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569B1 -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 Google Patents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569B1
KR100187569B1 KR1019920702065A KR920702065A KR100187569B1 KR 100187569 B1 KR100187569 B1 KR 100187569B1 KR 1019920702065 A KR1019920702065 A KR 1019920702065A KR 920702065 A KR920702065 A KR 920702065A KR 100187569 B1 KR100187569 B1 KR 1001875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braking
support
thread
mov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2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0713A (ko
Inventor
아르네 구나르 야콥손 쿠르트
프레드릭손 라르스-베르노
Original Assignee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 알 오 에이 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SE9000881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0881L/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0911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0911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0997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0997L/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3624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3624L/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3680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3680L/xx
Priority claimed from SE9003813A external-priority patent/SE9003813D0/xx
Priority claimed from SE9100066A external-priority patent/SE9100066D0/xx
Application filed by 브롬 스티그-아르네, 아이 알 오 에이 비 filed Critical 브롬 스티그-아르네
Priority claimed from PCT/SE1991/000185 external-priority patent/WO1991014032A1/en
Publication of KR93070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0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5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5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7/00Guides for filamentary materials; Supports therefor
    • B65H57/003Arrangements for threading or unthreading the gu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9/0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 B65H59/10Adjusting or controlling tension in filamentary material, e.g. for preventing snarling; Applications of tension indicators by devices acting on running material and not associated with supply or take-up devices
    • B65H59/20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 B65H59/22Co-operating surfaces mounted for relative movement and arranged to apply pressure to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61/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 B65H61/005Applications of devices for metering predetermined lengths of running material for measuring speed of running yar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03D47/365Brush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34Handling the weft between bulk storage and weft-inserting means
    • D03D47/36Measuring and cutting the weft
    • D03D47/361Drum-type weft feeding devices
    • D03D47/364Yarn braking means acting on the drum
    • D03D47/366Co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1Processing surface of handled material upon transport or guiding thereof, e.g. cleaning
    • B65H2301/5115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3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for acting on performance of handling machine
    • B65H2301/531Cleaning parts of handling machi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15/00Physical entit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11/00 or B65H2513/00
    • B65H2515/40Temperature; Thermal conductiv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1Actuating means linear pneumatic, e.g. inflatabl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5/00Actuating means
    • B65H2555/10Actuating means linear
    • B65H2555/13Actuating means linear magnetic, e.g. induction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50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 B65H2557/51La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557/00Means for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5H2551/00 - B65H2555/00
    • B65H2557/50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 B65H2557/512Use of particular electromagnetic waves, e.g. light, radiowaves or microwaves infra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601/00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achieved
    • B65H2601/50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 B65H2601/52Diminishing, minimizing or reducing entities relating to handling machine
    • B65H2601/524Vib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701/00Handled material; Storage means
    • B65H2701/30Handled filamentary material
    • B65H2701/31Textiles threads or artificial strands of fila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Abstract

쉽게 동작시킬 수 있는 출력제동시스템은 실 저장체를 지지하고 공간적으로 고정된 동체로 구성되며 이 동체로 부터 실(11)이 배출도관(10)을 통해서 빠른 속도로 인발되어 나가도록 하는 실 공급장치(13)이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와 협동한다. 이 시스템은 베어링에 설치되어 인발되어 나오는 실을 대향지지부재(15)에 대하여 파지하는 표면을 갖춘 제1부재(9)로 구성한다. 부재들(9,15)은 인발되는 실의 회전에 따라서 실 청소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부푸러기, 부스러기, 등이 그 부재들에 붙어서 쌓이지 않도록 만들어져 있다. 그 시스템의 유동성은 문제의 성분들을 선택함으로써 얻어진다. 이 시스템은 그 유동성으로 인해서 심지어 신속하게 통과하는 실에 불규칙성/매듭이 나타날 경우에 그것을 순간적으로 놓아주고 또한 순간적으로 이전의 제동/장력 작용으로 복귀함과 아울러, 또는 하나의 동일한 실이 인발되어 나올때(기계의 싸이클 스트로우크) 그 시스템의 제동력 또는 장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장치들에 순간적으로 응답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실 공급장치에 결합된 실 저장동체의 후방부분들과 여기에 설치된 본 발명의 실 방출 제동장치의 종단면도.
제2도는 부분적으로 도시한 실 공급장치의 저장동체의 후방부분들에 설치한 본 발명의 실 방출 제동장치의 두 번째 실시예의 일부 종단면도.
제3도는 실 공급장치의 저장동체의 후방부분들에 설치한 본 발명의 실 방출 제동장치의 세 번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4도는 실 공급장치의 저장동체의 후방부분들에 설치한 본 발명의 실 방출 제동장치의 네 번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5a-5f도는 여러가지 상세도.
제6도는 실 공급장치의 저정부분과 관련해서 제동부재의 기능과 작용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
제7도는 제동부재의 일부 구조를 나타낸 단부면도.
제8도는 제6도와 비해서 확대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제동부재들이 경사지게 매달려 있는 것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제6도에 의한 제동부재들을 위한 작동부재들로 설계한 호스요소들의 제어작동을 나타낸 기본 회로도.
제10도는 실 공급장치의 저장동체상의 두 부분들 또는 지점들과 협동하는 제1및 제2제동부재들로 구성된 본 발명의 제동장치의 기본적인 종단면도.
제11도는 제2제동부재의 첫 번째의 실시예의 단면개략도.
제12도는 판스프링과 결합된 폴동체의 다른 실시예의 단면 개략도.
제13도는 폴동체의 구조의 첫 번째의 실시예의 단면도.
제14도는 폴동체의 구조의 두 번째 실시예의 단면도.
제15도는 제1 및 제2제동부재들을 물리적으로 일체화 한 제동장치의 일 예의 종단면 개략도.
제16도는 서로 옆에 배치하여 저장동체의 둘레 방향으로 서로 이동될 수 있게 끔 하여 그 판스프링부재들이 그 둘레 방향으로 서로 겹쳐질 수 있도록 한 두개의 폴동체부재들의 단면도.
제17도는 제2제동부재의 세번째 실시예의 단부면 개략도.
제18도는 제2제동부재를 위한 분리 및 결합동작을 일으키는 제8도에 의한 실시예의 성분들의 단부면도.
제19도는 제2제동부재의 네번째 실시예.
제20도는 제2제동부재의 다섯번째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21도는 제2제동부재의 여섯번째 실시예의 단면도.
제22도는 제20 및 제21도의 단면도에 대하여 90°의 위치로 도시한 것으로서, 20 및 21도에 결합된 요소를 위한 지지구의 단면도.
제23도는 제2제동부재의 일곱번째 실시예.
제24도는 제11 및 제12도에 의한 폴동체부재의 또 다른 실시예.
제25도는 제2제동부재의 여덟번째 실시예.
제26도는 제25도에 의한 실시예의 상세도.
제27도는 제25도의 상세도의 두번째 실시예.
제28도는 제2제동부재의 아홉번째 실시예.
제29 및 제29a도는 상기한 형태의 수동식(이른바 비제어식) 방출 제동장치의 서로 약간 틀리는 두 실시예들의 일부 절개한 측면도.
제30 및 31도는 기본적으로 제29 및 29a도의 것과 동일한 형태의 전기제어식 방출 제어장치의 서로 약간 틀리는 두 실시예들의 일부 절개한 측면도.
제32도는 제동장치의 수동식 (비제어식) 실시예의 일부 절개한 측면도.
제33도는 전기제어식 실시예의 일부 절개한 측면도.
제34도는 평행하게 배치된 판부재들을 갖는 실시예의 종단면도.
제35도는 제동장치들을 통해서 실을 끼우기 위한 공간의 종단면도.
제36-38도는 공기식 삽입기능을 갖춘 노우즈제동장치의 단면도.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실 저장체(yarn store)를 지지하고 공간적으로 고정된 동체로 구성되며 이 동체로 부터 실이 배출도관을 통해서 빠른 속도로 인발되어 나가도록 하는 실 공급장치(yarn feeder)에서 실의 배출을 위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는 출력제동시스템(output brake system)을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시스템은 베어링에 설치되어 인발되어 나오는 실을 대향지지부재에 대하여 파지하는 표면을 갖춘 제1부재로 구성한다.
[선행기술]
실 공급장치에 배출되는 실에 대한 제어식 (또는 비제어식)의 제동장치를 설치하는 것은 이미 공지의 사실이다. 공지의 제동장치는 실의 통로에 대하여 작용하는 스프링부재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 스프링부재에는 그 단부들에 대하여 작용하는 제어부재에 의해서 조이거나 풀어놓을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구멍부재들(eye-shaped parts)이 갖추어져 있다. 그러한 조이거나 풀어놓는 작용에 의해서 그 실과 대향지지면에 대한 압력을 변화시키는 것이다(예컨대, US-PS 4,785,855, 제4-7도 참조).
또한, 실 공급장치의 저장동체의 실저장부(yarn-storing part)의 둘레에 개별적인 스프링부재들을 설치하는 것도 공지의 사실이다. 이 스프링부재들은 기본적으로 그들의 첫번째 단부에서 고정되어 그들의 자유단부로는 실공급장치의 저장동체(storing body)의 실저장부에 있는 표면에 대하여 실을 눌러서 지지하는 것이다(US-PS 4,785,855, 제2 및 3도 참조).
스프링부재들로 하여금 실을 실공급장치의 스풀동체(spool body) 상의 둘레면에 대하여 높은 또는 낮은 압력으로 지지토록하는 실제동작용(yarn-braking)을 위해서 그 스프링부재들을 제어하는 것도 공지의 사실이다. 이와같이, 직기(織機)에서 각 피크동작(pick)시에 걸리는 실장력을 변화시키는 제동장치를 설치하는 것을 공지의 사실이다. 예컨대, 프로젝타일직기(projectile weaving machine)에서 실장력(제동효과)은 프로젝타일이 그 최대속도로 가속되기 때문에 인발공정(drawing-off process)의 초기에 낮거나 영(零)이다. 그후에, 그 프로젝타일이 그 다른쪽 끝위치를 향하여 가는 속도가 느려지기 때문에 제동장치내에서 실장력이 증가되며, 인발공정으로 인해서 그 지지체 상에 형성된 실밸룬(yarn balloon)이 그 실의 질량과 운동의 결과로서 제동장치로 부터 빠져나오는 실의 부분을 따라 잡아서 제동장치에 관한 문제들을 야기 시킨다. 그러므로, 직조공정에서 실의 인발(실장력)을 프로젝타일의 운동에 적응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미 수많은 방법들이 제안된 바있다.
예컨대, 그리퍼 기계(gripper machine)에서는 제동작용 또는 실장력작용을 반싸인파형으로 (half-wave sinusoidal)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감속단계로 이어지는 가속단계에서 제1그리퍼로 하여금 실을 인발토록 함으로써 후속의 그리퍼부재로 이동시에 실의 속도가 사실상 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변화는 또 다른 문제들을 야기시키는데, 왜냐하면 저장동체상의 인발지점에서 가속된 실덩어리(yarn mass)가 제동작용을 하는 부분들에 대하여 눌려지지 않게되므로 교란(엉키는 상태) 상태가 야기된다.
서로 대향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접근하고 떨어지면서 상호 작용을 하여 실저장부재의 실저장체로 부터 인발되어 나오는 실의 부분을 통과 시키는 두개의 표면지지부분들로 구성된 형태의 제어식 제동/장력발생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이경우, 제1표면지지부분은 실저장부재의단부면에 배치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상기한 단부면의 부분으로 구성되며, 제2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단부면의 외측에 위치한 장치상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실저장부재를 위한 비제어식 제동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공지되어 있는데, 이 경우에도 제동장치는 서로 대향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접근하고 떨어지면서 상호 작용을 하여 실저장부재의 실저장체로 부터 인발되어 나오는 실의 부분을 통과 시키는 두개의 표면지지부분들로 구성된 형태로 되어 있다. 이경우, 제1표면지지부분은 실저장부재의 단부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제2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단부면의 외측에 위치한 장치상에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실저장부재, 바람직하게는 섬유기계, 예컨대 직기상의 실공급장치을 위한 제어식 또는 비제어식 자동-또는 장력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은 서로 대향배치되어 서로에 대하여 접근하고 떨어지면서 상호 작용을 하여 실저장부재의 실저장체로 부터 인발되어 나오는 실의 부분을 통과시키는 두개의 표면지지부분들로 구성된 형태를 취할 수가 있다. 이경우, 제1표면지지부분은 실저장부재의 단부면에 배치되며, 제2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단부면의 외측에 위치한 장치상에 설치된다.
[기술적인 문제]
제동장치는 심지어 신속하게 동작하는 섬유기계상에서도 적절하게 기능을 발휘할 수 있어야만 한다. 예컨대, 그리퍼형 직기에서 피크동작 주기는 600picks/min. 또는 그 이상이다. 아울러, 제동장치는 실이 매우 신속하게 인발되어 나오는 동안에 제동작용을 변화시킬수 있어야 한다. 예컨대, 그리퍼 기계의 경우에, 제동부재들은 싸인파형으로 변하는 파지력을 제공하거나, 또는 그 기계 작용에 알맞게 파지력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된다.
또 중요한 것은 실공급장치의 부분들 중에서 실의 인발작용을 교란시키지 않고 실공급장치의 둘레를 바람직하지 못하게 복잡하게 만들지 않는 곳에 제동부재를 설치하는 것이다. 또한, 실의 인발지점에서 실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공지의 제동부재들은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지 못했다. 조이거나 풀어놓을 수 있는 구멍부재들(eye-shaped parts)을 갖춘 제동부재들은 그 조이는 작용이 그 전둘레에 걸쳐서 균일하게 일어나지 않기 때문에 정확하지가 않다. 또한, 실이 스프링부재 밑을 통과할 때 그 실에 대한 스프링부재의 압력을 발생시키는 자기력(磁氣力)에 의해서 공지의 스프링부재들을 작동시키는 방법도 역시 너무나 부정확하며, 단지 이른바 온-오스 작용에만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실의 각 인발공정중에 실에 대한 압력작용(제동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이 필요하다. 또 필요한 것은 신속한 실의 인발공정시에 그 압력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어야 되며, 이러한 관점에서 섬유기계, 예컨대 그리퍼기계는 높은 피크빈도, 예컨대 분당 600피크 이상의 빈도로 동작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공지된 실 배출 제동장치는 기본적으로 단지 온-오프 기능만을 가지고서 동작하는 것이며, 따라서 인발공정중의 일부기간에서만, 예컨대 최종시점에서만 제동작용이 필요한 경우에만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인발공정중에 제동작용을 변화시키는 것, 예컨대 그 지지압력을 싸인파형으로 변화시키는 것의 중요성은 현재까지 인식되지 못하였던 것이다.
실의 인발시에 일어나는 가속 및 감속공정을 충분히 정확하게 고려한 적절한 제동 또는 실장력작용을 성취한다는 것은 복잡한 기술적인 문제이다. 이 문제는 사용된 기계의 속도가 증가할수록 더욱 커진다. 현재 및 가까운 장래에 나올 기계들의 경우에 실의 속도는 30m/s(6,000rpm)에까지 이르게 될 것이다. 이러한 고속 인발공정에 적합한 제동장치는 20-200Hz의 제동주파수로 동작할 수 있는 것이어야 한다.
실저장체의 직경에 대한 표면지지부분들이 직경의 비율은 변화시킬 수 있다. 출력제동장치의 일부 부품들의 중량(질량)은 표면지지부분들의 직경이 실저장부재의 직경보다 현저하게 작지 않을 경우에는 증가한다.
그러므로, 실저장부재의 출력측에서 제동작용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은 무엇보다도 하나의 동일한 인발시에, 예컨대 직기에서 하나의 동일한 피크시에 제동작용/실장력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형태의 장치에서, 중요한 것 또 한가지는 서로 다른 기능을 가진 실 제동/실장력발생장치들을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원칙적으로 제동장치들이 동일한 기본구조를 갖도록 하되, 제동 또는 실장력치를 수동으로 조정하여 예정된 사용기간 또는 동작중에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비제어식) 만들 수 있다. 더구나, 그러한 조정은 순전히 수동장치 및/또는 전기 장치에 의해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함과 아울러, 정해진 실장력값들을 유지할 수 있거나, 이와는달리 동일한 실의 인발공정시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제동/실장력발생장치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들은 실저장부재로 부터 실이 인발되어 나올때 그 제동장치들 내에서 실이 회전운동을 함으로써 그 제동표면들에 부푸러기들 (섬유)과 같은 것이 들러 붙지 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한, 표면지지부분들은 실의 인발공정시에 효과적인 냉각작용을 하는 제동 또는 파지면들을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말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면지지부분들의 외경이 현저하게 감소되어, 예컨대 실저장체(실의 인발이 시작되는곳)의 외경의 10-40%로 감소되다.
