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131B1 - 물품 반송설비 - Google Patents
물품 반송설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1131B1 KR100191131B1 KR1019980037175A KR19980037175A KR100191131B1 KR 100191131 B1 KR100191131 B1 KR 100191131B1 KR 1019980037175 A KR1019980037175 A KR 1019980037175A KR 19980037175 A KR19980037175 A KR 19980037175A KR 100191131 B1 KR100191131 B1 KR 1001911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tation
- power
- transfer
- article
- control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5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rollers i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00/00—Type of vehicles
- B60L2200/36—Vehicles designed to transport cargo, e.g. tru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10/00—Converter types
- B60L2210/40—DC to AC conver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4—Detection means
- B65G2203/042—Senso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2—Central control devic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11—Other article loading or unload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어서 이송하는장치〔이재(移載)장치〕를 갖춘 스테이션의 증설이나 이동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것으로, 탑재한 축전부(15)의 전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반송차(A)와, 상기 반송차(A)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재하기 위한 이재장치(21)를 갖춤과 동시에, 상기 이재장치(21)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받아드리는 수전부(22)를 가지는 스테이션(S)과, 상기 반송차(A)는, 상기 축전부(15)의 전력을 상기 수전부(22)에 공급하는 전력 공급수단(12,17, 18,19)을 갖춘다. 따라서, 스테이션과 반송차 사이에서의 하물 이재확인 통신을 반송차에 탑재한 축전부의 전력에 의해서 구동할 수가 있으므로, 이 통신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또는 배관을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재장치를 갖춘 스테이션을 한층 더 간단하게 증설 또는 이동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물품 반송설비에 관한 것이며, 상세히는, 탑재한 축전부의 전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반송차와, 그 반송차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실어서 이송하기 위한 장치(이하, 이재장치라 함)를 갖춘 스테이션이 형성된 물품 반송설비에 관한 것이다.
물품을 실어서 이송하기 위한 이재(移載)장치를 갖춘 스테이션을 반송차의 주행라인 옆 측면부에 위치하는 상태로 설치함에 있어서, 상기 이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할 필요가 있었다. 이 때문에, 종래에는 이 전력공급을 위한 배선 또는 배관을, 각 스테이션마다 행하고 있었다(예로서, 실개소 63-169221 호 참조).
그러나, 스테이션을 가령, 조립라인에 대한 각종 물품의 공급용 스테이션이나 반출용 스테이션으로서 사용하는 경우 등에 있어서는, 조립라인의 라인구성 변경에 따라서, 스테이션을 증설하거나, 이미 설치된 스테이션을 이동시키는 등의 필요가 생기는 일이 있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기술은, 스테이션을 갖춘 이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또는 배관을 각 스테이션마다 하여야 하므로, 스테이션의 증설이나 이동을 간단하게는 할 수 없다는 불리한 점이 있어,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재장치를 갖춘 스테이션의 증설이나 이동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반송설비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제 1 도는 물품 반송설비의 구조 설명도
제 2 도는 물품 반송설비의 배치도
제 3 도는 플로우챠트
제 4 도는 다른 실시예의 반송차와 스테이션의 구체적 구성을 도시하는 블록도
제 5 도는 제 4 도의 스테이션전원 회로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물품 반송설비의 일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구동바퀴 2 : 종동바퀴
3 : 주행용 모터 4 : 조향용 모터
5,15 : 축전부 6 : 정류장치
8 : 변압기 9 : 교류변환 장치
10,19,20 : 모터 11,21 : 이재장치
11a,21a : 로울러 콘베이어 11b,11c,21b,21c : 검출스위치
12 : 코넥터, 전기공급부 13 : 센서
14,24 : 광 통신장치 16,25 : 제어장치
17 : 아암 18 : 피니온
22 : 수전부 23 : 반사판
30 : 스위치 조작부재 31 : 조작부
32 : 자기 유지회로 A : 반송차
B : 작동장치 D : 물품
E : 리미트 스위치 F : 스위치 조작수단
L : 주행라인, 유도라인 S : 스테이션
R1∼R3 : 제 1 ∼ 제 3 릴레이
r1∼r3 : 제 1 ∼ 제 3 릴레이 스위치
상기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설비의 특징 구성은,
