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354B1 -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 Google Patents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354B1
KR100188354B1 KR1019960003727A KR19960003727A KR100188354B1 KR 100188354 B1 KR100188354 B1 KR 100188354B1 KR 1019960003727 A KR1019960003727 A KR 1019960003727A KR 19960003727 A KR19960003727 A KR 19960003727A KR 100188354 B1 KR100188354 B1 KR 100188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photosensitive material
drive line
rack unit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3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080A (ko
Inventor
쥰지 야마다
Original Assignee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시모토 칸이치, 노리쯔 고오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시모토 칸이치
Publication of KR9600320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0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3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 G03D3/13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long films or prints in the shape of strips, e.g. fed by roller assembly
    • G03D3/132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for long films or prints in the shape of strips, e.g. fed by roller assembly fed by roller assemb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DAPPARATUS FOR PROCESSING EXPOSED PHOTOGRAPHIC MATERIALS; ACCESSORIES THEREFOR
    • G03D3/00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 G03D3/08Liquid process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Washing apparatus involving immersion having progressive mechanical movement of exposed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Abstract

처리 탱크(8)와, 이 처리 탱크 내를 통과하는 사진 감광재료(1)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 부재(11)를 이 가이드 부재 상호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상기 처리 탱크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랙유닛(10)을 구비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상기 한쌍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통과하는 사진 감광재료의 통과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호 간격을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사진 감광재료의 통과폭을 조절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 부재의 상대 위치는 변경 가능하다. 이 상대 위치의 변경은 상기 랙 유닛밖에 구비된 제1구동 라인(30)과, 상기 랙 유닛에 구비된 제2구동 라인(40)으로부터의 동력에 의하여 실행된다. 상기 제1구동 라인과 제2구동 라인은 선택적으로 연결·차단 가능하고, 이것은 상기 제2구동 라인에 설치된 피연결부재(85)와, 상기 제2구동 라인에 설치된 연결부재(81)에 의하여 실행된다. 상기 연결부재(81, 181)와 피연결부재(85, 185)가 소정의 상대 위치로 연결하도록 연결부재와 피연결부재의 상대 위치를 결정하는 안내기구(10, 160)가 구비되어 있다.

Description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의 현상처리부를 도시하는 개략 평단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따른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의 가이드 폭 변경수단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에 따른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현상 처리부의 종단 측면도.
제5도는 제1도에 따른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현상 처리부의 횡단 평면도.
제6a,6b도는 랙 유닛을 처리 탱크에 장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정면도.
제7도는 안내기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8a,8b도는 제7도에 따른 안내기구를 사용한 랙 유닛의 장착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정면도.
제9도는 안내기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제10a,10b도는 제9도에 따른 안내기구를 사용한 랙 유닛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정면도.
제11a,11b도는 자동조정수단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랙 유닛의 장착 과정을 설명하는 부분 정면도.
제12도는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
제13도는 제12도에 따른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의 가이드 폭 변경수단을 위한 구동 라인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산업상의 이용 분야]
본 발명은 처리 탱크와 이 처리 탱크 내부를 통과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한쌍의 가이드 재료를 이 가이드 부재 상호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처리 탱크 내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랙 유닛을 구비한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특히 그 랙 유닛에 관한한 것이다.
