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1481B1 -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1481B1
KR100291481B1 KR1019990009097A KR19990009097A KR100291481B1 KR 100291481 B1 KR100291481 B1 KR 100291481B1 KR 1019990009097 A KR1019990009097 A KR 1019990009097A KR 19990009097 A KR19990009097 A KR 19990009097A KR 100291481 B1 KR100291481 B1 KR 100291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osing
door opening
door
opening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0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60624A (ko
Inventor
하재우
Original Assignee
하재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하재우 filed Critical 하재우
Priority to KR10199900090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1481B1/ko
Publication of KR200000606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606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1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14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47/0001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 E05B47/0012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with electric actuators; Constructional features thereof with rotary electro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7/00Accessories in connection with locks
    • E05B17/22Means for operating or controlling lock or fastening device accessories, i.e. other than the fastening members, e.g. switches, indicators
    • E05B17/226Displays on locks, e.g. LED or LCD scree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 E05B2047/0054Opening, closing of the circuit using microprocessor, printed circuit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4Key or electric means; Emergency release
    • E05B2047/0086Emergency release, e.g. key or electromagnet
    • E05B2047/0087Electric spare devices, e.g. auxiliary batteries or capacitors for back up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97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cluding means for monitoring voltage, e.g. for indicating low battery state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중으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외측에 부가되어 특정 문자 혹은 숫자를 한번 또는 여러번 입력하여 도어개폐를 위한 설정이 가능하고 4키 구조로 된 입력버튼(11-14)과, 그 입력버튼(11-14)에 의해 입력된 버튼에 따른 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소자(15)와, 장착된 전지의 수명인식을 위해 밧데리 잔여사용분이 특수인식기호로 표시되는 전원상태표시소자(16)를 가진 실외유니트(10)와; 문자 또는 숫자를 설정하여 등록시키기 위한 기능설정용버튼(33,34)과,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개방 및 로크버튼(31,32)과, 다수의 키와 연결되어 그에 따른 신호를 제어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35)와, 상기 제어장치(35)로부터의 도어개폐구동신호에 따라 도어개폐메카니즘(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개폐구동부(37)와, 상기 도어개폐구동메카니즘(100)을 수동식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개폐장치(22)와, 도어개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갖춘 실내유니트(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ELECTRONIC DOOR LOCK APPARATUS CAPABLE OF BEING MULTI-INPUT}
본 발명은 도어의 외측에 장치되는 전자키유니트상에 제공되는 복수의 입력버튼의 구조를 단순화하여 비밀번호 설정이 간편하도록 한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이라든지 아파트 또는 오피스텔과 같은 대규모 주거시설의 도어에는 외부인의 출입을 제한하기 위해 도어개폐장치가 설치되는 바, 그 도어개폐장치의 일예로서는 기계적인 구조의 정합에 의해 도어의 개폐를 실현하는 예컨대 열쇠와 자물쇠로 구성된 기계식 도어개폐장치가 널리 사용되지만, 그 기계식 도어개폐장치에 의하면 사용기간의 경과에 따라 열쇠에 의해 개폐동작이 행해지는 자물쇠의 기계적인 구조가 마모되거나 이물질의 침입에 의해 정상적인 개폐동작이 불가능하게 되는 일이 많다.
그러한 기계식 도어개폐장치를 개선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가 본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특허원 93-31768호로 출원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표시제어버튼의 조작시에는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표시가 행해지도록 하는 반면 그 표시제어버튼의 비조작시에는 입력되는 비밀번호의 표시가 행해지지 않도록 함과 더불어,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는 전자키유니트상의 복수의 버튼을 조작하여 비밀번호의 등록저장모드에서 비밀번호를 등록하고 도어개폐모드에서 그 복수의 버튼에 의해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일치되는 경우에 도어가 개방되는 구조이다.