탑재한 축전부의 전력에 의해서 구동되는 반송차와, 그 반송차와의 사이에서 물품을 이재하기 위한 이재장치를 갖춘 스테이션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에, 상기 이재장치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받아드리는 수전부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차에, 상기 축전부의 전력을 상기 수전부에 공급하는 전력공급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반송차와 스테이션 사이에서 물품의 이재를 하는 경우, 축전부를 탑재한 반송차는, 그 축전부의 전력에 의해서 주행하며, 스테이션에 대해서 소정위치에 정지한다. 그리고, 이 반송차는, 반송차에 형성된 전력공급 수단에 의해서 스테이션에 설치된 수전부에 접속되어, 반송차에 탑재된 축전부의 전력을 공급하며, 이 전력에 의해서 스테이션의 이재장치를 구동시켜, 물품의 이재를 행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스테이션에 갖춘 이재장치를 반송차에 탑재한 축전부의 전력에 의해서 구동할 수가 있으므로, 이재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또는 배관을, 각 스테이션마다에 시설에 필요가 없어, 따라서, 이재장치를 갖춘 스테이션을 간단하게 증설 또는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을, 상기 스테이션에, 화물 이적확인정보를 상기 반송차에 비치시킨 반송차측 통신장치와의 사이에서 통신하기 위한 스테이션측 통신장치가, 상기 수전부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도록 형성되어 있게 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며, 반송차로부터 공급한 전력에 의해서, 스테이션측 통신장치를 구동시켜, 스테이션과 반송차와의 사이에서 화물 이재 확인정보의 통신을 할 수가 있다. 즉 스테이션 및 반송차에서의 물품의 재치상태 정보를, 스테이션과 반송차와의 사이에서 서로 통신하여, 이 통신정보에 의거해서 스테이션과 반송차와의 사이에서 이재 동작 개시 및 종료를 지령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스테이션과 반송차 사이에서의 화물 이재확인 통신을 반송차에 탑재한 축전부의 전력에 의해서 구동할 수가 있으므로, 이 통신용 전력을 공급하는 배선 또는 배관을 할 필요가 없고, 따라서, 이재장치를 갖춘 스테이션을 한층 더 간단하게 증설 또는 이동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을 아래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여러 개의 스테이션 사이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차가 준비되고, 상기 스테이션에 상기 반송차와의 사이에서의 물품 이재를 위한 이재장치와, 그 이재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와,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용 축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스테이션에, 상기 축전부로부터 상기 제어장치로의 통전을 단속시키기 위하여 개폐가 자유로운 스위치가 설치되고, 상기 반송차에, 상기 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의 물품 이재개시에 따라서 상기 스위치 수단을 닫은 상태로, 또한, 물품 이재의 종료와 더불어 상기 스위치수단을 연 상태로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스테이션에 축전부로부터 제어장치로의 통전을 단속시키기 위하여 개폐가 자유로운 스위치 수단이 설치되고, 반송차에는 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의 물품 이재의 개시에 따라서 스위치수단을 닫은 상태로, 또한, 물품 이재의 종료에 따라서 스위치 수단을 연 상태로 조작하는 스위치 조작수단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반송차와 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물품의 이재를 행하는 경우에, 반송차는, 스테이션에 대한 정지위치에 정지하면, 스위치 조작수단에 의해서 스테이션의 스위치 수단을 닫는 조작을 한다. 그와 같이 하면, 스테이션의 스위치수단이 열린 상태로부터 닫힌 상태로 되어, 축전부로부터 제어장치로 통전되도록 되어서, 제어장치는, 구동됨과 동시에 반송차가 스테이션에 대한 정지위치에 정지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가 있다.
그리고, 그 확인에 따라서, 스테이션과 반송차와의 사이에서의 물품 이재가 행하여진다. 그 다음, 물품의 이재가 종료되면, 반송차가 스위치 조작수단에 의해서 스테이션의 스위치수단 개방조작을 행한다. 그와 같이하면, 스테이션의 스위치수단이 닫힌 상태로부터 열린 상태로 되어, 축전부로부터 제어장치로의 통전이 끊어져서 제어장치는 정지된다.
그 결과, 반송차와 스테이션과의 사이에서 물품 이재의 개시에 따라, 축전부로부터 제어장치에 통전되고, 물품의 이재가 종료되면, 축전부로부터 제어장치로의 통전이 끊어지도록 되어 있으므로, 종래 기술과 같이, 미약전류를 계속해서 흘림으로 인한 전력의 손실이 없어진다. 그 결과, 스테이션에서의 전력 절전화를 촉진시켜, 축전부의 소용량화나 충전빈도의 감소화를 도모할 수 있는 물품반송설비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을 아래와 같이 하여도 좋다.
즉, 상기 스위치수단이 열리는 측으로 복귀하도록 힘이 가하여진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조작수단이, 돌출작동에 따라 상기 스위치수단을 닫히는 측으로 누르는 스위치 조작부재와, 그 스위치조작부재를 출퇴조작하는 조작부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하면, 스위치수단이 열리는 측으로 복귀하도록 힘이 가하여진 상태로 설치되고, 스위치 조작수단이 돌출작동에 따라서 스위치 수단을 닫히는 측으로 누르는 스위치 조작부재와, 그 스위치 조작부재를 출퇴조작하는 조작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반송차가 스테이션에 대한 정지위치에서 정한 경우, 스위치 조작부재를 조작부에 의해서 돌출작동시키면, 스위치수단의, 열리는 측에 대한 힘에 대항해서 스위치 수단이 닫히는 측으로 눌려서 닫힌 상태로 유지된다.
또, 스위치 조작부재를 조작부에 의해서, 퇴피(退避) 작동시키면, 스위치수단이 열리는 측에 대한 힘에 의해서 스위치 수단의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그 결과, 스위치 수단으로서, 열리는 측으로 복귀되도록 힘이 가하여진 스위치수단을 사용하여, 조작부에서 출퇴(出退) 조작되는 스위치 조작부재로 스위치수단을 개폐시키는 구성으로 하였으므로, 스위치 조작수단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즉, 예컨대 스위치 수단으로서 회동 조작식의 것을 사용하면, 스위치 조작수단으로서는, 스위치 수단을 잡고서 회동 조작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구성이 복잡하기는 하나, 스위치 조작부재를 출퇴시키면서 스위치수단을 조작하는 구성이므로, 스위치 조작수단 구성의 간소화를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아래와 같이 하여도 좋다.