[종래기술]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에서는 촬영을 완료한 필름이나 노광재의 인화지등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가 랙 유닛에 의하여 각종 처리약을 서로 다르게 충진한 복수의 처리 탱크 내부를 순차 반송시킴에 따라 현상 처리된다. 예를 들면, 미국 특허 4,903,064에 나타난 랙 유닛은 한 쌍의 가이드 부재 상호 간격을 변경하는 가이드 폭 변경기구와; 상기 랙 유닛 가이드 밖으로의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 라인의 동력을 사용해서 상기 가이드 폭 변경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가이드 폭 변경기구에 연결된 제2구동 라인과; 상기 제1구동 라인에서 제2구동 라인으로 동력의 전달과 차단을 실행하기 위한 랙 유닛을 구비하고; 이 커플링은 상기 제1구동 라인에 설치되어 있는 피연결부재와 연결가능한 연결부재를 구미하고 있고; 이 연결부재는 상기 제2구동 라인에 연결되어 있다. 사진감광재료는 그 종류에 따라서 횡폭이 다르기 때문에 사진 감광재료의 통과폭, 결국 한쌍의 가이드 부재 사이의 폭(가이드 폭)을 반송해야 할 사진 감광재료에 적합하도록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랙 유닛에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상대 위치, 효과적으로 가이드 폭을 변경하기 위한 가이드 폭 변경기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다. 그때, 처리 탱크 내부에 장착한 모든 랙 유닛의 한쌍의 가이드 부재 상대 위치가 반송해야 할 사진 감광재료의 통과폭에 적합한 폭으로 조정된다. 그런데 랙 유닛은 점검 및 조정 등을 위하여 처리 탱크 내부로부터 꺼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랙 유닛은 처리 탱크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랙 유닛이 가이드 폭 변경기구 각각을 동시에 구동하는 구동 라인을 처리 탱크측에 설치하고; 이 구동 라인과, 각 랙 유닛에 구비시킨 가이드 폭 변경기구를 구동시키기 위한 구동 라인을 랙 유닛의 처리 탱크에서 착탈함에 따라서 커플링을 사용하여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한다. 그렇지만 랙 유닛을 처리 탱크 내부로부터 꺼내어 가이드 폭 변경기구를 점검하거나 조정한 경우에는 한쌍의 가이드 부재 상대의 위치가 변경되어 있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점]
따라서 랙 유닛을 처리 탱크 내부에 장착할 때에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상대 위치를 처리 탱크 내부에 장착된 체로 있는 그 외의 랙 유닛의 한 쌍의 가이드 부재 상대 위치에 상응하도록 조정하면서 구동 라인을 연결할 필요가 있으나, 그 조정 및 연결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게 했다.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
본 발명의 목적은 랙 유닛을 처리 탱크 내부에 장착할 때, 한쌍의 가이드 부재의 상대 위치의 적정한 조정과 구동 라인의 간단한 연결을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랙 유닛에는, 랙 유닛밖에 구비된 제1구동 라인과, 랙 유닛에 구비된 제2구동 라인에 동력의 전달과 차단을 실행하기 위한 연결수단이 상기 제1구동 라인에 설치된 피연결부재와, 상기 제2구동 라인에 설치됨과 아울러 피연결부재와 연결 가능한 연결부재로 구성되고, 또 자동조정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랙 유닛을 처리 탱크 내부에 장착함에 따라서 연결부재와 피연결부재를 소정의 상대 위치로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재와 피연결부재의 상대 위치를 자동 조정하기 때문에, 그 결과 제1구동 라인과 제2구동 라인의 연계를 만족시킬 수 있다. 결국, 처리 탱크에 남은체 랙 유닛의 가이드 부재가 만들기 시작하는 통과폭(가이드 폭)에 장착되는 랙 유닛의 한 쌍의 가이드 부재가 만들기 시작하는 통과폭(가이드 폭)을 만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장착시 랙 유닛의 한쌍의 가이드 부재의 조정과, 제1구동 라인과 제2구동 라인의 연결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상기 자동조정수단이 안내기구를 구비하고, 이 안내기구의 도움에 따라 연결부재가 피연결부재에 대해서 변위함에 따라 소정의 상대위치로 연결부재와 피연결부재가 연결된다. 이 구성으로는 연결부재를 안내하기 위한 특별한 구동 기구가 불필요하다. 특히 이 안내기구를 피연결부재에 장착하여 경사면으로 형성하게 되면, 랙 유닛을 처리 탱크에 장착하는 동작 과정으로 위치 맞춤이 완료되고, 상기 연결부재와 피연결부재와의 연결은 보다 스무스하게 된다. 게다가 그 경사면을 윗쪽으로 향하게 개방한 형상으로 함에 따라 연결 작업에서 동력의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또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소정의 상대 위치로 연결하기까지 연결부재의 피연결부재에 대한 변위가 폭 변경수단을 통해서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키고, 이 가이드 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통과폭을 설정시킨 기준폭으로 된다. 이것에 따라 랙 유닛을 처리 탱크에 장착하기 위한 것으로, 가이드 부재애 의하여 형성되는 통과폭은 앞에서 설정된 기준폭이 된다. 이 기준폭을 기준으로 해서 여러 종류의 폭으로 조정하지 않고 구동 라인을 끼워서 동력을 가이드 폭 변경수단으로 공급한다, 이것은 조정을 위한 제어를 간단화하기 위하여 공헌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랙 기어를 구비하고, 제2구동 라인은 랙 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를 구비하고, 연결시에 연결부재의 피연결부재에 대한 직선 변위는 랙기어와 피니언 기어에 따른 회전 변위로서 제2구동 라인에 전달되는 것이다. 이 랙 피니언 기구의 채용에 따라 연결 작업에 있어서, 연결부재의 직선 변위는 가이드 폭 변경수단이 가이드 부재의 동작에 이용하는 회전 변위로서 이용한다고 하는 간단한 구조가 실현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 형태로서, 상기 자동조정수단이 피연결부재에 대하여 연결부재의 위치를 소정의 상대 위치로부터의 엇갈림을 검출하는 검출센서와, 이 검출센서의 신호를 근거로 해서 연결부재의 위치를 제1구동 라인을 통하여 보정하는 모터를 갖추는 것으로, 제1구동 라인과 제2구동 라인의 연결 또는 랙 유닛의 장착 작업의 전자 제어 도움을 첨가시키어 자동화의 길이 열린다. 