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26592A - 페이퍼 릴용 이송 설비, 그 작동 방법 및 차량 - Google Patents

페이퍼 릴용 이송 설비, 그 작동 방법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26592A
KR20040026592A KR1020030033527A KR20030033527A KR20040026592A KR 20040026592 A KR20040026592 A KR 20040026592A KR 1020030033527 A KR1020030033527 A KR 1020030033527A KR 20030033527 A KR20030033527 A KR 20030033527A KR 20040026592 A KR20040026592 A KR 200400265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riage
vehicle
reel
track
slide plat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335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41293B1 (ko
Inventor
브랜들리발터
알레만후고
Original Assignee
메트소 페이퍼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트소 페이퍼 아게 filed Critical 메트소 페이퍼 아게
Publication of KR200400265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265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412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412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00Storing articles, individually or in orderly arrangement, in warehouses or magazines
    • B65G1/02Storage devices
    • B65G1/04Storage devices mechanical
    • B65G1/12Storage devices mechanical with separate article supports or holders movable in a closed circuit to facilitate insertion or removal of articles the articles being books, documents, form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19/00Changing the web roll
    • B65H19/10Changing the web roll in unwinding mechanisms or in connection with unwinding operations
    • B65H19/12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 B65H19/126Lifting, transporting, or inserting the web roll; Removing empty core with both-ends suppor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1Winding, unwinding
    • B65H2301/417Handling or changing web rolls
    • B65H2301/418Changing web roll
    • B65H2301/4185Core or mandrel discharge or removal, also organisation of core removal
    • B65H2301/41858Core or mandrel discharge or removal, also organisation of core removal by collecting cores in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405/00Parts for holding the handled material
    • B65H2405/40Holders, supports for rolls
    • B65H2405/42Supports for rolls fully removable from the handling machine
    • B65H2405/422Trolley, cart, i.e. support movable on flo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placement Of Web Rolls (AREA)
  • 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Moving Bodies (AREA)
  • Platform Screen Doors And Railroad System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페이퍼 릴(10)을 나르는 비구동 캐리지(9a)에 결합될 수 있고 전자기 결합 요소들을 통하여 릴 코어 바스켓(11)을 나르는 이러한 캐리지(9b)에 추가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차량(12)은 턴테이블(3)을 통하여 이를 수 있는 적재 트랙(4)의 위의 언더플로어에서 이동가능하다. 상기 차량은 활주 플랫폼(5)으로 저장 트랙(8)으로부터 캐리지(9b)를 세우고, 이로부터 릴 코어 바스켓(11)은 캐리지(9b)가 저장 트랙(8)으로 밀어내지기 전에 릴 코어를 수용하는 릴 스탠드(6)로 밀어진다. 이후부터, 차량(12)은 페이퍼 릴(10)을 나르는 캐리지(9a)의 대기 스테이션으로 운행되고, 결합되고 활주 플랫폼(5)으로 밀어내어지고, 결합 해제되고 저장 트랙(8)으로 운행한다. 페이퍼 릴(10)이 릴 스탠드(6)에 의해 수용된 후, 차량(12)은 활주 플랫폼(5)으로 후퇴 운행하고 캐리지(9a)에 다시 결합되고 대기 스테이션으로 이를 밀어낸다. 차량(12)은 2쌍의 휠들, 즉 구동가능한 한쌍의 휠과 개시 위치에서 한쌍의 휠을 넘어 돌출하고 탄성 복귀력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될 수 있는 한쌍의 휠을 구비한다.

Description

페이퍼 릴용 이송 설비, 그 작동 방법 및 차량{TRANSPORT INSTALLATION FOR PAPER REELS, METHOD FOR ITS OPERATION AND VEHICLE}
본 발명은 특히 인쇄 작업에 사용될 때, 적어도 하나의 릴 스탠드에 페이퍼 릴들을 공급하기 위한 이송 설비, 이를 작동하는 방법 및 이러한 이송 설비에 사용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타입의 설비 및 방법들은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076,751호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유럽 특허출원 제0 587 015호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이송 설비들은 적재 트랙 및 트랙부에 사용되고, 이송 설비들에서 릴을 나르는 캐리지는 트랙을 따라 운행하는 이송 체인과 마찰 결합된다. 릴 이송을 위하여 레일 안내 구동 캐리지들을 구비하는 추가적인 설비들에 대하여서는, 독일 특허출원 제198 60 475호, 영국 특허출원 제2 181 117호 및 미국 특허 제6,155,516호가 있다. 릴 스탠드에 페이퍼 릴을 공급하는 다른 이송 설비들은 자동 안내 차량(AGV)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바닥에 설치된 도선들을 따르고, 예를 들어 배터리에 의해 에너지가 공급되며 무선제어되는 구동 제어가능한 캐리지들(예를 들어, 유럽 특허출원 제0 334 366호 참조)을 포함한다.