즉, 상기 스테이션에, 상기 전동장치의 구동 또는 상기 축전부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받아드리는 수전부가 설치되고, 상기 스위치 조작부재에, 이의 돌출작동에 따라서 상기 수전부에 접속되는 전기공급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스테이션에는 전동장치의 구동 또는 축전부의 충전을 위한 전력을 받아드리는 수전부가 설치되고, 스위치 조작부재에는 이의 돌출작동에 따라서 수전부에 접속되는 전기공급부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스위치 조작부재를 돌출 작동시켜서 스테이션의 스위치 수단의 닫힘조작을 함에 따라서, 수전부와 전기공급부가 접속된다. 또, 스위치 조작부재를 퇴피 작동시켜서 스테이션의 스위치수단 열림조작을 함에 따라서, 수전부와 전기공급부가 분리된다.
그 결과, 스위치 조작부재를 돌출작동시켜서 스테이션의 스위치수단 닫힘조작을 함에 따라서, 스테이션의 수전부와 반송차의 전기 공급부가 접속되며, 또 스위치 조작부재를 퇴피 작동시켜서 스테이션의 스위치 수단 열림조작을 함에 따라서, 스테이션의 수전부와 반송차의 전기공급부가 분리되도록, 스위치 조작부재를 전기공급부의 조작부재와 겸용시키고 있으므로, 각각의 조작부재를 설치하는 경우에 비하여, 부품 구성의 간소화나 절전 등 면에서 유리하게 할 수가 있었다.
또, 본 발명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즉, 여러 개의 스테이션 사이를 주행하여 물품을 반송하는 반송차에, 축전부로부터의 전력을 교류로 변환하는 교류 변환장치, 및 전기공급부가 설치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스테이션에, 물품 이재장치, 제어장치, 축전부 및 물품 이재용의 정지위치에 상기 반송차가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전기공급부와 접속되는 수전부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공급부가, 상기 교류변환장치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스테이션의 상기 교류 구동식 물품 이재장치가, 상기 수전부에서 수전된 교류전력으로 구동되도록 상기 수전부에 접속되며, 상기 스테이션에, 상기 제어장치 및 상기 축전부로의 전력공급을 위하여, 상기 수전부에서 수전된 교류전력을 정류하는 정류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되어 있으면, 반송차로부터 스테이션에 공급하는 전력을 교류만으로 된다.
이에 덧붙여, 스테이션에, 직류로부터 교류로 변환하는 교류 변환장치를 설치하여, 반송차로부터 스테이션으로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교류변환장치는 정류장치에 비하여 구조가 복잡하며, 스테이션의 용이화를 도모하는 면에서 불리하게 된다.
본 발명 구성에 의하면, 스테이션에 구조가 간단한 정류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스테이션의 용이화를 도모하는데 유리하면서도, 반송차와 스테이션과의 전기공급부와 수전부에, 교류용 접속단자를 갖추기만 하면 되므로, 반송차로부터 스테이션으로의 전력 공급을 위한 구성의 간소화로, 설비의 저렴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되었다.
(실시예)
본 발명에 관한 물품 반송설비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물품 반송설비는 제 2 도와 같이, 주행면에 형성된 주행라인(L)을 따라서 주행하는 반송차(A)와, 물품(D)을 이재하기 위한 스테이션측 이재장치(21)를 갖춘 여러 개의 스테이션(S)으로 구성되어 있다.
물품의 이재는, 스테이션(S)에 옆쪽으로 붙여 세운 상태로 정지한 반송차(A)와 스테이션(S)과의 사이에서 행한다.
반송차(A)는, 제 1 도와 같이, 물품(D)을 이재하기 위한 반송차측 이재장치(11)와, 전기공급용 코넥터(12)와,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로서 이루어지는 정지위치 확인용 광센서(13)와, 반송차측 광통신장치(14)와, 축전부(15)와, 반송차측 제어장치(16)를 갖추고 있다. 스테이션(S)은, 스테이션측 이재장치(21)와, 반송차(A)로부터의 전력을 받는 수전부(22)와, 반사판(23)과, 스테이션측 광 통신장치(24)와, 스테이션측 제어장치(25)를 갖추고 있다.
반송차(A)에 설치된 전기공급용 코넥터(12)는, 축전부(15)의 전력을, 스테이션(S)에 수전부(22)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전기공급용 코넥터(12)는, 아암(17)의 선단에 장착되어 있으며, 아암(17)은 래크 피니온(18)을 통해서, 모터(19)로 출퇴 구동된다.
즉, 전기공급용 코넥터(12)는 모터(19)를 정회전시켜, 스테이션(S)의 수전부(22)에 접속되기 위해서 접근하며, 모터(19)를 역회전시켜 사이를 벌리기도 한다.
따라서, 상기 전기공급용 코넥터(12), 아암(17), 래크 피니온(18), 및 모터(19)는, 전력 공급수단으로서 기능한다.
반송차측 이재장치(11), 광센서(13), 반송차측 광 통신장치(14), 모터(19) 및 반송차(A)의 주행은, 각각, 축전부(15)의 전력에 의해서 구동되고 있다. 이들 구동은, 반송차측 제어장치(16)로 제어되고 있다.