상기 피연결부재와 연결부재의 연결 구조 그 자체는 공지이나 결국 시장에 나돌아다니고 있는 여러종류의 치합 상태, 더욱이 각각에 설치되어 상호 적합한 기하학적 형상을 채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용 저감에 기여한다. 본 발명의 그 외의 특징 및 이점은 이하 도면을 이용한 실시예의 설명에 따라 명확하게 될 것이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사진 감광재료의 일예로서 필름을 현상 처리하는 경우에 적용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근거로 해서 설명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는 필름 홀더(la)를 장착하는 장전부(2)와, 필름 홀더(la)로부터 인출한 필름(1)을 현상처리하는 현상처리부(3)과,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의 각종 제어를 관리하는 제어 유닛(4)를 주요한 구성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필름 홀더(la)로부터 인출시킨 필름(1)은 현상 처리부3에서 현상 처리 및 건조된 후, 장치의 외부로 배출된다. 이하 장전부(2)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전부(2)에는 필름 홀더(la)로부터 필름(1)의 인출이 완료된 휴, 필름1을 절단하는 커터(5)와,필름 홀더(la)로부터 인출된 필름의 황폭을 검출하는 필름 폭 검출센서(6)와, 필름(1)을 홀더(la)로부터 인출해서 현상 처리부(3)로 송출하는 인출 롤러(7)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처리부(3)의 전체 개략 구성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현상 처리부(3)에는 필름(1)로부터 안정화까지 일련의 현상 처리를 실행하는 각종 처리액을 충전한 7조의 처리탱크8과, 필름 반송방향의 종단에 위치하고 현상 처리 후 필름(1)을 건조 처리하는 1조의 처리 탱크8과의 합계 8조의 처리 탱크를 직선 상태로 나란히 설치시킨다. 또 그들 각 처리 탱크(8)의 내부에 서로 다르게 착탈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8개의 랙 유닛(10)과, 8조의 처리 탱크8을 경유해서 필름(1)을 순차 반송하는 반송기구(70)이 구비되어 있다. 랙 유닛(10)은 처리 탱크(8)의 상측개구부에서 처리 탱크(8)내부로 삽입해서 랙 유닛(10) 자체의 자중에 의하여 처리 탱크(8)에 장착시키도록 구성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각 랙 유닛(1)0에 필름(1)의 양횡단테부분의 각각을 서로 다르게 지지하고 또 안내하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과, 그들 한쌍의 가이드 부재11의 상대 위치, 즉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사이의 폭을 변경하는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폭이 반송되는 필름(1)의 통과폭을 형성한다. 또 각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의 각각에 랙 유닛(10) 밖으로 동력을 공급하는 것으로, 그것들을 동기 구동시키는 제1구동 라인(30)이 처리 탱크(8)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다. 이 제1구동 라인(30)의 중간 핵을 이루는 구동판(31)은 처리 탱크(8)군의 외벽을 따라서 연이어 왕복운동을 실행하는 직선 변위 전달판이다. 제1구동 라인(30)으로부터 동력을 각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에 전달하기 위하여,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제2구동 라인(40)이 각 랙 유닛(10)에 설치되어 있다. 이 제2구동 라인(40)의 입력부로서 기능하는 연결부재81는 제1구동 라인(30)의 출력부로서 기능하는 피연결부재(85)로 제1구동 라인(30)과 제2구동라인(40)을 동력 전달 가능하게 연결하는 상태와, 동력 전달 불가능하게 차단하는 상태를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연결수단(80)을 구성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피연결부재(85)는 구동판(31)에 일체화된 판부이고, 그 곳에는 연결부재(81)을 랙 유닛(10)의 처리 탱크(8)에의 장착에 따라서 받아들이는 연결용 절홈부(85a)가 설치되어 있다. 더욱이 제3도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유닛(10)의 처리탱크(8)에의 장착에 따라서 연결부재(85)의 연결용 절홈부(85a)에 대하는 연결 위치가 앞에 설정된 적정 위치가 되도록 연결부재(81)과 피연결부재(85)의 상대위치를 자동 조정하는 자동조정수단(50)이 구비되어 있다. 이 적정 연결 위치는 각 랙 유닛(10)의 연결부재(81)이 각 연결용 절홈부(85a)에 서로 결합하면, 모든 랙 유닛(10)사이에 한쌍의 가이드 부재(11)의 폭이 동일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자동조정수단(50)은 랙 유닛(10)의 처리 탱크(8)에의 장착에 따라서 연결부재81을 연결 절홈부(85a)에 안내하는 안내기구(60)을 구비하고 있다. 이 안내기구(60)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되지만 구동판(31)에 구비되어 있다. 이하 제3도 내지 제6도에 근거해서 현상 처리부(3)을 구성하는 각 구성부분에 대해서 설명을 추가한다. 먼저 랙 유닛(10)에 대해서 설명한다. 랙 유닛(10)의 기본 구성은 패널(12)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패널(12)는 평행상태로 대향하는 하나의 측벽(13)과, 저벽(14)와, 상벽(15)에 의하여 필름(1)의 반송방향 모습의 형상이 거의 사각형틀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저벽(13)의 각각에 외측 방향으로 향하는 횡방향 자세로 돌출하는 위치 결정 핀(16)을 고정 장착해 있다. 이 위치 결정 핀(16)은 랙 유닛(10)을 처리 탱크8에 장착할 때 처리 탱크(8)의 측벽 상측 테두리부에 형성된 절홈부(9)에 서로 결합되고, 이에 따라서 랙유닛(10)이 처리 탱크(8)에 대하여 적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장착된다. 또, 후술하지만 연결부재(81)을 처리 탱크(8)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즉 필름1의 반송방향에 상당한다)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하기 위하여 하향돌기부(15a)가 상벽(15)에서 절곡되어 형성된다. 또 각 처리 탱크 (8)은 깊이나 필름1의 반송 방향의 길이가 다른 경우가 있으나, 필름(1)의 폭 방향의 길이는 같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각 처리 탱크8에 장착되는 랙 유닛(10)은 처리 탱크(8)의 크기에 대응하여 크기가 다른 것은 기본 구성은 동일하다. 다음은, 랙 유닛(10)에 설치된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에 대하여 설명한다.