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266Y1 - 자동 도어 자물쇠 - Google Patents

자동 도어 자물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266Y1
KR200182266Y1 KR2019990027189U KR19990027189U KR200182266Y1 KR 200182266 Y1 KR200182266 Y1 KR 200182266Y1 KR 2019990027189 U KR2019990027189 U KR 2019990027189U KR 19990027189 U KR19990027189 U KR 19990027189U KR 200182266 Y1 KR200182266 Y1 KR 2001822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inion
clasp
lock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718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신준
정옥성
Original Assignee
장신준
정옥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신준, 정옥성 filed Critical 장신준
Priority to KR201999002718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2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2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2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5/00Locks in which a sliding latch is used also as a locking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전자식 도어 자물쇠는 도어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외측조작부,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조작부, 이 내측조작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도어틀에 형성된 걸림쇠에 삽탑되도록 된 걸쇠와 이 걸쇠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걸쇠의 일측에는 제 1래크가 형성되고, 이 제 1래크에 치합되어 내측조작부의 내부에 지지되되 중앙에 다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제 1피니언이 장착된다. 그리고 걸쇠의 타측에는 제 2래크가 형성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제 2래크와 치합되어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으로 걸쇠가 작동하도록 하는 제 2피니언이 장착된다. 또한 도어에는 원형 제 1피니언의 중심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형성하여 사용자가 도어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종래에서 처럼 도어 전체를 분리하거나 자물쇠를 완전 파손시키지 않고, 보다 손쉬운 최소한의 작업으로 자물쇠를 수동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유지된 상태에서 전자식 도어 자물쇠의 사용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 도어 자물쇠{An automatic door lock}
본 고안은 자동 도어 자물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밀번호를 입력하여 작동하도록 된 자물쇠에서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때 도어를 완전 분해하거나 자물쇠를 완전히 파손시킴 없이 사용자만이 자물쇠의 수동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자동 도어 자물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도어에는 보안을 위한 목적으로 자물쇠가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근래에는 이러한 자물쇠는 그 보안성을 보다 강화하기 위하여 별도의 키 버튼을 두고, 이 키 버튼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만 도어를 개폐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자물쇠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전자식 자물쇠는 도어의 내측으로 걸쇠 등이 장착된 내측조작부를 형성하고, 도어의 외측에 키 버튼이 배치된 외측조작부를 구현하여 외부에서 도어를 열 때에는 이 키 버튼에 비밀번호를 입력하여야만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고, 내측에서 도어를 개폐할 때는 별도의 스위치로써 간단하게 도어의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자 도어 자물쇠는 비록 보안성이 우수하기는 하지만 사용자가 도어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에는 도어의 개폐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경우 사용자는 도어를 완전히 분해하거나 자물쇠를 분해 내지는 파손시켜야만 하기 때문에 비밀번호의 기억유무에 따라 오히려 사용상의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유발시켰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의 목적은 사용자가 전자식 도어 자물쇠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렸더라도 미리 제공된 사전 정보로써 자물쇠의 외부 수동 작동이 가능하도록 한 전자식 도어 자물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자물쇠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자물쇠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자물쇠의 주요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전자 자물쇠에서의 걸쇠를 보인 확대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도어
20...자물쇠
30...내측조작부
33...케이스
38...제 2피니언
300...걸쇠
310...걸림돌기
340...열림버튼
350...제 1피니언
전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도어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외측조작부,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조작부, 이 내측조작부에 장착되어 도어의 도어틀에 형성된 걸림쇠에 삽탑되도록 된 걸쇠와 이 걸쇠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걸쇠의 일측에는 제 1래크가 형성되고, 이 제 1래크에 치합되어 내측조작부의 내부에 지지되되 중앙에 다각형상의 홈이 형성된 제 1피니언이 장착된다.
그리고 걸쇠의 타측에는 제 2래크가 형성되고,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제 2래크와 치합되어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으로 걸쇠가 작동하도록 하는 제 2피니언이 장착된다. 또한 도어에는 원형 제 1피니언의 중심과 연통하는 연통구를 형성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도어 자물쇠는 도어(10)의 내측에 설치된 내측조작부(30)와 도어(10)의 외측에 설치된 외측조작부(40), 그리고 이 내측조작부(30)와 외측조작부(40)로 외부의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0)를 구비하며, 별도로 내측조작부(30)에는 내부에 소모용 배터리가 장착된다.
이러한 구성에서 먼저 외측조작부(4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외측면에 나사 등으로 결합되는 결합판넬(41)과 이 결합판넬(41) 위에 결합되되 외면에 1 - 0까지의 키 버튼(42)이 장착된 키 패드(43)가 설치되며, 그 외에 다수의 LED 등으로 된 표시부분이 구현된다.
