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901B1 -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901B1
KR100194901B1 KR1019930031768A KR930031768A KR100194901B1 KR 100194901 B1 KR100194901 B1 KR 100194901B1 KR 1019930031768 A KR1019930031768 A KR 1019930031768A KR 930031768 A KR930031768 A KR 930031768A KR 100194901 B1 KR100194901 B1 KR 1001949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door
closing
opening
doo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317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19010A (ko
Inventor
하재우
Original Assignee
하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우 filed Critical 하재우
Priority to KR10199300317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901B1/ko
Publication of KR9500190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90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9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901B1/ko

Link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외측에 부착되어 비밀번호 등록모드에서의 비밀번호의 등록과 도어개폐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나 도어개폐버튼(11-15)과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소자(16) 및 상기 도어개폐버튼(11-15)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상기 표시소자(16)상에 표시 또는 비표시되도록 선택하는 표시제어버튼(17)을 갖춘 전자키유니트(10)와, 그 전자키유니트(10)로부터의 비밀번호의 입력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개폐유니트(20)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전자키유니트(10)에 갖추어진 제1도어 개폐버튼(11)은 그 버튼의 조작회수에 대응하는 번호를 상기 표시소자에 표시되도록 하는 비밀번호표시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반면 상기 제2도어개폐버튼(12)은 상기 비밀번호가 상기 표시소자(13)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는 비밀번호 비표시기능을 행하도록 함으로써 비밀번호등록모드에서의 비밀번호의 등록절차와 도어개폐모드에서의 비밀번호의 입력이 복수의 도어개폐버튼(11-15)에 의해서 가능하게 되고, 도어개폐모드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표시소자상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밀번호의 보완상태가 현저하게 개선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외관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기능블럭 구성을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에 도시된 도어개폐메카니즘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비밀번호의 입력절차를 설명하는 프롤우챠트.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서의 도어개폐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실외유니트(전자키유니트) 11-15 : 실외도어개폐버튼
20 : 실내유니트(도어개폐유니트) 21, 22 : 실내도어개방 및 로크버튼
23 : 수동개폐장치 24 : 모드절환 스위치
25 : 제어장치 26 : 신호음출력부
27 : 도어개폐구동부 28 : 도어개폐메카니즘
31 : 전원부 33 : 솔레노이드
39 : 회전부재 41 : 작동부재
본 발명은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의 외측에 장치되는 전자키유니트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버튼으로 비밀번호를 설정하거나 그 설정된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해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고, 표시제어를 위한 버튼의 조작시에는 그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표시가 가능하도록 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라든지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과 같은 대규모 주거시설의 도어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도어개폐장치가 설치되는바, 그 도어개폐장치의 일예로서는 기계적인 구조의 정합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실현하는 예컨대 열쇠와 자물쇠로 구성된 기계식 도어개폐장치가 널리 사용되지만, 그 기계식 도어개폐장치에 의하면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열쇠에 의해 개폐동작이 행해지는 자물쇠의 기계적인 구조가 마모되거나 이물질의 침입에 의해 정상적인 개폐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일이 많다.
그러한 기계식 도어개폐장치를 고려하여, 현재에는 도어의 개방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한 10-키를 갖춘 실외장치와 미리 고유의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도어의 개방시 실외장치의 10-키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이 정당성을 판단하여 도어의 개방을 수행하는 실내장치를 갖추어 구성된 전자식 도어장치가 제안되어 있는 바, 그러한 전자식 도어장치에 따르면 실내장치에 미리 고유의 비밀번호를 등록저장해 놓은 상태에서 실외장치의 10-키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고유의 비밀번호와 일치되는 경우에만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설계된다.
