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640B1 -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 Google Patents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640B1
KR100196640B1 KR1019910010330A KR910010330A KR100196640B1 KR 100196640 B1 KR100196640 B1 KR 100196640B1 KR 1019910010330 A KR1019910010330 A KR 1019910010330A KR 910010330 A KR910010330 A KR 910010330A KR 100196640 B1 KR100196640 B1 KR 100196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biasing means
cylinder
valve plate
ga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10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01082A (ko
Inventor
루이쯔 토데스 캩 마르시오
레이너 드리센 조세
에리히 버나드 릴리에 디트마르
Original Assignee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filed Critical 엠프레사 브라질리에라 데 콤프레소레스 에스.아.-엠브라코
Publication of KR9200010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10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6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B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 F04B3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4B25/00 - F04B37/00
    • F04B39/10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 F04B39/1073Adaptations or arrangements of distribution members the members being reed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7722Line condition change responsive valves
    • Y10T137/7837Direct response valves [i.e., check valve type]
    • Y10T137/7869Biased open
    • Y10T137/7875Pivoted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or (AREA)
  • Check Valves (AREA)
  • Control Of Positive-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왕복형 허메틱 냉동기 컴프레서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컴프레서는 실린더 블록(10), 상기 실린더 블록(10)에 형성되고 왕복 피스톤(20)을 갖는 실린더(C), 전면(30a)과 배면(30b)를 갖고 실린더 블록(10)에 부착되며 각각의 가스 오리피스(31),(32)의 출구단부(31b), (32b)를 개방하도록 밸브 플레이트 면에 부착된 각각의 리드 밸브를 통해 밸브 플레이트(30)의 전면(30a)과 실린더(C)내부를 교통하는 최소한 한쌍의 축방향 가스 오리피스(31),(32)를 구비한 밸브 플레이트와 브레이드 부재(60),(80)로 이루어진 밸브 플레이트.
각 밸브는 압멱 균형의 조건이 밸브의 상류와 저류 영역 사이에서 발생 하자마자 곧 상기 브레이드 부재를 밸브의 부분 개방위치로 바꾸도록 브레이드 부재(60),(80)와 밸브 플레이트(30)사이에 배치된 바이어스 수단(70),(80)으로 더 구성된다.
밸브가 닫힐 때 브레이드 부재(60),(80)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 상기 바이어스 수단은 저류 밸브의 가스 압력이 상류 밸브의 가스 압력을 초과할 때면 언제나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Description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제1도는 밀폐형 왕복 압축기의 실린더 블록과 실린더 및 피스톤 조립체의 부분 종단면도로서, 제2도의 I-I선을 따라 취해진 도면.
제2도는 흡입 밸브와 배출 밸브가 생략된 밸브 플레이트의 배면도로서, 제1도의II-II선을 따라 취해진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밸브 플레이트의 단면도로서, 제2도의 III-III선을 따라 취해진 도면.
제4도는 바이어싱 수단으로 사용되는 스프링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스프링의 측면도.
제6도는 제2도의 VI-VI선을 따라 취해진 실린더 블록과 밸브 플레이트 조립체의 종단면도로서,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흡입 밸브(흡입 블레이드 부재)는 부분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것을 최대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7도는 제6도에 도시된 흡입 밸브의 정면도.
제8도는 제9도의 VIII-VIII선을 따라 취해진 밸브 플레이트의 단면도로서,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배출 밸브(배출 블레이드 부재)는 부분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내고,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것을 최대 개방 위치에 있는 것을 나타낸다.
제9도는 제8도의 조립체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린더 블록 11 : 실린더 개스킷
20 : 피스톤 30 : 밸브 플레이트
31 : 흡입 오리피스 32 : 배출 오리피스
33,38 : 홈 37 : 정지부재
50 : 실린더 헤드 50a : 흡입실
50b : 배출실 60 : 흡입 블레이드 부재
70,90 : 바이어싱 수단 80 : 배출 블레이드 부재
본 발명은 밀폐형 냉동 압축기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가정용 냉동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되는 비교적 소형의 압축기에 사용되는 밸브에 관한 것이다.
작은 변위용적(작은 실린더 용량)을 가진 밀폐형 왕복 압축기에 있어서는, 흡입 밸브와 배출 밸브가 압축기의 성능에 강한 영향을 끼친다. 밸브 시스템을 형성하는 밸브 플레이트와 밸브 블레이드(blade)가 압축기의 에너지 효율에 직접 작용한다. 에너지 손실은 기본적으로, 가스 흡입 및 배출중의 신속한 개방에 대한 밸브의 저항과 가스흐름의 제한에 의한 것으로 특징지어진다. 그러한 손실은 밸브 개방 위치로 이동하는 블레이드의 속도 및 적응력과 직접 관계가 있다.
