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592B1 -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592B1
KR100188592B1 KR1019960022913A KR19960022913A KR100188592B1 KR 100188592 B1 KR100188592 B1 KR 100188592B1 KR 1019960022913 A KR1019960022913 A KR 1019960022913A KR 19960022913 A KR19960022913 A KR 19960022913A KR 100188592 B1 KR100188592 B1 KR 100188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uel tank
valve
fuel
flow path
can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1133A (ko
Inventor
김완태
Original Assignee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정열,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류정열
Priority to KR1019960022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592B1/ko
Publication of KR980001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113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5/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fuel supply of combustion engines or other fuel consuming energy converters, e.g. fuel cells; Mounting or construction of fuel tanks
    • B60K15/03Fuel tanks
    • B60K15/035Fuel tanks characterised by ve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차체(B)에 캡(1B)이 개폐되는 연료주입구(1A)를 가진 연료탱크(1)와, 연료주입구(1A)의 소정위치에 연료탱크(1)내에 수용된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 컷밸브(2)와, 연료탱크(1)에 베이퍼밸브(4)와 베이퍼밸브(4)와 엔진(20)사이에 유로(L)를 설치하여 이 유로(L)에 캐니스터(13)와 퍼지밸브(19)를 설치하여 연료탱크(1)내에 수용된 연료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엔진(20)으로 유입되어 완전연소될 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의 상부에 롤오버밸브(3)와 베어피밸브(4)을 설치하고, 각 밸브(3)(4)에는 유로 A(5)를 연결설치하여 이 선단에 연료탱크압력센서(6)를 설치하며, 유로 A(5)의 소정위치와 컷밸브(2)사이에는 유로 B(7)를 연결시키고, 컷밸브(2)에는 별도의 유로 D(9)를 분기시켜 캐니스터(13)와 연결시키며, 유로 D(9)에는 오리피스(10)와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11) 및 이와 분기된 부위에 2웨이체크밸브(12)를 설치하고, 캐니스터(13)에는 에어라인(14)과 에어라인(14)에 에어필터(15)와 캐니스터크로스밸브(16)를 설치하며, 캐니스터(13)와 엔진(20)사이에는 유로 E(17)를 설치하여 캐치탱크(18)와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설치한 것으로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용이하게 공급시켜 완전연소시킴에 따라 증발가스에 함유된 HC가스의 외부배출방지에 따른 인체 및 환경피해를 방지하고, 연료의 공급시 공칭연료의 신뢰성을 높이며, 차량의 전복시 롤오버밸브의 차단에 따른 연료의 누출을 방지하여 화재 및 2차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북미지역에서 적용중인 법규규제에 대한 대응력을 갖출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본 발명은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연료주입구가 설치된 연료탱크에 롤오버밸브(Roll Over Valve)와 베이퍼(Vapor Valve)를 설치하고, 각 밸브에는 연료탱크압력센서(Fule Tank Pressure Sensor)와 유로 A로 연결시키며, 연료주입구와 연료탱크사이에는 유로 C를 연결형성하고, 컷밸브와 공기유입구가 구비된 캐니스터(Canister)사이에는 유로 D의 소정위치에는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Fule Tank Pressure Control Valve)와 2웨이체크밸브(2Way Check Vavle)를 설치하며, 캐니스터와 엔진사이에는 유로 E를 연결시켜 유로 E의 소정위치에 캐치탱크(Catch Tank)와 퍼지솔레노이드밸브(Purge Solenoid Valve)를 설치하여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유입시켜 완전연소시킬 수 있게 하고, 차량의 전복시 롤오버밸브를 차단시켜 연료의 누출을 방지한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연료탱크는 차체 내에 설치되어 엔진과 연결시키고, 연료탱크에는 엔진의 내연기관을 구동시킬 수 있는 연료인 가솔린을 수용시키도록 한다.