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은 연결부재(81)에 형성된 수평 랙부(82)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42)와, 패널(12)의 저벽(14)와 상벽(15)에서 회동할 수 있도록 축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피니언 기어(42)를 장착하는 회동축(41)과, 회동축(41)에 고정 장착된 한쌍의 베벨 기어(43)와, 한 쌍의 측벽(13)에 회동 가능하게 각각 축으로 지지되는 한쌍의 이송 나사 축(44)과, 이송 나사 축(44)의 일단부에 각각 장착됨과 아울러 베벨 기어(43)에 치합하는 한 쌍의 베벨 기어(45)를 구비하고 있다. 회동축(41)의 상단부에는 회동축(41)을 수동으로 회동하기 위한 손잡이(46)을 고정 장착하고 있다,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은 각각의 이송 나사 축(44)에 형성된 상호 나사 형성 방향이 다른 수나사부(22)와, 각각 나사 결합하는 너트(24)로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 위의 한 방향은 한 쌍의 너트(23)에 고정되고, 다른 방향은 한 쌍의 너트(24)에 고정되어 있다. 연결부제(81)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연결부재(81)에는 긴 자모양의 가이드구(83)과, 그 가이드구(83)에 행한 긴 자 모양이 관통구(84)와 ,연결부재(81)의 외측으로 면하는 측면부에 위치하는 위치 결정 돌기부(61)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연결부재(81)을 그 관통구(84)에 회동축(41)을 삽입하고 또 그 가이드구(83)에 돌조부(15a)를 서로 결합시킨 상태로 달라붙어져 있다. 따라서 연결부재(81)는 돌조부(15a) 의 가이드와함께 패널(12) 위를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 이동한다. 결국, 연결부재(81)을 왕복 직선이동시키면 랙 기어부(82)와 피니언 기어(42)의 전동 작용에 따라 회동축(41)이 회동하고, 회동축(41)이 회동하면 베벨 기어(43)과 베벨 기어(45)의 전동 작용에 의하여 한 상의 이송 나사 축(44)의 각각이 회동하고, 이송 나사 축(44)가 회동하면 수나사부(21)와 너트(23)의 전동 작용 및 수나사부(22)와 너트(24)의 전동 작용에 의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이 서로 근접 이동하기도 하고 이간 이동하기도 해서 그 상대 위치, 측 필름(1)의 통과폭을 결정하는 가이드 폭이 변경된다. 또 랙 유닛(10)에는 처리 탱크(8) 내부를 통해서 필름1을 반송하는 반송기구(70)이 설치되어 있다. 이 반송기구(70)은 뒤에서 상세하게 설명하는 반송 롤러(71)과 이 반송 롤러(71)을 구동하는 롤러 구동 라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하 제3도 내지 제6a, 6b도에 근거해서 구동판(31)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처리 탱크(8)의 나란한 방향의 전체 길이에 걸쳐 긴 자모양의 판상으로 형성된 구동판(31)은 그 장수 방향을 나란히 설치하는 방향에 따르게 하는 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할 수 있도록 처리 탱크(8)측에 지지되어 있다. 피연결부재(85) 결국 구동판(31)에는 각 랙 유닛(10)에 지지되어 있는 연결부재(81)을 서로 다르게 연결시키는 연결용 절흠부(85a)가 설치되어 있으나, 이 연결용 절흠부(85a) 의 근방에 연결부재81의 위치결정 돌기부(61)이 착탈 가능하게 서로 결합되는 위치 결정 요부(64)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 이 위치 결정 요부(64)는 2개의 안내판 (62)의 측변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 2개의 안내판(62) 상변에 위해 결정 요부(64)가 근접할수록 상호 간격이 좁아진다. 즉 윗쪽으로 개방된 호퍼 형태의 안내기구를 갖는 경사면(63)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랙 유닛(10)을 처리 탱크(8)의 상부 개구부에서 처리 탱크(8) 내부로 삽입하면 제6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유닛(10)의 자중에 의하여 연결부재(81)의 위치 결정 돌기부 (61)이 안내판(62)의 경사면(63)에 서로 접하면 도면 중앙의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되어 제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치 결정 요부(64)애 서로 결합한다. 이하 제2도 및 제3도에 근거해서 제1구동 라인(30)에 대해서 설명을 추가한다. 제1구동 라인(30)은 가이드 변경용 모터MI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과부하에 의한 각 부품의 손상을 방지하는 플랙션 유닛(32)와, 그 플랙션 유닛(32)와 같은 축에서 회동하는 우머(33)과, 그 웜(33)과 치합하는 웜호일(34)와, 그 웜호일(34)와 같은 축에서 회동하는 피니언 기어(35)와, 구동판(31)의 일단부에 형성되며 피니언 기어(35)와 치합하는 랙 기어(36)을 구비하고 있다. 즉, 가이드 폭 변경용 모터(MI) 을 정방향 회전 및 및 역방향 회전시키는 것에 따라 구동판(31)은 나란한 방향으로 왕복 직선 이동한다, 그리고 구동판31이 왕복 직선 이동하면 구동판(31)과 연결하는 연결부재(81)이 왕복 직선 이동하고, 그 왕복 직선 이동이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에 의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제(11)의 접근 및 이간 이동으로 변환시켜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거리가 변경되는 것이다. 이하 제1, 2, 4 및 5도에 근거하여 반송기구(70)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반송 롤러(17)을 구동하는 반송 구동 라인의 일부는 랙유닛(10)에 설치되어 있고, 반송 구동 라인의 나머지 부는 처리 탱크(8)축에 설치되어 있다. 상하 방향으로 나란하게 설치된 한 쌍의 반송 롤러(71)과 상측 반송 롤러(71)의 양 횡측 각각 및 하측 반송 롤러(71)의 양 횡측 각각 및 하측에 각각 밀어 넣어 설치한 5개의 누름 롤러(72)가 필름(1)의 반송 경로에 설치되어 있다. 반송 롤러(71)은 롤러 샤프트(73)의 중앙에 고정 장착되고, 롤러 샤프트(73)의 일단부에는 롤러용 기어 (75)가 거정 장착되어 있다. 이 롤러 샤프트(73)은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에 형성한 관통공에 습동 가능하도록 삽입 통과한 상태로 패널(12)의 한 쌍 측벽(13)에 회동할 수 있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또 마찬가지로 누름 롤러(72)는 롤러 샤프트(74) 중앙에 고정 장착되어 있고, 이 롤러 샤프트(74)는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에 형성한 관통공에 습동할 수 있도록 삽입 관통한 상태로 패널(12)의 한 쌍의 측벽(13)에 회동할 수 있도록 축으로 지지되어 있다. 