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826B1 -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 Google Patents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826B1
KR0185826B1 KR1019970004659A KR19970004659A KR0185826B1 KR 0185826 B1 KR0185826 B1 KR 0185826B1 KR 1019970004659 A KR1019970004659 A KR 1019970004659A KR 19970004659 A KR19970004659 A KR 19970004659A KR 0185826 B1 KR0185826 B1 KR 01858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grance
heat generating
heating
air purifier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4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8174A (ko
Inventor
김정
Original Assignee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기전공업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70004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826B1/ko
Publication of KR19980068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8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8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8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14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 B60H3/0021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substance adding device in the air-conditioning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42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with ventilating means for adding the substa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2003/00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with heating means for adding the sub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체를 형성하며 전면 및 상면쪽으로 공기 흡입구(5)와 배출구(7)가 개구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3), 상기 외부 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상기 배출구(7) 쪽으로 굴절되는 지점에 모터(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배열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9) 및, 상기 흡입구(5)와 상기 크로스 플로어 팬(9)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정화필터(13)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1)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13)의 측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3)의 내측면 사이에 장착된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215)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 정화기에 의한 방향제 휘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본 발명은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의 후방 선반 위에 별도로 설치하여 독립적으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키면서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에 의해 다양한 종류의 향기를 휘산시키도록 되어 있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 및 이 공기정화기의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에 의한 향 휘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주행중 실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운전자가 자동차의 윈도우를 개방하여 외기를 차량 실내로 유입하도록 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 경우 자동차가 긴 터널을 지나고 있다거나 매연을 심하게 뿜는 차량의 후미에서 주행 중일 때 또는 눈비가 오는 등 기상 상태가 좋지 않은 등 일시적이거나 장기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상황이 윈도우를 개방하기 곤란한 상황이라면 차내 공기가 탁해지더라도 불가피하게 윈도우를 닫고 주행할 수밖에 없었다.
특히, 여름철과 같이 외기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면 차내의 온도를 적정수준으로 유지하여 쾌적한 운행여건을 조성하기 위해 냉방 시스템에 의해 내부 순환공기를 냉각함으로써 차내부를 냉방하도록 되어 있었는데, 이때에도 실내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윈도우를 개방하여 실내외 공기를 교환하고자 한다면 냉방을 포기하거나 열악한 차내 환경을 감수할 수밖에 없었다.
더욱이 이 경우 냉방 시스템의 가동으로 인해 차량 실내 공기의 청정도가 점차 악화되므로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외기와의 교환 없이 실내에서 자체적으로 정화시킬 수 있는 수단을 강구할 필요성이 대두되게 되었다.
이러한 필요에 따라 제안된 것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외장형 공기 정화기이다.
이 외장형 공기 정화기는 도면에 도면번호 101로 표시되어 있으며, 자동차의 후방 시트(103) 뒤쪽의 후방 선반(105)과 후방 글라스(107) 사이에 설치된 외부 케이스(109)로 외체가 형성되어 있다. 이 외부 케이스(109)의 전방 경사면에는 실내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111)가 개방되어 있으며, 유입구(111)의 대향측 케이스(109)의 후방 상단에는 유입된 공기가 정화된 뒤 자동차 실내로 다시 빠져 나가는 유출구(1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케이스(109)의 후방면에는 보조 후미등(115)이 장착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109)의 공기 유입구(111)에는 힌지축(117)을 중심으로 회전 개폐되는 도어(119)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도어(119)에는 격자 형태로 관통된 입구 그릴(121)이 형성되어 있다. 입구 그릴(121)의 바로 아래쪽에는 정화필터(123)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정화 필터(123)와 유출구(113)의 사이에는 횡방향으로 배열된 크로스 플로어 팬(125;cross flow fan)이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공기 정화기(101)는 필터(123)에 의해 자동차 실내의 미세 먼지는 물론 악취 등 냄새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등 차내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나 운행 환경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하기 위해서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취향에 알맞는 방향제를 별도로 사용해야 했다.
