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320B1 -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320B1
KR100196320B1 KR1019960043951A KR19960043951A KR100196320B1 KR 100196320 B1 KR100196320 B1 KR 100196320B1 KR 1019960043951 A KR1019960043951 A KR 1019960043951A KR 19960043951 A KR19960043951 A KR 19960043951A KR 100196320 B1 KR100196320 B1 KR 100196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ressor
bus
blowing fan
evaporator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3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5711A (ko
Inventor
최장섭
Original Assignee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상수, 만도기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상수
Priority to KR1019960043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32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5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57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3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8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refrigerant circuit configu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71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carrying large numbers of passengers, e.g. bu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2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compressor driving arrangements, e.g. clutches, transmissions or multiple dr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41/00Fluid-circulation arrangements
    • F25B41/20Disposition of valves, e.g. of on-off valves or 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7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 compress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69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 B60H2001/328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vaporating unit
    • B60H2001/3282Cooling devices output of a control signal related to an evaporating unit to control the air flow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01Bypass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F25B2600/2515Flow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압축기 내부에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하고,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증발기와 팽창밸브사이로 바이패스 배관을 설치하며, 이 바이패스 배관의 일부에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설치한다. 그리고, 증발기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송풍팬과 이들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제어하여 에어컨 내부를 순환하는 냉매의 유량을 제어하여 실내를 냉방함으로서, 압축기의 수명을 향상시키고, 에어컨의 정숙한 운행을 보장함으로서 버스 탑승자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버스에어컨(bus air-conditioner)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버스에어컨의 구동을 제어하는 장치와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버스에어컨은 냉매의 냉각사이클을 이용하여 버스의 실내롤 냉방하는 장치인데, 에어컨이 버스의 지붕에 장착되는 루프(roof)형과 버스의 뒷부분 차체 하부에 설치되는 내장형으로 구분되어진다.
이들 공히 압축기(compressor)에서 압축된 냉매를 응축기(condensor)에서 액화시킨 뒤 팽창밸브(expension valve)를 통해 증발기(evaporator)에서 다시 기화시켜 흡수되는 기화열에 의해 실내를 냉각시키는 공기조절기이다.
특히 냉방해야 할 공간이 큰 버스에서는 압축기를 구동시키는 동력을 버스엔진에 사용할 때 문제가 되는 엔진출력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 보조엔진을 구비하여 압축기를 구동시킨다.
이와같은 종래 버스에어컨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1에 나타내고 있다.
차량엔진(10)에 압축기(11)를 연결하고, 압축기(11)의 선택적인 구동이 가능하도록 압축기(11)에 클러치(12)를 설치한다.
이러한 압축기(11)에서 저압의 증기냉매가 고압의 증기냉매로 압축되고, 응축기(13)에서 액화되어 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하며, 팽창밸브(14)를 통과하면서 압력강화되어 압력이 균일한 저압의 액체냉매로 전환된다.
그리고, 저압의 액체냉매가 증발기(15)를 통과하며 기화되어 저압의 증기냉매로 전환되면서, 증발기(15) 주위에서 찬공기를 형성한다.
이 때 발생되는 찬공기는 송풍팬(16)에 의해 실내로 송풍된다.
이러한 송풍팬(16)의 풍량과 압축기(11)에 연결된 클러치(12)가 도시하지 않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압축기(11)가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는 압축기(11)의 구동과 멈춤이 반복되어 이루어지므로 클러치(12)의 잦은 마모와 압축기(11)의 내구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따른다.
이러한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는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방법으로 제어된다.
버스의 실내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0)가 버스실내에 설치되고, 측정된 실내온도는 제어부(21)로 입력되며, 제어부(21)는 사용자가 입력한 설정온도(22)와 비교하여 압축기(23)에 연결된 클러치(24)와 송풍팬(25)을 선택적으로 구동시킨다.
이에 따라 압축기(23)는 작동과 멈춤을 반복하고, 송풍팬(25)도 선택적으로 구동되어 버스 실내를 조절한다.
그러나 이와같은 종래 버스에어컨의 제어방법은, 클러치(24)의 온어프(on-off)에 의한 반복제어로 인하여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버스 실내의 온도편차가 크게 나타나는 문제점이 따른다.
