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8378Y1 -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 Google Patents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8378Y1
KR200208378Y1 KR2020000009385U KR20000009385U KR200208378Y1 KR 200208378 Y1 KR200208378 Y1 KR 200208378Y1 KR 2020000009385 U KR2020000009385 U KR 2020000009385U KR 20000009385 U KR20000009385 U KR 20000009385U KR 200208378 Y1 KR200208378 Y1 KR 20020837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xially coupled
plate
arm
concrete
form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0000938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승필
Original Assignee
배승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승필 filed Critical 배승필
Priority to KR202000000938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837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0837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8378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14Bracing or strutting arrangements for formwalls; Devices for aligning 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 Conveying And Assembling Of Building Elements In Situ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축조에 있어 기초 바닥면이나 각층의 슬라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높이 편차없이 수평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기준면을 제공함으로서 외벽 이외의 내력벽의 수직도유지에 기여하여 시공표준화와 양질의 시공품질을 얻을 수 있는 슬라브 및 내력벽 시공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좌/우에 축 결합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대칭의 동일 형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1 아암부재와, 상기 제1 아암부재의 각 상단과 역시축 결합되어 제1 아암부재와 한쌍의 대칭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 아암부재와, 제1 및 제2 아암부재가 상호 축 결합되는 부분이 선택되어 양 아암부재와 나착 결합되어 회동함으로 제1 및 제2아암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크류부와, 상기 제2 아암부재 상단이 축 결합되며, 일자형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있는 어퍼 플레이트와, 어퍼 플레이트 상단 일 측에 체결되는 클램핑 블록과, 및 상기 클램핑 블록에 조립 체결된 채 내벽의 거푸집에 수직 상태로 부착되어 거푸집 축조의 정확한 수직 기준면을 제공하는 수직 레벨기를 포함하는 서포트 브라켓트로 조합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Apparatus of construction in slate and bearing wall applied to the concrete architectural structure}
본 고안은 개선된 기능을 갖는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시공 공법과 그 구체적인 수단에 관한 것으로, 특히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축조에 있어 기초 바닥면이나 각층의 슬라브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 타설시 높이 편차 없는 고른 수평 상태를 유지하면서 콘크리트 타설이 가능할 수 있도록 기준면을 제공하는 것이고, 동시에 외벽이 아닌 공간 내부의 내력벽 축조시 거푸집의 정확한 수직 상태의 유지 도모를 통해 표준화된 양질의 시공상태를 구현할 수 있는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 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른바, 콘크리트 구조물을 위한 거푸집의 시공 공법은 다량의 가설재와 과다한 설치기간, 고기능의 인력과 장비 등을 필요로 하는 중요한 공정으로 그 작업공법과 소요자재의 선택은 후속 되는 타 공정과의 상관적 관계를 형성하여 지대한 영향을 부여함과 동시에 축조된 건축물의 향후 내구성과 안정성을 결정짓는 요인으로 작용하여 표준화된 시공방법이 도입되어야 할 부분이다.
최근, 산업화의 영향에 따른 각종 토목, 건축구조물의 축조기술 발전은 도시 와 농촌의 급격한 발전을 가져오는 계기가 되었고, 생활의 질적 향상에 따른 평준화를 가능하게 한 요인으로 가능 하였다.
특히, 콘크리트 구조물의 발달은 사회 각 부문을 거쳐 빼놓을 수 없을 만큼 그 중요도가 높아 당연 대표적인 구조물로 자리매김되고 있다.
위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이 각광받는 이유는 예컨대, 우수한 내구성과 견고한 강도의 유지, 그리고 원자재인 각종 골재의 구입이 용이하다는 장점 이외에도 비교적 시공이 간편하다는 이점 등을 통해 일반 주거용 주택이나 아파트 등은 물론 각종 용도의 고층건물이나 교량, 터널 또는 도로공사 등을 포함하는 사회간접자본시설에 매우 광범위한 적용성을 갖는다.
