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808B1 -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808B1
KR100188808B1 KR1019950015665A KR19950015665A KR100188808B1 KR 100188808 B1 KR100188808 B1 KR 100188808B1 KR 1019950015665 A KR1019950015665 A KR 1019950015665A KR 19950015665 A KR19950015665 A KR 19950015665A KR 100188808 B1 KR100188808 B1 KR 100188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ssis
jig
balcony
veranda
instal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839A (ko
Inventor
배성두
Original Assignee
배성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성두 filed Critical 배성두
Priority to KR1019950015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808B1/ko
Publication of KR9700018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8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8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0007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 E04F21/001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mounting doors, windows or frames; their fitting for mounting fram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teps, Ramps, And Handrai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 및 창문 샤시의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건축공법상 특히, 아파트의 발코니(1)나 베란다(1a) 및 창문(1c)등에 수직도(H)와 수평도(W)가 약 0mm - 50mm의 편차를 이루면서 형성된 샤시공간(2)에 대한 수직도(H)와 수평도(W)를 그 길이를 조절하면서 상부부위인 천장부위에 대한 1차수평을 측정하는 기준바아(31)와, 이 기준바아(31)에 의해 측정된 1차수평을 천정(3) 부위에 대향되는 바닥부위인 옹벽(4)에 대한 수평을 측정하여 규격화된 샤시(8)에 따른 완벽한 샤시안착공간(2c)을 형성하도록 2차수평을 맞드는 오일수평게이지(36)에 의해 샤시(8)에 따른 종류별로 샤시(8)가 설치되는 모든 가구의 예비적인 샤시안착공간(2c)이 설정된 후, 이어 수평/수직기준지그(9,41,18)와 중앙간격맞춤/측면삽입지그(21,40) 및 제1/2측면간격맞춤지그(25,28)로 구성된 시공장치를 매개로 상기 완전한 샤시안착공간(2c)에 설치되는 샤시(8)를 지지하고 고정함은 물론, 샤시(8)와 건물외부와의 색을 일치시키고 샤시(8)와의 개구된 간격공간의 간격차에 따라 조절되어져 상기 개구간격을 완전히 밀폐시킬 뿐 아니라, 샤시와 건물외부와의 색의 일치로 외관미를 향상하고, 모든 샤시안착공간이 미리 설정돼 적은인원과 적은시간 내에 다수의 샤시를 설치하게 된다.

Description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본 발명은 아파트 및 다가구주택 등의 발코니나 배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소정 규격으로 대향 생산된 샤시가 샤시 설치공간 상에 용이하게 설치되고, 바람과 같은 외부의 압력과 샤시의 하중 및 샤시에 부착 고정되는 유리의 하중이 충분히 지지되면서 샤시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아파트나 다가구주택 등의 전방과 후방에는 생활공간이 보다 넓어지도록 각각 발코니와 베란다가 설치되는데, 이러한 발코니와 베란다는 환기와 자연조명 등을 목적으로 개방되지만, 방범이나, 소음차단, 바람 등의 외부 압력의 차단, 낙하 방지 등을 목적으로 유리가 구비된 샤시를 설치하여 외부와 선택적으로 개방되도록 밀폐하고 있다.
상기 발코니나 베란다는 주택의 평수에 따라 1개의 구간으로 이루어지거나 기둥이나 보를 기준으로 2개의 구간으로 구분되는데, 특히 아파트의 경우, 다수의 층으로 이루어져 각 층의 가구마다 구비되는 상기 발코니나 베란다는, 설치되어지는 샤시가 생산시 규격화되어 자체의 수직도(H)와 수평도(W)가 편차가 없이 제작됨에도 불구하고, 아파트의 건축공법상 각각의 층을 형성하는 측면 벽돌의 높이 즉, 바닥에서 천장높이인 수직도(H)가 약 0mm - 50mm의 편차를 이루면서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발코니나 베란다를 형성하는 즉, 바닥으로부터 일정 높이로 돌출된 옹벽과 천장의 길이에 대한 수평도(W)가 어느 한 부위를 기준으로 약 0mm - 50mm의 편차를 이루면서 형성된다.