상기 연료탱크에 수용된 연료는 인체와 환경에 유해한 증발가스인 HC가스(탄화수소가스)등이 연료탱크 내에서 발생됨에 따라 이를 제거시키기 위하여 활성탄을 구비한 캐니스터를 연료탱크와 엔진에 연결된 유로에 설치하여 연료탱크에서 캐니스터로 유입된 증발가스가 활성탄에 흡착된 상태에서 ECU의 제어신호를 받아 열려진 퍼지솔레이노이드밸브를 통해 엔진의 부압으로 엔진의 연소실에 유입시켜 완전연소시킬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전복시에는 연료탱크에 수용된 연료의 누출을 차단시켜 전복사고 이후의 2차안전사고인 차량의 방화발생 등을 방지하고자 여러 가지의 방법 또는 장치를 적용시켜 연료의 누출을 방지하는 것이 과제였다.
특히, 최근에는 국내에서 양산된 차량의 북미지역 수출시 증발가스의 규제 및 연료탱크내에 수용되는 ORVR(공칭연료량: 연료탱크내에 실제로 최대한 수용되는 연료의 량)의 신뢰성과 차량의 전복시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법규가 보다 강화되어 있어 이에 대한 완성차량의 법적대응을 적극으로 대처하여 양질의 품질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렇게, 연료탱크내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를 제거시키고, 공칭연료량을 충족시키며, 차량의 전복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종래의 구조를 설명하면, 도면 제4도에서 보는 바와같이 차체(B)의 전방 엔진룸에는 엔진(20)이 설치되고, 차체(B)의 내부 소정위치에는 연료주입구(1A)와, 연료주입구(1A)의 소정위치에 컷밸브(2)를 가진 연료탱크(1)를 설치하며, 연료탱크(1)와 엔진(20)사이에는 연료탱크(1)내의 연료가 엔진으로 공급될 수 있는 유로(L)를 연결설치하고, 유로(L)에는 활성탄을 내부에 구비한 캐니스터(13)와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순차적으로 설치하며, 연료탱크(1)에 연결된 유로(L)에는 체크밸브인 베이퍼밸브(4)를 설치한 것이다.
이러한, 연료탱크(1)에는 엔진(20)의 구동력을 발휘하기 위해 연료를 수용시키면 연료탱크(1)내의 연료에서 증발가스가 발생된다.
이 증발가스는 베이퍼밸브(4)의 개방부를 통해 유로(L)를 통과하고, 유로(L)를 통과한 증발가스는 캐니스터(13)로 유입되어 활성탄에 흡착된다.
활성탄에 흡착된 증발가스는 ECU의 제어작동에 의해 작동하는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통해 엔진(20)의 부압에 따라 엔진(20)의 연소실로 유입되고, 이 연소실에서 연소작동에 의하여 완전연소되어 증발가스를 제어시키도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 증발가스는 오리피시기능의 모세관을 갖는 베이퍼밸브(4)를 통해 엔진(20)으로 유입됨에 따라 연료탱크(1)내의 증발가스가 많이 발생되면 효율적으로 증발가스가 엔진(20)으로 유입되지 못하여 연료탱크(1)내에서 증발가스가 잔류하게 되므로 증발가스의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또한, 연료탱크(1)내에 잔류한 증발가스에 의해 연료탱크(1)내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연료주입건(Gun)을 연료주입구(1A)에 삽입시킨후, 연료의 공급시 증발가스압력이 연료주입건으로 유입되어 압력에 의해 공급장치의 작동이 차단되는 연료주입건의 동작을 정지시킴으로서 연료공급성이 좋지 못하여 공칭연료량의 신뢰성확보가 용이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연료탱크(1)는 차량의 전복시 연료가 베이퍼밸브(4)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어 화재에 의한 2차안전사고가 발생되어 탑승자의 신체안전을 보호할 수 없었다.