또 다른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제동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중요한 것은 작은 중량의 제동부재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매듭 또는 기타 불규칙한 것이 통과할 때 그것에 대한 제동 또는 장력작용을 그 즉시 순간적으로 중지함으로써 위험한 동작을 방지할 수 있는 뛰어난 성능의 제동/실장력장치가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장치는 수밀리초 이하의 시간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는 그 매듭 등의 통과후에 즉시 상기한 시간내에 또는 그후에 원래의 제동 또는 장력작용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뛰어난 성능의 제동/동력장치가 필요하다. 동작, 즉 결합 및 분리, 증가/감소, 등의 작용은 0.1-1.0ms의 시간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하는 바, 기계적인 시스템들 및 부품들이 가볍게 만들어져야 한다.
[해결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무엇보다도 상기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서론에서 언급한 부재들이 실의 인발시에 실의 회전에 의해서 실 청소작용을 함과 동시에 부재들(9,15)에 부푸러기, 부스러기, 등이 쌓이지 않도록 만들어진다는 것과 부품 및 부재, 베어링, 등의 중량선택에 의해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제1부재의 외경의 크기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지는 유동도에 의해서 심지어 신속하게 통과하는 실에 매듭 등의 불규칙한 것이 나타날때 순간적인 (예컨대 0.1-1.0ms) 제동/장력작용의 중지 및 복귀가 이루어짐과 아울러, 또는 하나의 동일한 실의 인발공정시에 (기계의 동작주기) 시스템의 제동력 또는 장력을 변화시키기위한 하나 이상의 제어신호들에 대해서 순간적으로 응답한다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파지부재를 저장동체의 종방향 중심축선의 연장선 상에서 작용하도록 설치하여 이것으로 하여금 저장동체의 실 저장면이 있는 곳에서의 단면적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단면적을 갖는 작동표면/작동부에 의해서 파지작용을 하도록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또 다른 특징은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외경은 저장동체의 그 실 지지부분에서의 직경에 비해서 현저하게 감소되어 있다는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외경 상기한 저장동체의 직경의 약 50%이하이다. 특정한 실시예에서, 또 중요한 것은 파지부재의 외경을 작게하여, 예컨대 그 최대 외경이 상기한 저장동체의 직경의 약 50%이하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 실시예에서, 제어장치와 파지장치는 그 인발공정시에 파지부재로 하여금 파지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설치된다. 한 실시예에서, 파지력의 변화는 싸인파형이거나, 실공급장치가 사용된 기계의 동작에 적합한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파지부재의 작동부분은 하나의 연속적인 환상부재 또는 서로 밀접하게 배열되어 함께 불연속적인 환상부재를 형성하는 다수의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 작동표면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한 실시예에서, 파지부재는 속이 빈 원통형의 또는 기본적으로 깔대기형 부분에 접속되거나 또는 그 일부를 형성하는데, 이 깔대형부분의 공간은 실의 출구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이다. 아울러, 파지부재는 저장동체로 부터 실이 인발되어 나오는 전체기간 또는 그 일부기간동안에 그 실과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개별적인 탄성요소들은 사용할 경우에, 이들은 인발동작시에 한번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각각의 파지동작을 수행한다. 파지부재는 가동작동장치에 접속되거나, 또는 그것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가동작동장치는 고속의 인발공정중에, 예컨대 약 50-100ms의 인발공정중에 가변작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깔대기형 파지부재가 그 깔대기부분의 전면 또는 넓은 단부에 배열된 다수의 탄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이 탄성요소들이 그 깔대기의 모서리, 내측, 또는 그 깔대기의 모서리의 인접한 곳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탄성요소들의 자유단부가 상기한 파지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어 그곳에서 저장동체의 일부에 있는 바람직하게 외측을 향하여 만곡이진 대향지지면에 대하여 실을 파지한다. 상기한 저장동체의 일부는 내마모성 재료, 예컨대 세라믹으로 만들어진 링으로 구성된다. 탄성요소들은 판, 손가락, 등의 형상을 할 수 있다. 이 탄성요소들은 그들의 첫번째 단부에서 그들과 함께 공통부분을 형성하는 환상부분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 환상부분은 그 속이 빈 원통형 또는 깔대기형 부재에 고정될 수 있는 고정부재를 형성한다. 깔대기형 부재의 원추형 부분은 파지작용시에 실 및 대향지지표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다. 그 대향지지표면 또는 모서리는 다시 저장동체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이 부분은 저장동체내에 고정배치되거나 또는 변위될 수 있거나 탄성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그부분은 그 자체로서 탄성을 가진다. 저장동체내의 가변의 또는 탄성의 관형부재의 경우에 이 가변부재는 저장동체에 설치된 저장하우징에 부착된다. 여기서, 가변의 탄성부재는 제1스프링 부재의 동작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눌려진다. 저장하우징과 가변부재에 의해서 제1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조정을 위해서, 저장하우징을 저장동체에 회전식으로 설치한다. 제1스프링부재는 내부지지부재 및 가변부재의 내면사이에 설치한다. 지지부재로 저장동체의 회전동작에 의해서 저장동체의 종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파지부재 및/또는 탄성요소들은 전기 에너지 또는 기체 및/또는 액체매질에 의해서 동작하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상기한 저장동체에 대하여 변위시킬 수 있다. 여러개의 제어가능한 탄성요소들의 경우에는 이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요소들의 경우에는 이들이 기본적으로 크기가 동일한 파지력을 동시에 가지도록 및/또는 인발동작의 회전둘레를 따라서 점진적으로 변하는 파지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들을 받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탄성요소들의 작동은 상기한 회전둘레를 따라서 이동하는 펄스식 작동으로 볼 수 있으며, 이 펄스식 작동은 상기한 실의 인발작용과 함께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으로 조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동작은 인발작용의 전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원추형 부분에 탄성요소들을 갖춘 깔대기형 파지부재를 갖춘 실시예에서는 그 원추형 부부은 코일을 통해서 연장되는 실 운반도관과 연결 또는 일체로 되어 있다. 이 코일에 가해지는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깔대기형부재의 저장동체에 대한 종방향변위가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 제2스프링부재는 원추형 부분의 외측으로 동작하도록 하여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발생된 파지부재의 변위운동에 대한 복귀스프링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종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파지부재는 저장동체에 대한 초기위치를 조정할수 있는 조정부재를 갖추고 있다. 이 조정부재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벨로우즈부재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개별적인 탄성요소들은 이 벨로우즈부재와 결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 예에서, 탄성요소들은 그들의 첫번째 단부에서 벨로우즈부재에 고정되어 나머지 그들의 자유단부로 하여금 실을 저장동체 또는 그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파지하도록 할 수 있다. 벨로우즈부재들은 출구부분을 중심에서 지지하는 벽 또는 이와같은 것(디스크형 부분)에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출구는 파지부재로 부터 분리된다. 그 벽은 저장동체에 대하여 초기위치로 조정될 수 있다.
저장동체에 가변적으로 또는 탄성적으로 설치한 부재의 경우에, 이 가변부재는 후드형(hood-shaped) 부재로 되어 있다. 이 후드형부재는 외측으로 돌출하는 비교적 작은 직경의 환형플랜지로 구성된다. 이 플랜지에 대하여 파지부재의 그에 상응하는 작은 직경의 작동표면이 작용하는 것이다. 이 후드는 저장동체의 부분의 베어링내에서 정지부재의 역할을 하는 돌출플랜지로 구성된다. 파지부재의 질량은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예컨대 파지부재의 가동부분은 최대 약 20그램 정도로한다. 그 파지력은 0-200cN 정도로 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특징은 무엇보다도 탄성요소들이 지지점을 중심으로 경사질 수 있도록 배치되어 그 지지점의 제1측면에서는 그 탄성요소들의 경사운동을 위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동작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동부들을 갖추고 있는 한편, 제2측면에서는 상기한 파지작용을 하는 부분들을 갖추고 있다는 것이다. 보충적인 특징은 탄성요소들이 저장동체의 둘레를 따라서 펄스식으로 제어작용을 하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상기한 실의 인발작용과 함께 동기식으로 또는 비동기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한 실시예에서, 작동부는 내측에서 탄성요소들이 돌출하는 환형요소로 구성된다. 상기한 환형요소는 디스크형으로 그 자신의 평면에서 모서리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다. 탄성요소들은 환형요소로부터 상기한 평면에 대하여 상기한 각도로 그리고/또는 그들 자신의 평면에서 더 작은 각도들은 연장되어 있다. 환형요소는 상기한 경사지지를 위해서 구멍들을 가지며, 이 구멍들은 환형요소의 둘레를 따라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탄성요소들은 상기한 둘레를 따라서 개별적으로 또는 군별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탄성요소 또는 탄성요소군은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장치부에 접속되어 있다. 이경우에, 제어장치부들은 선택부재, 예컨대 등록부재에 의해서 제어 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선택부재의 작용에 의해서 그 제어장치부들을 연속적으로 접속하도록 한다. 이렇게 해서, 펄스식 제어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비동기식 제어동작을 할 경우에는 이 제어동작이 인발작용 후에 또는 약간 앞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제어장치의 제어동작에 의해서 상기한 실의 인발시에 그 파지압력을, 예컨대 싸인파형으로 또는 섬유기계에 적합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제어장치는 전기제어식 또는 기체-및/또는 액체-제어식의 작동부재에 대하여 작용한다. 기체-및/또는 액체-제어식 부재들의 경우에 이 부재들은 상기한 펄스식 동작시에 제어장치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작동되어 각 스프링요소 또는 스프링요소군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호수부분들, 벨로우즈부재들, 등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장치는 협동하는 제동장치 및 제동 또는 억제장치를 포함한다. 그중 제1제동장치는 작은 질량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한 저장동체의 코부분 또는 전면부분에 있는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작용한다. 이 경우에, 제1제동장치는 작은 외경을 갖는다(작은 질량을 가능케하는). 제2제동장치 도는 억제장치는 저장동체의 실지지부에 있는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작용한다. 제1제동장치는 적어도 그로부터 빠져나오는 실의 부분에 대하여 주된 장력작용을 한다. 제2제동장치는 상기한 인발공정의 시점 또는 주된 기간에서는 동작이 중지되는 예비제동부재의 역할을 한다. 이와는 달리, 이러한 인발공정의 기간에서 제2제동장치는 실장력특성에 약간만 기여하는 더 작은 기초제동작용을 할 수 있다. 인발공정의 최종시점에서는 제2제동장치가 그 제1 및 제2제동장치의 사이에 있는 실의 부분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제동작용을 한다. 이렇게 실이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바람직하지 못하게 실이 엉키거나 또는 실의 특성을 저해하는 현상이 제거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제동장치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 이상의 실공급장치 및/또는 섬유기계를 위한 하나 이상의 더 높은 단계의 제어장치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동장치는 실의 저장동체를 갖춘 실공급장치에 사용되어 심지어 신속한 인발공정시에 상기한 실에 대한 제동작용을 변화 시킬수 있으며, 제1 및 제2제동장치를 교대로 사용하거나 또는 제2제동장치만 (억제장치)을 사용할 수 있다. 제2제동장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 본 발명에 의한 특징은 무엇보다도 제2제동장치가 환형부재 및 이것의 평면에서 그리고/또는 이것의 평면에 대하여 적당히 약간 경사져있다면 이것의 중심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된 깃털- 또는 솔-형 요소들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환형부재 및 이와 관련된 요소들을 가진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 요소들은 상기한 저장동체상의 제2대향지지 모서리에 대한 상기한 솔-형 요소들의 압력, 따라서 상기한 실이 상기한 각 솔-형 요소와 제2대향지지모서리를 통과할 때 그 실에 대한 그 솔-형 요소들의 압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변위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한 요소들은 본질적으로 환상부재내에 변위될 수 있도록 배치되어 변위압력이 일어나도록 한다. 이러한 변위는 전자석장치, 기체, 액체, 등의 형태로 된 매질에 의해서 동작하는 벨로우즈 또는 호스부재와 같은 작동부재에 의해서 얻어질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2제동장치는 탄성의 판형 또는 선형요소를 갖춘 하나 이상의 극체부재들로 구성되며, 판형요소의 첫번째 단부는 대응하는 극체부재에 고정되며, 극체부재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둘레로 링을 형성한다. 각 극체부재는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를 향하여 오목한 내면을 가지며, 탄성의 판형요소는 그 첫번째 단부에서 고정됨과 아울러 그 자유단부는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부분을 향하여 연장되어 실이 인발공정시에 그 자유단부를 통과할 때 그 실과 협동한다. 또한, 그 자유단부는 그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지지될때 홈을 통해서 후자와 협동하는 정지부재를 형성하는 각이진 부분을 가지도록 만들어진다. 여러개의 극체부재들이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둘레로 바람직하게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극체부재들이 제어장치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제어될 수 있으며, 극체부재들을 동작시켰을 경우에 상기한 판형요소들이 실에 대하여 감속 및/또는 정지작용을 하며, 그 극체부재들을 작동을 중지시켰을 때는 상기한 감속작용이 줄어들거나 중지되도록 한다.
각 판형 또는 선형요소의 각 자유단부는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중 할당된 부분위로 아치형 또는 만곡형으로 연장된다. 이경우에, 그 요소의 길이는 그 관련된 오목한 표면의 길이를 사실상 초과하여, 예컨대 그 길이의 두배 정도까지 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그 요소의 길이는 그 극체부재의 오목한 표면의 길이와 사실상 일치한다. 극체부재는 장방형, 정방형, U-자형, 등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제2제동장치 또는 정지부재는 핀형 또는 바늘형 부재를 위하여 제2대향 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 부재들로 구성되며 그 핀형 부재는 저장동체의 단면방향으로 보았을 때 반경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그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쪽을 향하여 또는 그로부터 멀리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핀형 부재들은 그 밑을 통과하는 실이 그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이는 제1위치와 그 실이 부분적으로만 자유롭게 통과하거나 또는 정지/제동되는 제2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다. 제1위치에서 제2위치를 취하는 것은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의 작동, 또는 그 반대의 작동은 각 바늘 및 스프링에 대하여 작용하는 각 바늘 또는 스프링 또는 스프링부재의 스프링작용 탄성작용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각 바늘과 스프링은 작동이 끝나자마자 각 작동위치로 부터 탄성적으로 복귀할 수 있다. 각 핀 및 바늘의 질량은 극히 작으며, 베어링은 사실상 마찰력을 받지않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핀 및 바늘들은 그들의 비작동위치에서 그들의 베어링속에 느슨하게 놓여있으며, 따라서 그들은 실에 대하여 아무런 실질적인 작용도 가하지 않으며, 그 대신에 실이 그 핀/바늘들을 통과할 때 그들을 옆으로 밀어놓을 수 있게 된다. 핀들 또는 바늘들을 작동시키면, 그들이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눌려서 연속적으로 (점진적으로) 또는 직접 제동작용을 하게된다. 작동부재들은 전자석들, 또는 액체 또는 기체매질, 등에 의해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호스들로 구성될 수 있다. 각 바늘 또는 핀의 작동은 연속적인 제동작용을 하는 탄성요소들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핀들 또는 바늘들은 꼭지부를 가지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제동장치 및/또는 정지 또는 억제부재는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둘레로 연장되며, 예컨대 피스톤 또는 자석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는 부분(114)으로 구성된다. 작동시에, 그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사이에 두개의 제동 또는 정지 부분들이 생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제동장치는 관련된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부분들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동밴드 또는 제동선재들로 구성된다. 이 제동밴드/제동선태 부분들에 대한 지지점들은 하나 이상의 모터들의 신속회전운동에 의해서 작동된다.
또 한 실시예에서, 제1제동부재는 하나 이상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손가락 모양 또는 선형 요소들을 갖추고 있으며, 이 선형 요소들의 자유단부들은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상방으로 연장되어 그곳에서, 예컨대 하나 이상의 자장(磁場)에 의해서 동작되어 그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와 협동하여 실의 제동, 억제 또는 정지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의 특징은 표면지지부분들의 표면들의 외경이 실 저장체의 직경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예컨대 10-40% 밖에 되지않는다는 것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본 발명에 의한 제동장치의 구조적인 특징은 낮은 중량의 스프링부재들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는 제동장치의 경우에, 회전식 나사와 너트를 포함하는 슬리이브 또는 하우징으로 구성된 장치를 사용한다. 나사는 수동으로 회전을 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너트는 나사를 회전시킴에 의해서 제1표면지지부분에 대하여 종방향 변위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너트와 제2표면지지부분 사이에 스프링부재가 지지되도록 한다. 따라서, 제2표면지지부분과 제1표면지지부분이 서로 지지하는 압력은 나사를 회전시켜 너트의 종방향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다. 이 조정은 0-100그램 범위의 실장력이 얻어질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유리하다. 한 실시예에서, 너트는 상기한 슬리이브/하이징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홈에 의해서 안내되는 안내부재를 갖추도록 하여 나사를 회전시킬때 너트가 따라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며, 안내부재 및 안내홈은 슬리이브/하우징내에서 결합되어 너트의 종방향변위를 표시하는 부재들의 역할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한 종방향 변위는 제1 및 제2표면지지부분들 간의 압력을 표시하는 것이다.