그러므로 상기 발코니나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전에 작업자는 우선적으로 샤시가 설치되어지는 전체공간에 대한 수직도(H)와 수평도(W)를 측정하여 최소편차를 갖는 위치를 기준으로 정한 다음, 발코니의 경우와 같이 옹벽 밖으로 돌출되는 샤시을 지지하기 위해 옹벽과 이어진 바닥에 측정된 최소 위치를 기준으로 수평하게 벽돌을 쌓고 콘크리트로 사춤시킨 후, 이어 샤시를 상기 공간에 올려 놓고 편차진 공간 즉, 샤시 둘레와, 상기 옹벽·천정·측면벽들 사이의 틈새를 콘크리트로 메꾸어 사춤시켜서 샤시를 고정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르면, 샤시 설치공간을 확보하는 방법이 강구되지 못하여, 상기 옹벽과 천장 및 측면벽돌에 의한 공간상에 샤시를 배치시킨 다음, 이 샤시를 작업자가 직접 잡아서 배치상태를 유지하거나, 별도의 고정부재를 매개로 배치상태가 유지되도록 한 후에 샤시 둘레의 상기 틈새를 콘크리트로 메꾸어 사춤시켜야 하므로, 샤시 설치 작업이 난이하면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발코니나 베란다의 편차 상태에 따라 샤시를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샤시를 소정 규격으로 대량 생산하여 이를 이용하는데 있어서의 잇점이 반감되었다.
또한, 발코니의 경우와 같이 거실로부터 돌출된 기둥벽의 보 부분에 의해 샤시가 2개의 공간상에 구분되어 설치되는 경우, 보에 의해 벌어진 샤시들의 사이 간격(통상 약 160mm∼200mm)에 사각단면형상의 부재를 끼워 넣어 구획하지만, 종래에는 이들 부재가 일정한 규격으로 대량 생산되어 상기 간격에 부재가 정확히 일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못할 뿐 아니라, 샤시와의 색깔의 불일치로 외관미가 저하된다.
그리고, 발코니와 대향되는 뒤쪽에 형성된 베란다의 경우와 같이 부엌에 구비된 조리기구의 연료인 도시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배관라인이 설치되면, 이러한 배관라인으로인해 발생된 간격(약 70mm∼110mm)이 일부 외부로 개구되어 내측 개구부에 알루미늄 판을 덧붙이고 있어서, 보온/방음이 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샤시와 개구된 부위 색깔이 일치되지 못하여 외관미가 저하된다.
또한, 발코니나 베란다의 절곡된 연결옹벽에는 종래에는 단지 하나의 유리판을 고정하고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에는 내부에서 한쪽의 샤시부위가 보여지게 되므로 외관미가 저하된다.
전반적으로는, 상기 발코니나 베란다에 설치되는 샤시가 샤시공간에 정확하게 일치되지 못하면서 콘크리트 사춤에 의해 고정되므로 고정력이 약한데, 특히 고층 아파트의 경우에는 바람에 의한 풍압에 의해 샤시에 큰 외력이 작용되어 안전상의 문제가 발생되고, 샤시에 끼워진 유리의 무게에 의해 샤시가 변형되어져 개/폐작동이 제대로 수행되지 않으면서 소음이 발생되는 등의 문제가 초래되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샤시가 설치되는 발코니나 베란다의 개구 공간에 샤시와 일치 되도록 수직도(H)와 수평도(W)를 측정한 후, 샤시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소정 규격으로 대향 생산된 샤시가 샤시설치공간상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작업 공정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되며, 작업시간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유리가 끼워진 샤시하중이 충분히 지지되어 하중에 의한 샤시의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고정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수평과 수직을 측정하여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도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기준바아의 요부분해 사시도.
(b)는 오일수평게이지의 사시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천장의 중앙부위가 돌출된 경우에 제1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5도는 천장의 우측부위가 돌출된 경우에 제1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 작업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도에 대한 대응도.
