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3944Y1 -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 Google Patents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3944Y1
KR200363944Y1 KR20-2004-0017802U KR20040017802U KR200363944Y1 KR 200363944 Y1 KR200363944 Y1 KR 200363944Y1 KR 20040017802 U KR20040017802 U KR 20040017802U KR 200363944 Y1 KR200363944 Y1 KR 20036394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
lock
digital door
manual lever
door l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178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석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레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레보
Priority to KR20-2004-00178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3944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394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3944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00Knobs or handles for wings; Knobs, handles, or press buttons for locks or latches on wings
    • E05B1/0007Knob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Landscapes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에서 열림/잠김 버튼과 수동 레버를 하나의 구조체 내에 포함하고 있는 열림/잠김 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락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레버와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 또는 괘정시키기 위한 열림/잠김 버튼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의하면, 열림/잠김 버튼과 수동 레버 기능을 하나의 키버튼 구조체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평상시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수동 레버를 숨겨서 구성함으로써 내측 조작부에 설치되는 키버튼의 숫자를 줄일 수 있으므로 내측 조작부 및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지며, 미관상 깨끗하게 보이는 효과도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Structure for Open/Close Knob for Use in Digital Door-Lock}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에서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디지털 도어락에서 열림/잠김 버튼과 수동 레버를 하나의 구조체 내에 포함하고 있는 열림/잠김 노브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정이나 회사 및 상점에서는 방범과 보안을 위하여 기계식 도어락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범죄자들의 수법이 고도화되어 기계식 도어락의 안전성이 위협을 받게 됨에 따라 편리성과 보안성이 뛰어난 디지털 도어락으로 교체되는 경향이 있다.
디지털 도어락은 문의 안쪽과 바깥쪽에 설치되는데, 사용자가 밖에서 숫자 버튼을 통한 비밀 번호 입력 방식이나 전자키 또는 출입 카드 등을 통하여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문의 바깥쪽에 설치되는 부분을 외측 조작부, 문의 안쪽에서 열림/잠김 버튼이나 수동 레버를 통하여 문을 여닫을 수 있도록 문의 안쪽에 설치되는부분을 내측 조작부라고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을 내부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도어락 내측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어락의 내측 조작부는 크게 건전지 덮개(110), 열림/잠김 버튼(120), 강제 잠금 버튼(130), 수동 레버(150) 및 내측 레버(미도시) 등으로 구성되며, 수동 레버(150)가 오작동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수동 레버(150) 위에 덮어 씌워지는 보호용 커버(140)를 추가로 포함한다.
열림/잠김 버튼(120)은 내부에서 문을 개폐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버튼으로서,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디지털 도어락 장치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 모터가 작동하여 내부 기어를 작동시킴으로써 데드 볼트(160)가 해정되거나 돌출되어 문의 개폐가 이루어진다. 문이 열린 상태에서 열림/잠김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문이 잠기며, 문이 잠긴 상태에서 열림/잠김 버튼(120)을 누르면 문이 열리게 된다.
강제 잠금 버튼(130)을 사용자가 내부에서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외부에서 외측 조작부의 숫자 버튼을 통한 비밀 번호 입력, 전자키나 출입 카드를 통한 조작 시에도 문은 열리지 않게 된다. 또한 내부에서도 자동이나 수동으로의 어떠한 동작도 이루어지지 않고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수동 레버(150)는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120)을 통한 문의 개폐가 아닌 수동으로 문을 개폐시키기 위한 레버로서, 내부의 건전지가 모두 소모되어 자동 개폐가 불가능한 경우나, 외부에서 전자키나 출입 카드를 이용하여 외부 강제 잠금기능을 설정하여 내부에서의 버튼 작동이 불가능한 경우에 문을 열기 위하여 사용되는 레버이다.
보호용 커버(140)는 투명하거나 반투명한 재질을 이용하여 수동 레버와 같은 모양으로 만들어져 수동 레버(150) 위에 씌워져, 침입 장비를 이용한 무단 침입을 방지하거나, 사용자의 오작동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디지털 도어락에서의 해정 및 괘정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도이다.
디지털 도어락의 내부에는 디지털 도어락 전체의 동작을 제어하는 CPU가 포함되어 있는 기판(210)이 있으며, 기판(210)에는 텍 스위치(Tact Switch)(212) 및 슬라이드 스위치(214)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기판(210)은 구동 모터(220)와 연결되어 CPU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모터(220)를 구동시켜 데드 볼트(160)를 해정 및 괘정시키는 역할을 한다.