그런데, 실외장치의 10-키에 의해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방식의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서는 그 10-키중에 의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키에 지문이 남겨지거나 조작히수의 증가에 따라 10-키중에 의해 비밀번호에 해당하는 키의 마모상태가 현저해져서 비밀번호가 쉽게 판독되고, 그에 따라 비밀번호에 대한 보안의 유지가 어렵게 될 뿐만 아니라 비밀번호이 입력에 사용되는 10-키에 대한 회로구성이 필요하게 되어 전체적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구성이 복잡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표시제어버튼의 조작시에는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표시가 행해지도록 하는 반면 그 표시제어버튼의 비조작시에는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표시되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자키유니트상의 복수의 버톤을 조작하여 비밀번호의 등록저장 모드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도어개폐모드에서 그 복수의 버튼에 의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도록 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이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도어의 외측에 부착되어 비밀번호등록모드에서의 비밀번호의 등록과 도어개방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한 도어개폐버튼과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소자를 갖춘 전자키유니트와;
비밀번호의 등록모드와 도어개폐모드를 설정하기 이한 모드설정스위치와, 도어의 계폐를 위한 도어개폐버튼, 비밀번호등록모드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이 등록과 그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한 전체적인 도어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이 제어수단에서 제공되는 도어개폐구동신호에 따라 도어개폐메카니즘을 구동하는 도어개폐구동수단, 상기 도어개폐메카니즘을 수동식으로 조작하기 이한 수동개폐수단, 도어개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을 갖춘 도어개폐유니트를 갖추어 구성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키유니트에 갖추어진 도어개폐버튼은 소정시간내에 조작되는 회수를 대응하는 비밀번호수자로 입력이 가능한 복수의 도어개폐버튼으로 구성되고, 그 복수의 버튼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상기 표시소자상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작용하는 표시제어버튼이 더 구비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전자키유니트에는 상기 도어개폐유니트에 설치된 전원수단의 출력전압레벨이 소정레벨이하로 소모되는 경우에 도어의 개방동작을 외부전원을 접속하기 위한 전원접속수단이 더 설치되어 구성된다.
또, 상기 도어개폐유니트에 갖추어지는 전원수단은 도어의 개페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로 구성되고, 그 전원수단에는 그 배터리이 전압이 일정레벨이하로 저하되는 경우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백업전원이 갖추어지며, 상기 제어수단은 전원수단에 의한 출력전압레벨이 소정치 이하로 방전되는 경우에 상기 전자키유니트의 표시소자에 전원의 레벨저하를 표시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도어개페유니트에는 도어를 닫는 경우에 스위칭접속되어 도어의 자동로크동작이 수행되도록 하는 도어로크감시수단과, 도어의 로크동작이 수행된 경우에 정상적인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라 해도 내부에서 도어의 행정동작이 수행되기 전에는 도어의 외부에서 해정동작이 수행히지 않도록 하는 도어 강제로크수단이 더 구비되다.
그리고, 상기 도어개폐메카니즘은 도어개폐구동원으로 작용하는 솔레노이드와 이 솔레노이드에 연결되어 그 솔레노이드의 작용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작동부재를 구동하는 링크부재, 상기 작동부재의 도어개폐위치를 지지하는 회전지지체를 갖추어 구성된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의하면, 전자키유니트에 갖추어진 복수이 버튼이 소정시간내에 조작되는 회수를 기초로 비밀번호의 등록과 도어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수동적인 도어개폐동작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비밀번호의 누설가능성을 현저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이 외관구성을 나타낸 개략사시도로서, 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한 키로서 작용하는 전자키유니트(10; 이하 실외유니트라 함)와, 도어이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유니트(10)로부터의 비밀번호에 의한 도어개방 또는 도어 로크신호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개폐유니트(20 ; 이하 실내유니트라함)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실외유니트(10)는 실내유니트(20)의 내부에 설치된 후술하는 모드설정수단에 의해 비밀번호등록모드가 설정되는 경우에 3-5자리의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해 복수의 손가락으로 조작가능한 제1-제5도어개폐버튼(11-15)과 상기 비밀번호등록모드 또는 정상적인 도어개폐모드에서 상기 제1-5도어개폐버튼(11-15)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수자가 표시되는 예컨대 액정표시소자라든지 도트매트릭스표시소자로 구성되는 표시소자(16), 및 상기 복수의 도어개폐버튼(11-15)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상기 표시소자(16)에 표시되록 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표시제어버튼(17)을 갖추어 구성된다. 즉 발명에 따르면, 상기 실외유니트(10)에 갖추어진 표시제어버튼(17)을 조작하게 되면 정상적인 도어개폐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도어개폐버튼(11-15)의 소정시간내에 조작되는 회수에 대응하는 수자가 상기 표시소자(16)에 표시되도록 하는 기능을 행하게 되는 반면, 그 표시제어버튼(17)을 비조작하게 디면 상기 복수의 도어개폐버튼(11-15)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상기 표시소자(16)상에 표시되지 않도록 하여 비밀번호의 보안이 유지되도록 하는 작용을 행하게 된다.