전술한 바와같이 종래 기술들은 연료탱크에 설치된 오리피스기능의 모세관을 갖는 베이퍼밸브를 통해 엔진으로 유입되는 증발가스가 연료탱크내에 많이 발생되면 증발가스가 베이퍼밸브를 통해 엔진으로 모두 유입되지 못함에 따라, 연료탱크 내에서의 증발가스 제거가 용이하지 못하였고, 이 증발가스는 연료탱크에 구비한 연료주입구의 개방시 외부로 배출되어 환경공해 및 인체에 유해한 결과를 주는 폐단과, 연료탱크내에 잔류한 증발가스에 의해 연료탱크내의 압력이 상승함에 따라 연료주입구에 연료주입건을 삽입시켜 연료를 주입할 시 증발가스압력이 연료주입건으로 유입되어 연료공급장치의 작동을 차단시키므로서, 연료공급이 좋지 못하여 공칭연료량의 신뢰성확보가 좋지 못하였고, 차량의 전복시 연료탱크내의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한 것으로서, 연료탱크에 연료주입구가 설치된 연료탱크에 롤오버밸브와 베이퍼밸브를 설치하고, 각 밸브에는 연료탱크압력센서와 유로 A로 연결시키며, 유로 A에는 연료주입구에 설치한 공지의 컷밸브와 유로 B를 연결시키며, 연료주입구와 연료탱크사이에는 유로 C를 연결형성하고, 컷밸브와 공기유입구가 구비된 캐니스터 사이에는 유로 D와 유로 D의 소정위치에는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와 2웨이체크밸브를 설치하며, 캐니스터와 엔진사이에는 유로 E를 연결시켜 유로 E의 소정위치에 캐치탱크와 퍼지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를 엔진의 연소실로 유입시켜 완전연소시킴에 따라 HC가스의 외부누출을 방지하고,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제거로 인해 연료공급시 연료의 공급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공칭연료량신뢰도를 높이며, 차량의 전복시 롤오보밸브를 차단시켜 연료의 누출을 방지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도.
제4도는 종래의 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연료탱크 1A : 연료주입구
2 : 컷밸브 3 : 롤오버밸브
4 : 베이퍼밸브 5,7,8,9,17 : 유로 A.B.C.D.E
6 : 연료탱크압력센서 10 : 오리피스
11 :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 12 : 2웨이체크밸브
13 : 캐니스터 14 : 에어라인
15 : 에어필터 16 : 캐니스터크로스밸브
18 : 캐치탱크 19 : 퍼지솔레노이드밸브
20 : 엔진
이하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차량의 차체(B)에 캡(1B)이 개폐되는 연료주입구(1A)을 가진 연료탱크(1)와, 연료주입구(1A)의 소정위치에 연료탱크(1)내에 수용된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 컷밸브(2)와, 상기 연료탱크(1)의 베이퍼밸브(4)와 엔진(20)사이에는 유로(L)를 설치하고, 이 유로(L)에 캐니스터(13)와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설치하여, 연료탱크(1)내에 수용된 연료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엔진(20)으로 유입되어 완전연소될 수 있게 한 것에 있어서, 상기연료탱크(1)의 상부에 롤오버밸브(3)와 베이퍼밸브(4)를 설치하고, 각 밸브(3)(4)에는 유로 A(5)를 연결설치하여, 이 선단에 연료탱크압력센서(6)를 설치하며, 유로 A(5)의 소정위치와 컷밸브(2)사이에는 유로 B(7)를 연결시키고, 컷밸브(2)에는 별도의 유로 D(9)를 분기시켜 캐니스터(13)와 연결시키며, 유로 D(9)에는 오리피스(10)와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11) 및 이와 분기된 부위에 2웨이체크밸브(12)을 설치하고, 캐니스터(13)에는 에어라인(14)과 에어라인(14)에 에어필터(15)와 캐니스터크로스밸브(16)를 설치하며, 캐니스터(13)와 엔진(20)사이에는 유로 E(17)를 설치하여 캐치탱크(18)와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설치한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1도는 본 발명의 적용상태도이고,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의 증발가스배출시스템의 설치상태 구성도로서, 차체(B)의 전방 엔진룸에 엔진(20)을 설치하고, 차체(B)의 소정위치에는 연료탱크(1)와 연료탱크(1)일측에 개폐되는 캡(B)을 가진 연료주입구(1A)와 연료주입구(1A)의 소정위치에 컷밸브(2)를 설치한다.
상기 연료탱크(1)의 상부에는 평상시 개방되고 차량의 전복시 액체연료에 침수되어 가압되면 차단되는 롤오버밸브(3)와, 베이퍼밸브(4)를 설치하고, 각 밸브(3)(4)에는 유로 A(5)를 연결시켜 일단에 ECU가 구비된 연료탱크압력센서(6)를 설치하며, 유로 A(5)의 소정위치에는 유로 B(7)를 분기시켜 상기 컷밸브(2)와 연결설치한다.
상기 연료주입구(1A)의 컷밸브(2)하부와 롤오버밸브(3)의 일측 연료탱크(1)의 상부에는 보조유로인 유로 C(8)를 연결설치한다.