반송 구동 라인의 처리 탱크(8)측에 설치된 부분은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 위치된 상태로 처리 탱크(8)측에 회동할 수 있도록 축으로 지지됨과 아울러 반송용 모터(M2)에 기어 결합된 구동 샤프트(76)과, 각 처리 탱크(8)에 대응시킨 구동 샤프트(76)에 설치된 웜(77a)를 구비하고 있다. 반송 구동 라인의 랙 유닛(10)측에 설치된 부분은 웜(77a)와 치합하는 웜호일(77b)와 ,그 웜 호일(77b)와 같은 축에서 회동하고 또 상측 반송 롤러(71)의 롤러용 기어(75)와 치합하는 제1기어(78a)와, 상측 반송 롤러(71)의 롤러용 기어(75)의 회동을 하측 반송 롤러용 기어(75)에 전달하도록 서로 치합하는 제2기어(78b) 및 제3기어(78c)를 구비하고 있다. 그때, 상측 반송 롤러(71)과 하측 반송 롤러(71) 각각의 원주 속도가 동등하게 되도록 각 기어의 기어비가 설정된다. 그리고 가이드 부재11에 대해서 설명을 추가한다.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11)의 내방측 면에는 필름(1)의 횡당 테부룰 지지하고 또 안내하는 대략 U자 형태의 필름 안내구 (11a)를 설치한다. 필름 안내구(11a) 필름(1)의 입구부(11b) 및 입구부(11c)는 인접하는 랙 유닛(10)의 필름 안내구(11a)의 입구부(11b) 및 출구부(11c)의 각각과 매우 근접하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에 따라 필름(1)이 각 랙 유닛(10)의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에 따라 안내되어 원활하게 반송시킨다. 결국, 반송용 모터(M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그 회전이 반송 구동 라인의 처리 탱크(8) 측 부분 및 반송 구동 라인의 랙 유닛(10)측 부분에 따라 전달되어 상측 반송 롤러(71) 및 하측 반송 롤러(71)이 정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필름1의 양 횡단 테부가 서로 다르게 양측 필름 안내구(11a)에 지지되고 또 누름 롤러(72)의 각각에 따라 상측 및 하측 반송 롤러(71)에 밀어 눌린 필름은 필름 안내구 (11a)에 안내되어 각 처리 탱크8을 순차 경유해서 반송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에 있어서, 랙유닛(10)의 점검 및 조정 등을 위하여 랙 유닛(10)을 처리 탱크8에 장착하거나 처리 탱크(8)로부터 꺼내거나 하는 경우의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랙 유닛(10)을 처리 탱크(8)로부터 꺼내는 경우는 랙 유닛(10)의 프레임(12) 상변(15) 등을 손으로 눌러 지지하고, 랙 유닛(10)을 상방향으로 지지해 올려서, 처리 탱크(8)로부터 꺼낸다. 그것에 따라서 랙 유닛(10)의 연결부재(81)이 구동판(31)과의 연계가 잘려지는 것이다. 동시에 랙 유닛(102)의 웜 호일(77b)가 구동 샤프트(76)의 웜(77a)에서 이탈하여 반송구동 라인의 처리 탱크(8)측 부분과 랙 유닛 (10)측 부분과의 연계가 잘려지는 것이다. 꺼낸 랙 유닛(10)은 손잡이(46)을 돌려서 제2구동 라인 (40)과 가이드 폴변경수단(20)의 점검 및 조정 등을 실행한다. 따라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사이의 폭이 처리 탱크(8)에 장착되어 있을때부터 변경되게 하는 경우가 있다. 랙 유닛(10)을 처리 탱크8에 장착할 때는 랙 유닛(10)의 패널(12) 상벽(15) 등을 손으로 잡아 지지해서 랙 유닛(10)을 처리 탱크(8) 상부 개구부에서 예를 들면, 연결부재(81)의 위치 결정 돌기부61이 구동판(31)의 돌기판(62) 경사면(63)에 접근하는 정도의 위치까지 처리 탱크8내에 삽입해서 손을 뗀다. 그러면 제6a,6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 유닛(10)은 자중에 의하여 또는 낙하하면서 경사면(63)에 서로 접한 위치 결정 돌기부(61)가 경사면(63)에 안내되는 것에 의하여 연결부재(81)이 연결용 절홈부(85a) 측으로 이동해서 위치 결정 돌기부(61)이 위치 결정 요부(64)에 서로 결합함과 동시에, 연결부재(81)가 연결용 절홈부(85a)에 서로 결합해서 연결부재(81)이 설정된 적정 연결 위치, 즉 연결부재(81)과 연결용 절홈부(85a)의 적정한 상대 위치에서 구동판31에 연결시키는 것이다. 동시에 패널(12)의 위치 결정 핀(16)이 처리 탱크(8)의 상측 테부 절홈부(9)에 서로 결합해서 랙 유닛(10)이 처리 탱크(8)에 대하여 적정한 위치에 위치 결정시켜 고정시킨다. 또 동시에 랙 유닛(10)의 휨 호일(77b)가 구동 샤프트(76)의 웜(77a)에 치합해서 반송 구동 라인의 처리 탱크(8) 측의 부분과 랙 유닛(10) 측 부분이 연결되는 것이다.
다음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한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의 개략적인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장전부(2)에 선단이 돌출해 있는 필름 홀더la룰 장착한다. 제어부(4)는 반송용 모터(M2)를 작동시켜서 인출 롤러7에 의하여 필름 홀더(1a)로부터 필름(1)을 꺼내, 인출된 필름(1)의 횡 폭이 필름 폭 검출센서(6)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검출 정보는 제어 유닛4에 전달된다. 제어 유닛(4)는 필름 폭 검출센서(6)의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반송만 해야 하는 필름(1) 폭에 적합하도록 가이드 폭 변경용 모터(M1)을 작동시켜서 필름(1)의 통과폭, 즉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 사이의 거리를 조정한다.
[다른 실시예]
다름은 다른 실시예를 열거하여 기록한다.
(1) 제7도 및 제8a,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81)에 있어서, 나란하게 설치되는 양측의 측벽(81a)의 하측부분을 하측 부근에 서로 접근하도록 경사 상태로 형성해서 연결부재(81)의 하측부분을 하측으로 향하는 형상으로 형성해도 무관하다. 이 경우 랙 유닛(10)의 처리 탱크(8)에의 장착에 따라서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81의 경사 상태 측벽(81b)이 구동판(31)의 연결용 절홈부(85a)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측의 테부(85b)에 서로 접하여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되어 제8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81)이 연결용 절홈부(85a)에 서로 결합된다. 따라서 연결용 절홈부(85a)의 테부(85b)가 안내기구(60)로서 기능하다. 결국 이경우에는 상기 실시예와 같이 안내판(62)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구조가 간단하게 된다.