제6도는 천장의 좌측부위가 돌출된 경우에 제1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 작업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도에 대한 대응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의 도구에 의해 설정된 샤시 설치공간이 수직기준지그와 제1수평기준지그를 매개로 확보되는 상태를 내측에서 바라본 요부분해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기준지그와 제1수평기준지그가 설치된 후 샤시와 철재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외측에서 바라본 요부분해 사시도.
제9도는 제8도의 샤시 및 철재 프레임이 설치된 후 제1수평기준지그와의 상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1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수평기준지그의 요부분해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수평기준지그를 구성하는 지그프레임의 사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기준지그의 사시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수평기준지그가 이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9도에 대한 대응도.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수평기준지그를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천장에 보가 위치되는 경우에 중간부 간격만춤지그를 이용하여 샤시 설치공간을 구획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부 간격맞춤지그의 요부분해사시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배관라인이 설치된 측면부 제1간격맞춤지그에 의해 수평방향의 샤시 설치공간이 확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부 제1간격맞춤지그의 사시도.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측면부 제2간격맞춤지그에 의해 수평방향의 샤시 설치공간이 확보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부 제2간격맞춤지그의 사시도.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보조 벽제에 의해 발코니 혹은 베란다의 연결옹벽 부분이 구획 처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b : 배관라인 2 : 샤시 설치공간
3 : 천장 3a : 보
4 : 옹벽 4a : 연결옹벽
5 : 제1측벽 6 : 제2측벽
7 : 철재 프레임 8 : 샤시
9 : 제1수평기준지그 10 : 지그프레임
10a : 제1플랜지부 10b : 보강홈
10c, 10d : 체결홈 10e : 제2플랜지부
11 : 제1경화재 12 : 제2경화재
13 : 미장재 14 : 보조 고정부재
15 : 고정부재 16,17,46 : 보강부재
18 : 수직기준지그 19 : 제1부재
19a : 몸체 19b : 제1플랜지부
19c : 관통홈 19d : 제2플랜지부
19e : 체결홈 20 : 조절부재
20a : 제1플랜지부 20b : 제2플랜지부
20c : 홈 21 : 중간부 간격맞춤지그
22,26 : 제1플랜지 22a, 26a : 결합부
22b, 23b, 26b, 27b : 홈 23,27 : 제2플랜지
23a, 27a : 돌기 24 : 보조프레임
25 : 측면부 제1간격맞춤지그 28 : 측면부 제2간격맞춤지그
29 : 제1프레임 29a : 제1고정단
29b : 제2고정단 30 : 제2프레임
30a : 고정부 30b : 제1삽입단
30c : 제2삽입단 30d : 조절부
30e : 홈 31 : 기준바아
32 : 조절 포스트 33 : 상부 포스트
33a : 연결너트 34 : 하부 포스트
34a : 조절 나사부 34b : 눈금표시부
35 : 탄성 연결부재 36 : 오일수평게이지
36a : 오일 36b : 눈금표시부
37 : 보조 벽체 38 : 플레이트
39 : 제1지그 39a, 39b : 삽입흠
40 : 제2지그 40a : 몸체
40b : 돌출부 40c : 관통홈
41 : 제2수평기준지그 42 : 걸림턱
42a : 체결홈 43 : 몸체
43a : 수직 플랜지부 43b : 관통홈
43c : 수평 플랜지부 43d : 체결홈
44 : 보강플레이트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공방법은, 별도의 측정도구를 매개로 주택의 발코니나 베란다의 개구 공간의 수직도(H)와 수평도(W)를 측정하여 사시 설치공간을 설정하고, 수직기준지그 및/또는 수평기준지그를 매개로 샤시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서정 규격으로 대량 생산된 단품형태의 샤시가 이 샤시 설치공간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방법으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시공방법에 이용되는 시공장치는, 주택의 발코니나 베란다의 개구 공간의 수직도(H)와 수평도(W)를 측정하여 샤시 설치공간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기준바아와 오일수평게이지로 구성된 측정 도구와, 샤시 설치공간의 옹벽측 수평을 확보하는 수평기준지그 및, 샤시 설치 공간의 측벽측 수직을 확보하는 수직기준지그로 이루어진 구조로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고로 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라 수평과 수직을 측정하여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도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기준바아의 요부분해 사시도이고, (b)는 오일수평게이지의 사시도인 바, 이에 따르면, 기준바아(31)는 한 쌍의 조절 포스트(33)와, 이들 조절 포스트(32)의 상부 포스트(33) 상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탄성 연결부재(35)로 이루어지는데, 이중 조절 포스트(33)는 하단에 연결너트(33a)가 구비된 상부 포스트(33)와, 조절 나사부(34a)와 눈금표시부(34b)가 형성된 하부 포스트(34)로 구성된다. 한편, 오일수평게이지(36)는 자유롭게 변형되고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튜브형태로서, 내부에는 일부 기공이 형성되도록 오일(36a)이 채워지며, 양 끝부위의 외주면에는 오일(36a)의 표면위치를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도록 눈금 표시부(36b)가 형성된다.