처음에 언급된 타입의 설비들은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이송 체인들이 구비되며, 캐리지들은 이러한 체인들이 제공되지 않은 장치 부품들에 대하여 수동으로 이동된다. 이송 체인들을 갖춘 설비는 상대적으로 복잡하다. 릴 스탠드의 환경이 상대적으로 고도의 복잡성을 요구하는 위험 지역을 포함하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한 릴 스탠드의 자동 적재를 정확하게 하기 위하여, 활주 플랫폼, 선택적으로 또한 턴테이블은 각각의 이송 체인들 및 대응 구동 장치들에 제공되어야 한다. 두번째로 언급된 타입의 설비들에서, 구동 장치 및 제어 장치들에 대한 비용은 특히 상대적으로 다수의 캐리지들이 사용될 경우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
청구항 제9항의 전제부에 따른 차량은 독일 특허출원 제23 34 141호에 개시된다. 이는 바닥위에 설치된 레일 시스템 상의 증류소에서 증류되는 재료들을 나르는 캐리지를 이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는 본 발명에 따른 설비에 사용하기에 거의 부적합하다. 페이퍼 릴은 상당한 무게를 갖지만 구동 차량에 놓여지지 않으므로 구동 휠의 압력에 기여하지 않게 되어, 충분한 마찰은 반드시 보장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랙 및 캐리지 모두에 대하여 복잡성 및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반적인 타입의 이송 설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청구항 제1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설비에서는, 트랙들에서 복잡한 이송 수단이 필요하지 않다. 동시에, 상대적으로 고가인 구동 장치 및 제어 장치들의 수는 낮게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는 릴 스탠드의 수에 상응한 반면, 캐리지들의 갯수는 실질적으로 높게 될 수 있어서,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다수의 릴들을 처리하고 이들을 캐리지에 임시적으로 적재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릴 이송이 수동으로 구동된 캐리지들에 의해 수행될 때 단지 릴 스탠드만이 자동으로 적재되는 이송 설비들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설비를 작동하는 적절한 방법이 제공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설비에 사용하기 특히 적합한 차량이 제공된다. 본 목적은 청구항 제9항의 특징부의 특징들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에서, 구동가능한 휠은 그 중량과 무관하게 레일에 가압되어 충분한 마찰 결합이 보장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설비의 평면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측면도.
도3은 차량의 단부 및 이에 결합된 캐리지의 인접 단부를 통한 종방향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4는 도2에 따른 차량 및 차량이 이동할 수 있는 트랙을 통한 단면을 도시한 정면도.
도5a 내지 도5o는 이에 대해 대체되는 릴 코어 또는 여분의 릴의 제거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설비에 의해 릴 스탠드로 새로운 페이퍼 릴을 공급하는 것을 도시하는 도면.
도5a는 릴 공급의 초기에 도1로부터의 도면에 따른 이송 설비의 일부를 도시하는 도면.
도5b는 릴 공급의 제1 단계 후 도5a로부터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c는 릴 공급의 제2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d는 릴 공급의 제3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e는 릴 공급의 제4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f는 릴 공급의 제5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g는 릴 공급의 제6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h는 릴 공급의 제7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i는 릴 공급의 제8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j는 릴 공급의 제9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k는 릴 공급의 제10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l은 릴 공급의 제11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m은 릴 공급의 제12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n은 릴 공급의 제13 단계 후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5o는 릴 공급의 최종 단계에서의 도5a의 설비 부분을 도시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버퍼 창고
2:공급 트랙
3:턴테이블
4:적재 트랙
5:활주 플랫폼
6:릴 스탠드
7:트랙부
8:저장 트랙
9, 9a, 9b:캐리지
10:페이퍼 릴
11:릴 코어 바스켓
12:차량
13:프레임
14, 15:휠
16:전기 모터
17:스텝-다운 기어
18:마이터 기어
19:집전 장치
20:동력 유닛
21:제어 유닛
22:마커
23:압력 휠
24:결합 요소
25:스위치
26:권선부
27:코어
28:핀
29:압력 스프링
30:새시
31:트로프
32:단부 벽
33:레일
34:커버판
35:갭
36:도체 레일
37:케이블 덕트
38:릴 코어
본 발명은 단지 실시예로서 도시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아래에서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이송 설비는 접착성 패치가 구비된 꺼내진, 즉 릴 교환용으로 준비된 페이퍼 릴들을 저장하는 페이퍼 릴 창고, 특히 버퍼 창고(1)를 포함하고(도1 참조), 그 창고로부터 직선형 공급 트랙(2)은 그 각각에서 활주 플랫폼(5) 또는 릴 스탠드(6)의 승강 플랫폼에 이르는 적재 트랙(4)이 직각으로 분기되는 복수의 턴테이블(3)을 경유한다. 활주 플랫폼(5)이 운반 위치에 있을 때, 활주 플랫폼(5)의 공급측상에서 적재 트랙(4)은 그 위의 트랙부(7)와 서로 맞닿게 된다. 공급측으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측에는 적재 트랙(4)과 서로 맞닿는 인접하는 저장 트랙(8)이 있다.
