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664B1 - 자동 판매기 - Google Patents
자동 판매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84664B1 KR0184664B1 KR1019960047497A KR19960047497A KR0184664B1 KR 0184664 B1 KR0184664 B1 KR 0184664B1 KR 1019960047497 A KR1019960047497 A KR 1019960047497A KR 19960047497 A KR19960047497 A KR 19960047497A KR 0184664 B1 KR0184664 B1 KR 01846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roduct
- vending machine
- shelf plate
- shelf
- merchandise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0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 G07F11/28—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 G07F11/32—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non-movable magazines in which the magazines are inclined two or magazines having a common delivery chute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07F9/026—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for alarm, monitoring and auditing in vending machines or means for indication, e.g. when empty
-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f Vending Devices And Auxiliary Devices For Vending Devices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수납되어 있는 상품 및 그 판매 동작을 외부로부터 볼 수 있는 어필성을 해치지 않고, 상품의 로딩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품 디스플레이(13)의 투명 패널(20) 너머에 상품 수납고(4)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A)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하 방향으로 다수단의 상품 칼럼(6)을 갖는 상품 랙(5)과, 상품 랙(5)과 투명 패널(20) 사이에 배치되고 불출된 상품(A)을 판매구(8)로 유도하는 낙하 통로(7)를 구비하고, 각 상품 칼럼(6)은 낙하 통로(7)를 향해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고 상품(A)을 구름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선반판(21)과, 선반판(21)의 전방단에 설치된 벤드 매카니즘(22)을 갖고, 각 선반판(21)은 전후 방향 대략 중간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판매하는 상품 및 상품의 판매 동작이 외부로부터 보이는, 소위 씨-스루 형식의 자동 판매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씨-스루 형식의 자동 판매기에서는 실제로 판매되는 상품이 외부로부터 보이는 데다가, 벤드 매카니즘을 거쳐서 불출되는 상품의 판매 동작이 보이는 것이 그 어필성을 충분히 발휘시키는 면에서 중요해진다. 따라서, 종래와 같은 서펜타인 형식의 상품 칼럼이 아니라 상품을 전방으로 낙하시켜서 불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런 경우에, 상품 칼럼을 구성하는 선반판을 전방 하향으로 배치하므로써, 상품을 그 자중에 의해 차례로 전방으로 보낼 수 있고, 판매가 진행되어도 다음 판매 상품을 항상 전방 단부의 외부로부터 잘 보이는 위치에 진열해 둘 수 있다. 또, 상품을 전방으로 낙하시켜서 판매구로 유도함으로써, 실제로 보이는 상품이 판매를 위해 낙하한다는 현장감을 만들어낼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상품 칼럼 및 낙하 통로를 구성하면, 조작자가 보아 상품 칼럼의 선반판이 전방 상향으로 되기 때문에, 상품을 로딩할 때, 상품을 안쪽을 향해 밀어 넣을 필요가 있으며, 상품이 극히 투입하기 곤란해진다. 특히, 하부에 위치하는 상품 칼럼에서는 조작자는 잔뜩 구부린 자세로 이 투입 작업을 행해야 하고, 작업이 극히 번잡해진다. 무엇 보다, 상품을 자동 판매기의 후방측으로부터 로딩하는 구조로 하면, 이런 문제는 해소되지만, 자동 판매기의 설치 장소가 특수하지 않는 한, 이런 구조를 채택하기는 불가능하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수납하고 있는 상품 및 그 판매 동작이 외부로부터 보인다고 하는 어필성을 해치지 않고, 상품의 로딩 작업을 간단히 행할 수 있는 자동 판매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정면도.
제2도는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종단면도.
제3도는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로딩시의 종단면도.