또한, 제동장치는 본 장치를 전체적으로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에 대하여 대체로 전진 및 후진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 한 실시예에서는, 제동 또는 실장력을 발생시키기 위하여 높은 속도와 감도로 동작할 수 있음과 아울러, 하나의 동일한 실의 인발시에, 예컨대, 웨프트 피크시에 (weft pick) 제1표면지지부분에 대한 제2표면지지부분의 압력을 변화시켜 실장력을 변화시킬 수 있는 이른바 제어식 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한 작동장치는 공지의 방식으로 철심속에 설치된 자석부재로 구성된 음향코일(loudspeaker)에 의해서 동작한다. 아울러, 코일은 수신된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종방향 변위운동을 한다. 이 코일은 제2표면지지부분이 연결되어 있는 다이어프램지지 허브에 접속된다. 이렇게 해서, 코일의 운동이 상기한 전기제어신호의 함수로서 제2표면지지부분으로 전달된다. 본 장치는 제2표면지지부분을 위한 지지관을 포함한다. 그 지지관은 하나 이상의 다이어프램에 매달려 있다. 한 실시예에서, 제1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프레임에 설치된다. 이와는 달리, 제1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프레임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두 표면지지부분들은 평면부와 만곡부를 갖춘 디스크 또는 판재의 형태를 취한다. 이 디스크들은 상기한 평면부들에 의해서 서로 지지되며, 만곡부들은 함께 도입되는 실의 부분을 위한 큰 입구를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제1표면지지부분은 실저장부재에 있는 실저장드럼에 설치된다. 이와는 달리, 제1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드럼의 일부, 즉 일체로 된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두 표면지지부분들은 평면부와 만곡부를 갖춘 디스크 또는 판재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 디스크들은 상기한 평면부들에 의해서 서로 지지될 수 있으며, 만곡부들은 도입되어 들어오는 실의 부분을 위한 적당한 입구를 형성한다.
한 실시예에서, 사용된 디스크들은 서로 평행하다. 제동장치는 제동디스크들에 의해서 작용하여 그들 사이로 통과하는 실에 대하여 마찰력을 가한다. 안정된(일정한)실장력을 생성할 수 있도록 한 실시예에서, 그 디스크들간의 압력은 그 제동장치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가능한 일정하게 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디스크들과 그들의 부착물의 조정을 평행하게 중심에 맞추어서 할 필요가 있다. 실저장부재 또는 실공급장치에는 많은 중간 또는 인접한 구조적 요소들이 있기때문에, 제조와 조립의 관점에서 볼 때 지금까지는 해결할 수 없었던 복잡한 문제가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동장치를 통하여 실을 인발하기 위한 공간을 설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장점]
상기한 문제들은 본 발명에 의해서 기술적으로 간단하면서도 만족스러운 방식으로 해결된다. 제동장치를 배출도관부와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구조적인 관점에서 유리한 결과를 가져온다. 제동장치의 직경은 작게 만들 수 있다. 제동장치에 사용되는 질량을 작게 만드는 것은 짧은 기간의 실 인발공정시에 파지동작을 신속하게 제어하기 위한 선행조건으로서 파지동작의 바람직하고 신속한 변화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서 실이 인발되어 나올 때 실의 회전운동을 이용하여 상기한 장점들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무엇보다도, 휩쓰는 동작에 의해서 제동장치의 표면들이 효과적으로 청결하게 유지된다는 것이다. 이것은 양호한 냉각과 내마모성을 가져오는 대향의 마찰표면들을 제공한다. 제동표면이 손가락형으로 만들어져 있을 경우에는 그 질량이 작기 때문에 실에 있는 매듭들과 불규칙한 형상의 부분들이 장력의 큰 증가 없이 쉽게 통과할 수 있다. 손가락형 요소들의 방향을 선택함으로써, 적절한 실의 접촉을 얻을 수 있음과 아울러, 부푸러기, 부스러기, 등이 그 손가락형 요소들의 방향으로 떨어져나갈 수 있게 된다. 그 탄성요소들은 가볍고 간단한 구조로 만들어져서 무엇보다도 마모시의 교체작업과 다른 제동조건에 맞추는 것을 가능케 한다. 종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조정장치를 사용해서 기본적인 제동작용의 크기를 조정하기 위한 간단한 장치를 얻을 수 있으며, 또한 이 조정장치는 제동요소의 교체, 실공급, 등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제동요소들은 그 부착지점과 저장동체의 매달림에서 어떠한 편위에 대해서도 동작이 가능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원통형의 실출구부분에 코일 또는 영구자석의 형상을 한 조정장치의 가동부분이 고정된다. 이 가동부분의 둘레로 자석코일 또는 영구자석이 부착된다. 전기식 제어장치에 의해서 조정콘(manoeuvering cone)이 축방향으로 변위되어 코일동체에 대하여 힘을 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동요소와 그 코일 동체콘의 마모링의 사이에 실에 대한 파지력이 생기도록 한다. 벨로우즈부재들은 공기압력에 의하여 동작하여 제동요소들을 저장동체콘의 마모면에 대하여 눌러서 파지력 또는 제동작용을 증가시킨다. 그 부착물에 제어구멍을 설치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벨로우즈와 제동요소 사이에 제어콘을 설치함으로써 부푸러기들이 쌓일 위험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한 방법들에 의해서, 실제동장치는 바람직한 실제동작용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제어장치에 의한 제어는 공지의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제어의 관점에서 그리고 기계적인 또는 전자(電磁)적인 관점에서 실동작을 바람직하게 변화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와같이 기본적으로 저장동체의 원통형 부분에 대하여 작용하는 코일은 사용된 제동장치의 칼라플랜지(collar flange)가, 예컨대 하나 이상의 공기압부재들의 동작을 받을 수 있도록 만들어질 수 있다. 각 조인트는, 예컨대 그 제동장치의 칼라에 구멍 또는 홈들을 뚫어 놓기만 함으로써 만들어질수 있으며, 그 구멍들 또는 홈들은 실공급장치의 저장동체의 둘레면 위에 있는 핀들 위로 통과할 수 있다. 실저장부분의 둘레면 위로 설치된 링 또는 부재는 하나 이상의 공기호스 또는 이와 같은 것으로 구성된 폐쇄도관의 형태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공기호스를 지지하는 링 또는 장치는 제동요소들 사이로 실의 공급을 위한 구멍과 기본적인 장력작용을 허용토록 하기위해서 그 베어링부분의 종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손가락형 제동표면은 단지 작은 질량만을 가지기 때문에 실에 존재하는 매듭들및 불규칙한 모양의 돌출부로 하여금 장력의 큰 증가없이 더욱 쉽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한다. 손가락형의 제동 다이어프램을 사용함으로써 그 손가락형 부분들의 방향을 실의 접촉에 적합하게 맞출 수가 있으며, 부푸러기 등이 그 손가락형 부분들의 방향으로 배출되어 나가므로 청소작용이 쉽게 이루어지게 된다. 제동요소들은 가벼우며 마모시에 그리고 다른 제동조건에 맞추기 위해서 쉽게 교체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호스부분들을 위한 지지하우징을 사용함으로써 호스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결정되는 순서로 연속적으로 동작되는 다수의 호스부분들로 나뉘어질 수 있으며, 따라서 바람직한 펄스식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제동작용은 여러가지의 경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대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두개의 제동장치들을 사용해서 실질적인 제동작용을 하는 제동장치를 위해서 약간의 예비제동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용된 제동장치 사이의 실의 부분이 항상 장력을 받는 것이 보장된다. 이와는 달리, 예비제동작용은 일정하게 가벼운 제동작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것은 본 발명에 따라서 여러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의 속도가 고속일때, 고정된 예비제동작용은 가변적인 가벼운 제동작용을 대치할 수 있다.
예컨대, 문제의 직경 D의 75%에서, 특히 중요한 장점은 선택된 직경관계와는 독립적으로 아마도 실저장부재의 인발단부에 그 실의 선형운동의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으로 설치된 판형 제동장치로 구성된 출력제동장치로서 가장 잘 설명되거나 정의 될 수 있는 구조적인 형태를 사용할 때 그 제동장치내에서 실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제동표면들이 실의 인발시에 부푸러기 및 이와 같은 것들로 부터 효과적으로 깨끗하게 보호되며, 그 판형제동장치(=제2표면지지부분)의 제2판재는 제1판재와 협동하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실저장부재(=제1표면지지부분)의 단부면과 직접협동하여 실저장부재로 부터 인발되어 그 판형제동장치의 중심을 향하여 들어가는 실을 파지하며, 이러한 관점에서 그 실의 인발동작으로 인한 반경방향 도입은 그 제동장치내에서 끊임없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인발의 방향에 따라서)으로 이동하며, 그후에 실은 그 제동장치로 부터 빠져나와서 제2판재(=제2표면지지부분)의 중심에 있는 통로를 통해서 실저장부재로 부터 멀리 배출된다.
본 발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실 방출 제동장치의 실시예에 관해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바람직한 실시예]
제1도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전자석 1에 의한 전자제어(電磁制御)를 이용하였다. 이 전자석 1은 권선 2, 코일형성구 3 및 철심 4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전자석은 연결선 5,6에 의해서 공지의 제어장치 7에 연결되어 있다. 이 제어장치는 다시, 통신선 8을 통해서 (예컨대, 더 높은 단계의 제어부재/제어장치의)제어를 받게 된다. 그 전자석의 중심에는 깔대기형부재가 지지되어 있는데, 이것은 원추형부분 9과 원통형부분 10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원통형부분 10은 실 11의 반송도관의 역할을 한다. 원추형부분 9 그자체의 탄성을 가지고 있으며, 후방절곡부 또는 후방절곡플랜지 9a를 갖추고 있다. 코일형성구 3의 전면 2a과 원추형부분의 내면 9b 사이에는 그 깔대기형부재에 대한 복귀스프링으로서 작용하는 제1스프링부재 12가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 7로부터 오는 변조신호 i가 깔대기형부재를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 움직임은 그 신호 i의 크기에 비례한다. 그 신호가 소정치 미만으로 떨어지게 되면 깔대기형부재가 복귀스프링에 의해서 화살표 R'의 방향으로 복귀하게 된다.
실공급장치의 저장동체 13의 실저장면 13a으로 부터 공지의 방식으로 실 11이 인발되어 나온다. 저장동체는 그 종방향의 중심축선 14을 따라서 탄성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된 후드형부분(hood-shaped part)15을 갖추고 있다. 이 후드형부분은 후방돌출플랜지 15a를 갖추고 있으며, 이것의 단부면 15b에 대하여 깔대기형부재의 전면 9c이 작용한다. 후드형 부분 15은 그 내면 15c과 지지부재 17사이에 설치된 제2스프링부재 16의 작용에 대하여 화살표 R'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그 후드형부분, 제2스프링부재 16 및 지지부재 17들은 저장동체 13에 회전식으로 지지된 18안에 설치된다. 지지부재17는 내부고정부 20에 고정된 육각주 19에 의해서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저장부 18의 내부나선 18a과 이에 대응하는 지지부재 17의 외부나선 17a이 서로 맞물려서, 그 지지부재가 육각주 19의 종방향, 즉, 중심축선 14을 따라서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말하자면, 저장부를 돌림으로써 지지부재 17가 종방향으로 이동되며, 따라서 제2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이 조정되는 것이다. 저장부는 플랜지18b에 의해서 저장동체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저장부는 쉽게 돌려질 수 있도록 키이결합부 18c를 갖추고 있다. 후드형부분 15은 그 단부위치를 지정하는 멈춤플랜지 15d를 갖추고 있다.
깔대기형부재의 전면 9c와 후드형부분의 단부면 15b사이의 실에 대한 압력은 제어부재 7의 제어로 변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동장치와 저장동체의 후드형부분 15사이의 기본적인 위치는 그 실 제동장치에 부수적으로 그 저장동체 13에 대한 조정부재들을 설치함에 의해서도 조정할 수 있으나(아래 참조), 상기한 바와 같이 제2스프링부재 16를 조정할 수 있는 것으로도 족하다. 후드형부분 15에 대한 탄력은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할 수 있으며, 따라서 깔대기형부재의 전면 9c와 후드형부분의 단부면 15b은 선택가능한 최대결합력으로 실을 잡을 수 있다. 그 후에, 상기한 제어동작에 의해서 깔대기형부재를 화살표 R의 방향으로 후퇴시킴으로써 실을 제어하는 것이다. 스프링부재 16에 대한 힘은 결합동작에 사용될 수 있는 후드형부분 15의 종방향 변위의 함수로서 비례한다. 외부칫수(직경) D는 본 발명에서 중요한 것으로서, 그 실 저장부분에서 저장동체의 직경 D'보다 훨씬 작다. 그 외부직경 D는 직경 D'의 약 50%이하이다. 바람직하게는, 직경 D'의 10-40%의 범위로 직경 D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표면들 9c 및 15b은 중심선 14에 대하여 횡단하는 또는 각도를 이루는 결합표면부들을 갖춘다. 이들 표면의 크기는 직경 D'의 함수로서 선택되며 그 직경 D'의 약5%정도로 할 수 있다. 저장동체는 일반적으로 원통형으로 되어 있으며, 그 지지면을 위한 단면적은 그 실 저장부분에 스풀동체용 단면적보다 훨씬 작다. 전자의 단면적은 후자의 단면적의 50%를 넘지 않아야 한다. 이와는 달리, 본 발명은 출발점으로 상기한 직경들과 단면적들을 취하여 정의할 수 있다. 결합력은 0-200cN의 크기 정도이며, 깔대기형부재의 질량은 예컨대, 20gram정도로 작다. 전기제어장치는 실의 인발공정중에 그 결합력을 신속하게 제어할 수 있으며, 이것에 적합하게 맞추어 놓는다.
제2도는 저장동체 13'상의 고정된 링 21에 대하여 작용하는 전자식제어장치(電磁式制御裝置)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에, 깔대기형부재의 원추형부분은 그 외측가장자리 23에서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들 22을 지지하고 있다. 각 탄성부재는 손가락, 막(lamina), 판, 등의 형태를 취하며, 그 첫번째 단부 22a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 자유단부에서는 실 11'과 링 21을 누르고 있다. 저장동체에 대하여 고정된 조정장치 24가 도시되어 있다. 전자석 1'을 매달아서 고정하고 있는 부재 26는 나사 25 또는 이와 같은 부재를 회전 또는 움직여서 저장동체 13'의 방향으로 변위시킬 수가 있다. 부재 26에는 전자석을 지지하는 하우징 26b에 대하여 일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또는 후방으로 원추형을 이루도록 연장되는 경사부26a가 갖추어져 있다. 전자석에 의한 깔대기형부재의 제어상태를 복원시키기 위해서 그 깔대기형부재의 전방 및 후방 부분에 다이어프램(diaphragm) 27,28을 설치한다. 직경들 d,d' 및 이들에 관한 단면적들의 상관관계는 상기한 바와 같다. 스프링부재 22는 상기한 바와 유사한 형태를 갖는 다수의 스프링요소들로 구성하여 원추형부분 9'의 둘레를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깔대기형부재의 종방향 변위는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되며, 그 복귀동작은 상기한 다이어프램 27,28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제1및 제2도와 같이 스프링들을 배열하면 실에 붙은 잔털 및 부스러기들이 기능적으로 무리가 없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떨어져나가게 된다.
제3도를 보면, 중심축선 14둘레로 환형의 벨로우즈부재(bellows member)29를 설치하였다. 이 벨로우즈부재의 전면에는 원추형 함몰부 30를 갖추고 있으며, 이 원추형 함몰부는 후방으로 모아져서 실 11을 안내하기 위한 원통형 또는 환형 방출도관을 형성한다. 이 원추형 함몰부는 그 벨로우즈부재와 별도로 만들어서 그 벨로우즈부재의 전면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또한, 벨로우즈부재의 전면 31의 둘레를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여러개의 스프링요소들 32이 균등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스프링요소들 32은 그 첫번째 단부들 32a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그 나머지 자유단부들 32b에 의해서 실을 세라믹과 같은 내마모성 재료로 된 링 33에 대하여 눌러놓게 된다 (제2도에 의한 실시예 참조). 스프링요소들 32의 지지력은 조정부재 24'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으며(제2도에 의한 실시예 참조), 이 조정부재에 의해서 기본적으로 저장동체에 대한 벨로우즈부재의 종방향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제어동작은 벨로우즈부재 속의 매질의 양을 변화시킴으로써 성취한다. 매질의 양의 변화는 제어장치 35로부터 제어신호 i'를 수신하는 공지의 밸브부재 34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그 제어장치는 다시 더 높은 단계의 제어장치와 통신채널 36을 통해서 정보를 주고 받는다. 밸브부재 34에 의해서 벨로우즈부재의 내부와 연결되는 압력공급원 37과 선택적으로 사용하는 섬프(sump) 38가 도시되어 있다. 제어동작은 상기한 실시예와 같다. 벨로우즈부재는 변위부재 26' (제2도의 부재 26참조)에 고정된다.