제2도 내지 제4도는 천장의 중앙부위가 돌출된 경우에 제1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인 바, 이에 따르면, 우선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조절 포스트(32)를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수직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면서 양쪽 벽부에 밀착키면 탄성 연결부재(35)가 팽팽하게 당겨지게 되므로, 각 조절 포스트(32)들의 상단 높이가 상호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면서 이들 조절 포스트(32)를 상부로 이동시키면, 천장의 최저부, 제2도 상에서는 천장의 중앙부위에 탄성 연결부재(35)가 맞닺게 되는데, 이때 즉시 조절 포스트(32)들의 상부로의 이동을 정지하여, 탄성 연결부재(35)가 천장의 중앙부위체 접하면서 수평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이후,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쪽(제3도상에서는 우측) 조절 포스트(32)의 하부 포스트(34)의 높이를 조절하여 기준으로 한 후, 오일수평게이지(36)의 양단을 양측 조절 포스트(32)에 각각 밀착시켜서, 이 오일수평게이지(36)를 매개로 다른 한쪽 조절 포스트(32)의 하부 포스트(34)가 상기 기준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하면,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서리 부분이 90°의 각을 이루는 사각형의 샤시 설치공간(2)이 설정된다.
제5도는 천장의 우측부위가 돌출된 경우에 제1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 작업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도에 대한 대응도이고, 제6도는 천장의 좌측부위가 돌출된 경우에 제1도의 도구를 이용하여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설정하는 작업 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도에 대한 대응도인 바, 샤시 설치공간(2)을 설정하는 방법은 상기 중앙부위가 돌출된 경우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의 도구에 의해 설정된 샤시 설치공간이 수직기준지그와 제1수평기준지그를 매개로 확보되는 상태를 내측에서 바라본 요부분해 사시도이고,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기준지그와 제1수평기준지그가 설치된 후 샤시와 철재 프레임이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외측에서 바라본 요부분해 사시도인 바, 이에 따르면, 스크류나 앵커 등의 고정부재(15)를 매개로 옹벽(4)에 설치되는 제1수평기준지그(9)에 의해 샤시 설치공간(2)의 옹벽측 수평이 확보되고, 스크류나 앵커 등의 고정부재(15)를 매개로 제2측벽(6)에 설치되는 수직기준지그(18)에 의해 샤시 설치공간(2)의 측벽(5,6)측 수직이 확보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1수평기준지그(9)와 수직기준지그(18)에 의해 샤시 설치공간이 확보되면 옹벽(4) 외측 상면에 철재 프레임(7)을 설치하고, 확보된 샤시 설치공간에 단품 형태의 샤시(8)를 설치한다.