본 발명은 이와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클러치의 구동에 의한 고장을 줄일 수 있고, 압축기의 내구수명과 차량의 엔진수명을 증가시키며, 버스 실내의 온도편차를 줄일 수 있는 제어장치와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버스에어컨을 구성하는 부품과 냉매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도 2는 종래 버스에어컨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종래 버스에어컨에 의한 버스 실내의 온도편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에어컨을 구성하는 부품과 냉매흐름을 도시한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에어컨을 제어하는 과정을 도시한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에어컨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에어컨에 의해 제어되는 버스 실내의 온도편차를 도시한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차량엔진40 : 압축기
41 : 클러치(clutch)42~45 : 실린더(cylinder)
50 : 응축기55 : 팽창밸브
60 : 증발기61 : 송풍팬
70,80,95 : 솔레노이드 밸브(solenoid valve)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내부에 4개의 실린더가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브이형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와, 고압의 증기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고압의 액체냉매를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 주위에서 발생되는 찬공기를 네 단계의 풍량으로 버스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버스의 실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입력된 온도수치와 온도센서의 온도수치를 비교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압축기에 설치되어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린더들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와;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증발기와 팽창밸브 사이로 접속되는 바이패스 배관과;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되고,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여 증발기의 제상 및 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밸브와; 제어부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바이패스 밸브와 송풍팬의 풍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제어장치에 의거하여, 내부에 4개의 실린더가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브이형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와, 고압의 증기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고압의 액체냉매를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 주위에서 발생되는 찬공기를 네 단계의 풍량으로 버스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버스의 실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입력된 온도수치와 온도센서의 온도수치를 비교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에서 버스에어컨의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축기에,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실린더들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구비하고,
압축기와 응축기 사이에서 증발기와 팽창밸브 사이로 바이패스 배관을 접속시키며,
바이패스 배관에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함에 따라 증발기의 제상 및 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바이패스 밸브를 구비하여,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버스의 실내온도와 입력되는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송풍팬의 풍량과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 및 바이패스 밸브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제어부로 입력되는 설정온도와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버스의 실내온도를 제어부에서 비교하여 설정온도가 실내온도와 같거나 클 경우에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모두 개방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강상태로 작동시키는 제1단계;
제1단계의 압축기와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상기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0보다 크고 0.5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는 차단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중강상태로 작동시키는 제2단계;
제2단계의 압축기와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0.5보다 크고 1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는 차단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중약상태로 작동시키는 제3단계;
제3단계의 압축기와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1보다 크고 1.5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2솔레노이드 밸브 모두를 차단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약상태로 작동시키는 제4단계;
제4단계의 압축기와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1.5보다 크고 2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2솔레노이드 밸브 모두를 차단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약상태로 작동시키고, 제3솔레노이드 밸브(바이패스 밸브)를 작동시키는 제5단계;
제5단계의 압축기와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2보다 클 경우에는 클러치를 어프시켜, 압축기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6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4에서, 버스의 하부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차량엔진(30)이 설치되고, 이 차량엔진(30)에는 클러치(41)가 설치되는 압축기(40)와 연결되어 차량엔진(3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선택적으로 압축기(40)로 전달한다.
이에 따라 압축기(40)는 구동과 멈춤을 반복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압축기(40)에는 4개의 실린더(42~45)가 구비되어 실린더들(42~45) 내부로 유입되는 저압의 증기냉매를 도시하지 않은 피스톤으로 압축시킨다. 이들 실린더들(42~45)은 한쌍씩 대략 브이(V)자 형태로 마주보게 설치된다.
각각의 실린더(42~45)에서 압축된 고압의 증기냉매는 한쌍씩 모아지고, 다시 하나의 배관(46)으로 통합되어 응축기(50)로 유입된다.
이 응축기(50)로 유입되는 고압의 증기냉매는 액화되어 고압의 액체냉매로 변화하고, 이 때 발생되는 열은 응축기(50)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방열팬(51)에 의해 버스의 외부로 방출된다.
고압의 액체냉매는 팽창밸브(55)로 유입되어 저압의 액체냉매로 압력강화된다.
압력강화된 이 저압의 액체냉매는 증발기(60)를 통과하면서 기화되어 저압의 증기냉매로 전환된다.
이 때 증발기(60)의 주위에서 찬공기가 형성되고, 이 찬공기는 증발기(60)의 인접한 위치에 설치되는 송풍팬(61)에 의해 버스의 실내로 송풍되는데, 이 송풍팬(61)은 버스내에 설치되는 제어부(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풍량을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어 버스 실내의 온도에 따라 적절한 양의 찬공기를 실내로 송풍할 수 있다.