그러나 상기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도어개폐메카니즘이 솔레노이드를 통해 연결된 다수의 복잡한 기계장치로 이루어져 전체적으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제작이 어렵고 제작에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입력버튼이 일정한 형태로만 배치되어야 입력이 가능하기 때문에 입력버튼의 배치에 제한이 있고 이에 따라 입력버튼의 조작에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상기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는 사용자가 도어를 열기위한 비밀번호 입력모드에서 입력해야 할 비밀번호를 잊어버린 경우 그에 따른 대비책이 전혀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개폐메카니즘의 구성이 간단하고 이에 따라 장치의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전자식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중으로 입력버튼의 조작이 가능한 새로운 형태의 입력버튼을 가진 전자식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비밀번호를 잃어버린 경우에도 버튼의 배치에 따른 입력 번호를 알아낼 수 있으므로 입력된 비밀번호를 쉽게 기억하여 비밀번호를 쉽게 찾아낼 수 있는 전자식 도어개폐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의하면, 전자키유니트에 갖추어진 복수의 버튼이 단순히 복수개로 설치되어 조작이 간편하고 소정시간내에 조작되는 키버튼의 회수를 기초로 비밀번호의 등록과 도어의 개방을 위한 비밀번호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하여 도어의 개폐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수동적인 도어개폐동작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여 사용이 손쉬운 새로운 형태의 전자식 도어개폐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입력버튼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실내유니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블럭구성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도어개폐메카니즘을 설명하는 개략적인 분리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도어개폐메카니즘의 작동상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실외유니트, 11-14:입력버튼,
15: 표시소자, 16:전원상태표시소자,
20:실내유니트, 22:수동개폐장치,
31,32:도어개방 및 로크버튼, 33,34:기능설정용버튼,
35: 제어장치, 37: 도어개폐구동부,
100:도어구동메카니즘.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입력버튼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는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어 도어의 개폐동작을 위한 키로서 작용하는 전자키유니트(10: 이하 실외유니트라 함)와,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실외유니트(10)로부터의 비밀번호에 의한 도어개방 또는 도어로크신호에 따라 도어의 개폐를 수행하는 도어개폐유니트(20:이하 실내유니트라 함)를 갖추어 구성된다.
실외유니트(10)는 사용자가 원하는 임의의 문자 또는 숫자의 입력을 위한 제1-4입력버튼(11-14)과, 상기 제1-4입력버튼(11-14)에 의해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의 번호를 표시하도록 된 예컨대 액정표시소자라든지 도트매트릭스소자로 구성되는 표시소자(15) 및 상기 표시소자(15)와 인접설치되어 건전지의 상태를 표시하는, 예를 들면, 전지가 소모된 경우에는 'E'로 표시되는 전지상태표시소자(16)와, 상기 복수의 도어개폐버튼(11-14)에 의해 입력되는 비밀번호가 상기 표시소자상에 표시되도록 하거나 표시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표시제어버튼(17)을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실외유니트(10)는 그의 하부에 도어개폐를 위한 전원이 완전히 소모된 경우에 외부보조전원으로서 배터리를 접속하여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한 비상전원접속단자(18)가 설치된다.
상기한 입력버튼(11-14)은 각각 임의의 버튼에 해당하는 숫자로 셋팅되어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실내유니트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실내유니트(20)의 전면상에 실내측에서 도어를 개방시키기 위해 해제상태로 하기위한 도어개방버튼(31)과 도어를 폐쇄상태로 하기 위해 로크상태로 하기 위한 도어로크버튼(32)이 설치되어있다.
참조부호 22는 수동개폐손잡이로서, 상기 도어개방 및 로크버튼(31,32)의 하방에 설치되어 강제로 후술하는 록장치를 밀어서 도어개방 및 도어로크상태로 만들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힘을 주어 일방향으로 밀면 이동된다. 그 수동개폐손잡이(22)는 일측면에서 전방으로 두개의 돌출봉(23)(24)이 돌출형성되어 그 돌출봉(23)(24)을 통해 실내유니트(20)의 내측에 설치된 후술하는 록장치에 고정설치된다.
참조부호 33 및 34는 기능설정용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두개의 버튼 중 임의의 버튼을 눌러 놓고 상기 실외유니트(10)의 입력버튼(11-14)을 통하여 원하는 버튼을 눌러 소정신호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신호가 제어장치(35)에 입력되어 비밀번호가 된다.
미설명부호 21은 다수개의 전지가 내장되는 전지실을 나타낸 것이고, 참조부호 25는 전지실 뚜껑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도 1에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블럭구성도로서, 실외유니트(10)는 비밀번호의 입력을 위한 제 1 내지 제 4 입력버튼(11-14)과, 표시제어버튼(17)의 조작시 상기 입력버튼(11-14)의 조작회수에 대응하는 숫자를 표시하는 표시소자(15) 및 전원상태 표시소자(16)를 포함하고 있다.
