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753617B1 -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753617B1
KR100753617B1 KR1020060027075A KR20060027075A KR100753617B1 KR 100753617 B1 KR100753617 B1 KR 100753617B1 KR 1020060027075 A KR1020060027075 A KR 1020060027075A KR 20060027075 A KR20060027075 A KR 20060027075A KR 100753617 B1 KR100753617 B1 KR 1007536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anel
interior
support
construction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270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원병욱
Original Assignee
원병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병욱 filed Critical 원병욱
Priority to KR10200600270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536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53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53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0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the wal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2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 E04F13/082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the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located in-between two adjacent covering elements engaging side holes preformed into the cover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는 특히,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과 분리되어 높이방향에서 연직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제1유격부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제2유격부를 통하여 연결되면서 일정규격으로 절단되는 내,외장재 패널을 지지토록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이에 따라서, 내,외장재 패널을 시공에 따른 공기를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정확한 규격으로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이 가능하여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
브라켓, 유격부, 벽면, 프레임

Description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a working system for pannel in use interior and exterior finishing and working method therof}
도1은 종래의 석재판넬 고정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시스템을 도시한 사시도 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시스템을 도시한 측면도 이다.
도4a,b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이다.
도5a,b,c는 각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패널 시공시스템을 도시한 평면도 및 사이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프레임 110...밀착면
230a...요철부 310...하중지지앵글
330...고정앵글 500...벽면
550..내,외장재 패널
본 발명은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로는,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과 분리되어 높이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에 제1유격부를 통하여 연결되는 복수의 제1브라켓 및 상기 제1브라켓에 제2유격부를 통하여 연결되면서 일정규격으로 절단되는 내,외장재를 지지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져 내,외장재 패널을 시공에 따른 공기를 현저히 단축 시킬 수 있도록 하는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은 방수나 습도조절 및 단열을 위하여 벽면의 외부에 외장재 패널을 벽면의 내측에 내장재 패널을 시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외장재 패널로는 소정의 규격으로 절단된 석재패널이나, 범랑등이 사용되고 있으며, 내장재 패널로는 석재패널 및 석고보드등이 사용되어 지고 있다.
계속하여, 상기 석재판넬의 부착은 벽면에 매립되는 앵커볼트에 앵글 등의 석재판넬 고정부품을 연결한 후 이에 연결되는 핀 등을 통하여 석재판넬을 고정하고, 상기 석재판넬 사이에는 통상 시멘트 몰탈 또는 에폭시 수지 등 의 바인더를 도포하여 공간을 커버링하게 된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되어 석재판넬 고정구조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구성은 도1에서와 같이, 벽면에 매립되는 앵커볼트(3)를 통하여 체결구멍(11)이 형성되는 기초바(1)를 결합하고, 상기 기초바(1)에는 세로장공(21)이 구비되는 앵글(2)을 체체결부재(5)로서 연결하며, 상기 앵글(2)을 통하여 석재패널(4)을 지지토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석재판넬 고정구조는, 벽면에 기초바(1)에 밀착되어 벽면의 시공상태에 대응되어 석재판넬(4)의 시공위치가 결정되어 정확한 시공시 석재판넬(4)의 연결시마다 각각의 앵글(2)의 결합위치를 조정하여야 하여 시공에 따른 시간이 현저히 증가하게 됨은 물론 정확한 시공이 힘들게 된다.