주로 블레이드의 개방 지연에 의해 야기되는 상기한 손실의 발생에 기여하는 유력한 인자들은 다음과 같다;
-밸브가 블레이드의 초기 개방을 위한 최대의 유효력 면적을 가질 수 없게 하는 가스 오리피스 및/또는 밸브 시이트(seat)의 부적절한 형상 또는 기하학적 구조;
-과중량 및/또는 부적절한 기하학적 구조에 의해 야기되는 블레이드의 불활동(둔감성);
및 -점성 윤활유의 존재로 인한 밸브 플레이트에의 블레이드의 부착.
이들 인자가 흡입 밸브에서 발생하는 경우, 이들이 압축기의 용적 효율에 큰 영향을 끼친다. 배출 밸브의 경우에는, 손실이 기본적으로는 에너지 손실, 즉 블레이드의 개방을 개시시키는 압력 손실이다.
현재 통상 사용되고 있는 밸브 시스템의 개념은 미국 특허 제4,642,037호 및 제4,580,604호에 기술된 타입의 것이다.
상기한 선행기술에서의 해결책으로는, 윤활유의 점성에 의해 야기되는 블레이드 부착 효과를 감소시킴으로써 블레이드의 개방 지연을 최소화시키는 것이 유일하였다. 그러나, 중요한 다른 문제, 즉, 주로 밸브의 초기 개방 순간의 블레이드의 불활동 효과를 최소화하는 것이 여전히 해결되지 못했다.
블레이드의 불활동을 감소시키기 위해, 오늘날 입수가능한 재료를 고려하여 블레이드의 중량을 감소시키는 것은 블레이드의 두께를 감소시킴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달성된다. 그러나, 이것은 주로 오리피스 위의 영역에서 블레이드에 과도하게 높은 스트레인(strain)을 야기할 수 있다. 그 결과, 오리피스의 직경을 감소시키는 것이 필요한데, 그 경우, 압축기의 유효력과 흐름면적을 감소시켜, 압축기의 성능을 감소시킨다.
흡입 밸브와 배출 밸브가 상이한 조건하에 작동할지라도, 상기한 양상이 양밸브에 공통적이다는 것이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가스 오리피스 직경의 감소와 블레이드 두께의 감소 없이 블레이드의 초기 개방시의 블레이드의 부착 및 불활동 효과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 압축기의 에너지 효율과 용적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흡입 또는 배출 밸브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는, 단부 면을 가진 실린더 블록과, 그 실린더 블록내에 형성되고, 한쪽 단부가 실린더 블록의 단부 면에서 개방된 실린더와, 그 실린더내에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된 피스톤과, 정면과, 실린더의 개방단부에서 실린더 블록의 단부 면에 부착된 배면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리드 밸브를 통하여 실린더의 내부를 상기 정면과 소통시키는 적어도 한 쌍의 축방향 가스 오리피스를 구비한 벨브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밀폐형 왕복 압축기에 사용되며, 각각의 상기 리드 밸브는, 가스 오리피스의 출구가 열려 있는 밸브 플레이트의 면에 부착되는 기부와, 가스 오리피스의 출구에 착좌되는 폐쇄 위치와 가스 오리피스의 출구로부터 떨어진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밀봉부를 가진 유연성 있는 블레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빌봉부의 동작이 실린더의 내부와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 사이의 압력차로 인찬 블레이드 부재의 탄성 변형에 의해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리드 밸브는, 밸브의 부분 개방 위치로 블레이드부재의 빌봉부를 계속 바이어스(bias)시키기 위해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와 밸브 플레이트 사이에 설치되고, 가스 오리피스의 영역에서 밸브 플레이트의 정면과 실린더 내부와의 사이에 압력 균형이 달성된 때 상기 부분 개방 위치로 블레이드 부재의 밀봉부를 즉시 변위시키도록 하는 크기로 된 바이어싱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블레이드 부재의 밀봉부는, 밸브 상류측의 가스 압력이 밸브 하류측 가스 압력을 초과할 때 밸브의 최대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하류측 가스 압력이 상류측 가스 압력을 초과할 때마다 바이어싱 수단의 작용에 거슬러 유지되는 폐쇄 위치로 변위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밸브는, 밸브 개방 위치쪽으로의 블레이드 부재의 초기 운동 순간에 바이어시 수단이 블레이드 부재의 밀봉부를 개방방향으로 추진시키는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구조는, 블레이드 부재가 밸브 플레이트의 오리피스를 통해 흐르는 가스에 의해 변위되지 않는 수단의 바이어싱 작용을 받기 때문에, 밸브 시이트 영역의 오일의 작용에 의한 개방지연 뿐만 아니라, 주로 블레이드 부재의 불활동에 의한 개방지연을 크게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따라, 블레이드 부재의 밀봉부의 동작이 추가적으로 촉진될 수 있어, 밸브의 전개(全開)를 달성하는데 필요한 크랭크축의 회전각을 감소시킬 수 있다.