페이퍼 릴(10)을 수납할 수 있는 비구동 캐리지(9a)는 각각의 적재 트랙(4)에서 운행할 수 있고, 소모된 페이퍼 릴들의 릴 코어들을 수납하기 위한 릴 코어 바스켓(11)이 저장 트랙(8)에 멈춰진 추가적인 비구동 캐리지(9b)에 배치된다. 2개의 캐리지(9a, 9b)들 사이에서, 차량(12)은 적재 트랙(4), 트랙부(7) 및 저장 트랙(8)에서 운행할 수 있고, 차량(12)은 페이퍼 릴을 이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캐리지(9a) 및 릴 코어 바스켓(11)을 나르는 캐리지(9b)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
차량(12)은 한쌍의 휠(14;15)이 2개의 단부들 각각의 근방에 장착되는 하부에서 프레임(13)을 구비한다(도2 내지 도4 참조). 휠들의 쌍(14)을 이동시키는 차축은 프레임(13)의 하부로부터 현수되는 스텝-다운 기어(17) 및 마이터 기어(18)를 통하여 전기 모터(16)에 의해 구동된다. 전기 모터(16)는 변환기를 구비하는 집전 장치(19) 및 동력 유닛(20)를 통하여 동력이 공급되고, 제어 유닛(21)에 의해 제어된다. 마커(22)는 이후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차량(12)의 위치를 결정하는 기능을 한다. 차량(12)의 대략 중간에서 프레임에 장착되는 것은 하적 개시 위치에서, 휠(14, 15)을 약간 넘어 돌출하지만 탄성 복귀력에 대하여 가압될 수 있는 한쌍의 압력 휠(23)이다. 캐리지들에 결합하는 버퍼형 변환가능한 전자기결합 요소(24)는 프레임(13)의 양단부에서 장착된다. 스위치(25) 형태이고 캐리지(9)가 차량(12)에 결합되었는지에 대한 여부를 결정하는 센서들은 결합 요소(24)들 하부에 장착된다. 전자기 결합 요소(24)들 각각은 단부에서 편평한 접촉면을 구비하는 돌출 코어(27)를 둘러싸는 권선부(26)를 구비한다(도3 참조). 상기 접촉면은 결합된 캐리지(9)의 하우징의 단부면을 지탱할 수 있다. 스위치(25)는 후퇴 위치에서, 압력 스프링(29)의 힘에 대하여 결합된 캐리지(9)에 의해 지지되는 핀(28)을 포함한다.
캐리지(9)는 잘 알려진 방식으로, 트랙의 언더플로어를 운행할 수 있는 새시(30) 및 바닥 위에 배치되고 페이퍼 릴 또는 릴 코어 바스켓을 수납할 목적이고 웨브에 의하여 새시(30)에 연결되는 트로프(31;trough)로 형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이들은 유럽 특허출원 제0 587 015호에 설명된 캐리지들에 대응할 수 있다. 새시(30)는 양단부들에서, 종방향에 수직하고 강자성체로 구성되는 단부 벽(32)에 의해 형성되며 차량(12)의 결합 요소(24)들이 결합할 수 있는 단부면들을 구비한다.
트랙은 언더플로어에 설치되고, 잘 알려진 방식대로 서로 대면하는 U형 프로파일의 형태이고 도랑의 바닥의 지지 프로파일 및 경계에 의하여 지지되는 2개의 레일(33)을 포함한다. 이는 콘크리트로 성형되고, 레일(33)에 위치되고 레일(33) 위의 중간에 위치된 좁은 갭(35)만을 자유롭게 하는 커버판(34)들에 의해 덮여진다. 레일(33)의 하부 플랜지의 내부는 휠(14, 15)이 주행하는 주행면을 형성하는 반면, 압력 휠(23)은 구동 휠(14)이 주행면에 대하여 가압되고 레일(33)과 신뢰성있는 마찰 연결을 구비하도록 상부 플랜지의 내부면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가압한다. 휠(14, 15) 및 압력 휠(23)의 직경은 양호하게는 동일하고 레일(33)의 플랜지들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더 작다. 집전 장치(19)가 접촉하는 2개의 도체 레일(36)은 주행면들 사이의 중간에 설치된다. 케이블 덕트(37)는 그 외측상에서 이에 평행한 레일(33)들 중 하나를 따라 연장된다. 차량(12)은 레일(33)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존재하고, 바닥에 놓여있는 물체들 또는 사람들과 충돌을 피하도록 커버판(34) 위로 돌출하지 않는다.