상기 컷밸브(2)에 유로 B(7)와 별도의 라인인 유로 D(9)을 연결시켜 선단에 캐니스터(13)를 설치하고, 유로 D(9)의 소정위치에는 오리피스(10)와 이 일측에 ECU를 갖는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11)와 2웨이체크밸브(12)을 분기시켜 설치하며, 상기 캐니스터(13)에는 내부에 활성탄이 충진되고, 하부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급시키는 에어라인(14)과 이 에어라인(14)에 에어필터(15)와 캐니스터크로스밸브(16)를 설치한다.
상기 캐니스터(13)와 엔진(20)사이에는 유로 E(17)를 연결설치하고, 유로 E(17)에는 캐치탱크(18)와 ECU가 구비된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설치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증발가스배출시스템은 각각의 구성부품이 메인 ECU와 연결되어 각각의 기능제어신호와 ECU의 제어신호를 상호 인가받아 HC가스가 포함된 증발가스를 연소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와같이 된 본 발명의 작용을 상세하게 살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 제3도에서 보는바와같이 연료탱크(1)내의 공칭연료량위치까지 연료가 공급되면 연료에서 발생한 HC가스가 포함된 증발가스가 연료탱크(1)내의 빈공간체적면적에 잔류하게 된다.
이렇게, 연료탱크(1)내에 증발가스가 잔류하게 되면 평상시에 개방되어 있는 롤오버밸브(3)와 항상 개방되어 있는 베이퍼밸브(4)를 통해 연료탱크(1)내의 증발가스가 유로 A(5)로 공급되고, 유로 A(5)에 공급된 증발가스는 유로 B(7)를 통해 컷밸브(2)로 공급된다.
상기 각밸브(3)(4)와 연결된 유로 A(5)의 선단에 설치된 연료탱크압력센서(6)는 연료탱크(1)내의 증발가스압력을 체크하고, 체크압력이 일정압력이상으로 발생되면 이 신호를 메인 ECU로 인가시키고, 메인 ECU에서는 이 신호를 차실내에 설치된 인스트루먼트패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구비한 경고표시부에 인가시켜 이상압력상태를 경고하게 되며, 이 경고신호에 의해 주변에 구비된 이상압력감소장치(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작동하여 연료탱크(1)내의 압력을 감쇄시킬 수 있게 한 것이다.
이러한, 연료탱크(1)에 발생하는 증발가스는 상기 각밸브(3)(4)를 통해 배출되는 동시에 각 밸브(3)(4)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일부의 증발가스는 유로 C(8)를 통해 연료주입구(1A)로 배출되고, 배출되는 증발가스는 주변의 온도변화차이에 의하여 액화된 연료는 연료주입구(1A)의 하부로 흘러 연료탱크(1)내에 리턴 수용되며, 기화된 증발가스는 컷밸브(2)로 공급된다.
상기 컷밸브(2)에 공급된 증발가스는 유로 D(9)를 통해 캐니스터(13)로 공급된다.
이때, 유로 D(9)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오리피스(10)를 통과할 때 압력이 저하되면서 유입되고,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11)는 대기압보다 높게 압력을 가압시킨 상태로 유지하므로서 증발가스의 공급압력을 억제시킴에 따라 캐니스터(13)에 공급된 증발가스가 활성탄에 흡착력이 양호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2웨이체크밸브(12)는 연료탱크(1)와 캐니스터(13)사이의 압력차이에 의하여 개방 또는 차단될 수 있게 하여 증발가스가 캐니스터(13)로 공급 및 연료탱크(1)로 리턴될 수 있게 한다.