상기 제1수평기준지그(9)는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ㄱ자 단면형태로 되어 제1플랜지부(10a)와 제2플랜지부(10b)가 형성된 지그프레임(10)과, 이 지그프레임(10)의 안쪽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제2경화재(12) 및, 이 제2경화재(12)들 사이에 끼워져 지그프레임(10)의 안쪽에 부착되는 제1경화제(11)로 이루어지는데, 굴곡부에는 소정 간격(Lb)으로 다수의 보강홈(10b)이 형성되고, 제2플랜지부(10e)에는 수직방향으로 한 쌍의 체결홈(10c, 10d)이 소정 간격(La)으로 다수 형성되며, 상기 제1경화재(11)는 유리가 구비된 샤시(8)의 자중을 지지하도록 경량 콘크리트재이고, 상기 제2경화재(12)는 유리가 구비된 샤시의 자중을 지지하면서 단열효과를 갖도록 발포 스티로폴수지이다.
제9도는 제8도의 샤시 및 철재 프레임이 설치된 후 제1수평기준지그와의 상호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인 바, 이에 따르면, 철재 프레임(7)이 설치되 옹벽(4)의 내면에 고정부재(15)를 매개로 다수의 제2경화제(12)가 부착된 지그프레임(10)을 고정하고, 제2경화재(12)들 사이에 제1경화제(11)를 끼워 넣어 지그프레임(10)의 안쪽에 부착한 후, 이 제1수평기준지그(9) 상면에 샤시(8)을 설치한다. 한편, 제1수평기준지그(9)가 상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제1수평기준지그(9)와 바닥 사이, 및/또는 외측으로 돌출된 샤시(8) 저면과 옹벽(4) 사이에 보강부재(16,17)를 설치하여 하중 지지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보강하고, 제1수평기준지그(9)와 이의 보강부재(17)의 내면은 미장재(13)로 처리하여 외관미가 향상되도록 한다. 또한, 보다 큰 하중 지지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옹벽(4) 상면에 와이어와 앵커 등으로 구성된 보조 고정부재(14)를 매개로 제1수평기준지그(9)의 지그프레임(10) 상단을 고정하면 된다.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직기준지그의 사시도인 바, 이에 따르면 수직기준지그(18)는, 제1부재(19)와 조절부재(20)로 이루어지는데, 제1부재(19)는 경사면이 외측으로 굴곡되면서 관통홈(19c)이 형성된 대략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몸체(19a)와, 이 몸체(19a)로부터 돌출된 제1·2플랜지부(19b, 19d)가 일체 형성되어진 구조이고, 조절부재(20)는 ㄱ자 단면형태로 굴곡되어 제1·2플랜지부(20a, 20b)가 형성되되, 이들 제1·2플랜지부(20a, 20b)에 각각 다수의 홈(20c)이 형성된 구조로 되어, 제1부재(19)의 제1플랜지부(19b)에 선택적으로 조절부재(20)가 안착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조절부재(20)의 홈(20c)은 절개가 용이하면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하므로, 필요에 따라 조절부재(20)를 사용하지 않고 제1부재(19)만을 이용하거나, 제1부재(19)의 제1플랜지부(19b)에 안착하여 필요에 따라 두께 및 길이를 조절하여 샤시 설치공간의 수평을 확보하므로,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상기 제1실시예는 발코니에 샤시를 설치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가장 일반적인 일예를 나타낸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2수평기준지그가 이용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9도에 대한 대응도이고,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2수평기준지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사시도, (b)는 정면도인 바, 이에 따르면 수평기준지그가 한 쌍의 제2수평기준지그(41)로 이루어지는데, 제2수평기준지그(41)는 경사면이 내측으로 굴곡되면서 관통홀(43b)이 형성된 대략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몸체(43)와, 수직 플랜지부(43a)와 맞닺는 수평 플랜지부(43c)의 선단면에 돌출된 걸림턱(42)이 일체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2수평기준지그(41)가 옹벽(4)의 상부로 돌출되는 경우에는 대향된 한쌍의 제2수평기준지그(41)의 상면을 보강플레이트(44)를 매개로 연결하고, 이 보강플레이트(44)와 옹벽(4) 사이에 보강부재(46)를 삽입하여, 하중 지지력이 감소되지 않도록 보강한다.
