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303B1 - 복사기용시이트적층체의저면시이트배출장치 - Google Patents

복사기용시이트적층체의저면시이트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303B1
KR100188303B1 KR1019900003494A KR900003494A KR100188303B1 KR 100188303 B1 KR100188303 B1 KR 100188303B1 KR 1019900003494 A KR1019900003494 A KR 1019900003494A KR 900003494 A KR900003494 A KR 900003494A KR 100188303 B1 KR100188303 B1 KR 1001883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carrier
air
stack
lamin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34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4942A (ko
Inventor
피터조오지라보스
지체블리츠트라
Original Assignee
에취. 더블유, 한네만
오세-네덜란드 비. 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취. 더블유, 한네만, 오세-네덜란드 비. 브이. filed Critical 에취. 더블유, 한네만
Publication of KR900014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4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3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3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0Suctio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46Supplementary devices or measures to assist separation or prevent double feed
    • B65H3/48Air blast acting on edges of, or unde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00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 B65H3/08Separating articles from piles using pneumatic force
    • B65H3/12Suction bands, belts, or tables moving relatively to the p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40Type of handling process
    • B65H2301/42Piling, depiling, handling piles
    • B65H2301/423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 B65H2301/423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 B65H2301/42322Depiling; Separating articles from a pile of horizontal or inclined articles, i.e. wherein articles support fully or in part the mass of other articles in the piles from bottom of the pi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Pile Receiv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복사기용 시이트 적층체의 저면 시이트 배출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제1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동 제2실시 형태를 보인 사시도.
제3도는 편향형태로 만곡된 캐리어를 갖는 제1도 또는 제2도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적층체가 부상되는 것을 보인 측단면도.
제4도a - 제4도b는 캐리어의 여러가지 실시형태를 보인 측단면도.
제5도는 캐리어의 다른 실시형태를 보인 평면도.
제6도a는 제1도및 제2도에 따른 실시형태에 사용된 가동형 무단벨트를 갖는 이송수단의 평면도.
제6도b는 동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캐리어 2, 5 : 측벽
10, 13 : 통공 16 : 이송수단
본 발명은 시이트 적층체의 저면으로부터 시이트를 한장씩 배출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시이트 적층체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와 측부지지체를 구비하는 홀더, 저면시이트와 그 상부의 적층체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시이트의 이송방향에서 볼때에 적층체의 측변무에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수단과, 저면시이트를 배출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 구성되는 서이트적층체의 저면시이트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가 US-A-4, 579, 330호로부터 공지된 바 있는데, 이 측허문헌에는 캐리어가 평면형태이고 두 평행한 측면접속부가 대향측부에 다수의 취입공을 갖는 형태로 제공된 장치가 기술되어 있다. 적층체의 측부를 향하는 이들 취입공을 통하여 공기를 취입시킴으로써 적층체의 저면부시이트사이에 얇은 공기층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저면부 시이트를 부분적으로 진공이 생성되는 통공을 갖는 회전형 흡인돌을 향하여 인솔되고 그 후에 시이트가 상기 롤에 의하여 적층체로부터 배출된다.
