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5325A - 미장용 레벨 - Google Patents

미장용 레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5325A
KR20010105325A KR1020010043401A KR20010043401A KR20010105325A KR 20010105325 A KR20010105325 A KR 20010105325A KR 1020010043401 A KR1020010043401 A KR 1020010043401A KR 20010043401 A KR20010043401 A KR 20010043401A KR 20010105325 A KR20010105325 A KR 200101053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ering
level
horizontal
thickness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43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0059B1 (ko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임충수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충수,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filed Critical 임충수
Priority to KR10-2001-0043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0059B1/ko
Publication of KR200101053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53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0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02Conveying or working-up concrete or similar masses able to be heaped or cast
    • E04G21/10Devices for levelling, e.g. templates or bo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장용 레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이트 또는 벽돌, 블록 등으로 축조되는 각종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몰탈등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미장공사를 할 시에 미장바탕면에 따라 부착 설치하여서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정밀하게 맞춰 작업능률 향상과 정밀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미장용 레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구성상의 특징은; 벽이나 바닥의 미장바탕면(1)에 부착되는 부착판(11)을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11) 상부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선(12a)이 형성된 고정기둥(12)을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고정기둥(1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조절볼트(21)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볼트(21)의 상부에는 레벨판(22)을 형성한 조절부(20)를 형성하여 바탕면에 따라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미장용 레벨{LEVEL FOR A PLASTER}
본 발명은 미장용 레벨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콘크리이트 또는 벽돌, 블록 등으로 축조되는 각종 건축물의 벽면이나 바닥면에 몰탈등의 마감재를 사용하여 미장공사를 할 시에 미장바탕면에 따라 부착 설치하여서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정밀하게 맞춰 작업능률 향상과 정밀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한 미장용 레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건축물의 벽면이나 방통바닥면 등에 몰탈과 같은 각종 마감재를 사용하여 최종 마감작업인 미장공사를 할시에 미장바탕면이 불량하거나 수직,수평도 오차가 심할경우 몰탈,스티로풀,합판 등으로 바탕면에 기준점(일명"아다리"라 함)을 만들어 작업을 하고 있으나, 이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기준점의 탈락 및 파손이 많아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맞추어 작업하는데는 상당한 기술을 요하므로 작업능률이 저조하여 그에 따른 인력소모가 많아 인건비 상승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둘째 기준점의 수직,수평도의 오차가 심해 작업자가 기준점을 보고 대충 눈짐작으로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맞춰 작업을 하게되어 불량시공이 빈번히 발생하여 재시공을 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벽이나 바닥의 바탕면에 따라 부착 설치하여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미장용 레벨을 제공하여서, 첫째 미장 바탕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보다 손쉽고 정확하게 맞출 수 있도록하여 미장작업의 능률을 향상시켜 작업인원을 줄여 인건비를 절감하여 주며, 둘째 미장 시공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의 오차를 줄여 정밀시공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미장바탕면 2: 접착제
10: 고정부 11: 부착판
12: 고정기둥 12a: 나선
20: 조절부 21: 조절볼트
22: 레벨판 30: 접착공
본 발명의 미장용 레벨은 도 1 내지 도 2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벽이나 바닥의 미장바탕면(1)에 부착되는 부착판(11)을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11) 상부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선(12a)이 형성된 고정기둥(12)을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고정기둥(1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조절볼트(21)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볼트(21)의 상부에는 레벨판(22)을 형성한 조절부(20)를 형성하여 미장바탕면(1)에 따라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기술구성상의 특징으로한다.
즉, 이와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각종 건축물의 벽이나 바닥의 미장바탕면(1)에 고정부(10)에 형성된 부착판(11)을 접착제(2)로 견고하게 부착 고정한 다음, 조절부(20)로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조절하여 정확히 맞춘후에 미장공사를 하도록 하여서, 작업을 용이하게 함은 물론이고, 미장면을 정밀하게 시공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도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기술내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고정부(10)는 합성수지로서 성형되어 그 하부에 일정 두께 폭을 가지는 소정의 단면형상으로 부착판(11)을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11) 상부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선(12a)이 형성된 고정기둥(12)을 일체로 형성하여서 미장바탕면()에 부착 고정되는 기능을 수행하게된다.
이러한 고정부(10)는 도 1 내지 도 2 의 도시와 같이 건축물의 벽이나 바닥의 미장바탕면(1)에 접착제(2)로서 견고히 부착고정되어 고정부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감당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고정부(10)의 부착판(11)에 도 2의 도시와 같이 다수개의 접착공(30)을 형성하여서 부착력을 증대시켜 미장바탕면(1)에 상기 고정부(10)를 더욱 견고하게 부착시킬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조절부(20)는 상기 고정부(10)의 고정기둥(1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소정 길이를 갖는 조절볼트(21)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볼트(21)의 상부에는 소정 두께와 폭을 가지는 레벨판(22)을 형성하여서 미장바탕면(1)에 따라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하게된다.
즉, 도 2 의도시와 같이 벽이나 바닥의 미장바탕면(1)에 부착 고정되어 있는 고정부(10)의 고정기둥(12)에 삽입되어 있는 조절볼트(21)를 조절하여 시공 할 미장면의 두께를 감안하여 수직,수평도를 정밀하게 설정하여 주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미장용 레벨을 벽이나 바닥의 미장바탕면(1)을 체크한 후에 일정 간격마다 상기 고정부(1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부착판(11)에 접착제(2)를 발라 부착 고정시킨다. 다음 상기 조절부(20)를 조절하여 시공할 미장면의 두께를 감안하여 수직,수평을 정밀하게 설정한다. 다음 상기 미장바탕면(1)으로 부터 상기 조절부(20)의 레벨판(22)표면과 일치하게 초벌미장을 한다. 다음 정벌미장을 하여 미장공사를 완료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정벌미장시 상기 조절부(20)의 레벨판(22)의 표면에서 미장면이 탈락 될 우려를 방지하기 위해 도 2 의 도시와 같이 상기 레벨판(22)에 다수개의접착공(30)을 형성하는게 바람직하다.
이와같이 구성되고 실시되는 본 발명의 미장용 레벨은 각종 건축물의 벽이나 바닥의 미장바탕면에 따라서 일정 간격마다 부착 고정되어 시공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정밀하게 조절하여 맞출수 있도록 함으로써, 미장작업을 능률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며, 미장면의 정밀성을 극대화 시켜 정밀시공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여주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Claims (2)