차량(12)은 고정 제어 유닛에 의해 실질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반면, 제어 유닛(21)은 각각의 경우에서 단지 기본적인 기능만을 수행한다. 차량의 위치는 마커(22)가 트랙 상의 능동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사실에 의하여 모니터된다. 이는 많은 경우들에서, 각각의 경우에서 특정 정지점들 및 다른 절환점들에서 차량(12)의 존재가 검출되면 충분하다. 반면에, 차량의 위치는 제어 유닛에 의해, 예를 들어 휠 회전수를 모니터함으로써 운행 거리를 계산함으로써 또한 일정하게 갱신될 수 있고, 검출은 단지 위치의 재보정을 하게 한다. 이러한 경우에, 정규적으로 통과되고 이후에 각각의 경우에 재보정을 트리거하는 단일 센서가 또한 충분할 수 있다.
마커(22) 대신에, 능동 센서를 제공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지만,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마커들만 트랙에 장착된다. 마커들은 유일하게 식별되거나 또는 분간 불능일 수 있고, 특정 지점 또는 정규 간격에서만 장착될 수 있다. 검출은 전파 또는 변조된 적외선 비임에 의해, 도체 레일을 경유하여 제어 유닛으로 차량에 의해통신될 수 있다. 또한, 생각할 수 있는 것은 차량의 반사판과 상호작용하는 트랙의 측정 비임에 의해 모니터하는 위치이지만, 이러한 경우에서 캐리지뿐만 아니라 차량의 단면은 전송기와 반사판 사이의 측정 비임을 방해하지 말아야 하며, 또한 위치 모니터링은 활주 플랫폼(5)의 트랙부상에서 추가적인 장치들을 필요로 한다.
차량(12)은 '정지', '저속 전진', '고속 전진', '저속 후진', '고속 후진'과 같은 몇몇 운행 상태에 있을 수 있으며, 여기서 '고속'은, 예를 들어 0.2 m/sec에 상응할 수 있고 '저속'은 이의 대략 1/4에 상응할 수 있다. 이는 각각의 경우에 제어 유닛으로부터의 특정 절환 명령에 의해 특정한 운행 상태로 절환될 수 있고, 이는 추가적인 절환 명령을 수신할 때까지 유지된다. 다르게는, 차량은 대응 명령을 주기적으로 수신하는 동안 일정한 상태로 있고, 명령이 종료될 때 '정지'와 같은 기저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통상적으로, 마커(22)가 정지점에서 추가적인 센서에 의해 검출되고 '정지'로의 절환이 트리거될 때, 차량이 실질적으로 순간적으로 정지될 수 있도록, 차량(12)은 '고속'으로 구동될 수 있지만 정지점의 센서 상류를 통과할 때 '저속'으로 절환될 수 있다. 명령들은 전파 또는 변조된 적외선 비임으로 도체 레일(36)을 통해 차량(12)으로 다시 한번 제어 유닛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차량이 능동 센서를 구비하면, 예를 들어 '저속 전진'에서 '정지'로 또는 '고속 전진'에서 '저속 전진'으로의 임의의 전이는 차량이 정지점 또는 그 상류 절환 지점에 반응하면 그 신호들에 의해 또한 직접 트리거될 수 있다.
도체 레일을 통하여 에너지가 공급되는 대신에, 차량은 임의의 다른 방식으로 또한 에너지가 제공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에너지 저장, 예를 들어 배터리를 구비할 수 있어서, 어떠한 영구 에너지 전송이 요구되지 않는다.
적재 트랙(4)들 중 하나에서의 릴 교환은 도5a 내지 도5o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된다.
도5a는 릴 교환 후 및 릴 코어 또는 새로운 페이퍼 릴에 대한 잔류 릴의 교환전의 개시 위치를 도시한다. 2개의 아암 릴 스탠드(6)는 빈 릴 코어 또는 실질적으로 빈 릴 코어, 즉 실질적으로 완전히 소비된 분리 잔류 릴 및 방금 전에 풀린 페이퍼 릴(도시 안됨)을 갖는다. 활주 플랫폼(5)의 공급 측상에서, 접착제 패치가 제공되는 새로운 풀린 페이퍼 릴(10)을 갖는 캐리지(9a)는 적재 트랙(4)의 대기 스테이션의 턴테이블(3)의 근방에서 주차되고, 차량(12)은 운반 위치에 위치되는 활주 플랫폼(5)에 인접한 정지점에서 주차된다. 릴 코어 바스켓(11)을 갖는 캐리지(9b)는 저장 트랙(8)에 위치된다.
릴 스탠드로부터 릴 코어를 제거하도록, 차량(12)은 '저속 전진'으로 절환되는 절환 지점으로 저장 트랙(8)의 위에 활주 플랫폼(5)의 레일부(7) 위에서 '고속 전진'으로 처음에 운행한다. 저속으로, 차량은 릴 코어 바스켓(11)을 나르는 캐리지(9b)로 스위치-온 결합 요소를 구비하고 운행하고, 전방 결합 요소의 센서가 반응하자 마자 '정지'로 절환된다(도5b 참조). 이후에, 차량(12)은 절환 지점을 통과할 때 '저속 후진'으로 절환되는 트랙부(7)로 후퇴하는 '고속 후진'으로 운행하고, 이에 따라 '정지'로 절환되고 정지되는 정지점에 접근한다.
