2 립(23)의 마주보는 면들 사이의 간격은 용융 수지가 통과하는 다이 슬릿(24)을 형성한다. 상기 다이 슬릿(24)을 통하여, 상기 제 1 다이몸체(20) 및 제 2 다이몸체(21) 사이로 유입된 용융 수지가 토출될 수 있다.
상기 수지가 다이 슬릿(24)으로부터 토출될 때, 수지는 필름 형상으로 성형되고 제 1 다이몸체(20) 및 제 2 다이몸체(21)의 아래에 배치되는 캐스팅 롤(26)의 외주면에 접촉된다. 그 다음, 수지 필름은 캐스팅 롤(26)로부터 연속적으로 캐스팅된다.
다이볼트는 다이 슬릿(24)의 간격을 조정하는데 사용되며, 제 1 다이몸체(20)에 고정되며 수동식으로 작동하는 하나 이상의 제 1 다이볼트(28)와, 제 2 다이몸체(21)에 고정되며 열변위 액추에이터에 의해서 자동식으로 작동되는 제 2 다이볼트(42)를 포함한다.
수동식의 제 1 다이볼트(28)는 제 1 다이몸체(20)의 휨 가능한 제 1 립(22)을 따라 다이의 폭방향으로 배열된다. 폭방향에 대한 제 1 다이볼트(28)의 배열 피치는, 제 2 다이몸체(21)의 휨 가능한 제 2 립(23)에 연결된 제 2 다이볼트(42)의 배열 피치보다 짧은 것이 좋다. 예를 들어 폭이 1,300㎜인 T-다이의 경우에 상기 제 1 다이볼트(28) 및 제 2 다이볼트(42)의 배열피치는 각각 20㎜ 및 30㎜일 수 있다. 따라서, 제 1 다이볼트(28)는 제 2 다이볼트(42)보다 짧은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밀고 당기는 타입의 수동식의 제 1 다이볼트(28)는 이의 선단부상에 형성된 수나사부(33)를 구비한다. 제 1 다이볼트(28)는 휨 가능한 제 1 립(22) 내로 수나사부(33)를 체결한 후에 록너트(34)에 의해서 수나사부(33)를 클램핑함으로써 휨 가능한 제 1 립(22)에 결합된다.
상기 제 1 다이몸체(20)는 내주면에 나사가공된 지지부(31)가 구비되며, 상기 지지부(31)에는 제 1 다이볼트(28)의 외주면상에 형성된 수나사부(32)가 나사식으로 끼워 맞추어진다. 따라서, 휨 가능한 제 1 립(22)은 다이볼트(28)가 전진되거나 후퇴되도록 공구에 의해서 각각의 다이볼트(28)의 헤드(35)를 수동으로 돌림으로써 밀거나 당겨질 수 있다.
한편, 밀고 당기는 타입의 자동식의 제 2 다이볼트(42)는 이의 선단부에 형성된 제 1 수나사부(40)에 의해 제 2 립(23)과 나사식으로 맞물려지고, 록너트(41)에 의해서 상기 제 1 수나사부(40)를 클램핑함으로써 상기 제 2 립(23)에 단단하게 결합된다.
또한, 상기 자동식의 제 2 다이볼트(42) 내에는 히터(30)가 삽입된다. 더 자세하게, 상기 제 2 다이볼트(42)는 파이프 형상을 가지고, 상기 히터(30)가 상기 제 2 다이볼트(42) 내에 동축선상으로 삽입된다.
상기 제 2 다이볼트(42) 및 상기 히터(30)은 열변위 액추에이터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열변위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 및 상기 히터(30)를 포함하고, 상기 휨 가능한 제 2 립(23)을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열변위 액추에이터는 상기 휨 가능한 제 2 립(23)을 밀도록 상기 히터(30)를 통하여 상기 제 2 다이볼트(42)를 가열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다이볼트(42)의 길이가 증가되고, 상기 제 2 립(23)을 밀어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서, 상기 다이 슬릿(24)의 간격이 줄어든다.