또, 상기 실외유니트(10)의 하부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도어개폐를 위한 전원이 완전히 소모된 경우에 외부보조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접속하여 도어의 개방을 이한 비상전원접속단자(18)가 외부에 노출되는 형태로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실내유니트(20)의 하측부분에는 실내측에서 도어의 개방을 위한 도어개방버튼(21)과 도어의 로크를 위한 도어로크버튼(22)이 설치되고, 그 도어개방 및 로크버튼(21, 22)의 측방에는 수동으로 도어의 개폐를 우한 수동개폐수단(23)이 설치되며, 그 수동개폐수단(23)은 도어의 수동개폐동작에 따라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원형 플레이트(24)와 그 원형 플레이트(24)의 중앙부분을 횡단하도록 연장되는 수동개폐레버(25)를 갖추어 구성된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기능블럭을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실외유니트(10)는 제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제1-5도어개폐버튼(11-15)과 상기 표시제어버튼(17)의 조작시 상기 도어개폐버튼(11-15)의 조작회수에 대응하는 수자를 표시하는 표시소자(16)를 갖추어 구성되고, 상기 실내유니트(20)는 실내측에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개방 및 로크버튼(21, 22)과 수동으로 도어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수동도어개폐장치(23)를 갖추어 구성됨과 더불어, 비밀번호의 등록을 위한 비멀번호등록모드와 정상적인 도어개폐모드의 모르를 절환하기 위한 수단으로 작용하는 모드절환스위치(24)와, 전체적인 도어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예컨대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25)를 갖추어 구성되는데, 그 제어장치(25)는 상기 모드절환스위치(24)에 의해 비밀번호등록모드의 설정시 상기 실외유니트(10)의 도어개폐버튼(11-15)의 조작회수를 수취하여 그 조작회수에 대응하는 수자를 상기 실외유니트(10)의 표시장치(16)에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와 비밀번호의 등록이 완료되어 상기 모드절환스위치(24)를 정상적인 도어개폐모드를 절환하는 경우에 상기 비밀번호등록모드에서 등록된 비밀번호의 확인을 위해 상기 표시장치(16)에 현재 등록된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정상적인 도어개폐모드에서 상기 표시제어버튼(17)이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실외유니트(10)의 제1-5도어개폐버튼(11-15)의 조작에 다른 비밀번호의 표시 ㄸ는 비표시상태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수취하여 정상적인 비밀번호의 입력인 경우에 도어개폐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및 해당 실내유니트(20)에 갖추어진 도애개폐버튼(21, 22)의 조작상태에 따라 도어개페구동신호를 추력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그 실내유니트(20)에는 상기 제어장치(25), 이 제어장치(25)의 제어하에 상기 실외유니트(10)의 도어개폐버튼(11-15)에 의한 비밀번호의 입력시 각 비밀번호의 수자의 입력인지음을 발생하는 한편, 도어개방시 소정회수에 걸쳐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예컨대 압전스피커(Piezo Speaker)로 구성되는 신호음출력부(26)와, 도어개폐모드에서 상기 실외유니트(10)의 도어개폐버튼(11-15)에 의해 정상적인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25)에서 출력디는 도어개폐구동신호에 의해 도어의 개폐구동을 수행하는 도어개폐구동부(27), 이 도어개폐구동부(27)에서 출력되는 도어개방 또는 로크신호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나 로크동작을 수행하는 도어개폐메카니즘(28), 상기 실내유니트(20)와 도어사이에 설치되어 그 도어가 닫히는 경우에 스위칭접속되어 자동으로 도어를 로크시키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도어의 닫힘상태를 감지하는 도어로크감지부(29)및, 상기 실내유니트(20)상에 설치되어 도어개폐메카니즘(28)에 의해 도어가 로크된 상태에서 상기 실외유니트(10)의 도어개폐버튼(11-15)에 의해 정확한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실내유니트(20)의 