한편, 수직기준지그(18)를 매개로 샤시 설치공간의 수평을 확보하는 것을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이를 대신한다.
상기 제2실시예는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는 경우에 적합하며, 가장 일반적인 일예이다.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천장에 보가 위치되는 경우에 중간부 간격맞춤지그를 이용하여 샤시 설치공간을 구획하는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중간부 간격맞춤지그의 요부분해사시도인 바, 이에 따르면, 일단에 결합부(22a)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홈(22b)이 형성된 ㄱ자 단면형태의 제1플랜지(22)와, 일단에 돌기(23a)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홈(23b)이 형성된 ㅡ자 단면형태의 제2플랜지(23) 및, 사각 파이프형태의 보조 프레임(24)으로 구성된 중간부 간격맞춤지그(21)를 매개로 샤시 설치공간이 구획되도록 하여, 2부분으로 구획된 샤시에 2개로 구분된 샤시(8)를 설치한다.
상기 보조 프레임(24)의 크기는 보(3a)의 크기에 따라 적당하게 선택되고, 홈(22b, 23b)이 형성된 제1플랜지(22)와 제2플랜지(23)도 역시 보(3a)의 크기에 따라 손쉽게 길이 조정되므로, 작업이 편리하게 수행된다.
한편, 베란다의 경우에는 개구 공간을 형성하는 천장에 보(3a)가 형성된 경우는 극히 이례적이므로, 상기 제3실시예는 발코니에 샤시를 설치하는 경우로 볼 수 있다.
제17도 내지 제20도는 측벽(5,6)간의 길이와 샤시(8)의 가로방향의 길이 차이가 심한 경우, 즉 수직기준지그(18)만으로 샤시 설치공간을 확보할 수 없는 경우, 측면부 간격맞춤지그(25,28)를 보강하여 샤시 설치공간(2)이 확보되도록 하는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이하 상세히 설명한다.
제17도 및 제18도에 따르면 측면부 제1간격맞춤지그(25)는. 일단에 결합부(26a)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홈(26b)이 형성된 ㄱ 단면형태의 제1플랜지(26)와, 일단에 돌기(27a)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홈(27b)이 형성된 ㅡ자 단면형태의 제2플랜지(23)로 이루어지는데, 이러한 측면부 제1간격맞춤지그(25)는 수직기준지그(18)가 설치되는 측벽의 반대측 측벽에 설치된다.
이러한 제4실시예는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함에 있어서 모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지만, 제1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란다에 적용할 경우, 배관라인(1b)의 배치가 용이하게 되므로, 베란다에 적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한편, 제19도 및 제20도에 따르면 측면부 제2간격맞춤지그(28)는, 제1프레임(29)과 제2프레임(30)으로 이루어지는데, 제1프레임(29)은 일단에 제1·2고정단(29a,29b)이 형성된 ㄱ자 단면형태의 구조이고, 제2프레임(30)은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굴곡되어 고정부(30a)와 조절부(30d)가 형성되되, 고정부(30a)에는 제1·2삽입단(30b, 30c)이 형성되고, 조절부(30d)에는 다수의 홈(30d)이 형성된 구조이다.
이러한 제5실시예는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함에 있어서 모두 적절하게 적용될 수 있다.
제21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보조 벽체에 의해 발코니 혹은 베란다의 연결옹벽 부분이 구획 처리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인 바, 이에 따르면 보조 벽체(37)는, 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만들어진 플레이트(38)와, 양측에 삽입홈(39a, 39b)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지그(39) 및, 돌출부(40b)와 관통홈(40c)이 형성된 凸자 단면형태의 몸체(40a)인 한 쌍의 제2지그(40)로 구성된다.
