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558B1 - 지폐수납상자 - Google Patents

지폐수납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558B1
KR100187558B1 KR1019960017864A KR19960017864A KR100187558B1 KR 100187558 B1 KR100187558 B1 KR 100187558B1 KR 1019960017864 A KR1019960017864 A KR 1019960017864A KR 19960017864 A KR19960017864 A KR 19960017864A KR 100187558 B1 KR100187558 B1 KR 1001875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nknote
cover
casing
box
sto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78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42472A (ko
Inventor
요시히로 야마다
Original Assignee
요시히로 야마다
도카이리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히로 야마다, 도카이리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히로 야마다
Publication of KR960042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42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5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55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GREGISTERING THE RECEIPT OF CASH, VALUABLES, OR TOKENS
    • G07G1/00Cash registers
    • G07G1/0018Constructional details, e.g. of drawer, printing means, input means
    • G07G1/0027Details of drawer or money-box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 Pile Receivers (AREA)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레지스터의 서랍안에도 부착 가능한 소형이고, 지폐(1만원권)를 수납하기 위한 조작이 간단한 것.
케이싱부(11)의 가이드홈(16)를 따라서 지폐를 재치하고, 조작커버(31)를 완전폐쇄상태로 하는 것으로 증속기어기구(40) 및 반송롤러기구(50)를 개재하여 지폐가 반송되고 케이싱부(11)와 고정된 베이스부(21) 위에 겹쳐 쌓여진다. 이와 같이,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상자체는 베이스부(21)의 외벽 이외가 케이싱부(11)의 외벽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견고하고 소형화된다. 또, 지폐의 상자체 내부로의 반송이, 조작커버(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되어 있고,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달성된다. 또한, 지폐를 꺼낼 때에 케이싱부(11)를 록해제한 뒤에는, 지폐는 베이스부(21)위에 겹쳐 쌓여진 상태이고 꺼내기가 용이하다.

Description

지폐수납상자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조작커버의 완전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조작커버의 완전폐쇄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지폐의 꺼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반송기구를 나타낸 개략구성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조작커버의 완전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조작커버의 완전폐쇄상태 및 그 지폐수납상자가 삽입고정되는 레지스터의 드로워를 나타낸 사시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지폐의 수납상태 및 꺼냄상태를 나타낸 설명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반송기구를 나타낸 개략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111 : 케이싱부 12 : 노브
13 : 키이본체 14, 114 : 푸쉬래치
15 : 카운터 16, 116 : 가이드홈
18, 118 : 기구부착벽 19 : 키이
21, 121 : 베이스부 22a : 키이록 구멍
23 : 꺽음부 23a : 힌지구멍
24 : 힌지로드 31, 131 : 조작커버
31a : 키이용 구멍 32, 132 : 래치네일
40, 140 : 증속기어기구 41, 141 : 고정대판
42 : 스프링 43, 143 : 토션스프링
44, 144 : 단방향 클러치 50, 150 : 반송롤러기구
51, 151 : 구동롤러 52, 53, 152 : 종동롤러
54, 154 : 가이드판 100, 200 : 지폐수납상자
113 : 키이본체 113a : 측면돌기
121a : 둥근구멍
본 발명은, 레지스터(금전등록기)의 서랍안 혹은 레지스터의 서랍밖 등에 고착하고, 예컨대, 현재의 최고액 지폐인 1만원권등의 지폐를 수납하고, 그 이동을 곤란하게 하는 보관상태로 하는 지폐수납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보안용으로서 유효한 지폐수납상자에 관한 것이다. 물론, 5천원권, 천원권 등의 지폐에도 사용가능하다.
종래, 점포등의 회계장소에 설치되어 금전출납을 기록하는 레지스터에 있어서, 서랍안의 구조는 각종 금전의 크기나 형상에 맞춰서 구획되어 있으며, 적당히, 금전을 분류하여 수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각종 금전중 최고액 지폐에 대해서는 일단, 받으면 거스름돈으로서 내줄 필요가 생기지 않기 때문에, 또, 방법상으로도 다른 금전과 함께 레지스터의 서랍속에 수납하는 것은 바람직하다고는 할 수 없었다.