제4도의 실시예에서는 벨로우즈부재 29'와 방출부재 39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방출부재는 뒷판 40에 부착되어 있으며, 이 뒷판의 전면에 환형의 벨로우즈부재가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탄성요소들이 벨로우즈부재의 둘레에 부착된다. 지지링 33 (상기 참조) 이 저장동체 13'''상의 받침부재로서 사용된다. 뒷판 40은 변위부재 26 (상기 참조) 에 고정되며, 그 기본적인 조정장치의 설계는 상기한 바와 같다.
상기한 탄성부재들 22, 32, 41은 환형부재상에 설치하여, 그 환형부재의 내측 가장자리로 부터 그 환형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환형부재는 디스크의 형상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탄성부재들은 그 디스크형 환형부재로 부터 그 디스크형 환형부재와 같은 평면상에서 또는 그 디스크형 환형부재의 평면에 대하여 약간의 각이 지도록 연장시킬수 있다. 이와는 달리 또는 이와 아울러, 그 탄성부재들은 그 디스크 환형부재의 평면에서 약간 경사지도록 하여 그 환형부재의 중심의 약간 측면에 위치된 지점들 쪽으로 연장되게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동체 13는 후방으로 원추형을 이루도록 하는 한편, 그 후방단부에 받침판을 설치한다. 그 원추의 밑면과 측면간의 각도 α(제1도 참조)는 약 30°로서, 40-50°사이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도는 상기한 특징들과 함께 또는 단독으로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다섯번째 실시예이다. L-자형 단면을 갖는 지지링 42이 다이어프램 45에 의해서 제동부재에 탄력적으로 매달려서 지지동체상에 설치되어 있다. 제어장치는 권선 47을 갖는 전자석 46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는 그 전자석을 제어한다. 실의 장력을 제동하기위한 기계적인 (공지의) 장력제동기 48가 갖추어져 있다. 실 50에 열표시를 하기 위하여 발열부재 49(레이저 다이오드, 마이크로 웨이브 발생기, 등)를 갖추어 놓았다. 그 열표시는 수신기 51(적외선 검출기)에 의해서 검출된다. 제어장치 52가 발열부재에 접속되어 제어부재 46에 실장력신호와 아울러 또는 실속도신호를 귀환시키는데 (또는 실장력 또는 실속도에 따른 귀환신호를 제어부재에 공급하는데), 그 제어부재 46는 그 검출신호에 따라서 그 실의 제동작용이 사인(sine) 파형으로 또는 다른 형태로 제어되도록 파지동작을 한다. 이와는 달리 또는 부수적으로, 그 제어장치는 그 기계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5a도는 그 전자석의 종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5b-5e도에는 파지 및 지지부재들이 서로 협동하는 표면들의 여러가지 형태들이 도시되어 있는데, 이 협동면들은 부수적인 제동작용을 위해서 서로 다른 편향동작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5f도에는 N 및 S극과 아울러 두개의 동작코일 54,55들을 갖추고서 전후방으로 이동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속이 빈 원통형부재 53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것에 의하면 기계적인 복귀스프링이 필요없게 된다. 파지 및 지지부재들 42,44의 직경이 작기때문에 저장동체의 원뿔코에서 접선방향의 실 풀림속도가 낮아지며, 아울러 인발지점에서 실의 제어가 양호해진다.
제6도에 실공급장치에 결합된 저장동체 56를 도시하였다. 환형의 지지하우징 57을 저장동체의 주변 1a에 배치하였다. 지지하우징 57은 종방향 변위부재 58에 의해서 저장동체에 대해 변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변위부재는 나사 59로 구성하여, 이것을 돌리면 지지하우징 57이 화살표 1R 및 1R' 의 방향인 종방향으로 변위 되도록 할 수 있다. 제동부재는 탄성요소들 60로 구성하여, 그 첫번째 단부 60a에서 고정되도록 하고, 그 나머지 자유단부들 60b이 저장동체 56의 지지모서리 56b 또는 지지면을 향하도록 한다. 실 61은 그 자유단부들과 지지모서리 56b또는 지지면의 사이를 지나게끔 하여 그 탄성요소들이 그 실과 지지모서리/지지면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하는데, 그 압력은 그 탄성요소들의 타성과 그 지지하우징의 저장동체에 대한 종방향위치에 의존하게 된다. 지지하우징을 화살표 1R'의 방향인 좌측으로 변위시키면, 그 압력 F는 증가하고, 화살표 1R의 방향으로 변위시키면 그 압력이 감소하게 된다.
탄성요소들 60은 지지하우징 속에 배치된 공통작동부 60c를 갖추고 있다. 공통작동부 60c와 탄성요소들로 이루어진 공통장치에서 그 공통작동부는 그 지지하우징의 둘레로 환형부분 또는 섹터형 부분들(sector-shaped parts)을 형성한다. 공통작동부는 지지하우징 57속에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작동부재 57에 의해서 경사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데, 이 작동부재는 본 실시예의 경우에 공기호스 또는 공기호스부분들의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는 달리, 이 작동부재는 전자석, 벨로우즈부재, 등으로 할 수도 있다. 호스가 팽창하면 환형 부분 60c이 그 지지점을 중심으로 경사지게 되어 탄성요소들의 자유단부들이 지지면 56b에 대하여 눌려지는 압력 F이 증가한다. 그 압력의 증가는 그 호스의 팽창에 의존한다. 호스의 내부로 들어오는 공기(또는 기타 매질: 개스 및/또는 액체) 공지의 제어장치 64의 제어를 받는 공지의 밸브부재 63에 의해서 제어된다. 공지의 제어장치는 한 단계 더 높은 제어장치로 연결하는 통신선 65과 접속될 수도 있다. 호스로 부터 매질을 배출시키면 디스크형 부분이 지지모서리로 부터 탄성요소들에 대한 반력에 의해서 반대쪽으로 기울어져서 복귀한다.
제7도를 보면, 환형부분(작동부분) 60c에는 경사지지를 위해서 홈 60d 갖추어져있다. 탄성요소들은 반경 r에 대해서 1α의 각도로 경사져 있게 되는데, 이 각도는 5및 30°사이에서 바람직하게 선택할 수 있다. 요소들 60b 그 환형부분 60c의 평면에 대해서 더 작은 각도로 (도시 안했음)각이 지게 할 수 있다. 제8도를 보면, 지지하우징 속에 배열되어 지지홈 60d을 통하여 연장되도록 되어 있는 핀 66이 도시되어 있다. 두개의 경사위치가 도시되어 있는 바, 한편에서는 실선 60c로 표시한 위치이고, 다른 한편에서는 점선 60c'으로 표시한 위치이다. 일반적인 작동부재 67의 작동방향은 1R 및 1R'''로 표시하였다. 탄성요소들은 지지면에 대하여 힘 F으로 지지되어 있으며, 그 지지모서리로 부터의 반력은 제어장치 62, 63,64로 부터의 제어시 복귀력으로서 작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9도에 의한 작동부재 62는 주변에 균일한 간격으로 분포되어 선택부재 68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작동되는 다수의 호수부분들 62', 62, 62''',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선택부재는 그 호스부분들을 한번에 하나씩 동력원에 연결하는 것이다. 제어동작을 하는 제어장치 64'는 통신선 65' (상기 참조)을 통해서 더 높은 단계의 제어장치에 접속되어 있다. 본 예의 경우에 제어작용은 실의 인발과 동기적으로 또는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그 위상변위는 실의 인발동작의 전에 또는 후에 놓여지도록 할 수 있다.
제10도에는 제1제동부재 70 및 제2제동부재 7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1제동부재는 공지의 형태의 실공급장치의 일부를 형성하는 저장동체 73상의 코 부분 72에 대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제2제동부재는 지지면 또는 지지모서리 74대하여 작용하는 것이다. 제1제동부재는 저장동체의 중심축선 75의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설치된다. 그 이동방향은 화살표 76 및 77로서 표시되어 있다. 저장동체 73는 그 자신의 전체 직경 D1을 가질 수 있도록 설계된 실 저장부분 73a 갖춘다. 실 78은 인발방향 78a을 갖는다. 인발시에 실은 제1 및 제2제동부재들 사이의 인발영역에서 제어된다. 제1제동부재는 다음에 더욱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저장동체에 박혀있는 내마모성 재료 (예컨대, 세라믹)로 된 지지링으로 구성된 지지부재에 대하여 움직일수 있도록 된 작은 기계적 질량의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지지부재 79는 저장동체내에 설치되어 있으며 내마모성 재료(예컨대, 세라믹)로 만들어져 있다. 지지부재의 직경 D2직경 D1에 비해서 작게 한다. 제2제동부재는 주변의 지지면 또는 지지모서리 74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제10도에는 특별히 도시하지 않았으나 인발되어 나오는 실과 협동할 수 있는 부재들을 갖추고 있다. 제2제동부재는 스스로 움직여서 실과 협동하는 부재들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그 실과 협동하는 부재들을 움직일 수 있도록 지지한다. 제1제동부재는 실의 주된 제동작용을 하는 반면, 제2제동부재는 예비제동 또는 가벼운 제동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주된 임무는 특히 그 부재의 감속과정 중에 실의 부분 78b에 장력이 걸리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감속과정 중에 제2제동부재는 실이 그 인발되어 나오는 지점에서 그 질량과 이동으로 인해서 느슨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데, 실이 느슨해지면 제1제동부재의 입구에서 엉킴현상이 일어남과 아울러 그 제1제동부재의 출구에서 실의 장력특성이 불규칙해진다. 제2제동부재 또는 실과 협동하는 제2제동부재의 부재들은 저장동체의 종방향 및/또는 횡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다. 이러한 이동은 화살표 80, 81 및 82, 83로서 표시하였다. 제1 및 제2제동부재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제어될 수 있다. 제10도의 실시예에서는 함께 제어하는 것을 도시 하였다. 제1제동부재는 공통제어장치 84에 접속된 권선 83'에 의해서 전자식(電磁式)으로 제어되며, 제2제동부재도 선 85, 86을 통해서 공통제어장치의 제어를 받는다. 권선 83'으로 연결되는 87, 88로 표시하였다. 그 제어장치는 통신선 89을 통해서 다시 더 높은 단계의 제어장치(도시 안했음)에 접속할 수 있다.
제11도의 실시예에서 저장동체 73의 둘레면 73b를 따라서 극체부재들 90,91, 92을 배열하였다. 이 극체부재들은 그 둘레면 73b을 향하여 오목한 내면을 갖는 극체로 구성된 형태의 것이다. 각 극체에 갖추어진 판형 또는 선형 요소 90b는 그 첫번째 단부 90c에서 고정되어 있으며, 그 자유단부는 둘레면 73b 향하여 연장된다. 극체부재의 권선 90d은 연결선 90e 및 90f을 통해서 제어장치 93 (제10도의 제어장치 84참조)에 접속된다. 제어장치 93는 일련의 극체부재들을 하나씩 차례로 접속하는 선택부재들을 구성할 수 있다. 이 부재들은 군별로 또는 함께 접속될 수도 있다. 각 요소의 자유단부 90b는 실의 제동 및/또는 실의 가능한 멈춤동작을 가장 잘 실현할 수 있는 형태를 취할 수 있다. 한 특징은 최소한 자유단부의 일부가 실에 대하여 작용하여 실을 파지할 수도있도록 하는 것인데, 그 파지력은 인발공정 중에 변화시킬 수 있다. 판형 또는 선형 요소는 그 극체권선이 에너지 공급원에 접속되어 있지 않을때 그 탄성지지위치에 있다. 그러나, 에너지공급원과 접속되면, 그 판형요소 (그 자유단부)는 그 극체부재에 이끌려서 실을 파지하는 위치를 떠나게 된다. 극체부재들은 제11도와 같이 물리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이들은 둘레면 73b을 따라서 균등하게 배치되는 별개의 장치들로서 구성할 수 있다. 하나의 동일한 극체부재가 여러개의 판형 또는 선형요소들을 갖출 수 있으며, 하나의 동일한 판형 또는 선형요소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권선들에 의해서 작동될 수 있다.
제11도의 실시예에서는 판형 또는 선형요소들이 극체부재들이 오목한 내면과 기본적으로 대응하는 연장부를 갖추고 있다. 이와는 달리, 제12도에 의하면, 각 판형 또는 선형요소가 둘레면 73b'과 더욱 밀접하게 관련되는 다른 형상의 연장부를 갖출 수도 있다. 말하자면, 첫번째 단부 90c'에서 극체부재 90'에 부착되어 있는 요소 90b'는 그 둘레면 73b'의 형상과 상응하는 연장부를 갖출 수 있다. 선형요소의 길이 (점선 90g 참조)는 그 오목한 내면 90h보다 더 길게 할 수도 있다. 선형요소는 공급되어 실의 부분 94(화살표 95의 방향 참조)에 대한 제동력을 연속적으로 증가 시킬 수 있도록 만들 수 있다.
제13도에서는, 극체부재가 U-자형의 단면을 갖추고 있으며, 제14도에서는 장방형의 단면을 갖추고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자극들 (N 및 S)이 양쪽 다리부분에 형성되는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N극과 S극이 그 단면의 상하부에 형성되어 있다.
제15도는 제1 및 제2제동부재들 70',71'이 서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도시한 것이다. 제1제동부재에 갖추어진 깔대기형 부분 96의 말단 96a으로부터 손가락형 또는 판형요소들 71'a이 후방으로 돌출연장되어 그 자유단부들에서 공지의 전자석부재 97의 자기력에 의해서 동작될 수 있도록 된 부분들 71'b을 지지하고 있다. 전자석부재 97를 동작시켜서 부분 71'b으로 하여금 둘레면 73b쪽으로 밀려가서 공급되어 오는 실의 부분을 파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2제동부재는 그 둘레면 73b을 따라서 균일한 간격으로 배치되는 이러한 탄성요소들 71'a다수개 갖추도록 만들 수 있다. 그 말단부분들 71'b은 실을 파지하는 위치에 있을때 기본적으로 함께 둘레면 73b을 따라서 단속적인 또는 연속적인 링을 형성할 수 있도록 배열할 수 있다. 이와 아울러, 또는 이와는 달리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전자석부재들 98을 스풀동체에 배열하여 이들에 의해서 그 말단부분들 71'b이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제11 및 12도에 의한 극체부재들 상의 탄성요소들을 가지고 연속적인 제동작용을 하기 위해서 두개의 극체부재 링들 또는 극체부재 장치들을 제16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서로 옆으로 배열함과 아울러 둘레방향으로 어긋나게 배치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극체부재 또는 극체 링 99, 100의 단면은 정방형으로 되어 있으나, 제13 및 제1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형상도 물론 사용될 수 있다. 극체부재들의 제어는 제11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제17도의 실시예에서는 반원형의 파지벨트를 101, 102을 사용하였다. 이 파지벨드들은 최소한 그들의 첫번째 지지점 103에서는 기본적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데, 그들의 다른 지지점에서도 분리되어 화살표쌍들 105, 106 및 107, 108을 따라서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작동은 서로 조화를 이루도록 또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8도의 실시예에서는 출력측 111상에 타원형 동작부 110를 갖춘 모터 109에 의해서 플랜지 쌍 101a, 102a이 작동되는 방식을 도시하였다. 제18도에 도시한 위치에서는 플랜지들 101a, 102a 이 최소의 간격 a을 유지하고 있는 반면, 타원형 동작부 110가 90°회전한 위치에서는 플랜지들이 서로 최대간격 a'을 유지하고 있다. 모터는 공지의 형태의 고속모터를 사용한다. 공지의 형태의 동작확대부재(movement-enlarging member)를 동작/시간 장치를 위해서 사용할 수도 있다. 모터는 제어장치 112에 의해서 제어되며, 그 제어장치는 더 높은 단계의 제어장치(도시 안했음)에 접속시킬 수 있다.
제19도의 실시예에서는 둘레면 73b의 주위에 변형성장치 114를 연장시켜 놓았다. 이 변형성장치는 지점 114a에서 프레임부분 115 에 고정되어 있다. 지점 114a의 반대쪽인 지점 114b에는 작동부재 116가 부착되어 있다. 작동부재는 피스톤 117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 피스톤의 피스톤봉 118은 지점 114b에 고정된다. 피스톤은 제어밸브 119에 의해서 도입되는 매질 (기체 및/또는 액체)에 의해서 제어되는데, 그 제어밸브는 압력공급원 120과 섬프 121를 교대로 피스톤 117의 양측에 연결한다. 제어밸브 119는 제어장치 122에 의해서 공지의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그 제어장치는 접속선 123을 통해서 더 높은 단계의 제어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상기 참조).
제20도의 실시예에서는 제2제동부재를 프레임 127속에서 저장동체의 종방향 125,126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요소 124로서 구성하였다. 본 예에서 제어작용은 매질공급의 함수로서 체적이 변하는 벨로우즈, 호스 또는 기타 부재들에 의해서 이루어지는데, 이 경우에 매질은 기체 및/또는 액체로서 구성할 수 있다. 매질공급원의 접속은 제19도에서와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지며, 그 제어장치도 제19도의 장치와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접속선 131을 통해서 제어장치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밸브 130을 사용할 수 있다. 요소 124는 그 프레임으로 부터 돌출하는 부분에서 탄성력을 가진다. 이 요소는 부재들 128, 129의 동작을 받는 부분 124a을 갖추고 있다.