바이어싱 수단은, 밸브가 부착되는 밸브 플레이트의 면에 형성된 홈내에 설치되는 스프링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에의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기 위해 선택된 압축기는, 밀폐 케이스(도시되지 않음)내에 수용되고 원통형 캐비티(cavity)(이후,실린더(C)라 칭하고, 그 안에서 피스톤(20)이 왕복운동한다)를 가진 실린더 블록(10)을 포함하는 타입의 왕복 압축기이다.
실린더 블록(10)의 단부 면에서 실린더(C)가 개방되어 있고, 그 단부 면에는 실린더 개스킷(11)을 사이에 두고 밸브 플레이트(30)와 실린더 헤드(50)가 고정되어 있으며, 그 실린더 헤드(50)는 밸브 플레이트(30)와 함께 2개의 내부 공동(空洞), 즉 흡입실(50a)과 배출실(50b)을 형성한다. 밸브 플레이트(30)의 정면(30a)과 실린더 헤드(50)와의 사이에 흡입실(50a)과 배출실(50b)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실린더 블록(10)으로 향하여 있는 밸브 플레이트의 배면(30b)과 피스톤(20)과의 사이에서 실린더(C)내측에 압축실이 형성된다. 실린더(C)는, 밸브 플레이드(30)에 제공된 각각의 축방향 가스 오리피스들, 즉 흡입 오리피스(31)와 배출 오리피스(32)를 통하여 흡입실(50a) 및 배출실(50b)각각과 유체가 소통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린더(C)의 반대쪽 밸브 플레이트(30)의 정면(30a)에는 , 흡입 오리피스(31)의 입구(31a)(제3도 참조)와 배출 오리피스(32)의 출구(32b)(제8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고, 밸브 플레이트의 배면(30b)에는, 흡입 오리피스(31)의 출구(31b)(제2도 및 제3도 참조)와 배출 오리피스(32)의 입구(32a)(제2도 및 제8도 참조)가 형성되어 있다. 그들 오리피스의 출구(31b,32b)는 각각 흡입 밸브 및 배출 밸브를 위한 밸브 시이트(seat)를 제공한다. 축방향의 흡입 오리피스(31)와 배출 오리피스(32)각각의 출구에는, 압축기의 작동 요건에 따라 설계된 리드 밸브(reed valve)가 설치되어 있다. 그 리드 밸브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유연성 있는 흡입 블레이드 부재(60) 및 배출 블레이드 부재(80)를 포함하다.
제2도와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밸브 플레이트(30)를 나타내고 있다. 이 밸브 플레이트(30)는 그의 배면(30b)에 T자형의 홈(33)을 가지고 있고, 그 T자형 홈의 중앙의 길이방향 다리부는, 제1도, 제6도, 제7도에 도시된 흡입 블레이드 부재(60)바로 아래에 위치되도록 흡입 오리피스(31)로부터 약간 떨어져 그 오리피스와 정렬되어 있다. 흡입 블레이드 부재(60)가 압축기의 흡입 밸브를 이룬다.
흡입 블레이드 부재(60)는 기부(基部)(61)와 밀봉부(62)를 가지고 있고, 그 기부(61)는, 그 기부에 형성된 구멍(도시되지 않음)을 통과하여 밸브 플레이트(30)의 배면(30b)에 형성된 한쌍의 구멍(35)(제2도)에 고정되는 한쌍의 리벳 또는 나사와 같은 공지의 체결수단에 의해 밸브 플레이트(30)의 배면(30b)에 고정된다.