이와 같은 유용성을 갖는 콘크리트 건축구조물, 특히 아파트 등의 건축에 있어서 흔이 슬라브공사로 지칭되는 바닥면의 시공을 위해 콘크리트를 타설하거나 혹은 공간 구획용의 칸막이벽을 포함하는 내력벽을 형성할 경우 그 시공례는 다음과 같다.
즉, 콘크리트가 타설되어질 기초 바닥면은 물론이고 각층의 슬라브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통상 복수개로 견고하게 위치되는 서포트 프레임의 상단으로 정확한 수평면이 형성되어질 수 있도록 패널이 배치되거나 혹은 금속재의 플라이트가 놓여진 후 기둥과 외벽에 기초하여 주근 및 배력근으로 조합된 철근이 배설되고, 이후 필요한 위치에 각종의 전선삽입구 및 배관을 위치시킨 후 비로소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양생됨으로 소정의 콘크리트 시공이 완료된다.
이때,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은 정확한 수평유지가 필수적인 것이나 넓은 면적을 일률적으로 콘크리트 타설하는 관계로 현실적으로 정확한 수평상태의 유지는 매우 곤란하였다.
즉, 어느 정도의 높이 편차는 이를 감내할 수밖에 없었고, 추후 마감 모르타르롤 2차 타설하여 불 균일한 높이의 편차를 최소화하였다.
상기에서와 같이 최초 콘크리트 타설시 슬라브이 수평상태 유지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이는 공간 구획을 위해 설치되는 커튼 월 등의 비내력벽은 물론 내력벽의 설치에 필요한 거푸집의 정확한 대칭과 수직설치를 위해서도 요망되는 사항이다.
종래에는, 거푸집 가설을 위한 기초 공정이 고르지 못한 슬라브 콘크리트 타설면위에서 시공되었는바, 예컨대 콘크리트 표면의 가장 높은 부분을 기준점이 되는 높이로 설정해 놓고, 이에 맞추어 각재와 합판류를 사용하여 수평용 고정틀을 형성케하고 있는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고 있다.
즉,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 두께가 설계와는 달리 단위 면적 층마다 20∼30mm 이상 높아져 결국 전체적인 건축물의 높이에 편차가 발생하고 있음은 물론 이에 따라 콘크리트 및 복도, 계단 등의 마감재 충전의 필요성 대두에 따라 불필요한 원자재의 손실이 크고, 거푸집 조립시의 정밀도가 현저히 낮아 허용 오차 이상의 편차로 인하여 내력벽의 수직 상태에 불균형의 원인을 제공하는 것이고, 각재의 사용에 따른 마감 작업의 증가와 형상의 불안정에서 오는 견출 작업량의 증가 등 손실 비용이 크고, 과다한 작업 인원과 관리의 비효율성 등 복합적인 문제성의 원인이 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소를 위해 1996. 10. 24. 실용신안출원 제 96-35201호로 첨부도면 제 1도에서와 같이 '시멘트 콘크리트 건축물의 거푸집 설치를 위한 하부 기초장치'가 제안된바 있다.
상기의 고안은 시멘트 바닥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판(1)에 있어서, 고정판(1)의 상부 양 지지판(2,2')사이에 안내구(3)를 개설하고 양 지지판(2,2')중간에 나사공(6)을 형성하여 보울트(7)와 너트(12)로 채우게 하며, 안내구(3)에 삽입결합케된 받침판(8)의 중간에는 절개홈(9)이 형성되어 보울트(7)에 끼워지게 하고 양측에는 돌기편(10,10')을 형성한 나사공(11)에 보울트(7',7')를 나착하여 수평조절을 가능케하며, 상부 일 측에는 버팀대(13)를 연장 형성하고 그 반대측 상면의 나사공(11')에는 턱면(15)과 절개홈(9')을 형성한 후 압지편(14)을 보울트(7a)로 나사공(11')에 설치한 것이다.그러나, 상기의 선행기술에 의한 기초장치는 바닥면의 콘크리트 수평면을 맞추어주기 위한 기준면으로의 기능은 전혀 고려치 아니한 채 주로 건축물의 거푸집 설치를 위한 하부 기초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좌/우 양 보울트 (7')(7')를 조절하게 되어 수평 조정에 편차가 발생하기 쉬우며, 그 조작이 결코 쉽지 않아 작업자의 번거러움을 유발시킴은 물론 콘크리트 타설시의 수평면 기준과 거푸집 설치시의 정확한 수직 상태 구현이 불가능하거나 불완전하여 표준화된 정확한 시공을 이룰 수 없었다.따라서,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적절히 해소하면서도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할 수 있도록 각별히 배려되어야 한다.