스테이션측 이재장치(21), 및 스테이션측 광 통신장치(24)는, 수전부(22)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고 있다. 이들 구동은, 스테이션측 제어장치(25)로 제어되고 있다. 그리고, 이 스테이션측 제어장치(25)도 수전부(22)로부터의 전력으로 구동되고 있다.
반송차측 이재장치(11)는, 로울러 콘베이어(11a)와, 그 로울러 콘베이어(11a)를 구동하는 모터(10)에 의해서 구성되고 있다.
스테이션측 이재장치(21)는, 로울러 콘베이어(21a)와, 그 로울러 콘베이어(21a)를 구동하는 모터(20)에 의해서 구성되고 있다.
로울러 콘베이어(11a,21a)는, 물품(D)의 이재방향에 의거한 회전방향에서 회전을 실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반송차(A)로부터 스테이션(S)으로의 이재작업의 경우, 로울러 콘베이어(11a,21a)는 제 1 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정회전)하도록 모터(10,20)를 구동시킨다. 반대로, 스테이션(S)으로부터 반송차(A)로의 이재작업의 경우, 로울러 콘베이어(11a,21a)는,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역회전)하도록, 모터(10,20)를 구동시킨다.
반송차측 이재장치(11)상에 설치된 이재상태 검출스위치(11b,11c)는, 반송차상의 물품(D)의 유무를 검출한다. 스테이션측 이재장치(21)상에 설치된 이재상태 검출스위치(21b,21c)는, 스테이션(S)사의 물품(D)의 유무를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반송차(A)상에 물품(D)이 있으면, 이재상태 검출스위치(11b,11c)의 최소한 어느 일방이 ON 상태가 되어, 스테이션(S)상에 물품(D)이 있으면, 이재상태 검출스위치(21b,21c)의 최소한 어느 일방이 ON 상태가 된다.
그리고, 이재상태 검출스위치(11b,21b)는, 이재작업 종료를 검출하는 이재작업 종료 검출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즉, 반송차(A)로부터 스테이션(S)으로의 이재작업은, 이재상태 검출스위치(21b)가 ON 상태가 될 때까지 행하여지며, 스테이션(S)으로부터 반송차(A)로의 이재작업은, 이재상태 검출스위치(11b)가 ON 상태로 될 때까지 행하여진다.
따라서, 상기 이재상태 검출스위치(11b,11c,21b,21c)의 검출정보는, 반송차(A) 혹은 스테이션(S)에서의 화물 이재확인 정보로서, 상기 반송차측 광 통신장치(14)와 스테이션측 광통신장치(24)와의 사이에서 통신된다.
다음에, 반송차(A)가 스테이션(S)에 정지해서, 반송차(A)상의 물품(D)을 스테이션(S)으로 이재하는 과정을, 제 3 도의 플로우챠아트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반송차(A)는, 스테이션(S)전방의 소정위치에 정지한다.
그리고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서 이루어지는 정지위치 확인용의 광센서(13)와, 스테이션(S)에 갖추어진 반사판(23)에 의해서 소정위치에 정차한 것이 확인된 후, 반송차측 제어장치(16)는 모터(19)를 정회전시켜, 전기공급용 코넥터(12)를 스테이션(S)의 수전부(22)에 접속시키기 위해서 전진시킨다.
그리고, 반송차(A)가 소정 위치에 정지하고 있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반송차(A)를 전후로 이동시켜서 정지위치의 수정을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공급용 코넥터(12)와 수전부(22)가 접속되면, 반송차(A)의 축전부(15)의 전력이 수전부(22)에 공급되고, 이 공급된 전력으로 스테이션측 광통신장치(24) 및 스테이션측 제어장치(25)를 구동시켜, 스테이션측 광 통신 장치(24)로부터 반송차측 광 통신장치(14)에, 접속완료의 신호를 송신한다.
반송차측 제어장치(16)는, 반송차측 광 통신장치(14)가 접속완료의 신호를 수신하면, 모터(19)를 정지시킨다.
그리고, 전기공급용 코넥터(12)와 수전부(22)가 접속되고서 모터(19)가 정지할 때까지의 사이에, 전기공급용 코넥터(12)는 단순 전진하게 되는데, 수전부(22)는 전후 방향에 대해서 탄성지지되고 있어, 이 전기 공급용 코넥터(12)의 전진분을 흡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전기공급용 코넥터(12)에는, 수전부(22)와의 접속이 적정한가 여부를 검출하는 리미트 스위치(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전기공급용 코넥터(12)와 수전부(22)와의 접속이 부적정하면, 이것을 검출한 리미트 스위치의 출력에 의거해서 모터(19)를 역전시켜 전기공급용 코넥터(12)를 후퇴시킨다.
스테이션측 제어장치(25)는, 이재상태 검출스위치(21b와 21c)의 상태(스테이션측 이재장치(21)상의 물품 재치상태)를 반송차측 광 통신장치(14)로 송신한다.