상기 제2지그(40)는 이와 접한 샤시(8)들의 선단을 마감 처리한 것과 같은 기능을 하므로, 보조 벽체(37)를 포함한 샤시(8)의 설치가 보다 깨끗하게 처리되어 주택의 상품성이 향상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별도의 측정 도구를 매개로 주택의 발코니나 베란다의 개구 공간의 수직도(H)와 수평도(W)를 측정하여 샤시 설치공간을 설정하고, 수직기준지그 및/또는 수평기준지그를 매개로 샤시 설치공간을 확보하여, 소정 규격으로 대향 생산된 샤시가 샤시 설치공간에 안착 고정되므로, 작업 공정이 편리하고 안전하게 되며, 작업시간이 절감될 뿐만 아니라, 유리가 끼워진 샤시하중이 충분히 지지되어 하중에 의한 샤시의 변형이 방지됨은 물론, 고정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3)

  1. 별도의 측정 도구(31,36)를 매개로 주택의 발코니나 베란다의 개구 공간의 수직도(H)와 수평도(W)를 측정하여 사시 설치공간(2)을 설정하고, 수직기준지그(18) 및/또는 수평기준지그(9;41)를 매개로 샤시 설치공간(2)을 확보하여, 소정 규격으로 대량 생산된 샤시(8)가 샤시 설치공간(2)에 안착 고정되도록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방법.
  2. 주택의 발코니나 베란다의 개구 공간의 수직도(H)와 수평도(W)를 측정하여 샤시 설치공간(2)을 설정하는데 이용되는 기준바아(31)와 오일수평게이지(36)로 구성된 측정 도구와, 샤시 설치공간(2)의 옹벽측 수평을 확보하는 수평기준지그(9;41) 및, 샤시 설치공간(2)의 측벽(5,6)측 수직을 확보하는 수직기준지그(18)로 이루어진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나 베란다의 천장(3)에 보(3a)가 구비된 경우, 일단에 결합부(22a)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홈(22b)이 형성된 ㄱ자 단면형태의 제1플랜지(22)와, 일단에 돌기(23a)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홈(23b)이 형성된 ㅡ자 단면형태의 제2플랜지(23) 및, 사각파이프형태의 보조 프레임(24)으로 구성된 중간부 간격맞춤지그(21)를 매개로 샤시 설치공간(2)이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코니나 베란다에 연결옹벽(4a)이 형성된 경우, 유리 등의 투명재질로 만들어진 플레이트(38)와, 양측에 삽입홈(34a, 39b)이 형성된 한 쌍의 제1지그(39) 및, 돌출부(40b)와 관통홈(40c)이 형성된 凸자 단면 형태의 몸체(40a)인 한 쌍의 제2지그(40)로 구성된 보조벽체(37)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바아(31)는 ; 하단에 연결너트(33a)가 구비된 상부 포스트(33)와, 조절 나사부(34a)와 눈금표시부(34b)가 형성된 하부 포스트(34)로 구성된 한 쌍의 조절 포스트(33)와 ; 이들 조절 포스트(32)의 상부 포스트(33) 상단에 양단이 각각 고정되는 탄성 연결부재(3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기준지그는, ㄱ자 단면형태의 지그프레임(10)과, 이 지그프레임(10)의 안쪽에 일정 간격으로 부착되는 다수의 제2경화재(12) 및, 이 제2경화재(12)들 사이에 끼워져 지그프레임(10)의 안쪽에 부착되는 제1경화재(11)로 이루어진 제1수평기준지그(9)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경화재(11)는 유리가 구비된 샤시(8)의 자중을 지지하도록 경량콘크리트재이고, 상기 제2경화재(12)는 유리가 구비된 샤시의 자중을 지지하면서 단열효과를 갖도록 발포 스티로폴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기준지그는 경사면이 내측으로 굴곡되면서 관통홈(43b)이 형성된 대략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몸체(43)와, 수직 플랜지부(43a)와 맞닺는 수평 플랜지부(43c)의 선단면에 돌출된 걸림턱(42)이 일체 형성된 한 쌍의 제2수평기준지그(4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제2수평기준지그(41)의 상면이 보강플레이트(44)를 매개로 연결되면서, 이 보강플레이트(44)와 옹벽(4) 사이에 보강부재(46)가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기준지그(18)는; 경사면이 외측으로 굴곡되면서 관통홈(19c)이 형성된 대략 단면이 직각삼각형인 몸체(19c)와, 이 몸체(19a)로부터 돌출된 제1·2플랜지부(19b,19d)가 일체 형성되어진 제1부재(19)와 ; ㄱ자 단면형태로 굴곡되어 제1·2플랜지부(20a,20b)가 형성되되, 이들 제1·2플랜지부(20a,20b)에 각각 다수의 홈 (20c)이 형성되어, 제1부재(19)의 제1플랜지부(19b)에 선택적으로 안착되는 조절부재(2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벽(5,6)간의 길이와 샤시(8)의 가로방향의 길이 차이가 심한 경우, 측면부 간격맞춤지그(25,28)를 보강하여 샤시 설치공간(2)이 확보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간격맞춤지그는, 