또한, 상기 히터(30)가 작동되지 않으면, 상기 제 2 다이볼트(42)는 냉각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립(23)은 자체 탄성에 의해서 원상 복구되고, 상기 다이 슬릿(24)의 간격이 늘어난다.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 및 상기 히터(30) 사이에 삽입되는 가열 슬리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열 슬리브는 높은 열 전도율을 가지되 상기 제 2 다이볼트(42)보다 낮은 열 팽창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4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48)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의 내주면에 배치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 상기 센서(48)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의 내주면에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센서(48)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의 온도를 보다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센서(48)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제 2 다이볼트(42)에 밀착 배치되므로, 외부의 영향을 받지 않고, 상기 제 2 다이볼트(42)의 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자동식의 제 2 다이볼트(42)는 제 2 수나사부(38)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 2 수나사부(38)는 상기 자동식 제 2 다이볼트(42)의 다른 고정 부위에 형성된다. 상기 제 2 수나사부(38)는 제 2 다이몸체(21)로부터 돌출한 장착플랜지(37)의 양쪽 측으로부터 제 1 및 제 2 작동너트(46, 47)에 의해서 클램핑됨으로써 고정된다. 록너트(46, 47)는 체결하는 역할을 하고, 또한 제 2 다이볼트(42)를 수동식으로 밀고 당기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자동식의 제 2 다이볼트(42)가 상기 히터(30)에 의해서 가열되면, 상기 자동식 제 2 다이볼트(42)가 휨 가능한 제 2 립(23)을 가압하여 다이 슬릿(24)의 간격을 좁힌다. 이와 반대로, 다이 슬릿(24)의 간격은 상기 자동식 제 2 다이볼트(42)가 냉각됨으로써 넓어질 수 있다.
한편, 수작업을 통해 휨 가능한 제 2 립(23)을 미는 방향으로(다이 슬릿의 간격을 좁히는 방향으로)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2 작동너트(47)를 느슨하게 한 후 제 1 작동너트(46)를 죄면 된다. 그 결과, 상기 자동식의 제 2 다이볼트(42)가 휨 가능한 제 2 립(23) 쪽으로 이동되어, 상기 휨 가능한 제 2 립(23)은 상기 제 2 다이볼트(42)에 의해 점차적으로 밀리게 된다. 이와 반대로 휨가능함 제 2 립(23)을 당기도록 조정하기 위해서는, 먼저 제 1 작동너트(46)를 느슨하게 한 후에 제 2 작동너트(47)를 죄면 된다. 그 결과, 상기 제 2 다이볼트(42)가 휨 가능한 제 2 립(23)으로부터 먼 위치로 이동되어 제 2 립(23)이 당겨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열변위 액추에이터가 상기 제 2 립(23)에만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되어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상기 제 1 립(22)에도 수동식 액추에이터 대신에, 상기 열변위 액추에이터가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T-다이에서, 상기 히터(30)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 내에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상기 히터(30)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에 효과적으로 열을 전달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히터(30)가 상기 제 2 다이볼트(42) 내로 삽입되므로, 상기 히터(30)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로 전달되는 열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30)로부터의 열 중, 외부로 새어 나가는 열이 현저히 감소되고, 대부분의 열은 상기 제 2 다이볼트(42)로 전달된다.
이에 따라서, 실시예에 따른 T-다이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의 길이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립(22, 23)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다. 그 결과, 용융 수지를 설정된 두께로 균일하게 압출시켜 원하는 두께로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히터(30)는 상기 제 2 다이볼트(42) 내부로부터 용이하게 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히터(30)가 고장나는 경우에, 상기 제 2 다이볼트(42)에서 상기 제 2 립(23)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끝단으로부터 히터(30)를 탈거한 뒤, 수리 후에 상기 제 2 다이볼트(42) 내부에 히터(30)를 다시 장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T-다이는 용이하게 유지 보수될 수 있다.