상술과 같은 요망에 대처하기 위하여, 예컨대, 레지스터 아래쪽의 숨은 장소등에 레지스터와는 다른 열쇠의 용기를 설치하고, 그 속에 지폐만을 수납하는 것 등을 생각할 수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납용기는 평소 눈에 띄지 않도록 설치될 필요성이 있으며, 오히려, 지폐를 수납하기 위하여 시간을 요하고 조작이 간단하지 않은 것도 곁들여서, 모처럼 설치되어 있어도 사용되지 않거나 하여서 실용성이 없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본 발명은, 이러한 불편함을 해결하기 위하여 하게된 것으로서, 레지스터의 서랍속에도 부착가능한 소형이며 지폐를 수납하기 위한 조작이 간단한 지폐수납상자의 제공을 과제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케이싱부의 상면에는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기구에 의하여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가 상자체 내부로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반송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케이싱부의 상면에는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기구에 의하여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가 상자체 내부로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반송된다. 또, 상기 케이싱부는 키이부에 의하여 분리가 자유롭게 되고, 수용한 지폐의 꺼내기가 용이해진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 중 적어도 바닥면을 포함한 외벽이 형성된 베이스부의 외벽 이외에서 상면을 포함하여 상자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케이싱부가 소정의 고정부에 키이부로 고정되는 것으로, 상자체는 소형이고 견고한 것이 된다. 또, 케이싱부의 상면에는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의 상면을 덮어서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기구에 의하여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가 상자체 내부로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반송된다. 그리고, 상자체 내부로부터 지폐를 꺼낼때, 지폐는 케이싱부가 개방된 후에는 대략 바닥면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위에 겹쳐 쌓여진 상태이고, 상자체 내부로부터의 지폐의 꺼냄이 용이하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지폐수납상자의 반송기구에서는, 증속기구(增速機構)에 있어서의 기어비를 적당히 선택하는 것으로, 커버부의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까지의 한동작에 대응하는 반송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의 지폐수납상자의 반송기구에서는, 커버부의 개방방향이 되는 동작방향에서 클러치기구가 작동하여서 커버부와의 연동이 해제되는 것으로, 커버부를 개방방향으로 동작하기 위한 부하가 최소한으로 된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지폐수납상자의 반송기구에서는, 커버부의 폐쇄방향이되는 동작방향에서 완충기구가 작동하여서 커버부로부터 가하여지는 힘이 완만하게 전달되는 것으로, 커버부를 폐쇄방향으로 큰힘으로 동작하였다고 하더라도 반송기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의 실시형태]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조작커버의 완전개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조작커버의 완전폐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제3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지폐의 꺼냄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11)은 지폐수납상자(100)의 케이싱부이고, 케이싱부(11)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의 외벽 중에서 바닥면 이외의 외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부(11)의 외벽으로서의 상면에는 한단 내려서 지폐(1만원권)(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의 폭(약 76mm)보다도 약간 폭넓은 가이드홈(16)이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가이드홈(16)의 길이는 대략 지폐(1만원권)(M)의 긴변의 길이(약 160mm)에 일치하고 있다.
케이싱부(11)의 상면의 전면을 덮는 크기의 조작커버(31)가 후술하는 증속기어기구(40) 및 반송롤러기구(50)의 고정대판(41)에 힌지 접속되어 있다. 이 증속기어기구(40) 및 반송롤러기구(50)의 고정대판(41)은 케이싱부(11)의 기구부착벽(18)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커버(31)는 케이싱부(11)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롭게 된다.
케이싱부(11)의 상면의 가이드홈(16)의 주변에는 조작커버(31)의 완전폐쇄상태에서 그 래치네일(32)을 잡아서 유지하는 푸쉬래치(14), 후술하는 베이스부(21)와 잠그기 위한 키이본체(13) 및 조작커버(31)의 개폐동작 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15)가 배설되어 있다. 이 푸쉬래치(14)는 주지의 기구로 이루어지고, 조작커버(31)가 완전폐쇄상태로 되는 최초의 타이밍에서는 푸쉬래치(14)가 래치네일(32)을 잡아서 조작커버(31)를 유지상태로 하고, 다음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조작커버(31)의 래치네일(32) 부근의 내리누름으로 푸쉬래치(14)에 의하여 래치네일(32)의 유지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조작커버(31)의 래치네일(32)의 유지상태가 해제되면 스프링(42)의 가하는 힘에 의하여 조작커버(31)는 케이싱부(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까지 튀어올려져서 완전개방상태로 된다.
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11)의 바닥면은 케이싱부(11)와는 별체의 베이스부(21)로 이루어진다. 이 베이스부(21)는 그 힌지용 꺾음부(23)에 형성된 힌지구멍(23a)을 이용하여, 힌지로드(24)를 통하여 고정대판(41)에 힌지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의 사용에 있어서는 베이스부(21)가 고정나사구멍(21a)을 이용하여서 레지스터의 서랍안에 고정된다. 그리고, 케이싱부(11)의 키이본체(13)가 키이(19)에 의하여 베이스부(21)의 키이용 꺾음부(22)에 형성된 키이록구멍(22a)과 결합 또는 해제되는 것으로 케이싱부(11)는 노브(12)를 이용하여 베이스부(21)에 대하여 개폐가 자유롭게 된다. 또한, 조작커버(31)가 케이싱부(11)에 폐쇄상태일 때에도, 조작커버(31)에 형성된 키이용 구멍(31a)을 통하여 키이(19)를 키이본체(13)에 삽입가능하며, 이 상태에 있어서도 케이싱부(11)와 베이스부(21)를 결합 또는 해제(제4도 참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1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증속기어기구(40) 및 반송롤러기구(50)에 대하여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 증속기어기구(40)는, 조작커버(31)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축지지된 기어(G1)에 의하여 고정대판(41)에 축지지된 기어단[기어(G2) 내지 기어(G6)]을 개재하여 회전되는 기어열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작커버(31)의 회전축으로서는 토션스프링(43)이 채용되고 있으며, 조작커버(31)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완만하게 증속기어기구(40)로부터 후단쪽에 전달된다. 또, 조작커버(31)가 폐쇄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토션스프링(43)과 기어(G1)와의 사이를 연동함과 동시에 조작커버(31)가 개방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토션스프링(43)과 기어(G1)와의 사이의 연동을 해제하는 주지의 단방향 클러치(44)가 조작커버(31)의 회전축인 토션스프링(43)과 기어(G1)와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또, 반송롤러기구(50)는, 기어최후단(기어G6)과 동축상에 고정설치된 구동롤러(51) 및 그 상하에 배설된 종동롤러(52), (53)로 이루어진다. 또한, 구동롤러(51)의 바깥둘레에는, 케이싱부(11)의 가이드홈(16)을 따라서 화살표방향으로 삽입되는 지폐(M)를 안내하고, 케이싱부(11)의 내부로 유도하여 베이스부(21)위에 수납하기 위한 가이드판(54)이 구동롤러(51)이 외주와 소정의 틈새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에 지폐(M)를 수납할 때의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는 레지스터의 서랍안에 고정된다.