또한, 상기 앵글(2)에는 세로장공(21)만이 구비되어 현장의 시공여건에 따라 앵글의 위치를 다양하게 변경시켜 적용할 수 없게 되어 작업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외장재 패널의 조립위치를 항상 정확하게 위치결정시키도록 하고, 작업자의 숙련도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규격으로 조립이 가능토록 하며,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현장 여건에 따라 패널의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하며, 정확한 규격으로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이 가능하여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건축물의 내벽 및 외벽과 분리되어 높이방향에서 실질적으로 수직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제1유격부를 통하여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의 제1브라켓;
상기 제1브라켓에 제2유격부를 통하여 연결되면서 일정규격으로 절단되는 내 ,외장재 패널을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제2브라켓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벽면과 분리되어 실질적으로 수직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준비한 후 상기 프레임에 내,외장재 패널을 지지하는 브라켓을 연결하고, 상기 브라켓에 내,외장재 패널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프레임(100)과 제1브라켓(200) 및 상기 제1브라켓(200)에 연결되면서 패널(550)을 고정하는 제2브라켓(300)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 프레임(100), 건축물의 내,외측 벽면(500)과 분리되어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을 유지토록 설치되고, 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면(110)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은, 저면에 기초콘트리트(미도시)의 앵커볼트(530)가 조립되는 지지베이스(150)가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은, 밀착면(110)에는 수평 및 수직방향을 향하는 하나이상의 장방형의 슬롯(170a)(170b)으로 이루어진 제1유격부(170)가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제1브라켓(200)은, 상기 프레임(100)의 밀착면(110)에 적어도 한면이상 이 연결토록 형성되는 제1지지면(210)과 제2브라켓(300)이 밀착되는 제2지지면(230)이 일체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2지지면(210)(230)에는 수평 및 수직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장방형의 슬롯(270a)(270b)으로 이루어진 제2유격부(270)가 일체로 각각 구비된다.
상기 제2브라켓(300)은, 제2지지면(230)에 밀착되는 복수의 하중지지앵글(310)과 복수의 고정앵글(330)로서 석재패널(550)의 상하면에서 지지토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중지지앵글(310)은, 일측이 제2지지면(230)의 상단에 걸어지는 후크부(310a)가 구비되며, 상기 후크부(310a)에 연결되어 패널(550)을 지지하도록 고정핀(310b-1)이 돌출되는 하중지지면(310b)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앵글(330)은, ㄴ자 형상으로 그 일측에 수평 및 수직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장방형 슬롯(370a)(370b)으로 이루어진 제3유격부(370)가 구비되어 고정볼트(350)로서 제2지지면(230)에 체결되고, 타측에 패널(550)을 고정하는 고정핀(330a)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하중지지앵글(310) 및 고정앵글(330)은 별도의 고정핀이 필요없이 그 일단이 절곡되어 고정핀의 역활을 수행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2지지면(230)의 상단에 요철부(230a)가 구비되고, 이에 대응토록 하중지지앵글(310)의 후크부(310a)에 노치부(310a-1)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도면부호 570은, 체결부재이며, 상기 체결부재(570)를 통하여 패널 (550)의 전방에 장식패널(550A)가 더 장착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 진 본 발명의 동작을 본원발명의 시공방법 순서에 의해 설명한다.
도2 내지 도5에서와 같이 본원발명은 먼저, 벽면(500)과 분리되어 실질적으로 연직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프레임을 준비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저면이 기초콘크리트(510)의 상부면에 측량을 통하여 실질적으로 연직방향에 위치토록 앵커볼트(530)로서 연결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해 건출물의 축조상태에 상관없이 건축물의 벽면(500) 외측에 항상 일정한 상태로 패널(550)의 시공이 가능토록 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에 제1,2브라켓(200)(300)을 연결할 경우 별도의 위치결정작업이 없이도 벽면의 전방에 연직을 향하도록 위치결정되는 프레임에 의해 브라켓을 통하여 연결되는 패널(550)이 항상 정 위치에 연결토록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100)은, 벽면(500)을 따라 소정간격으로 배치되어 이에 내,외장용 패널(550)을 지지하는 제1,2브라켓(200)(300)이 장착된다.
이때, 상기 프레임(100)은 제1,2브라켓(200)(300)을 미리 장착하여 현장에 프레임(100)을 연직방향으로 설치할 때 이에 내,외장용 패널(550)만을 연결하여도 되며, 프레임(100)의 설치 후 패널(550)을 지지하는 제1,2브라켓(200)(300)을 연결할수 도 있다.
본원발명은, 근본적으로 프레임(100)만을 수직 방향으로 설치하면 이에 패널(550)을 연결할 경우 별도의 패널 위치결정작업이 불필요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는 것이나, 시공상의 요인에 의해 소정간격으로 이동할 경우 프레임(100)과 제1,2브라켓(200)(300)에 설치되는 유격부를 통하여 소정거리만큼 이동시켜 패널을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5c에서와 같이 상기 제1브라켓(200)은 복수의 프레임(100) 양면에 밀착되어 연결되어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온다.