(2) 앞의 실시예에서는 안내기구(60)을 구동판(31)측에 설치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했으나, 그것을 교환해서 처리 탱크(8)측에 설치해도 무관하다. 이 경우 예를 들면,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굴곡 형상을 한 2개의 환봉(65)을 처리 탱크(8)의 측벽에 고정 장착한다. 이 경우 2개의 환봉(65)가 하측 부근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서 접근하는 상태로 대향하는 부분과, 그 부분은 하방으로 나란하고 2개의 환봉(65)가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는 부분과 비게 되는 안내용 간격 (65a)를 설치한다. 결국, 랙 유닛(10)을 처리 탱크8에 장착하는 것에 수반하여 연결부재(81)은 안내용 간격(65)를 통과하는 것에 의하여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도면 중의 화살표 방향에 적정 연결 위치에 안내시키고 안내용 간격(65a)를 통과한후,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판(31)의 연결용 절흠부(85a)에 서로 결합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환봉(65)에 의하여 형성되는 안내용 간격(65a)가 안내기구(60)로서 기능을 갖는다.
(3) 자동 조정 수단(50)의 다른 실시 형태는 상기 실시예에 도시한 구성 이외에도 여러 종류의 구성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랙 유닛(10)의 처리탱크(8)에의 장착에 수반해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을 직접 적정 위치로 이동시키는 부재를 구비하는 구성도 무관하다. 이와 같은 부재로, 예를 들면 가이드 부재(11)의 양측단 테부에 서로 접해서 가이드 부재(11)을 적정 위치에 이동시키는 서로 접하는 조각을 처리 탱크(8)의 측벽 내면에 설치해도 무관하다.
(4) 자동 조정 수단(50)의 또 다른 실시 형태를 이하에 게시한다. 이실시 형태에서 자동 조정 수단은 피연결부재(85)에 대하여 연결부재81위치의 소정 상대 의치로의 엇갈림을 검출하는 검출센서를 구비하고, 이 검출센서의 신호에 근거하여 피연결부재85의 위치를 제1구동 라인(30)을 통해서 보정한다. 즉 제11a, 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판(31)의 연결용 절홈부(85a)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 양단부 각각에는, 연결부재(81)이 적정 연결위치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 랙 유닛(10)의 처리 탱크(8)에의 장착에 수반해서 연결부재(81)에 따라 밀어 누르는 판 스프링(66)과, 그 판 스프링(66)이 밀어 누름에 따라서 신호를 발하는 리미트스위치(67)을 설치한다. 그리고 리미트 스위치(67)를 연결부재(81)의 위치 엇갈림을 검출하는 센서로서 기능시키고, 가이드 폭 변경 모터(M1)을 위치 엇갈림 보정의 구동원으로서 기능시킨다. 이 구성에 의하면, 랙 유닛(10)의 처리 탱크8에의 장착에 수반하여 연결부재(81)이 적정 연결 위치로부터 벗어나면 판 스프링(66)을 밀어 누르고, 그것에 따라서 리미트 스위치(67)에서 신호가 검출되기 때문에 제어 유닛(4)는 2개의 리미트 스위치(67)에서 검출되는 신호에 근거해거 가이드 폭 변경 모터(M1)을 작동시키고, 어느 것의 리미트 스위치(67)에서도 신호가 출력되지 않는 위치에 구동판(31)을 이동시킨다. 이 제어 동작에 의하여 연결부재(81)이 구동판(31)의 연결용 절홈부(85a)에 서로 결합하는 것이다.
(5) 연결부재(18)과 구동판(31)을 특정 위치에 한정하지 않는 어느 위치에서도 서로 결합 가능하도록 구동판(31)에는 연결용 절홈부(85a)를 설치하지 않고, 그것을 교환해서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으로 실제 임의적 위치로 서로결합 가능한 재합부를 설치한다. 연결부재81에는 위치 결정 돌기부(61)을 설치하지 않고, 그것을 교환해서 구동판(31)의 계합부에 서로 결합하는 피연결부재를 설치한다. 랙 유닛(10)의 처리부(8)에의 장착에 수반해서 자동 조정 수단(50)에 따른 연결부재(81)을 바른 연결 위치에 안내해서, 상기 계합부와 피계합부를 서로 결합시킨다. 이 경우 예를 들면,연결부재(81)과 구동판(31)이 서로 결합됨에 따라 어느 방향으로라도 연동하도록 연결시킬 필요가 있다. 그와 같이 계합부와 피계합부는 직선 상태로 나란하게 복수로 치합하는 치로 실현할 수 있다. 또 자동 조정 수단(50)으로는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처리 탱크(8)측에 설치한 안내용 간격(65a)를 이용할 수 있다.