도어개방버튼(21)또는 수동도어개폐장치(23)에 의하지 않고서는 도어의 개방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강제적으로 로크상태를 유지시키기 이한 도어강제로크장치(30), 상기 제어장치(25)의 제어하에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워을 공급하는 예컨대 배터리가 사용디는 전원부(31)와 상기 제어장치(25)에 의해 전원부(31)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압레벨이 소정레벨이하로 저하된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의 교체를 알리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백업전원(31)을 갖추어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도어개폐메카니즘(28)의 구성에 따르면, 제3도에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사시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어개폐구동원으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33)가 구비되는 바, 그 솔레노이드(33)는 그 실내유니트(20)의 내면에서 돌설되는 보스(34)에 브라켓(35)을 매개하여 장착되고, 그 솔레노이드(330의 작동봉(33a)에는 그 솔레노이드(33)의 작동에 따라 상하운동하는 링크부재(36)를 매개하여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작동부재(41)가 접속된다. 그 작동부재(41)의 일측면에는 기어열(42)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작동부재(41)의 다른측에는 도어의 쇄정 또는 해정을 위한 사건봉(41a)이 복수로 형성되고, 그 작동부재(41)의 일측면에 형성된 기어열(42)에는 상기 수동개폐장치(23)를 구성하는 원형 플레이트(24)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샤프트(24a)에 장착되어 그 원형 플레이트(24)의 수동회전에 의한 도어의 개폐시에 상기 작동부재(41)를 이동시키거나 상기 동력전달기어(36)와 회전부재(39)를 매개하여 전달되는 모터(33)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작동부재(41)가 이동하는 경우에 그 작동부재(41)의 위치를 유지시켜주기 위한 회전지지체(43)의 기어가 치합된다. 그 회전지지체(43)는 그 주변부의 일부분에만 기어가 형성되고, 그 회저지지체(43)는 상기 실내유니트(20)의 내면에서 연장디는 보스(45)에 삽입장착되어 일단이 보스(46)에 의해 지지되는 탄성스프링(47)의 다른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상기 작동부재(41)의 위치를 유지시켜주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이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제4도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비밀번호의 등록과 확인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제2도의 제어장치(25)는 단계 51에서 모드설정스위치(24)가 비밀번호등록모드(a)의 위치로 설정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그 모드설정스위치(24)가 정상적인 도어개폐모드(b)로 접속된 경우이면 단계52에서 정상적인 도어개폐동작을 위한 모드로 이행하게 되는 반면, 그 모드설정스위치(24)가 비밀번호등록모드(a)로 설정된 경우이면, 단게53에서 실외유니트(10)의 도어개폐버튼(11-15)을 비밀번호입력키로 이용하여 고유의 비밀번호의 입력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하게 된다. 그 판단결과, 고유의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도어개폐버튼(11-15)의 조작이 소정시간동안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54에서 그 제어장치(25)는 도어개폐버튼(11-15)의 조작회수를 제1자리의 비밀번호의 수자로 판단하여 단계 55에서 그 도어개폐버튼(11-15)의 조작회수에 대응하는 번호가 상기 실외유니트(10)의 표시소자(16)상에 표시되게 하고, 단계 56에서 해당하는 수자의 표시홈 소정시간(대략 1sec)동안 상기 도어개폐버튼(11-15)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게 되면 상기 표시소자(13)에 표시된 수자를 제1자리의 비밀번호로 인식하여 단계 57에서 신호음출력부(26)를 통해 예컨대 '삐-삐-'와 같은 