이는 방향제를 어떤 형태로든 차내에 퍼뜨릴 수 있는 방향제 케이스나 방향제 팩을 추가로 구비해야 하므로 이러한 작업이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추가 구입에 따른 비용 부담도 무시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공기 정화기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에 있어서 정화기 내부의 임의의 위치에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추가 장착하여 이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로부터 휘산되는 향기를 크로스 플로어 팬에 의해 취출되는 정화된 공기에 실어 차량 실내 전체에 확산시킴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가 보다 쾌적한 주행 여건에서 운행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대 그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외체를 형성하며 전면 및 상면쪽으로 공기 흡입구와 배출구가 개구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 이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서 흡입구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배출구 쪽으로 굴절되는 지점에 모터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배열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 및, 흡입구와 크로스 플로어 팬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정화필터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에 있어서, 정화필터의 측면과 외부 케이스의 내측면 사이에 장착된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외부 케이스, 이 외부 케이스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 및 정화필터로 구성되어 있으며, 삽입통, 이 삽입통에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 삽입통의 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는 밸브체, 이 밸브체 아래쪽에 설치되는 발열부 및 이 발열부의 상단 측면에 장착된 온도 센서로 이루어진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에 있어서, 이 공기정화기의 크로스 플로어 팬 구동모터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의 기동여부를 ECU에 의해 결정하는 작동확인단계; 이 작동확인단계에서 팬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발열부에 전류를 인가하여 발열부를 가열하는 방향제 휘산준비단계; 및 이 휘산준비단계에서 발열부가 방향제 휘산기준온도까지 가열되면 밸브체의 솔레노이드 개폐밸브 작동스위치가 온되었나를 판단하여 작동스위치가 온된 경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방향제 케이스로부터 밸브체를 거쳐 발열부로 낙하되는 방향제가 가열 발산되는 방향제 휘산단계; 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따른 향 휘산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의 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의 개략 평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의 하나의 실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의 다른 실 시예를 도시하는 개략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공기정화기의 주요 구성의 전기적인 연결 상태를 개략 적으로 나타내는 블록 다이어그램.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향 휘산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공기 정화기 3 : 외부 케이스
9 : 크로스 플로어 팬 11 : 모터
13 : 필터 15,215 :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
17,217 : 삽입통 19,219 : 밀봉패드
25,225 : 방향제 케이스 27,227 : 밸브체
29,229 : 천공핀 31,231 : 토출노즐
33,233 : 발열부 35,235 : 가열판
37,237 : 열전반도체 소자 41,241 : 온도센서
43 : ECU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에 부분 절개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번호 1로 표시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는 일반적인 종래의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고 있으며, 따라서 대체로 외체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3)와 이 외부 케이스(3) 내부에서 공기를 정화하도록 되어 있는 정화 필터(13) 그리고 케이스(3) 내부로 자동차 실내 공기를 유입한 다음 정화 필터(13)를 통과시킨 뒤 케이스(3) 외부로 다시 배출하는 크로스 플로어 팬(9)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외부 케이스(3)의 전방 측면에는 공기 이외의 이물질이 정화기(1) 안으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그릴(6)이 끼워져 있으며 자동차의 실내공기가 유입되도록 되어 있는 공기 흡입구(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외부 케이스(3)의 상면 후방에는 공기 정화기(1) 안으로 유입되어 정화된 공기를 자동차 실내로 복귀시키는 공기 배출구(7)가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 배출구(7)에도 마찬가지로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기 위한 그릴(8)이 끼워져 있다.
케이스(3)의 내부에는 후방측에 횡방향으로 배열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9)이 설치되어 있는데, 이 팬(9)은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구동모터(11)에 의해 흡입구(5) 쪽 방향으로 회전하여 흡입구(5)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배출구(7)를 통해 공기가 유출되도록 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의 공기정화기(1)는 정화작동시 자동차 실내에 방향을 퍼뜨리기 위한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정화필터(13)나 크로스 플로어 팬(9)의 측면과 외부 케이스(3)의 측벽면 사이에 구비하고 있다.
이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두가지의 실시예로 변형될 수 있는데, 여기에서 도 3에 도시된 제1 실시예를 먼저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도 3에 도면번호 15로 표시되어 있는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는 방향제를 담고 있는 방향제 케이스(25), 이 방향제 케이스(25)가 삽입 장착되는 삽입통(17), 삽입통(17) 하부면에 끼워져 방향제 케이스(25)와 결합되는 밸브체(27), 밸브체(27)를 통해 유출되는 방향제를 가열 휘산시키는 발열부(33), 그리고 발열부(33)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41)로 이루어져 있다.