중심에 위치된 릴 코어 바스켓(11)을 갖는 캐리지(9b)는 활주 플랫폼에 멈춘다(도5c 참조). 트랙부(7)는 차량(12)을 완전하게 정지시키기에는 또한 너무 짧기 때문에, 결합 요소들은 스위치오프되고, 차량(12)은 트랙부(7)가 없는 적재 트랙(4)의 정지점으로 '고속 후진'으로 짧은 거리 이동한다(도5d 참조). 릴 코어 바스켓(11)은 릴 스탠드(6)의 원추체(cone)에 의해 배출되고 릴 코어 바스켓(11)[릴 코어(38), 도5e 참조]으로 낙하하는 릴 코어의 아래에 위치할 때까지 활주 플랫폼(5)은 릴 스탠드(6)에 대해 밀어진다. 활주 플랫폼(5)은 운반 위치(도5f 참조)로 복귀하고, 이후에 캐리지(9b)는 저장 트랙(8)의 위로 후퇴하여 차량(12)에 의해 밀어진다(도5g 참조).
페이퍼 릴(10)을 공급하기 위하여, 차량(12)은 정지 위치 직전 절환점으로 '고속 후진'으로 다시 한번 운행하고, 이후에 캐리지(9a)와 접촉할 때까지 '저속 후진'으로 스위치-온 결합 요소들로 계속 주행하고 상기 캐리지에 결합하고 '정지'로 절환된다(도5h 참조). '고속 전진'으로 절환되면, 차량(12)은 절환점을 다시 한번 통과하는 활주 플랫폼(5)으로 후퇴하여 적재 트랙(4) 상의 캐리지(9a)와 함께 운행하고, '저속 전진'으로 절환되면, 페이퍼 릴(10)이 활주 플랫폼(5)의 중앙에 위치되는 정지점으로 접근한다(도5i 참조). 페이퍼 릴(10)이 캐리지(9a) 상에서 항상 정확하게 중심에 위치되지 않거나 또는 다양한 릴 폭들이 가능하다면, 그 전방 에지 또는 후방 에지의 통과는 차광막에 의해 검출될 수 있고, 조정 변위는 정지점에 도달한 후 수행될 수 있다.
차량(12)은 이후에 결합 해제되고, 트랙부(7)가 없는 적재 트랙(8)의 정지점으로 이동된다(도5j 참조). 이후에는, 캐리지(9a)과 함께 활주 플랫폼(5)은 릴 스탠드(6)를 향하여 이동되고, 페이퍼 릴(10)은 릴 코어의 배출를 통해 자유로운 원추체들 사이에서 조여지고(도5k 참조), 상기 페이퍼 릴은 캐리지(9a)로부터 들어올려진다. 캐리지(9a)와 함께 활주 플랫폼(5)은 이후에 운반 위치로 후퇴된다(도5l 참조). 차량은 캐리지(9a)와 접촉하여 결합될 때가지 활주 플랫폼(5)의 트랙부(7)위에서 '저속 후진'으로 스위치-온 결합 요소(24)들로 운행한다(도5m 참조). 이후에는, 차량(12)은 대기 스테이션의 절환점 상류에 이를 때까지 트랙부(7) 및 적재 트랙(4) 상에서 '고속 후진'으로 운행하고, 동시에 캐리지(9a)가 대기 스테이션을 차지하는 정지점에 차량이 도달할 때까지 '저속 후진'으로 운행한다(도5n 참조). 결합 요소들은 이후에 스위치오프되고, 차량(12)은 활주 플랫폼(5)에 인접한 그 정지점으로 후퇴 이동된다(도5o 참조). 이에 따라, 캐리지(9a)가 어떠한 페이퍼 릴을 나르지 않는 차이를 갖고 시작 스테이지가 다시 한번 도달된다.
캐리지(9a)는 이후에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고, 페이퍼 릴이 적재되고 대기 스테이션으로 수동으로 유사하게 이동되는 캐리지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이송 설비가 적절하게 구비되면, 캐리지(9a)는 페이퍼 릴이, 예를 들어 크레인 시스템에 의하여 버퍼 창고로부터 직접 꺼내지는 대기 스테이션에서 새로운 페이퍼 릴로 또한 적재될 수 있다.