이러한 공지의 장치에 있어서, 적층체에 대한 공기공급중에 상당량이 누설되며, 이러한 공기의 누설은 시이트이송방향에서 보았을때에 시이트의 앞뒤에서 일어나므로 나머지 적층체로부터 저면시이트를 분리하기 위하여 상당량의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 필요하고 이러한 필요성 때문에 대형 송풍팬을 사용하여야 한다.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다량의 공기를 공급하여야하므로 상당한 소음이 발생한다. 만약 소량의 시이트가 배출되는 경우에는 홀더내에서 시이트가 심하게 진동하고 이러한 진동은 시이트의 분리에 좋지 않은 영향을 주며 소음발생이 더욱 증가되도록 한다. 다수의 시이트가 동시에 이송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이송될 시이트의 두께에 대하여 조절되어야 하는 고정판이 사용된다. 실제로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는 저면부시이트의 바로 위에 놓이는 시이트의 측변부가 약간이라도 변형되어 있다면 상기 시이트는 저면부 시이트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이러한 장치에 있어서 공기가 시이트 특변부의 전길이에 걸쳐 취입되지 않는 한 적층제는 공기곱급중에 볼록한 형태로 변형된다. 이러한 경우에 있어서, 이러한 변형에 대한 적층체의 저항이 공급된 공기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힘에 반작용하여 시이트 적층체의 하중뿐만아니라 굽힘저항이 공기층의 형성에 영향을 주어 분리작용의 신뢰성에 대한 적층체에 상당한 영향을 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결점이 없는 서두에 언급된 형태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이러한 목적이 성취될 수 있는바, 캐리어가 시이트 이송방향의 횡방향으로 영구적으로 만곡되어 있고, 이 캐리어에는 이에 삽입되는 시이트 적층체의 측변부의 적어도 하나의 변부부분에서 최하측 저면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을 통하여 부분적인 진공의 생성이 가능하게 되어 있고, 적층체 측변부에 대하여 공기를 취입할 수 있는 수단이 배치되어 공기가 캐리어의 최하측 저면부로 취입될 수 있게 되어 있다.
공기가 캐리어의 최하측 저면부에서 적층체의 측변부를 향하여 취입되는 한편 동시에 저면시이트는 캐리어에 대하여 흡착되므로 공기층이 상기 흡착된 시이트와 이시이트 상부의 적층체사이에 형성되고 이 적층체가 저면의 시이트로부터 부상되어 저면시이트와 그 상부의 나머지 시이트 적층체 사이의 마찰이 감소된다. 따라서 저면시이트는 장애없이 이송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수개의 시이트가 한꺼번에 이송되는 것이 방지된다. 저면 시이트만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의하여 만곡되고 나머지 적층체는 변형없이 놓여있게 되므로 적층체의 굽힘저항이 공기층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제한된 폭의 범위 내에서 취입공기량의 조절없이 상이한 적층체 하중, 상이한 적층체 높이와 상이한 시이트 강도에 대하여 적층체로부터 저면시이트의 분리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캐리어는 이 캐리어에 삽입되는 시이트 적층체의 두 측변부의 변부 영역하측에서 최하측부분의 부근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을 가지며, 이 통공을 통하여 부분적인 진공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적층체 측변부에 대하여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수단이 배치되어 공기가 적층체의 두 측변부에 대하여 캐리어의 최하측부상측으로 취입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공기취입과정에서 시이트에 가하여지는 힘이 보다 균일하게 분포되어 장치의 신뢰성이 개선된다.
저면시이트를 그 상부의 적층체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개선하기 위하여,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전면변부와 중간사이의 캐리어부분이 영구적으로 만곡구성되는 것이 좋다. 캐리어의 이 부분에서 최하측저면의 부근으로 공기를 취입함으로써 공기층이 저면 시이트와 그 상부의 적층체 사이의 전단에 형성되므로 저면 시이트의 전면변부와 적층체의 전면 변부 사이의 접촉을 줄일 수 있다.
다른 실시형태에 있엇, 캐리어는 이송방향의 횡방향으로 편향된 형태가 되게 만곡되고, 캐리어의 전면부가 배면부와 둔각을 이룬다. 이러한 각도는 150∼175°가 좋다. 저면 시이트가 캐리어에 흡착되었을 때에 상기 시이트는 그 상부의 적층체보다는 양호하게 캐리어의 편향된 형태에 따라 만곡됨으로써 이 편향된 형태로 시이트와 적층체 사이에 개방부가 형성된다. 편향된 부분의 부근에서 적층체의 측변부로 공기를 취입함으로써 공기층이 주로 저면시이트와 그 상부의 적층체사이의 편향된 부분의 부근에 형성될 것이다.