(6) 앞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을, 필름을 현상 처리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지만, 이것을 교환해서 인화지를 현상 처리하는 사진 김광재료 현상장치에 적용해도 무관하다. 이하 제12 및 제13도에 근거해서 인화지를 현상 처리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는 인화(지101)을 롤 상태로 수납하는 매거진 (101a)로부터 인화(지101)을 인출한 후, 노광장치(91)에서 필름(1)의 화상을 노광하는 노광부(90)과, 그 노광부(90)에서 노광시킨 인화지(101)을 현상 처리하는 현상 처리부(103)와, 그 형상 처리부(103)에서 현상 처리시킨 인화지(101)을 건조 처리하는 건조 처리부(103a)와, 그 건조 처리부(103a)에서 건조 처리시킨 인화지(101)을 1매당 화상 정보를 포함하는 크기로 절단해서 배출하는 커터부(105)로 구성되어 있다. 현상 처리부(103)에는 인화지(101)을 현상 처리하기 위한 각종 처리액을 충전한 복수의 처리 탱크(108)과, 그들 각 처리 탱크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의 랙 유닛(110)이 구비되어 있다. 건조 처리부(103a)에는 그 케이싱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유닛(11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현상 처리부(103)의 복수 랙 유닛(110) 및 건조 처리부(103a)의 랙유닛(110)을 경유해서 인화지 (101)을 순차 반송하는 반송기구(170)도 구비되어 있다. 반송기구(170)는 앞의 실시예와 같은 모양의 구조를 갖고 있다. 제1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랙 유닛(110)은 한 쌍의 가이드 부재가 형태가 앞 실시예에 있어서 한 쌍의 가이드 부재와 다른 이외는 앞의 실시예에 있어서 랙 유닛(110)과 같은 것이다. 그리고 앞의 실시예와 같은 모양에 각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의 각각에 연계되어 , 그것들을 동기 구동하는 구동판(31)이 제1구동 라인 (130)의 중간 핵부재로서 처리 탱크(108)측에 설치되어 있다. 각 랙 유닛(110)에 설치된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에 동력을 전달하는 제2구동 라인(40)의 입력부로서 기능하는 연결부재(81)은 랙 유닛(110)의 처리 탱크(108)에의 착탈에 수반해서 제1구동 라인(130)의 출력부로서 기능하는 구동판(31)의 연결용 절흠부(85a)에대하여 연결·이탈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앞 실시예와 같은 모양으로 랙 유닛(110)의 처리 탱크(108)에의 장착에 수반해서 연결부재(81)의 구동판(31)에 대하여 연결 위치가 적정 위치가 되도록 연결부재(81)과 구동판(31)의 상대 위치를 자동 조정하는 자동조정수단(50)이 설치되어 있다. 자동 조정 수단(50)은 랙 유닛(110)의 처리탱크(108)에의 장착에 수반해서 연결부재(81)을 적정 연결 위치에 안내하는 안내기구(60)을 구비하고 있고,그 안내기구(60)은 구동판(31)측에 설치되어 있다. 랙 유닛(110)의 가이드 부재(111)은 인화지(101)의 횡단 테부를 지지하고 또 안내하는 한 쌍의 레일 부재(111a)와, 이 레일 부재(111a)를 연결하는 연결판(111)로 구성되어 있다.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을 구성하는 너트(23)과 (24)는 서로 향하는 연결판(111)에 고장되어 있다. 가이드 폭 변경 모터(m1)의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제1구동 라인(130)은 피니언 기어(135)와 치합하는 랙 기어(136)을 구동판(31)의 일단부에 장착하는 것으로 앞 실시예의 제1구동 라인(130)과 다르다. 제2구동 라인은 앞 실시예와 같다. 그리고, 건조 처리부(103a)의 랙 유닛(110a)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랙 유닛(110a)를 위한 제1구동 라인 (130)과 제2구동 라인(140)은 랙 유닛(110)을 위한 제1구동 라인 (130)과 제2구동 라인(140)과는 이하에 서술하는 바와 같이 다르게 되어 있다. 랙 유닛에 조립되어 있는 제2구동 라인(140)에는 일단의 테에 철상편(181a) 를 구비함과 아울러 그 단 테에 랙기어부(181b)를 형성한 연결부재(181)과, 일단부에 랙기어부181b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142a)를 구비한 연결축(142)가 구비되어 있다. 이 연결축(142)와 회동축(141)을 연동 연결하기 위한 베벨 기어(142b)와 베벨 기어(141a)가 각각의 축에 설치되어 있다. 연결부재(181)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랙 유닛(110a)의 패널에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랙 유닉밖에 배치되어 있는 제1구동 라인(130)과 연결부재(181)을 연결하기 위하여 제1구동 라인(130)에는 피니언 기어(135)와 같은 축에 고정되어 있는 피니언 기어186과, 그 피니언 기어 (186)과 치합하는 랙기어(185b)와, 이 랙기어(185b)를 장착함과 아울러 연결부재(181)의 철상편(181a)에 착탈 가능하게 서로 결합하는 요부(185a)를 설치한 피연결부재(185)가 구비되어 있다. 이 요부(185a)에 철상편(181a)가 확실하게 안내되도록 피연결부재(185)에는 경사면(163)도 형성되어 있다. 즉 이 경사면(163)이 연결부재(181)을 위한 안내기구(160)을 형성하고 있다. 피연결부재(185)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건조 처리부(103a)의 케이싱에 왕복 직선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즉 가이드 폭 변경 모터(M1)을 정방향으로 회전 및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피연결부재(185)는 왕복 직선이동한다. 그리고 피연결부재(185)가 왕복 직선 이동하면 피연결부재(185)와 연결되어 있는 연결부재(181)이 왕복 직선 이동하고, 그 왕복 직선이동이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에 의하여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1)의 접근 및 이간 이동에 변화되어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1) 사이의 거리, 즉 인화지의 통과폭이 변경되는 것이다. 따라서, 랙 유닛(110a)의 건조 처리부(103)에의 착탈에 수반해서 연결부재(181)이 연결부재(185)와 연결·차단이, 즉 제1구동 라인(130)과 제2구동라인(140) 사이의 연결·차단이 실현하면 동시에 피연결부재(185)의 요부(185a)에 연결부재(181)의 철상판(181a)가 서로 결합되어 랙 유닛(110a) 의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1) 사이의 거리, 즉 통과폭이 다른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0) 사이 폭, 즉 통과폭과 동일하게 된다.