물론, 설명된 설비의 많은 수정들 및 확장들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릴 코어 바스켓이 가득찰 때, 릴 코어들이 이송 설비를 통하여 처리된다면, 추가적인 저장 트랙은 활주 플랫폼의 이동 구역의 저장 트랙에 평행하게 제공될 수 있고, 추가적인 저장 트랙 상에서, 차량은 이탈하도록 일시적으로 주차되고, 릴 코어 바스켓을 갖춘 캐리지는 처리 스테이션으로 트랙부 및 적재 트랙위에서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공급 트랙 및 턴테이블을 통하여 공급되는 대신에, 적재 트랙은 활주 플랫폼의 형태인 이동가능한 캐리지에 의해 또한 공급될 수 있고, 릴 스탠드의 열에 평행하게 이동될 수 있고, 횡방향, 즉 적재 트랙에 평행하게 방향설정된 트랙부를 구비하며, 그 단부에서 차량의 것과 상응하는 결합 요소 및 센서가 적재 위치에서 캐리지를 유지하도록 제공된다. 이동가능한 캐리지의 적재 위치에 위치되는 캐리지는 이러한 경우에 크레인 또는 텔레스코픽 아암에 의하여 버퍼 창고에서 적재되고, 이동가능한 캐리지는 그 트랙부가 선택된 적재 트랙에 인접할 때까지 이동되어서, 차량은 트랙부에서 운행하고 캐리지에 결합되며 활주 플랫폼상에 적재 트랙 위에 주차된다. 버퍼 창고로부터의 릴 공급은 이러한 경우에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트랙 및 캐리지 모두에 대하여 복잡성 및 비용이 상대적으로 낮은 일반적인 타입의 이송 설비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4)

  1. 트랙부(7)를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활주 플랫폼(5)과, 공급 측으로부터 상기 활주 플랫폼(5)에 이르고 상기 활주 플랫폼(5)이 운반 위치에 있을 때 상기 트랙부(7)가 서로 맞닿게 되는 적재 트랙(4)과, 페이퍼 릴(10)을 수용하는 비구동 캐리지(9a)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릴 스탠드(6)로 페이퍼 릴들을 공급하기 위한 이송 설비에 있어서,
    상기 적재 트랙(4)과 상기 트랙부(7)에서 운행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구동 차량(12)을 포함하고,
    상기 차량(12) 및 상기 캐리지(9a) 각각은 상기 차량(12)이 상기 캐리지(9a)에 결합될 수 있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합 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 트랙(4)은 언더플로어에 배치되고, 상기 차량(12)은 적재 트랙의 언더플로어에서 운행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트랙부(7)는 상기 활주 플랫폼(5)을 통해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공급 측으로부터 떨어져 대면하는 측에서, 상기 적재 트랙(4)과 서로 맞닿아 있는 저장 트랙(8)은 상기 활주 플랫폼(5)에 인접하는 것을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활주 플랫폼(5)들과, 평행한 적재 트랙(4)들과, 페이퍼 릴 창고로부터 상기 적재 트랙(4)에 이르며 상기 적재 트랙(4)들이 턴테이블(3)에 의해 각각 연결되는 공급 트랙(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5. 페이퍼 릴(10)이 적재된 캐리지(9a)가 운반 위치에 있는 활주 플랫폼(5) 위로 대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적재 트랙(4)을 통해 이동되고, 릴 스탠드(6)로 페이퍼 릴(10)을 운반하기 위하여 캐리지(9a)와 함께 상기 활주 플랫폼(5)이 상기 릴 스탠드(6) 아래로 이동되고, 상기 페이퍼 릴(10)이 상기 캐리지(9a)로부터 들어올려지고, 상기 활주 플랫폼(5)은 상기 운반 위치로 후퇴 이동하고, 상기 캐리지(9a)는 상기 대기 스테이션으로 후퇴 이동되는,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송 설비를 작동시키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를 상기 활주 플랫폼(5)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구동 차량(12)은 상기 활주 플랫폼과 대면하는 상기 캐리지(9a)의 단부에 결합되고, 이후에 상기 차량은 상기 캐리지(9a)를 상기 활주 플랫폼(5)의 위로 끌고 상기 페이퍼 릴(10)을 상기 릴 스탠드(6)로 운반한 후, 상기 캐리지를 상기 대기 스테이션으로 후퇴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작동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이송 설비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릴(10)을 상기 릴 스탠드(6)로 운반하기 전에 상기 차량(12)은 상기 캐리지(9a)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저장 트랙(8)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작동 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제3항 또는 제4항에 따른 이송 설비를 작동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캐리지(9a)가 상기 대기 스테이션으로부터 상기 활주 플랫폼(5)으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차량(12)은 상기 저장 트랙(8)에 놓여져 있고 릴 코어 바스켓(11)이 적재된 캐리지(9b)에 결합되고, 이후에 차량은 상기 캐리지(9b)를 운반 위치에 놓여져 있는 상기 활주 플랫폼(5)에 세우고, 상기 릴 스탠드(6)로부터 릴 코어(38)를 운반하도록, 상기 캐리지(9b)와 함께 상기 활주 플랫폼(5)은 상기 릴 스탠드(6) 아래로 이동되고, 상기 릴 코어(38)는 상기 릴 코어 바스켓(11)내로 배출되고, 상기 활주 플랫폼(5)은 상기 운반 위치로 후퇴 이동되고 상기 캐리지(9b)는 상기 차량(12)에 의해 상기 저장 트랙(8)으로 밀어내어지고, 상기 차량(12)이 결합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작동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릴 스탠드(6)로부터 상기 릴 코어(38)를 운반하기 전에, 상기 차량(12)은 상기 캐리지(9b)로부터 결합 해제되고 상기 적재 트랙(4)으로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 작동 방법.