필름 제조 장치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 제조 장치는 용융 수지를 압출하는 T-다이; 및 상기 T-다이로부터 압출되는 용융 수지를 캐스팅하는 캐스팅 롤을 포함하고, 상기 T-다이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T-다이, 캐스팅 롤,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제 1 및 제 2 립, 액추에이터, 다이볼트, 히터 등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T-다이에 대한 내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캐스팅 롤(26)은 도 1과 같이 1개만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상기 캐스팅 롤(26)에 대향하여 이격되도록 추가적인 캐스팅 롤이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이 슬릿(24)으로부터 압출되는 수지는 2개의 캐스팅 롤 사이를 통과하며 캐스팅된 뒤, 이들 중 어느 하나의 캐스팅 롤의 외주면을 통해 이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 제조 장치는, 상기 캐스팅 롤에 의해서 캐스팅된 미연신 시트를 연신하는 연신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름 제조 방법
일 실시예에 따른 필름의 제조 방법은 T-다이로부터 용융 수지를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용융 수지를 캐스팅 롤에 캐스팅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T-다이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히터를 포함한다.
상기 필름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T-다이, 캐스팅 롤,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제 1 및 제 2 립, 액추에이터, 다이볼트, 히터 등의 구성 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앞서 T-다이에 대한 내용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제조 방법의 일례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20, 21)의 사이에 용융 수지가 유입되고, 유입된 용융 수지는 상기 제 1 립(22) 및 상기 제 2 립(23) 사이, 즉 상기 다이 슬릿(24)를 통하여 압출된다. 이와 같이 압출된 수지는 캐스팅 롤(26)의 외주면에 코팅되고 냉각되어, 미연신 시트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미연신 시트는 상기 캐스팅 롤(26)로부터 이탈된 뒤, 통상적인 공정에 의해서 1축 또는 2축 연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스틱 필름이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기 실시예를 중심으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지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기타의 실시예를 이하에 첨부한 청구범위 내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이해하여야 한다.
20: 제 1 다이몸체, 21: 제 2 다이몸체,
22: 제 1 립, 23: 제 2 립,
24: 다이 슬릿, 26: 캐스팅 롤, 28: 제 1 다이볼트,
30: 히터, 31: 지지부, 32, 33: 수나사부,
34, 41, 45: 록너트, 35: 헤드, 37: 장착플랜지,
38: 제 2 수나사부, 40: 제 1 수나사부, 42: 제 2 다이볼트,
46: 제 1 작동너트, 47: 제 2 작동너트, 48: 센서

Claims (12)

  1.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다이볼트의 제 1 립 또는 제 2 립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다이볼트 내부로 탈착 가능한 히터;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다이볼트가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센서가 상기 다이볼트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T-다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상기 다이볼트 내에 동축선상으로 삽입되는, T-다이.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볼트가 상기 히터로부터의 열에 의해서 길이가 증가되고,
    상기 길이가 증가되는 다이볼트에 의해서 상기 제 1 립 및 상기 제 2 립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는, T-다이.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T-다이가,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사이로 유입된 용융 수지를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통해 토출시키는, T-다이.
  7. 용융 수지를 압출하는 T-다이; 및
    상기 T-다이로부터 압출되는 용융 수지를 캐스팅하는 캐스팅 롤을 포함하고,
    상기 T-다이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다이볼트의 제 1 립 또는 제 2 립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다이볼트 내부로 탈착 가능한 히터;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다이볼트가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센서가 상기 다이볼트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필름 제조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제조 장치가, 상기 캐스팅 롤에 의해서 캐스팅된 미연신 시트를 연신하는 연신 장치를 더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상기 다이볼트 내에 동축선상으로 삽입되는, 필름 제조 장치.