제2도에 도시한 조작커버(31)의 완전폐쇄상태에 있어서, 조작커버(31)의 래치네일(32)의 상면을 내리누르는 것으로, 래치네일(32)과 케이싱부(11)의 푸쉬래치(14)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방향 클러치(44)가 조작커버(31)의 회전축인 토션스프링(43)과 기어(G1)와의 연동을 해제하는 동작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커버(31)는 스프링(42)의 가하는 힘에 의하여 완전개방상태로 되는 각도(예컨대 80°정도)까지 회전운동되어서 사용개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 지폐(M)를 케이싱부(11)의 가이드홈(16)위에 얹어놓고, 그 가이드홈(16)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구동롤러(51)와 가이드판(54)과의 틈새에 임하게 한다. 또한, 조작커버(31)의 완전개방상태 부근의 동작각(예컨대 10°정도)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의하여 종동롤러(52)는 구동롤러(51)로부터 들어올려지듯이 떨어져 있으며, 지폐(M)의 선단부를 구동롤러(51)와 가이드판(54) 및 종동롤러(52)와의 틈새에 용이하게 임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커버(31)를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로 될때까지 내려누르고, 조작커버(31)의 래치네일(32)을 케이싱부(11)의 푸쉬래치(14)에 걸어서 유지시킨다. 이 조작커버(31)의 동작방향에서는, 조작커버(31)의 회전축인 토션스프링(43)과 기어(G1)와의 사이가 단방향 클러치(44)를 개재하여 연동되고, 기어단[기어(G2)∼기어(G6)]을 개재하여 구동롤러(51)가 회전된다. 또한, 기어(G1)와 최종기어(G6)와의 회전비를 예컨대, 1:20으로 하고, 구동롤러(51)의 외부 둘레지름을20mm로 하면, 조작커버(31)의 회전각 63°정도로 약 220mm[=20π×(63/360)×20]의 반송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지폐(1만원권)(M)의 긴변의 길이는 약 160mm 이고, 220-160=60(구동롤러(51)의 대략 한둘레분의 길이)으로 되기 때문에, 이 이상의 반송거리가 있으면 케이싱부(11)의 가이드홈(16)위에 얹어놓인 지폐(M)를 구동롤러(51)로 끌어들여 반송하고, 케이싱부(11)내의 베이스부(21)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지폐(M)는 케이싱부(11)내의 베이스부(21) 위에 차례로 겹쳐 쌓여진다. 여기서, 지폐(M)의 장수는 조작커버(31)의 동작회수를 카운트하는 카운터(15)에 의하여 대강 알 수가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에 소정 장수의 지폐(M)가 수납된 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2도의 상태에 있어서, 조작커버(31)의 키이용 구멍(31a)을 통하여 케이싱부(11)의 키이본체(13)에 소정의 키이(19)를 삽입하여 조작하는 것으로, 케이싱부(11)와 베이스부(21)와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다음에,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11)의 노브(12)를 이용하여 베이스부(21)와 힌지접속된 케이싱부(11)를 회전운동시켜서 들어올린다. 이 상태로, 베이스부(21) 위에 겹쳐 쌓여진 지폐(M)를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는,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의 외벽중에서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을 형성하는 케이싱부(11)와, 케이싱부(11)의 상면에 형성되고,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홈(16)과, 케이싱부(11)의 상면에 형성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31)와, 조작커버(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고, 가이드홈(16)에 얹어놓인 지폐(M)를 상기 상자체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기구(50)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 중에서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이 형성된 케이싱부(11)의 상면에는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는 가이드홈(16)이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11)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 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롤러기구(50)에 의하여 그 가이드홈(16)에 얹어놓인 지폐(M)가 상자체 내부로 반송된다.
이 때문에,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이 형성된 케이싱부(11)의 상면의 가이드홈(16)에 얹어놓인 지폐(M)의 상자체 내부로의 반송롤러기구(50)에 의한 반송이, 조작커버(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되어 있고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는,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의 외벽 중에서 적어도 바닥면을 포함하는 외벽을 형성하는 베이스부(21)와, 상기 상자체의 상기 외벽 중 상면을 포함하여 베이스부(21)가 형성하는 상기 외벽 이외를 형성하는 케이싱부(11)와, 케이싱부(11)를 베이스부(21)로 이루어진 소정의 고정부에 고정하는 키이부로서의 키이본체(13) 및 키이록 구멍(22a)과, 케이싱부(11)의 상면에 형성되고,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홈(16)과, 케이싱부(11)의 상면을 덮도록 형성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31)와, 조작커버(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고, 가이드홈(16)에 얹어놓인 지폐(M)를 상기 상자체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50)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바닥면을 포함하는 외벽이 형성된 베이스부(21)의 외벽 이외에서 상면을 포함하여 상자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케이싱부(11)의 키이본체(13)가 베이스부(21)의 키이록구멍(22a)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는 사용상태로 된다. 이 상자체의 케이싱부(1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6)으로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고, 케이싱부(11)의 상면을 덮어서 개폐가 자유로운 조작커버(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롤러기구(50)에 의하여 그 가이드홈(16)에 얹어놓인 지폐(M)가 상자체 내부로 반송된다.