제21도에 의하면, 제어장치 134(상기 참조)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자석 부재들 132, 133에 의해서 동작 125', 126'이 이루어진다. 변위요소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종방향 변위의 함수로서 실과 협동하는 돌출부분 124'과 전자석 부재 132, 133의 동작을 받는 부분 124a'을 갖추고 있다.
제22도는 프레임 127속에서 변위요소가 제어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제23도의 실시예에서는 프레임 135전체가 방향 125, 126으로 변위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 경우에, 프레임이 변위요소 136를 단단히 고정하고 있다. 이 요소는 모발, 말털(horsehair), 등으로 만들 수 있으며, 그 프레임으로 부터 돌출하는 부분 136a에서 탄성력을 가진다.
일예로서, 제2제동부재는 그 자신의 종방향으로 제동작용이 연속적으로 일어나서 맨 나중에는 멈춤부재에 의해서 완전히 정지될 수 있도록 만들어진다. 이 원리는 제24도에 도시하였는 바, 판 또는 선스프링 138(상기 참조)과 결합된 폴동체 137에 의해서 성취된다. 이 경우에 그 스프링의 힘과 전자기력에 의한 동작은 공급되어 들어오는 실의 부분 139이 화살표 140의 방향으로 그 스프링의 밑을 통과할 때 그 실이 받게 되는 저항력이 증가하도록 설계한다. 그 스프링요소 138의 말단에는 하방으로 휘어진 부분 138a을 형성시켜, 실이 마지막 위치에 도달했을때 그 휘어진 부분이 그 실에 대한 마지막 멈춤부재로서 작용하도록 한다.
제25도는 제2제동부재의 프레임 141에 변위요소 142가 그 동작에 따라서 반경방향으로 또는 완전한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말하자면, 대체로 반경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그 변위요소들은 핀 또는 바늘형 또는 그 밖에 다른 형태로 만들 수 있다. 그 변위요소는 기본적으로 반경방향 또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인 화살표 143, 144의 방향으로 동작한다. 본 예에서, 체적의 팽장 또는 수축작용을 할 수 있는 부재에 의해서 변위요소의 동작이 이루어진다. 그 부재는 둘레면 73b의 전체 또는 일부에 걸쳐서 연장되는 벨로우즈 또는 호스 145로 구성된다. 이러한 벨로우즈, 호스, 등은 그 상부면 145a 이 프레임의 내면 141a에 고정된다. 이 핀형의 변위요소는 호스 또는 벨로우즈 145의 동작을 받는 상부 머리부 142a를 갖춘다. 매질을 그호스, 벨로우즈, 등에 주입시키고 또한 그것들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그 변위요소가 반경방향으로 움직여서 실선 142 및 점선 142'으로 표시한 위치들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변위요소들을 다수개 서로 옆으로 배열하여 둘레면 73b을 덮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연속적인 실 146의 감속동작이 이루어지도록 (감속량이 증가하도록) 일군의 변위요소들을 서로 조화시켜서 배열할수도 있다. 도시한 예의 경우에, 변위요소의 위치들 142, 142' 및 142'''은 다수의 변위요소들을 차례로 배열했을 경우에 실 146에 대한 작용의 정도가 서로 달라짐을 표시한 것으로서, 그 실이 화살표 147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 그 제동작용이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제26도의 예를 보면, 핀형부재의 동작이 스프링 148의 작용에 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27도의 예에서는 그 핀형 변위요소 142의 동작이 그 핀형요소에, 예컨대 머리부 또는 또는 플랜지 142b에 갖추어진 탄성력에 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핀형 변위요소에 대한 작동력이 해제됨과 동시에 이 스프링 148 또는 탄성력에 의해서 그 변위요소가 초기위치 (실에 대한 작용력이 감소되는 또는 전혀 없는 위치)로 신속하게 복귀하게 된다. 이러한 반경방향으로 동작하는 핀, 바늘, 등의 동작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질수 있다.
제28도의 예에서는 팽창형 핀 149a을 갖춘 팽창부재 149를 도시하였는바, 팽창부재에 매질 (기체 및/또는 액체)공급하거나 또는 그로부터 배출시킴으로써 그 팽창형 핀을 팽창 또는 수축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 경우에 매질의 공급 및 배출은 제어밸브 150, 압력공급원 151 및 섬프 152에 의해서 할 수 있다. 매질을 공급하면 핀 149a이 점선으로 도시한 형태 149a'로 팽창하게되며, 매질을 배출시키면 핀이 원래의 형태 149a로 복귀한다. 팽창부재 149는 실과 협동하는 부분에서 과도한 마모를 방지하기 위하여 보강층 153을 갖추도록 한다. 팽창부재 149는 부분 149a에서 핀형, 젖꼭지형, 등으로 팽창할 수 있도록 하는 재료로 된 호스와 같은 것으로 구성할 수 있다. 팽창부재는 둘레면 73b주위로 설치하는 한편, 그 부재의 폭 방향 및 둘레방향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부분들 149a를 갖추도록 할 수 있다. 팽창부재의 핀형부분은 실에 대하여 변하는 마찰계수를 가지는 마찰면을 갖춘다. 부분들 149a이 실과 접촉하는 동작의 완료시점에 오면, 그 실이 그 저장동체의 둘레면 73b에 대하여 피지되는 양은 제어동작의 함수관계로서 커지거나 작아진다. 최종적인 위치에서 그 실은 일정하게 정지된다. 팽창부재 149는 벽의 두께가 그 핀형 부분 149a에서 감소된 호스로 구성할 수 있다.
제1도에서 일반적인 용어로서, 제동장치는 후방으로 좁아져서 실의 운반도관을 형성하는 깔대기형 부분으로 구성된다. 이 운반도관은 전자석의 내부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 깔대기형 부분의 전면은 저장동체의 코 부분에 설치된 후드형부분의 지지면에 대하여 작용한다. 깔대기형부재에는 복귀스프링이 갖추어져 있으며, 전자석을 작동시키면 그 깔대기형부재가 스프링의 작용에 반하여 그 후드형부분에 대하여 눌려지게 된다. 후드형부분은 저장동체에 회전식으로 설치된 부분에 장치된다. 그 스프링을 지지하는 지지체는 후드형 부분이 장치된 부분을 회전시키면 종방향으로 변위된다. 그 지지체는 중심육각주에 설치되며, 그 후드형 부분이 장치된 부분을 회전시킴에 의한 그 종방향 변위의 함수로서 그 스프링의 힘을 조정한다. 실의 인발시에 제동력을 변화시킬 수 있도록 제어함으로써 그 실이 그 후드의 표면에 대하여 파지되는 양이 커지거나 작아지도록 한다.
제1및 제2제동부재들은 동기 또는 비동기식으로 조작할 수 있다. 제2제동부재에 의해서 제1 및 제2제동부재들 사이의 실의 부분에 대하여 예비스트레스를 가함으로써 그 실의 부분이 느슨해지지 않게 된다. 그 실의 부분을 감시하는 감시부재는 실의 장력을 검출해서 그 장력의 함수로서 신호를 발생시켜 제2제동부재로 궤환시키면, 그 제2제동부재는 그 궤환신호의 함수로서 실에 대한 제동작용(예비제동)을 조정할 수 있게된다. 제1 및 제2제동부재들의 제어동작은 그 제2제동부재에 대한 제어신호들이 그 제1제동부재에 대한 제어부재에 대하여 약간 위상변위가 되도록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제2제동부재의 작용은 인발공정시에 다르게 변화되는 제동작용중에 언제나 앞서 있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제동부재들은 서로 다른 기계적인 관성력을 갖도록 설계함으로써 그 제동부재들에 대한 위상변위동작이 제2제동부재가 주로 작용하는 단계들에서 얻어지게 된다.
제동부재들은 제거의 함수로서 서로 강성도를 갖도록 설계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체적팽장과 수축은 필요치 않으나, 보조적인 특징으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느슨한 상태에서는 그 부재가 실에 대하여 약간의 제동작용만을 또는 아무런 제동작용을 가하지 않는다. 그 핀들/바늘들은 그들의 지지체속에 자유로이 설치될 수 있으며, 비작동상태에서 그들을 통과하는 실에 의해서 옆으로 이동된다.
일반적인 용어로 제5내지 제5f에 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예컨대, 세라믹재료로 된 마모링은 에너지흡수 및/또는 감쇄물질, 바람직하게는 소위 탄성물질, 예컨대 팽창폴리에틸렌으로 만들어진 또 하나의 링을 통해서 실 저장동체상에 고정된다. 마모링은 L-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며, 예컨대 다이어프램에 의해서 제동장치속의 제동부재속에 고정된다. 이 경우에 브레이크장치속의 제어장치는 고정된 영구자석과 협동하는 축방향 가동코일로 구성하여, 이 가동코일이 전류를 공급받으면 축방향으로 움직이게 되는 바, 그 전류의 방향에 따라서 그 가동코일의 동작방향이 결정된다. 따라서, 가동코일의 복귀동작은 그 코일을 통한 전류의 유동방향만 도치시키면 간단히 이루어진다. 배출되는 실의 장력측정장치는 공지의 것이다. 발열부재, 예컨대 레이저다이오드, 마이크로웨이브발생기, 등은 실공급장치로 부터 빠져나오는 실에 열표시(heat-mark)를 하기위한 것이다. 하류측에는 열검출부재, 예컨대 공지의 적외선 검출기를 설치하는데, 이 검출기는 열표시된 실을 검사하여 그 통과하는 실의 실제속도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열검출부재에 접속된 제어장치는 실제의 실장력 및/또는 실속도에 관한 신호를 제어부재로 궤환시키는데 (또는 제어부재에 실장력 또는 실속도에 따른 궤환신호를 공급하는데), 이 제어부재에 의해서 그 검출된 신호의 함수로서 실의 파지작용이 이루어짐으로써, 그 실의 제동작용은 사인파형으로 또는 다른 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는 달리 또는 이와 더불어 제어장치는 그 섬유기계에서 그 기계의 각도를 검출할 수 있다. 제5a도는 영구자석의 말단부를 도시한 것이다. 제5a도-제5b도는 파지 및 지지부재들의 상호 작용면들의 서로 다른 형태들을 도시한 것으로서, 이 상호작용면들은 첨가적인 제동작용에 대하여 서로 다른 편향작용을 한다. 제5f도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원통형부재(도면에 도시한 N극 및 S극 참조)로 된 영구자석이 두개의 고정코일과 협동하여 축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그 코일들에 전류를 가함으로써(어느 코일에 전류를 가하느냐에 따라서) 그 영구자석이 축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여 그 작용면 또는 파지면이 그 고정된 실 저장동체의 지지면과 변하는 압력으로 협동하도록 되어 있다.
제29도에서, 참조부호 150는 실저장부재, 이 경우에는, 예컨대 직기의 실공급장치의 출력 또는 인발단부 전체를 가리키는 것이며, 참조부호 151는 출력제동/실장력발생기 전체를 가리키는 것이다. 이 경우에, 제동장치는 제1판재(디스크)152의 형태로 된 제1지지표면부와 제2판재(디스크) 153의 형태로 된 제2표면지지부로 구성된다. 이 판재들중 하나는 유연한 부재, 예컨대 브러쉬로 대치할 수 있다. 이 판재들은 금속재료, 예컨대 알루미늄으로 만드는 것이 유리하며, 내열성 및 내마모성 재료, 예컨대 세라믹으로 공지의 방식에 의해 피복시켜 놓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판재는 인발단부에 나사식으로 끼워진 핀 154에 기울어질 수 있도록 부착시키는 것이 유리하며, 이 핀은 적절하게 둥근 머리부를 갖춘 것으로서 제동작용시에 제1판재 152로 하여금 (제2판재 153에 대하여) 스스로 중심을 잡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제2판재 153는 실저장부재의 지브(jib) 또는 크로스바아 155에 고정된 장치 E속에 설치된다. 제2판재 153 그 내측부 153a에서 도관부 153b에 고정되어 이와 함께 깔대기형부재를 형성한다. 도관부 153b는 다시 나사형부재 156속에 고정된다. 나사형 부재156는 그 장치 E속의 중심공간속에 설치된다. 나사형부재 156위에는 너트형부재 157이 설치되어 있는 바, 그 너트형부재의 내부나선과 나사형부재의 외부나선이 서로 맞물려있다. 너트형 부재 157에는 장치 E의 종방향홈 159과 협동하는 안내핀 158을 형성시켜 나사형부재 156를 돌릴지라도 그 너트형 부재 157는 돌아가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나사를 회전시키면 너트형부재 157가 인발단부 150를 향하여 또는 그것으로 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 된다. 너트형부재 157는 제2판재 153의 내측으로 연장되는 내부스프링 160의 지지부재를 구성한다. 따라서, 제1판재 152에 대한 제2판재 153의 압력은 나사형부재 156를 돌려서 조정할 수가 있다. 안내핀 158은 특정한 동작의 경우에 나사형부재 156에 의해서 맞추어 놓을 수 있는 파지력 또는 압력을 조작자에게 표시하기위한 표시부재를 구성한다.
제29도에는 또 다른 실-제동 또는 실-제어부재 161가 드럼의 인발단부 150a에서 공지의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이 부수적인 제동부재는 예컨대, 실공급장치 기술에서 잘 알려진 형태의 소위 스트로 또는 브러쉬링으로 구성하는 것으로서, 실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는 가벼운 제동 또는 제어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드럼의 원추형 인발단부에 대한 제동장치의 종방향 변위에 의해서). 이와는 달리, 유사한 공지의 형태의 실 밸룬-제동부재를 상기한 부수적인 제동부재 대신에, 또는 그것을 보충하여 적절하게 실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실저장부재로 부터 인발되어 나오는 실 1F은 판제동장치(plate brake)의 판재들 152 및 153 사이로 반경방향으로 공급되어 그 중심으로 향하는데, 이때 실의 적절한 초기 장력이 형성된다. 계속하여 실 1F은 깔대기형 부분의 중심통로 1P를 통해서 실저장부재로 부터 멀리 빠져나오는데, 이때 실은 장력을 증가시킬 정도로 바람직하지 못하게 심한 편향작용을 어떠한 식으로도 받지 않는다. 나사형 부재 156에 바람직하게 갖추어진 중심통로는 그 출구에 세라믹과 같은 재료로 만들어진 출구부분 162를 갖추도록 한다.
제29a도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제1표면지지부를 제29도에서와 같이 판재로 구성하지 않고, 대신에 실저장부재의 말단표면부 150b로 구성하여 단순화시켰으며, 이 말단표면부 150b를 적절한 방식으로 바람직하게 표면처리하여 이것과 제2판재 153가 서로 협동하여 인발시에 그 실에 적절한 장력을 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제30도의 실시예는 하나의 동일한 실 인발공정중에 (예컨대 하나의 동일한 웨프트피크(weft pick)) 실의 장력/제동 작용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음향기술분야에서 확성기에 적용되는 원리에 따라서 작용한다. 신호 i에 의해서 제어되는 코일은 163, 영구자석은 164, 부드러운 자성재료의 심부는 165로 표시하였다. 이 경우에 제2표면지지부는 마찬가지로 판재(디스크) 153의 형상을 취하며 지지관 166에 고정되어 드럼 150을 향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는 지지관 166의 종방향 변위에 따라서 동작한다. 지지관은 두개의 다이어프램 167, 168에 매달려있다. 그 지지관의 한 다이어프램 167에 대한 부착은 허브부분 169을 거쳐서 이루어지며, 이 허브부분에는 또한 코일이 부착되어 있다. 드럼 150의 종축선 171과 일치하는 코일의 종방향 변위 동작 170은 지지관 166과 그 속에 제2판재 153를 지지하는 허브부분 169으로 전달된다.
제31도의 실시예는 제30도의 실시예를 제29a도와 같은 방식으로 간략화 한 것으로서, 즉 이 경우에 제2판재 153는 실-저장부재의 말단표면부 150b와 직접 협동하여 제동작용을 하도록 하였는 바, 말단 표면부 150b는 표면처리하는 것이 유리하다 (제29도 참조). 기타의 경우에서 본 실시예는 제30도의 경우와 동일하다.