실내유니트(20)는 실내측에서 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개방 및 로크버튼(31,32)과, 수동으로 도어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수동개폐장치로서의 도어개폐손잡이(22)를 갖추고 있으며, 비밀번호의 등록을 문자 및 숫자상태로 입력가능하도록 설정하는 기능설정용버튼(33,34)을 포함하고, 전체적으로 도어개폐장치를 제어하는 예컨대 마이컴으로 구성되는 제어장치(35)를 갖추어 구성된다.
상기 제어장치(35)는 상기 기능설정용 버튼(33)(34)중 임의의 스위치를 설정한 경우 상기 실외유니트(10)의 입력버튼(11-14)의 조작회수에 따라 그 조작회수에 대응하는 숫자를 상기 실외유니트(10)의 표시소자(15)에 표시되도록하는 제어와, 비밀번호의 등록이 완료된 경우 상기 비밀번호등록모드에서 등록된 비밀번호의 확인을 위해 상기 표시소자(15)에 현재 등록된 비밀번호를 순차적으로 표시되도록 하는 제어와, 정상적인 도어계폐모드에서 상기 표시제어버튼(17)의 조작여부에 따라 상기 실외유니트(10)의 입력버튼(11-14)의 조작에 따른 비밀번호의 표시 또는 비표시상태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수취하여 정상적인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는 도어개폐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 및 해당 실내유니트(20)에 갖추어진 도어개방 및 로크버튼(31,32)의 조작상태에 따라 도어개폐구동부(37)에 도어개폐구동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를 수행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내유니트(20)에는 상기 제어장치(35)의 제어하에 상기 실외유니트(10)의 입력버튼(11-14)을 통한 입력신호에 따른 입력인지음을 발생하는 한편, 도어개방시 소정회수에 걸쳐 기설정된 기능설정용버튼(즉,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버튼 조작)의 입력이 되지 않는 경우에는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예컨대 압전스피커로 구성되는 신호음출력부(36)와, 도어개폐모드에서 상기 실외유니트(10)의 입력버튼(11-14)에 의해 정상적인 기설정버튼에 따른 신호와 일치되는 버튼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경우에 상기 제어장치(35)에서 출력되는 도어개폐구동신호에 의해 도어의 개폐구동을 수행하는 도어개폐구동부(37)와, 이 도어개폐구동부(37)에서 출력되는 도어개방 또는 로크신호에 따라 도어의 개방이나 로크동작을 수행하는 도어개폐메카니즘(100)과, 상기 제어장치(35)의 제어하에 도어의 개폐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예컨대 배터리가 사용된 전원부(38)와 상기 제어장치(35)에 의해 상기 전원부(38)를 구성하는 배터리의 출력전압레벨이 소정레벨이하로 저하된 상태가 검출되는 경우에 비상전원을 공급하거나 배터리의 교체를 알리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백업전원(39)을 갖추어 구성된다.
여기서, 도어개폐메카니즘(100)의 구성을 도 4 및 도 5를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구동전원에 의해 동작하는 DC모터(도시안됨) 및 감속기어(도시안됨)등이 내장된 몸체부(62)를 포함하는 모터구동부(60)가 상기 실내유니트(20)의 배면에서 돌설되는 다수개의 보스(21a)(21b)(21c)에 브라켓(68)을 매개하여 볼트등의 고정부재에 고정된다. 상기 모터구동부(60)는 고속회전하는 DC모터의 회전운동을 감속기어를 통해 변속시켜 출력하는데, 상기 몸체부(62)의 상단 일측으로 노출된 모터의 출력축(63) 단부에는 캠(64)이 고정되어있고, 상기 캠(64)의 단부에는 걸림봉(65)이 고정설치 되어있다.
참조부호 70은 록장치로서, 일측은 대략 ㄷ자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실내유니트(20)의 배면을 둘러 형성된 일측벽면에 형성된 두개의 관통공(27a)(27b)을 통과할 수 있도록 된 두개의 잠금봉(71a)(71b)을 가진다. 참조부호 72는 상기 잠금봉(71a)(71b)의 타측에 소정폭과 길이를 가진 두개의 장공(74a)(74b)을 가진 안내봉을 나타낸다. 상기 안내봉(72)의 상단에는 직립형상으로 타원형의 캠안내공(78a)이 형성된 캠안내부(78)가 돌출하여 설치된다.