공기를 시이트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그 전면에서 적층체로 취입하는 장치는 공지된 바 있다. 이들 장치에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일측 또는 양측의 측부지지체를 간단히 옳김으로써 다른 형식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될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전자사진 복사기에 적용될 때에 원고 시이트를 한장씩 복사기의 노광창에 공급하고 이 노광창을 통하여 복사한 다음 홀더에 재배치하는 경우 본 발명의 장치는 시이트가 공기흐름의 반대방향에 배치되지 않으므로 시이트가 신속하고 정연히 안착되어 적층체를 이룰 수 있는 잇점을 갖는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따른 장치는 영구만곡형의 캐리어(1)와 측부지지체로서의 측벽(2)을 갖는 시이트적층체의 홀더로 구성되며, 측벽(2)에는 공기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게 되어 있고 홀더의 최하측부 부근에 형성된 취입공(4)에서 끝나는 급기덕트(3)가 착설되고, 이를 통하여 시이트 이송방향에 수직이고 캐리어에 평행한 적층체의 일측변부를 향하여 공기가 취입된다. 또한 홀더에는 제2측벽(5)과, 통공(6a)이 형성된 배면벽(6)이 형성되어 있다.
취입공(4)의 부근에서, 캐리어(1)는 통공(10)을 가지며 이를 통해 저면 시이트가 상기 통공(4)에서 캐리어(1)측으로 흡착된다. 통공(10)은 슬로트의 형태로 공기가 적층체로 취입되는 영역가까이에 연장되어 있고 시이트의 측변부 가까이에 형성되어 적층체측으로 취입되는 공기가 저면 시이트와 캐리어(1)사이로 취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제2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에서, 홀더의 두 측벽(2)(5)에는 캐리어(1)의 최하측부분의 부근에 공기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게된 급기덕트(3)가 착설되어 있다. 캐리어(1)의 최하측부분 가까이에서 두 측벽(2)(5)에는 취이공(4)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에 급기덕트(3)가 연장되어 있다. 두개의 공기취입공(4) 가까이에서 캐리어(1)는 취입통공(10)을 갖는다.
제3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적층체로 공기가 취입됨으로써 캐리어(1)측으로 흡착되는 저면시이트(8)와 나머지 적층체(9)사이에 공기층(7)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실시형태에 있어서, 캐리어(1)는 다른 방식으로 영구만곡될 수 있다. 제4a도-제4b도가 이러한 몇가지의 형태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 숙련된 자이면 이들 여러가지 실시형태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이 이들 도면에 도시된 형태로 제한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제5도에서 보인 캐리어(1)의 실시형태로 1-1선으로 보인 위치에서 편향형태로 만곡되고, 이 판넬, 즉 캐리어의 전면부와 배면부사이의 각도는 168°이다. 편향된 부분 가까이에서 캐리어에는 측변부근에 다수의 통공(12)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통공은 제1도와 제2도에서 보인 실시형태의 통공(10)과 같은 기능을 갖는다.
이 실시형태에 있어서, 이 캐리어(1)는 시이트 이송방향에서 보았을때에 중간부근에 통공(13)을 가지며 이를 통하여 부분 진공이 생성된다.
캐리어(1)에는 또한 저면시이트의 배출에 사용되는 이송수단(16)이 착설되는 요구(15)가 형성되어 있다.
제1도, 제2도, 제6a도 및 제6b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이송수단(16)은 부분진공이 형성되도록하는 통공(20)이 형성된 가동형 무단 고무벨트(17)로 구성된다. 이 고무벨트(17)는 두 로울러(18)에 걸쳐있고 벨트(17)의 주연내에 흡인상자(19)가 배치되어 있다. 흡인상자(19)는 진공장치(도시하지 않았음)에 연결되고 통공(20)에서 부분진공이 형성된다.