삽입통(17)은 따라서 방향제 케이스(25)를 끼워 넣을 수 있도록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면에는 밸브체(27)와 결합되어 개방된 방향제 케이스(25)에서 유출되는 방향제가 삽입통(17)의 밸브체(27) 이외의 곳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봉패드(19)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삽입통(17)과 밀봉패드(19)의 바닥면에는 밸브체(27)가 삽입되는 관통공(21)이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방향제 케이스(25)는 예컨대 주사약병과 흡사하게 하나의 용기로 이루어져 있으며, 따라서 입구가 고무패킹(26)으로 밀봉되어 있으며 금속판 등으로 마무리되어 있다. 이때, 케이스(25)의 외부 몸체는 내부에 수용된 방향제가 미세 입자의 형태로 외부로 빠져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리나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제 케이스(25)가 삽입통(17)에 삽입 장착될 때 결합되도록 삽입통(17)의 하부면 관통공(21)에 고정되어 있는 밸브체(27)는 내부에 개폐용 솔레노이드 밸브가 장착되어 있으며, 삽입통(17)의 안쪽으로 천공핀(29)이 돌출되어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25)의 고무패킹(26)를 뚫고 들어가 토출노즐(31)을 통해 방향제가 흘러 나올 수 있게 해준다.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의 발열부(33)는 토출 노즐(31)에서 떨어지는 방향제를 수용 가열하도록 상단에 가열판(35)이 위치하고 있으며, 가열판(35)의 하부면에 열전반도체 소자(37)가 접착되어 펠티에 효과를 이용해 가열판을 가열하도록 되어 있다. 이때 열전반도체 소자(37)의 하부면에는 펠티에 효과로 인해 발생하는 열을 방출시키기 위해 방열판(39)이 부착되어 있으며, 가열판(35)의 둘레면에는 열전반도체 소자(37)에 의해 가열되는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온도센서(41)가 부착되어 있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215)는 전체적인 구성이 제1 실시예의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와 동일 유사하며, 다만 일부 구성요소 들의 형상이 상이하게 되어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215)는 방향제를 담고 있는 방향제 케이스(225), 이 방향제 케이스(225)가 삽입 장착되는 삽입통(217), 삽입통(217) 측면에 끼워져 있는 밸브체(227), 밸브체(227)를 통해 유출되는 방향제를 가열 휘산시키는 발열부(233), 그리고 발열부(233)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241)로 이루어져 있다.
이때, 삽입통(217)의 바닥에 부착되어 있는 밀봉패드(219)의 상단면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 경사면 상에는 천공핀(229)이 중심부에 돌출 형성되어 있고, 이 천공핀(229)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홈 형태의 유동안내부(220)가 가공되어 있다. 삽입통(217)은 또한 유동안내부(220)가 접하는 측벽면에 관통공(221)이 형성되어 밸브체(227)를 삽입 장착하도록 되어 있다.
밸브체(227)도 제1 실시예의 밸브체(27)와 마찬가지의 구성을 가지고 있으나, 삽입통(217) 바깥쪽으로 뻗어 있는 토출노즐(231)이 발열부(233)을 향해 굴곡 형성되어 있는 점이 다르다. 또한, 발열부(233)도 마찬가지로 제1 실시예의 발열부(23)와 동일 구성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정화기(1)는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단계를 거쳐 방향제 휘산작용을 하게 된다. 이를 도 5 및 도 6을 참조로 설명한다.
먼저,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동차 실내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 공기정화기(1)를 가동시켰는 지를 확인한다. 이를 위해 ECU(43)에서 크로스 플로어 팬(9) 구동모터(11)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공기 정화기(1)가 작동 중이라고 확인되면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215)를 기동시키고, 그렇지 않다면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215)를 정지상태로 유지하도록 기동여부를 결정한다(S1).
이어서, 위 작동확인단계(S1)에서 크로스 플로어 팬(9)이 작동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공기 정화기(1)가 가동 중인 것으로 보고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215)의 발열부(33,233)에 전류를 인가하며, 이에 따라 발열부(33,233)는 가열되어 방향제를 휘산시킬 수 있는 준비를 완료하게 된다(S2).
이러한 방향제 휘산준비단계(S2)는 다음과 같은 보조 루틴에 의해 휘산준비를 하게 된다.
즉, 발열부(27,227)로 인가된 전류에 의해 열전반도체 소자(37,237)가 온되면서 펠티에 효과에 따라 방열판(39,239)을 통해 발생열을 방출하면서 가열판(35,235)을 가열하기 시작한다(S21).