이 때문에,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상자체는, 바닥면이 되는 베이스부(21)의 외벽 이외가 케이싱부(11)의 외벽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21)에 케이싱부(11)가 고정되었을때의 상자체의 외관이 되는 외벽이 대략 케이싱부(11)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외벽을 이중구조로 하는 일없이 견고하고 소형인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케이싱부(11)의 상면의 가이드홈(16)에 얹어놓인 지폐(M)의 상자체 내부로의 반송롤러기구(50)에 의한 반송이, 조작커버(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된다. 또한, 상자체내부로부터 지폐(M)를 꺼낼때, 지폐(M)는 케이싱부(11)가 개방된 후에는 대략 바닥면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21)위에 겹쳐 쌓인 상태이고, 상자체 내부로부터의 지폐(M)의 꺼냄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에 있어서의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기구(50)는,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31)의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까지의 1동작에 대응하여 지폐(M)의 반송을 완료하는 증속기구로서의 증속기어기구(40)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증속기어기구(40)의 기어비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조작커버(31)의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까지의 한 동작이 적은 각도라도, 긴 반송거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커버(31)의 개방도를 그다지 크게 할 수 없는 등의 설계조건에도 적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에 있어서의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50)는,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31)의 개방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조작커버(31)와의 연동을 해제하는 클러치기구로서의 단방향 클러치(44)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커버(31)는 래치네일(32)이 케이싱부(11)의 푸쉬래치(1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스프링(42)의 가하는 힘에 의하여 용이하게 완전폐쇄상태로부터 완전개방상태까지 회전운동되게 된다. 이 때문에, 조작커버(31)의 개방방향에서는 증속기어기구(40)로부터 후단쪽이 동작되는 일이 없으므로 스프링(42)의 가하는 힘을 조작커버(31)의 개방방향의 동작만을 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반송롤러기구(50)가 역회전 동작되는 일도 없으므로, 지폐(M)의 반송방향이 역전하는 것에 의한 지장을 전혀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에 있어서의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기구(50)는,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31)의 폐쇄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조작커버(31)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완만하게 전달하는 완충기구로서의 토션스프링(43)을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커버(31)를 폐쇄방향으로 큰 힘으로 동작한다고 하더라도 일단, 그 힘은 토션스프링(43)의 가하는 힘으로서 저장된 후, 증속기어기구(40)로부터 후단쪽에 서서히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증속기어기구(40)등에 단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이 그것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의 반송기구에서는, 반송롤러기구(50)에 의한 롤러구동에 의하여 지폐(M)를 반송한다고 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트구동을 이용하여도 되며, 요는 조작커버(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여서 가이드홈(16)에 얹어놓인 지폐(M)가 상자체 내부로 반송되는 것이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커버부로서는, 조작커버(31)로서 케이싱부(11)의 상면의 거의 전면을 덮듯이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부(11)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레버형상부재라도 좋고, 요는 반송기구를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것으로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를 상자체 내부로 반송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만원권 등의 지폐를 수납하고, 그 이동을 곤란하게 하는 보관상태로 하는 지폐수납상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연히, 5천원권, 천원권 등의 긴변의 길이가 1만원권 보다 짧은 지폐에도 사용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100)는, 레지스터의 서랍안에 고착되는 사례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이에 한정되는 일 없이, 들어나르기 곤란한 구조물, 예컨대, 레지스터 부근의 카운터 등에 고착하고 사용하여도 좋다.
[제2의 실시형태]
제6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조작커버의 완전개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조작커버의 완전폐쇄상태 및 그 지폐수납상자가 삽입고정되는 레지스터의 드로워(Drawer: 서랍)(D)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또, 제8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또한, 제9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지폐의 수납상태 및 꺼냄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제6도 내지 제9도에 있어서, (111)은 지폐수납상자(200)의 케이싱부이고, 케이싱부(111)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의 외벽중에서 바닥면 이외의 외벽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부(111)의 외벽으로서의 상면에는, 이 경우에는 다른 부재로, 한단 내려서 지폐(1만원권)(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의 폭(약 76mm)보다도 약간 폭넓은 가이드홈(116)이 일체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부(111)의 길이방향의 길이를 지폐(1만원권)(M)의 긴변의 길이(약 160mm)에 가까와지도록 짧게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가이드홈(116)의 길이는, 지폐(M)의 긴변의 길이보다도 짧게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부(111)의 상면의 약 2/3을 덮는 크기의 조작커버(131)가 후술하는 증속기어기구(140) 및 반송롤러기구(150)의 고정대판(141)에 힌지접속되어 있다. 이 증속기어기구(140) 및 반송롤러기구(150)의 고정대판(141)은 케이싱부(111)의 기구부착벽(118)에 고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조작커버(131)는 케이싱부(111)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롭게 된다.