본 고안의 목적은 콘크리트 타설이 필요한 기초바닥면 및 각층의 슬라브나 내력벽의 시공에 있어서, 별도의 수평 유지용 가설재를 설치할 필요 없이 적정 간격으로 복수개의 수평기를 배치시킨 후 슬라브 바닥의 플레이트 패널에 긴밀하게 고정시켜 준 후 레벨게이지에 의해 정확한 수평상태가 이루어지도록 하되, 상기 수평기의 높이 조절은 스크류의 회동 조작을 통해 자유롭게 이루어지며, 수평기의 어퍼 플레이트를 기준으로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고른 수평 상태를 구현할 수 있음과 아울러 내력벽용 거푸집을 설치할 시 상기 거푸집의 정확한 수직 상태 유지를 통해 허용 오차 이내의 균형감을 부여하여 정밀 시공이 가능할 수 있도록 상기 거푸집을 좌/우 양 방향에서 지지한 채 수직 상태를 구현해줄 별도의 지지 플레이트가 수평기에 일체로 체결된 후 거푸집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어 시공의 간편함과 정확성 유지를 구현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킴에 있다.
상기의 목적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좌/우에 축 결합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대칭의 동일 형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1 아암부재와, 상기 제1 아암부재의 각 상단과 역시축 결합되어 제1 아암부재와 한쌍의 대칭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 아암부재와, 제1 및 제2 아암부재가 상호 축 결합되는 부분이 선택되어 양 아암부재와 나착 결합되어 회동함으로 제1 및 제2아암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크류부와, 상기 제2 아암부재 상단이 축 결합되며, 일자형의 수평면을 형성하고 있는 어퍼 플레이트와, 어퍼 플레이트 상단 일 측에 체결되는 클램핑 블록과, 및 상기 클램핑 블록에 조립 체결된 채 내벽의 거푸집에 수직 상태로 부착되어 거푸집 축조의 정확한 수직 기준면을 제공하는 수직 레벨기를 포함하는 서포트 브라켓트로 조합된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선행 기술에 의한 하부 기초장치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로 제공되는 수평기의 외관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
도 3은 상기 본 고안의 수평기에 설치되어 내력벽의 거푸집을 고정시켜 주기 위래 마련되는 서포트 브라켓트의 사시도.
도 4는 수평기와 서포트 브라켓트의 체결 상태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의 시공상태를 설명해 보인 측 단면도.
도 5는 콘크리트 건축 구조물의 슬라브(SLAB바닥면)시공을 위해 수평기가 적정 간격으로 설치되어진 상태를 도시해 보인 사공 상태 예시도.
도 6은 슬라브의 콘크리트 양생 이후에 거푸집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해 보인 시공 상태 예시도.
도 7은 상기 수평기의 작용 상태 예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슬라브 2 : 내력벽
3 : 플레이트 패널 10 : 수평기
11 : 베이스 플레이트 11b: 고정 브라켓트
12,12' : 제 1아암부재 13 : 축
14,14' : 제 2아암부재 16 : 노브핸들
17 : 스크류부 18 : 어퍼 플레이트
18a: 고정 브라켓트 19 : 클램핑 블록
20 : 체결보울트 21 : 기준부재
22 : 서포트 브라켓트 23 : 고정판
24 : 돌출부재 25 : 가압판
26 : 스프링 27 : 마그네트판
28 : 직각 브라켓트 30 : 거푸집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 2와 3은 본 고안 장치의 일실시예로 제공되는 수평기 및 서포트 브라켓트의 외부 구성을 도시해 보인 사시도이다.