제32도의 실시예에서는 실-저장부재, 예컨대 직기의 실공급장치의 출력부는 172로 표시되어 있으며, 출력제동장치는 173 및 174로 표시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제동장치는 제1표면지지부 175 및 제2표면지지부 176로 구성되어 있다. 제동부173는 실공급장치 172의 드럼 177에 설치되어 있으며, 드럼 177에는 개략적으로 도시한 실저장체 178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드럼에는 원추대의 형상으로 된 원추형부분 179이 갖추어져 있는데, 이것은 그 드럼 177에 대하여 나사식으로 끼워 놓을 수도 있다. 원추형 부분 179의 외측단부에 형성한 홈 180속에 제동부 17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동부 173는 표면지지부로서 평면부 175a와 만곡부 175b를 갖춘 디스크로 구성된다. 이 디스크는 링의 형상을 하고서 그 말단모서리 175c에서 원추형부분 179에 고정된다. 디스크 175a, 175b는 거품플라스틱 링 181에 의해서 예비압력을 받고 있으며, 이 거품플라스틱 링이 디스크에 의해서 제자리에 고정되는 것은 디스크의 내측부분 175에 하방으로 휘어진 플랜지부가 그 거품플라스틱 링의 내면위로 연장됨으로써 성취된다. 디스크는 내열성 및 내마모성 재료, 예컨대 세라믹으로 공지의 방식에 의해서 피복시킨 금속재료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디스크 175a, 175b는 그 거품플라스틱 링에 의해서 탄성적으로 작용시킬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디스크는 원추형부분 179에 대하여 완전히 별개로 되어 그 말단모서리 175c에서 가동적으로 설치되어 그 드럼을 향하여 그리고 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부분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거품플라스틱 링의 주된 목적은 출력부 172의 축대(도시 않했음)에 대하여 디스크의 운동과 위치를 적응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그 축대를 위한 공간은 182로 표시하였다. 말하자면, 축이 어떤식으로 기울어 질지라도 디스크 175a, 175b가 제2표면지지부 176에 적응할 수 있기 때문에 그 평탄부 175a전체에 걸쳐서 완전한 접촉지지가 이루어지게 된다.
장치 174는 드럼 177에 대한 자유지지부로서 간주할 수 있다. 이 장치는 프레임 1의 지브 183에 고정나사 184 및 185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이러한 고정작업은 나사 185를 위한 연장구멍 187과 나사 184를 위한 연장구멍 187'을 갖춘 L-자형부재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그 장치 174를 프레임 1에 대하여 화살표 188 및 188'의 방향인 종방향 및 반경방향으로 변위시킬수 있게끔 한다. 제2표면지지부 176도 평면부 176a 및 만곡부 176b를 갖춘 디스크로 구성한다. 평면부 176a는 제동부 173의 평면부 175a에 대하여 눌려진다. 디스크 176a, 176b는 장치 174의 홈 199속에서 그 외측모서리 176c에 의해서 안내되는 것이다. 디스크 또는 판재 176는 그 내측말단부 176d에서 도관부에 고정되는데, 이 도관부는 부분들 176a, 176b, 176c및 176d와 함께 깔대기형 부재를 형성하는 것이다. 도관부 176e는 나사형부재 200속에 단단히 고정된다. 이 나사형부재는 하우징 174의 공간 201속에 설치되어 링 202에 의해서 고정됨으로써 화살표 203, 203'의 방향으로는 회전될 수 있으나 그 공간 201속에서 종방향으로는 변위될 수없게 된다. 이 나사형부재 위에는 너트형부재 204를 부착시켜 그 너트형부재의 내부나선과 나사형부재의 외부나선 205이 서로 맞물리도록 한다. 나사형부재에는 종방향 홈 207속에서 안내되는 안내부재 206를 갖추어 놓는다. 이 경우에 안내부재 206와 종방향 홈 207은 나사형부재 200를 회전시킬때 너트형부재 204가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사형부재를 화살표방향 203, 203'으로 회전시키면 너트형부재 204가 드럼 177을 향하여 또는 그로부터 멀리 떨어지는 방향으로 직선운동을 하게된다. 너트형부재 204와 제2표면지지부 176의 내측면 사이의 홈 201속에는 내부 스프링 208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표면지지부의 제1표면지지부에 대한 압력은 나사형부재 200의 회전에 의해서 변화시킬 수 있다. 이 경우에, 안내부재 206와 홈 207은 나사형 부재 200에 의해서 설정되는 압력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재로서 이용할 수 있다. 제32도에서 드럼 177의 둘레면 177a에 대하여 작용하는 제2제동부재 209를 표시하였는바, 실에 대하여 가벼운 제동 또는 제어작용을 하는 것이다. 실저장체 178로 부터 빠져나오는 실 210은 표면지지부들 175 및 176상의 평면부들 175a 및 176a 사이로 안내된다. 계속해서 실은 깔대기형부재의 내부 176f를 통해서 더욱 안내된다. 또한, 나사형부재에는 연속적인 내부구멍 200a이 갖추어져서 세라믹 링 또는 내열 및 내마모성 재료로 만들어진 부재로 구성된 출구 U로 이어진다. 제2표면지지부 176에도 세라믹 또는 기타 재료로 된 내열 및 내마모성 재료를 피복시켜 놓는다.
제33도의 실시예는 동일한 실 인발/웨프트피크(weft pick)시에 실의 장력/제동 작용을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제어 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음향 코일에 적용되는 원리에 따라서 작용한다. 코일은 211, 영구자석 212, 철심(부드러운 자성재료)은 213으로 표시하였다. 이 경우에 제2표면지지부는 마찬가지로 디스크형상으로 하여 지지관 214에 고정되어 드럼 177'을 향하여 전진 또는 후퇴하는 지지관 214의 종방향 변위에 따라서 동작한다. 지지관은 두개의 다이어프램 215,216에 매달려 있다. 그 지지관의 한 다이어프램 215에 대한 부착은 허브부분 217을 거쳐서 이루어지며, 이 허브부분에는 또한 코일이 부착되어 있다. 드럼 177'의 종축선 219과 일치하는 코일의 종방향 변위동작 218은 지지관 214과 그 속에 제2표면지지부 176'를 지지하는 허브부분 217으로 전달된다. 코일 211의 동작 218은 제어신호 i를 발생시키는 제어장치 22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본 장치는 큰 감도와 빠른 속도를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에, 제2표면지지부 176' 는 거품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거품플라스틱 링 221(제32도의 대응하는 링 181과 비교)에 의해서 가볍게 완충된다. 자석 212은 비자성재료로 만들어진 부재들 222,223에 의해서 고정된다. 부재 222는 다이어프램 215을 파지하는 데에도 사용한다. 코일은 허브 217에 고정되어 영구자석 212하의 공간 224속에서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다이어프램 216은 장치 174'를 위한 고정캡 225에 의해서 파지된다. 이 장치의 실린더들과 벽들 225, 226은 지지나사 227에 의해서 함께 결합된다. 드럼과 제동부 173'에 관해서는 제32도의 경우와 같다.
본 예의 경우에, 제1 및 제2표면지지부 175', 176'의 직경 d은 서로 기본적으로 동일한 크기로서, 실 저장체의 직경 D에 비해서 기본적으로 작다. 한가지 예를 들자면, d는 D의 10-40%로 선택하며, D의 50%를 넘어서는 않된다. 직선형 판스프링 부분들 175a, 175a' 및 176, 176'의 표면적은 드럼 177, 177'의 실저장체의 직경 D로 취한 단면적의 약 5%이다.
제32도에는 또 다른 실-제동부재 (실-장력 발생기)가 드럼의 인발단부에서 공지의 방식으로 작용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인다. 이 부수적인 제동부재는 예컨대, 실공급장치 기술에서 잘 알려진 형태의 스트로 또는 브러쉬링으로 구성하는 것이로서, 실에 대하여 조정할 수 있는 가벼운 제동 또는 제어작용을 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드럼의 원추형 인발단부에 대한 제동장치의 종방향 변위에 의해서). 이와는 달리, 유사한 공지의 형태의 실 밸룬-제동부재를 상기한 부수적인 제동부재 대신에, 또는 그것을 보충하여 적절하게 실을 제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34도에 따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실 저장부재(실 공급장치)에 있는 스풀동체의 코 부분 229에 있는 제동디스크 228가 원추형 중심부를 갖추도록 설계되어 있기 때문에, 이 제동디스크는 이 중심지점의 둘레로 경사질 수 있도록 되어 스프링지지된 대향 제동디스크 230의 위치에 적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제동디스크 228를 제자리에 고정시키는 것은 그 중심의 작은 구멍 231, 바람직하게는 스풀동체의 코부분 229에 고정된 핀형부재 232에 의해서 상기한 경사운동을 할 수 있도록 여유를 가지고 성취될 수 있다.
제35도의 실시예에 의하면, 고정된 제동디스크 233의 중심에 있는 공간 C을 통해서 바람직하게 공지의 형태로 된 끼우는 바늘 N의 끝은 그 바늘의 구멍이 제동디스크 233 및 234사이의 간격과 협동하는 위치로 들어올 때까지 들어올 수 있게 된다. 실 Y이 스풀동체 239로 부터 빠져나올때 그 실의 회전운동을 이용해서 그 실끼우는 바늘 N의 고리(hook)에 그 실 Y이 잡히게 되므로 브레이크장치를 통한 살의 삽입이 간단히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부푸러기들이 달린 실의 경우에는 그 공간속에 섬유들이 집적되어 그 공간을 통과하는 실에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 이러한 위험은 본 살시예에 의하면 공간 C의 바닥을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밀려날 수 있게끔 함으로써 해결할 수 있다. 실의 삽입중에, 실끼우는 바늘 N은 이 경우에 기본적으로 축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는 바람직한 원통형의 부재 B의 탄성력(예컨대 스프링 S에 의한)에 반하여 후방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그 원통형 부재 B는 실끼우는 바늘이 그 협동하는 위치에 존재치 않을 때 상기한 스프링 S에 의해서 정지위치로 복귀하여 상기한 공간 C을 채움으로써 상기한 바와같이 섬유가 집적되는 현상이 일어나지 않게 된다.
실이 출력제동장치를 통해서 정확하게 빠져나오게 하기 위해서는 실의 인발시에 제1부재 9 및 대향 지지부재 15사이로 안내되어 끊임없이 바뀌는 실의 부분이 그 제동장치속에서 시계바늘과 같이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표시침의 운동에 기본적으로 상응하는 운동을 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 대향 지지면들 사이에 위치한 실의 부분의 표시침운동은 실의 효과적인 청소작용을 보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표시침운동은 또한 실의 부분의 각 운동으로서도 보여질 수 있다. 이 표시침 운동이 실제로 확실하게 일어나도록 보장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것을 아니지만, 실공급장치의 드럼상의 실 저장체 및 출력 제동장치 사이에서 그 실에 비교적 낮은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가능한 낮은 (이것 자체가 그 실에 장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지지 또는 제어장력을 가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는 것을 알았으며, 그 출력제동장치는 말하자면, 그 실의 인발력 AF와 비교해서 반대쪽으로 작용하는 반력 MF을 가하는 것이다. 이 지지 또는 제어장력은 주제동장치와 별개로 된 제동/장력부재에 의해서 생성될 수 있다(예컨대, 제10도의 71; 제29, 30도의 161; 제32, 33도의 209; 제36, 37, 38도의 TR을 참조). 이러한 지지 또는 제어장력은 바람직하게 조정할 수 있으며(이것에 관한 상기의 설명 참조) 주제동장치 (상기한 표시침운동이 실제로 정확하게 일어나게끔 보장하는)속에서 실의 모습을 연구함으로써 간단하게 설정될 수 있다. 어떤 특정한 동작의 경우에서는 수 cN의 지지 또는 제어력만으로 충분하지만, 반면에 다른 경우 이 힘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제36, 37 및 38도에는 상기한 바에 의한 쉽게 동작할 수 있는 출력제동시스템에 설치한 공기로 실을 삽입하는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 공기로 실을 삽입하는 장치는 그 자체로는 상기한 특징들을 갖추고 있지 않으나, 적당히 변형시키면 일반적으로 출력제동장치와 함께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이것은 또한 그 자체로서 제35도의 실시예에 적용할 수 있다. 제36도에서, 스풀동체의 코부분은 235로 표시하였다. 스풀동체의 코부분에 형성한 홈 236속에 작동기구 23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이 작동기구는 경사가동부재의 형태로 되어 그 중심부가 그 스풀동체의 코부분에 설치된 지지축 238에 지지되어 회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대향지지부재는 전술한 대부분의 실시예들의 경우에서와같이 후방모서리 239a 및 전면부 239b를 갖추고서 실 파지면을 형성하는 작은 판재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이 대향지지부재는 홈 240속에서 그 중심부가 지지나사 또는 저널(journal) 241에 의해서 스풀동체의 코부분에 지지되어, 마찬가지로 판재의 형태로 형성한 제1부재 242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경사가동부재 237는 시작위치에 있을때 그 첫번째 단부 237a에 의해서 대향지지부재의 후방모서리 239a를 지지한다. 경사가동부재 237의 타단부 237b는 작동부재 243의 동작을 받게되는데, 이 작동부재의 동작시에 그 작동부재의 종방향 변위부재 243a가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사가동부재 237와 협동하는 것이다. 이 작동으로 인해서 대향지지부재 239가 기울어지게 된다. 나사 241(저널)의 꼭지단에서 이러한 경사운동을 가능케 하기위해서 대향지지부재 239는 적절한 동작여유를 가질 수 있도록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작동부재 243는 압축공기실린더의 형태로 하여, 그 실린더 공간 244속에서 피스톤 245이 종방향으로 변위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변위부재 243a(피스톤봉)는 피스톤 245에 연결되어 있다. 이 피스톤은 작동매질, 적당하기로는 실을 공급 및 지지하는데 사용하는 압축공기(제37도에서 입구 244'참조)를 그대로 이용하여 변위시킬 수 있다. 이러한 작동매질에 의한 피스톤의 동작은 그 실린더공간에 설치된 스프링 248의 작용에 반해서 일어나게된다. 압축공기실린더의 작동이 중지되면 피스톤은 스프링 248에 의해서 후퇴하게된다. 또한, 압축공기실린더의 작동이 중지되면 부재 242의 스프링작용(260참조)에 의해서 경사가동부재 237가 제3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작위치로 복귀한다.
작동부재 243를 작동시키면, 제3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대향지지부재의 실 파지면 239c과 제1표면지지부재 242의 실 파지면 242a사이에 간격 250이 형성된다. 이 간격 250은 경사가동부재 237의 대향지지부재에 대한 작용지점에서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측에 형성된다. 이 간격 250을 통해서 실 251이 하방으로 인발되어 들어가게된다(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분사과정에 의해서 인발되어 들어가도록 함).
또한, 이러한 공기로 실을 삽입하는 장치는 공기 또는 실공급에 사용되는 기타의 매질을 위한 도관 252을 갖춘다. 이 도관은 코부분의 제동장치가 실공급장치의 일부 도시한 크로스바 254, 바람직하게는 제37도에 도시한 그 외측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프레임부분 253에 설치된다. 이 도관 252은 상기한 프레임부분 253으로 들어가는 입구 252a를 갖춘다. 이 입구 252a에 압축공기 또는 기타의 매질 공급장치를 접속시킬 수 있다. 이 압축공기 공급장치는 제37도에 도시 안했다. 도관 252은 공지의 형태로 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분사부재 255로 연결된다. 코 부분의 제동장치에 나사식으로 부착시킬 수 있음과 아울러, 그것의 출력측에 내마모성 재료, 예컨대 세라믹 재료로 된 구멍부재 258를 갖춘 부재 257에 상기한 분사부재를 포함시켜 놓을 수 있다. 부재 257는 조정 나사부재 259속에 설치할 수 있다. 조정나사부재 259는 제1표면지지부재 242 및 그 대향 지지부재 239사이의 파지력을 변화시키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 조정나사부재는 코부분의 동체에 대하여 여러가지 회전각도로 부착시켜 놓을 수 있다(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음). 스프링 60의 파지력은 그 조정나사부재의 회전정도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 회전정도가 클 경우에는 그 제1지지표면부재 242가 그 대향지지부재 239를 누르는 지지력이 그렇지 않은경우보다 더 크다. 이 조정나사부재의 외부나선 261은 그와 대응하는 그 코부분의 동체에 설치된 종방향 변위부재 262의 내부나선과 협동한다. 이 조정나사부재는 스프링 부재 263로 지지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볼들 264로 구성된 순간고정부재에 의해서 일정한 회전위치에 고정시켜 놓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볼들은 조정나사부재에 있는 홈들 265(본 예에서는 여섯개)과 협동한다. 이렇게 해서, 회전나사부재의 특정한 회전위치들에 따라서 그 볼들이 그 회전위치들에 대응하는 홈들 속에 눌려들어가서 고정된다.
자동적인 실공급작용을 하기위한 매질의 공급장치는 공지의 방식으로 작동된다. 이렇게 작동을 시키면, 매질의 흐름 266이 도관 252속에 생성되어 그 중심공간속에서 분사작용이 일어나게 되므로 실이 제동장치를 통과하게 된다. 실 251은 수동 또는 자동장치에 의해서 경사가동부재 237에 의해 형성된 간격 250을 통해서 인발된다. 말하자면, 분사작용으로 인해서 매질의 흐름 267이 일어나게 되고, 따라서 부재 242 및 대향지지부재 239사이의 간격 250으로 공기의 흐름 268이 빨려들어오게 된다. 스풀동체의 코부분에서 공기가 잘 흘러가도록 하기 위해서, 그 코부분에 바람직하게는 그릇 형상의 홈 269을 형성시킨다.