  1. 벽이나 바닥의 미장바탕면(1)에 부착되는 부착판(11)을 하부에 형성하고 상기 부착판(11) 상부중앙에는 내주면에 나선(12a)이 형성된 고정기둥(12)을 일체로 형성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고정기둥(12)에 삽입되어 상하 이동되도록 조절볼트(21)를 형성하고 상기 조절볼트(21)의 상부에는 레벨판(22)을 형성한 조절부(20)를 형성하여 바탕면에 따라 미장면의 수직,수평도 및 두께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레벨.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판(11)과 상기 레벨판(22)에 접착공(30)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장용 레벨.
KR10-2001-0043401A 2001-07-19 2001-07-19 미장용 레벨 KR1003900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01A KR100390059B1 (ko) 2001-07-19 2001-07-19 미장용 레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43401A KR100390059B1 (ko) 2001-07-19 2001-07-19 미장용 레벨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00013657U Division KR200201271Y1 (ko) 2000-05-15 2000-05-15 미장용 레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5325A true KR20010105325A (ko) 2001-11-28
KR100390059B1 KR100390059B1 (ko) 2003-07-12

Family

ID=45814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43401A KR100390059B1 (ko) 2001-07-19 2001-07-19 미장용 레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005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463B1 (ko) * 2018-01-19 2018-08-23 문재권 벽체 미장용 레벨봉
CN110485682A (zh) * 2019-08-05 2019-11-2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成品灰饼及其安装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39210B1 (ko) 2021-10-28 2023-06-13 주식회사 동행 몰탈 또는 시멘트를 이용한 바닥시공시 수평 및 구배 정밀 맞춤 보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463B1 (ko) * 2018-01-19 2018-08-23 문재권 벽체 미장용 레벨봉
CN110485682A (zh) * 2019-08-05 2019-11-22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成品灰饼及其安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0059B1 (ko) 2003-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602765C (en) Permanent standardised pre-fastening system for civil construction
KR100390059B1 (ko) 미장용 레벨
KR100998734B1 (ko)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수평유지부재 및 그 설치 구조
KR200201271Y1 (ko) 미장용 레벨
EP1726728B1 (en) Method of erecting a partition wall integrated with a concrete floor
CN113802927A (zh) 一种装配式墙体
GB2483660A (en) Shower floor installation
KR200358628Y1 (ko) 타일 또는 석재판넬 시공용 간격유지구
KR100737995B1 (ko) 천장 마감재 설치용 인서트
KR200247957Y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100414677B1 (ko) 조립식 패널 설치 시스템
KR200193188Y1 (ko) 가설구조용 빔 받침대
KR200375116Y1 (ko) 천정판 설치용 연결거푸집
KR200291118Y1 (ko) 고정용 날개가 장착된 지수판
KR100753617B1 (ko) 내,외장재 패널의 시공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200370235Y1 (ko) 건물외벽의 돌출무늬 성형용 조립식 거푸집
KR100462148B1 (ko) 천장틀
KR200415591Y1 (ko) 슬래브 공사용 유로폼
RU91091U1 (ru) Плита бетонная фасадная
KR20010059641A (ko) 콘크리트 구조물용 코너성형부재
KR100354717B1 (ko) 일체형 벽을 사용한 조립식 욕실
KR20100124577A (ko) 콘크리트 바닥 시공용 조인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콘크리트 바닥 시공방법
KR20040091806A (ko) 계단구축용 디딤블록
KR200208378Y1 (ko) 콘크리트 건축구조물에 적용되는 슬라브 및 내력벽용 시공장치
KR200241818Y1 (ko) 상층부 벽체거푸집용 기준목 받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8 Du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2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9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