케이싱부(111)의 상면의 가이드홈(116)의 주변에는 조작커버(131)의 완전폐쇄상태에서 그 래치네일(132)을 잡아서 유지하는 푸쉬래치(114), 후술하는 드로워(D)와 록하기 위한 키이부(113)가 배설되어 있다. 이 푸쉬래치(114)는 주지의 기구로 이루어지고, 조작커버(131)가 완전폐쇄상태로 되는 최초의 타이밍에서는 푸쉬래치(114)가 래치네일(132)을 잡아서 조작커버(131)를 유지상태로 하고, 다음의 타이밍에 있어서의 조작커버(131)의 래치네일(132) 부근의 내리누름으로 푸쉬래치(114)에 의하여 래치네일(132)의 유지상태가 해제된다. 이와 같이, 조작커버(131)의 래치네일(132)의 유지상태가 해제되면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하는 힘에 의하여 조작커버(131)는 케이싱부(111)의 상면으로부터 소정의 각도까지 튀어 올려져서 완전개방상태로 된다.
또,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부(111)의 바닥면은 케이싱부(111)와는 별체의 베이스부(121)로 이루어진다. 이 베이스부(121)는 그 힌지용 꺾음부(123)에 형성된 힌지구멍(123a)을 이용하여, 힌지로드(124)를 개재하여 케이싱부(111)에 힌지접속되고, 그 선단부(122)가 케이싱부(111)에 걸려서 유지된다.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의 사용에 즈음하여서는, 케이싱부(111)가 레지스터의 드로워(D)의 소정의 구획에 삽입되고, 케이싱부(111)의 키이부(113)의 측면돌기(113a)가 도시하지 않은 키이에 의하여 드로워(D)에 형성된 키이록 구멍(D1)과 결합되는 것으로 고정된다. 또한, 베이스부(121)에는 손가락이 들어갈 정도의 둥근구멍(121a)이 형성되어 있으며, 베이스부(121)를 케이싱부(111)에 걸거나 또는 해제(제9도 참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2의 실시형태에 관계된 지폐수납상자에 있어서의 증속기어기구(140) 및 반송롤러기구(150)에 대하여 제10도를 참조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제10도에 있어서, 증속기어기구(140)는, 조작커버(131)의 회전축과 동축상에 축지지된 기어로 고정대판(141)에 축지지된 복수의 기어단을 개재하여 회전되는 기어열로 이루어진다. 또한, 조작커버(131)의 회전축에는 토션스프링(143)이 동축상에 감겨져 있으며, 조작커버(131)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완만하게 후단의 증속기어기구(140)를 구성하는 주지의 증속기어유닛에 전달된다. 또, 조작커버(131)가 폐쇄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상기 토션스프링(143)과 기어열의 사이를 연동함과 동시에 조작커버(131)가 개방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상기 토션스프링(143)과 기어열의 사이의 연동을 해제하는 주지의 단방향 클러치(144)가 조작커버(131)의 회전축에 감긴 상기 토션스프링(143)과 상기 기어열과의 사이에 설치되어 있다.
또, 반송롤러기구(150)는, 상기 기어단과 동축상에 고정설치된 구동롤러(151) 및 그 상하에 배설된 종동롤러(152), (153)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구동롤러(151)에는 상기 기어단의 최종단인 증속기어유닛이 내장되어 소정의 증속비를 얻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구동롤러(151)의 외주에는, 가이드홈(116)을 따라서 화살표 방향으로 삽입되는 지폐(M)를 안내하고, 베이스부(121)위에 수납하기 위한 가이드판(154)이 구동롤러(151)의 외주와 소정의 틈새를 가지고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에 지폐(M)를 수납할때의 일련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는 레지스터의 드로워 안에 고정된다.
제7도에 도시한 조작커버(131)의 완전폐쇄상태에 있어서, 조작커버(131)의 래치네일(132)의 상면을 내려누르는 것으로, 래치네일(132)과 케이싱부(111)의 푸쉬래치(114)와의 걸림상태가 해제된다. 이 때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단방향 클러치(144)가 조작커버(131)의 회전축에 감긴 토션스프링(143)과 기어열과의 연동을 해제하는 동작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작커버(131)는 도시하지 않은 스프링의 가하는 힘에 의하여 완전개방상태로 되는 각도(예컨대 90°정도)까지 회전운동되어 사용개시 상태로 된다.
이 상태로, 지폐(M)를 케이싱부(111)의 일체적인 가이드홈(116)위에 재치하고, 그 가이드홈(116)을 따라서 이동시켜서 구동롤러(151)와 가이드판(154)과의 틈새에 임하게 한다. 또한, 조작커버(131)의 완전개방상태 부근의 동작각(예컨대 10°정도)에 의하여, 도시하지 않은 부재에 의하여 종동롤러(152)는 구동롤러(151)로부터 들어올려지도록 떨어져 있고, 지폐(M)의 앞끝단부를 구동롤러(151)와 가이드판(154) 및 종동롤러(152)와의 틈새에 용이하게 임하게 할 수 있다.
다음에, 조작커버(131)를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로 될때까지 눌러 내리고, 조작커버(131)의 래치네일(132)을 케이싱부(111)의 푸쉬래치(114)에 걸어서 유지시킨다. 이 조작커버(131)의 동작방향에서는, 조작커버(131)의 회전축에 감긴 토션스프링(143)과 기어열의 사이가 단방향 클러치(144)를 개재하여 연동되고, 기어단 및 증속기어유닛을 개재하여 구동롤러(151)가 회전된다.
또한, 이때의 구동롤러(151)의 반송거리는 상술한 실시형태와 같은 정도가 확보되는 것으로, 케이싱부(111)의 가이드홈(116)위에 얹어놓인 지폐(M)를 구동롤러(151)로 끌어들여 반송하고, 케이싱부(111)안의 베이스부(121)위에 이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되풀이하는 것으로, 지폐(M)는 케이싱부(111)안의 베이스부(121)위에 차례로 겹쳐 쌓여진다.