그리고 내측조작부(30)는 사각의 함체 형성되며 도어(10)의 도어틀(11) 측을 향하여 측면으로 개구된 개구홀(31)이 형성되고, 내부에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32)가 장착되며, 이 구동모터(32)로 배터리의 동력을 전달하도록 함과 동시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배터리 박스(33a)가 구비된 케이스(33)를 구비한다.
또한 이 구동모터(32)에 의하여 구동하며 케이스(33)의 개구홀(31) 측으로 돌출하도록 된 두 개의 걸림돌기(310)가 형성된 걸쇠(300)가 내부에 측방향으로 전, 후진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리고 실내에서의 자물쇠(20)의 작동을 위하여 직접적으로 구동모터(32)를 정역 회전시키도록 하는 열림버튼(34)과 닫힘버튼(35)이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케이스(33)의 일면을 덮는 덮개(37)가 내부에 제어를 위한 인쇄회로기판이 장착되어 구비된다.
한편, 걸쇠(3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Y'자 형상으로 형성되는데. 전술한 바와 같이 두 개의 걸림돌기(310)를 구비하고, 이 걸림돌기(310)로부터 연장되어 구동모터(32)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된 작동부(320)를 형성하고 있다.
이 작동부(320)의 구동모터(32)와 인접한 부분의 면상에는 구동모터(32)의 회전축(32a)에 결합된 제 2피니언(38)과 치합되도록 된 제 2래크(330)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래크(330)의 반대편의 면상에는 제 1래크(34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제 1래크(340)에 치합되는 제 1피니언(350)이 전술한 열림버튼(34)과 닫힘버튼(35) 사이를 서로 결합하는 지지부(36)에 지지되어 장착되어 있으며, 이 제 1피니언(350)으로는 별도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되어 있지 않는데. 이것은 외부로부터 도어(10)를 관통하여 삽입된 치구가 이 제 1피니언(350)의 중심에 형성된 각진 홈(360)에 끼워짐으로써 걸쇠(300)가 수동으로 작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에는 제 1피니언(350)의 홈(360)과 연통하는 별도의 연통홀(12)을 형성하여 제 1피니언(350)의 작동시킬 때 도어(10)에 별도의 연통홀(12)을 형성하지 않고도 제 1피니언(350)의 홈(360)으로 치구가 삽입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원공급부(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적인 커넥터(51)와 와이어(52)로 구현하여 내측조작부(30)에 접속되어 설치되며, 특히 와이어(52)는 나선형으로 꼬여서 탄성력을 발휘하도록 구현할 수 있고, 도어틀(11)에는 내측조작부(30)의 걸쇠(300)가 작동시 걸리게 되는 걸림쇠(13)가 설치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도어 자물쇠의 작동상태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작동상태의 설명은 먼저 외부에서 자물쇠를 작동시킬 때와 내부에서 자물쇠를 작동시킬 때 그리고 외부에서 강제로 자물쇠를 작동시킬 때를 나누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에서 도어(10)를 작동시킬 때에는 사용자가 도어(10)의 자물쇠(20)가 잠긴 상태로 외출한 후 귀가 시 사용된다. 이때에는 먼저 사용자는 외측조작부(40)의 키 패드(43)에 장착된 키 버튼(42)에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그리고 이 입력된 비밀번호가 맞으면 자물쇠(20)의 구동모터(32)가 작동하여 걸쇠(300)가 도어틀(11)의 걸림쇠(13)에 걸린 상태에서 내측조작부(30) 내부로 복귀하게 되는데, 이때의 작동은 구동모터(32)의 구동으로 제 2피니언(38)이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 회전으로 걸쇠(300)의 제 2래크(330)가 제 2피니언(38)의 회전방향으로 따라 동력이 걸쇠(300)로 전달되어 걸쇠(300)를 구동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다음으로 내부에서 조작할 때에는 사용자가 도어(10)를 닫을 때 내측조작부(30)에 마련된 닫힘버튼(35)을 누르면 구동모터(32)는 타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피니언(38)을 통하여 제 2래크(330)로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걸쇠(300)가 외측으로 돌출함으로써 걸쇠(300)의 걸림돌기(310)가 도어틀(11)의 걸림쇠(13)에 끼워짐으로써 도어(10)의 닫힘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실내에서 사용자가 도어(10)를 열 때에는 열림버튼(34)을 누름에 따라 구동모터(32)가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 2피니언(38)을 통하여 제 2래크(330)에 타방향으로의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걸쇠(300)가 내측으로 복원하여 도어의 열림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외부에서 도어(10)를 열 때, 사용자가 자물쇠(20)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때를 위하여 최초 제품의 장착시 제품의 조작 매뉴얼을 사용자에게 보급할 때 제 1피니언(350)이 장착된 정확한 위치가 안내된 매뉴얼을 사용자에게 배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 매뉴얼에 지시된 상태에 따라 먼저 외측조작부(40)의 키 패드(43)를 분리하거나 또는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치구로써 그 정확한 위치를 찾아 치구로 도어(10)를 통하여 관통시키게 되면 치구는 도어(10)를 관통하여 내측조작부(30)의 제 1피니언(350)의 홈(360)에 정확히 끼워지게 된다.