흡입 오리피스(31)와, 밸브 플레이트(30)의 배면(30b)의 홈(33)과, 흡입 블레이드 부재(60)를 밸브 플레이트(30)에 고정시키기 위한 체결수단을 수용하는 구멍(35)사이의 상대적인 위치관계는, 실린더(C)내의 가스 압축 사이클중에 흡입 오리피스(31)를 빌봉할 수 있도록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의 밀봉부(62)가 흡입 오리피스(31)의 출구(31b)바로 앞에 위치되는 상태로 흡입 블레이드 부재(60)가 홉(33)위에서 연장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홈(33)내에는, 스프링 (鋼)과 같은 적당한 재료로 만들어지고, 홈(33)내에 꼭맞도록 그 홈의 형성과 유사한 T자형 형상과 적절한 두께를 가지는 판스프링 부재인 바이어싱(biasing) 수단(70)이 배치된다. 제5도 및 제6도에서 보여지는 바와 같이, 그 바이어싱 수단(70)의 중앙의 길이방향 스템(stem)의 단부(71)는,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의 밀봉부(62)아래에서 밸브 플레이트(30)의 배면(30b)의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약간 돌출되도록 상방으로 경사지게 구부러져 있다. 바이어싱 수단(70)의 나머지 부분은 홈(33)내에 수용되고,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의 기부(61)에 의해 그 홈안에 보유된다.
바이어싱 수단(70)의 단부(71)의 변형 정도는, 흡입 오리피스(31)의 출구(31b)로부터 일정 간격을 두고 떨어진 위치로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의 밀봉부(62)를 향상 탄력적으로 밀어붙이도록 하는 크기로 정해진다. 한편, 바이어싱 수단(70)은, 실린더(C)내의 압력과 흡입실(50a)내의 압력이 같을 때만 밸브 시이트로부터의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의 밀봉부(62)의 부분 개방 상태가 일어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피스톤(20)의 흡입 행정이 시작되기 전, 실린더(C)내의 압력과 흡입실(50a)내의 압력이 동일한 상태에서는,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의 밀봉부(62)에 가스 압력차에 의한 힘 또는 흡입 오리피스(31)를 통한 가스 흐름 압력이 가해지기 전이라도, 바이어싱 수단(70)은, 제6도에 실선으로 나타내어진 흡입 블레이드 부재(흡입 밸브)의 부분 개방 위치로 그 흡입 블레이드 부재(60)를 바로 밀어붙인다.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에 대한 바이어싱 수단(70)의 바이어스(bias)작용은 초기 밸브 개방 단계에서만 일어나, 즉시 흡입 블레이드 부재(60)가 바이어싱 수단(70)의 정지(靜止)위치에 상응하는 부분 개방 위치에 있게 한다. 정지 위치로의 바이어싱 수단(70)의 탄성 변형이 끝난 때, 흡입 블레이드 부재(60)는, 제6도에 점선으로 나타내어진 그의 최대 개방 위치에 이를 때까지 흡입 오리피스(31)를 통한 가스 흐름의 작용에 의해 탄성 변형을 계속한다.
피스톤(20)의 흡입 행정이 끝난 후, 흡입 오리피스(31)를 통한 가스 흐름이 먼춘 때, 실린더(C)내의 압력이 점진적으로 상승하여, 흡입실(50a)내의 압력과 순간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이때, 흡입 블레이드 부재(60)가 부분 개방 위치로 복귀하고 바이어싱 수단(70)은 정지(靜止)상태에 유지된다.
실린더(C)내 압력이 흡입실(50a)내 압력을 약간 초과할 때, 흡입 블레이드 부재(60)는, 그의 밀봉부(62)가 바이어싱 수단(70)의 단부(71)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흡입 오리피스의 출구(31b)의 밸브 시이트에 착좌하여 유지되는 밸브 폐쇄 위치로 변위된다.