  10. T-다이로부터 용융 수지를 압출하는 단계; 및
    상기 압출된 용융 수지를 캐스팅 롤에 캐스팅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T-다이는
    서로 대향되는 제 1 및 제 2 다이몸체;
    상기 제 1 및 제 2 다이몸체에 각각 연결되며, 서로 대향되어 이격되고 휨 가능한 제 1 및 제 2 립; 및
    상기 제 1 및 제 2 립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제 1 립 또는 상기 제 2 립에 연결되는 다이볼트;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다이볼트의 제 1 립 또는 제 2 립과 연결되는 부분의 반대쪽 끝단으로부터 상기 다이볼트 내부로 탈착 가능한 히터; 및
    상기 다이볼트 내부에 삽입되는 센서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다이볼트가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센서가 상기 다이볼트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필름 제조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가 상기 다이볼트 내에 동축선상으로 삽입되는, 필름 제조 방법.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 제조 방법은, 상기 미연신 시트를 1축 또는 2축 연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필름 제조 방법.
KR20130127261A 2013-10-24 2013-10-24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101492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261A KR101492968B1 (ko) 2013-10-24 2013-10-24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27261A KR101492968B1 (ko) 2013-10-24 2013-10-24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2968B1 true KR101492968B1 (ko) 2015-02-12

Family

ID=52593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27261A KR101492968B1 (ko) 2013-10-24 2013-10-24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2968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683B1 (ko) * 1994-10-20 1999-06-15 오까노 사다오 열변위 t 다이
JP2000062000A (ja) 1998-08-25 2000-02-29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用口金および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1353765A (ja) 2000-06-15 2001-12-25 Teijin Ltd シート押出成形用ダイおよびシートの成形方法
JP2002283432A (ja) * 2001-03-26 2002-10-03 Toray Ind Inc シート製造用口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6683B1 (ko) * 1994-10-20 1999-06-15 오까노 사다오 열변위 t 다이
JP2000062000A (ja) 1998-08-25 2000-02-29 Toray Ind Inc 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用口金および熱可塑性樹脂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2001353765A (ja) 2000-06-15 2001-12-25 Teijin Ltd シート押出成形用ダイおよびシートの成形方法
JP2002283432A (ja) * 2001-03-26 2002-10-03 Toray Ind Inc シート製造用口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83B1 (ko) 열변위 t 다이
KR101492968B1 (ko) T-다이, 이를 포함하는 필름 제조 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JP4716879B2 (ja) 押出成形用tダイ
JP2021070235A (ja) 押出成形用ダイ
JP2000505367A (ja) スライド型のダイリップを備える押出ダイ
KR19980071361A (ko) 열 변위식 자동 티 다이의 제어 방법
JP4639491B2 (ja) シート押出成形用口金
JPH02215515A (ja) 押出成形用ダイリップ調整装置
JP6213119B2 (ja) ゴム押出物の温度測定方法および温度測定ユニット
KR101694480B1 (ko) 코팅용 t-다이스 폭조절용 양방향 대칭 텐덤 인너바
US20150125562A1 (en) Dry calibration device for extruders
JP2017019126A (ja) 成形用金型、押出成形装置、押出成形方法
JP2000117812A (ja) 押出成形用tダイ
JP2008105295A (ja) 樹脂成形用金型
JP2014061615A (ja) 押し出しtダイ装置
JPH07268Y2 (ja) 押出成形用ダイリップ調整装置
JP2000158516A (ja) Tダイ用リップクリアランス調整装置
KR200246820Y1 (ko) 압출기의 실린더를 위한 냉각기구
JP2000108192A (ja) 押出成形用tダイ
JP2000176990A (ja) Tダイのリップクリアランス調整方法
TWI755398B (zh) 薄膜成形裝置
JP2001293767A (ja) Tダイのリップ隙間調整装置
JPS6313813B2 (ko)
JP2009292007A (ja) 押出成形用のtダイ
JP5672799B2 (ja) 押出成形光学レンズシート製造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