제4도는 조작 링크 주위의 구조를 도시한 자동 판매기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제5도는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판매기의 부분 확대 종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 판매기 2 : 판매기 본체
3 : 메인 도어 4 : 상품 수납고
5 : 상품 랙 6 : 상품 칼럼
7 : 낙하 통로 8 : 판매구
13 : 상품 디스플레이 20 : 전방면 패널
21 : 선반판 22 : 벤드 매카니즘
23 : 지지축 24 : 조작 링크
32 : 축 이동 링크 A : 상품
청구항 1의 자동 판매기는, 상품 디스플레이의 투명 패널 너머에 상품 수납고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이 눈으로 확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상품 수납고 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단의 상품 칼럼을 갖는 상품 랙과, 상품 랙의 전방단과 상기 투명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각 상품 칼럼으로부터 불출된 상품을 판매구로 유도하는 낙하 통로를 구비하고, 각 상품 칼럼은 낙하 통로를 향해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고 상품을 구름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선반판과, 선반판의 전방단에 설치된 벤드 매카니즘을 갖고, 각 선반판은 전후 방향의 대략 중간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따르면, 상품 랙이 상하 방향으로 다수단의 상품 칼럼을 갖고, 각 상품 칼럼이 전방 하향으로 경사진 선반판과 그 전방단에 설치된 벤드 매카니즘을 갖기 때문에, 각 상품 칼럼에 수납된 상품은 차례로 그 최전방단의 것 부터 판매되고, 또 차례로 전방으로 보내져 간다. 이 때문에, 상품이 매진되지 않는 한, 상품 칼럼의 전방부, 즉 투명 패널 너머의 잘 보이는 위치에 상품이 항상 있으며, 이 상품이 상품 견본과 동등한 기능을 한다. 또, 불출된 상품은 상품 랙의 전방단과 투명 패널 사이에 배치된 낙하 통로를 낙하하여 판매구로 유도되기 때문에, 실제로 구입하려는 상품의 판매되는 과정을 투명 패널 너머로 볼 수 있다. 한 편, 상품이 수납되는 선반판이 전후 방향의 대략 중간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상품의 로딩시에 전방 하향으로 경사져 있는 선반판을 후방 하향으로 경사하도록 회전시키면 투입한 상품은 그 자중에 의해 구름 이동하여 수시로 안쪽을 향해 보내진다. 또, 로딩 완료 후에는 선반판을 전방 하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선반판이 원래의 판매 대기 상태로 복귀한다.
청구항 1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각 선반판에 연결되고, 다수개의 선반판을 동시에 시소 운동시키는 조작 링크를 더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따르면, 조작 링크의 조작에 의해 다수개의 선반판을 동시에 시소 운동시킬 수 있고, 상품의 로딩 작업이 더욱 용이해진다.
청구항 1 또는 2의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 시소 운동의 중심축이 각 선반판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시소 운동의 전방 하향 회전에 연동하여 중심축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후방 하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중심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축 이동 링크를 또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칼럼 구성에서는 판매가 진행됨에 따라서 모든 상품이 전방측으로 서서히 몰려간다(보내져 간다). 이 때문에, 시소 운동의 중심축이 선반판의 길이 방향 중심 위치에 있으면, 로딩시에는 남아 있는 상품의 무게로, 선반판을 후방 하향으로 회전시키는 데 비교적 큰 힘이 필요해진다. 한 편, 로딩이 완료되면, 상품이 선반판 상에 가득차게 되기 때문에, 시소 운동의 중심축이 선반판의 길이 방향 중간 위치 보다 전방으로 위치하도록 설정해 두면, 이 상태로부터 비교적 작은 힘으로 선반판을 후방 하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관한 씨-스루 형식의 자동 판매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자동 판매기는 캔 쥬스나 캔 커피 등의 캔 음료를 판매하는 것이며, 도1은 자동 판매기의 정면도, 도2는 그 종단면도이다. 이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자동 판매기(1)는 판매기 본체(2)와, 판매기 본체(2)의 전방면에 개폐 가능하게 부착된 메인 도어(3)로 구성되어 있다. 판매기 본체(2)의 내부에는 상품 수납고(4)가 넓게 설치되어 있으며,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품 수납고(4)의 단열 도어는 메인 도어(3)가 겸하고 있다. 각 상품 랙(5)에는 상하 방향으로 다수단에 걸쳐 상품 칼럼(6)이 형성되어 있다.