증발기(60)를 거쳐 저압의 증기냉매로 변화되는 냉매는 다시 압축기(40)로 유입된다. 압축기(40)로 유입되는 냉매는 두 개의 배관(47)(48)으로 분기되고, 각 배관(47)(48)에서 다시 분기되어 각각의 실린더(42~45)로 유입된다.
그리고, 버스의 실내에는 도시하지 않은 온도센서가 설치되어 온도를 측정하게 되고, 이 결과를 제어부로 보내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특징에 따라 각 실린더(42~45)로 분기되는 지점에 제1,2솔레노이드 밸브(70)(80)가 설치된다.
제1솔레노이드 밸브(70)는 한쌍의 실린더(42)(43)로 유입되는 냉매를 전부차단하거나 전부통과시킬 수 있는 밸브이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80)는 밸브를 완전히 잠궈도 밸브를 개방했을 때 흐르는 냉매량의 대략 절반정도만 통과시켜 한쌍의 실린더(44)(45)로 유입시킨다.
이와같이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70)(80)를 적절하게 개폐시킴으로서 압축기에서 압축되는 냉매의 양이 대략 25퍼센트, 50퍼센트, 75퍼센트 및 100퍼센트를 유지하여 에어컨의 강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라 압축기(40)와 응축기(50)를 연결하는 배관(46)에 바이패스 배관(90)을 설치하고 그 다른 끝단을 증발기(60)와 팽창밸브(55) 사이로 연결시킨다.
그리고, 이 바이패스 배관(90)에 에어컨을 순환하는 냉매를 바이패스시킬 수 있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95)를 설치한다. 이는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어 증발기(60)의 주위에서 발생되는 얼음결정들을 제상할 수 있고, 증발기(60)로 유입되는 냉매량도 조절할 수 있다.
이와같은 구조를 갖는 버스에어컨은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제어가 가능하다.
버스에어컨을 작동시키면, 버스의 실내에 설치된 온도센서에 의해 온도가 측정되고, 이 실내온도(100)는 제어부(110)로 입력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원하는 설정온도(120)가 제어부(110)에 입력되면, 실내온도(100)와 설정온도(120)를 비교하여 송풍팬(130)의 풍량을 제어하고, 압축기내에 설치된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140)(141)를 조절하여 냉매의 유량을 조절하며, 바이패스 배관에 설치된 제3솔레노이드 밸브(143)를 제어하여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의 유량을 조절시킨다.
도6에는 이와같이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제1단계(200)에서, 제어부로 입력되는 설정온도와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버스의 실내온도를 제어부에서 비교하여 설정온도가 실내온도와 같거나 클 경우에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를 모두 개방하여 압축기내의 4개실린더들 내부로 냉매가 유입되며, 송풍팬의 풍량을 강상태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에어컨은 계속 작동되고 실내온도와 설정온도는 제어부에 의해 반복해서 비교되고, 실내온도가 설정온도보다 작아질 경우에는 제2단계(210)의 과정으로 넘어간다.
제2단계(210)에서는 제1단계(200)의 과정에 의해 하락한 버스의 실내온도를 비교하게 되는 데,, 제1단계(200)의 압축기의 작동과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0보다 크고 0.5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는 차단하여 압축기내의 실린더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대략 75퍼센트로 유지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중강상태로 작동시킨다. 그리고 에어컨은 계속 작동되고 실내온도와 설정온도는 제어부에 의해 반복해서 비교되고, 설정온도에서 실내온도를 뺀 결과치가 0.5보다 크게 되면 제3단계(220)의 과정으로 넘어간다.
제3단계(220)에서는 제2단계의 과정을 거친 결과에 의한 버스의 실내온도를 비교하게 되는 데, 제2단계의 압축기의 작동과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0.5보다 크고 1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는 차단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는 개방하여 압축기의 실린더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대략 50퍼센트로 유지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중약상태로 작동시킨다. 이에 따라 실내온도는 하락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계속해서 설정온도와 실내온도를 비교하며 설정온도에서 실내온도를 뺀 결과치가 1보다 크게 되면 제4단계(230)의 과정으로 넘어간다.