일단에 결합부(26a)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홈 (26b)이 형성된 ㄱ자 단면형태의 제1플랜지(26)와, 일단에 돌기(27a)가 형성되고 타단에 다수의 홈(27b)이 형성된 ㅡ자 단면형태의 제2플랜지(23)로 구성된 측면부 제1간격맞춤지그(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 간격맞춤지그는 ; 일단에 제1·2고정단(29a,29b)이 형성된 ㄱ자 단면형태의 제1프레임(29)과 ;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굴곡되어 고정부(30a)와 조절부(30d)가 형성되되, 고정부(30a)에는 제1·2삽입단(30b, 30c)이 형성되고, 조절부(30d)에는 다수의 홈(30e)이 형성되어진 제2프레임(30)으로 구성된 측면부 제2간격맞춤지그(2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
KR1019950015665A 1995-06-14 1995-06-14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KR100188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665A KR100188808B1 (ko) 1995-06-14 1995-06-14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665A KR100188808B1 (ko) 1995-06-14 1995-06-14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839A KR970001839A (ko) 1997-01-24
KR100188808B1 true KR100188808B1 (ko) 1999-06-01

Family

ID=19417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665A KR100188808B1 (ko) 1995-06-14 1995-06-14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80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276B1 (ko) 2010-06-21 2012-03-29 황석진 솔라셀이 장착 가능한 창틀 설치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7276B1 (ko) 2010-06-21 2012-03-29 황석진 솔라셀이 장착 가능한 창틀 설치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창호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839A (ko) 1997-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045711A (ko) 실내장식용 커튼월 시공장치
WO2008113207A1 (fr) Panneau mural extérieur et son procédé de montage
KR100188808B1 (ko)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KR100939077B1 (ko) 조립식 건축물
JP403998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躯体を用いた建築物並びにその建設工法
JP5165984B2 (ja) バルコニー床の支持構造
JPH0334972Y2 (ko)
KR100753617B1 (ko)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JP2009215750A (ja) 木造家屋の室単位補強構造
JP6043072B2 (ja) 耐震断熱改修構造
KR101024059B1 (ko) 인테리어 겸용 커버 부재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저감구조
AU2015271993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Building Panels to the Framework Assembly of a Wall Structure
RU2184196C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JP3500318B2 (ja) 木造家屋とその羽柄材施工方法
JP2000356024A (ja) 外装材の取付金具、縦貼り用胴縁および取付け工法
JPS5886248A (ja) 建築物の壁面構成方法及び窓枠の取付構造
KR200208378Y1 (ko)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JPH0440348Y2 (ko)
JPH0137046Y2 (ko)
KR200331280Y1 (ko) 레벨 브라켓
JPH09125567A (ja) 壁パネルとその取付構造
AU2010101096A4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ounting Building Panels to the Framework Assembly of a Wall Structure
JP6556985B2 (ja) 外壁構造
KR20000074520A (ko) 건물외장용 석판 연결 고정구
KR200257131Y1 (ko) 일체형 4각 바 경량 벽체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