메인 도어(3)의 포켓 내에는 각 상품 랙(5)의 전방측을 따라서 낙하 통로(7)가 설치되어 있으며, 낙하 통로(7)의 하류단에는 판매구(8)에 이어지는 판매구 박스(9)가 배치되어 있다. 판매구 박스(9)는 낙하 통로(7)로부터 안쪽으로 세트 백하여 배치되고, 전방면 상부에는 불출 도어(10)가 설치되어 있다. 또, 이 불출 도어(10)의 전방에는 가이드 판(11)이 배치되어 있으며, 낙하 통로(7)로 낙하해 온 상품(A)은 이 가이드 판(11)에 의해 안쪽으로 유도되고, 불출 도어(10)를 차고 나가면서 판매구 박스(9)에 떨어지게 된다. 판매구 박스(9)의 내부에는 고무 등으로 이루어지는 쿠션재(12)가 내부 부착되어 있으며, 가이드 판(11)과 함께 낙하 통로(7)로부터 떨어져 온 상품(A)의 낙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메인 도어(3)의 정면에는 상품 수납고(4)에 대응하도록 상품 디스플레이(13)가 넓게 설치되어 있으며, 상품 디스플레이(13)의 우측 옆의 공간에는 지폐 투입구(14), 금액 표시기(15), 경화 투입구(16), 반환 레버(17) 등이 설치되어 있다. 또, 상품 디스플레이(13)의 전방면에는 적절히, 필요 수의 선택 버튼(18)이 설치되어 있다. 각 선택 버튼(18)은 상하로 인접하는 복수의 상품 칼럼(6)을 동일 종류의 상품(A)이 수용되는 1칼럼 군으로 하고, 이 각 칼럼 군에 대응시키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다. 또, 메인 도어(3)의 정면 하부에는 판매구(8) 및 경화 반환구(19)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품 디스플레이(13)를 구성하는 전방면 패널(투명 패널)(20)은 단열성을 고려한 복층 구조를 갖는 투명한 유리나 아크릴 수지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자동 판매기(1)에서는 전방면 패널(20) 너머에 각 상품 칼럼(6)에 충전한 상품(A)가 보이게 되어 있다. 즉, 자동 판매기(1)가 소위 씨-스루 구조로 되어 있으며, 적층되어 있는 상품(A), 판매시에 상품(A)이 차례로 보내져 가는 모양, 판매시에 상품(A)이 판매구(8)로 떨어지는 모양 등이 외부로부터 눈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다수단의 상품 칼럼(6)은 상품 랙(5)을 구성하는 좌우 측판(도시 생략)에 다수장의 선반판(21)을 경사지게 부착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상품 칼럼(6)은 상품(A)을 가로로 누운 자세로 1열로 수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경사 전방 하향으로 배치된 선반판(21)과, 선반판(21)의 전방 단부에 부착된 벤드 매카니즘(2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에 의해, 상하로 인접하는 선반판(21, 21) 사이에 충전된 상품(A)은 벤드 매카니즘(22)의 작동에 의해, 그 최전방단의 상품(A)으로부터 전방으로 불출되어 낙하 통로(7)로 떨어진다. 또, 최전방단의 상품(A)이 불출되면, 다른 상품(A)은 구름 이동하여 차례로 전방으로 보내져 간다.
이 경우, 다수장의 선반판(21)은 상품 판매시의 전방 하향 상태와 상품 로딩시의 후방 하향 상태 사이에서 각각 중간부에 설치된 지지축(중심축)(23)을 중심으로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장의 선반판(21)의 전방 단부에는 조작 레버(25)를 갖는 조작 링크(24)가 배치되어 있으며, 각 선반판(21)의 전방 단부는 핀(26)을 거쳐서 조작 링크(24)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한 편, 각 선반판(21)의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는 상품 랙(5)의 양측판에 부착된 지지축(23)이 배치되어 있다. 조작 레버(25)를 거쳐서 조작 링크(24)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다수장의 선반판(21)이 각각 지지축(23)을 중심으로 동시에 시소 운동한다.