다음에,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에 소정 장수의 지폐(M)가 수납된 후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제7도의 상태에 있어서, 케이싱부(111)의 키이부(113)에 소정의 키이를 삽입하여 조작하는 것으로, 케이싱부(111)와 레지스터의 드로워(D)의 키이록구멍(D1)과의 결합상태가 해제된다. 그리고, 케이싱부(111)를 레지스터의 드로워(D)로부터 들어올린다(제7도의 화살표와 반대방향). 이 상태로,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이스부(121)의 선단부(122)와 케이싱부(111)의 기구부착벽(118) 하단과의 걸림을 벗기는 것으로 베이스부(121)위에 겹쳐 쌓여진 지폐(M)를 꺼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는,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의 외벽중에서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을 형성하는 케이싱부(111)와, 케이싱부(111)의 상면에 형성되고,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홈(116)과, 케이싱부(111)의 상면에 형성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131)와, 조작커버(1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고,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를 상기 상자체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기구(150)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 중에서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이 형성된 케이싱부(111)의 상면에는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는 가이드홈(116)이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111)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 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롤러기구(150)에 의하여 그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가 상자체 내부로 반송된다. 이 때문에,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이 형성된 케이싱부(111)의 상면의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의 상자체 내부로의 반송롤러기구(150)에 의한 반송이, 조작커버(1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되어 있고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부(111)를 레지스터의 드로워(D)로 이루어진 소정의 고정부에 고정하는 키이부(113)를 가지는데,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키이부(113)에 따라서 케이싱부(111)는 레지스터의 드로워(D) 이외의 어떤 고정부에 고정하여도 좋다.
즉,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는,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의 외벽중에서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을 형성하는 케이싱부(111)와, 케이싱부(111)의 상면에 형성되고,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홈(116)과, 케이싱부(111)의 상면에 형성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131)와, 조작커버(1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고,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를 상기 상자체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150)와, 케이싱부(111)를 고정하는 키이부(113)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 중에서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이 형성된 케이싱부(111)의 상면에는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는 가이드홈(116)이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111)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롤러기구(150)에 의하여 그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가 상자체 내부로 반송된다. 이 때문에,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이 형성된 케이싱부(111)의 상면의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의 상자체 내부로의 반송롤러기구(150)에 의한 반송이, 조작커버(131)의 개방상태로 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되어 있고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된다. 또, 키이부(113)에 따라서 케이싱부(111)를 분리하고, 지폐의 꺼냄이 용이하게 된다.
또,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는,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의 외벽 중에서 적어도 바닥면을 포함하는 외벽을 형성하는 베이스부(121)와, 상기 상자체의 상기 외벽 중에서 상면을 포함하여 베이스부(121)가 형성하는 상기 외벽 이외를 형성하는 케이싱부(111)와, 케이싱부(111)를 레지스터의 드로워(D)로 이루어진 소정의 고정부에 고정하는 키이부(113) 및 측면돌기(113a)와, 케이싱부(111)의 상면에 형성되고,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로서의 가이드홈(116)과, 케이싱부(111)의 상면을 덮듯이 형성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131)와, 조작커버(1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고,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를 상기 상자체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기구(150)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바닥면을 포함하는 베이스부(121)의 외벽 이외에서 상면을 포함하여 상자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케이싱부(111)의 키이부(113)가 소정의 고정부로서의 레지스터의 드로워(D)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폐(M)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6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는 사용상태로 된다. 이 상자체의 케이싱부(111)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홈(116)으로 지폐(M)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고, 케이싱부(111)의 상면을 덮고 개폐가 자유로운 조작커버(1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롤러기구(150)에 의하여 그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가 상자체 내부로 반송된다.
이 때문에,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상자체는, 바닥면이 되는 베이스부(121)의 외벽 이외가 케이싱부(111)의 외벽으로 형성되고, 베이스부(121)와 케이싱부(111)가 고정되었을 때의 상자체의 외관이 되는 외벽이 대략 케이싱부(111)만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외벽을 이중구조로 하는 일 없이 견고하고 소형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케이싱부(111)의 상면의 가이드홈(116)에 얹어놓인 지폐(M)의 상자체 내부로의 반송롤러기구(150)에 의한 반송이, 조작커버(1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되어 있기 때문에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된다. 또한, 상자체 내부로부터 지폐(M)를 꺼낼때, 지폐(M)는 케이싱부(111)가 개방된 후에는 대략 바닥면 만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121)위에 겹쳐 쌓여진 상태이고, 상자체 내부로부터의 지폐(M)의 꺼냄이 용이하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에 있어서의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150)는,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131)의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까지의 1동작에 대응하여서 지폐(M)의 반송을 완료하는 증속기구로서의 증속기어기구(140)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증속기어기구(140)를 구성하는 증속기어유닛의 기어비를 적당히 선택함으로써, 조작커버(131)의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까지의 한동작으로, 긴 반송거리를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조작커버(131)의 개방도를 그다지 크게 할 수 없는 등의 설계조건에도 적합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에 있어서의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기구(150)는,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131)의 개방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조작커버(131)와의 연동을 해제하는 클러치기구로서의 단방향 클러치(144)를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커버(131)를 래치네일(132)의 케이싱부(111)의 푸쉬래치(114)와의 걸어맞춤이 해제되면 스프링의 가하는 힘에 의하여 용이하게 완전폐쇄상태로부터 완전개방상태까지 회전운동되게 된다. 이 때문에, 조작커버(131)의 개방방향에서는 후단의 증속기어기구(140)가 동작되는 일이 없으므로 스프링의 가하는 힘을 조작커버(131)의 개방방향의 동작만을 위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 반송롤러기구(150)가 역회전 동작되는 일도 없으므로, 지폐(M)의 반송방향이 역전하는 것에 따른 지장을 전혀 생각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더하여, 본 실시형태의 지폐수납상자(200)에 있어서의 반송기구로서의 반송롤러기구(150)는, 커버부로서의 조작커버(131)의 폐쇄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조작커버(131)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완만하게 전달하는 완충기구로서의 토션스프링(143)을 구비하는 것이며, 이것을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실시형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조작커버(131)를 폐쇄방향으로 큰힘으로 동작한다고 하더라도 일단, 그 힘은 토션스프링(143)의 가하는 힘으로서 저장된후, 후단의 증속기어기구(140)에 서서히 가해지게 된다. 이 때문에, 증속기어기구(140)등에 단번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이 그것들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실시형태의 반송기구에서는, 반송롤러기구(150)에 의한 롤러구동에 의하여 지폐(M)를 반송한다고 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벨트구동을 이용하여도 좋고, 요는 조작커버(31)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여서 가이드홈(116)위에 얹어놓인 지폐(M)가 상자체 내부로 반송되는 것이면 된다.