저면 시이트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벨트(17)는 저면 시이트와 한편으로는 캐리어(1)사이에,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시이트 바로 위의 시이트와의 사이에 마찰을 극복할 수 있는 힘을 저면 시이트에 가하여야 한다. 저면 시이트에 벨트(17)로 가하여지는 힘은 벨트(17)와 이송될 시이트 사이의 마찰계수, 흡인상자(19)의 부분진공과, 유효흡인면적에 의하여 달라질 수 있다. 유효흡인면적은 부분진공이 위치하는 작동면이며, 벨트(17)와 이송될 시이트의 표면 평활도, 통공의 크기와, 벨트(17)의 통공패텬 및 벨트(17)의 하측의 흡인상자(19)의 크기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벨트(17)의 통공(20)은 시이트를 향하는 측이 반대측보다 넓게 되어 유효흡인면적이 증가되는 반면에 벨트(17)의 견고성이 그대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 좋다. 이송수단(16)대신에 이러한 목적으로 공지된 다른 이송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US-A-4, 579, 330 에 기술된 바와 같은 흡인롤이나 마찰롤이 사용될 수 있으나 제6a도와 제6b도에 따른 이송수단(16)이 그 유효흡인영역이 커서 더 유리하다.
측부지지체는 제1도 및 제2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적층체의 전체측변부를 따라 연장된 측벽으로 구성될 필요는 없고 적층체에 접속되는 측변 접속구 또는 배치용 핀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급기덕트가 캐리어의 최하측부분가까이에 배치되고 급기덕트가 적층체를 향하는 취입공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부지지체가 직접 적층체에 접할 필요는 없다.
전자사진복사기에 있어서, 본 발명 장치는 원고시이트를 복사기의 노광창으로 보내어 시이트가 복사되게 한 후에 홀더에 재배치 될 수 있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적층체로 배치될 시이트의 위치선정이 양호하게 이루어지고 또한 시이트의 분리가 양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홀더는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캐리어(1)의저면변부가 배면변부보다는 높게 배치되는 것이 좋다.
하나 또는 두 측부지지체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본 발명장치는 일정한 범위내에서 상이한 방식으로 시이트를 배출토록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배면벽 역시 이러한 목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즉, 캐리어(1)와 이송벨트(17)에 형성된 여러 통공에 부분진공이 생성되게 하고 캐리어 최하측의 부근에서 적층체의 측변부에 공기를 취입함으로써 저면시이트가 캐리어에 흡착되고, 적층체의 자체중량으로 적층체의 저면 및 배면측이 밀폐부로서 작용하므로 상기 시이트와 적층체 사이에는 공기층 또는 공기실이 형성된다. 상기 공기층에서 공기에 의하여 가하여지는 압력은 저면시이트 상부에 위치하는 적층체가 저면시이트 상부로부터 부상되게하여 저면시이트와 나머지 시이트 적층체 사이의 마찰이 감소된다. 저면 시이트와 나머지 시이트 적층체 사이의 공간크기와 형태는 캐리어의 형상, 공기가 취입되는 장소, 측벽(2)(5)에 형성된 취입공(4)의 소효, 상기 취입공(4)의 형상, 공기 취입방향, 공기취입량, 공기 속도 및, 적층체로부터 공기가 빠져나가도록 하는 배기공의 유무에 의하여 분야에 정통한 사람이라면 단순경험만으로 양호한 시이트 분리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공기속도, 공기추입량과, 취입방향 사이에 요구되는 조합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저면 시이트와 그 상부 적층체 사이에 공기층이 형성될 때에 저면 시이트가 이송수단(16)에 의하여 배출된다. 이러한 상황에서는 특히 적층체의 하측으로부터 저면시이트를 높은 가속도로 당겨내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면 상기 저면 시이트의 직상부에 위치하는 시이트는 자체질량으로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된다. 약 30m/s²의 가속도일 때에 최적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만약 캐리어에 제5도에서 보인 바와 같이 부분 진공이 생성될 수 있는 통공(13)이 시이트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캐리어의 중간부근에 형성되는 경우에, 저면 시이트가 상기 통공(13)으로부터 당기어진 후 시이트와 그 상부의 적층체 사이에 있는 공기가 배출되어 상기 시이트 직상부의 시이트가 캐리어 측으로 신속히 옮겨지도록하고 그 후에 상기 시이트가 부분진공이 생성되도록 하는 통공에서 캐리어에 대하여 흡착된다. 홀더로부터 저면시이트가 배출된 후에 이송수단(16)의 구동이 정지된다. 캐리어에 대하여 흡착된 다음 시이트와 적층체 사이에 새로운 공기층이 형성되고 다음 시이트가 이송될 수 있게 되기 전에 어느 정도의 시간이 필요하다. 이러한 시간은 공기취입량, 공기속도, 그리고 시이트의 강도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다. 시이트를 한장씩 배출하는 중에 캐리어에 형성된 통공에서의 부분진공, 이송벨트(17)의 주연내측에 배치된 흡인상자(19)에서의 부부진공과, 적층체에 대한 공기공급이 연속하여 유지되어야 한다.