바이어싱 수단(70)은, 하류측(가스 흐름 방향과 관련하여)압력이 상류측 압력을 초과하자마자 밸브를 즉시 폐쇄하여, 압축기의 용적 효율의 손실을 야기하는 밸브를 통한 가스의 바람직하지 않은 역류를 방지하도록 구성됨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 밸브의 구성은 흡입 밸브에서와 동일한 원리가 적용된다. 제2도, 제3도, 제8도,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오리피스(32)의 출구(32b)는 밸브 플레이트(30)의 정면(30a)에 형성된 장원형의 오목부(36)의 바닥에 위치되고, 그 오목부(36)는, 흡입 밸브의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와 유사한 구조를 갖는 유연성 있는 배출 블레이드 부재(80)로 이루어진 배출 밸브를 수용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배출 밸브의 배출 블레이드 부재(80)는 기부(81)와 밀봉부(82)를 가지고 있고, 그 기부(81)는, 흡입 밸브의 흡입 블레이드 부재(60)에서 이용된 것과 같은 적당한 체결수단에 의해 정지부재(37)와 함께 오목부(36)의 바닥에 고정되어 있으며, 밀봉부(82)는 배출 오리피스(32)의 출구(32b)에 위치되고, 밸브의 개방위치와 폐쇄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수 있다.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의 기부(81)에 인접한 오목부(36)의 바닥 영역에는,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의 기부(81)의 도움으로 바이어싱 수단(90)을 수용하여 보유하기 위해, 흡입 밸브의 홈(33)과 동일한 형태일 수 있는 홈(38)이 형성되어 있다. 바이어싱 수단(90)은, 본 실시예에선는, 흡입 밸브의 바이어싱 수단(70)와 동일하게 스프링 강으로 된 판스프링 부재로 이루어져 있다. 그 바이어싱 수단(90)의 단부(91)역시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의 밀봉부(82)아래에서 밸브 플레이트(30)의 정면(30a)의 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여 있다. 바이어싱 수단(90)의 나머지 부분은 홈(38)내에 수용되고,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의 기부(81)에 의해 그곳에 보유된다.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는,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을 보유하기 위한 정지부재(37)는, 중간의 주(主) 연장부가 배출 블레이드 부재(80)로부터 떨어져 그 배출 블레이드 부재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양 단부부분이 오목부(36)의 바닥쪽으로 구부러진 금속 스템(stem)의 형태를 취한다. 상기 양 단부부분의 끝은 서로 반대쪽으로 구부러져 길이방향으로 연장하고, 오목부(36)의 양 단부벽에 끼워진다.
바이어싱 수단(90)의 단부(91)의 변형 정도는, 흡입 밸브와 관련할여 설명된것과 동일한 효과를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에 발생하도록 하는 크기로 정해진다.
흡입 사이클과 압축 사이클중에, 배출실(50b)내 압력은 실린더(C)내 압력보도 높게 유지되어,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의 밀봉부(82)가 배출 오리피스(32)의 출구(32b)(이 출구는 배출 밸브의 밸브 시이트를 형성한다)에 완전히 착좌함으로써, 그 출구를 완전히 폐쇄한다.
압축 사이클의 종료시 실린더(C)와 배출실(50b)사이에 압력균형이 달성된때,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의 폐쇄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 바이어싱 수단(90)의 단부(91)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 블레이드 부재(80)의 밀봉부(82)를 부분 개방 상태로 되게 하여, 과압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시킨다. 정지(靜止)위치로의 바이어싱 수단(90)의 탄성적 변형이 종료한 때, 배출 블레이드 부재(80)는 제8도에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최대 개방 위치에 도달할 때가지 탄성적을 계속 변형된다.
피스톤(20)의 압축 행정이 끝난 후, 배출 오리피스(32)를 통한 가스 흐름이 멈춘 때, 실린더(C)내의 압력이 감소하여, 배출실(50b)내 압력과 순간적으로 균형을 이루고, 이때, 배출 블레이드 부재(80)가 부분 개방 위치로 복귀하고, 바이어싱 수단(90)은 정지(靜止)위치에 유지된다.
실린더(C)내의 압력이 배출실(50b)내의 압력보다 낮게 된 때, 배출 블레이드 부재(80)는, 그의 밀봉부(82)가 바이어싱 수단(90)의 단부(91)를 탄성적으로 변형시키면서 배출 오리피스(32)의 출구(32b)의 밸브 시이트에 착좌되어 유지되는 밸브 폐쇄상태로 변위된다.
밸브의 하류측과 상류측 사이의 압력 불균일이 일어난 직후에 정규 가스 흐름의 반대방향으로 일어난는 밸브의 폐쇄 준비 작용에 의해, 밸브를 통한 역류에 기인한 용적 손실이 회피될 수 있다.