상기 록장치(70)는 두개의 장공(74a)(74b)의 각각의 단부가 볼트(42a)(42b)를 통해 실내유니트(20)의 보스(26a)(26b)에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록장치(70)는 장공(74a)(74b)의 폭만큼 좌우로 이동가능하다. 또한, 상기 록장치(70)의 캠안내부(78)의 캠안내공(78a)에는 상기 모터구동부(60)의 걸림봉(65)이 접촉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구동부(60)의 구동력에 의해 캠(64)이 회전하면, 그에 따라 걸림봉(65)도 일방향으로 회전하고, 이에 따라 상기 록장치(70)에는 모터구동부(60)의 걸림봉(65)을 통한 회전력이 캠안내공(78a)을 통해 전달되어 걸림봉(65)이 캠안내공(78a)과 접촉되면서 회전하여 결국 상기 모터구동부(60)의 회전력이 록장치(70)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되면서 상기 록장치(70)가 직선왕복운동한다.
상기 모터구동부(60)의 모터의 회전은 상기 록장치(70)의 안내봉(72)의 소정위치에 돌출된 돌출부(77)에 의해 제어되는데, 즉, 이 돌출부(77)가 상기 실내유니트(20)의 배면을 커버하는 인쇄회로기판(80)의 소정위치에 접촉되면서 이에 따라 인쇄회로기판(80)상의 전자회로가 동작하여 모터구동부(60)의 회전이 정/역방향으로 조절된다. 즉, 모터구동부(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록장치(70)가 일방향으로 밀려 상기 록장치(70)의 잠금봉(71a)(71b)이 상기 실내유니트(20)의 측면에 설치된 관통공(27a)(27b)를 통과하여 도어록상태로 되고,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는 상기 록장치(70)가 해제된다. 상기 모터구동부(6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록장치(70)가 작동되어 문이잠기면, 돌출부(77)에 의해 모터구동부(60)의 회전은 정지되며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준비를 갖추게 된다. 또한 모터구동부(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록장치(70)가 해제되면 돌출부(77)에 의하여 정지하면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준비를 갖추게 된다.
상기 수동개폐손잡이(22)의 돌출봉(23)은 나사를 통해 상기 록장치(70)의 안내봉(72)에 형성된 고정봉(73)에 고정되고, 또 다른 돌출봉(24)은 록장치(70)의 안내봉(72)의 하방에 형성된 홈(74)에 삽입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수동개폐손잡이(22)는 비상시 수동개폐장치로서의 역할을 하는데, 수동개폐손잡이(22)를 일정한 힘을 주어 일방향으로 밀어 상기 록장치(70)를 강제로 작동 또는 해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록장치를 작동 또는 해제시키기 위하여 사용된 구동력은 DC소형 건전지를 이용하므로 필요없는 구조로 전기의 소모를 줄이게 되었으며 외관상으로 미려하다.
미설명부호 90은 고무덮개판을 나타낸 것이고, 92는 외부 덮개판을 나타낸 것으로서, 고정나사 93에 의해 도어의 소정위치에 고정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의 동작에 있어서, 도어의 개폐의 동작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특허원 제93-31768호에서 설명된 바와 유사하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고 여기서는 그 특징적인 동작만을 설명한다.
먼저 특정번호의 등록은 먼저 기능설정용버튼(33)(34)을 누른후에 입력버튼(11-14)을 사용하여 원하는 버튼을 입력하고 다시 기능설정용버튼(33)(34)를 누름으로서 특정번호의 등록이 완료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도어 개폐의 일련의 동작은 제어장치(35)에 의해 처리수행되는 것으로서, 먼저 사용자만의 특정한 문자나 숫자의 설정(즉, 비밀번호등록)과정은, 실내유니트(20)에 설치되어있는 특정한 문자 혹은 숫자를 설정가능한 기능설정용 버튼(33)(34)중 임의의 원하는 설정버튼 하나를 누른후, 실외유니트(10)에 구비된 4개의 입력버튼(11-14)을 통하여 임의의 숫자 또는 문자를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다. 입력시, 사용자는 임의의 숫자를 입력한 후 그때마다 인지음을 들을 수 있으므로 숫자 또는 문자가 제대로 입력되었는지 알 수 있고, 입력이 끝난 후 소정시간이 지나면 입력된 번호가 순차적으로 표시되고 또한 인지음으로도 출력된다. 만약 입력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얻어진 값이 20을 초과하게 되면 등록 에러음을 출력한다. 이때는 사용자는 다시 입력을 하면 된다.