인지즘을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인지음이 출력된 후, 단계 58에서 제2내지 제n자리의 후속 비밀번호를 상기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입력하게 되면 상기 제어장치(25)에 의해 해당비밀번호가 상기 표시소자(13)상에 표시되도록 하여 소정시간이 경과되면 해당수자를 비밀번호로 인식하여 인지음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단게59에서 비밀번호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상기 제어장치(25)는 단계60에서 상기 실내유니트(20)의 모드설정스위치(24)가 도어개폐모드(b)로 절환하는 경우에는 현재에 등록된 복수 자리수의 비밀번호를 상기 표시장치(13)상에 순차적으로 표시하여 확인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고, 그러한 등록된 비밀번호의 순차적인 표시동작이 완료되면 단계61에서 비밀번호등록모드를 해제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비밀번호의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모드절환스위치(24)가 정상적인 도어개폐모드(b)로 절환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 대해 제5도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다계71에서 제어장치(25)는 현재의 상태가 도어개방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개방상태로 판단되면 단계72에서 도어상태가 로크상태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도어로크상태로 판단되면 단계73에서 인지음을 출력함과 더불어 도어로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어, 단게74에서 상기 제어장치(25)는 상기한 단계71과 단계72에서 현재의 상태가 도어개방상태가 아니거나 도어의 상태가 개방상태인 경우 또는 단계73에서 도어로크동작이 수행된 이후에 외부로부터 유효환 버튼입력(키입력)이 투입되는지를 판단하여 입력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단계75에서 상기 실외유니트(10)의 도어개폐버튼(11-15)이 소정시간동안 조작된 경우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가 도어개폐버튼(11-15)이 소정시간동안 조작된 경우이면 단계76에서 상기 제어장치(25)는 신호음출력부(26)를 통해 도어로크동작에 관한 인지음을 출력한 다음 단계77에서 도어로크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즉, 상기 제어장치(25)는 도어로크동작의 수행시 도어개폐구동원으로 동작하는 솔레노이드(33)를 예컨대 도어의 개방을 위해 도어로크구동신호를 출력하게 되고, 그 도어로크구동신호에 의해 상기 도어개페구동부(27)는 상기 솔레노이드(33)의 작동봉(33a)을 흡인하게 되다. 따라서, 그 솔레노이드(33)의 작동봉(33a)상에 장착된 링크부재(36)와 연결되는 상기 작동부재941)가 하향이동하여 그 작동부재(41)의 사건봉(41a)에 의해 도어의 로크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다. 이 경우, 상기 작동부재(410이 하향이동시 그 작동부재(41)의 기어열(42)과 치합되는 회전지지체(43)가 회동하게 되고, 그 회전지지체(43)의 회동이 종료되는 지점에서 상기 탄성스프링(47)의 다른단이 그 회전지지체(43)를 탄성지지하게 되므로 상기 작동부재(41)가 도어로크위치에 안정적으로 유지되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단계75에서 상기 실외유니트(10)에 갖추어진 실외도어개폐버튼(11-150이 조작되지 않은 경우로 판단되면 상기 제어장치(25)는 단계78에서 상기 실내유니트(20)의 실내도어로크버튼(22)의 조작인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판단결과 그 도어로크버큰(22)의 조작인 경우이면 초기단계로 복귀하여 후속의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반면, 그 단계78에서의 판단결과 실내유니트(20)의 도어로크버튼(22)의 조작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79에서 그 실내유이트(20)에 갖추어진 도어개방버튼(21)이 조작된 경우인지를 판단하여 그 도어개방버튼(21)이 조작된 경우이면 단계80과 단계81에서 상기 제어창치(25)는 신호음출력부(26)를 통해 도어로크동작시의 솔레노이드(33)의 작동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솔레노이드(33)의 작동봉(33a)을 흡출하여 상기 작동부재(41)를 상향이동시켜 도어의 개방동작이 수행되도록 하게 된다.