즉, 캐니스터(13)의 압력이 일정범위 이하로 발생되면 유로 D(9)내의 증발가스가 연료탱크(1)에서 캐니스터(13)측으로 유입되고, 연료탱크(1)의 압력이 일정범위 이하로 발생되면 증발가스가 연료탱크내로 리턴되게 하므로서, 캐니스터(13)에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유입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캐니스터(13)에 유입된 증발가스가 활성탄에 흡착력을 최대한 좋게하에 엔진(20)으로 공급되는 증발가스의 연소율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이렇게, 캐니스터(13)에 유입되어 엔진(20)으로 공급되는 증발가스는 캐니스터(13)에 설치된 에어라인(14)의 에어필터(15)와 캐니스터크로스밸브(16)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와 혼합된 상태로 유로 E(17)을 통해 캐치탱크(18)로 유입되고, 캐치탱크(18)에 유입된 증발가스는 주변의 고(高), 저(底)온도변화에 따른 증발가스가 액화상태로 변화되면 액화된 연료가 캐치탱크(18)에 수용되어 잔류되게 하고, 기화된 증발가스는 메인 ECU의 제어신호를 받아 개방작동하는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통해 엔진(20)의 연소실로 유입되며, 연소실로 공급된 증발가스는 엔진(20)의 연소작동에 의해 HC가스를 완전연소시켜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캐치탱크(18)에 수용된 액화연료는 주위의 온도변화에 의해 증발가스로 기화되면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통해 엔진(20)의 연소실로 재공급되어 와전연소가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캐니스터(13)의 에어라인(14)에 설치된 에어필터(15)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오염공기를 정화시켜 캐니스터크로스밸브(16)의 작동상태의 원활과 캐니스터(13)로 깨끗한 공기를 유입시키고, 캐니스터크로스밸브(16)는 어느 일정조건하에서 메인 ECU의 제어신호에 의해 모니터(검사)조건이 되면, 일정시간동안 에어라인(14)을 단속시킴에 따라 에어공급을 차단시키며, 에어공급의 차단에 따른 증발가스가 각 유로에서 리크(Leak)가 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기능을 하여, 캐니스터(13)에 유입된 증발가스가 엔진으로 보다 원활하게 공급될 수 있게 한 것이다.
따라서, 연료탱크(1)내에서 발생한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공급시켜 증발가스내에 함유된 HC가스의 완전연소로 인한 HC가스의 외부배출을 방지하고, 연료탱크(1)내로 공급시키는 연료의 주입공급성을 좋게하여 공칭연료량의 신뢰성을 높이며, 차량의 전복시 액체연료에 침수되어 가압력에 의해 차단되는 롤오버밸브(3)를 통해 외부로 누출되는 연료를 차단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북미지역으로 수출되는 차량의 증발가스법규규제와 ORVR(공칭연료)법규규제와 연료의 외부누출에 대한 법규대응에 대처할 수 있도록 연료탱크(1)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을 구성한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연료주입가 설치된 연료탱크에 롤오버밸브와 베이퍼를 설치하고, 각 밸브에는 연료탱크압력센서와 유로 A와 연결시키며, 유로 A에는 연료주입구에 설치한 컷 밸브와 유로 B를 연결시키며, 연료주입구와 연료탱크사이에는 유로 C를 연결형성하고, 컷 밸브와 공기유입구가 구비된 캐니스터 사이에는 유로 D와 유로 D의 소정위치에는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와 2웨이체크밸브를 설치하며, 캐니스터와 엔진사이에는 유로 E를 연결시켜 유로 E의 소정위치에 캐치탱크와 퍼지솔레노이드밸브를 설치하여 연료탱크내의 증발가스를 엔진으로 용이하게 공급시켜 완전연소시킴에 따라 증발가스에 함유된 HC가스의 외부배출방치에 따른 인체 및 환경 피해를 방지하고, 연료의 공급시 공칭연료량의 신뢰성을 높이며, 차량의 전복시 롤오버밸브의 차단에 따른 연료의 누출을 방지하여 화재 및 2차안전사고를 방지하고, 북미지역에서 적용중인 법규규제에 대한 대응력을 갖출 수 있게 한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차량의 차체(B)에 캡(1B)이 개폐되는 연료주입구(1A)을 가진 연료탱크(1)와, 연료주입구(1A)의 소정위치에 연료탱크(1)내에 수용된 연료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한 컷밸브(2)와, 상기 연료탱크(1)의 베이퍼밸브(4)와 엔진(20)사이에 유로(L)를 설치하고, 연료탱크(1)내에 수용된 연료에서 발생하는 증발가스가 엔진(20)으로 유입되어 한 것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의 상부에 롤오버밸브(3)와 베어피밸브(4)을 설치하고, 각 밸브(3)(4)에는 유로 A(5)를 연결설치하여, 이 선단에 연료탱크압력센서(6)를 설치하며, 유로 A(5)의 소정위치와 컷밸브(2)사이에는 유로 B(7)를 연결시키고, 컷밸브(2)에는 별도의 유로 D(9)를 분기시켜 캐니스터(13)와 연결시키며, 유로 D(9)에는 오리피스(10)와 연료탱크압력콘트롤밸브(11) 및 이와 분기된 부위에 2웨이체크밸브(12)를 설치하고, 캐니스터(13)에는 에어라인(14)과 에어라인(14)에 에어필터(15)와 캐니스터크로스밸브(16)를 설치하며, 캐니스터(13)와 엔진(20)사이에는 유로 E(17)를 설치하여 캐치탱크(18)와 퍼지솔레노이드밸브(19)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오버밸브(3)는 평상시에는 유로가 개방되고, 액체연료에 침수되어 가압되면 유로가 차단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1)의 상부와 연료주입구(1A)사이에는 연료탱크(1)내에 증발가스가 각 밸브(3)(4)를 통해 배출되지 못한 증발가스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보조유로인 유로 C(8)를 