또, 상기 실시형태의 커버부로서는, 조작커버(131)로서 케이싱부(111)의 상면의 약 2/3를 덮듯이 형성하였으나,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케이싱부(111)의 상면의 일부를 덮는 레버형상 부재라도 좋고, 요는 반송기구를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것으로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를 상자체 내부로 반송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싱부(111)의 키이부(113)가 소정의 고정부로서의 레지스터의 드로워(D)에 고정되는 것이지만, 본 발명을 실시할 경우에는, 케이싱부(111)가 키이부(113)에 의하여 고정되는 것은 카운터 등의 대상 혹은 레지스터 이외의 어디에나 고정하여도 좋다. 바람직하기는, 고정되어 있든가, 중량이 있는 부재가 좋다. 이때, 지폐수납상자를 용이하게 이동할 수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1만원권의 지폐를 수납하고, 그 이동을 곤란하게 하는 보관상태로 하는 지폐수납상자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당연히, 5천원권, 천원권등의 긴변의 길이가 1만원권 보다 짧은 지폐에도 사용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지폐를 수납하고 보존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 중에서 상면 및 측면을 포함하는 외벽이 형성된 케이싱부의 상면에는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기구에 의하여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의 상자체 내부로의 반송을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케이싱부의 상면에는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의 상면에서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기구에 의하여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의 상자체 내부로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반송되고, 또, 상기 케이싱부는 키이부에 의하여 분리가 자유롭게 되고, 수용한 지폐의 꺼냄이 용이해진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적어도 바닥면을 포함하는 베이스부의 외벽이외에서 상면을 포함하여 상자체의 외벽을 형성하는 케이싱부가 키이부가 소정의 고정부에 고정되는 것으로,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대략 직육면체로 이루어진 상자체가 형성되고, 이 케이싱부의 상면에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이 안내되고, 케이싱부의 상면을 덮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는 반송기구에 의하여 케이싱부의 상면의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가 상자체 내부로 반송된다. 이에 의하여,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상자체는, 바닥면이 되는 베이스부의 외벽 이외가 케이싱부의 외벽으로 형성되게 되며, 상자체의 외벽이 이중구조로 되는 일 없이 견고하고 소형으로 할 수 있다. 또 반송기구에서는, 케이싱부의 상면의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지폐의 상자체 내부로의 반송을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시키고 있기 때문에 매우 자연스런 동작으로 확실하게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상자체 내부로부터 지폐를 꺼낼 때의 케이싱부가 개방된 후에는, 지폐가 거의 바닥면으로 이루어진 베이스부 위에 겹쳐 쌓여진 상태로 되기 때문에, 상자체 내부로부터의 지폐의 꺼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하나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기에 있어서의 증속기구로 기어비를 적당히 선택하는 것으로, 커버부의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까지의 1동작에 대응하는 반송거리를 길게 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커버부의 한 동작당의 개방도를 그다지 크게 할 수 없는 설계조건에도 적합시킬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5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4항의 어느 하나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기에 있어서의 클러치기구가 커버부의 개방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커버부와의 연동이 해제되고, 커버부를 개방방향으로 동작하기 위한 부하가 최소한으로 된다. 이에 의하여 커버부의 개방방향에서는 반송기구가 동작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커버부의 개방방향의 동작은 용이하게 된다. 또, 커버부의 개방방향의 동작으로 반송기구가 역회전 동작되는 것에 의한 지장을 없앨 수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의 지폐수납상자에 의하면,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 내지 제5항의 어느 하나의 효과에 더하여 반송기구에 있어서의 완충기구가 커버부의 폐쇄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 작동하는 것으로 커버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이 완만하게 전달된다. 이에 의하여 커버부를 폐쇄방향으로 큰 힘으로 동작한다고 하더라도 반송기구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는 일이 없기 때문에, 반송기구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6)

  1.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상자체를 형성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상기 지폐를 상기 상자체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상자.