Claims (7)

  1. 시이트 적층체를 지지하기 위한 캐리어와 측부지지체를 구비하는 홀더, 저면시이트와 그 상부의 적층체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기 위하여 시이트 이송방향에서 볼 때에 적층체의 축변부에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수단과, 저면 시이트를 배출하기 위한 이송수단으로 구성되어 시이트적층체의 저면으로부터 시이트를 한장씩 배출하기 위한 복사기용 시이트 적층체의 저면시이트배출장치에 있어서, 캐리어(1)가 시이트 이송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영구만곡되어 있고, 캐리어(1)에는 이에 삽입될 시이트 적층체측변부의 적어도 한 변부부분에서 최하측부분의 부근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10)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통공에서 부분진공이 생성될 수 있고, 상기 적층체 측변부에 대하여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수단이 공기를 캐리어(1)의 최하측부상으로 취입토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이트적층체의 저면시이트배출장치
  2.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캐리어(1)가 양측변부 가까이에서 시이트 척층체 하측의 최하측부부근에 적어도 하나의 통공(10)을 가지고, 이 통공에서 부분진공이 생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적층체측변부에 대해 공기를 취입하기 위한 수단이 공기를 적층체 양측변부에 대하여 캐리어(1)의 최하측부상으로 취입토록 배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전기 청구범위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통공(10)이 적어도 공기가 효과적으로 적층체에 취입되는 영역부근에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연결되어 연장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정정)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이송방향에서 보았을때에 저면변부와 중간부사이의 캐리어(1)의 부분이 영구적으로 만곡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정정)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캐리어(1)가 편향형태로 만곡되고 이송방향에서 보았을때에 캐리어의 전면부분이 배면부분에 대하여 둔각을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청구범위 5항에 있어서, 이송방향에서 보았을 때에 캐리어(1)의 전면부분이 배면부분에 대하여 150-175°의 각도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정정) 청구범위 1항에 있어서, 캐리어(1)에 부분진공이 생성될 수 있는 부분적인 통공(13)이 형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19900003494A 1989-03-28 1990-03-15 복사기용시이트적층체의저면시이트배출장치 KR1001883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8900754A NL8900754A (nl) 1989-03-28 1989-03-28 Inrichting voor het afvoeren van vellen vanaf de onderzijde van een stapel.
NL8900754 1989-03-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4942A KR900014942A (ko) 1990-10-25
KR100188303B1 true KR100188303B1 (ko) 1999-06-01

Family

ID=19854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3494A KR100188303B1 (ko) 1989-03-28 1990-03-15 복사기용시이트적층체의저면시이트배출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050853A (ko)
EP (1) EP0390272B1 (ko)
KR (1) KR100188303B1 (ko)
DE (1) DE69019575T2 (ko)
NL (1) NL890075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2598B2 (ja) * 1990-09-28 1998-01-21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写真装置
NL9002121A (nl) * 1990-09-28 1992-04-16 Oce Nederland Bv Inrichting voor het afvoeren van vellen vanaf de onderzijde van een stapel.
US5246220A (en) * 1990-12-14 1993-09-21 Fuji Photo Film Co., Ltd. Sheet feeding device
DE4130564A1 (de) * 1991-09-13 1993-03-18 Agfa Gevaert Ag Vorrichtung zum fuehren von fotografischen filmen
NL9400396A (nl) * 1994-03-14 1995-10-02 Oce Nederland Bv Inrichting voor het afvoeren van vellen vanaf de onderzijde van een stapel.