즉, 상품(A)의 판매시에는 선반판(21)의 전방 하향 회전시켜 두고, 수납하고 있는 상품(A)을 전방으로 보내면서 판매를 행한다. 상품(A)의 로딩시에는 선반판(21)을 후방 하향으로 회전시켜 두고, 상품(A)의 투입을 행한다. 이와 같이, 상품(A)의 로딩시에 선반판(21)이 후방 하향으로 되도록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투입하는 상품(A)은 선반판(21)의 전방단으로부터 투입하는 것 만으로, 안쪽으로 차례로 충전되어 간다.
따라서, 선반판(21)이 전방 하향인 채 상품(A)을 충전하는 경우에 비해, 로딩 작업을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상품(A)을 투입할 때, 벤드 매카니즘(22)의 격판(22a)이 방해가 되지 않도록 넘어지는 구조로 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에, 도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한 자동 판매기에 대해 설명한다. 이 실시 형태에서는 선반판(21)을 지지하고 있는 상기 각 지지축(23)이, 선반판(21)의 시소 운동에 연동하여,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각 지지축(23)은 상품 랙(5)의 측판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31)에 수평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또, 이 지지축(23)에는 축 이동 링크(32)의 한 쪽 단부가 결합하고 있다. 축 이동 링크(32)는 대략 『L』자형으로 형성되고, 중간부에서 측판으로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다. 한 편, 축 이동 링크(32)의 다른 쪽 단부는 선반판(21)에 형성된 긴 구멍(21a)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걸려 지지되어 있다. 또, 조작 링크(24)는 상하 이동을 가이드 부재(33, 33)에 의해 가이드되고 있다.
따라서, 선반판(21)이 전방 하향으로 되어 있는 도5의 실선으로 도시한 상태로부터, 조작 링크(24)를 상승 이동시키고 선반판(21)을 후방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축 이동 링크(3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축(23)을 후방으로 이동시킨다(2점 쇄선으로 도시). 역으로, 이 상태로부터 조작 링크(24)를 하강 이동시키고 선반판(21)을 전방 하향으로 회전시키면, 이에 연동하여 축 이동 링크(32)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지지축(23)을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이 경우, 선반판(21)이 후방 하향으로 회전한 상태에 있어서, 지지축(23)이 선반판(21)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간 위치로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선반판(21)이 전방 하향 상태에 있을 때는 지지축(23)은 선반판(21)의 중간 위치로부터 전방측으로 치우쳐 있으며, 후방 하향 상태에 있을 때, 지지축(23)은 선반판(21)의 중간 위치에 있다.
상품(A)의 로딩시에는 남아 있는 상품(A)이 선반판(21)의 전방부로 보내져 있기 때문에, 선반판(21)을 후방 하향으로 회전시키려면 상당한 힘을 요하지만, 상기와 같이 지지축(23)이 선반판(21)의 중간 위치 로부터 전방측으로 몰려 있으면, 지지축(23)을 중심으로 하는 전후의 하중 균형을 잡기 쉬워지며, 시소 운동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행할 수 있다. 한 편, 상품(A)을 가득 충전한 후에는 선반판(21)의 중간 위치가 전후의 하중의 거의 중심 위치로 되기 때문에, 이 위치에 지지축(23)이 있음으로써, 전후의 하중이 균형잡히고, 이 경우에도 시소 운동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선반판(21)의 시소 운동을 비교적 작은 힘으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고, 일련의 로딩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자동 판매기에 따르면, 고객이 실제로 구입하는 상품 그자체, 및 판매시의 상품의 낙하 등의 움직임을 볼 수 있고, 상품을 충분히 어필할 수 있다. 이로써, 고객의 상품 구입 의욕을 환기시킬 수 있다. 또, 상품 로딩에서는 상품을 투입하는 것 만으로 그 충전이 행해지기 때문에, 로딩 작업을 효율 좋게 간단히 행할 수 있다.