반송차측 제어장치(16)는, 이재상태 검출스위치(21b 와 21c)가 양쪽 모두 OFF 상태에 있음(스테이션측 이재장치(21)상에 물품(D)이 없다)을 확인하고, 다시 이재 상태 검출스위치(11b 또는 11c)가 ON 상태에 있음(반송차측 이재장치(11)상에 물품(D)이 있음)을 확인하면, 로울러 콘베이어(11a)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또한, 반송차측 제어장치(16)는, 스테이션측의 로울러 콘베이어(21a)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키기 위한 지령신호를, 스테이션측 광 통신장치(24)로 송신한다.
스테이션측 제어장치(25)는, 이 지령신호를 수신하면, 로울러 콘베이어(21a)를 정회전 방향으로 구동시킨다.
그 다음, 이재상태 검출스위치(21b)가 ON 상태로 되면, 스테이션측 제어장치(25)는, 이재완료의 신호를 반송차측 광 통신장치(14)로 송신함과 동시에, 로울러 콘베이어(21a)의 구동을 정지시킨다.
이적 완료의 신호를 수신한 반송차측 제어장치(16)는, 로울러 콘베이어(11a)의 구동을 정지시키고, 다시, 모터(19)를 역전시켜 전기공급용 코넥터(12)를 후퇴시킨다.
전기공급용 코넥터(12)의 후퇴가 종료되면, 상기 일련의 이재작업이 종료된다.
그런데, 반송차(A)로부터 스테이션(S)으로 물품(D)을 이재하고자 하는 경우, 이재상태 검출스위치(11b 또는 11c)가 ON 상태에 있지 않으면(반송차측 이재장치(11)상에 물품이 없다), 또는, 이재상태 검출스위치(21b 또는 21c)가 ON 상태에 있으면(스테이션측 이재장치(21)상에 물품(D)이 있다), 반송차(A)로부터 스테이션(S)으로의 이재작업은 할 수 없으므로, 전기공급용 코넥터(12)를 후퇴시켜서, 작업을 종료시킨다.
그리고, 스테이션(S)으로부터 반송차(A)로의 이재작업은, 상술한 반송차(A)로부터 스테이션(S)로의 이재작업의 반대의 동작이 되므로, 그 플로우챠아트 및 그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를 다음과 같이 하여도 좋다.
① 상기 실시예의 반송차(A)는, 주행면에 형성된 주행라인(L)을 따라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반송차(A)에 자이로등의 이동방향 검출장치와 이동차의 이동거리를 검출하는 이동거리 검출장치를 설치하여, 이들 검출장치의 검출정보로부터 이동차의 현재위치를 구함과 동시에, 미리 설정된 코오스를 따라 이동차를 주행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② 상기 실시예에서는 상술하지 않았으나, 주행 노면상에 광반사 테이프나 자기테이프등을 이용한 정지위치정보의 마아크를 형성하고, 이 마아크의 정보에 의해서, 반송차(A)를 소정위치에 정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에 덧붙여, 다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6 도에는, 물품 반송설비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이 물품 반송설비는, 여러 개의 스테이션(S), 주행노면에 형성된 주행라인인 유도라인(L)을 따라서 여러 개의 스테이션(S) 사이를 주행하는 반송차(A)등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다.
제 4 도 도시와 같이, 반송차(A)는, 2개의 구동바퀴(1)와 2개의 종동바퀴(2)에 의해서 주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반송차(A)는, 구동바퀴(1)를 추진 구동시키는 주행용 모터(3)와, 구동바퀴(1)를 조향 구동시키는 조향용 모터(4)와, 스테이션(S)과의 사이에 물품(D)을 이적하는 물품 이재장치(11)와, 발광소자와 수광소자로서 이루어지는 정지위치 확인용의 광 센서(13)와, 스테이션(S)과의 사이에서 물품 이재정보의 교환을 하는 광통신장치(14)와,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16)와, 직류전력을 공급하는 축전부(15)등을 갖춘다.
주행용 모터(3)와, 조향용 모터(4)와, 물품 이재장치(11)는, 교류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교류구동식의 작동장치(C)이므로, 반송차(A)는, 축전부(15)로부터의 직류전원을 교류전원으로 변환하는 교류변환장치(9)를 갖추고 있다. 즉, 교류 구동식의 작동장치(C)에는 교류전력이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션(S)은, 반송차(A)와의 사이에서 물품(D)을 이재하는 교류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와, 반송차(A)와의 사이에서 물품 이재정보의 교환을 하는 광 통신장치(24)와, 이들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장치(25)와, 제어장치(25)의 구동용 축전부(5)와, 그리고 광센서(13)의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광을 반사하는 반사판(23)을 갖추고 있다. 교류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와 광통신장치(24)는, 전력에 의하여 구동하는 전동장치(B)를 구성한다.
반송차(A)측의 물품 이재장치(11)는, 로울러 콘베이어(11a)와, 로울러 콘베이어(11a)를 구동하는 교류용 모터(10)와, 반송차(A)상의 물품(D)의 유무를 검출하는 물품검출스위치(11c)로서 구성되어 있다. 스테이션(S)측의 교류 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는, 로울러 콘베이어(21a)와, 로울러 콘베이어(21a)를 구동하는 교류용 모터(20)와, 스테이션(S)상의 물품(D)유무를 검출하는 물품검출스위치(21c)로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물품검출스위치(11c,21c)는, 물품(D)의 이재완료를 검출하는 이재완료 검출수단으로서도 기능한다.