연결설치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치탱크(18)는 유로 D(9)로 유입된 혼합증발가스가 주변의 온도에 의해 액화된 연료를 저장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KR1019960022913A 1996-06-21 1996-06-21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KR100188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913A KR100188592B1 (ko) 1996-06-21 1996-06-21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2913A KR100188592B1 (ko) 1996-06-21 1996-06-21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133A KR980001133A (ko) 1998-03-30
KR100188592B1 true KR100188592B1 (ko) 1999-06-01

Family

ID=1946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913A KR100188592B1 (ko) 1996-06-21 1996-06-21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85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24B1 (ko) * 2008-06-30 2011-01-2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누출 감지장치
KR20160131234A (ko) * 2015-05-06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 벤팅시스템
KR102373151B1 (ko) 2020-10-19 2022-03-1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이 용이한 구조의 스노우 체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5641B1 (ko) * 2001-09-20 2007-10-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증발가스 배출밸브
KR100448408B1 (ko) * 2002-05-16 2004-09-1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연료 공급장치
KR101683920B1 (ko) * 2011-07-28 2016-12-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가변연료차량용 보조 연료탱크
KR102237196B1 (ko) * 2017-03-23 2021-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의 정압 제어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11124B1 (ko) * 2008-06-30 2011-01-28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차량의 연료증발가스 누출 감지장치
KR20160131234A (ko) * 2015-05-06 2016-11-1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 벤팅시스템
KR102237193B1 (ko) 2015-05-06 2021-04-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탱크 벤팅시스템
KR102373151B1 (ko) 2020-10-19 2022-03-10 우석대학교 산학협력단 착탈이 용이한 구조의 스노우 체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1133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3512A (en) Tank-venting system for a motor vehicle and method for checking the operability thereof
US6810861B2 (en) Evaporation fuel processing unit
US5560243A (en) Device for venting a fuel tank and a process for checking the functional capability of the device
KR100214698B1 (ko)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콘트롤장치
KR100188592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JPH10103169A (ja) エバポパージシステムの故障診断装置
KR100993670B1 (ko) 자동차용 캐니스터의 hc가스 유출 방지 장치
JP3134704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3158473B2 (ja) 燃料蒸散防止装置
KR100188579B1 (ko) 차량용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배출시스템
KR100213741B1 (ko) 연료 주입시의 증발가스 배출장치
JP2001165003A (ja) 燃料タンク
KR100555060B1 (ko) 차량용 연료 증발가스 누출 검사장치
JP3106608B2 (ja) 蒸発燃料制御装置
JP3206230B2 (ja) 車両用燃料収納装置
KR970069495A (ko) 차량의 퍼지 시스템
JP3391209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JPH08232777A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19980035995U (ko) 증발 가스 포집 구조용 연료 누출 2중 차단 장치
KR0178928B1 (ko) 연료탱크의 증발가스 콘트롤장치
JP2599824Y2 (ja) ベーパリカバーシステム
KR0184440B1 (ko) 천연가스 차량의 연료 유출 감지장치
JP3132334B2 (ja) 内燃機関の蒸発燃料制御装置
KR100555061B1 (ko) 차량용 연료 증발 가스 누출 검사장치
KR19990034541A (ko) 자동차용 캐니스터 용량점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