본 고안은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의 기초 바닥면 및 각층의 슬라브(1)를 포함 하여 건축물의 내부 공간을 구획하기 위한 중간 내력벽(2)의 콘크리트 시공에 적합한 것으로, 주로 습식으로 건설되고 있는 RC조 아파트 건설에 특히 적합한 것으로, 콘크리트 기초 바닥면 및 각층의 슬라브(1)를 구축할 때 바닥면에 설치되는 합판 등의 플레이트 패널(3)상에 복수개로 설치하는 스크류 잭형 수평기(10)와, 클램핑 블록(19)과 기준부재(21) 및 내력벽 거푸집틀 흡착용 마그네트판(27) 등을 구비한 내력벽 거푸집틀용 서포트 브라켓트(22)과의 조합체이다.
수평기(10)는 플레이트 패널(3)상의 설치를 위해 체결공(11a)이 형성된 채 상측으로 절곡된 형태의 베이스 플레이트(11)를 마련하고 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의 상단부에 고정 브라켓트(11b)를 돌출 형성하여, 그 좌/우에 각각 충분한 각도로 유동될 수 있도록 대칭의 동일 형상을 갖는 'ㄷ' 단면의 제 1 아암부재(12,12')가 축(13) 결합된다.
제1 아암부재(12,12')의 각 상단과 역시 축(13) 결합되어 높이의 확대와 축소가 자유로울 수 있도록 제1 아암부재 (12,12')와 한 쌍의 대칭형상으로 설치되어 역시'ㄷ' 단면의 제2 아암부재(14,14')가 마련되는데, 이때 제1 아암부재(12,12')와 제2 아암부재(14,14')가 상호 축(13) 결합되는 중간의 수평부분을 통해 양 아암부재를 관통하도록 나착 끼움 처리되어 일 측은 고정너트(15)로 고정되며, 타 측은 노브핸들(16)이 고정된 스크류부(17)가 제공되어 있어 작업자가 필요에 따라 노브핸들(16)을 적절히 나착 회동시켜 줌으로 각 제1 아암부재(12,12')와 제2 아암부재(14,14')의 인위적인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아암부재(14,14')의 상단으로는 콘크리트 타설시의 높이 기준을 위해 일자형의 수평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18)가 제공되어 있어 베이스플레이트(11)와 한 쌍으로 상호 대칭되는 형상을 갖는데, 전술한 제2 아암부재(14)(14') 와는 역시 고정 브라켓트(18a)와 축(13)결합된 구성을 가진다.
또한, 어퍼 플레이트(18)의 선단 일 측으로는 돌출된 걸림판(18b)이 형성되어 있으며, 평면 타측으로는 취부 기능을 갖도록 절곡된 형상의 클램핑 블록(19)이 마련되어 상호 체결 보울트(20)로 긴밀하게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첨부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의 구조를 갖는 수평기(10)가 슬라브(1)의 플레이트 패널(3)에 고르게 설치되어지는 것인데, 이후 상기의 수평상태 유지후 기성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 콘크리트는 상기 수평기(10)의 어퍼 플레이트(18)를 수평선상의 기준면으로 하여 콘크리트의 수평 높이를 맞추어 주는 제 3과정이 마련되고, 이후 상기 콘크리트가 양생됨과 동시에 설계도에 따라 첨부도면 제 7도에서와 같이 외벽이 아닌 공간 구획용 내력벽의 거푸집(30)을 축조하게 되는 데, 거푸집(30)이 200mm 정도의 폭을 유지한 채 좌/우로 수직 입설됨에 있어서, 각 수평기(10)의 어퍼 플레이트(18)상에는 먼저 직각의 기준부재(21)가 걸림판(18b)과 클램핑 블록(19)사이에 위치 고정된 상태로 대기되었다가 상기 기준 부재(21)의 상단으로 거푸집(30)이 수직으로 위치되도록 설치되어 상호 긴밀하게 체결토록하는 제 4과정을 거치게 되는 데, 이와 같은 정확한 수직면의 기준을 위하여 클램핑 블록(19)의 상단으로는 수직레벨기를 포함하고 있는 수직의 서포트 브라켓트(22)를 역시 체결 보울트(20)로 고정한다.