텍 스위치(212)는 기판(210)에 부착되어 있으며, 열림/잠김 버튼(120)과 미세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있다.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120)을 누르게 되면, 열림/잠김 버튼(120)이 기판(210)위에 설치된 텍 스위치(212)를 누르게 되고, 텍 스위치(212)는 열림/잠김 버튼(120)이 눌러졌음을 알리는 신호를 디지털 도어락의 CPU로 전송하고, CPU는 제어 신호를 구동 모터(220)로 전송한다. 열림/잠김 버튼(120)은 텍 스위치(212)를 누르고 난 후, 스프링(216)에 의해 다시 원래의 위치로 돌아가게 된다.
슬라이드 스위치(214)는 기판(210) 위에 부착되어 있으며, 강제 잠금 버튼(130)과 연결되어 있다. 사용자가 강제 잠금 버튼(130)을 Lock 또는 Unlock으로 설정하면, 연결되어 있는 슬라이드 스위치(214)가 좌측 또는 우측 방향으로 움직여서 CPU로 Lock 또는 Unlock 신호를 전송한다. CPU에서는 전송되는 신호에 따라 디지털 도어락을 잠금 상태로 전환하거나, 잠금 상태로부터 해제시키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전송한다.
구동 모터(220)는 기판(210)과 연결되어 있으며, CPU에서 기판(220)을 통해 전송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작동을 한다. 사용자에 의해 열림/잠김 버튼(120)이 눌러져서 CPU에서 Open 명령이나 Close 명령이 전송되면, 구동 모터(220)가 회전을 하게 되고, 구동 모터(220)와 연결되어 있는 수평 베벨 기어(230)도 구동 모터(220)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게 된다. 수평 베벨 기어(230)의 회전에 따라, 수평 베벨 기어(230)와 90°의 각을 가지고 맞물려 있는 수직 베벨 기어(240)도 회전하며, 수직 베벨 기어(240)의 회전에 따라 하부 회전축(250) 및 상부 회전축(260)도 회전을 한다.
하부 회전축(250)은 래치 조립체의 회동체(270)와 연결되어 있으며, 회동체(270)가 회전함에 따라 데드 볼트(160)가 돌출되거나 삽입되어 문이 해정되거나 괘정된다.
또한, 하부 회전축(250) 및 상부 회전축(260)은 수동 레버(150)와도 연결되어 있어서, 사용자가 수동 레버(150)를 회전시키면 상부 회전축(260) 및 하부 회전축(250)이 회전하게 되고, 따라서 회동체(260)도 회전되어 데드 볼트(160)가 돌출되거나 삽입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문이 해정되거나 괘정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도어락의 내측부에 열림/잠김 버튼(120), 강제 잠금 버튼(130), 수동 레버(150) 및 보호용 커버(140) 등의 다양한 조작부를 보유해야 하므로, 내측 조작부의 면적이 넓어지게 되고 따라서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적인 크기 또한 커지게 된다.
특히, 수동 레버(150)는 비상시를 제외하고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버튼임에도 불구하고 내측 조작부에서 많은 면적을 차지하므로, 수동 레버(150)를 숨겨서 구성하거나 그 부피를 줄임으로써, 내측 조작부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에서 열림/잠김 버튼 기능과 수동 레버 기능을 모두 포함하여 내측 조작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열림/잠김 노브 구조를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을 내부에서 작동시키기 위한 도어락 내측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통상적인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도,
도 3a 및 도 3b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 및 결합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를 장착한 디지털 도어락의 내측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를 장착한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건전지 덮개 120 : 열림/잠김 버튼
130 : 강제 잠금 버튼 140 : 수동 레버 보호용 커버
150 : 수동 레버 210 : 기판
212 : 텍 스위치 214 : 슬라이드 스위치
216 : 스프링 220 : 구동 모터
230 : 수평 베벨 기어 240 : 수직 베벨 기어
250 : 하부 회전축 260 : 상부 회전축
270 : 회동체 280 : 비상 해정 장치
290 : 비상 해정 장치 수용부 310 : 보호용 커버
320 : 열림/잠김 버튼 322 : 스위치 가압부
330 : 노브 스프링 340 : 수동 레버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은,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에 있어서, 디지털 도어락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레버와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 또는 괘정시키기 위한 열림/잠김 버튼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의 분해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다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는 보호용 커버(310), 열림/잠김 버튼, 스위치 가압부(322), 노브 스프링(330), 수동 레버(340), 텍 스위치(212), 상부 회전축(260) 및 하부 회전축(250)을 포함한다.