본 발명에서의 실외유니트(10)에 설치된 4개의 버튼은 각각 소정의 숫자를 지칭하는 것이고, 그 외의 숫자 또는 문자등은 상기 4개의 버튼을 통한 조합으로 만들어 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만약 비밀번호 설정을 임의의 숫자가 아닌 다른 키 조합으로 한 것으로서, 다중입력이 가능하며, 제어장치(35)는 버튼 설정에 따른 번호의 합으로 그 비밀번호를 기억하게 된다.
따라서 실제 사용자가 입력버튼(11-14)을 통하여 숫자로 특정버튼을 설정하여 놓은 경우에는 그 해당번호을 입력하면 도어개폐를 실현할 수 있고, 또한 특정한 문자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 등록시킨 경우에도 그 특정 문자에 해당하는 번호를 환산하여 그 번호에 해당하는 버튼을 눌러도 도어개폐를 실현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등록번호를 잃어버린 경우에도 등록된 비밀번호를 쉽게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있어서, 자동도어록을 설정하는 기능이 추가되었는데, 이는 상기 실내유니트(20)의 기능설정용버튼(33)(34)을 동시에 누른 후에 실외유니트(10)의 제 1 버튼을 누르면 자동도어록이 설정되고, 또한 기능설정용버튼(33)(34)을 동시에 누른 후에 실외유니트(10)의 제 2 버튼을 누르면 자동도어록이 해제된다. 상기 설정 및 해제시에 각각 다른 인지음이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도어개폐장치에 의하면 사용자가 임의로 도어개폐버튼을 조작함으로써 다양하게 자기만의 비밀번호 혹은 암호를 설정가능하게 된 효과가 있다. 이로인해 비밀번호의 보안상태가 현저하게 개선된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입력신호의 선택방법이 다양하므로 만약 입력된 설정신호에 따른 버튼 설정을 잃어버린 경우 다른 버튼으로의 전환도 가능하여 쉽게 설정 버튼을 찾아내어 도어를 개폐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에 따르면, 전체적으로 도어개폐장치의 형상이 콤팩트하게 되어 장착이 간편한 효과가 있다.
도어는 물론, 금고, 자동차, 현금자동지급기, 기타식음료 자판기 등에도 쉽게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Claims (5)

  1. 도어의 외측에 설치되며 각각 특정의 번호로 셋팅된 4키구조로서 특정 문자 혹은 숫자의 다중입력이 가능한 입력버튼(11-14)과, 그 입력버튼(11-14)에 의해 눌려진 버튼에 해당하는 번호를 표시하는 표시소자(15)와, 장착된 전지의 수명인식을 위해 밧데리 잔여사용분이 특수인식기호로 표시되는 전원상태표시소자(16)를 가진 실외유니트(10)와;
    문자 또는 숫자를 설정하여 등록시키기 위한 기능설정용 버튼(33,34)과, 도어의 개폐를 위한 도어개방 및 로크버튼(31,32)과, 다수의 키와 연결되어 그에 따른 신호를 제어함과 아울러 도어의 개폐상태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35)와, 상기 제어장치(35)로부터의 도어개폐구동신호에 따라 도어개폐메카니즘(100)을 구동하기 위한 구동신호를 출력하는 도어개폐구동부(37)와, 상기 도어개폐구동메카니즘(100)을 수동식으로 조작하기 위한 수동개폐장치(22)와, 도어개폐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한편 비상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장치를 갖춘 실내유니트(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개폐구동메카니즘(100)은 상기 실내유니트(20)의 내면에 고정설치되어 모터의 회전운동을 모터축(65)에 연결된 캠(64)과 그 캠(64)에 고정설치된 걸림봉(65)을 통하여 전달하기 위한 모터구동부(60)와;
    상기 실내유니트(20)의 배면 일측에 형성된 두개의 관통공(27a)(27b)을 통과하는 잠금봉(71a)(71b)과, 상기 잠금봉(71a)(71b)의 타측에 소정폭과 길이를 가진 두개의 장공(74a)(74b)을 가진 안내봉(72)과, 상기 안내봉(72)의 소정위치에는 돌출부(77)가 돌출형성되고, 상기 안내봉(72)의 상단에 직립형상의 캠안내부(78)가 설치되어있고, 그 캠안내부(78)에는 상기 모터구동부(60)의 걸림봉(65)이 삽입설치 되는 타원형의 캠안내공(78a)이 형성된 록장치(70)와,