한편, 상기 단계79에서의 판단결과 상기 실내유니트(20)이 도어개방버튼(21)의 조작이 아닌 경우에는 단계82에서 상기 실외유니트(10)의 도어개폐버튼(11-15)이 조작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그 도어개폐버튼(11-15)이 조작된 경우이면 단계83에서 상기 실외유니트(10)에 갖추어진 표시제어버튼(17)의 제작여부를 판단하게 되고, 그 표시제어버튼(17)이 조작된 경우에는 단계84에서 해당하는 비밀번호가 상기 표시소자(16)상에 표시되도록 하게 된다. 이어, 단계84에서는 비밀번호의 자리수를 증가시켜 후속의 비밀번호를 입력받게 되고, 그러한 절차에 의해 전체의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비밀번호의 입력이 완료되는 경우에는 단계86에서 상기 표시소자(16)의 표시상태를 오프(OFF)시킨 다음, 다계87에서는 현재 입력된 비밀번호가 상기한 비밀번호등록모드에서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되는지를 판단하여 일치되는 경우에는 단계88에서 상기 신호음출력부(26)를 통해 인지음이 출력되도록 한 다음 단계89에서는 상기 단계81에서 설명한 도어개방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에 대해, 상기 단계87에서 현재 입력된 비밀번호가 미리 등록된 비밀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단계90에서 소정시간 동안 외부로부터의 입력을 무시하고 단계91에서 상기 제어장치(25)는 신호음출력부(26)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여 비정상적인 도어개방동작에 대해 경보를 발생하게 된다.
상기한 도어개방을 위한 비밀번호의 입력과정에서 상기 실외유니트(10)의 표시제어버튼(17)을 조작하게 되면 도어개폐버튼(11-15)이 조작회수에 대응하는 수자가 상기 제어장치(25)의 제어하에 상기 표시소자(16)상에 표시되어 현재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확인이 가능하게 되고, 그 표시제어버튼(17)의 비조작시에는 도어개폐버튼(11-15)의 조작회수에 대한 비밀번호이 입력상태가 상기 표시소자(16)상에는 표시되지 않도록 제어함으로써 비밀번호의 외부누출이 방지된다
더욱이, 본 발명의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따르면 그 실내유니트(20)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도어로크감지부(29)에 의해 도어가 닫히는 상태가 감지되면 상기 실외유니트(10)에 갖추어진 도어개폐버튼(11-15)의 동시적인 조작에 의하지 않고서도 상기 제어장치(25)가 그 도어로크감지부(29)의 스위칭신호를 수신하게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33)의 구동을 제어하여 도어로크상태로 되도록 하게되고, 도어강제로크장치(30)이 조작시에는 상기 실외유니트(10)부터 정상적인 비밀번호가 입력되더라도 그 도어강제로크장치(30)에 이한 도어강제로크모드가 해제되기 전에는 외부에서 도어의 개방이 불가능하도록 제어하여 모드의 개방에 관한 안전성이 확실하게 확보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자동적인 도어개페동자고가는 달리 상기 수동개폐장치(23)의 수동개폐레버(25)를 회동시키게 되면 그 수동개폐장치(23)를 구성하는 회전 플레이트(24)의 하측에서 연장되는 샤프트(24a)에 연결된 상기 회전지지체(43)가 회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작동부재(41)가 이동하게 되어 수동적인 도어의 개폐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의한 비밀번호등록모드에서의 비밀번호의 등록절차와 도어개폐장치에서의 비밀번호의 입력이 복수의 버튼을 동시에 사용하여 가능하게 되고, 도어개폐모드에서 입력디는 비밀번호가 표시소자상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비밀번호의 보완상태가 현저하게 개선될 수 있다. 더욱이, 전원으로 사용되는 배터리의 출력전압레벨이 완저하게 소모된 경우에는 실외유니트에 갖추어진 외부접속단자에 외부전원을 접속하여 도어의 개방동작이 가능하게 되고, 그에 따라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사용상 편리함과 안전성이 상당한 정도로 개선된다.