그리고 나서, 가열되는 가열판(35,235)의 온도를 온도센서(41,241)로 감지하여 발열부(33,233)의 온도측정하고 그 측정 결과를 ECU(43)로 전달한다(S22).
ECU(43)에서는 온도센서(41,241)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라 가열판(35,235)의 현재 온도(Tact)와 이미 입력되어 있는 방향제 휘산기준온도(Tref)를 비교하여 현재의 가열판(35,235) 온도(Tact)가 방향제 휘산기준온도(Tref) 이상이면 열전반도체 소자(37,237)를 오프시켜 가열을 종료하고(S23),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가열판(35,235)의 온도(Tact)가 방향제 휘산기준온도(Tref)에 이를 때까지 열전반도체 소자(37,237)를 계속해서 작동시킨다.
이렇게 해서 방향제 휘산준비단계(S2)가 완료되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방향제를 차내에 휘산시키고자 밸브체(27,227)를 개방하였는 지를 판단하게 되는데, 이를 위해 밸브체(27,227)의 솔레노이드 개폐밸브 작동스위치(45)가 온되었나를 판단하게 된다. 그 결과 작동스위치(45)가 온된 것으로 판단되면 ECU(43)에서 솔레노이드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방향제 케이스(25,225)로부터 유출된 방향제가 밸브체(27,227)를 통해 토출노즐(31,231)에서 발열부(27,227)의 가열판(35,235)으로 낙하되도록 하여 방향제를 가열함으로써 차내로 휘산시키게 된다(S3).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의하면, 정화기 내부에 장착된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에 의해 운전자 등의 희망에 따라 공기 정화기와 연동하여 차내에 방향제를 휘산시킬 수 있게 되므로 필요한 경우에만 차내에 방향을 확산시킬 수 있게 되며, 또한 이를 위해 별도의 방향제 케이스를 차내에 추가 장착할 필요가 없게 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운전자나 탑승자의 승차 여건을 보다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외체를 형성하며 전면 및 상면쪽으로 공기 흡입구(5)와 배출구(7)가 개구되어 있는 외부 케이스(3), 상기 외부 케이스(3)의 내부에서 상기 흡입구(5)로부터 유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상기 배출구(7) 쪽으로 굴절되는 지점에 모터(11)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횡방향으로 배열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9) 및, 상기 흡입구(5)와 상기 크로스 플로어 팬(9) 사이에 횡방향으로 배열 설치된 정화필터(13)로 구성되어 있는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1)에 있어서, 상기 정화필터(13)의 측면과 상기 외부 케이스(3)의 내측면 사이에 장착된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215)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는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바닥면에 밀봉패드(19)가 부착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과 밀봉패드(19)의 중앙에 관통공(2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통(17), 내부에 방향제가 충진되어 있으며 입구에 고무 패킹(26)이 압입되어 있는 방향제 케이스(25), 솔레노이드 밸브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통(17)의 안쪽으로 천공핀(29)이 돌출되어 있고 그 대향측으로 토출노즐(31)이 뻗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21)에 삽입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밸브체(27), 상기 토출노즐(31) 하단의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발열부(33) 및, 상기 발열부(33)의 상단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온도 센서(4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215)는 상단 경사면에 방향제 유동안내부(220)가 가공되어 있으며 상기 유동안내부(220)의 중심축선 위치에 천공핀(229)이 돌출되어 있는 밀봉패드(219), 상기 밀봉패드(219)가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으며 상면이 개방되어 있고 상기 유동안내부(220)가 접하는 측벽면에 관통공(221)이 형성되어 있는 삽입통(217), 내부에 방향제가 충진되어 있으며 상단 경사면 입구에 고무 패킹(226)이 압입되어 있는 방향제 케이스(225), 솔레노이드 밸브를 내장하고 있으며 상기 삽입통(217)의 외곽으로 토출노즐(231)이 뻗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221)에 삽입 장착되도록 되어 있는 밸브체(227), 상기 토출노즐(231) 하단의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발열부(233) 및, 상기 발열부(233)의 상단 측면에 장착되어 있는 온도 센서(241)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
  4.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케이스(23,223)는 외부 몸체가 유리 또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
  5. 제2 항 또는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33,233)는 상기 토출 노즐(31,231)에서 떨어지는 방향제를 수용 가열하도록 상단에 위치하는 가열판(35,235), 상기 가열판(35,235)의 하부면에 접촉 장착된 열전반도체 소자(37,237) 및, 상기 열전반도체 소자(37,237)의 하부면에 부착되어 있는 방열판(39,239)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