래치 조립체의 회동체(270)와 연결되는 하부 회전축(250)은 기판(250)에 연결되어 있으며, 기판(250)과 하부 회전축(250) 사이에는 상부 회전축(260)이 위치하고 있다.
상부 회전축(260)은 수동 레버(340)와 연결되어 있어 사용자가 수동 레버(340)를 손으로 돌려서 디지털 도어락을 제어하는 경우 하부 회전축(250)으로 그 힘을 전달한다. 수동 레버(340)는 원판에 손잡이 용도의 크로스 바가 있는 종래의 모양과는 달리, 손으로 수동 레버(340)를 쉽게 돌릴 수 있도록 양쪽으로 돌출된 부위를 가지고 있는 원판 모양이다. 또한, 열림/잠김 버튼(320)의 스위치 가압부(322)가 통과될 수 있도록 아래쪽에 'U'자 형으로 구멍이 생성되어 있다. 이것은 사용자가 수동 레버(340)를 회전시켜 문을 여는 경우, 수동 레버(340)는 회전하지만 열림/잠김 버튼(320)은 회전하지 않으므로, 열림/잠김 버튼(320)으로부터 돌출된 스위치 가압부(322)의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고정되어 있는 스위치 가압부(322)의 방해를 받지 않고 수동 레버(340)를 돌리기 위하여, 수동 레버(340)에는 'U'자 형의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한다.
또한, 수동 레버(340)의 중앙부에는 원형의 구멍이 천공되어 있는데, 이 구멍에는 노브 스프링(330)이 삽입된다. 노브 스프링(330)은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320)을 이용하여 텍 스위치(212)를 누르고 나면, 열림/잠김 버튼(320)을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열림/잠김 버튼(320)은 수동 레버(340)의 위에 놓여지며, 수동 레버(340)와의 사이에 노브 스프링(330)을 포함한다. 또한 열림/잠김 버튼(320)은 아래쪽에 돌출된 스위치 가압부(322)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320)을 누르면 스위치 가압부(322)가 기판(210) 위에 부착되어 있는 텍 스위치(212)를 누르게 된다.
그리고, 수동 레버(340)를 오작동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보호용 커버(310)가 씌워진다. 보호용 커버(310)는 종래의 수동 레버 보호용 커버(140)와는 달리 가운데가 원형으로 뚫려 있어서, 사용자는 원형으로 뚫린 부분을 통하여 열림/잠김 버튼(320)을 누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비상시에는 보호용 커버(310)를 제거하고 수동 레버(340)를 조작해야 하므로, 보호용 커버(310)는 필요시 제거가 용이하도록 분리를 위한 버튼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의 편의를 위하여 버튼을 2개로 만들고, 양쪽에 위치한 2개의 버튼을 동시에 누르면 보호용 커버(310)가 벗겨지도록 하며, 공급 업체에 따라서 버튼의 숫자를 1개로 하거나 4개로 늘리는 등 다양하게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보호용 커버(310)와 디지털 도어락과의 연결 형태를 버튼 형식이 아닌 요철식이나 회전식 등의 다양한 형태로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와 같이 도 3a에 따라서 각 구성 요소를 결합하면, 도 3b와 같은 형태를 이루어 디지털 도어락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를 장착한 디지털 도어락의 내측 조작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는 종래의 디지털 도어락의 수동 레버(150)의 위치에 설치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는 그 자체에 열림/잠김 버튼(320)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의 위쪽 부분에는 강제 잠금 버튼(130)만이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열림/잠김 버튼(120)이 차지하고 있던 공간만큼 도어락의 내측 조작부에 여유가 생기게 되어 해당되는 공간만큼 내측 조작부의 크기를 줄일 수 있게 된다.
도 5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를 장착한 디지털 도어락의 측면 단면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를 장착한 디지털 도어락에서는 열림/잠김 버튼의 위치가 중앙의 회전축과 동일 선상으로 옮겨짐에 따라 텍 스위치(212)의 위치도 회전축 근처로 옮겨진다. 또한, 열림/잠김 버튼(320)의 스위치 가압부(322)는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320)을 누르면 텍 스위치(212)를 누를 수 있도록, 텍 스위치(212)와 미세한 공간을 두고 떨어져 있다.
그리고, 수동 레버(340)는 열림/잠김 버튼(320)의 주위를 둘러싸고 있으며, 하부 회전축(250) 및 상부 회전축(260)과 연결되어 있다. 또한, 보호용 커버(310)는 열림/잠김 버튼 구조체 전부를 덮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320)을 수월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수동 레버(340)만을 덮고 있다.