상기 서포트 브라켓트(22)는 일정높이를 갖는 수직의 고정판(23)과, 상기 고정판(23)의 상단 내측 전면으로 일체화된 돌출부재(24)와, 상기 돌출부재(24)와 축(13)결합되는 금속재의 가압판(25)이 제공되는 데, 상기 가압판(25)이 축(13)부위를 기준으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만큼 탄력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돌출부재(24)의 외주면으로는 스프링(26)이 견고하게 끼움 처리되어 가압판(25)의 후면을 견고하게 지지하고 있다.
상기 가압판(25)의 전면으로는 자성체로 이루어져 거푸집(30)의 외면과 정확하게 밀착되면서 가압판(25)과 긴밀하게 일체화되는 마그네트판(27)이 제공됨으로, 결국 거푸집(3)의 축조에 따른 정밀한 수직 상태가 제 5과정을 통해 이루어 지는 데, 허용오차의 범위내에서 거푸집(30)의 수직 상태에 편차가 발생하여도 스프링(26)의 탄력성에 의해 미세 각도로 움직이는 마그네트판(27)으로 인해 정확성을 유지할 수 있게 되며, 수직레벨기로 인해 작업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거푸집(30)의 외측 하단으로는 기준부재(21)의 상단에서 직각으로 밀착된 채 거푸집(30)과 체결되며, 기준부재(21)의 상단에 위치되는 부분은 전술한 클램핑 블록(19)의 선단에 견고하게 취부되는 직각 브라켓트(28)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의 공법 및 구체적인 실시 수단에 따르면, 도 4는 수평기의 서포트 브라켓트의 체결 상태를 통해 콘크리트 타설의 시공상태를 설명해 보인 측 단면도인 바, 상기와 같은 수평기(10)의 설치 과정 후에 슬라브(1)공사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는 데, 그 콘크리트 타설 이전에 이미 인장 및 압축 강도의 향상과 구조적으로 안정된 상태를 위해 설치되는 철근의 배근이 이루어지며, 전원선 및 배관의 적정위치가 선정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전술한 바와같이 타설되는 콘크리트는 어퍼 플레이트(18)의 표면을 기준으로 시공되는 관계로 결국 수평기(10)는 콘크리트 속에 매립되어 어퍼 플레이트(18)의 상부면과 클램핑 블록(19)만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후, 콘크리트의 양성과정을 거쳐 거푸집(30)이 축조되는데, 이를 위하여 최초 수평기(10)를 배치할 때에 설계도 상의 내력벽 위치를 확인하고 그 폭의 좌/우를 기준으로 산정하여 상호 대칭되도록 설치되어야 한다.
물론, 상기 대칭되는 수평기(10)의 클램핑 블록(19)에 거푸집(30)을 취부시킴에 있어서는 그 정확한 수직 상태의 구현을 위해 서포트 브라켓트(22)의 수직 레벨기를 통해 미리 작업자의 확인이 이루어 지며, 이와 같은 설치작업 후에 비로소 내력벽 설치를 위한 콘크리트 타설이 이루어지고 양생됨으로 시공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도 7은 수평기의 작용상태를 도시해 보인 예시도인 데, 스크류부(17)의 회동을 위해 노브핸들(16)이 작업자의 필요에 따라 인위적으로 작동되어 높이 조절이 무리 없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되며, 높이 조절이 완료된 후에는 외부의 압력에 의해 변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도록 별도의 록 너트 등을 통해 향상성을 유지한다.
따라서, 본 고안은 각 건설 현장에 직용되어 간편하면서도 단시간 내에 정확한 수평, 수직상태를 구현할 수 있어 공기 단축과 후속 공정의 작업에 편익을 제공케 되는 데, 슬라브 콘크리트의 타설 예정 높이를 작업 공정의 우선 순위에 두어 시공을 간편히 하였고, 수평성과 벽체의 수직간 정밀도를 향상시키어 구조적인 안정과 동시에 경제성을 높이어 그 효용성을 우수하게 한 것으로 손실자재의 대폭적인 절감을 통해 표준화된 양질의 건축공사가 가능하다.