그리고 치구가 끼워진 상태에서 치구를 회전시키면 걸쇠(300)는 복원동작하게 되어 도어(10)의 열림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런데. 만약 사용자가 이러한 매뉴얼을 미리 소지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서비스 업체에서 이러한 제품종류에 맞는 매뉴얼을 구비한 상태에서 서비스 방문하여 이 매뉴얼에 맞게 수동 조작시키면 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자물쇠(20)는 외부의 수동조작시 외관으로는 전혀 표시가 나지 않도록 하며, 또한 각 제품마다 그 위치를 변화시켜 보안상태의 안정성을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수동조작후 부분적으로 파손된 상태의 외측조작부(40)는 그 파손된 부분만 교체하게 되면 최초 상태의 외관과 구동상태의 유지가 가능하게 되어 저렴한 수리비용으로 지속적인 작동상태를 확보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완전히 망각한 상태에서 도어전체를 분해하거나 자물쇠를 완전 분해 파손시킬 필요 없이 최소한의 작업으로 도어의 수동개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전자식 도어 자물쇠는 사용자가 도어의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못하는 경우 종래에서처럼 도어 전체를 분리하거나 자물쇠를 완전 파손시키지 않고, 보다 손쉬운 최소한의 작업으로 자물쇠를 수동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안이 유지된 상태에서 전자식 도어 자물쇠의 사용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도어의 외측면에 위치하는 외측조작부, 상기 도어의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조작부, 상기 내측조작부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의 도어틀에 형성된 걸림쇠에 삽탑되도록 된 걸쇠, 상기 걸쇠를 구동시키는 구동모터를 구비한 전자식 도어 자물쇠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일측에는 제 1래크가 형성되고, 상기 제 1래크에 치합되어 상기 내측조작부의 내부에 설치되되 중앙에 홈이 형성된 제 1피니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 자물쇠.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걸쇠의 타측에는 제 2래크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는 상기 제 2래크와 치합되어 상기 구동모터의 정역회전으로 상기 걸쇠가 작동하도록 하는 제 2피니언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 자물쇠.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피니언의 홈은 다각형상으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 자물쇠.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에는 상기 제 1피니언의 중심과 연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도어 자물쇠.
KR2019990027189U 1999-12-06 1999-12-06 자동 도어 자물쇠 KR2001822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189U KR200182266Y1 (ko) 1999-12-06 1999-12-06 자동 도어 자물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7189U KR200182266Y1 (ko) 1999-12-06 1999-12-06 자동 도어 자물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266Y1 true KR200182266Y1 (ko) 2000-05-15

Family

ID=195998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7189U KR200182266Y1 (ko) 1999-12-06 1999-12-06 자동 도어 자물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26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37B1 (ko) * 2007-09-17 2009-03-16 정화수 휴대용 전자자물쇠의 로커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9137B1 (ko) * 2007-09-17 2009-03-16 정화수 휴대용 전자자물쇠의 로커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9271771B2 (en) Electronic key storage case
EP2902571B1 (en) Key cylinder for electronic locking device
CA2045831A1 (en) Door closure assembly
CN104481280A (zh) 一种双电机结构的电子锁
CN108266066B (zh) 一种新型电子储物柜锁
KR101160629B1 (ko) 사물함에 설치되는 손잡이 일체형 전자식 록킹장치
DE59913014D1 (de) Elektromechanisches Schliesssystem
KR100920199B1 (ko) 도어용 잠금장치
JPH02186080A (ja) 電動式施錠装置
LU100905B1 (en) Changing a State of a Lock
KR200182266Y1 (ko) 자동 도어 자물쇠
KR100535243B1 (ko) 도어 잠금장치
US11536052B2 (en) Electronic storage cabinet lock
CN207673141U (zh) 多开式指纹锁
CN204081803U (zh) 翻斗式保险箱面板装置
CN208122555U (zh) 一种新型电子储物柜锁
KR101955317B1 (ko) 주키 기능 핸들리스 디지털 도어록의 래치볼트 홀딩 장치
KR200407876Y1 (ko) 전자식 도어록의 잠금장치
CN218970892U (zh) 一种具有电子标识功能的智能柜门锁
JP3219824U (ja) 扉開閉装置
CN216866286U (zh) 一种自适应智能锁
CN218894515U (zh) 一种便于更换电池且结构紧凑的机械电子锁
KR200363944Y1 (ko)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KR200316170Y1 (ko) 전자식 도어 잠금 장치의 구조
CN215255224U (zh) 把手组件、门组件和储物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