    상기 실내유니트(20)의 배면에서 상기 모터구동부(60) 및 록장치(70)를 커버하는 인쇄회로기판(80)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 인쇄회로기판(80)의 소정위치에 상기 록장치(70)의 돌출부(77)가 접촉되면서 모터구동부(60)의 정/역방향 회전이 정지되고, 상기 록장치(70)가 그의 장공(71a)(71b)의 폭만큼 직선왕복운동함으로써 도어개방 및 로크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수동개폐손잡이(22)는 일측면에 형성된 두개의 돌출봉(23)(24)을 통하여 상기 실내유니트(20)를 관통하면서, 돌출봉(23)은 나사에 의해 상기 록장치(70)의 안내봉(72)에 형성된 고정봉(73)에 고정되고, 돌출봉(24)은 안내봉(72)의 하방에 형성된 홈(74)에 삽입설치되어 사용자가 일방향으로 밀어 상기 록장치(70)를 강제로 작동 또는 해제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35)는 상기 기능설정용버튼(33,34)이 동시에 조작된 경우에는 그에 따른 입력버튼(11-14)에 따른 특정버튼의 입력신호에 따라 자동도어록의 설정 및 해제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입력버튼(11-14)을 사용하여 특정 문자를 입력하는 대신 그 특정 문자로 눌려진 번호를 입력하여도 도어개방 및 도어로크를 수행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개폐장치.
KR1019990009097A 1999-03-18 1999-03-18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KR100291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97A KR100291481B1 (ko) 1999-03-18 1999-03-18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097A KR100291481B1 (ko) 1999-03-18 1999-03-18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24A KR20000060624A (ko) 2000-10-16
KR100291481B1 true KR100291481B1 (ko) 2001-05-15

Family

ID=195768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097A KR100291481B1 (ko) 1999-03-18 1999-03-18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14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72A (ko) * 2001-11-29 2003-06-09 (주)아랑존디 키패드를 간소화한 전자키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44172A (ko) * 2001-11-29 2003-06-09 (주)아랑존디 키패드를 간소화한 전자키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60624A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4522B2 (en) Vending machine lock with motor controlled slide-bar and hook mechanism and electronic access
CN106175007B (zh) 一种具有电子密码锁定装置的手提箱
JP2013530324A (ja) 電子組合せ錠
KR100291481B1 (ko) 다중입력이 가능한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CN207033101U (zh) 一种全电驱动的隐藏按键智能门锁
JP3358859B2 (ja) 電動式ダイアル錠付き金庫
KR20030019544A (ko) 디지털 오토 도어록 장치
JP3113541U (ja) ドアのオートロック装置
KR20090034633A (ko) 캐비닛용 도어락
ES2013079A6 (es) Cerradura electronica de accion temporizada.
KR102278273B1 (ko) 도어상태 표시부가 포함된 디지털 도어록
KR100194901B1 (ko) 전자식 도어 개폐장치
CN209556573U (zh) 全自动伸缩电子面板
KR200363382Y1 (ko) 데드볼트 작동수단
JP2006183270A (ja) 開閉戸用暗証符号錠及び防犯戸システム
CN210828720U (zh) 一种彩票终端机机箱的锁定结构
KR20030019541A (ko) 전자식 도어 록 장치
TWI715243B (zh) 電子輔助鎖
KR100690901B1 (ko) 김치냉장고용 콘트롤패널
KR200182266Y1 (ko) 자동 도어 자물쇠
JP2606464Y2 (ja) ロッカー用暗証標識入力装置
JP2683700B2 (ja) 液晶表示用照明装置
CN207598016U (zh) 智能型伸缩电子面板
JPH01219268A (ja) 保管庫の密室錠
JPS63173473U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