Claims (3)

  1. 도어의 외측에 부착되어 비밀번호 등록모드에서의 비밀번호의 등록과 도어개폐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나 도어개폐버튼(11-15)과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선택적으로 표시하는 표시소자(16)를 갖춘 전자키유니트(10)와 ; 비밀번호의 등록모드와 등록과 도어개폐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절환스위치(24)와, 도어개폐버튼(21, 22), 비밀번호 등록모드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등록과 그 비밀번호의 입력에 의한 도어개폐동작을 제어하는 제어수단(25), 이 제어수단(25)에서 제공되는 도어개폐구동신호에 따라 도어개폐메카니즘(28)을 구동하는 도어개폐구동수단(27), 상기 도어개폐메카니즘(28)을 수동식으로 조작하기 이한 수동개폐수단(23), 도어개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수단을 갖춘 도어개폐유니트를 갖추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키유니트(10)에는 상기 표시소자에(16)상에 비밀번호의 선택적인 표시를 제어하기 위한 표시제어버튼이 갖추어진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키유니트(10)에 갖추어진 복수의 도어개폐버튼(11-15)의 전체적인 조작회수가 대응하는 비밀번호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KR1019930031768A 1993-12-31 1993-12-31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KR1001949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768A KR100194901B1 (ko) 1993-12-31 1993-12-31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30031768A KR100194901B1 (ko) 1993-12-31 1993-12-31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010A KR950019010A (ko) 1995-07-22
KR100194901B1 true KR100194901B1 (ko) 1999-06-15

Family

ID=66853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31768A KR100194901B1 (ko) 1993-12-31 1993-12-31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90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372A (ko) * 2013-11-26 2015-06-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nd를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723992B1 (ko) 2015-05-27 2017-04-06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60372A (ko) * 2013-11-26 2015-06-03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nd를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및 이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577987B1 (ko) 2013-11-26 2015-12-16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Fnd를 이용한 비밀번호 입력시스템
KR101723992B1 (ko) 2015-05-27 2017-04-06 주식회사 케이티앤씨 도어록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19010A (ko) 1995-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58347A (en) Subcabinet movement initiator
KR100194901B1 (ko)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KR20050011936A (ko) 도어 잠금장치
JPH06185277A (ja) ワイヤレスシャッターシステム
JPS61266783A (ja) 電気錠装置
KR200433964Y1 (ko) 도어 개폐 장치
JP2971055B2 (ja) ロックユニット
JPH06271208A (ja) 篭の遠隔制御装置
JP2001012118A (ja) ドア錠安全装置
KR950019009A (ko)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EP0506625A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centralized closure of the doors of a motor vehicle
JPH11293983A (ja) 電気錠システム
JPH0384179A (ja) シークレット電気錠操作器
KR20040027250A (ko) 디지털 도어락
KR100734030B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KR20100043574A (ko) 디지털 도어를 이용한 출입자 현황 정보 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0330586Y1 (ko) 도어 잠금장치
JPH0425395B2 (ko)
JPH0437234B2 (ko)
KR20030019540A (ko) 도어 로킹장치
JP2001295520A (ja) 電子錠
KR100291481B1 (ko)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JP2557286Y2 (ja) 電子錠装置
CN117988626A (zh) 门锁
KR200204456Y1 (ko) 전자도어록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