그리고 제4단계(230)에서는 제3단계의 압축기의 작동과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1보다 크고 1.5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는 차단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는 절반정도로 개방하여 압축기내의 실린더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대략 25퍼센트로 유지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약상태로 작동시킨다. 따라서, 실내온도는 하락하게 되고, 제어부에서는 계속해서 설정온도와 실내온도를 비교하며 설정온도에서 실내온도를 뺀 결과치가 1.5보다 크게 되면 제5단계(240)의 과정으로 넘어간다.
또한, 제5단계(240)에서는 제4단계(230)의 압축기의 작동과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상기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1.5보다 크고 2보다 작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는 차단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 역시 차단하여 압축기의 실린더들 내부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대략 25퍼센트로 유지하며, 송풍팬의 풍량을 약상태로 작동시키고, 제3솔레노이드 밸브를 작동시켜 증발기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더욱 감소시킨다.
아울러, 제6단계(250)에서는 제5단계(240)의 압축기의 작동과 송풍팬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를 상기 설정온도에서 뺏을 때 그 차가 2보다 클 경우에는 클러치를 어프(off)시켜 압축기의 구동을 멈춘다.
이와같은 제어방법에 의해 제어되는 버스에어컨은 버스실내의 온도편차를 도7에 나타낸 것과 같이 일정시간이 경과하면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따라서, 버스실내의 온도편차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버스실내를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고, 온도변화가 심한 계절에 버스의 실내온도가 자동으로 쾌적한 상태로 유지됨으로 사용이 용이하며, 송풍팬의 무리한 운전에 따른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압축기의 반복적인 온어프없이 에어컨이 작동됨으로서 압축기의 내구수명을 연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압축기의 잦은 부하변동없이 압축기의 작동이 균일하면서도 저부하로 작동가능함으로서, 버스의 주행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와 그 제어방법은, 에어컨의 성능을 향상시킴으로서 버스 탑승자에게 쾌적한 실내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4)

  1. 내부에 4개의 실린더가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브이형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와, 고압의 증기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고압의 액체냉매를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 주위에서 발생되는 찬공기를 네 단계의 풍량으로 버스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버스의 실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입력된 온도수치와 온도센서의 온도수치를 비교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40)에 설치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42~45)들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70)(80)와;
    상기 압축기(40)와 응축기(50) 사이에서 상기 증발기(60)와 팽창밸브(55) 사이로 접속되는 바이패스 배관(90)과;
    상기 바이패스 배관(90)에 설치되고, 상기 증발기(60)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여 상기 증발기(60)의 제상 및 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95)와;
    상기 제어부가 상기 솔레노이드 밸브(70)(80)들을 선택적으로 제어하고, 상기 제3솔레노이드 밸브(95)와 송풍팬(61)의 풍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70)(80)들 중에서 제1솔레노이드 밸브(70)는 상기 네 개의 실린더(42~45) 중에서 복수의 실린더(42)(43)로 유입되는 냉매를 전부차단하거나 전부통과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70)(80)들 중에서 제2솔레노이드 밸브(80)의 냉매량 통과용량은 상기 제2솔레노이드 밸브(80)가 개방됐을 때의 절반정도인 것을 구비하고, 상기 나머지 실린더(44)(45)로 유입되는 냉매를 전부통과시키고, 혹은 절반정도 통과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4. 내부에 4개의 실린더가 설치되어 냉매를 압축시키는 브이형 압축기와, 이 압축기에 연결되어 압축기의 구동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는 클러치와, 고압의 증기냉매를 액화시키는 응축기와, 고압의 액체냉매를 압력강화시키는 팽창밸브와, 저압의 액체냉매를 기화시키는 증발기와, 증발기 주위에서 발생되는 찬공기를 네 단계의 풍량으로 버스 실내로 송풍하는 송풍팬과, 버스의 실내에 설치되는 온도센서와, 입력된 온도수치와 온도센서의 온도수치를 비교하는 제어부가 구비되는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에서 버스에어컨의 압축기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40)에,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42~45)들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70)(80)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기(40)와 응축기(50) 사이에서 상기 증발기(60)와 팽창밸브(55) 사이로 바이패스 배관(90)을 접속시키며,