즉, 제 4 도에서, 반송차(A)로부터 스테이션(S)으로 물품(D)을 이재하는 경우, 로울러 콘베이어(11a,21a)는 물품검출스위치(21c)가 물품(D)을 검출할 때까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스테이션(S)으로부터 반송차(A)에 물품(D)을 이재하는 경우, 로울러 콘베이어(11a,21a)는 이재상태 검출스위치(11c)가 물품(D)을 검출할 때까지 반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제 4 도 및 제 5 도 도시와 같이, 스테이션(S)의 교류 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와 직류 구동식 작동장치(B)는, 반송차(A)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구동된다. 스테이션(S)의 축전부(5)는, 반송차(A)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서 충전된다.
상술하면, 반송차(A)에는, 교류변환장치(9)에 의해서 직류로부터 교류로 변환된 축전부(15)로부터의 전력을, 스테이션(S)에 공급하는 전기공급부(12)가 설치되어 있다. 또, 스테이션(S)에는, 반송차(A)의 전기공급부(12)와의 접속에 의해서 반송차(A)로부터의 교류전력을 수전하는 수전부(22)와, 이 수전부(22)로부터의 교류전력 일부를 변압하는 변압기(8)와, 이 변압기(8)로부터의 교류전력을 직류로 정류하는 정류장치(6)가 설치되어 이다.
그리고, 반송차(A)의 전기공급부(12)와 스테이션(S)의 수전부(22)가 접속되며, 반송차(A)로부터의 교류전력은 스테이션(S)내에서 분기되어, 일방은 그대로 스테이션(S)의 교류 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로 공급되고, 타 일방은 변압기(8) 및 정류장치(6)를 통해서 직류로 변환된 후에 직류 구동식 작동장치(B)나 축전부(5)에 공급되도록 되어 있다.
상기 스테이션(S)에는, 축전부(5)로부터 제어장치(25)로의 통전을 단속시키기 위하여 개폐가 자유로운 스위치 수단으로서, 열리는 측에 복귀하도록 힘이 가하여진 자유로운 스위치 수단으로서, 열리는 측에 복귀하도록 힘이 가하여진 리미트 스위치(E)가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차(A)에는, 스테이션(S)의 리미트 스위치(E)를 닫히는 측으로 누르는 스위치 조작부재(30)와, 스위치 조작부재(30)에 형성된 래크 부와 맞물리는 피니온기어를 정역전 시킴으로서 스위치 조작부재(30)를 출퇴 조작하는, 조작부로서의 전동모터(31)에 의해서 구성된 스위치 조작수단(F)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술한 전기공급부(12)는, 스위치 조작부재(30)의 스위치 조작 측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스테이션(S)의 리미트 스위치(E)를 닫히는 측으로 누름에 따라서, 수전부(22)와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제 4 도∼제 6 도에 의거해서 반송차(A)는, 목적하는 스테이션(S)으로 물품(D)을 이재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 6 도 도시와 같이, 우선, 반송차(A)는, 목적하는 스테이션(S)을 향해서 주행 제어된다. 그리고, 목적하는 스테이션(S)에 도달하면, 반송차(A)의 정지위치 확인용의 광센서(13)와 스테이션(S)의 반사판(23)에 의해서, 반송차(A)는, 스테이션(S)에 대한 정지위치에 정지한다. 정지위치에 정지하면, 제 4 도와 같이, 반송차(A)는, 스위치 조작부재(30)를 돌출 작동시켜서, 스테이션(S)의 리미트 스위치(E)를 누른다.
리미트 스위치(E)를 누르면, 제 5 도에 도시하는 리미트 스위치(E)가 닫힌 상태로 되어, 축전부(5)로부터 제 1 릴레이(R1)에 통전되어서, 제1 릴레이 스위치(r1)가 닫힌 상태로 된다. 제 1 릴레이 스위치(r1)가 닫힌 상태로 되면, 축전부(5)로부터 제어장치(25)로 통전되어서, 제어장치(25)가 상승상태로 되어 제어장치(25)의 작동이 개시된다.
제어장치(25)의 작동이 개시되면, 제어장치(25)는, 우선, 광 통신장치(24)에 의해서 전기공급 요구를 송신한다. 그 송신에 의해서, 반송차(A)의 제어장치(16)는, 전기공급부(12)와 수전부(22)의 접속을 확인할 수 있고, 반송차(A)로부터 스테이션(S)으로의 전기공급이 개시된다. 전기공급이 개시되면, 반송차(A)와 스테이션(S)과의 사이에서, 광통신장치(14,24)에 의해서 물품(D)의 이재확인을 한다.
물품(D)의 이재가 확인되면, 반송차(A)의 제어장치(16)는 물품 이재장치(11)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스테이션(S)의 제어장치(25)는, 제 2 릴레이(R2)에 통전해서 제 2 릴레이 스위치(r2)를 닫힘 상태로 함으로써, 교류 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를 작동시킨다. 이들 작동에 의해서, 반송차(A)로부터 스테이션(S)으로의 물품(D) 이재가 개시되어, 물품(D)에 의해서 교류 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의 물품 검출스위치(21c)가 ON조작되면, 스테이션(S)의 제어장치(25)는, 교류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광 통신장치(24)에 교류구동식 물품 이재장치(2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광 통신장치(24)에 의해서 물품 이재의 종료를 송신한다.