제38도의 실시예를 보면, 조정나사부재 259를 순간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스프링부재 263와 결합된 볼 264이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홈들(본 예에서 여섯개) 265a, 265b, 265c, 265d, 265e 및 265f이 조정나사부재 259의 특정한 회전위치들을 결정하게 된다. 예컨대, 퍼스펙스(perspex)로 된 표시창 269,270을 형성하여 이들을 통해서 조정나사부재의 회전정도, 즉 제동장치에 설정된 실의 장력을 눈으로 알아볼 수 있도록 한다. 상기에서 언급치 않은 부분들 및 구성부품들의 구조 및 기능에 관해서는 문맥을 통해서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자동으로)실을 공급하는 방법의 특징은 작동부재들을 작동시켜 제1표면지지부재 및 그 대향지지부재를 상대적으로 경사지게 함으로써 실을 통과시키기 위한 간격 250을 형성한다는 데에 있다. 실의 끝부분을 그 간격에 집어넣고 실의 배출도관속에서 분사작용이 일어나도록 하면 그 배출도관을 통해서 그 실의 끝부분이 빨려들어가게 된다. 실 공급이 완료되면 제1부재와 그 대향지지부재를 경사지게 하기위한 동작을 분사동작과 함께 중지시키는데, 이러한 동작들은 전술한 바와같이 동일한 매질의 흐름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은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들에 의해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개념의 범위내에서 수많은 변형예들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85)

  1. 실 저장체를 지지하고 공간적으로 고정된 동체로 구성되며 이동체로부터 실(11)이 배출도관을 통해서 빠른 속도로 인발되어 나가도록 하는 실 공급장치(13)를 위하여 베어링에 설치되어 인발되어 나오는 실을 대향지지부재(15)에 대하여 파지하는 표면을 갖춘 제1부재(9)로 구성한 쉽게 동작시킬 수 있는 출력제동시스템에 있어서, 상기한 부재(9,15)은 인발되는 실의 회전에 따라서 실 청소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청소해야할 물질 (부푸러기, 부스러기 등)이 그 부재들(9,15)에 붙어서 쌓이지 않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함과 아울러, 상기한 부재들, 베어링, 등의 성분과 무게를 선택하고 상기한 제1부재의 외경의 칫수를 현저하게 감소시킴으로써 얻어진 유동성으로 인해서 심지어 신속하게 통과하는 실에 불규칙성/매들이 나타날 경우에 그것을 순간적으로 놓아주고 또한 순간적으로 이전의 제동/장력작용으로 복귀함과 아울러, 또는 하나의 동일한 실이 상기한 동체로부터 인발되어 나올때 (기계의 싸이클 스트로우크) 상기한 시스템의 제동 또는 장력을 변화시키기 위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제어장치들에 순간적으로 응답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실(11)이 저장동체(13)로부터 인발되어 나와서 상기한 실공급장치의 후방부분에 있는 출구를 통해서 통과하는 한편, 파지부재(9,10)가 인발되어 나오는 실을 제어장치(1,7)로 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서 상기한 저장동체 상의 대향지지면(15b) 또는 대향지지모서리(15) 또는 그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실의 신속한 인발공정 중에도 변화시킬 수 있는 파지력으로 파지작용을 할 경우에, 상기한 파지부재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 중심축선(14)의 연장선 상에서 작용하도록 만들어져서 상기한 저장동체의 실 저장면이 있는 곳에서의 단면적/외경(D')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단면적/외경(d)을 갖는 작동표면/작동부(9)에 의해서 파지작용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는 인발공정시에 상기한 파지부재를 제어하여 그로하여금 파지력을 변화시켜, 예컨대 싸인파형으로 변화시키거나 또는 상기한 실공급장치를 사용하는 기계 또는 섬유기계에 대한 작용에 적합하게 변화를 시킬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표면(9c)은 하나의 연속적인 환상부재 또는 서로 옆으로 배열되어 함께 불연속적인 환상부재를 형성하는 다수의 요소들(22)로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 제1, 제2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는 연속적인 공간이 출구부분(10)을 형성하거나 또는 그것에 포함되는 반원통형 또는 기본적으로 깔대기형 부재의 일부 또는 그것에 접속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는 상기한 실이 상기한 저장동체로 부터 인발되어 나오는 전체시간 또는 그중 일부시간 동안에 상기한 실 및 대향지지표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한편, 서로 옆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탄성을 지닌 다수의 요소들(22)의 경우에는 상기한 인발시에 그 요소들이 한번에 하나씩 연속적으로 각자의 파지작용을 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는 신속한 인발공정시에, 예컨대 대략 50-100ms정도의 신속한 인발공정시에 가변작용을 할 수 있는 가동작동장치의 일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것에 연결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깔대기형 파지부재의 경우에는 상기한 탄성요소들(22)이 그 깔대기형 파지부재의 전면 또는 넓은 단부의 모서리 또는 그에 인접한 곳에 고정되어 그 탄성요소들의 자유단부가 상기한 파지부재의 중심을 향하여 연장되는 한편, 내마모성 재료, 예컨대 세라믹으로 만들어져서 상기한 저장동체에 고정된 부재, 예컨대 링(21)위에 설치된 바람직하게는 외향 만곡의 대향지지표면에 대하여 상기한 탄성요소들의 자유단부가 실을 누르도록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요소들은 상기한 원통형 또는 깔대기형 부재(9,10)에 부찰된 고정부재를 형성하는 환형부재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깔대기형 부재의 원추형 부분은 파지작용시에 상기한 실 및 대향지지표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대향지지표면 또는 모서리는 다시 상기한 저장체에 설치되어 있는 강성의 또는 그 저장동체(13)내에서 변위될 수 있거나 탄성적인 또는 그 자체로서 탄성을 지닌 부재(15)위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동체에 있는 가동변위 또는 탄성부재(15)는 저장하우징(18)속에 설치되어 제1스프링부재(16)의 작용에 대하여 눌려질 수 있도록 되어있음과 아울러, 그 저장하우징과 변위 또는 탄성부재는 그 제1스프링부재의 탄성력을 설정할 수 있도록 조정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저장하우징(18)은 상기한 저장동체(13)에 회전식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1스프링부재(16)는 내부 지지부재(17) 및 상기한 변위 또는 탄성부재(15)의 내면 사이에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한 내부 지지부재는 상기한 저장하우징의 회전에 의해서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 및/또는 탄성요소들은 전기 에너지 또는 기체 및/또는 액체 매질에 의해서 동작하는 제어장치 (각각 1,7 및 29, 34, 35)에 의해서 상기한 저장동체에 대하여 변위시킬 수 있는 한편, 여러개의 제어가능한 탄성요소들(30)의 경우에는 이들을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제어할 수 있음과 아울러, 개별적으로 제어가능한 요소들의 경우에는 이들이 기본적으로 크기가 동일한 파지력을 동시에 가지도록 및/또는 인발동작의 회전둘레를 따라서 변하는 파지력을 가지도록 하는 제어신호들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데, 이 경우에 상기한 탄성요소들의 작동은 상기한 회전둘레를 따라서 이동하는 펄스식 작동으로 볼 수 있으며, 이 펄스식 작동은 상기한 실의 인발작용과 함께 비동기식 또는 동기식으로 조화되어 이루어질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4. 제12항에 이어서, 상기한 원추형 부분에 탄성요소들을 갖춘 깔대기형 파지부재의 경우에 그 원추형 부분은 코일을 통해서 연장되는 실 운반도관(10)과 연결 또는 일체로 되어 있어서 이 코일이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한 파지부재로 하여금 상기한 실을 상기한 저장동체 또는 이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파지하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제2스프링부재(12)는 상기한 원추형 부분(9)의 외측으로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파지부재에 대한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발생된 변위운동에 대한 복귀스프링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요소들은 기본적으로 판, 손가락, 등의 형상을 하고서 그 부착지점에서 약간 경사져 있으며 상기한 실의 인발방향으로 향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전기에너지로 동작하여 상기한 파지부재 또는 그 일부를 전기에너지 제어신호에 의해서 중심 종방향으로 변위시킬 수 있는 부재의 형태로 된 제어장치의 경우에 이 제어장치의 상기한 저장동체에 대한 초기위치는 수동으로 또는 자동으로 동작시킬 수 있는 부재(24)에 의해서 조정할 수 있도록 된 실제동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한 파지부재는 하나 이상의 벨로우즈부재(29)에 설치된 탄성요소(32)로서 구성되는 그들의 자유단부들이 그와 관련된 부분(33)의 저장동체에 대하여 상기한 실을 누르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벨로우즈부재들을 상기한 파지부재와 별도로 형성되어 상기한 출구부분을 중심에서 지지하는 벽 또는 이와같은 것에 설치하는 한편, 이 벽(40)을 바람직한 초기위치에 배치할 수 있도록 조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변위가능한 탄성부분(15) 경우에 이 탄성부분은 상기한 파지부재를 받치는 외측의 탄성 플랜지를 갖춤과 아울러, 이 탄성부분을 지지하는 상기한 저장동체속의 베어링속에서 정지부재의 역할을 하는 후방의 돌출플랜지 (15d)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요소(22,32)는 작은 질량(약 1-5g)을 가지며 그 파지력이 0-200cN 정도가 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외경(D)은 상기한 저장동체의 그 실 지지부분에서의 직경(D')의 약 50%이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표면의 외경은 상기한 저장동체의 실 지지부분에서의 직경(D')의 약 50%이하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2. 제17항에 있어서, 환형의 벨로우즈부재는 원추형 공간과 이것의 후방으로 이어지는 원통형 또는 환형의 출구부분을 갖추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3. 제1항에 있어서, 실이 저장동체로 부터 인발되어 실 공급장치 전면 부분을 통해서 나오는 경우에, 그리고 파지부재가 제어장치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그 인발되어 나오는 실을 상기한 저장동체의 대향지지면 (42)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또는 이와 관련된 부분에 대하여 심지어 실의 신속한 인발공정시에도 변화시킬 수 있는 파지력으로 파지하는 경우에, 상기한 파지부재는, 예컨대 그것과 상기한 대향지지부재들 사이의 상호작용표면들 중 하나 또는 양쪽 모두가 만곡형, 파형, 등의 형상을 가짐으로써 편위동작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음과 아울러, 또는 상기한 상호작용표면을 그 편위동작을 할 수 있는 상호관계로 배열되어 있음과 아울러, 또는 상기한 제어장치는 실 장력 및/또는 실 속도를 검출하여 그와 관련된 변수들을, 예컨대 상기한 실 장력을 감지하는 감지부재(48) 또는 표시 또는 열표시를 하고 그 표시 또는 열표시를 검출하는 부재(49,51)에 의해서 궤환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심선의 연장선에서 동작하는 제동부재는 전자석, 벨로우즈부재, 등으로 구성된 제어장치(46, 52, 53)에 의해서 제어할 수 있으며, 이 제어장치는 상기한 중심축선을 따라서 한쪽방향으로만 동작할 경우에는 탄성의 복귀스프링을 갖추며, 양쪽 모두의 방향으로 동작할 경우에는 복귀스프링이 필요없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5.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의 인발시에 그 실을 제어장치(62, 63, 64)의 제어신호에 의해서 상기한 실공급장치의 저장동체상의 대향지지면(56b)에 대하여 파지하는 탄성요소들 (60b)로 구성됨과 아울러, 이 탄성요소들은 지지점(66)을 중심으로 경사질수 있도록 배치되어 그 지지점의 제1측면에서는 그 탄성요소들의 경사운동을 위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동작시킬 수 있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작동부들(60c)갖추고 있는 한편, 제2측면에서는 상기한 파지작용을 하는 부분들을 갖추고 있음과 아울러, 또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둘레를 따라서 펄스식으로 제어작용을 하는 제어장치에 의해서 상기한 실의 인발작용과 함께 동기식으로 또는 비동기식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60c)는 내측에서 탄성요소들(60b)이 돌출하는 환형요소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한 환형요소(60c)는 디스크형으로서 그 자신의 평면에서 모서리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한 탄성요소들은 상기한 환형요소로 부터 상기한 평면에 대하여 상기한 각도로 그리고/또는 그들 자신의 평면에서 더 작은 각도들로 연장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한 환형요소는 상기한 경사지지를 위해서 구멍들(60d)가지며, 이 구멍들은 상기한 환형요소의 둘레를 따라서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29. 제25항에 있어서, 상기한 탄성요소들 (60b)은 상기한 둘레를 따라서 개별적으로 또는 군별로 배열되어 있으며, 각 탄성요소 또는 탄성요소군은 개별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는 제어장치부(62', 62, 62''')에 접속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0. 제2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부들(62', 62, 62''')은 선택부재(68), 예컨대 등록부재에 의해서 제어 할 수 있도록 하여, 이 선택부재의 작용에 의해서 그 제어장치부들을 연속적으로 접속함으로써 상기한 펄스식 제어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1. 제30항에 있어서, 비동기식 제어동작을 할 경우에는 이 제어동작이 인발작용 후에 또는 약간 앞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62', 62, 62''')의 제어동작에 의해서 상기한 실의 인발시에 그 파지압력을, 예컨대 싸인파형으로 또는 섬유기계에 적합하게 변화시킬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3. 제2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어장치는 전기제어식 또는 기체-및/또는 액체-제어식의 작동부재에 대하여 작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한 기체- 및/또는 액체-제어식 부재들의 경우에 이 부재들은 상기한 펄스식 동작시에 상기한 제어장치에 의해서 작동되어 각 스프링요소 또는 스프링요소군의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호스부분들, 벨로우즈부재들, 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5. 제1항에 있어서, 실 저장동체를 갖춘 실공급장치에 사용되어 심지어 신속한 인발공정시에도 상기한 실(78)에 대한 제동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는 제동장치의 경우에 이 제동장치는 협동하는 제1 및 제2제동장치들(70,71)로 구성하여 그중 제1제동장치(71)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코부분 또는 전면부분에 그 저장동체에 비해서 작은 직경을 갖는 제1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작용토록하는 한편, 제2제동장치(70)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실지지부에 있는 제2대향지지면(73b)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에 대하여 작용하도록함과 아울러, 제1제동장치는 가능한 작은 질량으로 인해서 신속하게 작용하여 그 제1제동장치로부터 인발되어 나오는 실의 부분의 최소한 주된 장력특성을 부여하도록 하고, 제2제동장치(71)는 상기한 인발공정의 시점 또는 주된 기간에서는 상기한 장력특성에 전혀 기여하지 않거나 또는 약간만 기여하는 반면에 상기한 인발공정의 최종시점에서는 그 제1 및 2제동장치(70, 71)의 사이에 있는 실의 부분이 느슨해져서 바람직하지 못하게 엉키거나 또는 그 특성이 나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그 실에 대하여 제동작용을 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2제동장치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또는 연결되어 있으며 더 높은 단계의 제어장치(84)에 의해서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 연결되어 제어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7. 제36항에 있어서, 제2제동장치는 제1제동장치의 작용을 위한 실의 예비제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항상 실의 부분(78b)을 끌어당기도록 함과 아울러, 또는 최소한 제2제동부재의 제동작용시에 제1 및 제2제동장치 사이의 실부분(78b)에 걸리는 장력을 검출하여 상기한 예비장력을 발생시키거나 또는 제1제어장치의 제동작용을 위한 예비제동을 위한 제2제동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실장력 검출부재를 설치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8. 제1항에 있어서, 실(78)의 저장동체를 갖춘 실공급장치에 사용되어 심지어 신속한 인발공정시에도 상기한 실에 대한 제동작용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제1 및 제2제동장치를 사용하거나 또는 제2제동장치만을 사용하며, 제2제동장치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정지기능도 함께 가지고서 작용하는 제동장치의 경우에, 제2제동장치는 환형부재(127) 및 이것의 평면에서 그리고/또는 이것의 평면에 대하여 적당히 약간 경사져있다면 이것의 중심을 향하여 안쪽으로 연장된 깃털-또는 솔-형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그 환형부재는 상기한 저장동체상의 제2대향지지모서리(73)에 대한 상기한 솔-형 요소들의 압력, 따라서 상기한 실이 상기한 각 솔-형 요소와 제2대향지지모서리를 통과할 때 그 실에 대한 그 솔-형 요소들의 압력을 감소 또는 증가시킬 수 있도록 하기위해서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으로 바람직하게 변위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제동장치는 탄성의 판형 또는 선형요소를 갖춘 하나 이상의 극체부재들(90, 91, 92)로 구성되며, 상기한 판형요소의 첫번째 단부(90c)는 대응하는 극체부재에 고정되며, 상기한 극체부재들은 서로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상기한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둘레로 링을 형성하며, 각 극체부재는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를 향하여 오목한 내면(90h)을 가지며, 상기한 탄성의 판형요소는 그 첫번째 단부에서 고정됨과 아울러 그 자유단부는 상기한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부분을 향하여 연장되어 상기한 실이 인발공정시에 그 자유단부를 통과할 때 그 실과 협동하며, 여러개의 극체부재들이 상기한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둘레로 바람직하게 균등한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그 극체부재들이 상기한 제어장치에 개별적으로 또는 함께 제어될 수 있으며, 상기한 극체부재들을 동작시켰을 경우에 상기한 판형 요소들이 상기한 실에 대하여 감속 및/또는 정지작용을 하며, 그 극체부재들을 작동을 중지시켰을 때는 상기한 감속작용이 줄어들거나 중지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판형 요소(90b')의 자유단부는 상기한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상방으로 연장되는 아치형 또는 만곡형으로서 그 판형요소의 길이(90g)는 그와 대응하는 극체부재의 오목한 표면의 길이와 기본적으로 일치하거나 또는 길이를 초과하며, 각 극체부재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종방향과 일치하는 장방형 또는 정방형의 단면 또는 U-자형 단면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1. 