계속하여,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제1브라켓(200) 및 제2브라켓(300)은 이에 대응토록 각각 설치되는 제1,2,3유격부(170)(270)(370)를 통하여 가로방향 및 세로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토록 되어 소정간격의 유격 및 거리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게 된다.
또한, 본원발명의 패널(550)에는 드릴이나 글라인더등을 이용하여 고정홀을 형성한 후 이에 대응되는 고정핀등을 통하여 제2브라켓(300)의 하중지지앵글(310) 및 고정앵글(330)이 지지된다.
이때, 상기 하중지지앵글(310)은 그 일단에 후크부(310a)가 형성되어 제1브라켓(200)의 제2지지면(230) 상단에 걸어짐으로서 중량물을 패널(550)을 지지할 때 그 하중을 제2지지면(230)을 통하여 프레임(100)에 전달하게 된다.
한편, 상기 후크부(310a)는 지지면과의 접촉면에 별도의 스페이서(미도시)가 더 구비되어 미끄러지는 현상을 방지토록 한다.
그리고,도5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지지면(230)의 상단에는 요철부(230a)가 구비되어 이에 하중지지앵글(310)에 형성되는 노치부(310a-1)가 접촉되어 측면으로 미끄럼 없이 패널(550)을 견고하게 지지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패널(550)의 상하단부에서 지지되는 고정앵글(330)을 브라켓에 고정한 후 저부에서 지지하는 하중지지앵글(310)의 후크부를 지지면에 끼우는 구성으로 패널의 시공이 용이하게 이루어 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프레임(100)에 연결되는 제1브라켓(200)은 프레임의 내측 및 외측면의 일부에서 밀착면(110)과 제1지지면(210)을 통하여 밀착되는 구성으로 다양하게 변화시켜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석재패널의 조립위치를 항상 정확하게 위치결정하고, 작업자의 숙련도 여부에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규격으로 조립이 가능하며, 석재패널의 시공작업을 신속하게 수행하고, 현장 여건에 따라 석재패널의 조립위치를 용이하게 변경하며, 정확한 규격으로 내,외장재 패널을 시공하여 패널의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상승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이다.

Claims (7)

  1. 건축물 내,외측의 벽면(500)과 분리되어 지면과 실질적으로 수직방향을 유지토록 설치되고, 지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밀착면(110)이 구비되는 프레임(100);
    상기 프레임(100)의 밀착면(110)에 적어도 한면 이상이 연결토록 형성되는 제1지지면(210)과 제2브라켓(300)이 밀착되는 제2지지면(230)이 일체로 연결되는 제1브라켓(200); 및,
    패널(550)을 그 상하면에서 지지토록 제2지지면(230)에 연결되는 복수의 하중지지앵글(310)과 고정앵글(330)로서 이루어 지는 제2브라켓(30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0)은, 기초콘크리트의 앵커볼트(530)가 조립되는 지지베이스(150)가 일체로 연결되며,
    밀착면(110)에 수평 및 수직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장방형의 슬롯(170a)(170b)으로 이루어진 제1유격부(170)가 복수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200)은, 제1,2지지면(210)(230)에 수평 및 수직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장방형의 슬롯(270a)(270b)으로 이루어진 제2유격부(270)가 각각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300)은, 일측이 제2지지면(230)의 상단에 걸어지는 후크부(310a)가 구비되면서 상기 후크부(310a)에 연결되어 패널(550)을 지지하도록 고정핀(310b-1)을 갖는 하중지지면(310b)이 형성되는 하중지지앵글(310)과,
    일측에 수평 및 수직방향을 향하는 하나 이상의 장방형 슬롯(370a)(370b)으로 이루어진 제3유격부(370)가 구비되어 고정볼트(350)로서 제2지지면(230)에 체결되면서 타측에 패널(550)을 고정하는 고정핀(330a)이 설치되는 고정앵글(330)로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5. 제1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300)은, 패널에 지지되는 고정핀의 역활을 수행토록 하중지지앵글(310) 및 고정앵글(330)의 일단이 절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200)의 제2지지면(230)의 상단에 요철부(230a)가 더 구비되고, 이에 대응토록 하중지지앵글(310)의 후크부(310a)에 노치부(310a-1)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7. 삭제