US5634634A (en) * 1995-03-06 1997-06-03 Eastman Kodak Company Vacuum corrugated duplex tray having oscillating side guides
ATE285591T1 (de) * 2000-04-11 2005-01-15 Drs Digitale Repro Systeme Gm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tomatischen einzug von auf einem sichtgerät anzuzeigenden und/oder in einem digitalisierungsgerät abzulichtenden dokumentenvorlagen
US6439567B1 (en) 2000-10-12 2002-08-27 Nbs Card Technology Card guide and card picker
US7204483B2 (en) * 2003-05-08 2007-04-1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Sheet media input tray
WO2010093962A2 (en) * 2009-02-13 2010-08-19 Muller Martini Mailroom Systems, Inc. Vacuum hold down for feeder tray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698520A (en) * 1964-11-24 The Deritend Engineering Company Limited Pneumatic bottom sheet feeder
US2812178A (en) * 1953-05-11 1957-11-05 Dux Ab Sheet feeding apparatus
US3099442A (en) * 1961-04-11 1963-07-30 American Can Co Method and apparatus for feeding sheet material
NL295216A (ko) * 1962-07-12 1900-01-01
FR1460465A (fr) * 1965-12-15 1966-11-25 Marius Martin Margeur
SE355554B (ko) * 1971-08-24 1973-04-30 Galco Dux Ab
GB1412596A (en) * 1972-05-25 1975-11-05 Simon Ltd Henry Mechanism for feeding cardboard or like blanks
US3782716A (en) * 1972-06-29 1974-01-01 Digi Data Corp Device for selecting data cards
FR2219665A5 (ko) * 1973-02-28 1974-09-20 Bertin & Cie
US3947018A (en) * 1974-12-19 1976-03-30 Xerox Corporation Universal feeder-stacker
US4014537A (en) * 1975-11-28 1977-03-29 Xerox Corporation Air floatation bottom feeder
US4462586A (en) * 1981-11-02 1984-07-31 Xerox Corporation Sheet feeding apparatus
DE3447331A1 (de) * 1984-12-24 1986-06-26 Mathias Bäuerle GmbH, 7742 ST. Georgen Pneumatischer bogenanleger
US4616815A (en) * 1985-03-05 1986-10-14 Vijuk Bindery Equipment, Inc. Automatic stacking and folding apparatus
NL8502185A (nl) * 1985-08-05 1987-03-02 Oce Nederland Bv Bladafvoerinrichting.
US4887805A (en) * 1988-03-10 1989-12-19 Xerox Corporation Top vacuum corrugation fee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019575T2 (de) 1996-01-11
DE69019575D1 (de) 1995-06-29
KR900014942A (ko) 1990-10-25
EP0390272A1 (en) 1990-10-03
EP0390272B1 (en) 1995-05-24
US5050853A (en) 1991-09-24
NL8900754A (nl) 199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303B1 (ko) 복사기용시이트적층체의저면시이트배출장치
CA1317325C (en) Top vacuum corrugation feeder
US4418905A (en) Sheet feeding apparatus
US20120168280A1 (en) Suction belt
US3971554A (en) Sheet stacker
EP0478087B1 (en) A device for discharging sheets from the bottom of a stack
JP2788382B2 (ja) 給紙装置
JPH057291B2 (ko)
EP0104878A1 (en) Bottom sheet separator-feeder
US4595190A (en) Bottom sheet separator-feeder
US5584649A (en) Separating device
US5620176A (en) Sheet discharging apparatus
JPS6216947A (ja) 給紙装置
JP2763954B2 (ja) シート積重体の底部からシートを取出すための装置
JPS61136844A (ja) 真空コルゲーシヨン紙葉類給送装置における空気圧力制御方法
JP3564229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S6019630A (ja) 給紙装置
JPS6216944A (ja) 給紙装置
JP2001233483A (ja) 給紙装置
JP2001039556A (ja) 給紙装置
JPH0355551Y2 (ko)
US10781064B2 (en) Method for applying air to sheets stacked on sheet stacking apparatus
JP3529690B2 (ja) 給紙装置
JPH1095550A (ja) 給紙装置
JPH05286596A (ja) 最上部シートの給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104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