Claims (9)

  1. 처리 탱크(8)와, 이 처리 탱크 내부를 통과하는 사진 감광재료(1)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부재(11)를 이 가이드 부재 상호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상기 처리 탱크 내부에 착탈가능하게 장착되는 랙 유닛(10)을 구비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는 상기 통과하는 사진 감광재료의 통과폭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호 간격을 변경할 수 있고; 상기 사진 감광재료의 통과폭을 조절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는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랙 유닉밖에 구비된 제1구동 라인(30)으로부터의 동력을 사용해서 상기 가이드 폭 변경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가이드 폭 변경수단에 연결된 제2구동 라인(40)이 랙 유닛에 구비되고; 상기 제1구동 라인에서 제2구동 라인으로의 동력 전달과 차단을 실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1구동 라인과 제2구동 라인 사이에 설치된 연결수단(8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결수단이 제1구동 라인에 설치된 피동 연결부재(85)와, 상기 제2구동 라인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피연결부재와 연결 가능한 연결부재(81)로 구성되어 있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81, 181)와 피연결부재(85,185)가 소정의 상대 위치로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와 피연결부재의 상대 위치를 자동 조정하는 자동조정수단(50)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정수단(50)은 안내기구(60, 160)를 구비하고 있고, 이 안내기구의 도움에 따라 연결부재가 피연결부재에 대하여 변위하는 것에 의하여 소정의 상대 위치로 연결부재와 피연결부재가 연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기구는 피연결부재에 구비된 경사면(63, 163)임을 특징으로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시에 연결부재의 피연결부재에 대한 변위는 제2구동라인(40)과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을 통해서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간격을 변경함을특징으로 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의 상대 위치로 연결할 때까지의 연결부재의 피연결부재에 대한 변위는 상기 제2구동 라인(40)과 가이드 폭 변경수단(20)을 통해서 한 쌍의 가이드 부재의 상대 위치를 변경하고, 이 가이드 부재에 따라 형성되는 통과폭을 설정시킨 기준폭으로 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랙 기어(82)를 구비하고, 상기 제2구동 라인은 상기 랙 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 기어(42)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시에 연결부재의 피연결부재에 대한 직선 변위는 상기 랙 기어(82)와 피니언 기어(42)에 따른 회전 변위로서 제2구동 라인에 전달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조정수단은 상기 연결부재에 대한 피연결부재 위치의 소정의 상대 위치로부터의 엇갈림을 검출하는 검출센서(66, 67)와, 이 검출센서(66, 67)의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연결부재의 위치를 제1구동 라인을 통하여 보정하는 모터(M1)를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연결부재와 연결부재는 각각에 설치된 상호 적합한 기하학적 형상에 의하여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9. 처리 탱크와 이 처리 탱크 내부를 통과하는 사진 감광재료를 가이드 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 부재를 이 가이드 부재 상호 간격을 변경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처리 탱크 내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랙 유닛을 구비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에 상기 랙 유닛과;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부재 상호 간격을 변경하는 가이드 폭 변경수단(20)과; 상기 랙 유닛밖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1구동 라인(30)으로부터의 동력을 사용해서 상기 가이드 폭 변경수단을 구동하기 위한 가이드 폭 변경수단에 연결된 제2구동 라인(40)과; 상기 제1구동 라인에서 제2구동 라인으로의 동력 전달과 차단을 실행하기 위한 연결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제1구동 라인에 설치된 피연결부재(85)와 연결 가능한 연결부재(81)는 제2구동 라인에설치되어 있고, 자동조정수단(50)에 의하여 상기 피연결부재에 대한 소정의 상대 위치로 피연결부재와 연결부재가 피연결부재와 연결하도록 상기 연결부재의 피연결부재에 대한 위치를 자동 조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KR1019960003727A 1995-02-16 1996-02-15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KR100188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27970A JP2845151B2 (ja) 1995-02-16 1995-02-16 写真感光材料現像装置
JP95-27970 1995-02-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080A KR960032080A (ko) 1996-09-17
KR100188354B1 true KR100188354B1 (ko) 1999-06-01

Family

ID=12235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3727A KR100188354B1 (ko) 1995-02-16 1996-02-15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69034A (ko)
JP (1) JP2845151B2 (ko)
KR (1) KR100188354B1 (ko)
CN (1) CN1106590C (ko)
DE (1) DE19605453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64729A (en) * 1997-10-09 1999-01-26 Eastman Kodak Company Process tank having an adjustable processing path length and method of adjust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03064A (en) * 1988-02-12 1990-02-20 Fuji Photo Film Co., Ltd. Photographic processing apparatus
JP2713049B2 (ja) * 1992-08-18 1998-02-16 王子製紙株式会社 感熱記録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69034A (en) 1997-09-16
DE19605453C2 (de) 2003-12-18
DE19605453A1 (de) 1996-08-22
CN1106590C (zh) 2003-04-23
CN1168486A (zh) 1997-12-24
JPH08220725A (ja) 1996-08-30
KR960032080A (ko) 1996-09-17
JP2845151B2 (ja) 1999-01-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27702A (en) Sheet feeder and image forming apparatus using the same
US4589650A (en) Paper feeding device
US5020788A (en) Paper feeding device
EP0652468B1 (en) Method of changing the guide width in a photo-processing apparatus and mechanism therefor
KR100188354B1 (ko) 사진 감광재료 현상장치
EP0183982B1 (en) Photographic paper accommodating apparatus
JP2003104598A (ja) 2次元切断装置
JP4703652B2 (ja) シートパンチング装置及び該制御方法
EP0729067B1 (en) Apparatus for processing photosensitive material
US4754308A (en) Photograph printing apparatus
US9760058B2 (en) Image forming apparatus providing stable engagement between gears upon attachment of drum unit to housing
JPH0138590Y2 (ko)
US4822184A (en) Paper feeder for a printer
JP2833690B2 (ja) 写真感光材料処理装置
JP2653826B2 (ja) 用紙位置選択機構
JPH0882911A (ja) 写真感光材料処理装置
JPH11212237A (ja) 現像処理装置
JP2876997B2 (ja) 写真感光材料処理装置
JPH04197967A (ja) 用紙収納トレイの幅合わせ装置
JPH0781797A (ja) 用紙搬送装置
EP0874270A1 (en) Conveyor for photo-processing apparatus
JPH03267936A (ja) 感光材料搬送ラツク
JP2002240965A (ja) 給紙装置及びこれを有する画像形成装置
KR20000039256A (ko) 양면 인쇄용 인쇄기기의 인쇄 매체 반전장치
JPH11143044A (ja) 写真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