  2.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상자체를 형성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상기 지폐를 상자체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기구와, 상기 케이싱부를 분리를 자유롭게 하는 키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상자.
  3. 지폐를 수납하고 보관하는 상자체의 외벽중에서 적어도 바닥면을 포함하는 외벽을 형성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상자체의 상기 외벽 중에서 상면을 포함하여 상기 베이스부가 형성하는 상기 외벽 이외를 형성하는 케이싱부와, 상기 케이싱부를 소정의 고정부에 고정하는 키이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지폐의 길이방향의 양단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와, 상기 케이싱부의 상면을 덮듯이 형성되고, 개폐가 자유로운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의 동작에 연동하여, 상기 가이드부에 얹어놓인 상기 지폐를 상기 상자체 내부로 반송하는 반송기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상자.
  4. 제1항 내지 제3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커버부의 완전개방상태로부터 완전폐쇄상태까지의 1동작에 대응하여 상기 지폐의 반송을 완료하는 증속기구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상자.
  5. 제1항 내지 제4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커버부의 개방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상기 커버부와의 연동을 해제하는 클러치기구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상자.
  6. 제1항 내지 제5항중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송기구는 상기 커버부의 폐쇄방향으로 되는 동작방향에서는 상기 커버부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완만하게 전달하는 완충기구를 더욱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폐수납상자.
KR1019960017864A 1995-05-26 1996-05-25 지폐수납상자 KR10018755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128363 1995-05-26
JP12836395 1995-05-26
JP96-115921 1996-05-10
JP8115921A JPH0950580A (ja) 1995-05-26 1996-05-10 紙幣収納箱
JP95-115921 1996-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42472A KR960042472A (ko) 1996-12-21
KR100187558B1 true KR100187558B1 (ko) 1999-06-01

Family

ID=26454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7864A KR100187558B1 (ko) 1995-05-26 1996-05-25 지폐수납상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649696A (ko)
EP (1) EP0744717A3 (ko)
JP (1) JPH0950580A (ko)
KR (1) KR100187558B1 (ko)
AU (1) AU702686B2 (ko)
CA (1) CA2177305A1 (ko)
TW (1) TW30767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27025A (en) * 1998-03-20 2000-02-22 Skyteller, L.L.C. Currency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JP5589761B2 (ja) * 2010-10-27 2014-09-17 沖電気工業株式会社 現金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169619A (ja) * 1982-03-31 1983-10-06 Anritsu Corp 多項目情報入力装置
GB2154557A (en) * 1984-02-20 1985-09-11 De La Rue Syst Apparatus for handling security documents
IT8420285A0 (it) * 1984-03-29 1984-03-29 Fiorenzo Mosele Cassettiera per registratori di cassa, macchine da calcolo esimili, munita di cassetto salvadanaio antirapina perl'eccedenza del denaro contante.
US4720092A (en) * 1986-01-09 1988-01-19 Rowe International Inc. Locked bill stacker
GB2236143B (en) * 1989-09-06 1993-09-01 Timothy William Tod Bank note cassette
US5203217A (en) * 1992-05-18 1993-04-20 Pitney Bowes Inc. Pivoting cover to separate pair of rollers
JP3118099B2 (ja) * 1992-12-03 2000-12-18 株式会社日本コンラックス 紙幣処理装置
SE501430C2 (sv) * 1993-06-18 1995-02-13 Soeren Andersson Anordning för inmatning av sedlar till ett förvaringsutrymme
US5533605A (en) * 1995-06-01 1996-07-09 Diversified Technologies, Inc. Paper currency handling apparatus including a cash box securement and access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454596A (en) 1996-12-05
EP0744717A3 (en) 1998-11-25
KR960042472A (ko) 1996-12-21
JPH0950580A (ja) 1997-02-18
TW307678B (ko) 1997-06-11
EP0744717A2 (en) 1996-11-27
US5649696A (en) 1997-07-22
CA2177305A1 (en) 1996-11-27
AU702686B2 (en) 1999-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33605A (en) Paper currency handling apparatus including a cash box securement and access device
KR970005398B1 (ko) 지폐처리장치
CA2226781C (en) Currency validator with security box
US5641157A (en) Secure currency stacker box and apparatus incorporating the same
JP4246537B2 (ja) 紙葉取扱装置
CN100520836C (zh) 纸币处理装置
JP3778598B2 (ja) 紙幣取扱装置
KR100187558B1 (ko) 지폐수납상자
JPH0680770U (ja) 紙幣の搬送、収納、払い出し装置
JP2004310773A (ja) 紙幣カセット圧力板組立体
JP5261660B2 (ja) 紙幣収納装置
JP2009098930A5 (ko)
JP2006309681A (ja) 紙幣識別収納装置
JP3931527B2 (ja) 紙幣収納装置
JP3884794B2 (ja) 紙幣識別機
CN108091036B (zh) 一种具有快速存款功能的金融自助设备
JPH0717745Y2 (ja) 紙幣入金用金庫
JP2000293732A (ja) 紙幣処理装置
JP2005004375A (ja) 紙幣識別装置
JPH09330454A (ja) 紙幣収納箱
JPH0743090Y2 (ja) 紙幣収納用金庫
JPH0449725Y2 (ko)
US20240013604A1 (en) Dual Cassette
JPS6230137Y2 (ko)
JP2006195596A (ja) フォーミング部材、紙幣取扱装置、及び遊技機用台間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