물품 이재의 종료가 송신되면, 반송차(A)의 제어장치(16)는, 물품 이재장치(11)를 정지시킴과 동시에, 스테이션(S)로의 통전을 정지하여 스위치 조작부재(30)를 퇴피 작동시킨다. 스위치 조작부재(30)의 퇴피가 종료되면, 반송차(A)의 제어장치(16)는, 광 통신장치(14)에 의하여 스위치 조작부재(30)의 퇴피 종료를 송신한다. 그 송신에 의하여, 스테이션(S)의 제어장치(25)는, 제 3 릴레이(R3)에 통전해서 제 3 릴레이 스위치(r3)를 열림상태로 한다.
그와 같이하면, 제 1 릴레이(R1)로의 통전이 끊어지고 제 1 릴레이 스위치(r1)가 열림상태로 되어, 축전부(5)로부터 제어장치(25)로의 통전이 끊어져서 제어장치(25)의 작동이 정지된다.
제 1 릴레이(R1), 제 1 릴레이 스위치(r1), 제 3 릴레이(R3), 및 제 3 릴레이 스위치(r3)에 의하여 자기 유지회로(32)가 구성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반송차(A)는, 다음 목표 스테이션(S)을 향하도록 주행제어된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와 같이 구성하여도 좋다.
① 반송차(A)는 안내 레일을 따라서 주행하는 종류도 좋고, 또, 무게도 주행을 하는 종류도 좋다.
② 반송차(A)로부터의 전기공급에 의해서 스테이션(S)의 전동장치(B)를 작동시키는 것으로 바꾸어서, 스테이션(S)의 축전부(5)전력에 의해서 작동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③ 반송차(A)와, 스테이션(S)의 일방에, 포오크 장치 따위의 물품 이재장치를 설치하고 있는 것도 좋다.
④ 스테이션(S)이 제어장치(25)의 작동정지방법으로서는, 자기유지회로(32)를 설치하지 않고, 스위치(E)가 열림상태로 됨으로서 직접적으로 제어장치(25)의 작동정지를 행하도록 하여도 좋다.
⑤ 스위치 조작수단(F)으로서는 각종의 것을 고려할 수도 있는데, 가령, 스위치 조작부재(30)를 출퇴작동 시킴으로써 스위치(E)를 개폐 조작하는 것으로 바꾸어서, 회동 작동시켜 스위치수단(E)을 개폐 조작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스위치 조작부재(30)와 전기공급부(12)를 각각 구성하여도 좋고, 스위치 조작부재(30)의 돌출작동에 따라서 통신회로가 접속되는 것도 좋다.
조작부(31)로서는, 전동모터 대신에 전자 실린더로도 가능하다.
⑥ 스위치 수단(E)으로서는, 리미트 스위치(E)대신에 리이드 스위치 따위를 사용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이재장치를 갖춘 스테이션의 증설이나 이동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물품 반송설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 회전가능하게 재치된 복수의 구동바퀴를 가지는 프레임과,반송차측 축전부와,반송차측 축전부로부터 직류를 변환하는 직류/교류 변환장치와,상기 직류/교류 변환기에 의해 공급된 전기적 에너지에 응하여 상기 구동바퀴를 추진하도록 연결된 주행용 모터와,상기 반송차측 직류/교류 변환기에 의해 공급된 전기적 에너지에 응하여 반송차측 콘베이어를 구동하도록 연결된 반송차측 이재모터와 반송차측 콘베이어를 포함한 상기 프레임에 재치된 반송차측 이재장치와,상기 직류/교류 변환기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아암의 선단에 접속된 전력공급용 코넥터와 상기 아암의 출퇴하기 위한 수단을 가지는 출퇴 가능한 아암을 포함하는 전력공급수단을 포함하는 운반 반송차와;상기 아암의 상기 전력공급용 코넥터와 맞물리도록 배치된 전력 수전부와,전력 수전부로부터 공급된 전기적 에너지에 응하여 스테이션측 콘베이어를 구동하기 위해 연결된 스테이션측 이재모터와 스테이션측 콘베이어를 포함한 스테이션측 이재장치와,스테이션측 이재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와,제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스테이션측 축전부와,상기 수전부와 상기 스테이션측 축전부사이에서 수전부로부터 공급받은 교류를 정류된 직류로 정류하고 정류된 직류를 스테이션측 축전부에 공급하기 위한 정류장치를 포함하는 스테이션을 구비하는 물품반송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교류는 변압기를 통하여 상기 수전부로부터 상기 정류장치로 공급되는 물품반송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측 축전부로부터 상기 제어장치의 구동은 자기유지회로를 통하여 행하도록 되어 있는 물품반송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는 상기 반송차측 콘베이어 위에 물품의 존재/부존재를 검출하고 상기 반송차측 이재모터를 상기 콘베이어 위의 상기 물품의 상기 검출된 존재/부존재의 기능으로서 작동하게 하는 이재상태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물품반송설비.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차측 축전부로부터 전력을 공급받도록 연결되고 전력을 주행용 모터와 반송차측 이재모터와 상기 아암의 출퇴수단에 공급하도룩 제어하는 반송차측 제어장치와,상기 반송차측 제어장치에 연결된 반송차측 통신장치와,상기 스테이션측 제어장치에 연결된 스테이션측 통신장치를 더욱 포함하고,상기 스테이션측 통신장치와 상기 반송차측 통신장치는 상기 스테이션측 제어장치와 상기 반송차측 제어장치 사이에서 정보의 통신이 가능한 물품반송설비.