사용자가 열림/잠김 버튼(320)을 누르게 되면, 스위치 가압부(322)가 텍 스위치(212)를 누르고, 텍 스위치(212)는 기판(210)을 통해서 구동 모터(220)를 작동시켜 수평 베벨 기어(230), 수직 베벨 기어(240)를 통하여 상부 회전축(260) 및 하부 회전축(250)을 회전시킨다. 하부 회전축(250)은 래치 조립체의 회동체(270)와 연결되어 있으며, 회동체(270)의 회전에 따라 데드 볼트(160)가 돌출되거나 삽입되어 문을 해정하거나 괘정하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고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에 개시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의 범위는 실용신안 등록 청구 범위에 기재된 범주내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열림/잠김 버튼과 수동 레버 기능을 하나의 키버튼 구조체로 통합하는 것이 가능하여, 평상시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 수동 레버를 숨겨서 구성함으로써 내측 조작부에 설치되는 키버튼의 숫자를 줄일 수 있으므로 내측 조작부 및 디지털 도어락의 전체적인 크기를 줄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불필요한 수동 레버가 숨겨져 구성됨에 따라 미관상 깨끗하게 보이는 효과도 있다.

Claims (7)

  1.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수동으로 제어하기 위한 수동 레버와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 또는 괘정시키기 위한 열림/잠김 버튼이 일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잠김 버튼은,
    상기 수동 레버의 상측에 놓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레버와 상기 열림/잠김 버튼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디지털 도어락을 해정 또는 괘정하기 위하여 눌러진 상기 열림/잠김 버튼을 원래의 위치로 복귀시키기 위한 노브 스프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림/잠김 노브 구조는,
    상기 수동 레버가 불순한 목적을 가지고 침투하려는 자에 의해 강제 조작되거나, 오작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용 커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레버는,
    상기 노브 스프링을 삽입할 수 있도록 중앙부에 원형의 구멍이 뚫려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레버는,
    상기 사용자가 손으로 쉽게 돌릴 수 있도록 둘 이상의 돌출부를 지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레버는,
    상기 열림/잠김 버튼의 상기 스위치 가압부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KR20-2004-0017802U 2004-06-23 2004-06-23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KR20036394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802U KR200363944Y1 (ko) 2004-06-23 2004-06-23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17802U KR200363944Y1 (ko) 2004-06-23 2004-06-23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3944Y1 true KR200363944Y1 (ko) 2004-10-11

Family

ID=49438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17802U KR200363944Y1 (ko) 2004-06-23 2004-06-23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3944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38Y1 (ko) 2008-04-08 2010-03-18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200488917Y1 (ko) * 2018-03-27 2019-04-05 (주)혜강씨큐리티 개폐 상태 표시기를 겸한 디지털 도어록의 수동 개폐버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8138Y1 (ko) 2008-04-08 2010-03-18 주식회사 아이레보 이중잠금 기능을 구비한 도어락 장치
KR200488917Y1 (ko) * 2018-03-27 2019-04-05 (주)혜강씨큐리티 개폐 상태 표시기를 겸한 디지털 도어록의 수동 개폐버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38445B2 (en) Mortise lock status indicator
US6116066A (en) Electronic input and dial entry lock
US8419083B2 (en) Electromechanical locks and latching arrangements
US5845523A (en) Electronic input and dial entry lock
WO2002025039A2 (en) Combination lock handle
US11643845B2 (en) Locking assembly with spring mechanism
JP2013509516A (ja) 二重ロック機構を有する金庫
US20020166354A1 (en) Dual cylinder deadbolt adjunct
TWI698366B (zh) 旋轉式鎖具
US6598439B1 (en) Lock-and-alarm assembly
US20060112747A1 (en) Energy storing electronic lock
KR101142425B1 (ko) 도어록 해정장치
KR200423328Y1 (ko) 패 닉 기능이 내장된 모 티 스 장치
KR200363944Y1 (ko) 디지털 도어락의 열림/잠김 노브 구조
US20080216531A1 (en) Locking apparatus
KR20090090025A (ko) 이중잠금 핸들을 구비한 축소형 디지털 도어록
KR102203195B1 (ko) 실내 해정식 디지털 도어락
JP3099000U (ja) 電子錠
GB2297354A (en) An electronic combination lock having a dial-shaped handle with a keypad
KR101242164B1 (ko) 도어 잠금장치
KR100263981B1 (ko) 도어 잠금 장치
KR200346800Y1 (ko) 도어락에서의 수동 레버 보호용 커버
CN117988626A (zh) 门锁
JP4011003B2 (ja) 施錠装置
KR20090013145U (ko) 도어락의 수동노브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3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