Claims (3)
- 상품 디스플레이의 투명 패널 너머에 상품 수납고 내에 수납되어 있는 상품이 눈으로 확인 가능한 자동 판매기에 있어서,상기 상품 수납고 내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다수단의 상품 칼럼을 갖는 상품 랙과, 그 상품 랙의 전방단과 상기 투명 패널 사이에 배치되고 그 각 상품 칼럼으로부터 불출된 상품을 판매구로 유도하는 낙하 통로를 구비하고,상기 각 상품 칼럼은 상기 낙하 통로를 향해 전방 하향으로 경사지고 상품을 구름 이동 가능하게 수납하는 선반판과, 그 선반판의 전방단에 설치된 벤드 매카니즘을 갖고,상기 각 선반판은 전후 방향의 대략 중간부를 중심으로 시소 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선반판에 연결되고, 상기 다수개의 선반판을 동시에 시소 운동시키는 조작 링크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시소 운동의 중심축이 상기 각 선반판의 길이 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상기 시소 운동의 전방 하향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중심축을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동시에, 후방 하향의 회전에 연동하여 그 중심축을 후방으로 이동시키는 축 이동 링크를 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판매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7298957A JPH09120474A (ja) | 1995-10-24 | 1995-10-24 | 自動販売機 |
JP95-298957 | 1995-10-24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2859A KR970022859A (ko) | 1997-05-30 |
KR0184664B1 true KR0184664B1 (ko) | 1999-04-15 |
Family
ID=17866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47497A KR0184664B1 (ko) | 1995-10-24 | 1996-10-22 | 자동 판매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09120474A (ko) |
KR (1) | KR018466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111490B (zh) * | 2019-05-05 | 2024-09-10 | 湖南金码智能设备制造有限公司 | 一种联动出货机构及具有该联动出货机构的售货机 |
CN112489300A (zh) * | 2020-12-16 | 2021-03-12 | 苏州雪电通讯科技股份有限公司 | 自动售货机 |
-
1995
- 1995-10-24 JP JP7298957A patent/JPH09120474A/ja not_active Withdrawn
-
1996
- 1996-10-22 KR KR1019960047497A patent/KR01846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22859A (ko) | 1997-05-30 |
JPH09120474A (ja) | 1997-05-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040029250A (ko) | 자동 판매기 | |
JP2017167751A (ja) |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 |
KR0184664B1 (ko) | 자동 판매기 | |
KR100374758B1 (ko) |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 |
JP2010282588A (ja) | 自動販売機 | |
KR0184655B1 (ko) | 자동 판매기 | |
JP4042697B2 (ja) | 収納装置 | |
JP2000076537A (ja) | 自動販売機 | |
JP3562062B2 (ja) | 自動販売機 | |
JPH0950566A (ja) | 自動販売機 | |
JPH0962921A (ja) | 自動販売機 | |
JP4844404B2 (ja) | 商品収納装置 | |
JP5458866B2 (ja) | 自動販売機 | |
JP5458853B2 (ja) | 自動販売機 | |
JP2621473B2 (ja) | 自動販売機の商品収納棚 | |
JPH0916842A (ja) | 自動販売機 | |
JP3227955B2 (ja) | 自動販売機のサーペンタイン式ベンドラック | |
JP4457924B2 (ja) | 商品収納装置 | |
JP4419314B2 (ja) | 自動販売機の商品払出装置 | |
JPH09115043A (ja) | 自動販売機 | |
JP3775025B2 (ja) | 自動販売機 | |
KR200261812Y1 (ko) | 경품권을 제공가능한 자동판매기 | |
JP2596468Y2 (ja) | 自動販売機の商品搬出装置 | |
WO2001086602A2 (en) | Multiple product dispensing from a vending machine with a single selection | |
KR20030002354A (ko) | 자동 판매기의 상품 반출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G170 | Publication of correc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1210 Year of fee payment: 7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