- 운반 중 물품을 지지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회전이 가능하게 재치되고 상기 반송차에 재치된 반송차측 축전부로부터 전력이 공급된 주행용 모터에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구동바퀴와, 상기 반송차측 축전부에서의 직류를 교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공급용 코넥터에 연결된 직류/교류 변환 장치와, 상기 아암의 선단에 접속한 전기공급용 코넥터와 상기아암의 출퇴하기 위한 수단과 함께 출퇴 가능한 아암을 가지는 전력공급 수단을 가지는 운반 반송차와;상기 스테이션측 이재모터에 의한 구동에 응하여 상기 물품을 반송차측 프레임으로 및 으로부터 이재하는 스테이션측 콘베이어를 구동하도록 연결된 교류전력 스테이션측 이재모터와, 상기 스테이션측 이재모터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와, 제어장치를 구동하기 위한 스테이션측 축전부와, 직류/교류 변환장치로부터 전력을 공급받고 반송차가 스테이션의 정해진 정지위치에 정지 했을때 상기 스테이션측 이재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전력공급 수단과 연결가능한 수전부를 가지는 스테이션을 구비하고;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스테이션측 축전부로부터 상기 제어수단으로 전력이전 스위치를 ON/OFF 하기 위한 스위치 수단을 더욱 포함하고,상기 스위치 수단을 반송차측 콘베이어와 스테이션측 콘베이어 사이에 물품 이재작동이 시작되었을때 전력전송의 스위치를 ON하고, 물품 이재작동이 끝났을때 전력전송의 스위치를 OFF하기 위한 스위치 조작수단을 포함하며,스테이션은 수전부와 스테이션측 축전부 사이에서 연결되고 수전부에의해 공급받은 교류전력을 상기 스테이션측 축전부를 위한 직류전력으로 정류하기 위한 정류장치를 더욱 포함하는 물품반송설비.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테이션은 상기 스테이션측 콘베이어 위에 물품의 존재/부존재를 검출하고 상기 콘베이어 위의 상기 물품의 상기 검출된 물품의 존재/부존재의 기능으로서 상기 스테이션측 이재모터를 작동하도록 야기하는 스테이션 이재상태 검출수단을 포함하는 물품반송설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03384 | 1989-04-25 | ||
JP4263409A JPH06119041A (ja) | 1992-10-01 | 1992-10-01 | 物品搬送設備 |
JP263409 | 1992-10-01 | ||
JP5103383A JP2950394B2 (ja) | 1993-04-30 | 1993-04-30 | 物品搬送設備 |
JP103383 | 1993-04-30 | ||
JP5103384A JPH06312824A (ja) | 1993-04-30 | 1993-04-30 | 物品搬送設備 |
KR1019930018054A KR100191130B1 (ko) | 1992-10-01 | 1993-09-08 | 물품 반송설비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30018054A Division KR100191130B1 (ko) | 1992-10-01 | 1993-09-08 | 물품 반송설비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0191131B1 true KR100191131B1 (ko) | 1999-06-15 |
Family
ID=274691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80037175A KR100191131B1 (ko) | 1992-10-01 | 1998-09-09 | 물품 반송설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91131B1 (ko) |
-
1998
- 1998-09-09 KR KR1019980037175A patent/KR100191131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191130B1 (ko) | 물품 반송설비 | |
JP6024106B2 (ja) | 移載装置及び移動車両 | |
US10926819B2 (en) | Method and vehicle for conveying an electrically driven motor vehicle during assembly thereof | |
KR20040026592A (ko) | 페이퍼 릴용 이송 설비, 그 작동 방법 및 차량 | |
JP2002362710A (ja) | 走行台車 | |
JP5698497B2 (ja) | 物品搬送装置 | |
KR100191131B1 (ko) | 물품 반송설비 | |
JP2950394B2 (ja) | 物品搬送設備 | |
CN115892829B (zh) | 车载装卸系统 | |
JP2924990B2 (ja) | 物品搬送設備 | |
JP4716101B2 (ja) | 物品搬送設備 | |
JPH06119041A (ja) | 物品搬送設備 | |
JPH07330131A (ja) | 台車使用の搬送装置 | |
CN2604411Y (zh) | 托盘运载车 | |
JPH06312824A (ja) | 物品搬送設備 | |
CN105824316A (zh) | 一种无接触供电原纸输送系统 | |
CN218949021U (zh) | 车载装卸系统 | |
KR20210065339A (ko) | 비접촉 전원공급 방식의 rtv 시스템 | |
CN218400520U (zh) | 一种工件运输小车 | |
CN221141124U (zh) | 一种协作搬运智能移动车 | |
CN221418452U (zh) | 一种agv托盘输送装置 | |
CN118082764B (zh) | 一种适应高寒环境的重卡底部换电站 | |
CN219990187U (zh) | 一种牵引穿梭车 | |
CN111559275B (en) | Automatic transfer equipment for retired turnover box of power exchange station | |
CN215204520U (zh) | 用于换电站电池转运的传输减速检测系统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00914 Year of fee payment: 13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