    상기 바이패스 배관(90)에 상기 증발기(60)로 유입되는 냉매량을 조절함에 따라 상기 증발기(60)의 제상 및 용량을 제어할 수 있는 제3솔레노이드 밸브(95)를 구비하여,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버스의 실내온도와 입력되는 설정온도를 비교하여 상기 송풍팬(61)의 풍량과 상기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70)(80) 및 제3솔레노이드 밸브(95)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구비되어,
    상기 제어부(110)로 입력되는 설정온도(120)와 상기 온도센서에 의해 측정되는 버스의 실내온도(100)를 상기 제어부(110)에서 비교하여 설정온도(120)가 실내온도(100)와 같거나 클 경우에 복수의 솔레노이드 밸브(70)(80)를 모두 개방하며, 송풍팬(61)의 풍량을 강상태로 작동시키는 제1단계(200);
    상기 제1단계(200)의 압축기(40)와 송풍팬(61)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100)를 상기 설정온도(120)에서 뺏을 때 그 차가 0보다 크고 0.5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는 개방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141)는 차단하며, 송풍팬(130)의 풍량을 중강상태로 작동시키는 제2단계(210);
    상기 제2단계(210)의 압축기(40)와 송풍팬(61)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100)를 상기 설정온도(120)에서 뺏을 때 그 차가 0.5보다 크고 1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솔레노이드 밸브(140)는 차단하고, 제2솔레노이드 밸브(141)는 개방하며, 송풍팬(61)의 풍량을 중약상태로 작동시키는 제3단계(220);
    상기 제3단계(220)의 압축기(40)와 송풍팬(61)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100)를 상기 설정온도(120)에서 뺏을 때 그 차가 1보다 크고 1.5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2솔레노이드 밸브(140)(141) 모두를 차단하며, 송풍팬(61)의 풍량을 약상태로 작동시키는 제4단계(230);
    상기 제4단계(230)의 압축기(40)와 송풍팬(61)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100)를 상기 설정온도(120)에서 뺏을 때 그 차가 1.5보다 크고 2보다 작거나 같을 경우에는 제1,2솔레노이드 밸브(140)(141) 모두를 차단하며, 송풍팬(61)의 풍량을 약상태로 작동시키고, 제3솔레노이드 밸브(95)를 작동시키는 제5단계(240);
    상기 제5단계(240)의 압축기(40)와 송풍팬(61)에 의해 형성되는 실내온도(100)를 상기 설정온도(120)에서 뺏을 때 그 차가 2보다 클 경우에는 상기 클러치(41)를 어프시켜 상기 압축기(40)의 구동을 멈추게 하는 제6단계(25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에어컨의 제어방법.
KR1019960043951A 1996-10-04 1996-10-04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196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51A KR100196320B1 (ko) 1996-10-04 1996-10-04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3951A KR100196320B1 (ko) 1996-10-04 1996-10-04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711A KR19980025711A (ko) 1998-07-15
KR100196320B1 true KR100196320B1 (ko) 1999-06-15

Family

ID=194762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3951A KR100196320B1 (ko) 1996-10-04 1996-10-04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3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644A (ko) * 2000-12-29 2002-07-10 이계안 에어 컨디션닝 시스템 제어 시스템
KR100764941B1 (ko) * 2006-01-24 2007-10-08 모딘코리아 유한회사 자동차용 에어컨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5711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47556A (en) Pulsed flow for capacity control
EP1394481B1 (en) Refrigerator
JP6599002B2 (ja) 空気調和装置
JPH07234038A (ja) 多室型冷暖房装置及びその運転方法
US20060150667A1 (en)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using the same
JPS6015215A (ja) 車輌用空気調和装置
JPH0694953B2 (ja) 密閉冷凍回路
JP2000146328A (ja) 冷凍空調装置
JP2001280669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GB2317682A (en) A valve for a heat pump
CN1139760C (zh) 空调器的定温除湿装置及其控制方法
KR100196320B1 (ko) 버스에어컨의 제어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3633997B2 (ja) 冷凍冷蔵庫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H04251164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JP200526295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H11281221A (ja) オープンショーケースの冷却装置
TWI807163B (zh) 冷凍裝置及冷凍裝置之運轉方法
CN104508408A (zh) 冰箱
KR100400470B1 (ko) 냉장고의 팬 제어방법
JP2021042910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KR100251567B1 (ko) 2단계감압장치가구비된냉동사이클및그제어방법
JP3954835B2 (ja) 冷蔵庫
KR100390437B1 (ko) 2개의 증발기가 설치된 냉장고의 운전 제어 방법
KR19980083062A (ko) 에어컨과 냉장고의 통합 냉동장치
JP2000111175A (ja) 冷凍サイクル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