제40항에 있어서, 제2제동장치 또는 정지부재는 핀형 또는 바늘형 부재(139)를 위하여 상기한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상방으로 간격을 두고 배열된 하나 이상의 베어링부재들로 구성되며 그 핀형 부재는 상기한 저장동체의 단면방향으로 보았을 때 반경방향으로 또는 반경방향에 대하여 경사진 방향으로 그 제2대향지지 (73b)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쪽을 향하여 또는 그로부터 멀리 작용하도록 되어있으며, 상기한 핀형 부재들은 그 밑을 통과하는 실이 그로부터 자유롭게 움직이는 제1위치와 그 실이 부분적으로만 자유롭게 통과하거나 또는 정지/제동되는 제2위치를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져 있으며, 상기한 제1위치는, 예컨대 각 핀형부재에 구비된 개별적인 탄성부재(148)의 스프링작용에 의함과 아울러, 또는 그 핀형 부재의 질량이 작고 그 핀형부재를 위한 베어링이 기본적으로 마찰력을 갖지않기 때문에 상기한 실의 통과시에 그 실의 작용에 의해서 얻어지며, 상기한 제2위치는, 예컨대, 액체 또는 기체매질에 의해서 동작하는 하나 이상의 호스, 벨로우즈, 등에 의해서 얻어지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제동장치 및/또는 정지 또는 억제부재는 제2대향지지면(73b) 또는 대향지지모서리 둘레로 연장되며, 예컨대 피스톤(116) 또는 자석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변형될 수 있는 부분(114)으로 구성되어 그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 지지모서리 사이에 두개의 제동 또는 정지 부분들이 생기도록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제동장치는 관련된 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의 부분들에 대하여 서로 반대쪽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제동밴드 또는 제동선재들로 구성되며, 이 제동밴드/제동선재 부분들에 대한 지지점들(103,104)은 하나 이상의 모터들(109)의 신속회전운동에 의해서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4. 제1제동부재는 하나 이상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손가락모양 또는 선형 요소들(71'a)을 갖추고 있으며, 이 선형 요소들의 자유단부들은 상기한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 지지모서리(73b)상방으로 연장되어 그곳에서, 예컨대 하나 이상의 자장(磁場)(97, 98)에 의해서 동작도어 그 제2대향지지면 또는 대향지지모서리와 협동하여 상기한 실의 제동, 억제 또는 정지작용을 할 수 있도록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5. 제44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여 서로에 대하여 가까이 또는 멀리 향하도록 작동되는 두개의 표면지지부분들로 구성된 실 저장부재, 바람직하게는 섬유기계상의 실공급장치용 제동부재의 경우에, 그리고 상기한 실 저장부재의 실 저장체로부터 실의 인발시에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 사이로 그 실이 통과 되도록 하며,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중 첫번째의 것이 실 저장부재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두번째의 것이 상기한 단부면의 외측에 배치된 장치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의 표면들의 외경은 상기한 실 저장체의 직경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예컨대 10-40%밖에 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6. 재4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은 작은 중량의 부재, 즉 약50그램 이하되는 부재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에 대하여 수동으로 조정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8. 제4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은 슬리이브와 하우징으로 구성된 상기한 장치에 설치되며, 상기한 하우징은 회전식으로 배열된 나사와 그 위에 부착되는 너트를 포함하며, 상기한 너트는 상기한 나사를 수동으로 회전시킴에 의해서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을 향하여 또는 그로부터 멀리 움직일 수 있도록 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한 너트와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의 제1표면지지부분에 대한 압력은 상기한 나사를 회전시켜 상기한 너트의 종방향 위치를 변위시킴으로써 조정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을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에 대하여 종방향으로 변위시켜 전자로 하여금 후자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도록 함으로써 얻는 실의 장력의 범위는 0-100그램이 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0. 제49항에 있어서, 상기한 너트는 상기한 슬리이브/하우징에 형성된 종방향 안내홈에 의해서 안내되는 안내부재를 갖추도록 하여 상기한 나사를 회전시킬때 상기한 너트가 따라서 회전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한 안내부재 및 안내홈은 상기한 슬리이브/하우징내에서 결합되어 상기한 너트의 종방향변위를 표시하는 부재들의 역할을 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1. 제50항에 있어서, 상기한 장치는 전체적으로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에 대하여 대체로 전진 및 후진하는 방향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지지표면부분은 상기한 나사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의 표면은 상기한 실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청소될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4. 제53항에 있어서, 상기한 표면은 그 크기 및 형상에 의해서 상기한 실의 인발시에 냉각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5. 제5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은 전기식 제어부재의 프레임에 탄력적으로 배열되어 그 전기식 제어부재의 축이 상기한 프레임에 대하여 경사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6. 제55항에 있어서, 상기한 각 표면지지부분과 협동할 수 있는 스프링부재들은 거품플라스틱재료, 예컨대 거품플라스틱 링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7. 제56항에 있어서, 0-100그램의 실장력을 얻기 위해서 상기한 제1 및 제2표면지지부분들 사이의 위치조정은 전기적인 수단에 의해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58. 제57항에 있어서, 하나의 동일한 실의 인발시에 실장력의 조정은 높은 속도와 감도를 가지고 동작하여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의 제1표면지지부분에 대한 압력을 변화시키는 작동장치에 의해서 이루어지도록 하며, 이 작동장치는 음향코일에 의해서 동작되는 실제동장치.
  59. 제58항에 있어서, 철심속에 설치된 자석부재, 수신된 전기제어신호에 의해서 종방향 변위운동을 하는 코일, 및 이 코일과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이 연결되어있는 다이어프램지지 허브로 구성하여 코일의 운동이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으로 전달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0. 제59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다이어프램과 또 하나의 다이어프램에 각 단부가 지지된 지지관에 고정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1. 제60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은 실저장체로 부터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의 표면을 거쳐서 하방으로 통과하여 상기한 장치의 중심을 통해서 상기한 장치의 출구를 거쳐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2. 제61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은 깔대기형의 제2표면지지부분을 통과해서 상기한 지지관 및 상기한 장치의 출구를 거쳐서 배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3. 제6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은 바람직한 원추대형으로 되어 상기한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그 프레임에 속하는 부분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원추대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4. 제6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은 만곡부로 모아지는 평면부를 갖춘 제1디스크의 형상을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5. 제6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은 만곡부로 모아지는 평면부를 갖춘 제2디스크의 형상을 하며, 상기한 제1 및 제2디스크들은 서로에 대하여 지지되었을때 상기한 평면부들이 상기한 프레임 및 장치의 종축선들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상기한 만곡부들은 상기한 실을 받아들이는 대형 입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6. 제1항에 있어서, 서로 반대쪽에 위치하며 서로에 대하여 가까이 또는 멀리 향하도록 작동되는 두개의 표면지지부분들로 구성된 실 저장부재, 바람직하게는 섬유기계상의 실공급장치용 제동부재의 경우에, 그리고 상기한 실 저장부재의 실 저장체로부터 실의 인발시에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 사이로 그 실이 통과 되도록 하며, 상기한 표면지지부분들중 첫번째의 것이 실 저장부재의 단부면에 배치되고 두번째의 것이 상기한 단부면의 외측에 배치된 장치상에 배치되는 경우에, 상기하 표면지지부분들의 표면들의 외경은 상기한 실 저장체의 직경에 비해서 현저하게 작은, 예컨대 10-40%밖에 되지 않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7. 제66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은 상기한 실저장부재의 드럼에 탄력적으로 설치되어 그 드럼에 대하여 상기한 실저장부재의 축이 경사질 수 있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8. 제66또는 제67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표면지지부분은 바람직한 원추대형으로 되어 상기한 드럼에 나사식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되어 있거나 또는 이와는 달리 그 드럼에 속하는 부분에 설치됨과 아울러, 그 원추대의 외측에 형성된 공간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69. 제68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2표면지지부분은 만곡부로 모아지는 평면부를 갖춘 제2디스크의 형상을 하며, 상기한 제1 및 제2디스크들은 서로에 대하여 지지되었을때 상기한 평면부들이 상기한 프레임 및 장치의 종축선들에 대하여 기본적으로 직각을 이루도록 배열되며, 상기한 실은 상기한 평면부들 사이로 통과하며, 상기한 만곡부들은 상기한 실을 받아들이는 대형 입구를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0. 제69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제동시스템은 상기한 제1부재(9) 및 대향부재(15)사이에 안내되어 상기한 실의 인발시에 끊임없이 새롭게 통과하는 상기한 실의 부분이 그 실의 인발과 동시에 기본적으로 시계방향으로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시계의 면에서)회전하는 표시침의 운동에 대응하는 운동을 하여 그 실의 청소작용을 확실하게 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1. 제70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제동장치는 상기한 실의 인발력(AF)에 대하여 반대방향으로 작용하여 상기한 제1부재(9) 및 대향지지부재(15) 사이로 통과하는 실의 부분에 대한 장력작용을 보장하여 그 실의 상기한 회전운동 또는 표시침 운동을 보장하는 반력(MF)으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2. 제71항에 있어서, 상기한 표시침 운동을 일으키기 위한 반력은 상기한 제1부재(9) 및 대향지지부재(15)에 의해서 형성된 제동/실장력 부재와는 별도로 된 장치, 예컨대 제2제동/실장력 부재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3. 제72항에 있어서, 상기한 반력은 상기한 인발력의 1-20%, 바람직하게는 5-15%임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4. 제73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제동시스템은 상기한 출력도관과 접속되어 설치된 공기공급도관 및 분사부재로 구성되어 공기에 의해서 실을 공급하는 작용을 하도록 되어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5. 제74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부재(9) 및/또는 대향지지부재(15)는 작동부재에 의하여 작동되어 상기한 실의 단부로 하여금 그 제1부재 및 대향지지부재의 표면들 사이로 공급되어 들어가게끔 함으로써 동시에 또는 그 다음에 상기 공기에 의한 실공급작용이 일어날때 이것에 의해서 그 실이 상기한 출력도관을 통해서 인발되어 들어가도록 만들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6. 제75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부재 (9) 및/또는 대향지지부재(15)는 서로 상대적인 경사도를 취할 수 있도록 작동되어 파지표면들로 하여금 상기한 실의 단부가 상기한 공기에 의한 실공급작용에 의해서 전방으로 인도되어 상기한 배출도관을 통과할 수 있도록 허용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7. 제76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 저장동체상의 대향지지부재(15)를 지지하는 부분에 경사운동부재를 설치하여 이 경사운동부재가 그 한쪽 단부에서 압력실린더부재의 동작을 받아서 다른쪽 단부에서는 상기한 대향지지부재(15)를 동작시켜 그 대향지지부재로 하여금 상기한 제1부재(9)에 대하여 기울어지게 함으로써 상기한 실의 단부가 그 제1부재(9) 및 대향지지부재(15)의 서로 협동하는 표면들 사이로 인도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한 분사부재의 작동에 의해서 그 실의 단부가 상기한 출력도관을 통해서 인발되어 들어가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8. 제77항에 있어서, 상기한 대향지지부재를 지지하는 부분은 상기한 경사운동부재에 대하여 대각선 방향으로 반대쪽에 위치한 하나 이상의 함몰구들을 갖추도록 하여 이들이 상기한 공기에 의해서 공급되는 실의 부분 둘레로 공기의 흐름을 쉽게하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79. 제78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공급장치의 크로스바는 상기한 분사작용시에 공기공급을 하는 공기 공급도관(252)을 갖추도록 함과 아울러, 그 공기공급작용은 상기한 출력도관의 중심부에 이루어지도록 하였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80. 제79항에 있어서, 상기한 작동부재는 압축공기에 의해서 작동되어 스프링의 작용에 반하여 변위될 수 있는 실린더 피스톤으로 구성되며, 이 실린더 피스톤에는 상기한 경사운동부재(237)와 협동할 수 있는 작동부재가 갖추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81. 제80항에 있어서, 상기한 출력도관(256)의 최소한의 부분들에는 그 출구쪽으로 좁아져서 상기한 분사작용을 보강하는 도관부가 갖추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82. 제81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부재(9)를 상기한 대향지지부재(15)에 대하여 지지하는 지지력을 만들어내는 부재들(259, 260)은 그들을 조정하기 위한 일정한 위치들(265a-265e)를 갖추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83. 제82항에 있어서, 상기한 조정나사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표시창은 상기한 지지력을 일으키는 부재에 포함된 조정나사(259)에 설치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84. 제83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부재 및 대향지지부재 사이의 지지력의 조정을 위한 일정한 위치들은 상기한 프레임 및/또는 홈지지프레임에 있는 홈들(265)과 협동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스프링지지볼(264)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85. 제84항에 있어서, 상기한 실공급작용은 자동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압축공기실린더(243)의 작동에 의해서 시작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실제동장치.
KR1019920702065A 1990-03-12 1991-03-12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KR1001875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SE9000881A SE9000881L (en) 1990-03-12 1990-03-12 Easily adjustable output yarn brake - using an electromagnetic control unit
SE900881-4 1990-03-12
SE9000911A SE9000911D0 (sv) 1990-03-13 1990-03-13 Utgaangsgarnbroms
SE900911-9 1990-03-13
SE9000997A SE9000997L (en) 1990-03-19 1990-03-19 Easily adjustable output yarn brake - using an electromagnetic control unit
SE900997-8 1990-03-19
SE9003624A SE9003624L (en) 1990-03-12 1990-11-13 Easily adjustable output yarn brake - using an electromagnetic control unit
SE9003680A SE9003680L (en) 1990-03-12 1990-11-18 Easily adjustable output yarn brake - using an electromagnetic control unit
SE9003813A SE9003813D0 (sv) 1990-11-29 1990-11-29 Manuellt eller automat-styrt justerbar utgaangsbroms foer traadlagerorgan, foeretraedesvis fournissoer vid textilmaskin
SE9100066-1 1991-01-07
SE9003680-7 1991-01-07
SE9003624-5 1991-01-07
SE9003813-4 1991-01-07
SE9100066A SE9100066D0 (sv) 1991-01-07 1991-01-07 Utgaangsbroms foer traadlagerorgan, foeretraedesvis fournissoer vid textilmaskin
PCT/SE1991/000185 WO1991014032A1 (en) 1990-03-12 1991-03-12 Output yarn brak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0713A KR930700713A (ko) 1993-03-15
KR100187569B1 true KR100187569B1 (ko) 1999-06-15

Family

ID=736539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2065A KR100187569B1 (ko) 1990-03-12 1991-03-12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56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0713A (ko) 1993-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43899A (en) Output yarn brake
US7475709B2 (en) Yarn feeding device
KR100371989B1 (ko) 제어가능한출력브레이크및발사체또는그리퍼직조기
KR100245609B1 (ko) 씨실 공급장치를 위한 자동조절 실 제동장치
KR100310954B1 (ko) 위사공급기
US4153214A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tension in the yarn unwinding from a yarn carrying body
JP2007513265A (ja) 被覆弾性糸の製造及び供給スプールの自動交換に関する方法及び装置
KR100187569B1 (ko) 배출되는 실의 제동장치
JPS62282042A (ja) 織り機のための横糸貯蔵装置
JP2001355149A (ja) 織機、特にエアジェットルームに用いられるよこ糸フィーダ用バルーン防止装置
JPS63256753A (ja) 編み機用糸供給装置
US6739357B2 (en) Device for smoothening the unwinding from the cylinder of the loops of yarn forming the weft reserve, in weft suppliers for fluid jet looms
CN1045479C (zh) 纱线制动装置
KR20040104505A (ko) 공압 방적사 인장기 및 방적사 취급 시스템
JP2001514708A (ja) 測長供給装置
US53438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reading-up yarn in a pulsating manner
US6058982A (en) Yarn feeding Device Having a Brake Opening Device for Threading
JP3838681B2 (ja) 下糸巻回装置
CN113622071B (zh) 一种用于无梭织机的纬线筒
JPH0259098B2 (ko)
CN105874113B (zh) 用于移除纬纱的装置
SU99858A3 (ru) Бесчелночный ткацкий станок
JPS6321955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よこ入れ方法
JPH01321951A (ja) 緯糸蓄積装置
CS232852B1 (en) Winding mechanism for multished lo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102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