한편, 본 고안은 그에 관한 최선의 실시예를 들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청구 범위에 국한되어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면 지금까지 설명된 실시예의 변경을 고려해 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상단 좌/우에 축 결합되어 유동될 수 있도록 대칭의 동일 형상으로 마련된 복수의 제1 아암부재와, 상기 제 1 아암부재의 각 상단과 역시 축 결합되어 제1 아암부재와 한쌍의 대칭형상으로 설치되는 제2 아암부재와, 제1 및 제2 아암부재가 상호 축결합되는 부분이 선택되어 양 아암부재와 나착 결합되어 회동함으로서 제1 및 제2 아암부재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스크류부와, 상기 제2 아암부재의 상단이 축 결합되고 단일 수평면을 형성하는 어퍼 플레이트와, 어퍼 플레이트 상단 일 측에 체결되는 클램핑 블록과, 상기 클램핑 블록에 조립 체결된 채 내벽의 거푸집에 수직 상태로 부착되어 거푸집 축조의 정확한 수직 기준면을 제공하도록 수직레벨기가 포함되는 서포트 브라켓트로 조합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트는 일정 높이를 갖는 수직의 고정판과, 상기 고정판의 상단 내측 전면에 일체화된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와 축결합되는 금속재의 가압판을 제공하되 상기 가압판이 축부위를 기준으로 허용되는 오차의 범위만큼 탄력적으로 유동될 수 있게 돌출부재의 외주면으로 스프링이 견고하게 끼움 처리되어 가압판의 후면을 지지한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KR2020000009385U 2000-04-03 2000-04-03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KR20020837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85U KR200208378Y1 (ko) 2000-04-03 2000-04-03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00009385U KR200208378Y1 (ko) 2000-04-03 2000-04-03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8378Y1 true KR200208378Y1 (ko) 2000-12-15

Family

ID=196500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09385U KR200208378Y1 (ko) 2000-04-03 2000-04-03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837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6219A (zh) * 2022-06-13 2022-08-05 广东恒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墙板安装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56219A (zh) * 2022-06-13 2022-08-05 广东恒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墙板安装装置
CN114856219B (zh) * 2022-06-13 2024-02-13 广东恒辉建设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预制墙板安装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804B2 (en) Structural lintel assembly and building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US7062885B1 (en) Foundation wall, construction kit and method
KR20110128396A (ko) 커플러를 콘크리트에 사전 매입하는 앵커링 공법
CA2602765A1 (en) Permanent standardised pre-fastening system for civil construction
JP4982217B2 (ja) 設備用基礎構造体
CN110863674B (zh) 一种集成装配式钢结构建筑
KR200208378Y1 (ko)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CN218374567U (zh) 一种可定位可免抹灰的alc墙板加固结构
KR100338653B1 (ko)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의 시공 공법
EP1561874A1 (en) Connecting device and node for buildings with prefabricated elements
CN113216449A (zh) 预制混凝土干式连接方法及预制混凝土墙体
JP4039987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躯体を用いた建築物並びにその建設工法
JP2931761B2 (ja) 外壁材取付用固定装置及び同固定装置を用いた中・高層建築物の積層工法
JP2003082852A (ja) 型枠保持具
CN115234004B (zh) 单根悬挑h型钢梁三侧外挂装配式墙板施工方法及结构
JP3244102U (ja) スチールハウスの基礎構造およびそれに用いるアンカーセット
JP3563128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構造及び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基礎並びに基礎の施工方法
KR100753617B1 (ko)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BRPI0804170A2 (pt) sistema modular de construções industrializadas bipartidas longitudinalmente
JP2023151597A (ja) ユニット構造物及びユニット構造物施工方法
JPH10131460A (ja) 化粧材打込み床板と床板の施工方法
JP2002364139A (ja) 鉄骨階段取付金物及び取付け装置並びに取付け方法
KR200368283Y1 (ko) 철골 계단 시공 구조
JP3026929B2 (ja) ポーチユニット及びその施工方法
WO2019222895A1 (zh) 免拆模建筑及其建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