  9. 적어도 한 쌍의 휠(14)들이 차량(12)을 이동시키도록 구동가능한 적어도 2쌍의 휠(14, 15)들과, 캐리지(9)로 상기 차량(12)의 탈착가능한 결합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이송 설비용 차량에 있어서,
    하적된 상태에서 휠(14, 15)들의 쌍들을 지나서 돌출되고 복귀력에 대해 하향으로 가압될 수 있는 적어도 한 쌍의 압력 휠(23)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용 차량.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수단은 스위치 온 및 오프될 수 있는 전자기 결합 요소(24)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용 차량.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결합 수단(24)은 버퍼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용 차량.
  12.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각각의 단부에서 결합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용 차량.
  13. 제9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결합된 캐리지(9)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가 각각의 결합 수단과 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용 차량.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는 스위치(25)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송 설비용 차량.
KR1020030033527A 2002-09-23 2003-05-27 페이퍼 릴용 이송 설비, 그 작동 방법 및 차량 KR1005412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2405817A EP1400472B1 (de) 2002-09-23 2002-09-23 Transportanlage für Papierrollen, Verfahren zu ihrem Betrieb sowie Fahrzeug
EP02405817.4 2002-09-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26592A true KR20040026592A (ko) 2004-03-31
KR100541293B1 KR100541293B1 (ko) 2006-01-10

Family

ID=318970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33527A KR100541293B1 (ko) 2002-09-23 2003-05-27 페이퍼 릴용 이송 설비, 그 작동 방법 및 차량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20040056140A1 (ko)
EP (1) EP1400472B1 (ko)
JP (1) JP2004115000A (ko)
KR (1) KR100541293B1 (ko)
CN (1) CN100347060C (ko)
AT (1) ATE337247T1 (ko)
CA (1) CA2428878A1 (ko)
DE (1) DE50207942D1 (ko)
ES (1) ES2269642T3 (ko)
MY (1) MY135546A (ko)
TW (1) TWI22630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28683A1 (de) 2007-06-21 2008-12-24 Maschinenfabrik Wifag Rollenwechselvorrichtung mit Transportwagensystem
DE102007000686A1 (de) * 2007-08-31 2009-03-05 Voith Patent Gmbh Vorrichtung zum Bewegen einer auf einer Maschine zur Herstellung von Faserstoffbahnen hergestellten Abwickelrolle
DE102008009916A1 (de) * 2008-02-15 2009-11-12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Walzanlage zum Walzen von bandförmigem Walzgut
US8047756B2 (en) * 2008-04-04 2011-11-01 Savant Automation, Inc. Automatic load transfer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ed material handling systems
EP2119654B1 (en) * 2008-05-13 2013-10-30 Goss Contiweb B.V. Feeding station for a printing press, corresponding printing press and use
DE102008049180A1 (de) * 2008-09-26 2010-04-01 Sms Siemag Aktiengesellschaft Walzanlage zum Walzen von bandförmigem Walzgut
FI123430B (fi) * 2010-02-03 2013-04-30 Metso Paper Inc Järjestely paineväliaineen ohjaamiseksi
DE102011008583A1 (de) * 2011-01-14 2012-07-19 Manroland Ag Beladungsanordnung für einen Rollenwechsler einer Rollendruckmaschine und Verfahren zum Betreiben derselben
US10266361B2 (en) * 2011-08-31 2019-04-23 Pregis Intellipack Llc Spindle mechanism for protective packaging device
CN102662401B (zh) * 2012-05-25 2014-04-16 上海电力学院 一种基于电磁感应循迹的导航系统
DE102015208122A1 (de) * 2015-04-30 2016-11-03 Krone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Zuförderung, Bereitstellung und zum Austausch von Rollen mit Verpackungsmaterial in einer Verpackungsmaschine
CN105329658B (zh) * 2015-09-30 2017-10-31 金东纸业(江苏)股份有限公司 一种自动垫纸装置
CN106938793B (zh) * 2016-01-04 2024-03-19 佛山市宝索机械制造有限公司 高效的纸卷分配装置
CN108162984B (zh) * 2017-12-08 2023-09-05 杭州久智自动化技术有限公司 轨道网的基本运行子段