  6. 외부 케이스(3), 상기 외부 케이스(3)의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어 팬(9) 및 정화필터(13)로 구성되어 있으며, 삽입통(17,217), 상기 삽입통(17,217)에 삽입되는 방향제 케이스(25,225), 상기 삽입통(17,217)의 관통공(21,221)에 삽입 장착되는 밸브체(27,227), 상기 밸브체(27,227) 아래쪽에 설치되는 발열부(33,233) 및 상기 발열부(33,233)의 상단 측면에 장착된 온도 센서(41,241)로 이루어진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215)를 포함하고 있는 자동차의 외장형 공기 정화기(1)에 있어서,
    상기 공기정화기(1)의 크로스 플로어 팬(9) 구동모터(11)의 작동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15,215)의 기동여부를 ECU(43)에 의해 결정하는 작동확인단계(S1);
    상기 작동확인단계(S1)에서 상기 팬(9)이 작동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발열부(33,233)에 전류를 인가하여 상기 발열부(33,233)를 가열하는 방향제 휘산준비단계(S2); 및
    상기 휘산준비단계(S2)에서 상기 발열부(33,233)가 방향제 휘산기준온도까지 가열되면 상기 밸브체(27,227)의 솔레노이드 개폐밸브 작동스위치(45)가 온되었나를 판단하여 상기 작동스위치(45)가 온된 경우 상기 솔레노이드 개폐밸브를 개방하여 상기 방향제 케이스(25,225)로부터 상기 밸브체(27,227)를 거쳐 상기 발열부(27,227)로 낙하되는 방향제가 가열 발산되는 방향제 휘산단계(S3);
    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따른 향 휘산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방향제 휘산준비단계(S2)는 상기 발열부(27,227)의 열전반도체 소자(37,237)를 온시키는 가열개시단계(S21);
    상기 가열개시단계(S21)에서 가열되는 상기 발열부(27,227) 가열판(35,235)의 온도를 감지하는 발열부 온도측정단계(S22);
    상기 발열부 온도측정단계(S22)에서 측정된 온도(Tact)와 방향제 휘산기준온도(Tref)를 비교하여 측정된 온도(Tact)가 방향제 휘산기준온도(Tref) 이상이면 상기 열전반도체 소자(37,237)를 오프시키는 가열종료단계(S23);
    로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에 따른 향 휘산방법.
KR1019970004659A 1997-02-17 1997-02-17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KR018582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659A KR0185826B1 (ko) 1997-02-17 1997-02-17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4659A KR0185826B1 (ko) 1997-02-17 1997-02-17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174A KR19980068174A (ko) 1998-10-15
KR0185826B1 true KR0185826B1 (ko) 1999-05-01

Family

ID=19497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4659A KR0185826B1 (ko) 1997-02-17 1997-02-17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82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4417B1 (ko) * 2006-12-14 2007-11-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능동형 에어익스트랙터 그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8174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00019059A1 (en) Air-freshening dispensing device
US20080014853A1 (en) Method of announcing replacement time of air filter in a heating, ventilating, and air-conditioning system of a vehicle
US2004005357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odorizing compartment of vehicle
JPH093024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0185826B1 (ko) 발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JP2003276425A (ja) 自動車用の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50112275A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0185828B1 (ko) 가열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JPH08258562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オゾン脱臭方法
KR0185827B1 (ko) 초음파 휘산형 향 액츄에이터를 구비한 공기정화기 및 그에 따른 향 휘산방법
KR100435384B1 (ko) 차량용 히터/에어컨 시스템
KR200140866Y1 (ko) 향 카트리지를 구비한 자동차용 외장형 공기정화기
KR100844428B1 (ko) 차량용 공기정화시스템 및 그 정화방법
KR101028207B1 (ko) 바이패스 통로가 설치된 차량용 공조장치
JPH11129729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0185825B1 (ko) 자동차용 내장형 공기청정기
CN213534410U (zh) 车辆用风幕装置
CN215850649U (zh) 车辆用空调装置
KR100894956B1 (ko) 자동차 공조장치용 방향장치
KR200303821Y1 (ko) 공기조화기용 에어필터
KR100379039B1 (ko) 자동차용 공조 시스템
KR200367919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JPH0127458Y2 (ko)
JPH0715406U (ja) 自動車用換気装置
KR200367931Y1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배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1221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