제6도와 제8도에서 명확히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흡입 밸브의 바이어싱 수단(70)과 배출 밸브의 바이어싱 수단(90)은, 각각의 출구(31b,32b)의 밸브 시이트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쳐 있는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의 영역 아래에서 작용하도록 하는 크기로 배치되어 있다. 그래서, 이들 바이어싱 수단(70,90)은 가스 흐름이나 압력차의 직접 작용을 받지 않는 한편, 출구(31b,32b)로 돌출된 블레이드 부재의 빌봉부(62,82)가 밸브의 밀봉수단으로서 작동하도록 자유롭게 유지되고, 밸브의 상류측과 하류측에서 일어나는 압력 변화의 영향을 받는다. 상기 2개의 도면은 또한, 홈(33,38)의 가장자리, 블레이드 부재(60,80)의 기부(61,81) 및 출구(31b,32b)가 흡입 밸브 빛 배출 밸브 각각에 대하여 동일 면에 위치되는 것을 나타낸다.

Claims (8)

  1. 단부 면을 가진 실린더 블록(10)과; 그 실린더 블록(10)내에 형성되고, 한쪽 단부가 실린더 블록(10)의 단부 면에서 개방된 실린더(C)와; 그 실린더내에 왕복운동하도록 설치된 피스톤(20)과; 정면(30a)과, 실린더(C)의 개방단부에서 실린더 블록(10)의 단부 면에 부착된 배변(30b)를 가지고 있고, 각각의 리드 밸브(reed valve)를 통하여 실린더(C)의 내부를 상기 정면(30a)과 소통시키는 한싸의 축방향 가스 오리피스(31,32)를 구비한 밸브 플레이트(30)를 포함하는 타입의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로서, 각각의 상기 리드 밸브가, 가스 오리피스(31,32)의 출구(31b,32b)가 열려 있는 밸브 플레이트(30)의 면에 부착되는 기부(61,81)와, 가스 오리피스(31,32)의 출구(31b,32b)에 착좌되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가스 오리피스의 상기 출구로부터 떨어진 개방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밀봉부(62,82)를 가진 유연성 있는 블레이드 부재(60,80)의 탄성 변형에 의해 얻어지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에 있어서, 밸브의 부분 개방 위치에 상응하는 각각의 가스 오리피스(31,32)의 개방위치로 블레이드 부재(60,80)의 밀봉부(62,82)를 계속 바이어스(bias)시키기 위한 바이어싱 수단(70,90)이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60,80)와 밸브 플레이트(30)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은, 각각의 가스 오리피스(31,32)의 영역에서 밸브 플레이트(30)의 정면(30a)과 실린더(C)내부와의 사이에 압력 균형이 달성된 때 상기 부분 개방 위치로 블레이드 부재(60,80)의 빌봉부(62,82)를 즉시 변위시키도록 하는 크기로 되어 있고, 상기 블레이드부재(60,80)의 빌봉부(62,82)는, 밸브 상류측의 가스 압력이 밸브 하류측 가스 압력을 초과할 때 밸브의 최대 개방 위치로 변위되고, 하류측 가스 압력이 상류측 가스 압력을 초과할 때 마다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의 작용에 거슬러 유지되는 폐쇄 위치로 변위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이 밸브 플레이트(30)의 각각의 가스 오리피스(31,32)로부터 한쪽으로 치우친 블레이드 부재(60,80)의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이 블레이드 부재(60,8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이 밸브 플레이트(30)의 홈(33,38)내에 보유되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은, 밸브의 상류측 영역과 하류측 영역과의 사이에 압력 균형이 일어난 때 각각의 블레이드 부재를 상기 부분 개방 위치로 변위시키기 위해 홈(33,38)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고, 밸브가 폐쇄된 때 홈(33,38)내에 수용되는 단부(71,91)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33,38)의 가장자리가 블레이드 부재(60,80)의 기부(61,81)의 부착면 및 가스 오리피스(31,32)의 출구(31b,32b)와 동일 면상에 있고,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이 밸브의 폐쇄시 상기 홈(33,38)내에 완전히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이 블레이드 부재(60,80)와 밸브 플레이트(30)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부재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가, 밸브의 상류측 영역과 하류측 영역 사이에서 압력 균형이 얻더진 때 각각의 홈(33,38)의 외부에 유지되는 비스듬히 구부러진 단부(71,91)를 가진 스프링 강으로 된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부재(60,80)의 빌봉부(62,82)는, 그 밀봉부가 상기 부분 개방 위치와 상기 최대 개방 위치 사이에서 변위될 때 상기 바이어싱 수단(70,90)의 작용을 받지 않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KR1019910010330A 1990-06-19 1991-06-19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KR1001966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BRPI9002967 1990-06-19
BR9002967A BR9002967A (pt) 1990-06-19 1990-06-19 Valvula para compressor hermetico de refrigeracao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01082A KR920001082A (ko) 1992-01-29
KR100196640B1 true KR100196640B1 (ko) 1999-06-15

Family