KR1020060027075A 2006-03-24 2006-03-24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0753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075A KR100753617B1 (ko) 2006-03-24 2006-03-24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27075A KR100753617B1 (ko) 2006-03-24 2006-03-24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53617B1 true KR100753617B1 (ko) 2007-08-29

Family

ID=38615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27075A KR100753617B1 (ko) 2006-03-24 2006-03-24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536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89B1 (ko) 2008-12-10 2010-08-30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355A (ja) * 1993-04-30 1994-11-08 Doukou Sangyo:Kk 建築物の壁構造
JPH07150729A (ja) * 1993-11-26 1995-06-13 Abc Trading Co Ltd 外装パネルの固定部材
KR950029497A (ko) * 1994-04-11 1995-11-22 송수해 판넬의 조립식 설치방법
KR0129212Y1 (ko) * 1995-05-15 1998-12-15 성재갑 조립식 욕실용 벽체와 그 조립용 브라켓
JPH11293831A (ja) * 1998-04-07 1999-10-26 Kajima Corp 構築物躯体壁面へのパネル取付け構造
KR200220916Y1 (ko) * 2000-11-04 2001-04-16 이기용 커튼월의 외벽패널 설치구조
KR200317808Y1 (ko) * 2003-04-03 2003-06-25 이정훈 노출 콘크리트 패널 고정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13355A (ja) * 1993-04-30 1994-11-08 Doukou Sangyo:Kk 建築物の壁構造
JPH07150729A (ja) * 1993-11-26 1995-06-13 Abc Trading Co Ltd 外装パネルの固定部材
KR950029497A (ko) * 1994-04-11 1995-11-22 송수해 판넬의 조립식 설치방법
KR0129212Y1 (ko) * 1995-05-15 1998-12-15 성재갑 조립식 욕실용 벽체와 그 조립용 브라켓
JPH11293831A (ja) * 1998-04-07 1999-10-26 Kajima Corp 構築物躯体壁面へのパネル取付け構造
KR200220916Y1 (ko) * 2000-11-04 2001-04-16 이기용 커튼월의 외벽패널 설치구조
KR200317808Y1 (ko) * 2003-04-03 2003-06-25 이정훈 노출 콘크리트 패널 고정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8389B1 (ko) 2008-12-10 2010-08-30 주식회사 백림종합건축사사무소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21211B1 (ko) 내/외장재 패널 및 그 시공방법
KR100991851B1 (ko) 조적조의 내진보강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20220195735A1 (en) Architectural bracket, building wall structure, and plank member construction method
US20140083043A1 (en) Carbon fiber wall reinforcement system and a method for its use
KR101129697B1 (ko) 건축외장재 설치용 고정구
WO2008113207A1 (fr) Panneau mural extérieur et son procédé de montage
KR101090852B1 (ko) 내/외장 패널 고정장치
KR20090020294A (ko) 외장 석재 시공용 고정구
EP3033461B1 (en) Primary and intermediate horizontal leveler
KR100753617B1 (ko)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CN112020590B (zh) 建筑用部件
JP4982217B2 (ja) 設備用基礎構造体
KR100978389B1 (ko) 내/외장 패널 설치용 어셈블리
JP2009068307A (ja) 基礎石に立設した柱の補強装置
KR102231973B1 (ko) 세라믹 외장재의 결합장치
KR101472860B1 (ko) 타일 부착용 고정구
KR101486849B1 (ko) 건축물 벽면장식용 석재 시공방법 및 브라켓트 구조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US20240159060A1 (en) Lining board arrangement and method for mounting said arrangement
RU2184196C1 (ru) Регулируемая опора для строитель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KR20010105325A (ko) 미장용 레벨
KR200257131Y1 (ko) 일체형 4각 바 경량 벽체 시스템
KR200208378Y1 (ko)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KR200201271Y1 (ko) 미장용 레벨
KR100188808B1 (ko) 주택용 발코니와 베란다에 샤시를 설치하기 위한 시공장치와 그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