CN108608682A (zh) * 2018-03-28 2018-10-02 河南省新斗彩印刷有限公司 瓦楞纸板生产线全自动供纸系统
CN108861635A (zh) * 2018-05-11 2018-11-23 河南省新斗彩印刷有限公司 瓦楞纸板生产线全自动供纸系统的智能控制方法
CN110001503A (zh) * 2019-04-25 2019-07-12 华晓精密工业(苏州)有限公司 装夹机构以及搬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56011A (en) * 1968-07-11 1971-01-19 Whiting Corp Railway car handling mechanism
FR2137081B1 (ko) * 1971-05-12 1976-03-19 Mills Const Sa
DE2334141C3 (de) * 1973-07-05 1979-07-19 Griese, Klaus P., 3002 Wedemark Vorrichtung zur Überführung von Brenn- oder Trockenwagen in Anlagen der keramischen Industrie
DE2554962C3 (de) * 1975-12-06 1980-07-24 Hauhinco Maschinenfabrik G. Hausherr, Jochums & Co Kg, 4300 Essen Rangieranlage
GB2162137B (en) * 1984-06-18 1988-07-20 Daifuku Kk Conveying system
CH669583A5 (ko) * 1985-09-06 1989-03-31 Wifag Maschf
FR2611557B1 (fr) * 1987-03-04 1994-02-25 Teissier Etienne Machine de transfert libre a chariots independants et motorises
FI81309C (fi) * 1989-01-04 1990-10-10 Pesmel Insinoeoeritoimisto Transportvagn.
US5261331A (en) * 1989-12-21 1993-11-16 Harsco Corporation Propulsion device for a train intended for renewal of railway tracks utilizing rail grippers to supply propulsion thrust
US5076751A (en) * 1990-03-23 1991-12-31 Jervis B. Webb Company Reelroom newsprint roll handling apparatus and method
US5115745A (en) * 1991-02-22 1992-05-26 Jervis B. Webb Company Power transmitting assembly for reciprocatably moving a shuttle cart
US5979334A (en) * 1995-06-07 1999-11-09 Autran Corp. System for automated transport of automobile platforms, passenger cabins and other loads
DE19637772A1 (de) * 1996-09-16 1998-03-26 Koenig & Bauer Albert Ag Verfahren zum Transport von Rollen zu einem Rollenwechsler
DE19860475B4 (de) * 1998-12-28 2004-05-13 Koenig & Bauer Ag Einrichtung zum Aufnehmen und Transportieren von Papierbahn-Restrollen für eine Rollenrotationsdruckmaschine
US6360670B1 (en) * 1999-10-01 2002-03-26 Flight Rail Corporation Magnetically coupled transportation modu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269642T3 (es) 2007-04-01
CN1485259A (zh) 2004-03-31
EP1400472B1 (de) 2006-08-23
TW200404728A (en) 2004-04-01
DE50207942D1 (de) 2006-10-05
CN100347060C (zh) 2007-11-07
EP1400472A1 (de) 2004-03-24
ATE337247T1 (de) 2006-09-15
CA2428878A1 (en) 2004-03-23
MY135546A (en) 2008-05-30
JP2004115000A (ja) 2004-04-15
KR100541293B1 (ko) 2006-01-10
TWI226305B (en) 2005-01-11
US20040056140A1 (en) 2004-03-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41293B1 (ko) 페이퍼 릴용 이송 설비, 그 작동 방법 및 차량
US11755031B2 (en) Automated guided vehicle system and automated guided vehicle for use therein
US7178660B2 (en) Workpiece transport system with independently driven platforms
US8471522B2 (en) System for charging electrically powered automated guided vehicles
JP3150428B2 (ja) 無人搬送台車
CA2653167A1 (en) Workpiece transportation system comprising automated transport vehicles and workpiece carriers
JP3488765B2 (ja) 台車用けん引車
JP2908939B2 (ja) 充電装置付き機械式駐車装置
JPH06297276A (ja) 生産ラインにおける部品の供給方法
CN212172039U (zh) 轮对转运agv小车
CN210122347U (zh) 一种同轨迹e-frame大件物料转运车
JPH07330131A (ja) 台車使用の搬送装置
CN112867685B (zh) 用于转移卷轴的方法和设施
JPH07288903A (ja) 台車搬送装置及び台車搬送方法
US4527485A (en) System for transporting heavy cylindrical objects in a workshop
JPH10324421A (ja) 施設内搬送装置
CN220765631U (zh) 重载轨道车
CN216944894U (zh) 自动运输台车及自动运输系统
CN218708929U (zh) 一种货物搬运系统
KR950000489B1 (ko) 주차 시스템
CN217920449U (zh) 一种装卸系统
JPS6350229Y2 (ko)
JPH081169Y2 (ja) 自動スケータ台車設備
JP2001301983A (ja) トラックへの荷積みシステム
CN115448219A (zh) 一种货物搬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2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