ID=40496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10330A KR100196640B1 (ko) 1990-06-19 1991-06-19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5171137A (ko)
JP (1) JP3054236B2 (ko)
KR (1) KR100196640B1 (ko)
CN (1) CN1027006C (ko)
BR (1) BR9002967A (ko)
DE (1) DE4119731B4 (ko)
ES (1) ES2044748B1 (ko)
FR (1) FR2663393B1 (ko)
GB (1) GB2245341B (ko)
IT (1) IT124839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05A (ko) 2019-05-30 2020-12-09 박성국 전기회전구이기의 꽂이 간헐회전장치
KR20220137279A (ko) 2021-04-02 2022-10-12 (주) 그린이엔지 자동 관수 공급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9103814A (pt) * 1991-08-30 1993-03-30 Brasil Compressores Sa Processo para dobramento de corpos plasticamente deformaveis
BR9301059A (pt) * 1993-05-07 1994-11-29 Brasil Compressores Sa Sistema de acionamento de válvula de descarga para compressores herméticos
JPH07174071A (ja) * 1993-08-10 1995-07-11 Sanden Corp 圧縮機の吐出機構
US5456287A (en) * 1994-10-03 1995-10-10 Thomas Industries Inc. Compressor/vacuum pump reed valve
JPH08193575A (ja) * 1995-01-13 1996-07-30 Sanden Corp 弁板装置
CN1083063C (zh) * 1995-04-20 2002-04-17 Lg电子株式会社 密闭式压缩机的带有阀装置的气缸盖
DE29605425U1 (de) * 1996-03-23 1996-06-13 Hengst Walter Gmbh & Co Kg Ablaufventil für Ölabscheider
DE19613911C1 (de) * 1996-04-06 1997-07-24 Danfoss Compressors Gmbh Saugventil für einen Axialkolbenverdichter
US6045024A (en) * 1997-12-31 2000-04-04 Porter-Cable Corporation Internal combustion fastener driving tool intake reed valve
US6099275A (en) * 1998-04-15 2000-08-08 Carrier Corporation Biased open suction valve
US6565336B1 (en) * 1998-05-06 2003-05-20 Carrier Corporation Normally unseated suction valve
US5884665A (en) * 1998-05-19 1999-03-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Air conditioning reed valve support seat
DE19902513B4 (de) * 1999-01-22 2004-07-01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Kolben- und Zylinder-Gaskompressor
JP2000283042A (ja) * 1999-03-29 2000-10-10 Sanden Corp 往復動型圧縮機
US6318972B1 (en) * 2000-03-30 2001-11-20 Ford Motor Technologies, Inc. Valve recess in cylinder block of a compressor
ES2276826T3 (es) * 2001-09-21 2007-07-01 Lg Electronics Inc. Dispositivo de valvula para compresor hermetico.
JPWO2004061306A1 (ja) * 2002-12-27 2006-05-11 株式会社ヴァレオサーマルシステムズ 超臨界冷凍サイクル用の斜板式可変容量コンプレッサ
JP4136969B2 (ja) 2003-03-03 2008-08-20 キヤノン株式会社 流体搬送装置
US20110000069A1 (en) * 2006-12-18 2011-01-06 Whirlpool S.A. Process for mounting a valve in a refrigeration compressor
JP2011085029A (ja) * 2009-10-13 2011-04-28 Calsonic Kansei Corp 圧縮機
WO2013040819A1 (zh) * 2011-09-21 2013-03-28 杭州祥生砂光机制造有限公司 去毛刺机负压输送平台专用气阀、去毛刺机及控制方法
CN104736847B (zh) * 2012-09-04 2017-12-15 开利公司 往复式制冷压缩机吸入阀座
CN103835923B (zh) * 2013-12-11 2016-11-23 广州万宝集团压缩机有限公司 一种排气阀片快速启闭的往复式压缩机阀组结构
JP6335090B2 (ja) * 2014-10-07 2018-05-30 株式会社日立産機システム 往復動圧縮機
DE202014009180U1 (de) 2014-11-14 2015-01-14 Technische Universität Ilmenau Druckgradientengesteuertes Lamellenventil mit einstellbarer Steifigkeit
US10436187B2 (en) 2015-10-29 2019-10-08 Emerson Climate Technologies, Inc. Cylinder head assembly for reciprocating compressor
DE102019120730A1 (de) * 2019-07-31 2021-02-04 Amk Holding Gmbh & Co. Kg Zylinderkolben für einen Luftkompressor
CN114215608A (zh) * 2021-12-17 2022-03-22 中国航发沈阳发动机研究所 一种自适应压差的冷却孔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843135C (de) * 1950-01-25 1952-07-07 Mannesmann Fa A Anlassvorrichtung fuer Kolbenverdichter
ES392504A1 (es) * 1970-08-04 1974-06-16 Peugeot Cycles Compresor de cilindro y piston para gases.
AT378409B (de) * 1982-05-04 1985-08-12 Hoerbiger Ventilwerke Ag Kolbenverdichter
DE3244003A1 (de) * 1982-11-27 1984-05-30 Robert Bosch Gmbh, 7000 Stuttgart Verdichter
DE3305791C2 (de) * 1983-02-19 1986-02-20 Danfoss A/S, Nordborg Druckventil für einen Verdichter
US4580604A (en) * 1983-06-23 1986-04-08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Discharging valve device for a compressor
US4642037A (en) * 1984-03-08 1987-02-10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Reed valve for refrigeration compressor
JPS6165973A (ja) * 1984-09-06 1986-04-04 Mitsubishi Electric Corp 圧縮機の冷媒吐出弁装置
JPS6325394A (ja) * 1986-07-17 1988-02-02 Sanyo Electric Co Ltd スクロ−ル圧縮機
ES1000848Y (es) * 1986-10-23 1988-11-01 Goenaga Churruca Jose Maria Dispositivo perfeccionado de valvula de aspiracion para compresores de aire
JPS63132881U (ko) * 1987-02-23 1988-08-30
BR8901306A (pt) * 1989-03-16 1990-10-16 Brasil Compressores Sa Valvula de palheta para compressor hermetic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805A (ko) 2019-05-30 2020-12-09 박성국 전기회전구이기의 꽂이 간헐회전장치
KR20220137279A (ko) 2021-04-02 2022-10-12 (주) 그린이엔지 자동 관수 공급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119731A1 (de) 1992-01-02
FR2663393A1 (fr) 1991-12-20
DE4119731B4 (de) 2004-03-11
CN1057706A (zh) 1992-01-08
GB2245341A (en) 1992-01-02
JPH04252879A (ja) 1992-09-08
ES2044748R (ko) 1994-06-01
IT1248398B (it) 1995-01-11
GB9111208D0 (en) 1991-07-17
FR2663393B1 (fr) 1994-03-25
BR9002967A (pt) 1991-12-24
ITMI911304A0 (it) 1991-05-13
US5171137A (en) 1992-12-15
ES2044748A2 (es) 1994-01-01
CN1027006C (zh) 1994-12-14
JP3054236B2 (ja) 2000-06-19
KR920001082A (ko) 1992-01-29
GB2245341B (en) 1994-02-09
ES2044748B1 (es) 1995-02-01
ITMI911304A1 (it) 1992-1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6640B1 (ko) 밀폐형 냉동 압축기용 밸브
US6309194B1 (en) Enhanced oil film dilation for compressor suction valve stress reduction
KR0161309B1 (ko) 냉동압축기의 배출밸브장치 및 밀폐식 냉동압축기
US5275541A (en) Fluid-operated valve for pumps and the like
JP2812776B2 (ja) 圧縮機
EP0969207B1 (en) Suction valve with release timing chamber
JPH0353477B2 (ko)
US4352377A (en) Compressor discharge valve
US4778360A (en) Suction and/or discharge valve port configuration for refrigerant compressor
KR100346244B1 (ko) 통상적으로 안착되어 있지 않는 흡입 밸브
JPH10103244A (ja) 復動ピストン機械
EP0940582B1 (en) Oil film dilation for compressor suction valve stress reduction
US6044862A (en) Compressor reed valve
US5678983A (en) Discharge fluid actuated assist for opening an outlet reed valve of a hermetic compressor system
KR100342147B1 (ko) 바이어스식 개방 흡입 밸브
WO2012145812A2 (en) Valve arrangement for hermetic compressors
KR900014762A (ko) 기동시에 베인에 걸리는 충분한 배압을 얻는 수단을 갖춘 베인형 압축기
KR19980053168A (ko) 압축기의 오일스티킹 방지 2포트형 밸브시스템
KR19980068448U (ko) 고효율 밀폐형 왕복동 압축기의 토출밸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20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